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836B1 -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836B1
KR101465836B1 KR1020107007952A KR20107007952A KR101465836B1 KR 101465836 B1 KR101465836 B1 KR 101465836B1 KR 1020107007952 A KR1020107007952 A KR 1020107007952A KR 20107007952 A KR20107007952 A KR 20107007952A KR 101465836 B1 KR101465836 B1 KR 101465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oil
acid
herbal medicin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622A (ko
Inventor
아츠코 후쿠이
Original Assignee
류가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가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류가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6Addition of bitterness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a) 식물유지 및/또는 동물유지로 이루어진 쓴맛 마스킹 성분 0.1~15.0 질량%과 (b) 당 알코올로 이루어진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 5.0~20.0 질량%과 (c) 응집 억제 겔화 성분 0.1~5.0 질량%과 (d) 산, 그의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맛 조정 성분 0.1~5.0 질량%과 (e) 잔량으로서 수분을 함유한 생약 및/또는 한방약의 복용에 이용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이다.

Description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및 그 제조 방법{Granular jelly beverage for medica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독특한 쓴맛, 떫은맛, 신맛, 단맛을 갖는 생약이나 한방약 등의 약제의 맛을 조정하여, 안전하게 복용이 가능한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복용 약제는, 물이나 백탕(plain boild water)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물이나 백탕에서는, 삼키는 것이 곤란한 환자, 특히 고령자나 소아 등은 약의 복용이 곤란하다.
고령자나 소아 등을 위해서, 캅셀제나 정제 등의 약제를 분쇄하여, 밥, 된장국 및 주스 등에 혼합하여 복용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었지만, 시간이 걸리고 번거로우며, 약제 성분의 방출시간의 제어가 불가능해져, 약효의 저해나 화학반응을 피할 수 없다. 또한 맛의 마스킹(masking)도 불가능해져, 소기의 약효를 얻을 수 없게 되기도 한다.
본 출원인은 소기의 약효를 유지하면서, 약의 복용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천이나 카라게난(carrageenan) 등의 호료와 만니톨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젤리 강도를 갖는 저칼로리·무설탕의 삼킴 보조 음료를 제안하여, 특허를 취득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본 출원인은, 상기 삼킴 보조 음료를 개량하여, 아미노기 등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염기성 물질을 함유하는 약제라도, 쓴맛의 마스킹이 가능해지는 쓴 맛 마스킹 입상 젤리 음료를 제안하고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그런데, 생약이나 한방약 등의 약제는, 일반적으로 과립상의 것이 많고, 하나 하나의 과립의 비중도 가벼운 것이 많기 때문에, 입속에 물과 함께 한방약을 넣었을 경우에, 꺼슬꺼슬, 까칠까칠한 촉감의 과립상의 한방약이 물 표면에 떠 버려, 물과 함께 삼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생약이나 한방약 등은 일반적으로 1회에 복용하는 양이 많다는 것도 물과 함께 입속으로 삼키기 어려운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생약이나 한방약 등의 약제의 삼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상술한 쓴맛 마스킹 입상 젤리 음료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생약이나 한방약 등의 약제는 쓴맛과 함께 독특한 떫은맛, 신맛, 단맛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술한 동식물 유지를 포함한 쓴맛 마스킹 입상 젤리 음료와는 맛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어, 사람에 따라서는 오히려 약제의 복용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약제와 혼합한 후의 입상 젤리 음료의 미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상술한 입상 젤리 음료에 산미료 등을 첨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단순히 산미료를 첨가하는 것만으로는, 입상 젤리 음료를 구성하는 성분의 응집이 생기거나 적당한 겔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약제를 감싸기 위해서 매우 적합한 입상의 젤리 형상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제3257983호 공보 특허 문헌 2: 국제공개WO 2005/025622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한 것이며, 그 목적은, 생약 및/또는 한방약 등의 쓴맛과 함께 독특한 떫은맛, 신맛, 단맛을 나타내는 약제라도, 약효를 떨어트리는 일 없이, 약제의 쓴맛을 마스킹 함과 동시에, 삼키기 쉽게 약제를 감쌀 수 있으며, 또한 약제와의 혼합 후에도 양호한 미각을 나타내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려고 예의연구한 결과, 쓴맛 마스킹 성분과 산, 그의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맛 조정 성분을 함유하는 것과 함께, 응집 억제 겔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생약 및/또는 한방약의 복용에 이용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이며,
생약 및/또는 한방약의 복용에 이용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이며,
(a) 식물유지 및/또는 동물유지로 이루어진 쓴맛 마스킹 성분 0.1~15.0 질량%과
(b) 당 알코올로 이루어진 쓴맛 마스킹 보조성분 5.0~20.0 질량%과
(c) 카라기난, 젤란 검, 로커스트 콩 검, 잔탄 검, 구아 검, 펙틴, 타피오카 전분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응집 억제 겔화 성분 0.1~5.0 질량%과
(d) 산, 그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맛 조정 성분 0.1~5.0 질량%과
(e) 잔량으로서 수분을 함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제조 방법은,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쓴맛 마스킹 성분(a)과, 상기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b)과, 상기 응집 억제 겔화 성분 (c)과, 상기 수분(e)의 적어도 일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은 후, 상기 혼합물에 상기 맛조정 성분(d)을 혼합하여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쓴맛 마스킹 성분과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과 맛 조정 성분을 이용함과 동시에, 응집 억제 겔화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생약 및/또는 한방약의 약효를 떨어트리는 일 없이, 이들 약제의 쓴맛을 마스킹하여, 삼키기 쉽게 약제를 감쌀 수 있는 한편, 생약 및/또는 한방약으로 이루어진 약제와의 혼합 후에도 양호한 미각을 나타내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제조 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성형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백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생약 및/또는 한방약의 복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며, (a)식물유지 및/또는 동물유지로 이루어진 쓴맛 마스킹 성분 0.1~15.0%과, (b)당 알코올로 이루어진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 5.0~20.0%과, (c)응집 억제 겔화 성분 0.1~5.0%과 (d)산, 그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맛조정 성분 0.1~5.0%과. (e) 잔량으로서 수분과, 필요에 따라 (f) 발수 억제 성분 0.01~1.5%를 함유하는 것이다.
