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348B1 - 수동 체인 블록 - Google Patents

수동 체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348B1
KR101456348B1 KR1020127024320A KR20127024320A KR101456348B1 KR 101456348 B1 KR101456348 B1 KR 101456348B1 KR 1020127024320 A KR1020127024320 A KR 1020127024320A KR 20127024320 A KR20127024320 A KR 20127024320A KR 101456348 B1 KR101456348 B1 KR 10145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auxiliary plate
reduction gear
hol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505A (ko
Inventor
카즈미츠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키토
Publication of KR2012012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6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operated by an endless chain passing over a pulley or a spr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로드 시브의 베어링에 관계없이 감속 기구부의 감속 기어의 위치를 더 중심 가까이 배치 가능하게 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실현함과 아울러 장치 자체의 강도를 손상하지 않는 수동 체인 블록을 제공한다. 이 수동 체인 블록에서는, 제1, 제2 주 프레임(11a, 11b)에, 축부(12a,12a)를 통하여 베어링(13a, 13b)에 의해 로드 시브(1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주 프레임(11a)의 로드 시브(12)의 축부(12a)를 지지하는 베어링(13a)의 주위에, 상기 제1 주 프레임(11a)에 설치하도록 스러스트 방향으로 드로잉 가공부(31)와, 제1 감속 기어(16b)의 축부(16br)의 베어링 구멍(33)을 형성한 보조 플레이트(30)를 배치한다.

Description

수동 체인 블록{MANUAL CHAIN BLOCK}
본 발명은, 수동 체인 블록(chain block)에 관한 것으로, 감속 기구부의 배치 구조를 재검토하여 장치 전체를 더욱 소형화 및 경량화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수동 체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하역작업에 사용되는 수동 체인 블록이 있었다. 이 수동 체인 블록은, 체인 블록 본체와, 체인 블록 본체를 현가하는 상부 후크(hook)와, 체인 블록 본체의 로드 시브(load sheave)에 감겨진 로드 체인(load chain)과, 로드 체인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 후크와, 로드 시브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핸드 휠(hand wheel)에 감겨진 핸드 체인(hand chain)을 구비한다. 또한, 핸드 체인은, 예를 들면 무단 체인, 무단 벨트, 무단 로프를 포함하고, 작업자의 조작력을 핸드 휠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핸드 휠도 마찬가지로, 핸드 휠에 걸려서 돌려지는 무단 체인, 무단 벨트, 무단 로프에 결합하여 작업자의 조작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한다.
이상과 같은 수동 체인 블록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의 것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수동 체인 블록(1)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1쌍의 프레임(2a, 2b)을 가진다. 이들 프레임(2a, 2b) 사이에는 로드 시브(3)의 기부축(4)이 베어링(4B)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부축(4)의 중심공(4a)에는 구동축(5)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구동축(5)과 로드 시브(3) 사이에는 감속 기어 기구(6)가 설치되어 있어, 구동축(5)의 회전 동력이 로드 시브(3)에 감속하여 전달되어 로드 체인의 권상 및 권하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감속 기어 기구(6)는, 구동축(5)의 축단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6a)와, 이 피니언 기어(6a)에 맞물리는 2개의 제1 감속 기어(6b, 6b)와, 이들 제1 감속 기어(6b, 6b)의 기어 축(6c, 6c)에 설치된 제2 감속 기어(6d, 6d)와, 이들 제2 감속 기어(6d, 6d)와 맞물리는 로드 기어(6e)를 구비한다. 이 경우, 프레임(2a)에는 로드 시브(3)의 기부축(4)을 지지하는 베어링(4B)의 위치에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의 위치에, 제1 감속 기어(6b, 6b)의 기어 축(6c, 6c)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f)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5)의 피니언 기어(6a)와 반대 측인 축단 측에는 나사부(7)가 형성된다. 이 나사부(7)에는, 핸드 휠(8)을 가진 기계식 브레이크(9)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특허문헌1: 실개소 59-195193호 공보
