KR20180096204A -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204A
KR20180096204A KR1020170022585A KR20170022585A KR20180096204A KR 20180096204 A KR20180096204 A KR 20180096204A KR 1020170022585 A KR1020170022585 A KR 1020170022585A KR 20170022585 A KR20170022585 A KR 20170022585A KR 20180096204 A KR20180096204 A KR 20180096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redetermined
eccentric
control output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헌
정태락
Original Assignee
정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헌 filed Critical 정재헌
Priority to KR102017002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204A/ko
Publication of KR2018009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7Brakes preventing fast scree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 제작이 용이하고 값싼 재료를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 견고한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431‘)을 정축 회동시키면 편심구동원기둥(432’)을 편심 구동시키는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 제어수단(460d“)이 형성된 고정부재(460‘); 내접기어(410‘); 외접기어(450’); 및 상기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 고정부재(460‘), 내접기어(410‘), 외접기어(450’) 모두의 함체로 구비되거나 혹은 고정부재(460‘)의 후방에서 결합되어 단순 마감하는 픽업함체부재(4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A clutch module for a hoist device and the hoist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롤/콤비/트리플 블라인드의 소정 너비와 높이를 가진 스크린의 일 측 끝단을 권취부재인 소정직경의 봉에 승강 권취 및 하강 권해하는 방식으로 차광 및 채광하는 롤 블라인드와 어닝 장치, 다수 슬랫을 걷거나 펼치도록 최하단 지지부재에 견인줄의 일 측 하단을 묶고 다수 슬랫에 형성된 구멍으로 상단 슬랫까지 삽입되어진 견인줄의 상단 일 측 끝단을 권취부재에 승강 권취하거나 하강 권해하는 방식으로 슬랫을 차곡차곡 끌어 걷어 올리거나 내리도록 하여 차광 및 채광하는 베니션 블라인드, 또 주름진 스크린의 하단에 구비된 지지부재에 견인줄의 일 측 하단을 묶고 견인줄의 상단 일 측 끝단을 권취부재에 승강 권취하거나 하강 권해하는 방식으로 주름 스크린을 펼치거나 접어서 차광 혹은 채광하는 허니콤 및 플리티드 블라인드 등으로 대표되는 차양, 지지부재에 소정길이의 견인줄 일 측단을 묶고 권취부재에 타 끝단을 묶은 후에 지지부재에 널려지는 빨래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견인줄을 권취하거나 권해하는 빨래건조대 등과 같은 호이스트 장치의 중량물에 의한 하강 혹은 그로 인한 권취부재의 회동을 제동함과 동시에 중량물의 승강 혹은 하강 구동에 사용하도록 소형화 및 낮은 기어비로 제작이 가능한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혹은 실외에 설치되는 호이스트 기기의 일 종류인 차양은 창문틀에 배치되어 창문을 통한 채광 및 채광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긴 슬랫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선택적 채광을 행하는 베니션 블라인드와 슬랫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로 유동되면서 선택적 채광을 행하는 버티컬 블라인드, 그리고 고정된 위치에서 회동되도록 마련되고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의 루버가 다수 구비되는 루버타입 등의 슬랫 타입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롤에 스크린이 감겨져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선택적 채광을 이루는 롤 블라인드와 주름진 원단을 접거나 펼치는 방식으로 채광 혹은 차광하는 허니콤 및 플리티드 블라인드 등과 같은 스크린 타입 등이 있다.
이러한 차양은 통상적으로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견인줄이나 스크린 자체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도록 임의의 고정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단단히 고정되는 권취부재가 구비되고 지지부재 또는 다수 슬랫 내지 스크린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복합으로 중량체를 형성하거나 구비되며, 그에 결합된 견인줄 혹은 스크린이 중력에 의해 권취부재로부터 풀어지도록(권해) 구비되며, 모터 등 전기 동력이나 수동동력으로 견인줄 혹은 스크린을 권취부재에 감아(권취) 슬랫 혹은 스크린을 특정 의도한 높이에 위치시키거나 소정각도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되는데,전기 동력이나 수동동력이 권취 부재에 가해지지 않을 때는 중량체의 자중에 의해 권취부재가 하강 회동되는 것을 제동함과 동시에 동력이 가해질 때는 권취부재의 회동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동 및 구동장치(통상적으로 “클러치”라 호칭함)가 필수적이다.
또, 실내 혹은 실외에 설치되는 호이스트 기기의 또 다른 일 종류로서 빨래건조대를 들 수 있는데 역시 상술한 차양과 비교하여 제동과 구동의 원리는 유사하여 전기 동력이나 수동동력이 권취부재에 가해지지 않을 때는 중량체의 자중에 의해 권취부재가 하강 회동되는 것을 제동함과 동시에 동력이 가해질 때는 권취부재의 회동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동 및 구동장치(이하 “클러치”라 칭함)가 필수적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호이스트 기기가 있지만 그 구성과 작동관계는 대동소이하고 이와 같은 사실은 당업자들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다른 호이스트 기기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상의 호이스트 기기의 권취부재가 하강 회동되는 것을 제동함과 동시에 동력이 가해질 때는 권취부재의 회동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동 및 구동장치를 “호이스트기기용 제동 및 구동클러치”라 칭하며, 더욱 간략하게는 “클러치”라 칭하기로 하며 본 발명을 당업자에게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차양 장치를 대표적인 배경기술 설명 대상으로 하기로 한다.
예컨대, 도 1a 및 도 1b은 각각 통상의 대표적인 롤 차양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며, 도 1c는 두 겹을 사용하는 롤 차양의 일종인 콤비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1d은 롤 차양에 일 구성으로 조립되는 다양한 브라?의 한 종류인 플라스틱 브라?의 사시도이고, 또 도 2a는 통상적인 롤 차양용 클러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dl이고, 도 2b은 여러 가지 롤 차양용 클러치 중 일예로써 제시된 실물사진이며, 도 2c는 도 2b로 제시한 실물사진 클러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이고, 도 2d은 통상적인 유성기어를 적용한 감속용 롤 차양용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통상적인 스프링클러치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 및 도 1b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롤 차양은 창문틀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레일 (1); 헤드레일(1) 양측에 각각 하나씩 쌍으로 구비되되 그 중 어느 하나에는 몸체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거치되면 자유롭게 회동하는 회동자(5b)를 더 포함하여 마련되고 각각에는 걸림턱(5a2)이 외주에 형성되고 내부가 통공(5a3)인 거치수단(5a1,5a1')이 형성된 브라?(5a,5a')쌍으로 마련되는 마개(5); 상기 헤드레일(1)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측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지는 권취부재의 일 종류인 환봉(2b)과 환봉(2b)에 형성된 슬롯에 일 측면이 끼워지도록 쫄대(2a)가 구비되어 끼워져 환봉(2b)에 조립된 후 헤드레일(1) 및 마개(5)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거치되는 환봉(2b)을 외력이나 중력에 의해 회전시키면 감겨지거나 풀려 늘어지게 되는 블라인드 원단으로 구비되고 하단은 하단바(3)로 마감되어 구비되는 스크린(2); 몸체에 형성된 암 걸림홈(4a1d)이 형성된 거치홀(4a1c)을 구비하고 상기 양쪽 브라?(5a,5a')중 회동자(5b)가 없는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에 끼워지면서 걸림턱(5a2,5a2')에 의해 몸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거치되고 타단은 환봉(2b)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인간의 손에 의한 수동의 힘을 외력으로써 가동줄(6)로부터 전달 받거나 혹은 중력에 의해 스크린(2)의 블라인드 원단 하중에 의해 회전하려는 환봉(2b)으로부터의 외력을 제동하는 스프링 클러치(4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롤 차양과 스프링 클러치(4a)는 그 제작에 있어 상당한 가지 수의 고려사항이 있는데 그러한 고려 사항이 본 발명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간략하게 당업자에게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첫 번째 고려요소로써 스프링 클러치(4a)를 포함한 클러치의 조립 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과거 및 현재는 클러치를 브라?(5a,5a')과 환봉(2b) 사이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강도가 큰 브라?(5a,5a')를 통해 화물 배송과정에서의 파손 등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점이다. 사실 스프링 클러치(4a)는 이러한 화물 배송과정에서의 파손을 브라?(5a,5a')이 커버로써 보호하게 하게 하는 목적이 아니라면 굳이 브라?(5a,5a')과 환봉(2b)사이에 조립되도록 할 필요가 없으나 과거와 현재의 현실에서는 화물 배송과정에서의 파손문제 때문에 스프링 클러치(4a)의 위치가 상당히 중요한 요소였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스프링 클러치(4a)의 조립 위치는 최근 중요한 도전에 직면한 상태인데 그 원인이 3가지 정도로써 요약되며 소개하자면, 먼저 첫 번째는 루프형 블라인드 줄에 의한 어린이 질식사고와 깊은 관계가 있으며, 두 번째로는 DIY의 증가추세에 관계가 있고,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는 세계적인 롤 블라인드의 생산 및 유통 분업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먼저 세 번째인 생산 및 유통 분업화와 관련된 사항으로 주목할 것은 블라인드 완제품이 아니라 각 나라별 강점을 가진 부분품이 중간재 형식으로 더욱 활발하게 증가추세로 유통된다는데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은 블라인드 원단의 제직에 강점이 있지만 원단 롤의 대량 수출이 여의치 않자 최근 원단업체를 중심으로 원단의 수출방식에 있어 원단 롤 대량수출방식보다는 부가가치가 크도록 블라인드 원단을 개별 크기별 블라인드 원단으로 미리 재단한 후에 환봉(2b)에 감아 포장하여 수출하는 반제품 수출 방식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 원인으로는 대부분의 선진국 수요국가에서는 중국이나 우리나라와 같은 노동집약적인 주문제작방식의 롤 차양 완성품 제작 산업이 없는 관계(선진국이라 노동집약적 산업이 곤란하고 그럴 필요가 없음)로 원단 롤을 수입하여 이를 주문에 따라 크기별로 개별 재단하여 완제품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미리 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블라인드 크기별 재단하는 방식을 구사하고 부분품으로 수입하여 유통시키는 방식이며, 이와 같은 방식은 해당 수요국의 완성품 제작 기술미숙에 따른 원단의 대량 손실을 방지하면서도 물류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대안으로 컨테이너에 차곡차곡 컴팩트하게 패킹이 가능하여 환봉(2b)까지만 조립된 부분품 롤 차양 수출물량이 우리나라에서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헤드레일이나 브라?(5a,5a'), 스프링 클러치(4a)까지 완성품으로 조립되면 부피가 상당하여 컨테이너에 차곡차곡 컴팩트하게 패킹하기가 어려워 물류비용이 대폭 증가하기 때문으로 나머지는 추가로 부분품을 수입하는 나라의 현지에서 조달하여 완제품을 생산하여 현지에서 유통시키는 방식이다.
더욱이 이와 같은 방식은 두 번째 이유인 선진국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DIY 산업과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어 더욱 큰 잠재적인 사업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선진국은 DIY가 활성화 되어 있어 이러한 방식은 증가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반제품 유통방식과 DIY가 활성화 되어 있는 시장에서는 스프링 클러치(4a)의 조립 위치를 브라?(5a,5a')과 환봉(2b) 사이에 결합되게 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큰 브라?(5a,5a')를 통해 화물 배송과정에서의 파손 등을 방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브라?(5a,5a')의 바깥쪽에서 DIY로 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변화요구가 증대하고 있어 클러치의 조립 위치에 일대 변화 조짐이 있다.