[(a)쓴맛 마스킹 성분]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쓴맛 마스킹 성분은, 식물유지 및/또는 동물유지의 적어도 한쪽이지만, 이들은 사람의 미뢰(human tase bud)에 존재하는 쓴맛을 느끼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약제 등의 쓴맛 성분이, 이 쓴맛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음식물 등의 미각은, 사람은 혀의 표면 근방에 존재하는 미뢰라는 미각의 수용기로 인식된다. 이 미뢰는 직경 50㎛ 정도의 크기이며, 혀의 내부에 미각 세포가 있어, 이 세포막 표면에, 쓴맛, 신맛, 짠맛 및 별미 등을 느끼는 수용체가 존재한다. 그리고 타액과 섞여 수용액이 된 약물의 쓴맛 물질이, 쓴맛 수용체에 결합하면, 미각 세포의 세포막 내외의 전위차를 바꾸고, 이 전위차가 신경섬유를 통해 대뇌피질에 전달되어 쓴맛을 느낀다.
본 발명에서, 쓴맛 마스킹 성분은, 이러한 쓴맛 수용체에 쓴맛 성분보다도 빨리 결합하여, 쓴맛 수용체를 커버하며, 쓴맛 물질과 쓴맛 수용체가 결합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미각 세포의 흥분을 억제하여, 전위차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동식물 유지로서는 상기의 기능을 담당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식물유지로서는 카카오 유지, 레시틴, 대두유, 샐러드유, 식용 새플라워(safflower)유, 해바라기유, 유채씨유, 옥수수유, 쌀 기름, 낙화생유, 올리브유, 참기름, 아마인유, 코코넛유, 팜유, 야자유, 조제유, 마가린 또는 쇼트닝 및 이들의 임의 혼합물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유지로서는 라드(lard), 무염 버터(unsalted butter), 버터, 치즈, 크림, 육지방 또는 어유 및 이들의 임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동식물 유지 중에서도, 무염 버터, 버터, 대두유, 레시틴,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카카오유가 매우 적합하고, 카카오 유지가 최적이다.
또한, 상술한 동식물 유지 이외에도, 우유, 두유 및 이러한 엑기스분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에 있어서, 쓴맛 마스킹 성분의 배합량은, 0.10~15.0%이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13.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25~11.0%이다.
상기 배합량이 0.1% 미만에서는 쓴맛 마스킹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고, 15.0%를 넘으면, 젤리의 물성이 변화해 버려 적정한 젤리 강도를 얻을 수 없다.
[(b)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b)은, 당 알코올이지만, 이들은 감미료로서 작용하므로 쓴맛 마스크의 보조 작용이 있다. 또한 이들은 겔의 안정성을 향상하는 기능도 갖는다.
당 알코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환원 맥아당 물엿, 환원 물엿, 환원 유당, 자일리톨, 에리트리톨(erythritol),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및 이들의 임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당 알코올 중에서도, 에리트리톨, 환원 맥아당 물엿, 환원 물엿, 자일리톨 및 소르비톨이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에 있어서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의 배합량은 5.0~20.0%이며, 바람직하게는 6.0~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6.0%이다.
상기 배합량이 5.0%미만에서는, 충분한 쓴맛 마스킹 보조 효과를 얻지 못하고, 20.0%를 넘게 첨가해도, 그 효과가 포화해 버려,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다.
[(c) 응집 억제 겔화 성분]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응집 억제 겔화 성분이란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산성 영역으로 했을 경우에,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가 응집하는 것을 억제하며, 겔화 성분으로도 기능하는 것을 말한다.
종래의 쓴맛 마스킹 입상 젤리 음료는, 분자 내에 아미노기 등에 유래하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염기성 물질을 함유하는 약제를 매우 적합하게 감싸서, 약제의 복용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입속에서 약물용출에 의한 쓴맛 감지를 억제하기 때문에, pH가 5~8의 중성범위의 것이었다(일본특허출원 2003-321623호 참조).
한편, 생약 및/또는 생약을 포함한 한방약 등은, 이들 약제를 용해한 수용액이, 일반적으로 산성의 것이기 때문에, pH 5~8의 중성 영역의 쓴맛 마스킹 입상 젤리 음료와 약제와의 맛이 어울리지 않고, 기호성이 저하하여, 사람에 따라서는, 반대로 약제를 삼키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한방약의 약효를 저해하는 경우도 생긴다.