그러나, 이상의 수동 체인 블록(1)에서는, 제1 감속 기어(6b, 6b)와 피니언 기어(6a) 및 제2 감속 기어(6d, 6d)와 로드 기어(6e)의 축간 거리가 크고, 각 기어가 대경이 된다. 또한, 로드 시브(3)의 기부축(4)을 지지하는 베어링(4B)의 존재와, 제1 감속 기어(6b, 6b)의 기어 축(6c, 6c)을 지지하는 베어링(6f)의 존재로 인하여 각 감속 기어의 축을 구동축(5)의 축심 근처에 배치할 수 없고, 이것이 수동 체인 블록(1)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장애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로드 시브의 베어링 외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감속 기구부를 구성하는 감속 기어의 위치를 내측에 배치할 수 있어, 장치 전체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장치 자체의 강도를 손상시키지도 않는 수동 체인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수동식 체인 블록은, 수동에 의한 조작력을 받아서 회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동축으로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프레임에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축에 감속 기어 기구를 통하여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로드 체인이 감겨지는 로드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 기어 기구는, 상기 구동축에 설치한 피니언 기어와, 이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감속 기어와, 상기 로드 시브와 연동함과 아울러 상기 감속 기어에 맞물리는 로드 기어를 갖고 있고,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상기 베어링의 주위에, 이 베어링의 스러스트(thrust) 방향으로 단차 가공되고, 또한 상기 감속 기어의 베어링으로서의 베어링 구멍이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동 체인 블록에서는, 종래와 같은 감속 기어의 베어링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에 로드 시브를 지지하는 베어링에 방해받지 않고, 이 베어링이 대경의 구름 베어링이어도 감속 기어의 축을 더욱 중심 측으로 접근시킬 수 있어, 기어 기구 주위의 점유 공간을 더욱 절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보조 플레이트는, 감속 기어에 작용하는 힘 및 로드 시브를 지지하는 베어링에 작용하는 스러스트 힘을 상기 단차 가공된 부위에서 받을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드로잉(drawing) 가공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보조 플레이트의 설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하도록 형성된 드로잉 가공부와, 상기 드로잉 가공부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공과, 상기 중심공에 근접하여 상기 프레임의 보조 플레이트의 설치면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감속 기어의 베어링으로서의 베어링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동 체인 블록에 의하면, 감속 기어의 축부는 프레임의 보조 플레이트의 설치면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된 베어링 구멍에서 지지되므로, 예를 들면 보조 플레이트를 얇은 강판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베어링 구멍은,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상기 프레임 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통부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동 체인 블록에 의하면, 프레임에 보조 플레이트를 설치하였을 때에, 베어링 구멍을 형성하는 통부가 프레임의 보조 플레이트의 설치면에 접촉함으로써, 베어링 구멍에 작용하는 감속 기어로부터의 스러스트 힘이 프레임에 전달되어 프레임에서 지지되므로, 보조 플레이트의 박판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드로잉 가공부의 외연부의 외측 부근에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리벳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고정공에 의하면, 보조 플레이트를 위치 이탈시키지 않고 프레임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가 있다.
아울러,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베어링 구멍의 상기 중심공 근처의 통부를, 상기 베어링의 측면에 접하도록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동 체인 블록에 의하면, 감속 기어의 축을 더욱 중심 가까이 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로드 시브의 베어링에 대한 스러스트 방향의 힘이 보조 플레이트의 베어링 구멍의 중앙 근처의 통부에서 막아지므로 로드 시브를 축 지지하는 베어링에는 스러스트 스냅 링은 필요치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차 가공되고, 통상의 베어링으로 치환되는 베어링 구멍을 가공한 보조 플레이트에 의해, 감속 기구부를 구성하는 기어 축의 통상의 베어링을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로드 시브의 베어링의 존재에 관계없이 감속 기구부를 구성하는 기어 축을 더욱 중심 가까이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를 더욱 더 소형화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단차 가공된 부위가, 스러스트 방향의 힘 등을 막아낼 수 있으므로 보조 플레이트 및 프레임의 박판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 체인 블록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동 체인 블록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동 체인 블록을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수동 체인 블록의 제1 주 프레임과, 제1 주 프레임에 설치된 보조 프레임의 조립 위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1 주 프레임과 유지 플레이트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동 체인 블록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수동 체인 블록의 일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체인 블록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들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체인 블록(10)을 나타낸다.
