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737B1 -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갖는 의약 - Google Patents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갖는 의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737B1
KR101457737B1 KR1020107001174A KR20107001174A KR101457737B1 KR 101457737 B1 KR101457737 B1 KR 101457737B1 KR 1020107001174 A KR1020107001174 A KR 1020107001174A KR 20107001174 A KR20107001174 A KR 20107001174A KR 101457737 B1 KR101457737 B1 KR 101457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promoting
proliferation
medicament
ni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725A (ko
Inventor
마사히코 오기하라
미츠토시 기무라
나오토 이시바시
준 고지마
Original Assignee
각코우호우진 조사이 다이가쿠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각코우호우진 조사이 다이가쿠,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각코우호우진 조사이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0004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45Polymers of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간 재생 요법에 사용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수 개의 직쇄 이소프렌 단위를 포함하는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 등과 같은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세포 증식 또는 간 재생을 촉진하기 위한 의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의약은, 정상 간세포에 대한 선택적 증식작용을 나타낼 수 있고, 이로 인해 예를 들면 간암 치료에 있어서의 간 재생 등에 유용하다.

Description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갖는 의약{Drug having effect of promoting hepatocyte growth}
본 발명은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갖는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여, 간 재생 요법에 사용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간 재생 요법으로서는, 현재, 임상에 있어서 극증(劇症) 간염에 대한 글루카곤·인슐린 요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간암 환자 중 간 예비능 저하가 확인되는 만성 간염이나 간경변의 병발 예에 대한 간암 절제는, 절제 후에 충분한 간 재생을 기대할 수 없어 간부전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행해지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극증 간염이나 간암 절제 후의 간부전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해 안전하게 사용되는 간 재생 촉진작용을 갖는 의약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기초실험적인 간 재생 촉진제로서는, hepatocyte growth factor,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epidermal growth factor 등의 증식인자나, 발린, 류신, 알라닌, 글루타민 등의 아미노산, 혈소판, 트롬보포이에틴, 항 칼리크레인 항체 등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5, 특허문헌 1~5).
특히, 간암은 예후가 불량한 질환으로, 치료 후에도 높은 비율로 재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갖고 있어도, 간세포에 대해 형질전환을 유도하는 물질이나 암세포에 대해서도 증식 촉진작용을 갖는 물질은, 간암의 재발을 촉진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의약으로서의 이용이 곤란하다. 따라서, 간 발암을 억제하고, 또한 간 재생을 촉진하는 의약의 개발은, 간암의 치료성적을 향상시키고, 장기간에 걸쳐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과제이다.
간 발암을 억제하는 물질로서는 올트랜스레티노인산(ATRA), 9-시스레티노인산(9CRA) 및 펜레티나이드 등의 레티노이드가 보고되어 있고, 이들 중, ATRA는 마우스 간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ATRA는 마우스 간 발암 모델에 있어서 발암을 촉진한다는 보고도 있어, 안전성에 의문이 있다. 또한, ATRA의 투여에 의해, 레티노인산 증후군(발열, 호흡곤란, 흉수 저류(貯留), 폐침윤, 간질성 폐렴, 폐울혈, 저산소혈증, 저혈압, 간부전, 신부전, 다장기부전 등의 제증상) 및 백혈구증다증 등의 중대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간 발암을 억제하고, 또한 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안전한 물질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 현재 상황이다.
한편, 폴리프레닐계 화합물(polyprenyl compound)의 하나인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 물질을 「NIK-333」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음)은, 레티노인산 결합 단백 및 레티노인산 수용체에 대해서 친화성을 갖고 있어, 간암세포에 대해 분화 유도작용 및 아포토시스 유도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NIK-333의 1년간의 장기 투여에 의해 간암 근치 치료 후의 재발이 유의하게 억제되고 있어, NIK-333의 간암 재발 억제작용이 확인되고 있다(비특허문헌 6). 그러나,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은 종래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NIK-333에 대해서는, 간암세포에 아포토시스를 유도하는 농도에 있어서 마우스 초대배양 간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보고되어 있으며(비특허문헌 7 및 8), 한편, NIK-333이 랫트의 부분 간절제 모델에 있어서 재생 간의 DNA 합성을 늦춘다는 보고도 있다(비특허문헌 9).
