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680B1 -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680B1
KR101466680B1 KR1020120009977A KR20120009977A KR101466680B1 KR 101466680 B1 KR101466680 B1 KR 101466680B1 KR 1020120009977 A KR1020120009977 A KR 1020120009977A KR 20120009977 A KR20120009977 A KR 20120009977A KR 101466680 B1 KR101466680 B1 KR 10146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tape
doubl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905A (ko
Inventor
다케시 이와사키
유스케 다카하시
히데아키 다케이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65114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3198B2/ja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테이프 두께이어도 피착체와의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고, 방수 기능이 뛰어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발포체 기재(基材)와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로서,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에 대한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가 1.2∼15,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에 대한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가 1.2∼15, 발포 배율이 2∼5배, 25% 압축 강도가 50∼160kPa, 인장 강도가 300∼1500N/cm2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강체끼리의 첩합(貼合)시에도 양면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 사이의 뛰어난 밀착성을 갖고, 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방수성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WATER-PROOF DOUBLE COAT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基材)를 중심으로 하는 방수성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전자 수첩, 휴대 전화, PHS,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정보 표시부의 보호 패널과 케이스의 첩합(貼合)을 비롯해, 각종 부재나 모듈의 고정에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고, 그 하나로 방수성의 기능 부여가 요구되고 있다.
전자 기기의 부품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로서는, 예를 들면, -40∼-15℃의 온도역에 손실정접(tanδ)의 극대값을 갖고, 특정의 피착체에 대한 면접착 강도가 19N/cm2 이상의 점착제층이 지지체의 양면에 마련된 양면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당해 양면 점착 시트는, 특정의 점착제층을 가짐으로써, 양호한 접착력을 갖고, 물체의 낙하시의 충격에 의한 부품의 탈락이 생기기 어렵다는 뛰어난 내충격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보호 패널과 케이스의 접착과 같이, 강체끼리의 접합에서는, 당해 양면 점착 시트로는, 피착체와의 접합면에서 완전한 밀착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약간의 간극이 있으면 침수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밀착성이 뛰어난 양면 접착 테이프로서, 발포체를 기재로 하고, 손실정접(tanδ)의 극대값을 나타내는 온도가 -25℃ 이하, 0℃에서의 유지 시험에서의 유지 시간이 24시간 이상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당해 양면 접착 테이프는, 피착체에의 밀착이 뛰어난 것이어서, 부재끼리의 접착시에 부재간을 호적(好適)하게 접합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발포체를 기재로서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부재와 접착제층 계면에 약간의 간극까지 억제하는 것은 어려워, 당해 계면의 일부에라도 물이 침입할 수 있는 간극이나 뜸이 있으면, 거기로부터 물의 침입로가 확대하기 때문에, 방수성의 실현은 곤란하였다. 특히, 휴대 전자 기기 용도에 있어서는 근래의 화면의 대화면화에 따르는 협액연화(狹額緣化), 더욱이 박형화의 요청에 따라, 좁은 테이프 폭이나 얇은 테이프 두께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방수성의 부여는 곤란하였다.
일본 특개2005-187513호 공보 일본 특개2005-28136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얇은 테이프 두께이어도 피착체와의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고, 방수 기능이 뛰어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과제에 더하여, 뛰어난 내충격성을 갖고, 휴대 전자 기기 용도에 적합한 방수용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기재로서 특정의 유연성과 강도를 갖는 발포체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강체끼리의 첩합시에도 양면 점착 테이프와 피착체 사이의, 뛰어난 밀착성을 실현할 수 있어, 물의 침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상기 과제를 해결했다.
즉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와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25% 압축 강도가 40∼160kPa, 인장 강도가 300∼1500N/cm2인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와의 호적한 밀착성을 나타내고, 밀착 간극으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뛰어난 방수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박형화가 진행하여, 케이스 내에서의 용적 제한이 엄격하여, 별도의 수(水)밀봉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곤란한 휴대 전자 기기 등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방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 방수성 시험2용의 시험편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 'ㄷ'자형 측정대(6)(두께 5mm의 알루미늄제)에 방수성 시험2용의 시험편을, 아크릴판을 아래를 향하게 올려 놓은 상태로 고정한 상태를, 측정대(6)의 저면측으로부터 본 개념도.