예를 들면, 한방약 등과 맛이 어울리도록, 상술한 입상 젤리 음료에 단순히 산미료를 첨가한 것 만으로는, 쓴맛 마스킹 성분과 겔화 성분 등과의 용해성의 저하나 화학반응에 의해 응집을 일으키거나 겔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약제를 감싸는데 매우 적합한 입상 젤리의 형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쓴맛 마스킹 성분(a),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b), 맛조정 성분(d)과 함께, 응집 억제 겔화 성분(c)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서, 쓴맛 마스킹 성분과 맛조정 성분이 응집 등을 일으키는 일 없이,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미각을 향상시키는 한편, 적당히 단단한 젤리 물성을 갖고, 한방약 등을 감쌀 수 있어 복용량이 많은 한방약 등이라도, 삼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겔화 성분으로서도 기능하는 응집 억제 겔화 성분으로는, 카라기난, 젤란검, 로커스트 콩 검, 잔탄검, 구아검, 펙틴, 타피오카 전분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에 있어서, 응집 억제 겔화 성분의 배합량은 0.1~5.0%이며, 바람직하게는 0.1~4.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0%이다.
상기 배합량이 0.1%미만에서는, 10g/㎠ 이상의 젤리 강도를 실현하지 못하고, 5.0%를 넘으면, 매우 적합한 입상이 되지 않고, 생약이나 한방약 등의 복용에 적합하지 않는 물성으로 된다.
[(c-1) 겔화 성분]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상술한 응집 억제 겔화 성분의 외에, 겔화 성분 (c-1)을 더욱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겔화 성분 (c-1)으로서는, 한천, 퍼셀라란(furcellaran), 젤라틴, 커드란(curdlan), 사일리움시드검(psyllium seed gum), 알긴산, 알긴산염, 만난, 타마린드검, 덱스트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및 이들의 임의 혼합물을 병용 할 수 있다.
응집 억제 겔화 성분(c) 및 겔화 성분(c-1)의 전량 중의 응집 억제 겔화 성분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0~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95.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0~90.0%이다.
응집 억제 겔화 성분(c) 및 겔화 성분 (c-1)의 전량 중의 응집 억제 겔화 성분의 함유율이 2.0%미만이면, 맛 조정 성분을 첨가한 후에 약간의 응집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d) 맛 조정 성분]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추가로 산, 그의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맛 조정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pH가 산성 영역의 것이면, 약간의 산미를 나타내는 생약이나 한방약 등과 혼합한 경우에, 미각이 저하하지 않고,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이용하면, 복용량이 많은 경우라도, 한방약 등의 약제를 용이하게 삼키는 것이 가능하다.
맛 조정 성분으로는, 아디핀산, L-아스코르빈산, L-아스파라긴산, L-아르기닌, L-글루타민산, 구연산, 글루코노 델타 락톤, 글루콘산, 숙신산, DL-타타르산, L-타타르산, 락트산, 프말산, 부티르산, DL-말릭산, 이의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디핀산,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염, L-아스코르빈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 L-아스파라긴산, L-아르기닌, L-글루타민산염, 구연산, 구연산염, 글루코노 델타 락톤, 글루콘산, 글루콘산염, 숙신산, 숙신산염, DL-타타르산, L-타타르산, 락트산, 락트산염, 프말산, 프말산염, 부티르산, 부티르산의 유도체, DL-말릭산 및 DL-말릭산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산, 그의 유도체 및 그의 염 중에서도, 시트르산, L-아스코르빈산, DL-말릭이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에서의 맛 조정 성분의 배합량은 0.1~5.0%이며, 바람직하게는 0.1~4.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4.0%이다.
상기 배합량이 0.1%미만이면,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생약이나 한방약 등과 어울리는 맛으로 개량할 수 없다. 상기 배합량이 5.0%를 넘으면, 한방약 등과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혼합했을 때에 미각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응집 등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e) 수분]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수분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수분으로서는, 음료에 적절한 것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면, 수돗물, 각종 이온 교환수 및 정제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분 이외의 다른 성분의 잔량, 즉, 각 성분과 수분과의 합계량이 100%가 되는 양이면 좋다.
[(f) 발수 억제 성분]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에서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발수 억제성분(f)을 함유할 수 있다.
발수 억제성분은, 상기 쓴맛 마스킹 성분의 발수성을 억제하여 수분과의 친화성을 좋게 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 외에, 후술하는 쓴맛 성분이 지용성 등의 난수용성의 경우나, 제제상, 왁스 코팅이나 폴리머 코팅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쓴맛 성분이나 코팅과 젤리와의 친화성을 높고, 포장 기능을 효과적으로 하는 작용도 가진다.
이러한 발수 억제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임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발수 억제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1~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1.4%,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03~1.3%이다.
상기 배합량이 0.01%미만에서는, 충분한 발수 억제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 있고, 1.5%를 넘게 배합해도 효과가 포화하여 버려,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는 것이 있다.