비특허문헌 1: Biochem. Biophys. Res. Co㎜un., 133, pp.1042-1050, 1985
비특허문헌 2: Proc. Natl. Acad. Sci. USA, 86, pp.1558-1562, 1989
비특허문헌 3: Cell, 18, pp.153-163, 1979
비특허문헌 4: Eur. J. Pharmacol., 510, pp.167-180, 2005
비특허문헌 5: 간장, 44, pp.383-394, 2003
비특허문헌 6: N. Eng. J. Med. 334, pp.1561-1567, 1996
비특허문헌 7: Biochem. Biophys. Res. Co㎜un. 219, pp.100-104, 1996
비특허문헌 8: J. Lipid Res., 45, pp.1092-1103, 2004
비특허문헌 9: 간장, 26, pp.605-612, 1985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8-6762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5-22994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23002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45721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2522792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가져 간부전의 치료 및/또는 예방 등에 유용한 간 재생 촉진을 위한 의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바람직한 과제는, 간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유용한 의약으로서,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과 간 발암 억제작용을 함께 갖는 상기 의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가져 간 재생 촉진을 위한 의약으로서 유용한 물질을 발견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하였다. 그 결과, 간 발암 억제작용을 갖는 것이 보고되어 있는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간암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저농도에서 랫트 초대배양 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동시에, 증식된 세포가 세포밀도 의존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 즉 상기 세포는 형질전환 유도되어 있지 않은 세포(비간암세포)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정상 간세포에 대해 선택적으로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知見)을 토대로 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해,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여, 간세포 증식을 촉진하기 위한 의약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여, 간 재생을 촉진하기 위한 의약이 제공되며, 그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간암의 치료에 있어서의 간 재생 촉진을 위해 사용하는 상기 의약, 및 간암 절제술 후에 있어서의 간 재생 촉진을 위해 사용하는 상기 의약이 제공된다.
상기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인 상기 각 의약;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이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인 상기 각 의약; 및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이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인 상기 각 의약이 제공된다.
다른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상기 각 의약의 제조를 위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의 사용; 간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유효량을, 간세포 증식 촉진을 필요로 하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동물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간 재생을 촉진하는 방법, 바람직하게는 간암의 치료시에 간 재생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유효량을, 간 재생을 필요로 하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동물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레티노이드 및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랫트 초대배양 간세포에 대한 증식 촉진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 중, NIK-333: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 trans: 올트랜스레티노인산, cis: 9-시스레티노인산, GG: 게라닐 게라니올, GGP: 게라닐 게라닐 피로포스페이트 암모늄염을 나타내고, * 및 **는 각각 용매 첨가 대조군과 유의차(P<0.05 또는 P<0.01)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레티노이드 및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랫트 초대배양 간세포에 대한 증식 촉진작용에 있어서의 세포밀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 중의 약호는 도 1과 동일하고, *는 용매 첨가 대조군과 유의차(P<0.05)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NIK-333가 랫트 초대배양 간세포에 대한 증식 촉진작용을 나타내는 농도에 있어서, 인간 간암 유래 세포주에 대한 증식 촉진작용을 갖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부분 절제 간 재생 모델 동물에 대한 NIK-333의 간 재생 촉진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의 값은 평균값±표준오차로 나타내고, *는 P<0.05로 유의차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의약은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여, 간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작용 및 간 재생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의 유효성분인 폴리프레닐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인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 게라닐 게라노인산(GGA: geranyl geranoic acid), 피탄산(phytanic acid) 등을 들 수 있고,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비타민 K1, 비타민 K2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은, 환식(環式) 또는 비환식 폴리프레닐화합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되나, 비환식 폴리프레닐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비환식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은, 수개의 직쇄 이소프렌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말한다. 