[도 3] 낙하 충격을 부여하는 조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 기재와 점착제층을 갖고, 상기 발포체 기재의 25% 압축 강도가 40∼160kPa, 인장 강도가 300∼1500N/cm2의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발포체 기재]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는, 25% 압축 강도가 40∼160kPa, 바람직하게는 50∼140kPa,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30kPa의 발포체 기재이다. 25% 압축 강도가 당해 범위의 발포체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피착체와의 뛰어난 밀착성을 갖고, 특히 요철 형상이나 조면(粗面)을 갖는 피착체에 대해서도 호적하게 추종하여 뛰어난 밀착성을 갖는다. 또한, 당해 압축 강도의 발포체 기재는, 적당한 쿠션성을 갖기 때문에, 첩부(貼付)시의 압력이 접합부에 집중하여 접착 계면에 존재하는 공기를 압출하기 쉽기 때문에, 강체끼리의 접합에서도, 물이 침입하는 간극을 생기게 하지 않는 뛰어난 밀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발포 구조는 독립 기포 구조로 함으로써,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으로부터의 침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독립 기포 구조를 형성하는 기포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발포체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보다, 흐름 방향이나 폭 방향, 혹은 그 양방의 평균 기포경이 긴 형상의 독립 기포가 적당한 쿠션성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은, 바람직하게는 1∼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이며,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이 바람직하게는 1.2∼7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300㎛이다. 평균 기포경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양면 테이프의 폭을 좁게 한 경우에도 독립 기포를 형성하기 쉬워, 발포체 기재 단면으로부터의 침수 경로를 호적하게 차단할 수 있다.
평균 기포경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에 대한,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의 비(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가 1.2∼1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이다. 또한,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에 대한,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의 비(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가 1.2∼1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이다. 또한 흐름 방향 및 폭 방향 모두, 상기 비율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비율이 1.2 이상이면 두께 방향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쉽기 때문에 추종성이 향상한다. 또한, 15배 이하이면,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유연성이나 인장 강도의 편차가 생기기 어렵다.
또한,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율은, 흐름 방향을 1로 한 경우, 0.25∼4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3∼3배이다. 상기 비율 범위이면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유연성이나 인장 강도의 편차가 생기기 어렵다.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과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경은,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한다. 우선, 발포체 기재를 폭 방향, 흐름 방향 모두 1cm로 절단한다. 다음으로, 절단한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 중앙 부분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50배로 확대한 후,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이 그 기재 두께 방향의 전장에 걸쳐 사진에 담기도록,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 또는 흐름 방향의 단면을 사진 촬영한다. 얻어진 사진에서, 흐름 방향 또는 폭 방향의 확대 전의 실제의 길이가 2mm분의 절단면에 존재하는 기포경을 모두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부터 평균 기포경을 산출한다.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은,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한다. 우선, SEM으로 사진 촬영하는 발포체 기재의 두께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경 측정과 동일한 조건으로 SEM 사진 촬영을 행한다. 다음으로, 얻어진 사진에서, 발포체 기재의 임의의 개소에 존재하는 두께 방향의 기포수를 육안으로 세어, 이하의 식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을 산출한다.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발포체 기재의 두께(㎛)/기포의 개수
이것을, 임의의 3개소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이라 한다.
발포체 기재의 발포 구조는, 압축 강도나 인장 강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여, 피착체와의 뛰어난 밀착성을 실현하기 쉬우므로, 그 발포 배율을 2∼5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4∼4배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25% 압축 강도는, 50mm각(角)으로 절단한 시료를 두께 약 10mm가 될 때까지 중첩시킨다. 시료보다 큰 면적의 판으로 시료를 끼우고, 23℃ 하에서 10mm/분의 속도로 시료를 약 2.5mm(원래 두께의 25%분)로 압축시키고 정지하여, 20초 경과 후의 강도를 측정한다.
발포체 기재의 압축 강도나 인장 강도는, 사용하는 기재의 소재나 발포 구조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종류는, 상기 압축 강도, 인장 강도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폴리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나 폴리우레탄계 발포체, 아크릴계 고무나 그 밖의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무계 발포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피착체 표면의 요철로의 추종성이나 완충 흡수성 등이 뛰어난 얇은 발포체 기재를 제작하기 쉽기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사용하는 태양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면 좋지만, 50∼1200㎛이다. 전자 기기의 부품 고정용, 특히 소형, 박형의 휴대 전자 기기의 경우에는, 얇은 테이프 두께가 요구되기 때문에, 기재 두께는 50∼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75∼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체 기재의 인장 강도가 300∼1500N/cm2, 바람직하게는 500∼1300N/cm2,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1200N/cm2이다. 절단 신율은, 100∼1000%, 바람직하게는 300∼700%이다. 인장 강도나 절단이 당해 범위의 발포체 기재에 의해, 발포한 유연한 기재이어도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가공성의 악화나 잘게 갈라짐, 첩부 작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술의 인장 강도는, 표선(標線) 길이 2cm, 폭 1cm의 샘플을, 텐시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23℃·50%RH의 환경 하에서, 인장 속도 300mm/min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한 최대 강도이다.