더욱 중요한 클러치의 조립 위치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 조짐으로는 최근의 블라인드 줄에 의한 어린이 질식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최근 거의 모든 롤 차양에 구비되는 루프형 볼 체인(6) 혹은 루프 코드줄(미도시)에 의한 어린이 질식 사고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 큰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일견 스프링 클러치(4a)를 포함한 클러치의 조립 위치와 블라인드 줄에 의한 어린이 질식사와 관련이 없는 것 같으나 불행히도 대부분의 사고를 일으키는 루프형 볼 체인(6) 혹은 루프 코드줄(미도시)이 클러치에 장착되어 생산된다는데 기인되고 있으며, 사실상 롤 차양업체와 클러치 생산업체는 분업화 되어 있는 별도의 회사이므로 사고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가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어서이다. 실제로 클러치 생산업체로부터 공급받은 클러치는 완성품 롤 차양에 조립되면 루프형 볼 체인(6) 혹은 루프 코드줄(미도시)이 길게 늘어지므로 클러치 생산업체에서부터 출하시 이를 단도리하기 위한 고무줄로 루프형 볼 체인(6) 혹은 루프 코드줄(미도시)이 묶여 공급되며, 이를 풀지도 않은 채로 롤 차양업체에서는 완성품 블라인드에 일 부품으로 클러치를 조립하며, 역시 고무줄이 풀리지도 않은 채로 최종 유저인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로드?이나 홈쇼핑 등 유통업체에 롤 차양을 공급하고 있는 실정으로 롤 차양업체의 입장에서는 자사의 제품에 사용하는 하나의 부품 때문에 전체 완성품에 안전주의 표시를 해야 하고, 제품인증 비용, 과도한 위반 벌금부과 등 관리감독 당국의 제제를 받아야 하는 등 모든 책임을 져야하는 상황을 맞이하고 있으며 생존을 위해 필사적으로 이를 회피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설혹 정부의 안전기준에 맞는 경제적인 대안인 분리수단(Breaking away device)이 장착된 루프형 볼 체인(6) 혹은 루프 코드줄(미도시)을 채택한 클러치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잡아당길 때 분리되어 버려 종국에는 루프형 볼 체인(6) 혹은 루프 코드줄(미도시)이 클러치로부터 이탈되므로 이는 곧바로 A/S 요구로 이어지며, 이는 심각한 비용을 초래하며, A/S를 거부한다하더라도 소비자가 설치된 롤 차양을 뜯어낸 후에 해체하여 클러치를 꺼낸 후에 루프형 볼 체인(6) 혹은 루프 코드줄(미도시)을 장착한 후에 다시 환봉(2b)을 조립하고 다시 설치해야하는데 소비자가 하기에는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더욱 곤란한 지경은 분리수단(Breaking away device)이 품질 때문에 A/S를 유발하는지 아니면 과도한 사용상 부주의로 인하여 분리된 것인지가 불분명하여 생산자 혹은 판매자는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A/S에 임해야 하는 상황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생산자 혹은 판매자는 A/S를 막기 위하여 자신들이 적정한 안전수단을 선택한 후에 완성품에 조립하여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제동구동 모듈까지만 공급하고 루프형 볼 체인(6) 혹은 루프 코드줄(미도시)은 로드? 등 소비자를 직접 응대하는 소비자 접점 업체나 소비자가 안전수단을 선택하도록 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최근 강하게 일고 있다. 이를 통하여 A/S 부담을 줄이기 위해 소비자에게 선택하게 하여 막무가내식 A/S 요청을 차단하고 소비자 혹은 설치자가 롤 차양의 해체 없이도 간편하게 클러치만을 착탈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DIY 특징을 활용토록 유도하여 과도한 A/S를 막아 생산자나 소비자 상호간 윈윈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 설치방식 내지 조립위치에 대한 개선요구가 쇄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클러치 설치방식이 배송과정의 파손을 염두에 두고 클러치의 조립 위치를 브라?(5a,5a')과 환봉(2b) 사이에 결합하는 방식의 일대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며, 클러치 전체 중에서 루프형 볼 체인(6) 혹은 루프 코드줄(미도시)과 수동 풀리를 배송시에 분리 포장하면 파손문제도 없앨 수 있어 배송한 후에 설치 현장에서 간단하게 브라?(5a,5a') 후면에서 조립하도록 하는 방식이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롤 차양을 조립 생산할 때 스크린(2)을 헤드레일(1) 및 마개(5)에 용이하게 조립하는 방법도 롤 차양 완성품을 생산하는 업체 입장에서는 제품 생산성 때문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통상적으로 헤드레일(1)의 일 측 단에 회동자(5a2)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브라?(5a,5a')이 먼저 조립되며, 이후 스프링 클러치(4a)를 별도로 일단 스크린(2)의 환봉(2b)에 먼저 빡빡하게 끼운 후에 이를 통째로 헤드레일(1)에 먼저 설치된 한 쪽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에 스프링 클러치(4a)의 거치홀(4a1c)을 끼워 가조립(假 組立)하고 이어서 타측에서 회동자(5a2)가 마련된 브라?(5a,5a')을 순차 조립한다.
이 때 스프링 클러치(4a)를 스크린(2)의 환봉(2b)에 먼저 빡빡하게 끼우지 않고 먼저 헤드레일(1)에 먼저 설치된 한 쪽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에 스프링 클러치(4a)의 거치홀(4a1c)을 끼우는 조립방법을 사용하면 그 후면에 환봉(2b)의 일 측 단을 끼울 때 삽입길이가 상당하여 매우 불편하며 특히 블라인드 원단이 슬롯에 끼워진 상태이지만 블라인드 원단이 환봉(2b)에 둘둘 감겨 있지 않으면 블라인드 원단이 통째로 이동되면서 조립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과 스프링 클러치(4a)의 거치홀(4a1c)이 서로 다른 부품에 암수로써 각각 분리되어 구비되어 있다 할 수 있다.
또한, 세 번째 고려 요소로써 스프링 클러치(4a)의 폭은 햇빛이 통과하는 틈 역할을 하므로 가급적 줄여야 한다. 그러나 블라인드 원단이 환봉(2b)에 감기는 속도나 제작 경험치상 환봉(2b)의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의 폭을 동일하게 하지 않으며 좌우 각각에서 약 5mm정도의 여유를 두고 원단 폭을 적게 재단한다. 통상적으로 블라인드 원단이 환봉(2b)에 감기는 속도는 제품품질에 영향을 주는데 원단이 빨리 감길 때는 일정하게 감기는 것이 아니라 들쭉날쭉해지고 스프링 클러치(4a)면이나 브라?(5a,5a')에 닿아 시간이 지나 누적되면 닳아 헤질 수 있기 때문인데, 문제는 이러한 이유로 원단 폭의 여유는 불가피하므로 스프링 클러치(4a)의 폭을 줄이는 것이 주요한 요소이며, 이는 이어서 많은 부차적인 문제를 유발한다.
뿐만 아니라, 스프링 클러치(4a)의 작동 속도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은 천차만별이다. 빠른 승강을 요구하는 수요처도 있으며, 오히려 늦은 승강을 요구하는 거래처도 있다. 그러나 미세한 차이만 있을 뿐 큰 변수는 되지 못하며 네 번째 중요한 고려 요소는 사용자의 한 스트로크가 시행되었을 때 승.하강 거리이며 설치 층고를 고려할 때 이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횟수와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또한,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는 롤 차양의 주된 불량 및 A/S 고려요소로 주로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판매단계에서는 원단의 재단 품질 등이 주요한 요소이고 사용단계에서는 대부분이 거치수단인 브라?(5a,5a')과 스프링 클러치(4a) 때문에 발생 한다. 사용단계의 품질 중 가장 크게 대두되는 것은 브라?(5a,5a')이 힘을 이기지 못하고 떨어지는 것(플라스틱 재질의 경우)과 걸림턱(5a2,5a2')이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휘어져버리는 것(금속재질일 경우)이 가장 큰 문제이며 그 다음 문제로는 스프링 클러치(4a)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빡빡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처음에 잘되던 제동을 하지 못하고 블라인드 원단이 하강해버리는 것과 원단의 감김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프링 클러치(4a)는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지만 도 2a 및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값이 매우 저렴한 이유로 대부분 Wrap Spring을 적용한 것으로, 스프링 클러치(4a)는 걸림부(4a2‘)가 일체로 형성된 랩 스프링(Wrap Spring)으로 구비되는 클러치부재(4 a2 ); 클러치부재(4a2)가 끼워져 마찰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마찰면(4a1a)이 몸체에 구비되고 소정 길이로 돌출된 지지수단(4a1b)과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에 단단하게 고정 끼워지도록 몸체 일 측면에 형성된 거치홀(4a1c)이 마련되는 클러치 스테이터 ( clutch stator , 4 a1 );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이 걸려 회전하는 수동풀리(4a3a)와 수동풀리(4a3a) 외주에 거치되며 볼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를 외주에서 커버하고 회동하는 투명케이스(4 a3c )를 포함하고 클러치부재(4a2)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부(4a2‘)를 클러치부재(4a2)인 랩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스프링 마찰면(4a1a)과 클러치부재(4a2)인 랩 스프링 사이의 마찰 제동력을 해제시키고 회전시키는 구동회전자(rotor, 4a3b)가 일체 혹은 축 결합으로 형성되고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구동부재 (4 a3 ); 외주면이 환봉(2b)에 끼워지도록 돌출턱(4a41)이 형성되고 내주면은 구동부재(4a3)와 클러치 스테이터(4a1)에 결합되며 클러치부재(4a2)의 랩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클러치 스테이터(4a1)와 클러치부재(4a2) 사이의 마찰제동력을 증대시키는 제동 걸림수단(도 2a에는 미도시, 도 2c의 4a42)이 형성된 픽업부재 (4 a4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구동에서는 사용자가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아당긴 힘으로 구동부재(4a3)의 일 구성인 수동풀리(4a3a)를 회전시키면 (도 3의 실선 화살표 방향), 구동회전자(4a3b)가 클러치부재(4a2)의 걸림부(4a2‘)를 랩 스프링 몸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클러치 스테이터(4a1)와 클러치부재(4a2) 사이의 마찰 제동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픽업부재(4a4)의 제동 걸림턱(미도시)을 밀어 회전시킴으로서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턱(4a41)이 환봉(2b)을 회전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고, 제동에서는 사용자가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의 잡아당김을 멈추면 스크린(2)의 하중에 따라 환봉(2b)에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종국에는 픽업부재(4a4)를 회전시키게 되지만, 픽업부재(4a4)의 제동 걸림수단(도 2a에는 미도시, 도 2c의 4a42)을 클러치부재(4a2)의 랩 스프링 몸체가 좁혀지는 방향으로 밀어 (도 3의 점선 화살표 방향),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스프링 마찰면(4a1a)과 클러치부재(4a2) 사이의 마찰 제동력을 증대시킴으로써 환봉(2b)을 자가 회전 정지 즉, 제동시킨다.