비환식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말단 관능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말단에 제1급 알릴 수산기를 갖는 폴리프레닐 알코올(폴리프레놀), 폴리프레놀의 말단 수산기가 유기산과 에스테르를 형성한 화합물,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NIK-333)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일본국 특허공고 소63-32058호 공보, J. Chem. Soc. (C), 2154페이지, 1966년 등)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폴리프레닐계 화합물로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사용해도 된다. 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산 부가염 또는 염기 부가염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유리(遊離)형태 또는 염의 형태의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사용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용어는,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 등을 포함하고, 임의의 입체이성체(광학이성체 및 디아스테레오이성체를 포함), 입체이성체의 혼합물, 임의의 기하이성체, 및 기하이성체의 임의의 혼합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의약은,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갖고 있으며, 또한 그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매개로 한 간 재생 촉진작용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약은, 예를 들면, 간부전 또는 간암 등의 간 질환에 있어서 정상 간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간 재생을 촉진하고, 그 결과로서 간 질환의 치료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간 재생에 의한 간장의 건강·정상화(健常化)를 달성함으로써 간 질환의 재발을 방지하는 등의 예방적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의약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의약의 적용 대상이 되는 간 질환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이러스성 또는 알코올성 등의 급성 간염, 만성 간염, 또는 극증 간염, 간경변, 간부전, 또는 간암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에 대해서는 간암세포에 대한 아포토시스 유도작용이 알려져 있고, 아포토시스를 유도하는 농도에 있어서는 간세포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NIK-333에 있어서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7 및 8). 어떠한 특정 이론에 구애받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은, 간암세포에 대해 아포토시스를 유도하는 농도보다도 저농도에서 발휘된다. 즉, NIK-333를 대표예로 하는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은, 저농도에 있어서 정상 간세포에 대해 증식 촉진작용을 발휘하여 선택적으로 정상 간세포를 증식시키나, 고농도에 있어서는 간암세포에 대해 선택적으로 아포토시스를 유도하여 항암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약은, 특히 간암의 치료시에, 예를 들면 간암 절제술 후의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투여 직후의 높은 혈중농도에 있어서 간암세포에 대해 아포토시스를 유도하여, 투여 수시간 후의 낮은 혈중농도에 있어서 정상 간세포에 대해 증식 촉진작용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전하고 또한 효과적인 의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치료단계에 있어서, 고농도 투여와 저농도 투여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예를 들면, 간암 절제술의 직후에는 고농도 투여를 유지하여 잔존하는 간암세포를 근절하고, 그 후의 회복기에 있어서는 저농도 투여를 유지하여 간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은, 통상,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조제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중 어느 하나의 적당한 투여방법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의약 조성물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과립제, 캡슐제, 소프트캡슐제, 환제, 산제, 액제 등을 들 수 있고,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의약 조성물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주사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의약 조성물은, 폴리프레닐계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상 허용 가능한 염과 통상의 제제 담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에 적합한 의약의 경우에는, 제제 담체로서, 젖당, 포도당, 콘스타치, 수크로오스 등의 부형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붕괴제,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탈크, 폴리에틸렌글리콜, 경화유 등의 활택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등의 결합제,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등의 습윤제, 기타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교미제 등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의약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의약의 경우에는, 제제 담체로서, 물, 에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식물유, 한천, 트래거캔스고무(tragacanth gum) 등의 희석제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용해 보조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제, 완충제, 등장화제, 보존제, 무통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의 투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성인 1일 당 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50~1,200 ㎎, 바람직하게는 300~900 ㎎, 비경구의 경우는 1일 1~1,200 ㎎, 바람직하게는 5~900 ㎎의 범위이다. 상기 투여량을 각각 1일 1~3회로 나누어 투여함으로써 목적하는 촉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 1: 랫트 초대배양 간세포에 대한 증식 촉진효과
Wistar계 웅성 랫트(체중 200-205 g)를 사용하여, Seglen 등의 방법에 따라, 인시투(in situ) 콜라게나아제 환류법에 의해 간실질세포를 단리하였다(Methods. Cell Biol., 13, pp.29-83, 1975). 단리한 간실질세포를 5% 소 신생아 혈청 함유 Williams E 배지(0.1 ㎍/mL 아프로티닌, 100 U/mL 페니실린 G, 0.1 ㎎/mL 스트렙토마이신, 0.1 n㏖/L 덱사메타손 함유)에 현탁하고, 3회 세정한 후, 콜라겐 코트 배양접시(35 ㎜φ)에 3.3×104 cells/㎠의 세포밀도로 파종하였다. 5% CO2 존재하에서 37℃, 3시간 배양함으로써 세포를 접시에 접착시켜서, 초대배양 간실질세포계를 제작하였다. 또한, 단리한 간세포는 트리판 블루 배제법에 의해 생존율을 구하고, 93% 이상인 것을 이후의 실험에 제공하였다.