이와 같은 발포체 기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열분해형 발포제를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하고, 압출기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함으로써 형성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전자선으로 가교시킨 후에 발포, 연신, 박육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4가의 전이 금속을 함유하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4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발포체를 발포시킨 후, 그 발포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슬라이스한 후에 열 롤로 연신하고 표면 처리하여 제조해도 좋다.
발포체 기재는, 점착제층이나 다른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스마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역접착 처리제의 도포 등의 표면 처리가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표면 처리는, 젖음 시약에 의한 젖음 지수가 36mN/m 이상, 바람직하게는 40mN/m로 함으로써, 점착제와의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진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으면 좋고, 통상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독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고, 이것에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 수지나 가교제 등의 첨가제가 배합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머를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1∼8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특히 n-부틸아크릴레이트는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쉽고, 응집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의 80∼98.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90∼98.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高)극성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해도 좋고, 고극성 비닐 모노머로서는,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 아미드기를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메타)아크릴산2량체, 크로톤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미드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아크릴로일모르폴린,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고극성 비닐 모노머로서, 아세트산비닐,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숙신산아크릴레이트,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등의 설폰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고극성 비닐 모노머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의 1.5∼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8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범위로 함유함으로써, 점착제의 응집력이나 유지력, 접착성을 호적한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
또,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것과 반응하는 관능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로서는 수산기 함유 비닐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반응하는 수산기 함유 비닐 모노머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0.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0.3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의 공지의 중합 방법으로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점착제의 내수성의 점에서 용액 중합법이나 괴상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의 개시 방법도, 과산화벤조일이나 과산화라우로일 등의 과산화물계, 아조비스이소부틸니트릴 등의 아조계의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열에 의한 개시 방법이나, 아세토페논계, 벤조인에테르계, 벤질케탈계,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벤조인계, 벤조페논계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자외선 조사에 의한 개시 방법이나, 전자선 조사에 의한 방법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프(GPC)로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40∼160만, 바람직하게는 60∼100만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는,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로진계, 중합 로진계, 중합 로진에스테르계, 로진페놀계, 안정화 로진에스테르계, 불균화 로진에스테르계, 수첨 로진에스테르계, 테르펜계, 테르펜페놀계, 석유 수지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이 예시할 수 있다. 에멀젼형의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멀젼형의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불균화 로진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 중합 로진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 로진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 수첨 로진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30∼180℃, 바람직하게는 70℃∼140℃이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는 1종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좋다. 연화점이 높은 점착 부여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높은 접착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할 때의 배합비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5∼4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자의 비율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올리기 위해서 점착제를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 종료 후에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는 타입의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반응성이 풍부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3관능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다. 3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체, 트리페닐메탄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가교 정도의 지표로서, 점착제층을 톨루엔에 24시간 침지한 후의 불용분을 측정하는 겔 분율의 값이 사용된다. 겔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25∼70질량%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55질량%의 범위이면, 응집성과 접착성이 모두 양호하다.
또, 겔 분율의 측정은 하기에 의한다. 박리 시트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65㎛가 되도록 점착제 조성물을 도공하여, 100℃에서 5분간 건조하고, 40℃ 2일 에이징한 것을 50mm각으로 절취하여, 이것을 시료로 한다. 다음으로, 미리 상기 시료의 톨루엔 침지 전의 중량(G1)을 측정해 두고, 톨루엔 용액 중에 23℃에서 24시간 침지한 후의 시료의 톨루엔 불용해분을 300메시 금망(金網)으로 여과함으로써 분리하고, 110℃에서 1시간 건조한 후의 잔징(殘澄)의 중량(G2)을 측정하여, 이하의 식에 따라 겔 분율이 구해진다.
겔 분율(질량%)=(G2/G1)×100
첨가제로서, 필요에 따라, 가소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유리나 플라스틱제의 섬유, 벌룬, 비드, 금속 분말 등의 충전제, 안료·염료 등의 착색제, 레벨링제, 증점제, 발수제(撥水劑), 소포제 등의 공지의 것을 점착제 조성물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에 사용하는 점착제층은, 주파수 1Hz에서의 손실정접(tanδ)의 피크값이 바람직하게는 -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이다. 점착제층의 손실정접의 피크값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상온 하에서의 피착체와의 양호한 밀착성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손실정접(tanδ)은, 온도 분산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얻어진 저장 탄성률(G'), 손실 탄성률(G'')로부터, tanb=G''/G'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온도 분산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어떤 주파수에서의 손실정접(tanδ)의 피크값이 얻어진다.