또한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에는, 본 발명이 의도하는 마스킹 효과나 삼킴 보조 효과, 추가로 미각의 향상 효과를 나타내는 한, 상기 필수 성분 이외에도, 겔화 촉진제나 영양원인 당류, 감미료, 향료, 기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겔화 촉진제로서 락트산 칼슘을 0.1~2.0% 첨가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생약이나 한방약 등이 본래 가지는 단맛이나 신맛 등을 억제하는 일 없이, 이들의 맛을 더욱 강조하도록 하여 미각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독특한 쓴맛, 떫은맛, 신맛, 단맛을 나타내는 생약이나 한방약 등을 삼키기 쉽게 하고, 특히, 소아 등이 생약이나 한방약 등을 복용할 때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성질과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젤리 음료는 주위에 수분 등을 갖고, 형상이 균일 또는 불균일한 입상 젤리의 집합물이며, 그의 pH는, 바람직하게는 2.5~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7~4.5, 특히 바람직하게는 3.0~4.0이다.
pH가 2.5 미만인 경우, 신맛이 강해져, 생약·한방약의 쓴맛, 떫은맛을 강하게 느끼게 된다. 또한, pH가 5.0을 넘으면, 생약·한방약의 신맛, 떫은맛을 강하게 느끼게 되어, 기호성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입상 젤리의 젤리강도는 20℃에서, 바람직하게는 10~1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70g/㎠이다.
젤리 강도가 10g/㎠ 미만에서는, 삼키는 것이 곤란한 사람에게 숨이 막힐 것과 같은 불편함을 느끼게 할 가능성이 없다고 말할 수 없으며, 100g/㎠를 넘으면, 부드럽게 삼킬 수 없을 정도로 단단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입상 젤리의 최대 길이, 즉, 통상은 기둥 모양이나 원추상, 타원구상 등의 형상의 입상 젤리에서, 그 내부를 지나는 선분(line segment)을 상정했을 경우에 가장 긴 선분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1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8mm이다.
입상 젤리의 최대길이가 1mm미만에서는, 페이스트 상에 극히 가깝게 되어, 인후에의 부착 및 체류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고, 10mm를 넘으면, 목이 막히거나 한방약 등의 약제와의 부착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 및 젤리 강도를 갖기 때문에, 비중이 가벼운 과립상이나 분말상의 한방약 등을 입상 젤리 음료 중에 감싸서, 입속에서 입상 젤리 음료와 약제가 분리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를 이용하는 것보다, 인후에 부착하기 쉬운 과립상이나 분말상의 생약 및/또는 한방약 등이라도, 이들 약제가 입속이나 인후에 잔존하지 않고, 정상인, 허약 체질이나 각종 질환 등으로 약제의 삼킴이 곤란한 환자 등에게, 비교적 복용량이 많아지는 한방약을 용이하게 삼키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약제를 확실히 감쌀 수 있기 때문에, 복용량이 많은 생약이나 한방약 등의 복용에 매우 적합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20ml에 대하여, 2~3g의 과립상의 약제가 확실히 감싸져서, 이 약제의 복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과립상의 한방약의 경우, 1회의 복용량은 통상 2~3g정도이다.
또한, 입상 젤리가 그의 최대길이가 1~10mm의 것이라면, 한방약의 제제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과립상의 것을, 입상 젤리로 감싸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싸는 기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성분의 대부분이 수분이며, 또한, 체온 정도(약 37℃)로 가열되면, 젤리 강도가 저하하여 포장 기능을 잃기 때문에, 약제의 붕괴성이나 용출성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고, 약제와의 상호작용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생약이나 한방약 등의 약효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무설탕 음료이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에게도 적합하며, 취침 직전에 사용해도 충치에 걸리기 어렵기 때문에 소아에게도 매우 적합하다. 또한, 살균 공정을 거쳤기 때문에, 체력이나 저항력, 면역력이 낮은 환자나 소아에게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와 함께 복용함으로써, 삼킴이 용이해지는 약제로는, 후생노동성에 의해서 허가를 받은 한방약 처방이나 생약(고려 인삼이나 각종 허브 등)을 사용한 약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제의 종류로는 산제, 과립제, 환제, 캅셀제, 분말 엑기스제 및 정제 등의 고형제, 엑기스제 및 시럽제 등의 물약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b)과 응집 억제 겔화 성분 (c) 또는 겔화 성분(c-1)을 분체 혼합한 후, 이 분체 혼합물을 가온한 물(약 50℃이상)에 투입하여, 소정 시간 교반하여, 대략 균일하게 혼합한다. 다음에, 쓴맛 마스킹 성분(a)을 투입하고, 필요에 따라 발수 억제 성분(f)을 투입하여, 소정 시간 혼합한 후, 추가로 응집 억제 겔화 성분(c)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대략 균일한 혼합물을 얻는다. 그 후, 얻어진 혼합물 중에, (d) 맛 조정 성분을 투입하고, 필요에 따라 향료 등을 첨가한 후, 전량을 수분(e)으로 조정(필 업, filled up)하여, 용기에 충전하고, 필요에 따라 살균, 냉각 등을 행하여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얻는다.