이 수동식 체인 블록(1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1, 제2 주 프레임(11a, 11b)과, 베어링(볼 베어링)(13a,13b)을 통하여 이 제1, 2 주 프레임(11a, 1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드 시브(12)를 구비한다. 로드 시브(12)는 축부(12a, 12b)에서 베어링(13a, 13b)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수동식 체인 블록(10)에서는, 로드 시브(12)의 축부(12a, 12b)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관통공(12c) 내에 구동축(15)이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15)은 니들 베어링(14a, 14b)을 통하여 로드 시브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축(15)과 로드 시브(12) 사이에는 감속 기어 기구(16)가 설치되어 있어, 구동축(15)의 회전 동력이 로드 시브(12)에 감속하여 전달된다.
또한, 제1, 제2 주 프레임(11a, 11b)에는, 3개의 스터드 볼트(17)를 이용하여 감속 기어 기구(16)를 수용하는 기어 커버(Gc)와, 후술하는 기계식 브레이크(19) 및 핸드 휠(20)을 수용하는 휠 커버(Hc)가 연결되어 유지되고 있다. 아울러, 제1, 제2 주 프레임(11a, 11b)의 상부에 고정된 축(도시 생략)에 의해 제1, 제2 주 프레임(11a, 11b)에 상부 후크(18)가 피벗(pivot) 고정되어 있다.
도면에서, 제1 주 프레임(11a)으로부터 왼쪽으로 로드 시브(12)의 축부(12a)에서 돌출하는 구동축(15)의 좌단 측에는 상기 감속 기어 기구(1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구동축(15)에서, 제2 주 프레임(11b)로부터 오른쪽으로 로드 시브(12)의 축부(12b)에서 돌출하는 우측단에는, 구동축(15)의 축단을 향하여 리드가 비교적 큰 나사(다조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축(15)의 축단에는 핸드 휠(20)을 가진 기계식 브레이크(19)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식 브레이크(19)는, 종동부재(19a)와, 종동부재(19a)의 보스(boss)부의 외주부에 설치된 1쌍의 브레이크 부재(19b, 19b)와, 이들 브레이크 부재(19b, 19b) 사이에 부시(19c)를 통하여 설치된 래칫(19d)과, 제2 주 프레임(11b)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19e)에 의해 가압되어서 래칫(19d)과 맞물려 권하(卷下) 방향으로의 래칫(19d)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걸림 부재(19f)와, 외주에 핸드 휠(20)을 일체적으로 가진 구동부재(19g)를 구비한다.
핸드 휠(20)에는, 작업자의 조작력을 핸드 휠(20)에 전달하는 무단(無端)의 핸드 체인(도시 생략)이 감겨진다. 핸드 휠(20)이 핸드 체인에 의해 정회전함에 따라, 구동부재(19g)는 구동축(15)의 다조 나사 위를 이동하여 상기 기계식 브레이크(19)의 브레이크 부재(19b)에 압접되어, 핸드 휠(20)과 구동축(15)이 동력적으로 결합된다. 그 결과, 핸드 휠(20)의 권상 회전력이 구동축(15)에 전달된다. 한편, 핸드 휠(20)이 역회전함에 따라, 구동부재(19g)가 브레이크 부재(19b)와 래칫(19d)의 압접을 해방하여 브레이크 작용이 해제된다. 그 결과, 구동축(15)은 권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축(15)의 좌단 측에 설치되는 감속 기어 기구(16)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감속 기어 기구(16)는, 상기 구동축(15)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16a)와, 이 피니언 기어(16a)에 맞물리는 1쌍의 제1 감속 기어(16b, 16b)를 가진다.
피니언 기어(16a)는, 구동축(15)의 축단에 기어 가공된 작은 기어이다. 또한 구동축(15)에는, 축단의 피니언 기어(16a)에 인접하고, 축경으로 비교하여 대경인 턱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턱부(15a)와, 로드 시브(12)의 축부(12a)에서 돌출하는 부위 사이에 와셔(W)가 배치되어 스러스트(thrust) 방향의 축 멈춤이 확립된다.