한편, 구동부재(4a3)의 투명케이스(4a3c)는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내주에서 커버하는 역할 이외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통상적으로 소비자 즉, 사용자는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잡고 구동시킬 때, 롤 차양의 바로 밑에서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1 미터 정도 떨어져 구동하는데 이때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수직방향에서 약 15도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며 투명케이스(4a3c)가 이 각도만큼 회전해주지지 않으면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이 투명케이스(4a3c)에 걸려서 소음이 나는 문제를 해결해주도록 회동가능하게 제작되며 또한 투명케이스(4a3c)는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의 조립이나 작동시에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에 수동풀리(4a3a)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스프링클러치(4a)는 랩 스프링이라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기계요소가 제동 및 구동을 동시에 담당하게 하고, 그 제작이 매우 용이하며, 장착이 용이하여 공간이 적게 소요되며, 무엇보다도 값이 매우 저렴하여 차양의 종류나 빨래기기 등 호이스트 기기에서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며, 호이스트 기기의 종류에 따라 이를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권취부재를 갖고 있을 뿐이어서 그에 맞게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픽업부재(4a4)가 다를 뿐 그 원리는 동일하다 할 수 있고, 구동부재(4a3) 역시, 수동동력 혹은 전기 동력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혹은 구동 특징에 맞게 또 다른 클러치 형태를 추가 적용하는 등 그 세부구성이나 형태가 다양할 뿐인 것이 자명하나, 좀 더 쉽게 당업자가 이해하도록 설명하자면 우드나 알루미늄 슬랫을 사용하는 베니션블라인드에 맞는 스프링클러치(4a)의 경우 2개 이상의 견인줄을 사용하기 위해 견인줄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는 다수 권취부재를 동시에 회동시키기 위해 하나의 기다란 단일 회전축을 사용하는데 그에 맞는 픽업부재(4a4)가 여러 개 구비되어 있는 것만 다르다는 것이고 빨래 건조대 역시 2개 이상의 견인줄을 한꺼번에 감거나 풀 수 있는 드럼과 같은 일예의 권취부재를 사용하는 것뿐이다.
(배경기술 A)
통상적으로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일 구성인 지지수단(4a1b)은 스프링 마찰면(4a1a)의 외주 직경을 크게 하는 것이 제동에 유리한 점과 환봉(2b)을 거치하도록 안착시키는 내구성 성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거치홀(4a1c) 역시 그에 맞게 제작되며, 이에 대응하는 브라?(5a)의 거치수단(5a1)은 롤 차양의 조립 장착을 위해 클러치 스테이터(4a1) 뒤쪽에 끼우는 조립편의성의 제공은 물론, 스크린(2)을 창문이나 천정에 안정적으로 거치하게 하고 차양 작동할 때나 배송과정에서의 파손방지 또는 고중량 스크린(2)을 지탱하기 위해 지지 내구성과 함께 강도를 확보하도록 클러치 스테이터(4a1), 지지수단(4a1b), 거치홀(4a1c) 및 브라?(5a)은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로 제작할 때는 내구성과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그 직경과 두께 크기를 재료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제작 하고 있으며 플라스틱의 한계를 고스란히 가지고 있으므로 스크린(2)의 무게나 블라인드 원단의 길이를 감안하되 통상적으로는 저하중은 두께 1 ~ 2mm에 직경이 10mm으로 사출되고, 고하중 원단을 사용할 경우에는 다양하지만 직경이 최대 25mm까지 사출 제작되고 있으며, 삽입되는 깊이 길이(돌출 길이)는 통상적으로 10mm이하이고 돌출/돌출 길이가 한정해서 정해지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아울러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브라?(5a')의 거치수단(5a2')은 통상적인 형태가 일자형이며 저하중은 폭이 10mm 고하중은 16mm ~ 20mm 폭이고 삽입되는 깊이 길이는 10mm ~ 11mm이고 금속재료는 두께가 저하중은 1.6mm 고하중은 2mm정도의 철판을 사용한다.
한편 수놈 역할을 하는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에 끼워지는 암놈 역할을 하는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거치홀(4a1c) 역시 그에 상응하여 키워서 제작하는 것은 자명한 것으로, 랩 스프링의 제동력을 높이고 브라?(5a)의 거치수단(5a1) 및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거치홀(4a1c)의 내구성 및 강도 품질을 동시에 달성하도록 적절하게 선택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그러나 거치수단(5a1) 및 거치홀(4a1c)의 직경크기나 일자 폭의 경우, 무한정 크게 할 수 없는 롤 차양만이 가지는 특징적인 변수가 여럿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사용자가 차양 구동을 위해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을 1회 잡아당기는 한 스트로크(stroke)의 길이로서 최대 70cm(어른 기준) 정도로 정해져 제한 값을 가지는 상수(고정값)이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콤비 블라인드 경우 걷어 올려야 하는 블라인드 원단의 길이가 통상적인 한 겹 블라인드 원단을 사용하는 롤 차양의 2배이므로 사용자가 2배 많은 스트로크(stroke)로 잡아당겨 걷어 올려야 하므로 스트로크(stroke) 횟수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는 수동풀리(4a3a)의 직경을 작게 해야 하고 제한된 직경 하에서 내부에 6mm ~ 7mm직경의 볼 체인(6)이 지나가는 공간을 차감하면 거치수단(5a1,5a1') 및 거치홀(4a1c) 크기를 정함에 있어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 도 1c에서처럼 사용자가 한 스트로크를 시행할 때 잡아당기는 무게감을 덜 느끼도록 감속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고하중 롤 차양의 경우 유성기어 요소들(도 2d의 링기어:4a3d, 캐리어:4a3e, 위성기어:4a3c, 선기어:4a3f 참조)이 차지하는 물리적인 공간에 볼체인(6)이 지나가는 공간에 더하여 소요되는 상황이므로 거치홀(4a1c)의 직경을 무턱대고 크게 할 수 없어 여러 추가적인 변수에 의해 크기가 근본적인 제한을 받는다.
한편, 삽입되는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의 돌출 길이는 사실상 13mm 이하로 정해지는 분명한 이유가 있는데 블라인드의 연창 설치 때문이다. 애시 당초 블라인드는 시야나 햇빛을 차폐하는 기본적인 기능이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설치환경의 창호 폭이 커서 여러 개의 블라인드를 연달아 설치(“연창설치”라 칭함)하는 경우 블라인드와 블라인드의 사이 폭을 줄여야 하는데( 그 사이 틈으로 햇빛이 들어오므로) 이 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클러치의 두께 폭이기 때문으로 사실상 차양 클러치는 특이한 몇몇 예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이유로 종류를 불문 그 차양클러치의 두께 폭은 13mm를 넘지 않는다. 그러나 다행히도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 10mm 돌출 길이는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거치홀(4a1c)에 끼워질 때 충분한 거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클러치의 두께 폭의 제약이나 금속에서의 꺽임 또는 플래스틱에서의 꺽임이 오히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 그 돌출길이 보다도 크기 수치가 우선하여 정해지는 바, 예를 들어 도 2c의 클러치 스테이터(4a1‘)가 도 2의 일자형 클러치 스테이터(4a1)에 비교하여 단차 져 있는 다른 형상인데 스프링 마찰면(4a1a)의 외주직경을 키워 제작한 이유가 바로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의 직경 크기를 키워 내구성과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랩 스프링의 직경도 키워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랩 스프링이 기구적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본래의 장점의 특징을 잘 살려서 제품화되고 실시되었다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랩 스프링의 공간 활용성과 관련된 튼튼한 거치조건과 밀접한 또 하나의 요소가 있는데 환봉(2b)의 외경과 내경크기가 고려되어야 한다. 환봉(2b)의 길이는 블라인드 원단의 무게로 인하여 쳐짐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 3m 이내로 제한되고 있으며 외경 직경도 블라인드 원단의 무게에 따라 지름이 작은 것은 30mm에서 큰 것은 40mm를 넘는 환봉(2b)을 사용한다. 특히 콤비 블라인드용은 환봉(2b)의 지름이 커지면 두 겹 원단의 사이가 벌어져서 빛 가리개 역할이 현저히 떨어지고 감는 원단의 양도 제한되지만 원단 자체의 무게가 매우 가볍기 때문에 30mm 환봉(2b)을 사용 한다. 그러나 이마저도 내경은 28mm 정도인데다가 슬롯영역을 제외하면 랩 스프링이나 기타 기계요소가 위치할 공간이 19mm정도로 매우 협소하다.
이와 같은 요소로 인하여 랩 스프링의 공간 활용성이 가격과 함께 도드라지게 부각되었던 것이며, 수많은 현실적인 단점에 따른 품질문제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불가피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처럼 튼튼한 거치조건이라는 롤 차양만의 특징적인 기술구현 제약사항을 성공적으로 극복하여 장착 공간 확보특징에 있어서는 매우 효율적인 랩 스프링이 그 장점특징을 유감없이 발휘, 성공적으로 채택되어 실시 및 적용되어 왔지만, 거꾸로 말하면 랩 스프링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체하려하는 새로운 기술은 랩 스프링의 장점인 공간 활용성에 버금가는 장착 공간 활용성을 동시에 확보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추가로 대두된다 할 수 있으며, 튼튼한 거치조건이라는 롤 차양만의 특징적인 기술구현 요소로서,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거치홀(4a1c)의 적정한 형성이 가능하도록 공간 활용성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 배경기술 B )
뿐만 아니라 롤 차양의 블라인드 원단 무게 종류가 다양하므로 차양 클러치라는 측면과 사용자의 잡아당김의 용이성 측면에서 사용자가 한 스트로크를 시행할 때 이로 인하여 드는 힘도 롤 차양만의 특징적인 기술구현 제약사항으로써 매우 중요한 하나의 요소가 된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감속수단을 고려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한 스트로크를 시행할 때 드는 힘만을 무작정 적게 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감속비를 과다하게 적용하면 하나의 스트로크로 잡아당길 수 있는 길이가 한정된 상수인 상태에서 승강내지 하강시키는 블라인드 원단의 이동거리가 감속으로 매우 짧게 되기 때문에 롤 차양의 작동 성능을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 스트로크를 70cm로 하고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비가 1.6인 유성기어 세트의 링기어(4a3d) 외주에 볼 체인(6)이 걸려 돌아가는 수동풀리(4a3a)의 외주 직경이 60mm이고 환봉(2b)의 직경을 40mm(대부분의 고하중 롤 차양의 직경은 40mm임) 이상임을 전제하면 사용자가 한번 잡아당길 때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 거리는 다음 식으로 도출된다.
승강거리 = {(스트로크 길이)/[(수동풀리 외주 직경*3.14)*감속비]} * 환봉 외주직경*3.14
= {(700mm)/[(60mm * 3.14)*1.6 감속비]} * 40mm * 3.14 ≒ 292mm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한번 잡아당겼을 때 무거운 원단이 블라인드 원단이 홀 겹일 때는 30cm정도 승 하강 하는 경우에는 합리적이다 할 수 있다. 그러나 블라인드 원단이 홀 겹이라 하더라도 기어비가 2.5이상일 경우에는 블라인드 승강거리가 190mm 정도로 층고 표준 2.4m층고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원단이 아무리 무겁다 하더라도 2400cm/19cm 정도로 10회 이상 구동해야 하므로 제품의 작동환경이 합리적이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스트로크 횟수가 많음에 짜증을 내는 수준임)
따라서 유성기어를 적용할 때 불가피하게 감속비가 가장 적은 구조인 링기어(4a3d)를 구동입력으로 하여 통상적으로 캐리어(4a3e)를 출력으로 구비하게 된다.(선 기어(4a3f)를 출력으로 하면 기어비가 커짐, 다른 유성기어 조합도 증속이거나 기어비가 크게 됨 )
물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유성기어의 소형 제작을 위해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술한 상당한 크기의 이미 전제되어 있는 거치수단(5a1,5a1') 및 거치홀(4a1c) 바깥부분에서 유성기어열이 작동되어야 하므로 선 기어(4a3f) 직경이 자동으로 커져야 하며 기어비를 적게 하려면 위성기어의 크기를 적게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유성기어 세트를 크게 제작하여 하므로 제조비용이 너무 커서 부득이하게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며 설혹 금속으로 제작하더라도 상당한 크기의 거치홀(4a1c) 공간에서는 이와 양립시키면서 구현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여기에 더하여 플라스틱 유성기어를 사용하면 적절한 부하를 견디기 위해 기어치를 제작할 때에 최소한 기어치 모듈 크기를 1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이 또한 선 기어(4a3f), 위성기어(4a3c), 링기어(4a3d) 직경을 키워야 하고 이것은 위성기어(4a3c)가 회동하는 캐리어(4a3e)에 형성하는 핀의 굵기가 작아져야함을 의미하여 내구성에 치명적일 수 있다.