단리한 간실질세포의 배지를 무혈청 Williams E 배지(0.1 ㎍/mL 아프로티닌, 100 U/mL 페니실린 G, 0.1 ㎎/mL 스트렙토마이신)로 교환하고,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NIK-333), 올트랜스레티노인산(trans), 9-시스레티노인산(cis), 게라닐 게라노일(GG), 및 게라닐 게라닐 피로포스페이트 암모늄염(GGP)을 최종 농도가 10-11, 10-10, 10-9, 10-8, 10-7 및 10-6 ㏖/L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용매로서 0.01% DMSO 함유의 인산완충액(PBS: pH 7.4)을 사용하였다. 약물 첨가로부터 4시간 후, 핵 수의 측정을 이하의 방법으로 행하였다. 간실질세포를 PBS로 세정한 후, 0.1% Triton X-100 함유의 0.1 ㏖/L 구연산용액 0.25 mL를 첨가하였다.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트함으로써 세포막을 가용화하여, 나핵(裸核)을 얻었다. 추가적으로 동량의 0.3% 트리판 블루 함유의 PBS용액을 첨가하여 염색된 핵의 수를 혈구 계산반으로 계측하였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IK-333, trans 및 GGP에는 랫트 초대배양 간세포에 대해서 유의한 증식 촉진효과가 확인되고, 그 효과는 NIK-333가 가장 강했다.
예 2: 랫트 초대배양 간세포의 세포밀도 의존성의 증식에 대한 영향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리한 간실질세포를 1, 2, 3.3, 5, 7 및 10×104 cells/㎠의 세포밀도로 파종하였다.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배양한 간실질세포에 NIK-333(10-9 ㏖/L), trans(10-7 ㏖/L), cis(10-6 ㏖/L), GG(10-7 ㏖/L), 및 GGP(10-6 ㏖/L)를 첨가하였다. 약물 첨가로부터 4시간 후,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핵 수의 측정을 행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trans는 세포밀도가 증가해도 세포 증식 촉진작용이 확인되어, 간세포에 대한 형질전환 유도작용이 시사되었다. 한편, NIK-333 및 GGP는 세포밀도의 증가와 함께 증식 촉진작용이 감약(減弱)되어, 정상적인 형질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예 3: 인간 간암 유래 세포주의 증식으로의 영향
인간 간암 유래 세포주(HuH-7, JHH-7, HLF, Hep G2)를 5% 소 신생아 혈청 함유 Minimum essential medium(MEM)(100 U/mL 페니실린 G, 0.1 ㎎/mL 스트렙토마이신)을 사용해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104 cells/mL의 세포밀도로 파종하고, 5% CO2 존재하에 있어서 37℃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1% 혈청 함유 MEM(100 U/mL 페니실린 G, 0.1 ㎎/mL 스트렙토마이신)으로 배지를 교환하고, NIK-333를 최종 농도가 10-11, 10-10, 10-9, 10-8 및 10-7 ㏖/L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용매로서 DMSO를 사용하였다. 5% CO2 존재하에 있어서 37℃에서 하룻밤 배양하고, 생세포 수의 측정을 행하였다. 생세포 수의 측정은 Cell Counting Kit(와코 순약공업)를 사용해서 행하였다. WST-1용액 10 μL를 각 웰에 첨가하고, 5% CO2 존재하에 있어서 37℃에서 3시간 가온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측정파장 450 nm, 참조파장 655 nm의 조건에서 각 웰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IK-333는 4종의 인간 간암 유래 세포주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증식 촉진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예 4: 부분 절제 간 재생 모델 동물에 대한 NIK-333의 간 재생 촉진효과
NIK-333에 의한 간실질세포 증식 촉진효과를 인비보(in vivo) 실험계의 70% 부분 간절제 랫트(Partial Hepatectomy: PH 랫트)를 사용해서 검토하였다.