또한 응집 억제 겔화 성분(c) 및/또는 겔화 성분(c)을 2회로 나누어 첨가하는 경우, 응집 억제 겔화 성분(c)을 먼저 첨가하고, 그 후에, 겔화 성분 (c-1)을 첨가해도 좋고, 그 반대여도 좋고, 2회 모두 응집 억제 겔화 성분(c)을 더해도 좋다.
용액을 교반·혼합할 때, 바람직하게는 5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100℃로 용액을 가온하여 교반·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예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b)을 가온한 물(약 50℃이상)에 투입하고, 소정 시간 교반하고, 대략 균일하게 혼합한다. 다음에, 쓴맛 마스킹 성분(a)을 투입하고, 필요에 따라서 발수 억제성분(f)을 투입하여, 소정 시간 교반하여 혼합물(제1의 혼합물) 얻는다. 미리 가온한 물(약 50℃이상)에 혼합한 응집억제 겔화 성분(c)을, 제1의 혼합물 중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대략 균일한 혼합물(제2의 혼합물)을 얻는다. 그 후, 얻어진 제2의 혼합물 중에, 맛조정 성분(d)을 투입하고, 필요에 따라 향료 등을 첨가한 후, 전량을 수분(e)으로 조정(필 업)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필요에 따라 살균, 냉각하여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얻는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집 억제 겔화 성분(c)과 겔화 성분(c-1)과는, 양자를 분리하는 일이 없이 한번에 조제 탱크에 첨가해도 좋다.
또한 쓴맛 마스킹 성분(a)과, 쓴맛 마스킹 보조성분(b)과, 응집 억제 겔화 성분(c)과, 수분(e)의 적어도 일부의 혼합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들(a,b,c 및 e)을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 중에, 맛조정 성분(d)을 첨가하여 혼합하면 좋다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쓴맛 마스킹 성분(a)과,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b)과, 응집 억제 겔화 성분(c)과, 수분(e)의 적어도 일부를 대략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은 후, 상기 혼합물에, 맛조정 성분(d)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 입상 젤리 음료에 응집 등이 생기기 어려워져, 생약이나 한방약 등을 감싸는데 매우 적합한 형태를 갖는 입상 젤리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생약이나 한방약 등의 쓴맛과 함께 신맛을 나타내는 약제를 복용할 때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복용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생약이나 한방약 등의 약제를 입속에 넣은 후에,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물 대신에 입속에 넣고, 약제와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인후에 흘려 넣어 삼켜도 좋다. 또한, 미리, 컵 등의 용기 등에 넣은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중에, 약제를 넣고 혼합하여, 이 혼합물을 삼켜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1에 나타내는 제조방법에 따라, 소르비톨, 덱스트란을 가온(약 50℃)한 물(50부)에 첨가하여 수온을 50℃로 유지한 채로, 추가로 대두 레시틴을 첨가하여 교반했다. 다음에, 미리 가온한 물(20부)에 용해한 잔탄 검을 서서히 첨가하여 교반하고,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추가로 향료와 물을 첨가하여, 전량을 조제하고, 용기에 충전한 후, 냉각하여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얻었다.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을 표 1에 나타냈다.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pH는 4.2, 젤리 강도는 40.0g/㎠, 입상 젤리의 최대길이는 5.0mm, 수분 감소율은 0.5%이었다.
또한 젤리 강도는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Figure 112010023280459-pct00001
(실시예2)
도 2에 나타내는 제조방법에 따라, 에리스리톨(erythritol), 소르비톨을 가온(약 50℃)한 물(50부)에 첨가하여 수온을 50℃로 유지한 채로, 추가로 카카오 유지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혼합물(제1의 혼합물)을 얻었다. 다음에, 미리 가온(약 50℃)한 물(20부)에 한천, 로카스트 콩 검(locust bean gum),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혼합물을 얻은 후, 이 혼합물을, 제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해 교반하고, 제2의 혼합물을 얻었다. 그 후, 제2의 혼합물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추가로 향료와 물을 첨가하고, 전량을 조제하고, 용기에 충전한 후, 냉각하여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얻었다.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을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pH는 3.3, 젤리 강도는 45.5g/㎠, 입상 젤리의 최대길이는 5.0mm, 수분 감소은 2.0%이었다.
Figure 112010023280459-pct00002
(비교예)
에리스리톨(erythritol), 환원 맥아당 물엿, 로카스트 콩 검, 잔탄검, 카라기난 및 락트산 칼슘을 가온(약 50℃)한 물(50부)에 첨가하고, 수온을 50℃로 유지한 채로 균질화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와 카카오 유지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추가로 향료와 감미료와 물을 첨가하고, 전량을 조제하고, 용기에 충전한 후, 냉각하여, 맛 조정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쓴맛 마스킹 입상 젤리를 얻었다.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을 표 3에 나타냈다.
또한 쓴맛 마스킹 입상 젤리 음료의 pH는 6.6, 젤리 강도는 39.8g/㎠, 입상 젤리의 최대길이는 5.0 mm, 수분감소율은 1.8% 이었다.