한편, 더욱 곤란한 것은 도 1c와 같은 콤비 블라인드에 상술한 롤 차양에서처럼 상승거리가 합리적인 유성기어비가 적용(감속 기어비 2.0이하)되더라도 원단 하단의 승강거리는 1/2로 줄어들기 때문에(한 스트로크에 292mm/2 ≒ 14cm승강, 콤비 블라인드 원단은 원래 가장 가벼운 원단이므로 사용자의 짜증은 감당할 방법이 없음) 적용이 더욱 합리적이지 않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콤비 블라인드를 위해 클러치 자체에 기어비를 적용하려면 수동풀리(4a3a)의 외주 직경을 줄임과 동시에 또, 그 안에 유성기어를 구현해야 함과 동시에 거치홀(4a1c)의 공간은 그대로 유지하는 상호 상충되는 방법을 찾아야 하므로 현재의 랩스프링과 유성기어의 조합으로는 사실상 해법이 불가능하여 제품 생산에 커다란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는 감속비를 적용하지 않고 수동풀리(4a3a)의 크기만을 키우되 자세하게 하술할 랩 스프링의 단점을 그대로 감수하고서 랩 스프링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 외에는 대안이 현재로서는 없는 실정이어서 랩 스프링을 대체할 잠재적인 기술 대안들의 적용이 사실상 없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고 할수 있다.
또, 현재 생산되어지는 약 35mm정도의 작은 직경을 가진 수동풀리로 제작되는 현행 클러치를 콤비 블라인드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클러치는 그 사용에 있어 최근 상술한 기구적인 문제 즉, 롤 차양만의 특징적인 기술구현 제약사항 외에도 더욱 중대한 또 다른 클러치만의 도전에 직면해 있는데, 루프형 볼 체인(6)에 어린아이의 목에 걸려 사망하는 사고가 빈번하여 볼 체인(6) 중간에 분리수단(Breaking away device)이라는 특정 하중에 끊어지는 안전수단이 법으로 채택되어야 하는 사회적 상황을 맞고 있다. 법으로 강제하여 예를 들어 6Kg하중에서 볼 체인(6)이 끊어져 분리되어야 한다면 분리수단은 적용된 볼 체인(6)이 안전을 위해 6Kg하중에서 분리되면서도 블라인드 원단을 성공적으로 승하강 시켜야 하므로 블라인드를 작동할 때에 분리수단에 가해지는 힘을 적게 하기 위해 기어비의 적용이 불가피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감속비를 적용하지 않고 수동풀리(4a3a)의 크기만을 키우되 자세하게 하술할 랩 스프링의 단점을 그대로 감수하고서 랩스프링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 외에는 사실상 대안이 현재로서는 없다.
따라서 랩 스프링의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본 발명과 같은 대안기술은 상술한 첫 번째로 상술한 공간 활용성에 더하여 두 번째로 반드시 적정한 적은 기어비를 가지되 수동풀리(4a3a)의 외주 직경을 동시에 줄일 수 있는 기술해법 대안이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었다.
(요약하면 콤비 블라인드와 같이 원단의 길이가 두 겹인 롤 차양에서는 기어비를 적용할 때, 수동풀리(4a3a)의 크기가 오히려 작아야 적정 상승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현행 약 35 ~ 40mm의 풀리 크기를 유지하면서 감속 기어비를 주려면 2:1 이하에서만 구현이 가능함.)
한편, 다양한 호이스트 기기에 적용되는 또 다른 제동 및 구동장치로서 제동과 구동을 동시에 겸할 수 있는 웜 및 웜휠이 적용하기도 하지만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할 경우 그 힘을 버티지 못하며, 금속재질의 경우에는 사출과 같은 성형공법을 사용하기가 곤란하여 일일이 깍거나 전조하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특히 빨래건조대 및 어닝) 웜의 제작이 쉽지 않고 제조비용이 높아 하중이 작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롤 블라인드 , 베니션 블라인드 등 대부분의 차양 등의 적용에 한계를 보여 고하중 중량체의 제동 및 승강, 하강 구동이 필수적이고 상대적으로 고가인 빨래건조대나 어닝 등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또 다른 제동 및 구동장치가 공지되어 있지만 그 구성과 작동관계는 당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이러한 제 3의 다른 호이스트 기기에 적용되는 제동 및 구동장치에 대하여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 한다.
( 배경기술 C )
이하, 공간 활용성과 경제성에 있어서 큰 장점인 wrap spring의 대체하려는 사유로써 그 단점에 따른 직접적인 구체적인 배경기술 이유를 알아보기로 하면, 적용하는 대부분의 차양 제품에 사용되는 스프링클러치(4a)는 매우 경제적이고 단순하기는 하지만 값이 저렴하다는 이유만으로 그 자체가 가지는 원초적인 결함을 가진 채 보급되고 있는 실정 때문이다 할 수 있다.
예컨대 전형적인 결함 예로써는 랩 스프링 및 클러치 스테이터(4a1‘)에 칠해진 윤활유가 마르면 플라스틱 재질의 클러치 스테이터(4a1‘)에 대한 빡빡한 미끄럼 마찰 제동으로 인해 연질 재료인 플라스틱의 마모가 쉽게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고 삑삑거리는 작동 소음의 발생이 시작되며, 중량체의 하중이 높아질수록 더욱 쉽게 마모되므로 적정 제동력을 주기 위한 애초 설계한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외경이 깍여 작아지게 되므로 줄줄 미끄러져 제동하기가 쉽지 않게 되고 또, 스프링몸체와 동일한 두께, 동일한 재질로 랩 스프링의 걸림부(4a2‘)가 제작되는 관계로 중량체의 외력 힘에 의해 쉽게 꺾여져 점진적으로 뉘어지게 되어 정작 제동이 필요할 때 스프링의 내경을 클러치 스테이터(4a1‘)에 밀착하기 어렵게 되는데, 이러한 랩 스프링의 걸림부(4a2‘)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프링 개수를 늘리거나 스프링 소재의 두께나 강도를 높이면 구동할 때 마찰 제동력을 해제시키는데 힘이 들어 가벼운 중량의 스크린을 들어 올리는 것보다 랩 스프링을 구동하는 것이 더 힘들 지경이며, 스프링 몸체 전체가 회전하며 발생시키는 클러치 스테이터(4a1‘)에 대한 마모나 그 결과로 발생하는 중량체의 줄줄 흘러내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소음발생은 물론 낙하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도 커서 상당한 중량을 가진 선 스크린이나 암막블라인드 원단의 승강 및 하강 구동에 사실상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또한, 고강도 강으로 제작되는 랩 스프링이므로 제동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클러치 스테이터(4a1‘)를 금속재질로 구비하면 마찰력과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마모에 저항하는 내구성이 증대하고 마찰 제동력도 커지게 되지만 이번에는 금속과 금속간의 마찰 소음이 커지게 되므로, 유성기어 등을 도입하여 기어 감속비를 적용, 스프링 몸체 전체가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외주에서 회전하는 속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소음을 줄이고 있으나 이로 인한 금형비의 상승과 제품 단가를 상승시키고 있으며, 금속 고클러치 스테이터(4a1‘)의 경우라 하더라도 재질이 다른 두 금속부품의 상대 회전에 따라 미세 마모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관계이므로 클러치 스테이터(4a1‘)의 외견이 상당한 기간 유지되므로 내구성이 있어 플라스틱 클러치 스테이터(4a1‘)와는 다르게 중량체가 미끄러지면서 줄줄 흘러내리는 현상은 적어지지만 소음에 있어서는 미세 마모에도 오히려 더욱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등 상당한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이로 인한 A/S 비용을 우려하여 당업자들은 아예 모터를 적용하기도 하지만 너무 고가인데다가 전자장치로서의 모터 역시 A/S가 많은 것은 동일하여 수많은 당업자가 큰 어려움에 처해 있는 실정이며 근원적으로 이를 대체할 새로운 제동 및 구동 클러치 제품이 매우 필요한 상태이다.