피니언 기어(16a)에는 소정의 제1단 감속비로 1쌍의 제1 감속 기어(16b, 16b)가 각각 맞물린다. 1쌍의 제1 감속 기어(16b, 16b)는, 상기 피니언 기어(16a)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대향한다.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1쌍의 제1 감속 기어(16b, 16b)의 축부는, 구동축(15)의 축단에 대향하는 기어 커버(Gc)의 단면과, 제1 주 프레임(11a)에 설치한 후술하는 보조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속 기어 기구(16)는, 상기 1쌍의 제1 감속 기어(16b, 16b)의 축부에 설치된 제2 감속 기어(16c, 16c)와, 이들 제2 감속 기어(16c, 16c)에 소정의 제2단 감속비로 맞물리는 로드 기어(16d)를 갖고 있다.
상기 로드 기어(16d)는, 로드 시브(12)의 축부(12a)의 외주면에 끼워 넣어져 스플라인 결합 상태로 유지된다. 로드 기어(16d)는 좌단 측의 중앙부에 홈부(16e)를 가진다. 턱부(15a)는 홈부(16e) 내에 배치되고, 로드 기어(16d)의 좌단면이 턱부(15a)와 한 면을 이룬다. 또한, 로드 기어(16d)의 홈부(16e)와 반대 측의 중앙부는, 베어링(13a)을 향하여 팽출하는 보스부(16f)를 가진다. 보스부(16f)는 로드 기어(16d)의 외경보다 소경으로 형성된다. 이 보스부(16f)는, 후술하는 보조 플레이트(30)의 중심공(32) 내에 삽입되어 중심공(32) 내에 배치된다. 축부(12a)의 단차부로 로드 기어(16d)는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 시브(12)의 축부(12a)를 지지하는 제1 주 프레임(11a)의 베어링(13a) 주위에는 보조 플레이트(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보조 플레이트(30)는, 상기 제1 주 프레임(11a)의 측면에 설치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보조 플레이트(30)에는 스러스트 방향으로 단차 소성 가공이 행하여져 있다.
이러한 보조 플레이트(30)의 형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드로잉 가공에 의해 제1 주 프레임(11a)의 단면에서부터 소정 거리만큼 중앙 부위를 이격하도록 드로잉 가공부(31)가 형성된다. 이어, 드로잉 가공부(31)에는, 드로잉 가공부(31)를 중심으로, 베어링(13a)의 외주 측이 접한 상태로 베어링(13a)을 삽입 가능한 중심공(32)이 천공 설치된다.
또한, 축부(12a, 12b)를 통하여 로드 시브(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3a, 13b)은, 제1, 제2 주 프레임(11a, 11b)이 서로 대향하는 내측에서 플랜지 형으로 돌출하는 로드 시브(12)의 돌출부와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베어링(13a,13b)에는 로드 시브(12)로부터 받는 스러스트 방향의 힘에 대하여 베어링(13a, 13b)을 유지하는 스냅 링(13r)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제1 주 프레임(11a)에 설치한 보조 플레이트(3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주 프레임(11a)에는, 로드 시브(12)의 축부(12a)를 베어링(13a)을 통하여 삽입 통과하기 위한 삽입공(11ah)이 형성된다. 보조 플레이트(30)의 중심공(32)의 축심이 삽입공(11ah)의 축심에 일치하도록, 중심공(32)과 삽입공(11ah)에 끼워지는 축형의 위치 결정용 지그(zig)를 이용하여 보조 플레이트(30)가 위치 결정되어, 보조 플레이트(30)는 제1 주 프레임(11a)에 리벳(R)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심공(32)과 삽입공(11ah)에 각각 끼워지는 축경부가 위치 결정용 지그에 형성되어 있으면, 중심공(32)이 삽입공(11ah)에 일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와 같이 중심공(32)과 삽입공(11ah)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 중심공(32)과 삽입공(11ah)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짐과 아울러 삽입공(11ah)과 중심공(32)에서 간격을 두고 베어링(13a)의 외주가 폭 넓게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베어링(13a)은 공고하게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보조 플레이트(3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재인 강판의 중앙 부위가, 예를 들면 드로잉 가공에 의해 제1 주 프레임(11a)의 단면에서부터 소정 거리까지 이격함으로써 드로잉 가공부(31)가 형성된다. 