Wistar계 웅성 랫트(체중 130-170 g)에 Higgins G. M. 등의 방법(Arch. Pathol., 12, pp.186-202, 1931)에 의한 70% 부분 간절제술을 시행하여 PH 랫트를 제작하였다. 이 PH 랫트에 IK-333(용매를 대두유로 하고, 0.4 ㎎/㎏/day)를 1일 1회 경구 투여하고, 투여를 1~14일간 반복 계속하여 경시적 반응을 관찰하였다. 술후, 1-14일간 사육한 모델 동물에 대해서, 디에틸에테르 마취하에서 개복하여, 잔여 간을 적출하였다. 잔여 간은 정상 간조직과 괴사 간조직(부분 간절제로 전부 절제되지 않고 남은 간장)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중량(습중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1군 3예로 실시하고, 평균값±표준오차로 표시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용매 투여군(대두유, 4 mL/㎏, p.o.)과 NIK-333 투여군 사이에서 Student t 검정을 행하였다. 검정의 유의 수준은 양측 5% 및 1%로 하였다.
NIK-333 투여군(0.4 ㎎/㎏/day)에서는, 대조군보다도 간 중량의 조기 회복이 나타났다. PH 후 3일째에 가장 현저한 차가 확인되고, 대조군의 간 중량이 2.5 g liver weight/100 g body weight(LW/BW)(증가율은 약 70%)였던 것에 대해, NIK-333 투여군에서는, 3.0 g LW/BW(증가율 85%)로, 양쪽 군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도면 중의 값은 평균값±표준오차로 나타내고, *는 P<0.05에서 유의차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NIK-333 투여군에서는 술후 3일째부터의 증식기의 증강이 현저하고, PH 후 5일째에서도 추가적인 증식이 확인되었으나, 14일째에 있어서, Sham군의 값을 초과하는 과증식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NIK-333는 인비트로(in vitro)의 실험계(초대배양 간실질세포계)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정상 간세포에 대한 증식 촉진작용을 조기에 나타내면서도, 과증식에는 도달하지 않고 간 재생을 촉진시키고 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의약은,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매개로 한 간 재생 촉진작용을 갖고 있어, 정상 간세포를 선택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간암 치료에 있어서의 간 재생 등에 유용하다.

Claims (7)

  1.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여, 간암 치료 후의 간세포 증식을 촉진하기 위한 의약으로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인 의약.
  2.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여, 간암 치료 후의 간 재생을 촉진하기 위한 의약으로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인 의약.
  3. 제2항에 있어서,
    간암 절제술 후에 있어서의 간 재생 촉진을 위해 사용하는 의약.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7001174A 2007-06-21 2008-06-20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갖는 의약 KR101457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63355 2007-06-21
JP2007163355 2007-06-21
PCT/JP2008/001606 WO2008155920A1 (ja) 2007-06-21 2008-06-20 肝細胞増殖促進作用を有する医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725A KR20100040725A (ko) 2010-04-20
KR101457737B1 true KR101457737B1 (ko) 2014-11-03

Family

ID=4015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174A KR101457737B1 (ko) 2007-06-21 2008-06-20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갖는 의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00184859A1 (ko)
EP (1) EP2168577A4 (ko)
JP (1) JP5352459B2 (ko)
KR (1) KR101457737B1 (ko)
CN (1) CN101720222B (ko)
WO (1) WO2008155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4013B (zh) * 2014-08-16 2015-07-08 广州一品红制药有限公司 一种含促肝细胞生长素的组合物和应用
CA3071363A1 (en) 2017-07-28 2019-01-31 Nissan Chemical Corporation Additive composition for culture medium, additive compound for culture medium, and method for culture of cells or tissue using same
EP3915636A4 (en) 2019-01-30 2022-03-09 Nissan Chemical Corporation HYDRAZIDE COMPOUND AND KINASE INHIBI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9181A1 (en) 2001-02-26 2002-08-29 Julia Muszynska Nutritional composition made from conventional foods for mixing onsite in a blender and treating patients with hepatic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0949A (en) 1980-04-07 1981-11-04 Eisai Co Ltd 3,7,11,15-tetramethyl-2,4,6,10,14-hexadecapentaenic acid
JPS6332058A (ja) 1986-07-22 1988-02-10 株式会社 梅彦 石材の床張り方法