( 배경기술 D )
본 출원인은 이를 해결하고자 선행발명(10-2015-0008372)로 도 4 및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이클로이드기어를 이용한 호이스트기기용 제동 및 구동클러치(400)를 제시한바 있다. 선행발명은 구동홀(411)과 그 주위에 주변홀(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 둘레에는 사이클로이드와 하이포 클로이드가 교번하는 형상의 내측기어치(413)가 형성되는 내접사이클로이드 기어(410); 중앙에 축홀(422)과 그 주변의 주변홀(424)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관통한 후 그 끝단이 마개(5a)에 지지되도록 하는 원형지지핀(421)과 타단은 소정크기의 걸림턱(423a)이 형성되고 그 중심은 비워져 있어 눌려져 끼워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임의의 부품을 결합하는 결합부재(423)를 포함하는 고정자(420); 동력전달부재에 회전 결합되고 회동핀(431)과 구동원기둥(432)이 형성된 편심구동슬리브 (430); 고정자(420) 외주면에 끼워져 회동가능 하도록 소정 직경의 중공이 관통되어 내부에 형성되고, 권취부재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픽업부재(440); 내접사이클로이드 기어(41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외접사이클로이드 기어(450); 를 포함하며, 픽업부재(44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내측기어치(413)가 외접사이클로이드 기어(450)에 의해 갇히고 막혀 단단히 제동되고, 편심구동슬리브(43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회전 동력이 가해지면 소정 간격으로 편심 배치한 구동원기둥(432)을 편심구동슬리브(430)의 회동축 중심을 따라 편심 회전시킴으로써 외접사이클로이드 기어(450)를 감속시켜 회전구동하게 하게 함으로써 Wrap Spring을 이용한 제동구동장치의 문제를 해결한 대안으로 첫 번째 큰 장점인 구동과 제동을 기어로써 해결하므로 배경기술 C로 상술한 랩 스프링의 단점을 근본적으로 해결가능 하지만 속성상 동시에 기어비가 필수적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해법이어서 상술한 배경기술 B로 구현하려는 적정 기어비 구현은 물론 상술한 배경기술 A로 소개한 상술한 공간 활용성을 제공해야 하면서도 내구성이나 조립상의 편리성을 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선행발명(10-2015-0008372) 사이클로이드기어를 이용한 호이스트기기용 제동 및 구동클러치(400)의 문제점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원형지지핀(421)으로 마개(5a)에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의 고정자(420)를 사용하기 때문에 롤 차양업체에서 조립이 매우 불편하였고 상술한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처럼 견고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데다가 환봉(2b)의 직경이 업계의 표준으로 거의 정해져 그 내경 직경 크기가 19파이내지 27파이에 불과한 상태에서 내접사이클로이드 기어(410)는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과 상술한 바와 같은 공간공유 및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 상충을 일으키고 외접사이클로이드 기어(450)만 환봉 내경에 삽입되어지므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외접사이클로이드 기어(450)의 크기가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태와 수동풀리(4a3a)의 크기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적절 기어비를 가지는 선행발명의 내접사이클로이드 기어(410)를 마련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은 바, 그 구체적인 이유로는 내접사이클로이드 기어(410)를 구성하는 구동홀(411)과 그 주위에 주변홀(412)이 모두 동일 공간면상에 관통 형성되어지는 배치관계로 인하여 공간을 상호 점유하는 구성이어서 주변홀(412)에 삽입되며 스크린의 하중을 받치고 있는 원형지지핀(421)의 허용 직경이 너무 작게 되었으며, 구동홀(411) 및 주변홀(412)이 관통 제작된 후 남아 있는 내접사이클로이드 기어(410) 몸체 자체도 역시 적게 할 수밖에 없으므로 강도를 증대시켜 스크린의 하중을 견디고 내구성을 보장하는데 있어 재료의 선택에서도 한계가 있었으며, 택배 등 배송파손을 줄이는 현행 클러치 제작관행을 존중하여 편심구동슬리브(430)를 구동하는 수동풀리(4a3a)를 브라?(5a,5a')과 환봉(2b)사이에 위치시키려고 하자 이번에는 외주경 크기가 원형지지핀(421)들이 그리는 내부원의 크기보다 작게 하여야 함은 물론 억지 제작한다 하더라도 상술한 투명케이스(4a3c)의 적정 각도 회전구현이 불가능하여 볼 체인(도 1a '6' 참조)이나 코드(도 1b의 '6' 참조)를 특정각도에서 구동할 수 없으며[1 미터 정도 떨어져 구동하는데 이때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이 수직방향에서 약 15도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며 투명케이스(4a3c)가 이 각도만큼 회전해주지지 않으면 볼 체인(6)이나 회전줄(미도시)이 투명케이스(4a3c)에 걸려서 소음이 나는 문제를 해결해주도록 회동가능하게 제작해야 함], 이를 극복하기 위해 원형지지핀(421)들이 그리는 내부원의 바깥에서 유성기어를 이용하여 수동풀리(4a3a)일체 링기어 - 위성기어 - 선기어로 그 편심구동슬리브(430)를 구동하고자 하면 이번에는 유성기어의 첨가에 따라 제조비용이 대폭 증가되게 되며 유성기어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내접사이클로이드 기어(410)의 몸체 강도나 원형지지핀(421) 핀의 굵기는 여전이 작아 이로 인하여 내구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작은 직경을 가진 권취부재(환봉)가 적용된 블라인드용으로 제작하기에 소형화 제작이 어렵고 내접사이클로이드 기어(410)의 제작에 플라스틱 등 값싸고 성형하기가 용이한 재료의 적용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동시에 선행발명(10-2015-0008372)의 사이클로이드기어를 이용한 호이스트기기용 제동 및 구동클러치(400)를 택배 등 배송파손을 줄이는 현행 클러치 제작관행을 존중하여 통상의 스프링 클러치처럼 수동풀리(4a3a)가 환봉(2b)과 브라?(5a,5a')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서 구현하도록 제작하기 위해서는 편심구동 원리상 내접사이클로이드 기어(410)의 구동홀(411)이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의 외주에서 편심 운동해야 하므로 이로 인하여 내접사이클로이드 기어(410)의 구동홀(411)이 당연히 커지며, 결국은 내접사이클로이드 기어(410) 자체가 커지며 이로 인하여 당연히 그 외주에 결합되어야 하는 외접사이클로이드 기어(450)와 수동풀리(4a3a)는 더욱 커지게 되어 수동풀리(4a3a)의 크기가 작아야 하는 콤비 블라인드에서의 적정 블라인드 원단 상하강 거리를 구현하는 데는 사실상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해야할 필요성 있었다.
특허출원 제10-2015-0008372호 (사이클로이드기어를 이용한 호이스트기기용 제동 및 구동클러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소형화 제작이 용이하고 값싼 재료를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 견고한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A clutch module for a hoist device}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호이스트 기기용 제동구동모듈은, 일 측 끝단에는 볼체인이나 회전줄이 걸려 회전하는 임의의 수동풀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수동풀리에 회동 결합되거나 혹은 중간에 축결합연결부재(433‘)을 더 포함하여 개입시켜 임의의 수동풀리와 별도의 제 3의 회전축(7)으로 회동 결합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회동 연결되어지는 회전축(431‘)이 형성되고 회전축(431‘)의 회전중심과는 그 중심이 소정거리 편심되는 편심구동원기둥(432’)이 일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431‘)을 정축 회동시키면 편심구동원기둥(432’)을 편심 구동시키는 편심구동입력슬리브 (430’); 걸림턱(460a‘) 혹은 검림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몸체(460c‘)에는 상기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양 측면 어느 하나에 브라?의 거치수단에 회동 불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거나 임의의 도시하지 않은 부재에 체결되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지지수단(461‘)이 형성되며 그 내부로는 제 3의 회전축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460b’) 및 선택적으로 몸체(460c‘) 일 측면의 중앙 주변을 따라 소정 동일 거리에 소정 편심거리를 갖도록 계산된 직경을 가지며 소정깊이 다수의 홀 혹은 소정길이 돌출 된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원형 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구비되는 제어수단(460d“)이 형성된 고정부재(460‘); 상기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되거나 혹은 고정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고정될 때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 결합 혹은 삽입되어 안착 고정내지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외면 둘레에는 에피사이클로이드와 하이포 클로이드가 교번하는 형상 혹은 트로코이드 형상 또는 통상의 기어치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동력을 입출력시키는 내측기어치(413‘)가 소정 개수(m)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및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소정두께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비되며, 몸체 일 측 단의 중심점에 소정 깊이 및 소정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구비되는 편심피동수단(41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으로 정해진 거리 주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소정 깊이 및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형성되거나 임의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돌출 혹은 함몰된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임의의 제어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편심피동수단(411‘)과는 단차 지도록 몸체에 형성되는 제어출력부재(412’)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내접기어 (410‘); 상기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되거나 혹은 고정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고정될 때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 결합 혹은 삽입되어 안착 고정내지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내접기어(410‘) 외주면에 형성된 내측기어치(413‘)에 대응되어 기어 결합되는 내면 둘레에 에피 사이클로이드와 하이포 클로이드가 교번하는 형상 혹은 트로코이드 형상 또는 통상의 기어치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기어치(413‘)에 결합되어 동력을 입출력시키는 외측기어치(451’)가 소정개수(n)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및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소정두께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비되며, 몸체 일 측 단의 중심점에 소정 깊이 및 소정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구비되는 편심피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으로 정해진 거리 주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소정 깊이 및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형성되거나 임의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고정부재(460‘)에 고정하도록 돌출 혹은 함몰된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어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구비되는 제어출력부재(452’)도 단차 지도록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외접기어(450’); 및 환봉(2b)과 같은 다양한 권취부재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내접기어(410‘) 또는 외접기어(450’)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의 제어출력부재(412‘,452‘)와 회동 결합되어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의 입력회동에 따라 최종적으로 출력 회동하되, 상기 고정부재(460’)가 후방 내부로부터 삽입되면서 끼워져 고정부재(460’)의 걸림턱(460a‘)에 의해 후진하지 못하도록 결합되며 그 일부는 고정부재(460’) 외주면에 걸쳐져 있어 회동지지 되도록 소정 직경의 중공이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 고정부재(460‘), 내접기어(410‘), 외접기어(450’) 모두의 함체로 구비되거나 혹은 고정부재(460‘)의 후방에서 결합되어 단순 마감하는 픽업함체부재 (4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일 측면의 중앙 주변을 따라 소정 동일 거리에 상기 내접기어(410’) 혹은 외접기어(450’)의 일 구성인 제어출력부재(412‘ or 452’)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에 일대일 대응되어 소정 편심거리를 갖도록 계산된 직경을 가지며 소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내접기어(410’) 혹은 외접기어(45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편심 회동할 때 밀려 회동하도록 그에 대응되어 형성된 다수의 원형 핀이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소정직경의 구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몸체에 형성되어 회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출력수단(421’)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고정 가능한 체결수단(422‘)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별도의 제 3 제어출력부재 (4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호이스트 기기용 제동구동모듈을 포함하는 호이스트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A clutch module for a hoist device}는 차양이나 빨래건조대에 적용되어 선행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이드기어를 이용한 호이스트기기용 제동 및 구동 클러치의 효과를 가짐은 물론 소형화 제작이 용이하고 적정 기어비를 구사할 수 있으며, 견고하며 제조비용도 저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은 각각 통상의 대표적인 롤 차양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며,
도 1c는 두 겹을 사용하는 롤 차양의 일종인 콤비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1d은 롤 차양에 일 구성으로 조립되는 다양한 브라?의 한 종류인 플라스틱 브라?의 사시도이고 .