드로잉 가공부(31)는, 모서리부를 둥글게 한 대략 평면 마름모꼴의 바닥부를 가진다. 그 후, 드로잉 가공부(31)의 중심에 중심공(32)이 천공된다. 동시에, 중심공(3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예를 들면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상기 제1 감속 기어(16b)의 축부(16br)의 베어링 구멍(33)이 형성된다. 베어링 구멍(33)은, 중심공(32)의 중심에서부터 등거리의 위치이고, 드로잉 가공부(31)의 바닥부 마름모꼴의 긴 대각선 상에 형성된다. 아울러, 드로잉 가공부(31)의 외연부 근처에는, 리벳(R)에 의해 제1 주 프레임(11a)에 보조 플레이트(30)를 고정하기 위한 2군데 이상의 고정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 플레이트(30)는, 중심공(32)과 삽입공(11ah)을 이용하여 제1 주 프레임(11a)에 대하여 중심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보조 플레이트(30)에서는, 고정공(34)의 근처에, 중심공(32)의 원주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는 제1 주 프레임(11a)의 위치 결정 구멍(미도시)과 끼워 맞춰지는 엠보스(emboss)(하프 펀치(half punch): 미도시)가 형성된다. 이 위치 결정 구멍과 엠보스에 의해 보조 플레이트(30)는 위치 결정되고 리벳(R)에 의해 제1 주 프레임(11a)에 고정된다. 보조 플레이트(30)의 베어링 구멍(33)의 통부(33a)는, 제1 주 프레임(11a)에 밀접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보조 플레이트(30)에는, 제1 주 프레임(11a)에 고정되기 전에 소정의 열처리(담금질 등)가 행해진다. 또, 보조 플레이트(30)는, 제1 주 프레임(11a)에 고정됨에 따라, 베어링을 구성함과 동시에 제1 주 프레임(11a)의 스러스트 방향의 변형을 드로잉 가공부(31)에 의해 방지하는 강도부재를 구성한다.
또, 상기 제1 감속 기어(16b)의 좌단 측의 축단은, 기어 커버(Gc)의 구동축(15)의 축단에 대향하는 부위에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된 베어링 구멍(3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베어링 구멍(35)의 외측에는, 커버 단판(端板)(Ct)이 설치되어 있고, 기어 커버(Gc)의 내측 공간에 소정의 그리스(grease)가 충전되어 각 기어 및 베어링부의 윤활성이 확보되고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체인 블록(10)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고, 다음으로 이 수동식 체인 블록(10)의 동작 및 작용에 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핸드 체인(도시 생략)의 조작에 의해 핸드 휠(20)이 정회전하면, 핸드 휠(20)의 구동부재(19g)는, 구동축(15)의 다조 나사 위를 이동하여 기계식 브레이크(19)의 브레이크 부재(19b)에 접촉하여 브레이크 부재(19b) 등을 조인다. 그 결과, 종동부재(19a)와 구동축(15)이 동력적으로 결합되어 핸드 휠(20)의 회전력이 구동축(15)에 전달된다.
한편, 핸드 휠(20)이 상술한 회전 방향과는 반대로 회전하면, 핸드 휠(20)의 구동부재(19g)는, 구동축(15)의 다조 나사 위를 이동하여 기계식 브레이크(19)의 브레이크 부재(19b)로부터 멀어진다. 그 결과, 기계식 브레이크(19)의 브레이크 작용이 해제되어, 구동축(15)은 핸드 휠(20)과 함께 권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동시에, 로드 시브(12)에 감겨진 로드 체인이 권하하여, 하물을 매다는 하부 후크(도시 생략)는 하물이 있는 곳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하물이 하부 후크에 걸쳐지고 상기 핸드 휠(20)이 정회전하면, 핸드 휠(20)의 구동부재(19g)는, 구동축(15)의 다조 나사 위를 이동하여 기계식 브레이크(19)의 브레이크 부재(19b)에 접촉하여 브레이크 부재(19b) 등을 조인다. 그 결과, 종동부재(19a)와 구동축(15)이 동력적으로 결합되어, 핸드 휠(20)의 회전력이 구동축(15)에 전달된다. 이렇게 하여 감속 기어 기구(16)를 통하여 소정의 감속비로 로드 시브(12)가 회전하고, 로드 체인으로 짐의 권상이 행해진다.
그런데, 상기 핸드 휠(20)의 회전력이 구동축(15)에 전달되면, 상기 회전력은, 구동축(15)의 축단의 피니언 기어(16a)로부터 피니언 기어(16a)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여 맞물려진 1쌍의 제1 감속 기어(16b, 16b)에 소정의 제1단 감속비로 전달된다.