동적 점탄성 특성은, 점착제를 구성하는 공중합체에 사용하는 모노머의 종류나 그 비율, 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그 사용량, 가교제나 점착 부여 수지의 종류나 사용량, 중합 방법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 상술의 점착제층의 동적 점탄성 특성은, 특정 주파수, 및 특정 온도에서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의 손실정접, 또는 손실정접 및 저장 탄성률에 의해 규정하고, 또한, 특정 주파수에서의 동적 점탄성 스펙트럼의 손실정접의 피크를 나타내는 온도, 또는 손실정접의 피크값에 의해 규정한다. 동적 점탄성의 측정에 있어서는, 점탄성 시험기(레오메트릭스사제, 상품명 : 아레스2KSTD)를 사용하여, 동 시험기의 측정부인 평행 원반 사이에 시험편을 끼워 넣고, 주파수 1Hz에서 -50℃에서 150℃까지의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을 측정한다. 시험편은 두께 약 2mm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평행 원반 사이에 끼워 측정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박형의 테이프로 한 경우에도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확보하기 쉬우므로, 편면의 두께로 10∼100㎛가 바람직하고, 30∼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양면 테이프는, 상기 발포체 기재와 점착제층을 사용함으로써, 피착체와의 호적한 밀착성을 나타내고, 밀착 간극으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뛰어난 방수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실시 형태로서는, 발포체 기재를 중심으로 하고, 당해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마련된 구성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는 직접 적층되어 있어도,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들 태양은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좋고, 테이프에 또한 치수 안정성이나 인장 강도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라미네이트층을, 테이프에 차광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차광층을, 광반사성을 확보할 때에는 광반사층을 마련해도 좋다. 이들 다른 층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당해 다른 층으로서 방수성의 층을 사용한다.
차광층으로서는, 안료 등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잉크로 형성되는 것이 간편하게 사용되고, 흑잉크로 이루어지는 층이, 차광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반사층으로서는, 백색 잉크로 형성되는 층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층의 두께로서는 2∼20㎛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4∼6㎛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를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잉크의 경화 수축에 의한 기재의 컬이 발생하기 어려워, 테이프의 가공성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공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체 기재에 직접, 혹은, 발포체 기재 위에 적층된 다른 층의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직사법이나, 박리 시트에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발포체 기재나 다른 층 표면에 첩합하는 전사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는 사용하는 태양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면 좋지만, 70∼1400㎛이다. 전자 기기의 부품 고정용, 특히 소형, 박형의 휴대 전자 기기의 경우에는, 얇은 테이프 두께가 요구되기 때문에, 10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25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테이프 두께를 당해 두께로 함으로써, 박형·소형의 휴대 전자 기기에 대해서도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방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하기 측정 조건에 의해 측정되는 면접착 강도1이 100∼200N/4cm2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180N/4c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면접착 강도1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23℃에서, 두께 2mm로 5cm각의 아크릴판에, 폭 5mm, 길이 4cm의 2매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평행하게 첩부한다.
2) 다음으로, 중심부에 직경 1cm의 구멍을 마련한 두께 2mm, 10×15cm의 장방형의 평활한 ABS판에, 1)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테이프 부착 아크릴판을, 아크릴판의 중심과 ABS판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첩부하고, 2kg 롤러로 1왕복 가압한 후, 23℃에서 1시간 방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3) 시험편의 ABS측으로부터 ABS판의 구멍을 통해, 직경 8mm의 스테인리스제 프로브를 부착한 인장 시험기로 아크릴판을 10mm/분으로 눌러, 아크릴판이 벗겨지는 강도를 측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하기 측정 조건에 의해 측정되는 면접착 강도2가 250∼600mJ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600mJ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접착 강도2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양면 점착 테이프를 2cm각으로 절단한 후, 두께 2mm, 2cm각의 아크릴판에 첩부한다.
2) 양면 점착 테이프 부착 아크릴판을, 중심부에 직경 1cm의 구멍이 있는, 두께 2mm, 4cm각의 폴리아미드판(40질량% 유리 섬유 첨가)에, 아크릴판의 중심부와 폴리아미드판의 중심부가 일치하도록 첩부하고, 2kg 롤러로 1왕복 가압한 후, 23℃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3) 시험편을 외형 4cm각, 길이 3cm, 두께 5mm의 스테인리스제의 대좌(臺座)에, 폴리아미드측을 위로 하여 설치한다.