도 2a는 통상적인 롤 차양용 클러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b은 여러 가지 롤 차양용 클러치 중 일예로써 제시된 실물사진이고,
도 2c는 도 2b로 제시한 실물사진 클러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이며,
도 2d은 통상적인 유성기어를 적용한 감속용 롤 차양용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롤 타입 차양의 일종인 통상의 롤 블라인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선행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이드기어를 이용한 호이스트기기용 제동 및 구동 클러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선행 발명인 사이클로이드기어를 이용한 호이스트기기용 제동 및 구동 클러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가 결합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의 일구성인 내접기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에 있어서, 전후좌우, 상하, 종횡은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1", "제2", “암”,“수”, 와 같은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 들에서 상대적인 주요성 또는 취지 또는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항은 당업자라면 이에 대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400‘)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측 끝단에는 볼체인(도 1c의 6참조)이나 회전줄(미도시)이 걸려 회전하는 임의의 수동풀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수동풀리에 회동 결합되거나 혹은 중간에 축결합연결부재(433‘)을 더 포함하여 개입시켜 임의의 수동풀리와 별도의 제 3의 회전축(7)으로 회동 결합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회동 연결되어지는 회전축(431‘)이 형성되고 회전축(431‘)의 회전중심과는 그 중심이 소정거리 편심되는 편심구동원기둥(432’)이 일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431‘)을 정축 회동시키면 편심구동원기둥(432’)을 편심 구동시키는 편심구동입력슬리브 (430’);
걸림턱(460a‘) 혹은 검림홈(미도시)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몸체(460c‘)에는 상기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양 측면 어느 하나에 브라?(도 1d의 5a 참조)의 거치수단(도 1d의 5a1 참조)에 회동 불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거나 임의의 도시하지 않은 부재에 체결되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지지수단(461‘)이 형성되며 그 내부로는 제 3의 회전축(도 6의 7참조)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460b’) 및 선택적으로 몸체(460c‘) 일 측면의 중앙 주변을 따라 소정 동일 거리에 소정 편심거리를 갖도록 계산된 직경을 가지며 소정깊이 다수의 홀 혹은 소정길이 돌출 된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원형 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구비되는 제어수단(460d“, 도 11참조)이 형성된 고정부재(460‘);
상기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되거나 혹은 고정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고정될 때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 결합 혹은 삽입되어 안착 고정내지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외면 둘레에는 에피사이클로이드와 하이포 클로이드가 교번하는 형상 혹은 트로코이드 형상 또는 통상의 기어치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동력을 입출력시키는 내측기어치(413‘)가 소정 개수(m)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및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소정두께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비되며, 몸체 일 측 단의 중심점에 소정 깊이 및 소정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구비되는 편심피동수단(41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으로 정해진 거리 주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소정 깊이 및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형성되거나 임의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돌출 혹은 함몰된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임의의 제어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편심피동수단(411‘)과는 단차 지도록 몸체에 형성되는 제어출력부재(412’)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내접기어 (410‘); 상기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되거나 혹은 고정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고정될 때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 결합 혹은 삽입되어 안착 고정내지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내접기어(410‘) 외주면에 형성된 내측기어치(413‘)에 대응되어 기어 결합되는 내면 둘레에 에피 사이클로이드와 하이포 클로이드가 교번하는 형상 혹은 트로코이드 형상 또는 통상의 기어치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기어치(413‘)에 결합되어 동력을 입출력시키는 외측기어치(451’)가 소정개수(n)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및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소정두께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비되며, 몸체 일 측 단의 중심점에 소정 깊이 및 소정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구비되는 편심피동수단(미도시, 도 11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으로 정해진 거리 주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소정 깊이 및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형성되거나 임의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고정부재(460‘)에 고정하도록 돌출 혹은 함몰된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어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구비되는 제어출력부재(452’)도 단차 지도록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외접기어(450’); 환봉(2b)과 같은 다양한 권취부재(미도시)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내접기어(410‘) 또는 외접기어(450’)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의 제어출력부재(412‘,452‘)와 회동 결합되어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의 입력회동에 따라 최종적으로 출력 회동하되, 상기 고정부재(460’)가 후방 내부로부터 삽입되면서 끼워져 고정부재(460’)의 걸림턱(460a‘)에 의해 후진하지 못하도록 결합되며 그 일부는 고정부재(460’) 외주면에 걸쳐져 있어 회동지지 되도록 소정 직경의 중공이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 고정부재(460‘), 내접기어(410‘), 외접기어(450’) 모두의 함체로 구비되거나 혹은 고정부재(460‘)의 후방에서 결합되어 단순 마감하는 픽업함체부재 (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 8 및 도 10에 자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측면의 중앙 주변을 따라 소정 동일 거리에 상기 내접기어(410’) 혹은 외접기어(450’)의 일 구성인 제어출력부재(412‘ or 452’)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에 일대일 대응되어 소정 편심거리를 갖도록 계산된 직경을 가지며 소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내접기어(410’) 혹은 외접기어(450’)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편심 회동할 때 밀려 회동하도록 그에 대응되어 형성된 다수의 원형 핀이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소정직경의 구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몸체에 형성되어 회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출력수단(421’)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고정 가능한 체결수단(422‘)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별도의 제 3 제어출력부재 (42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제1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제 3 제어출력부재(420’)를 하나 더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내접기어(410’)의 일 구성인 제어출력부재(412‘)인 홀에 일대일 대응되어 결합되며 소정 편심거리를 갖도록 계산된 직경을 가지고 소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내접기어(410’)가 편심 회동할 때 밀려 회동하도록 그에 대응되어 형성된 다수의 원형 핀이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출력수단(421’)으로 마련되고 고정 가능한 체결수단(422‘)을 더 포함한 별도의 제 3 제어출력부재(420’)로 마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400‘)은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체인(도 1a의 6)이나 회전줄(도 1b의 6)이 걸려 회전하는 수동풀리(4a3a’); 수동풀리(4a3a‘)의 외주에 거치되며 볼 체인(도 1a의 6)이나 회전줄(도 1b의 6)를 외부에서 커버하여 이탈하지 못하게 하고 함께 소정 각도 회동하는 투명케이스(4a3c’); 투명케이스(4a3c‘)를 지지하고 수동풀리(4a3a’)를 그 내부에 안착시키며 마개(5)의 통공(5a3) 후방에 삽입되고 중앙 내부에는 관통된 하부 케이스(4a3d‘); 일 측면이 상기 수동풀리(4a3a’)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수단(4a3b'1)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중앙에는 ’D‘컷된 축이 삽입되는 축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4a3d’)의 관통된 중앙내부를 통과한 후에 이어서 고정부재(460‘)의 통공(460b’)을 통해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의‘D’컷된 회전축(431‘)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구동 힘을 전달하는 구동부재( 4a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드라이버모듈(4 a3' );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이를 포함하여 마련하며 구동부재(4a3b’)는 수동풀리(4a3a‘)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마련한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의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는 구동부재( 4a3b’)에 별도로 마련하여 회동 결합되도록‘D’컷된 회전축(431‘)이 형성되도록 마련하며, 축결합연결부재(433‘);를 더 포함하여 마련한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의 내접기어(410‘)는 몸체 일 측 단의 중심점에 소정 깊이 및 소정 직경의 홀로 구비되는 편심피동수단(411‘)을 더 포함하되,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의 편심구동원기둥(432’)이 편심피동수단(411‘)에 삽입되어져 상기 고정부재(460’)에 회동되도록 마련되며, 타 측 몸체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으로 정해진 거리 주위에 따라 3개의 소정 깊이 및 직경의 관통 홀로 구비되는 제어출력부재(412’)도 일정한 간격으로 단차 지도록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별도의 제 3 제어출력부재(420’)의 제어출력수단(422’)의 핀이 제어출력부재(412’)인 관통 홀에 각각 삽입되도록 마련하며, 트로코이드 형상의 내측기어치(413‘) 3개가 구비되도록 마련한다( m = 3).
또한, 본 제1 실시예에서의 외접기어(450’)는 편심피동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지 않는 대신 고정부재(460‘)에 고정되도록 함몰된 걸림턱(452’)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어수단으로 구비되는 제어출력부재(452’)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며 내접기어(410‘)의 내측기어치(413‘)에 대응하도록 트로코이드 형상의 외측기어치(451’)가 4개 구비되도록 마련한다( n = 4).
이에 따라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를 구동시키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400‘)의 감속 기어비는 (n-m)/n = 1/4이다.
그리고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460’)가 먼저 1차로 후방 내부로부터 삽입되면서 끼워져 고정부재(460’)의 걸림턱(460a‘)에 의해 후진하지 못하도록 결합되며 그 일부는 고정부재(460’) 외주면에 걸쳐져 있어 회동지지 되도록 소정 직경의 중공이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이어서 순차적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상기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 고정부재(460‘), 내접기어(410‘), 외접기어(450’) 등의 함체로 구비하는 픽업함체부재(440‘)로 마련하며, 이러한 픽업함체부재(440‘)는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으나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업함체부재(440‘)는 일 측면은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거치 회동하도록 소정직경의 회동거치홈(440a1')이 형성되고 타 면은 고정부재(460’)의 걸림턱(460a‘)이 걸려 후방내부에 안착되도록 소정직경의 제동모듈 안착홈(440a2')이 형성되며 타면의 가장자리에는 제동모듈 안착홈(440a2')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회전결합 걸림턱(440a3')과 외주면이 권취부재(미도시)인 환봉에 끼워져 회전시키도록 돌출턱(4a41, 도 2a 참조)이 형성된 픽업부재 (440a’);, 소정개수의 쐐기(440b1')가 전면으로 돌출되고 중앙에는 소정 직경의 결합홈(440b2')이 형성된 회전방지부재 (440 b' ); 몸체의 일 측면에는 상기 회전결합 걸림턱(440a3')에 걸려서 전 후진 못하도록 하는 회전결합턱(440c1')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회전방지부재(440b')의 결합홈(440b2')을 압입 관통하며 고정시키는 돌출압입결함수단(440c2')이 형성된 회전결합고정자 (440 c'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방에서 순차적으로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 고정부재(460‘)- 내접기어(410‘)- 외접기어(450’)- 제 3 제어출력부재(420’)까지를 제동모듈 안착홈(440a2')에 차곡차곡 가두어 조립하여 마련하며, 조립의 편의성이나 더욱 견고한 조립을 위해 제 3 제어출력부재(420’)을 픽업부재(440a’)에 결합시키기 위해 전면에 돌출된 동력결합수단(440d1')과 외주면에 걸림턱(440d2')이 다수 형성된 출력결착부재 (440 d' );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이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400‘)은 그 모든 구성이 픽업함체부재 (440‘) 내부 후방에 온전히 내장되어 구비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는 선행발명(10 - 2015 - 0008372)과 달리 브라?(5a,5a')의 일 구성인 거치수단(5a1,5a1')의 공간을 양립하여 공유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주며,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의 돌출 공간에도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그 구성원의 두께를 자유로이 정할 수 있어 내구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드라이버모듈(4a3')의 수동풀리(4a3a’)가 고정부재(460‘)의 통공(460b’)을 통해 거치수단(5a1,5a1') 후방에 완전히 분리되어 조립됨으로써 수동풀리(4a3a‘)의 외주직경을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의 크기에 제약을 받거나 주지 않고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거치수단(5a1,5a1') 후방에 수동풀리(4a3a’)를 초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동구동모듈(400‘)의 감속비가 높더라도 콤비 블라인드 원단의 승강거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DIY 적용을 위해 착탈이 매우 용이하고 안전을 위한 분리수단의 재결합을 위해 드라이버모듈(4a3')을 분리하기가 매우 용이한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드라이버모듈(4a3')을 분리하여 택배 배송한 후에 현장에서 쉽게 다시 부착할 수 있으므로 택배파손의 문제와 A/S에 따른 비용문제도 해결 가능한 커다란 효과가 있으며, 완성품 롤 차양을 조립 생산 할 때도 드라이버모듈(4a3') 부착 없이도 제동구동모듈(400‘) 만으로도 조립생산 할 수 있음은 물론, 출하 전 작동시험을 위해서도 전동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거나 테스트 전용 드라이버모듈(4a3')을 이용할 수 있으며, 소비자 접점에서 드라이버모듈(4a3')을 결합하거나 현장에서 부착할 수 있으므로 롤 블라인드 차양업체의 안전기준에 따른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안전한 다양한 드라이버모듈(4a3')가 개발 보급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부수적인 큰 효과도 있다.