1쌍의 제1 감속 기어(16b, 16b)는, 기어 커버(Gc)의 베어링 구멍(35)을 좌단 측 축단의 베어링으로 하고, 보조 플레이트(30)의 중심공(32) 근처의 베어링 구멍(33)을 축부(16br)의 우단 측 베어링으로 하여 회전할 수가 있다.
이어서, 이러한 제1단 감속비로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1쌍의 제1 감속 기어(16b, 16b)의 축부에 일체 성형된 제2 감속 기어(16c)를 통하여 로드 기어(16d)에 소정의 제2단 감속비로 전달된다. 그 후에, 회전력은, 로드 기어(16d)와 스플라인 결합 상태에 있는 로드 시브(12)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 기어(16d)와 로드 시브(12)는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속 기어(16c)의 기어 형성부의 측방면은, 베어링(13a)의 주위에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30)의 드로잉 가공부(31)에 접하도록 대향하게 된다. 그 결과, 감속 기어(16c)가 로드 시브(12)와 함께 회전할 때에 발생하는 감속 기어(16c)의 스러스트 방향 및 래디얼(radial) 방향의 힘은, 상기 보조 플레이트(30)의 드로잉 가공부(31)로 받아진다.
아울러, 보조 플레이트(30)의 드로잉 가공부(31)는, 제1 주 프레임(11a)의 단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30)에는, 소정의 열처리가 행해져 있다. 또, 보조 플레이트(30)의 베어링 구멍(33)의 통부(33a)가, 제1 주 프레임(11a)에 밀접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감속 기어(16c)의 스러스트 힘은 통부(33a)를 통하여 제1 주 프레임(11a)에서 받아지므로 보조 플레이트(30)가 박판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수동식 체인 블록(10)에서는, 감속 기어 기구(16)에 있어서 스페이스(space)적으로 문제가 되는 1쌍의 제1 감속 기어(16b, 16b)가 배치될 때, 통상의 베어링을 대신하여 기어 커버(Gc)나 보조 플레이트를 가공한 베어링 구멍(35, 33)을 베어링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보조 플레이트(30)의 베어링 구멍(33)은, 중심공(32)에 근접하여 로드 시브(12)의 축부(12a)를 지지하는 베어링(13a)에 인접하여 형성되므로 감속 기어의 축이 매우 중심 근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수동식 체인 블록(10)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30)가 드로잉 가공부(31)의 중심공(32)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베어링 구멍(33)의 통부(33a)를 통하여 제1 주 프레임(11a)에 밀접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 주 프레임(11a)과 보조 플레이트(30)의 복합 구조가 확립된다. 그 결과, 로드 시브(12) 및 감속 기어에 걸리는 힘이 분산하여 유지되므로 제1 주 프레임(11a) 및 보조 플레이트(30)의 박판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체인 블록(40)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체인 블록(4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체인 블록(10)과 기본적으로는 같은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됨과 아울러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이 경우의 수동식 체인 블록(40)에서는, 감속 기어의 축을 더욱 중심 근처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또는 대경의 베어링(볼 베어링)(13a)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보조 플레이트(30)는 로드 시브(12)의 축부(12a)를 지지하는 베어링(13a)의 외주 주위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로드 기어(16d)의 톱니부 형성부와 베어링(13a) 사이에, 즉 로드 시브(12)의 축부(12a)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동식 체인 블록(40)에 있어서도, 감속 기어 기구(16)의 제1 감속 기어(16b)의 좌단 측의 축단은, 기어 커버(Gc)에 형성된 베어링 구멍(3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축부(16br)의 우단 측은, 보조 플레이트(30)의 베어링 구멍(3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보조 플레이트(30)의 베어링 구멍(33)은, 제1 주 프레임(11a)의 베어링(13a)에 직경 방향으로 근접되어 있고, 베어링 구멍(33) 중앙 근처의 통부(33a)는, 베어링(13a) 측면에 접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 구성에 의해, 로드 시브(12)의 축부(12a)를 지지하는 베어링(13a)에 대한 스러스트 방향의 힘은, 상기 보조 플레이트(30)의 베어링 구멍(33)의 중앙 근처의 통부(33a)로 받아낼 수 있다.