4) 폴리아미드측의 구멍을 통해 아크릴판에, 선단에 직경 5mm, 길이 1cm의 돌기를 갖는 무게 100g의 황동제 원추를 높이 10cm로부터 10cm 간격으로 연속 낙하(1단계마다 3회)시켜, 시험편에 테이프의 벗겨짐이나 파괴가 인정된 때의 높이를 측정한다.
5) 측정 결과로부터 낙하 에너지 mJ(=9.8×높이(m)×100g)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와의 호적한 밀착성을 나타내고, 밀착 간극으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뛰어난 방수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박형화가 진행하여, 케이스 내에서의 용적 제한이 엄격하여, 별도의 수밀봉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곤란한 휴대 전자 기기 등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방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사용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수첩, 휴대 전화, PHS,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정보 표시부의 보호 패널과 케이스의 첩합, 케이스끼리의 첩합, 케이스와 시트상 텐 키(ten key)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의 첩합, 케이스와 장식용 시트의 첩합, 가타 각종 부재나 모듈의 고정 등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점착제 용액A의 제조)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6.4질량부, 아크릴산 3.5질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1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평균 분자량이 80만(폴리스티렌 환산)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얻었다. 다음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 아라카와가가쿠사제 펜셀D135(중합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10질량부와, 아라카와가가쿠사제 수퍼에스테르A100(불균화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10질량부를 첨가, 아세트산에틸을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고, 불휘발분 40%의 점착제 용액A를 얻었다.
(점착제 용액B의 제조)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44.9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50질량부, 아크릴산 2질량부, 아세트산비닐 3질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1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평균 분자량이 70만(폴리스티렌 환산)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얻었다. 다음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 아라카와가가쿠사제 펜셀D135(중합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10질량부를 첨가, 아세트산에틸을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고, 불휘발분 45%의 점착제 용액B를 얻었다.
[실시예1]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
상기 점착제 용액A 100질량부에 대해, 일본폴리우레탄사제「코로네이트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1질량부 첨가하고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가 되도록 도공하고, 80℃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두께 : 100㎛, 발포 배율 3배, 25% 압축 강도 : 70kPa, 인장 강도 : 1010N/cm2)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60mN/m로 한 양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1매씩 첩합한 후, 선압 5kg/cm의 롤로 라미네이트했다. 그 후, 40℃에서 48시간 숙성하여, 두께 2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2∼8, 비교예1, 2]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대신에, 표1∼3에 기재된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9]
점착제 용액A 대신에 점착제 용액B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3]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스테인리스제 반응 용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0질량부, 아크릴산 10질량부, 치바-스페셜티-케미컬사제「다로큐어1173」 0.2질량부를 혼합한 후, 형광 케미컬 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률 5질량%의 아크릴 시럽을 얻었다. 이 아크릴 시럽 100질량부에 대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사제「APG700」) 0.3질량부, BASF사제「루시린TPO」 0.1질량부, 유리 마이크로 벌룬(후지-실리시아사제「H-40」, 밀도 0.4g/cm3, 평균 입경 50㎛) 8.55질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진공 탈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조성물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 위에 자외선 경화 후의 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공하여,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을 첩합한 후, 형광 케미컬 램프(파장 300∼400nm, 350nm 중심)를 사용하여, 편측의 조사 강도 0.32mW/cm2로 양측으로부터 6분간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2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4]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스테인리스제 반응 용기에,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90질량부, 아크릴산 10질량부, 치바-스페셜티-케미컬사제「이르가큐어651」 0.2질량부를 혼합한 후, 형광 케미컬 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률 5질량%의 아크릴 시럽을 얻었다. 이 아크릴 시럽 100질량부에 대해,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0.3질량부, 치바-스페셜티-케미컬사제「이르가큐어651」 0.1질량부, 유리 마이크로 벌룬(후지-실리시아사제「H-40」, 밀도 0.4g/cm3, 평균 입경 50㎛) 8.55질량부, 불소계 계면활성제(다이킨고교사제「TG-656」) 0.2질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진공 탈포한다. 이 혼합물을 진동식 교반 혼합기에 공급하고, 질소를 약 15체적%로 혼합 분산시켜, 평균 직경 400㎛ 이하의 미세한 기포를 포함한 도공액을 얻었다.