Figure 112010023280459-pct00003
(참고예)
도 1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 의해, 에리스리톨(erythritol), 자일리톨 및 한천을 가온(약 50℃)한 물(50부)에 첨가하고 수온을 50℃로 유지한 채로, 추가로 대두 레시틴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다음에, 미리 가온한 물(20부)에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를 서서히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에 구연산을 첨가한 경우에, 덩어리상(lump)이 형성되며, 혼합물을 교반하더라도 용해할 수 없었다. 즉, 본 참고예에서는, 응집 억제 겔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응집이 생겨 적당한 겔을 형성할 수 없었다. 본 예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을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112010023280459-pct00004
[젤리 강도의 측정]
측정 장치: 레오 미터(레오텍사 제조 형식 RT-2020J)
플런저: 1cmφ
압축 속도: 2cm/min
측정 방법:
시료를 20℃에서 15시간 이상 방치한 후, 젤리를 파괴하지 않도록 꺼내고, 적당한 용기(3cmφ×2cm)로 시료가 손실되지 않게 주의하여 꺼내고, 상술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시료의 강도를 측정하고, 하기식(1)을 이용하여, 젤리 강도를 산출했다.
젤리 강도(g/㎠) = 측정 강도(g)/0.785(㎠) (1)
또한 0.785㎠는 플런저(plunger)의 표면적이다.
[성능 평가]
각 예의 입상 젤리 음료를, 하기의 사람 관능 시험에 제공하여, 얻어진 결과를 표 4~10에 나타냈다.
(관능 시험 조건)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량의 한방처방에 의한 대상 약제를, 소정량의 각 예의 입상 젤리 음료로 처리하고, 얻어진 시료(한방약 함유 입상 젤리 음료)를 6명의 피험자(정상 성인; 남성 5명, 여성 1명)에게 복용시켜, 소정의 시간에서의 각 미각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또한 단맛의 경우는, 한방약 단독과 차이가 없는 경우를 「△」, 단맛이 약간 강해지는 경우를 「○」, 단맛이 강해지는 경우를 「◎」이라고 했다.
쓴맛의 경우는, 한방약 단독과 차이가 없는 경우를 「△」, 쓴맛이 약간 적게 되는 경우를 「○」, 쓴맛이 없는 경우를 「◎」 이라고 했다.
신맛의 경우는, 한방약보다 신맛이 약해지는 경우를 「×」, 한방약 단독과 차이가 없는 경우를 「△」, 신맛이 약간 강해지는 경우를 「○」, 신맛이 강해지는 경우를 「◎」 이라고 했다.
매운맛의 경우는, 한방약 단독과 차이가 없는 경우를 「△」, 매운맛이 약간 적게 되는 경우를 「○」, 매운맛이 없는 경우를 「◎」 이라고 했다.
또한, 악취로서 한방 취가 있는 경우를 「△」, 한방 취가 약간 있는 경우를 「○」, 한방 취가 없는 경우를 「◎」 이라고 했다.
또한, 향료의 악취로서 향료 취가 있는 경우를 「△」, 향료 취가 약간 있는 경우를 「○」, 향료 취가 없는 경우를 「◎」 이라고 했다.
(1) 대상 약제
(가)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엑기스 과립(쓰무라사 제조 No.15)
(나) 소풍산(消風散) 엑기스 과립(쓰무라사 제조 No.22)
(다) 오수유탕(吳茱萸湯) 엑기스 과립(쓰무라사 제조 No.31)
(라) 온청음(溫淸飮) 엑기스 과립(쓰무라사 제조 No.57)
(마) 치두창일방(治頭瘡一方) 엑기스 과립(쓰무라사 제조 No.59)
(바)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 엑기스 과립(쓰무라사 제조 No.80)
(사) 시령탕(柴笭湯) 엑기스 과립(쓰무라사 제조 No.114)
(2) 약제 량
각각 1.25 g으로 했다.
(3) 시료의 조제
입상 젤리 음료 10g에 약제 1.25g를 첨가하여 잘 섞었다.
약제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젤리를 입에 넣고, 10초 후에 뱉어내어, 5초 후에 피험자에게 평가받았다.