또한, 트로코이드 형상의 내측기어치(413‘)와의 트로코이드 형상의 외측기어치(451’)의 조합은 3 : 4의 감속비에 국한되지 않으며 2 : 3, 심지어 1 : 2도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400‘)은 내접기어(410‘)를 편심 구동하므로 가장 적은 기어비로써 2:1까지 가능하며 랩 스프링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여타 롤 차양에 필수적인 승강거리, 거치수단(5a1,5a1')의 내구성 및 강도문제가 제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다란 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 고정부재(460‘), 내접기어(410‘), 외접기어(450’), 제 3 제어출력부재(420’)를 환봉(2b)에 삽입되는 픽업함체부재(440‘) 후방내부에 온전히 반드시 삽입하여야 함과 동시에 각 구성원들의 내구성을 확보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내접기어(410‘)에 형성된 편심피동수단(411‘)과 제어출력부재(412’)가 함께 동일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전후로 단차지게 분산 배치되게 된 특징으로 한 것이어서, 그로 인해 선행발명(10-2015-0008372)과 달리 즉, 편심피동수단(411‘)과 제어출력부재(412’) 모두를 동일 공간에 배치할 때와 다르게 내접기어(410‘), 외접기어(450’), 제 3 제어출력부재(420’)를 오히려 더욱 소형으로 제작하면서도 내구성이나 강도는 오히려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그 사유로 더욱 자세하게는 동일한 공간상 특정 거리만큼 단차되어 분산되어 있으므로 1차적으로 편심피동수단(411‘)의 원주크기 공간점유 크기만큼 제어출력부재(412’)의 크기를 키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동일 편심거리상에서 제어출력부재(412’)에 결합되어 제동 힘을 집중적으로 받고 내구성을 위해 필수적인 제 3 제어출력부재(420’)의 제어출력수단(421’)인 핀의 굵기도 선행 출원에 비교하여 대폭 증대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2차적으로 선행 출원에서는 해결하기가 곤란하였던 환봉(2b)의 내부 구조상 슬롯 영역 안쪽의 직경으로 제한되었던 제 3 제어출력부재(420’)의 외주크기를 소정직경의 제동모듈 안착홈(440a2') 공간까지 확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내접기어(41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비되어야 하는 외접기어(450’)가 픽업함체부재(440‘) 후방내부에서 제동모듈 안착홈(440a2')에서는 조립 가능한 추가적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400‘)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3 제어출력부재(420’)에 블라인드 자중에 의해 제동이 필요한 회전동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 3 제어출력부재(420’)의 제어출력수단(421’)인 핀과 내접기어(410’)의 제어출력부재(412’)인 관통 홀 상호간에 결합관계이므로 이 회전력은 내접기어(410’)의 내측기어치(413‘)에 전달되며, 이어서 그에 결합된 외접기어(450‘)의 외측기어치(451’)에 전달되지만 외접기어(450‘)는 고정부재(460’)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이 제한된 상태이므로 내접기어(410’)의 내측기어치(413‘)가 인접하는 외측기어치(451’)들 사이 및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에 의해 갇히고 막혀 단단히 제동되고, 제 3 제어출력부재(420’)를 구동시킬 목적으로 편심구동슬리브(43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회전 동력을 가하면 내접기어(410’)의 편심피동수단(411‘)에 회동가능 하도록 끼워지는 편심구동원기둥 (432’)을 편심구동슬리브(430‘)의 회전 중심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내접기어(410’)를 편심 회전 운동시켜 내측기어치(413‘)를 외접기어(450’)의 인접하는 두 개의 외측기어치(451‘)사이로부터 빼내도록 편심 회전시킴과 동시에 반대 측 내측기어치(413’) 어느 하나는 타 측 인접한 외측기어치(451‘)들 사이에 삽입시키며, 동시에 내접기어(410’)의 제어출력부재(412’)인 관통 홀에 삽입되어 있는 제 3 제어출력부재(420’)의 제어출력수단(421’)인 핀 주위를 내접기어(410’)의 제어출력부재(412’)인 관통 홀이 각각 소정 각도 내접하면서 밀어 회전시켜 제 3 제어출력부재(420’)를 감속시키면서 회전구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처럼 내접기어(410’)를 편심 회동시키면 감속비율은 (n-m)/n, n > m 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치(500‘)는 본 발명의 제동구동모듈(400‘)에 고정부재(460‘)의 고정수단(461')에 대응되는 걸림턱(5a2)이 형성되고 내부가 통공(5a3)인 거치수단(5a1,5a1')이 형성된 브라?(5a,5a')쌍으로 마련되는 마개(5);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동구동모듈(400‘)과 호이스트 장치(500’)의 조립과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하며 먼저, 제동구동모듈(400’)의 조립방법을 설명하자면, 고정부재(460‘)에 축결합연결부재(433‘)를 삽입하고 이어서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를 그 후방에서 조립하며, 외접기어(450’)를 고정부재(460‘)에 고정시켜 조립하고, 이어서 내접기어(410‘), 제 3 제어출력부재(420’)를 임시 조립하고, 그 전체를 픽업부재(440a’) 후방에서 끼워 조립한 후에 출력결착부재(440d')를 이용하여 제 3 제어출력부재(420’)를 픽업부재(440a’)에 결착시키고,( 이때 제 3 제어출력부재(420’)의 체결수단(422‘)과 출력결착부재(440d')의 동력결합수단(440d1')은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지만 본 제1 실시예에서는 통공과 핀으로 구비하며 그 반대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어서 회전결합고정자(440c')를 픽업부재(440a’)의 회전결합 걸림턱(440a3')까지 회전시켜 결합시키고 마지막으로 회전방지부재(440b')를 결합하여 마감하는데 먼저 (440b1')가 전면으로 진행하여 회전결합고정자(440c')가 역회전하지 않도록 제한 조립하며 회전결합고정자(440c') 후면에 형성된 돌출압입결함수단(440c2')에 결합홈(440b2')을 강제로 압입시켜 마무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치(500‘)의 조립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동구동모듈(400‘)과 호이스트 장치(5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자면, 소비자가 볼 체인(도 1a의 6)이나 코드줄(도 1b 의 6)을 잡아당겨 드라이버모듈(4a3')의 수동풀리(4a3a‘)를 구동하여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를 회전시키면 상술한 대로 내접 기어(410‘)를 편심 구동시키고 이어서 제 3 제어출력부재(420’) - 출력결착부재(440d') - 픽업부재(440a’) - 권취부재(미도시)인 환봉을 회전시켜 스크린을 감아 올리거나 내리는 것이며, 소비자가 볼체인(미도시)이나 코드줄(미도시)의 잡아당김을 멈추면 거꾸로 스크린의 하중이 권취부재(미도시)인 환봉 - 픽업부재(440a’) - 출력결착부재(440d') - 제 3 제어출력부재(420’) - 내접기어(410‘)를 회전시켜려 하지만 상술한대로 외접기어(450‘)의 외측기어치(451’)들 사이에 삽입된 내측기어치(413‘)가 인접하는 고정된 외측기어치(451’)들 사이 및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에 의해 갇히고 막히므로 단단히 제동되므로 내접기어(410‘)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이며 이는 스크린의 승하강이 정지된 채 제동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 예가 있는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접기어(410’)의 일 구성인 제어출력부재(412‘)인 홀 대신에 핀으로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는 별도의 제 3 제어출력부재(420’)인 핀 대신에 홀로 구비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부품인 내접기어(410’) 몸체에 핀을 구비하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용이하며 제조방법 또한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또 다른 변형 예가 있는데 외접기어(450’)의 제어출력부재(452’) 대신에 외측기어치(451’) 자체를 이용하여 고정부재(460‘)에 고정할 수도 있는데 고정부재(460‘)에 수놈 역할을 하는 내측기어치(413‘)를 형성시켜 암.수로 끼워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400“)은 도 도 11 및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측 끝단에는 볼체인(도 1의 6 참고)이나 회전줄(도 1b의 6 참고)이 걸려 회전하는 임의의 수동풀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수동풀리에 회동 결합되거나 혹은 중간에 축결합연결부재(도 8의 433‘참고)을 더 포함하여 개입시켜 임의의 수동풀리와 별도의 제 3의 회전축(도 6의 7 참조)으로 회동 결합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회동 연결되는 회전축(431”)이 형성되고 회전축(431“)의 회전중심과는 그 중심이 소정거리 편심되는 편심구동원기둥(432”)이 일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431“)을 정축 회동시키면 편심구동원기둥(432”)을 편심 구동시키는 편심구동입력슬리브 (430“); 걸림턱(도 8의 460a‘참조) 혹은 검림홈(미도시)가 선택적으로 형성된 몸체(460c”)에는 상기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양 측면 어느 하나에 브라?(도 1d의 5a 참조)의 거치수단(도 1d의 5a1 참조)에 회동 불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거나 임의의 도시하지 않은 부재에 체결되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지지수단(461”)이 형성되며 그 내부로는 제 3의 회전축(도 6의 7참조)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460b“) 및 선택적으로 몸체(460c”) 일 측면의 중앙 주변을 따라 소정 동일 거리에 소정 편심거리를 갖도록 계산된 직경을 가지며 소정깊이 다수의 홀 혹은 소정길이 돌출 된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원형 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구비되는 제어수단(460d“)이 형성된 고정부재(460”);
상기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며 외면 둘레에는 에피사이클로이드와 하이포 클로이드가 교번하는 형상 혹은 트로코이드 형상 또는 통상의 기어치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동력을 입출력시키는 내측기어치(413“)가 소정 개수(m)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및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소정두께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비되며, 몸체 일 측 단의 중심점에 소정 깊이 및 소정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구비되는 편심피동수단(41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으로 정해진 거리 주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소정 깊이 및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형성되거나 임의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제동되도록 돌출 혹은 함몰된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임의의 제어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편심피동수단(411“)과는 몸체에서 단차 지도록 형성되는 제어출력부재(412”)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460”)의 고정 지지수단(461”)을 관통시키는 통공이 일 측면에 형성된 내접기어 (410“);
상기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며 상기 내접기어(410”) 외주면에 형성된 내측기어치(413“)에 대응되어 기어 결합되는 내면 둘레에 에피 사이클로이드와 하이포 클로이드가 교번하는 형상 혹은 트로코이드 형상 또는 통상의 기어치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기어치(413”)에 결합되어 동력을 입출력시키는 외측기어치(451“)가 소정개수(n)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및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소정두께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비되며, 몸체 일 측 단의 중심점에 소정 깊이 및 소정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구비되는 편심피동수단(45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으로 정해진 거리 주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소정 깊이 및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형성되거나 임의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고정부재(460“)에 의해 제동되도록 돌출 혹은 함몰된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어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구비되는 제어출력부재(452”)도 단차 지도록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외접기어(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양하게 구비가 가능하지만 볼 체인(도 1의 6참고)이나 회전줄(도 1b의 6참고)이 걸려 회전되며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를 구동하는 수동풀리(4a3a”)와 수동풀리(4a3a“)의 외주에 거치되며 (도 1의 6참고)이나 회전줄(도 1b의 6참고)를 외부에서 커버하여 이탈하지 못하게 하고 함께 소정 각도 회동하는 투명케이스(4a3c”)로 이루어진 드라이버모듈(4 a3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이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400“)은 환봉(도 1c의 2b참조)과 같은 다양한 권취부재(미도시)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출력 측기어로 선택된 내접기어(410”) 또는 외접기어(450“)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의 제어출력부재(412”or 452“)와 정축 회동 결합되어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의 입력회동에 따라 최종적으로 출력 회동하되, 상기 고정부재(460“) 후방 외부로부터 삽입되면서 끼워져 고정부재(460”)의 고정 지지수단(461”)에 의해 체결되어 후진하지 못하도록 결합되어 단순 마감하는 픽업함체부재 (4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이를 더 포함하며 마련하며, 도 11 및 도 12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의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의 회전축(431”)은 수동풀리(4a3a”)에 일체로 형성하여 마련하고, 본 제2 실시예의 외접기어(450“)는 몸체 일 측 단의 중심점에 소정 깊이 및 소정 직경의 함몰 홀로 구비되는 편심피동수단(453”)을 더 포함하고 고정부재(460“)에 의해 제동되도록 타면 몸체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으로 정해진 거리 주위에 따라 4개의 소정 깊이 및 직경의 돌출 핀으로 구비되는 제어출력부재(452”)도 더 포함하여 구비하며, 이에 대응하여 기어 결합하는 본 제2 실시예의 내접기어(410“)는 몸체 일 측 단의 중심점에 소정 깊이 및 소정 직경의 함몰 홀로 구비되는 편심피동수단(453”)을 더 포함하고[이때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끼워져 정축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임의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제동되도록 돌출 혹은 함몰된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어수단으로 구비된 제어출력부재(412”)도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데,
상기 내접기어(410“) 혹은 외접기어(450“)중에서 어느 한 가지를 입력 측 기어로 선택하여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편심회동 가능하도록 거치시키고 입력 측 기어의 제어출력부재(412”or 452")도 고정부재(460”)의 제어수단(460d“)에 홀 - 핀 관계로 상호간 결합시키며, 이 상태에서 입력 측 기어의 편심피동수단(411” or 453” )에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의 편심구동원기둥(432”)을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후, 내접기어(410“) 혹은 외접기어(450“)중 나머지를 출력 측 기어로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정축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 거치시킴과 동시에 내측기어치(413“) 및 외측기어치(451“) 양자를 상호 기어 결합시켜, 볼체인(도 1의 6 참고)이나 회전줄(도 1b의 6 참고) 등을 이용하여 임의의 수동풀리를 회전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구동 외력에 의해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의 회전축(431”)을 정축회전 구동시키면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의 편심구동원기둥(432”)이 입력 측 기어를 편심 회전시키면서 내측기어치(413“) 및 외측기어치(451“) 양자를 상호 기어 결합에 의해 출력 측 기어를 통해 가해진 구동 외력을 감속시켜 출력시키고[이때 입력 측 기어의 제어출력부재(412”)과 고정부재(460”)의 제어수단(460d“)의 핀 - 홀도 상대 편심운동을 한다], 구동과는 거꾸로 천정에 거치된 블라인드 원단과 같은 중력에 의한 자중에 의한 회동외력이 거꾸로 출력 측 기어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내측기어치(413“) 및 외측기어치(451“) 양자가 상호 기어 결합이므로 출력 측 기어가 입력 측 기어를 정축회전 시키는데 이때에는 입력 측 기어의 제어출력부재(452”)가 고정부재(460”)의 제어수단(460d“)에 막혀 회동되지 않아 제동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4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구동모듈(400’)과 마찬가지로 구동과 제동특징을 동시에 갖는 특징을 가지지만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입력 측 기어(편심회동)과 출력 측 기어(정축회전) 모두가 회동하는 특징을 가지며, 작동 원리가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출력 측 기어 즉, 내접기어(410“)를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정축 회동하도록 거치되도록 선택하면 제1 실시예와 달리 편심 회동할 때의 편심거리만큼의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대한 추가적인 공간 여유가 필요 없게 되어 콤비 블라인드 등의 환봉(2b)의 회동 공간에 삽입하기가 용이할 만큼 compact 한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이에 더하여 입력 측 기어로 상대적으로 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외접기어(450“)가 입력 측 기어로 선택되면 동시에 브라?(5a,5a')의 거치수단(5a1,5a1')의 길이나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의 크기를 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큰 효과가 있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외접기어(450“)를 입력 측 기어로 선택하여 감속기어비를 (n-m)/m으로 기어비를 적게 할 수 있어서 그 차이만큼 입력 측 기어 외주에 수동풀리(4a3a”)의 외주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에 적용성이 넓은 효과가 있다.