이 도공액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 위에 자외선 경화 후의 두께가 200㎛가 되도록 도공하여,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을 첩합한 후, 형광 케미컬 램프(파장 300∼400nm, 350nm 중심)를 사용하여, 편측의 조사 강도 0.32mW/cm2로 양측으로부터 6분간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2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발포체 기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3에 나타낸다.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
발포체 기재를 폭 방향, 흐름 방향 모두 1cm로 절단하고, 절단한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 중앙 부분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히다치세이사쿠쇼제, S-2380N)로 50배로 확대한 후,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이 그 기재 두께 방향의 전장에 걸쳐 사진에 담기도록,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 또는 흐름 방향의 단면을 사진 촬영했다. 얻어진 사진에서, 흐름 방향 또는 폭 방향의 확대 전의 실제의 길이가 2mm분의 절단면에 존재하는 기포경을 모두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부터 평균 기포경을 산출했다.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
SEM으로 사진 촬영하는 발포체 기재의 두께를 측정하여,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경 측정과 동일한 조건으로 SEM 사진 촬영을 행했다. 얻어진 사진에서, 발포체 기재의 임의의 개소에 존재하는 두께 방향의 기포수를 육안으로 세어, 이하의 식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을 산출했다.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발포체 기재의 두께(㎛)/기포의 개수
이것을, 임의의 3개소에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으로 했다.
[양면 점착 테이프 두께]
양면 점착 테이프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긴 후, 오자키세이사쿠쇼제 다이얼 틱크니스(thickness) 게이지G형으로 측정했다.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인장 강도]
표선 간격 2cm(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흐름 방향), 폭 1cm의 시험편에 가공한 양면 접착 시트(박리 필름은 벗긴다)를, 인장 속도 300mm/분으로 절단했을 때의 강도를 측정했다.
[면접착 강도1]
1) 23℃에서, 두께 2mm, 5cm각의 아크릴판(미쯔비시 레이온(주) 아크릴라이드MR200「상표명」, 색상 : 투명)에, 폭 5mm, 길이 4cm의 2매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평행하게 첩부한다.
2)다음으로, 중심부에 직경 1cm의 구멍이 있는, 두께 2mm, 10×15cm의 장방형의 ABS판(다키론사제, 색상 : 내츄럴, 주름 없음)에, 1)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테이프 부착 아크릴판을, 아크릴판의 중심과 ABS판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첩부하고, 2kg 롤러로 1왕복 가압한 후, 23℃에서 1시간 방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3) 시험편의 ABS측으로부터 ABS판의 구멍을 통해, 직경 8mm의 스테인리스제 프로브를 부착한 인장 시험기로 아크릴판을 10mm/분으로 눌러, 아크릴판이 벗겨지는 강도를 측정했다.
[면접착 강도2]
1) 양면 점착 테이프를 2cm각으로 절단한 후, 두께 2mm, 2cm각의 아크릴판에 첩부한다.
2) 양면 점착 테이프 부착 아크릴판을, 중심부에 직경 1cm의 구멍이 있는, 두께 2mm, 4cm각의 폴리아미드판(미쓰이가가쿠(주) 레니「상표명」, 40wt% 유리 섬유 첨가)에, 아크릴판의 중심부와 폴리아미드판의 중심부가 일치하도록 첩부하고, 2kg 롤러로 1왕복 가압한 후, 23℃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3) 시험편을 외형 4cm각, 길이 3cm, 두께 5mm의 스테인리스제의 대좌에, 폴리아미드측을 위로 하여 설치한다.
4) 폴리아미드측의 구멍을 통해 아크릴판에, 선단에 직경 5mm, 길이 1cm의 돌기를 갖는 무게 100g의 황동제 원추를 높이 10cm로부터 10cm 간격으로 연속 낙하(1단계마다 3회)시켜, 시험편에 테이프의 벗겨짐이나 파괴가 인정된 때의 높이를 측정한다.
5) 측정 결과로부터 낙하 에너지 mJ(=9·8×높이(m)×100g)를 산출했다.
[방수성 시험1]
1) 양면 점착 테이프를, 외형 65mm×45mm, 폭 2mm의 액연상(額緣狀) 샘플을 제작하여, 두께 2mm, 외형 65mm×45mm의 아크릴판에 첩부한 후, 두께 2mm, 외형 65mm×45mm의 ABS판에 첩부하여, 2kg 롤러로 1왕복 가압한 후, 23℃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2) 시험편을, 23℃의 5질량% 계면활성제 용액(P&G사제 조이를 수도물로 희석하여 제작)으로 10분간 침지한 후, 시험편을 취출하여 10분간 방치하는 공정을 30사이클 실시한 후, 다시 용액에 침지했을 때의 액연 내로의 침수의 유무를 평가했다.