JP3168669B2 (ja) 1992-02-26 2001-05-21 味の素株式会社 肝再生促進剤
KR100322404B1 (ko) * 1994-06-23 2002-05-09 나가야마 오사무 간재생용치료제
JP3696297B2 (ja) 1994-06-23 2005-09-14 中外製薬株式会社 肝再生用治療剤
WO2001080854A1 (fr) * 2000-04-24 2001-11-01 Nikken Chemicals Co., Ltd. Activateurs destines au recepteur active par le proliferateur de peroxisomes
JP2003252792A (ja) 2002-03-04 2003-09-10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肝再生促進剤
WO2003097034A1 (fr) * 2002-05-17 2003-11-27 Nikken Chemicals Co., Ltd. Inhibiteurs de l'expression du tgf-$g(a)
KR101114988B1 (ko) 2004-02-25 2012-03-13 코와소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전사인자 klf5의 활성화 억제작용을 가지는 의약
JP2007023002A (ja) 2005-07-21 2007-02-01 Univ Of Tsukuba 肝再生促進剤
JP2007045721A (ja) 2005-08-08 2007-02-22 Univ Of Tsukuba 肝再生促進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9181A1 (en) 2001-02-26 2002-08-29 Julia Muszynska Nutritional composition made from conventional foods for mixing onsite in a blender and treating patients with hepatic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55546B2 (en) 2013-06-04
JPWO2008155920A1 (ja) 2010-08-26
EP2168577A1 (en) 2010-03-31
JP5352459B2 (ja) 2013-11-27
US20120220659A1 (en) 2012-08-30
EP2168577A4 (en) 2010-10-27
WO2008155920A1 (ja) 2008-12-24
US20100184859A1 (en) 2010-07-22
CN101720222B (zh) 2016-09-07
KR20100040725A (ko) 2010-04-20
CN101720222A (zh)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 et al.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the pathophysiology of renal diseases
Hu et al. Sodium tanshinone IIA sulfonate ameliorates ischemia-induced myocardial inflammation and lipid accumulation in Beagle dogs through NLRP3 inflammasome
AU2014231648B2 (en) Substituted aromatic compounds and relate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fibrosis
JP6846392B2 (ja) 選択的s1p1レセプターアゴニストを含む薬学的合剤
Lee et al. Sulfuretin, a major flavonoid isolated from Rhus verniciflua, ameliorates experimental arthritis in mice
US20160354366A1 (en) Novel use of trimetazidine as a hepatoprotective medicine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s and conditions
KR101457737B1 (ko) 간세포 증식 촉진작용을 갖는 의약
JP5636108B2 (ja) 癌を治療するための、レチノール、その前駆体または反応性生物および少なくとも1つのカモミール植物からの植物抽出液を含む組成物
EP3113767B1 (en) Mtor-independent activator of tfeb for autophagy enhancement and uses thereof
JP2009522257A (ja) ウイルス感染症治療用薬剤
US20240093198A1 (en) Tgf-beta therapeutics for age disease
BR112015005284B1 (pt) Combinação de compostos derivados do ácido gálico,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 a referida combinação e seus usos no tratamento de câncer
WO2016080516A1 (ja) Drp1重合阻害剤
WO2023286823A1 (ja) 医薬組成物
JP2020132625A (ja) 肝臓癌に対するサフラナールとソラフェニブの併用療法
JP2011246432A (ja) C型肝炎の予防及び/又は治療のための医薬
CN111803482B (zh) 鹿茸单体在制备抑制乳腺肿瘤骨转移的药物中的应用及药物
JP2007210967A (ja) 肝癌治療又は予防用医薬組成物
TW202327566A (zh) 包含藻褐素及小分子褐藻醣膠之組合物用於製備治療或改善慢性腎病之醫藥品的用途及包含藻褐素、小分子褐藻醣膠及左旋肉鹼之組合物及包含其的醫藥品
WO2022164901A1 (en) Enhanced anti-proliferative and antitumor immune effects of mitochondria-targeted hydroxyurea
JP2012102029A (ja) アセトアミノフェン肝傷害治療剤
JP2014058497A (ja) 炎症抑制用ベンゾキノン系化合物、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医薬組成物およびサプリメント
Ellis et al. C-reactive protein does not impair insulin suppression of glucose release in primary hepatocytes
IT201900007446A1 (it) Composizione comprendente citrato e carnitina in grado di attivare la produzione della proteina klotho
WO2007018281A1 (ja) Akt活性化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