예컨대 본 제2 실시예의 기어 감속비는 (4-3)/3 로 3: 1이며 이론적으로는 내측기어치(413“) 및 외측기어치(451“)의 기어치 갯수 조합을 1: 2까지 가능하므로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기어비를 최대 1: 1까지 가능하다.
더욱이 외접기어(450“)가 입력 측 기어로 선택되면 입력 측 기어의 제어출력부재(452”)의 형성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의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고정부재(460”)의 제어수단(460d“)의 핀 혹은 홀을 형성함에 있어 상당히 여유로운 위치에 개수의 증가나 단차지게 하여 제작이 가능하므로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외접기어(450“)의 제어출력부재(452”)와 고정부재(460”)의 제어수단(460d“) 모두에서 핀-홀의 그 굵기나 크기를 정함에 있어 매우 유연한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치(500“)는 본 발명의 제동구동모듈(400“)에 통상적인 브라?(5a,5a')쌍으로 마련되는 마개(5);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동구동모듈(400“)과 호이스트 장치(500”)의 조립과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하며 먼저, 제동구동모듈(400“)의 조립방법을 설명하자면, 외접기어(450“)를 고정부재(460”) 몸체(460c”)에 끼워 조립하고, 이어서 내접기어(410“), 드라이버모듈(4a3”)의 수동풀리(4a3a”)와 투명케이스(4a3c”)를 조립하며 마지막으로 픽업함체부재(440“)를 이용하여 결착 조립하는데 이들의 조립은 랩 스프링 조립방법과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치(500“)의 조립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동구동모듈(400”)과 호이스트 장치(5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자면, 소비자가 볼 체인(도 1a의 6)이나 코드줄(도 1b 의 6)을 잡아당겨 드라이버모듈(4a3”)의 수동풀리(4a3a“)를 구동하여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를 회전시키면 상술한 대로 입력 측 기어를 편심 구동시키면 입력 측 기어인 외접기어(450“)가 편심회동하면서 이어서 내접기어(410“)를 정축 회전시키고 픽업함체부재(440“) - 권취부재(미도시)인 환봉을 회전시켜 스크린을 감아올리거나 내리는 것이며, 소비자가 볼 체인(도 1a의 6)이나 코드줄(도 1b 의 6)의 잡아당김을 멈추면 거꾸로 스크린의 하중이 권취부재(미도시)인 환봉 - 픽업함체부재(440“) - 내접기어(410“) - 외접기어(450“) 순서로 회전시키려 하지만 상술한대로 이때에는 입력 측 기어의 제어출력부재(452”)가 고정부재(460”)의 제어수단(460d“)에 막혀 회동되지 않아 제동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한데 고정부재(460”)의 제어수단(460d“)의 핀 혹은 홀을 대신하는 별도의 부품을 내접기어(410“) 및 외접기어(450“) 전면에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변형으로는 임의의 드라이버모듈(미도시)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호이스트용 랩 스프링 클러치의 문제를 해결하며 소형화 제작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제조비용도 저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400' : 제1 실시예의 제동구동모듈
500' : 제1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치
400" : 제2 실시예의 제동구동모듈
500" : 제2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치

Claims (3)

  1. 일 측 끝단에는 볼체인이나 회전줄이 걸려 회전하는 임의의 수동풀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수동풀리에 회동 결합되거나 혹은 중간에 축결합연결부재(433‘)을 더 포함하여 개입시켜 임의의 수동풀리와 별도의 제 3의 회전축(7)으로 회동 결합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회동 연결되어지는 회전축(431‘)이 형성되고 회전축(431‘)의 회전중심과는 그 중심이 소정거리 편심되는 편심구동원기둥(432’)이 일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431‘)을 정축 회동시키면 편심구동원기둥(432’)을 편심 구동시키는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
    걸림턱(460a‘) 혹은 검림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몸체(460c‘)에는 상기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를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양 측면 어느 하나에 브라?의 거치수단에 회동 불가능하도록 거치되어지거나 임의의 도시하지 않은 부재에 체결되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지지수단(461‘)이 형성되며 그 내부로는 제 3의 회전축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460b’) 및 선택적으로 몸체(460c‘) 일 측면의 중앙 주변을 따라 소정 동일 거리에 소정 편심거리를 갖도록 계산된 직경을 가지며 소정깊이 다수의 홀 혹은 소정길이 돌출 된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원형 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구비되는 제어수단(460d“)이 형성된 고정부재(460‘);
    상기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되거나 혹은 고정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고정될 때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 결합 혹은 삽입되어 안착 고정내지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외면 둘레에는 에피사이클로이드와 하이포 클로이드가 교번하는 형상 혹은 트로코이드 형상 또는 통상의 기어치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동력을 입출력시키는 내측기어치(413‘)가 소정 개수(m)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및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소정두께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비되며, 몸체 일 측 단의 중심점에 소정 깊이 및 소정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구비되는 편심피동수단(41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으로 정해진 거리 주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소정 깊이 및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형성되거나 임의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돌출 혹은 함몰된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임의의 제어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편심피동수단(411‘)과는 단차 지도록 몸체에 형성되는 제어출력부재(412’)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내접기어(410‘);
    상기 고정부재(460’)의 몸체(460c‘)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거치되거나 혹은 고정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고정될 때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 결합 혹은 삽입되어 안착 고정내지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내접기어(410‘) 외주면에 형성된 내측기어치(413‘)에 대응되어 기어 결합되는 내면 둘레에 에피 사이클로이드와 하이포 클로이드가 교번하는 형상 혹은 트로코이드 형상 또는 통상의 기어치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기어치(413‘)에 결합되어 동력을 입출력시키는 외측기어치(451’)가 소정개수(n)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 및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소정두께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비되며, 몸체 일 측 단의 중심점에 소정 깊이 및 소정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구비되는 편심피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으로 정해진 거리 주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소정 깊이 및 직경의 함몰 홀 또는 돌출 핀으로 형성되거나 임의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고정부재(460‘)에 고정하도록 돌출 혹은 함몰된 걸림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어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구비되는 제어출력부재(452’)도 단차 지도록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외접기어(450’); 및
    환봉(2b)과 같은 다양한 권취부재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내접기어(410‘) 또는 외접기어(450’)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의 제어출력부재(412‘,452‘)와 회동 결합되어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의 입력회동에 따라 최종적으로 출력 회동하되, 상기 고정부재(460’)가 후방 내부로부터 삽입되면서 끼워져 고정부재(460’)의 걸림턱(460a‘)에 의해 후진하지 못하도록 결합되며 그 일부는 고정부재(460’) 외주면에 걸쳐져 있어 회동지지 되도록 소정 직경의 중공이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편심구동입력슬리브(430’), 고정부재(460‘), 내접기어(410‘), 외접기어(450’) 모두의 함체로 구비되거나 혹은 고정부재(460‘)의 후방에서 결합되어 단순 마감하는 픽업함체부재(4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호이스트 기기용 제동구동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일 측면의 중앙 주변을 따라 소정 동일 거리에 상기 내접기어(410’) 혹은 외접기어(450’)의 일 구성인 제어출력부재(412‘ or 452’)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에 일대일 대응되어 소정 편심거리를 갖도록 계산된 직경을 가지며 소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내접기어(410’) 혹은 외접기어(45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편심 회동할 때 밀려 회동하도록 그에 대응되어 형성된 다수의 원형 핀이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소정직경의 구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몸체에 형성되어 회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출력수단(421’)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고정 가능한 체결수단(422‘)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 별도의 제 3 제어출력부재(4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기기용 제동구동모듈.
  3. 제 1 항의 제동구동모듈을 포함하는 호이스트 기기.
KR1020170022585A 2017-02-20 2017-02-20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KR20180096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585A KR20180096204A (ko) 2017-02-20 2017-02-20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585A KR20180096204A (ko) 2017-02-20 2017-02-20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04A true KR20180096204A (ko) 2018-08-29

Family

ID=6343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585A KR20180096204A (ko) 2017-02-20 2017-02-20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2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62B1 (ko) * 2023-03-06 2023-07-04 이현우 블라인드 승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372A (ko) 2011-11-24 2015-01-22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수지로 제조된 패널 및 성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372A (ko) 2011-11-24 2015-01-22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수지로 제조된 패널 및 성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62B1 (ko) * 2023-03-06 2023-07-04 이현우 블라인드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910B1 (ko) 구동휠 부재의 복귀 기능을 갖는 차양구동장치
US10612300B2 (en) Window blind
KR101938904B1 (ko) 이동가능한 레일의 제어
TWI326327B (ko)
EP2977543B1 (en) Sunblind driving apparatus having returning function of driving wheel member
KR101542597B1 (ko) 슬립현상을 개선한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회전축 구동장치
CN101349139A (zh) 可自动升起的窗帘
CN107269202B (zh) 百叶式窗帘
US20200370367A1 (en) Clutch Module For A Hoist Device And The Hoist Device Using The Same
KR102084352B1 (ko) 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CN204646046U (zh) 一种固定建筑物的拉绳隐藏式百叶窗帘
KR200445370Y1 (ko) 사면설치용 차양장치
CN107288523A (zh) 一种无绳百叶帘及其工作方法
KR20180096204A (ko)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JP2005207161A (ja) ツイン型日射遮蔽装置
KR20150037124A (ko) 블라인드 가동줄의 안전연결고리
KR101813882B1 (ko)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CN101324173B (zh) 一种窗帘手动卷绕结构
JP5102737B2 (ja) ブラインド
KR20190099666A (ko) 제동구동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CN201695932U (zh) 一种手动窗帘卷帘器
KR20170050200A (ko) 입력구동모듈 착탈방식의 고하중 제동용 호이스트 클러치장치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기기
KR20190090667A (ko) 분리안전장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KR100904346B1 (ko) 버티컬 블라인드
KR20190089465A (ko) 양방향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