Figure 112010023280459-pct00005
Figure 112010023280459-pct00006
Figure 112010023280459-pct00007
Figure 112010023280459-pct00008
Figure 112010023280459-pct00009
Figure 112010023280459-pct00010
Figure 112010023280459-pct00011
[성능 평가의 고찰]
표 5~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2의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는, 한방약(가)~(사)와 함께 복용했을 경우에, 단맛와 신맛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고, 이 경향에 의해서 쓴맛이 있었다고 해도 한방약이 마시기 어려워지는 쓴맛은 되지 않고 , 오히려 쓴맛과 매운맛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한방약이 마시기 쉬워져 있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약복용 입상 젤리를 이용함으로써, 한방 취도 없어져 미각을 향상시키고, 보다 삼키기 쉬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종래의 쓴맛 마스킹 입상 젤리 음료)는, 신맛이나 매운맛이 한방약 그 자체와 상위하지 않고, 한방 취도 잔존하고 있으며, 한방약의 복용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쓴맛 마스킹 성분과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과 맛 조정 성분을 이용함과 동시에, 응집 억제 겔화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생약 및/또는 한방약의 약효를 떨어트리는 일 없이, 이들 약제의 쓴맛을 마스킹하여, 삼키기 쉽게 약제를 감쌀 수 있는 한편, 생약 및/또는 한방약으로 이루어진 약제와의 혼합 후에도 양호한 미각을 나타내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물에 용해 시 산성을 띠는 생약 또는 한방약, 또는 생약 및 한방약의 복용에 사용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로서,
    (a) 식물유지 또는 동물유지, 또는 식물유지 및 동물유지로 이루어진 쓴맛 마스킹 성분 0.1~15.0 질량%과,
    (b) 당 알코올로 이루어진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 5.0~20.0 질량%과,
    (c) 카라기난, 젤란 검, 로카스트 콩 검, 잔탄 검, 구아 검, 펙틴, 타피오카 전분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응집 억제 겔화 성분 0.1~5.0 질량%과,
    (d) 산, 그의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맛조정 성분 0.1~5.0 질량%과,
    (e) 잔량으로서 수분을 함유하며,
    20 ml의 음료가 생약 또는 한방약 2 내지 3 g을 코팅할 수 있으며,
    pH가 2.7~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2. 제1항에 있어서,
    한천, 퍼셀라란, 젤라틴, 커드란, 사일리움시드검, 알긴산, 알긴산염, 만난, 타마린드검, 덱스트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및 메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겔화 성분(c-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 억제 겔화 성분 (c) 및 겔화 성분(c-1)의 전량 중에, 응집 억제 겔화 성분 2.0~100.0 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4. 제1항에 있어서,
    pH가 3.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5. 제1항에 있어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발수 억제 성분(f)을 0.01~1.5 질량%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6. 제1항에 있어서,
    입상 젤리의 20℃에서의 젤리 강도가 10~1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7. 제1항에 있어서,
    입상 젤리의 최대 길이가 1~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쓴맛 마스킹 성분(a)의 식물유지가 카카오 유지, 레시틴, 대두유, 샐러드유, 식용 새플라워유, 해바라기유, 유채씨유, 옥수수유, 쌀 기름, 낙화생유, 올리브유, 참기름, 아마인유, 코코넛유, 팜유, 야자유, 혼합유, 마가린 및 쇼트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것이며, 상기 동물유지가, 라드, 무염 버터, 버터, 치즈, 크림, 육지방 및 어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b)의 당 알코올이, 환원 맥아당 물엿, 환원 물엿, 환원 유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erythritol), 소르비톨 및 만니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맛 조정 성분(d)이, 아디핀산, L-아스코르빈산, L-아스파라긴산, L-아르기닌, L-글루타민산, 구연산, 글루코노 델타 락톤, 글루콘산, 숙신산, DL-타타르산, L-타타르산, 락트산, 프말산, 부티르산, DL-말릭산,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또는 한방약이 산제, 과립제, 환제, 캅셀제, 분말 엑기스제, 정제, 엑기스제 및 시럽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를 제조 함에 있어서, 상기 쓴맛 마스킹 성분(a)과, 상기 쓴맛 마스킹 보조 성분(b)과, 상기 응집 억제 겔화 성분(c)과, 상기 수분(e)의 적어도 일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은 후, 상기 혼합물에 상기 맛 조정 성분(d)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의 제조 방법.
KR1020107007952A 2007-10-12 2007-10-12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465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9934 WO2009047859A1 (ja) 2007-10-12 2007-10-12 薬服用粒状ゼリー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622A KR20100084622A (ko) 2010-07-27
KR101465836B1 true KR101465836B1 (ko) 2014-11-26

Family

ID=4054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952A KR101465836B1 (ko) 2007-10-12 2007-10-12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084741B2 (ko)
EP (1) EP2201956B1 (ko)
JP (1) JP5249941B2 (ko)
KR (1) KR101465836B1 (ko)
CN (1) CN101820893A (ko)
AU (1) AU2007360026B9 (ko)
CA (1) CA2701777C (ko)
DK (1) DK2201956T3 (ko)
ES (1) ES2472297T3 (ko)
TW (1) TWI405587B (ko)
WO (1) WO20090478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733A (ko) * 2014-12-15 2016-06-23 (주)산엔들 오메가 지방산 추출물을 함유한 젤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88509A1 (en) 2010-09-13 2013-04-30 Bev Rx Inc Aqueous drug delivery system comprising off - flavor masking agent