○ : 침수 없음
× : 침수 있음
[방수성 시험2]
1) 양면 점착 테이프를, 외형 65mm×45mm, 폭 2mm의 액연상 샘플을 제작하여, 두께 2mm, 외형 65mm×45mm의 아크릴판에 첩부한 후, 두께 2mm, 외형 150mm×100mm의 장방형의 ABS판의 중앙부에 첩부한다(도 1). 2kg 롤러로 1왕복 가압한 후, 23℃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2) 듀퐁식 충격 시험기(테스터산교가부시키가이샤제)의 대좌 위에, 길이 150mm, 폭 100mm, 높이 45mm의 'ㄷ'자형 측정대(두께 5mm의 알루미늄제)를 설치하고, 그 위에 시험편, 아크릴판측을 하향하게 올려 놓았다(도 2). ABS판측으로부터 직경 25mm, 질량 300g의 스테인리스제의 격심(擊芯)을 높이 50cm 위치로부터 낙하시켜, ABS판의 중심 부분에 충격을 10초 간격으로 5회 가한다(도 3). 또, 충격을 부여하여 아크릴판이 탈락한 경우는, 거기서 시험을 종료했다.
3) 충격을 부여한 시험편을, 23℃의 5질량% 계면활성제 용액(P&G사제 조이를 수도물로 희석하여 제작)에 10분간 침지한 후, 시험편을 취출하여 10분간 방치하는 공정을 30사이클 실시한 후, 다시 용액에 침지했을 때의 액연 내로의 침수의 유무를 평가했다.
◎ : 침수는 없고, 발포체의 외관에 변화는 없었음
○ : 침수는 없지만, 발포체층의 일부에 미소한 열상(裂傷)이 확인됨
× : 침수 있음, 또는 낙하 충격의 단계에서 아크릴판이 탈락했음
[표1]
Figure 112012008219782-pat00001
[표2]
Figure 112012008219782-pat00002
[표3]
Figure 112012008219782-pat00003
상기 실시예1∼9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와의 뛰어난 밀착성과 방수성을 갖는 것이 명백하였다. 한편, 비교예1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면접착 강도2가 낮고, 낙하 충격시에 발포체의 찢어짐에 의해 방수성 시험2에 견디지 못하는 것이었다. 또한 비교예2∼4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방수성 시험1에서 침수가 확인되어, 방수성을 실현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3∼4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방수성 시험2의 낙하 충격시에도 테이프의 탈락이 생기는 것이었다.
1…양면 점착 테이프, 2…아크릴판, 3…ABS판, 4…격심(擊芯)을 대는 장소, 5…낙하 충격용 격심, 6…'ㄷ'자형 측정대

Claims (10)

  1. 발포체 기재(基材)와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에 대한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가 1.2∼15이며,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에 대한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가 1.2∼15이며, 상기 발포체 기재의 발포 배율이 2∼5배이며, 상기 발포체 기재의 25% 압축 강도가 50∼160kPa, 인장 강도가 300∼1500N/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이 1∼100㎛이며,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이 1.2∼700㎛인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가 폴리올레핀계의 발포체 기재인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5∼40질량부인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이 25∼70%인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휴대 전자 기기의 부품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 기기의 부품 고정이, 휴대 전자 기기의 정보 표시부의 보호 패널과 케이스의 첩합, 케이스끼리의 첩합, 케이스와 시트상 텐 키의 첩합, 케이스와 터치 패널 입력 장치의 첩합, 또는, 케이스와 장식용 시트의 첩합인,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8. 휴대 전자 단말의 부품간을 고정하여 고정부에 방수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간의 고정을, 25% 압축 강도가 50∼160kPa, 인장 강도가 300∼1500N/cm2이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에 대한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가 1.2∼15이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에 대한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가 1.2∼15이며, 발포 배율이 2∼5배인 폴리올레핀계의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 첩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단말에 방수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 단말의 부품간의 고정이, 휴대 전자 단말의 정보 표시부의 보호 패널과 케이스의 첩합, 케이스끼리의 첩합, 케이스와 시트상 텐 키의 첩합, 케이스와 터치 패널 입력 장치의 첩합, 또는, 케이스와 장식용 시트의 첩합인, 휴대 전자 단말에 방수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두께가 70∼300㎛인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0120009977A 2008-10-14 2012-01-31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KR101466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65114A JP4623198B2 (ja) 2007-10-12 2008-10-14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JPJP-P-2008-265114 2008-10-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361A Division KR101142880B1 (ko) 2008-10-14 2009-03-04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905A KR20120024905A (ko) 2012-03-14
KR101466680B1 true KR101466680B1 (ko) 2014-12-01

Family

ID=422722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361A KR101142880B1 (ko) 2008-10-14 2009-03-04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0120009977A KR101466680B1 (ko) 2008-10-14 2012-01-31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361A KR101142880B1 (ko) 2008-10-14 2009-03-04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142880B1 (ko)
CN (2) CN103642414B (ko)
TW (1) TWI3914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028B1 (ko) 2018-07-30 2019-04-30 변인섭 방열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패널용 양면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9596B1 (ja) * 2011-12-26 2013-09-25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US10316221B2 (en) 2012-03-22 2019-06-11 Dic Corporation Adhesive tape
WO2013154137A1 (ja) * 2012-04-13 2013-10-17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TWI638023B (zh) * 2012-06-29 2018-10-11 早川橡膠股份有限公司 雙面膠帶及使用該雙面膠帶之黏接方法
KR101550095B1 (ko) 2012-12-11 2015-09-03 (주)엘지하우시스 점착 테이프
CN112143397B (zh) * 2013-11-22 2022-07-12 日东电工株式会社 双面粘合片
KR102205659B1 (ko) * 2013-11-29 2021-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5155528A (ja) * 2014-01-15 2015-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6262553B2 (ja) * 2014-01-31 2018-01-17 早川ゴム株式会社 熱可塑性両面粘着テープを用いた接合方法
CN106414638B (zh) * 2015-08-25 2018-09-11 株式会社寺冈制作所 粘着胶带
WO2019100222A1 (zh) * 2017-11-21 2019-05-31 华为技术有限公司 防水组件、终端以及防水终端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9204A (ja) * 1997-02-06 1998-08-18 Sekisui Chem Co Ltd 加圧接着型両面粘着テープ
JP2002037829A (ja) * 2000-07-27 2002-02-06 Toyo Quality One Corp 自己粘着性発泡体
JP2003147292A (ja) * 2001-11-13 2003-05-21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テープ
WO2005007731A1 (ja) * 2003-07-16 2005-01-27 Sekisui Chemical Co.,Ltd.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9468A (en) * 1985-06-19 1989-07-18 Toyoda Gosei Co., Ltd. Adhesive compositions
JPH10316944A (ja) * 1997-05-22 1998-12-02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JP2000239632A (ja) * 1999-02-17 2000-09-05 Dainippon Ink & Chem Inc 強接着再剥離型粘着剤及び粘着テープ
JP2003013028A (ja) * 2001-06-29 2003-01-15 Sekisui Chem Co Ltd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JP2004323842A (ja) * 2003-04-11 2004-11-18 Sekisui Chem Co Ltd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粘着テープ
US8056292B2 (en) * 2004-10-28 2011-11-15 Diversified Foam Products, Inc. Low relflected-sound-pressure-level, low moisture-vapor-transmission-rate flo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9204A (ja) * 1997-02-06 1998-08-18 Sekisui Chem Co Ltd 加圧接着型両面粘着テープ
JP2002037829A (ja) * 2000-07-27 2002-02-06 Toyo Quality One Corp 自己粘着性発泡体
JP2003147292A (ja) * 2001-11-13 2003-05-21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テープ
WO2005007731A1 (ja) * 2003-07-16 2005-01-27 Sekisui Chemical Co.,Ltd.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粘着テー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028B1 (ko) 2018-07-30 2019-04-30 변인섭 방열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패널용 양면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880B1 (ko) 2012-05-10
KR20100041653A (ko) 2010-04-22
CN101724355B (zh) 2017-03-01
TWI391463B (zh) 2013-04-01
CN103642414A (zh) 2014-03-19
KR20120024905A (ko) 2012-03-14
TW201014893A (en) 2010-04-16
CN103642414B (zh) 2017-08-01
CN101724355A (zh)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680B1 (ko) 방수용 양면 점착 테이프
JP4623198B2 (ja)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JP5556987B2 (ja) 両面粘着テープ
KR101653986B1 (ko) 점착 테이프
KR101181335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KR101632136B1 (ko) 점착 테이프
KR101653984B1 (ko) 점착 테이프
KR101653985B1 (ko) 점착 테이프
JP5510763B1 (ja) 粘着テープ
JP6058016B2 (ja) 両面粘着テープ
JP5700178B2 (ja) 粘着テープ及び電子機器
US20160326407A1 (en) Adhesive tap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5098554A (ja) 防水テープ
WO2015029834A1 (ja) 粘着シート、物品及び電子機器
JPWO2018116844A1 (ja) 粘着テープ
TW201905137A (zh) 黏著片及電子機器
JP7107026B2 (ja) 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