EP2641477B2 (de) 2012-03-19 2022-06-08 Symrise AG Stoffgemische
JP5955615B2 (ja) * 2012-04-10 2016-07-20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弱酸性のタンパク質含有ゲル状飲食品
CN103005552A (zh) * 2012-11-02 2013-04-03 西华大学 一种橄榄油饮液的制备方法
CN103083458A (zh) * 2013-01-21 2013-05-08 康美药业股份有限公司 温清饮复方配方颗粒及其制备方法和检测方法
JP6549428B2 (ja) * 2014-07-23 2019-07-24 エスエス製薬株式会社 経口組成物
GB201512728D0 (en) * 2015-07-20 2015-08-26 Isis Innovation Nanoencapsulated oxygen
JP2018000402A (ja) * 2016-06-30 2018-01-11 静岡県 舌カバー
JP7217083B2 (ja) * 2016-12-28 2023-02-02 ポッカサッポロフード&ビバレッジ株式会社 ゼリー飲料、及び、ゼリー飲料の製造方法
JP7241752B2 (ja) * 2017-08-08 2023-03-17 イーバイオ ニュートリショナル サイエンシズ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甘味料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69914A (ja) * 2017-10-06 2019-05-09 松浦薬業株式会社 漢方医薬組成物、漢方製剤
US11779035B2 (en) 2017-12-12 2023-10-10 Samyang Corporation Low-caloric beverage
JP2022552777A (ja) * 2019-08-30 2022-12-20 プロキャップス ソシエダッド アノニマ 寒天マトリックスを有する耐熱性チュアブル経口投与剤形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585267A (zh) 2019-10-25 2022-06-03 住友化学株式会社 食品组合物
CN110840825A (zh) * 2019-11-13 2020-02-28 长春雷允上药业有限公司 凝胶组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942A (ja) * 1993-08-09 1995-05-09 Sanji Kumai 生薬オリゴドリンク及び生薬オリゴゼリーの製造法
KR20070030727A (ko) * 2003-09-12 2007-03-16 류가쿠산 가부시키가이샤 쓴맛을 차단할 수 있는 과립상 젤리 음료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3890B2 (ja) 1990-03-08 1998-08-06 東京電力株式会社 レーザ発振器
JP2508555B2 (ja) * 1991-05-24 1996-06-19 株式会社紀文食品 苦味低減方法
RO115412B1 (ro) * 1993-10-01 2000-02-28 Syntex Inc Compozitie farmaceutica si procedeu de obtinere a compozitiei farmaceutice
US5576039A (en) * 1995-02-03 1996-11-19 Bush Boake Allen Inc. Colored jelly-type substance, method of preparation,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4309481B2 (ja) * 1996-01-12 2009-08-05 テイコクメディックス株式会社 ゼリー状経口医薬組成物
JP3257983B2 (ja) * 1997-07-31 2002-02-18 株式会社龍角散 薬剤の嚥下補助飲料
US6277395B1 (en) * 1998-07-31 2001-08-21 Ryukakusan Co. Ltd. Swallowing-assistive drink
EP1051082B1 (en) * 1998-01-30 2001-10-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s with improved texture and flavor impact at lower dosage of solids
JP4555407B2 (ja) 1998-05-06 2010-09-29 伊那食品工業株式会社 用時調製漢方・生薬製剤
JP3583723B2 (ja) 2001-01-23 2004-11-04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不溶性固形物が分散されたゲル組成物及びその応用
JP4057835B2 (ja) 2002-05-01 2008-03-05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無機顔料の製造方法
ES2482767T3 (es) * 2004-12-24 2014-08-04 Ryukakusan Co. Ltd. Procedimiento para producir bebidas gelatinosa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942A (ja) * 1993-08-09 1995-05-09 Sanji Kumai 生薬オリゴドリンク及び生薬オリゴゼリーの製造法
KR20070030727A (ko) * 2003-09-12 2007-03-16 류가쿠산 가부시키가이샤 쓴맛을 차단할 수 있는 과립상 젤리 음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733A (ko) * 2014-12-15 2016-06-23 (주)산엔들 오메가 지방산 추출물을 함유한 젤리 제조방법
WO2016099072A1 (ko) * 2014-12-15 2016-06-23 (주)산엔들 오메가 지방산 추출물을 함유한 젤리 제조방법
KR102131421B1 (ko) * 2014-12-15 2020-07-08 (주)산엔들 한방약초분말을 함유한 젤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47859A1 (ja) 2009-04-16
KR20100084622A (ko) 2010-07-27
DK2201956T3 (da) 2014-07-14
AU2007360026B2 (en) 2013-06-20
TWI405587B (zh) 2013-08-21
TW200916124A (en) 2009-04-16
US20100239684A1 (en) 2010-09-23
AU2007360026A1 (en) 2009-04-16
JP5249941B2 (ja) 2013-07-31
US9084741B2 (en) 2015-07-21
EP2201956A1 (en) 2010-06-30
EP2201956A4 (en) 2012-08-29
JPWO2009047859A1 (ja) 2011-02-17
EP2201956B1 (en) 2014-04-30
AU2007360026B9 (en) 2013-07-11
CA2701777A1 (en) 2009-04-16
CN101820893A (zh) 2010-09-01
CA2701777C (en) 2015-04-21
ES2472297T3 (es)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836B1 (ko) 약복용 입상 젤리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A2538755C (en) Granular jelly drink capable of masking bitterness
AU2016246583B2 (en) Multicomponent gummy compositions with soft core
JP4264105B2 (ja) イソソルビド含有ゼリー製剤
US20090130211A1 (en) Gelled colloidal emulsion for appetite suppression
JP2001226293A (ja) 服用補助剤
JP5106948B2 (ja) ペット用経口投与補助剤組成物
CN112120221A (zh) 高卡路里营养组合物
JP2008094743A (ja) 摂食・嚥下改善食品
JP5998351B2 (ja) いびきの防止または改善用組成物
JP6758619B2 (ja) 組成物
JP2021084908A (ja) キャンディ製剤、及び、キャンディ製剤の製造方法
JP2007215407A (ja) セラミド類含有食品及び内服剤
JP2017508460A (ja) 血清コレステロールを低下させる食用製品
JP2006320223A (ja) ビタミンc強化チアミン類含有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