또한, 베어링(13a)의 외경이 통부(33a)의 배치 위치보다 소경인 경우, 베어링(13)의 측면에는, 통부(33a)가 아니라 중심공(32)의 내주 주위의 드로잉 가공부(31)의 저부 고리형부(31a)가 접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은 수동식 체인 블록(40)에 의하면, 감속 기어의 축을 더욱 중심 가깝게 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로드 시브(12)의 축부(12a)를 지지하는 베어링(13a)에 대한 스러스트 방향의 힘이, 상기 보조 플레이트(30)의 베어링 구멍(33)의 중앙 근처의 통부(33a) 또는 중심공(32)의 내주 주위의 고리형부(31a)로 받아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어링(13a)에 대한 로드 시브(12)로부터의 스러스트 방향의 힘은, 상기 보조 플레이트(30)의 로드 기어(16d)의 톱니부 형성부와 베어링(13a)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받아낼 수 있으므로, 베어링(13a)에 설치되어 로드 시브(12)로부터 받는 스러스트 방향의 힘을 지지하는 스냅 링(13r)은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하여 특정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술하였지만, 당업자이라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수정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 수동 체인 블록
11a: 제1 주 프레임
11ah: 삽입공
11b: 제2 주 프레임
12: 로드 시브
12a, 12b: 축부
12c: 관통공
13a, 13b: 베어링
13r: 스냅 링
14a, 14b: 니들 베어링
15: 구동축
15a: 턱부
16: 감속 기어 기구
16a: 피니언 기어
16b: 제1 감속 기어
16br: 축부
16c: 제2 감속 기어
16d: 로드 기어
16f: 보스부
17: 스터드 볼트
18: 상부 후크
19: 기계식 브레이크
19a: 종동부재
19b: 브레이크 부재
19c: 부시
19d: 래칫
19e: 비틀림 스프링
19f: 걸림 부재
20: 핸드 휠
30: 보조 플레이트
31: 드로잉 가공부
31a: 저부 고리형부
32: 중심공
33: 베어링 구멍
33a: 통부
34: 고정공
35: 베어링 구멍
40: 수동식 체인 블록
Gc: 기어 커버
Hc: 휠 커버
W: 와셔
R: 리벳
Ct: 커버 단판(端板)

Claims (5)

  1. 수동식 체인 블록으로서,
    수동에 의한 조작력을 받아서 회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동축으로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프레임에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축에 감속 기어 기구를 통하여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로드 체인이 감겨지는 로드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 기어 기구는, 상기 구동축에 설치한 피니언 기어와, 이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감속 기어와, 상기 로드 시브와 연동함과 아울러 상기 감속 기어에 맞물리는 로드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상기 베어링의 주위로, 이 베어링의 스러스트 방향으로 단차 가공되고, 또한 상기 감속 기어의 베어링으로서의 베어링 구멍이 형성된 보조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감속 기어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베어링의 스러스트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체인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보조 플레이트 설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하도록 형성된 드로잉 가공부와,
    상기 드로잉 가공부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공과,
    상기 중심공의 외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보조 플레이트의 설치면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감속 기어의 베어링으로서의 베어링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체인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멍은, 버링 가공에 의해 상기 프레임 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통부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체인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가공부의 외연부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리벳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체인 블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베어링 구멍의 상기 중심공 근처의 통부를, 상기 베어링의 측면에 접하도록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체인 블록.
KR1020127024320A 2010-03-25 2011-03-16 수동 체인 블록 KR101456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9912A JP5550410B2 (ja) 2010-03-25 2010-03-25 手動チェーンブロック
JPJP-P-2010-069912 2010-03-25
PCT/JP2011/057060 WO2011118666A1 (ja) 2010-03-25 2011-03-16 手動チェーンブロ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505A KR20120127505A (ko) 2012-11-21
KR101456348B1 true KR101456348B1 (ko) 2014-11-03

Family

ID=4467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320A KR101456348B1 (ko) 2010-03-25 2011-03-16 수동 체인 블록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84172B2 (ko)
EP (1) EP2551236B1 (ko)
JP (1) JP5550410B2 (ko)
KR (1) KR101456348B1 (ko)
CN (1) CN102834344B (ko)
AU (1) AU2011230372B2 (ko)
BR (1) BR112012024043B1 (ko)
CA (1) CA2793962C (ko)
WO (1) WO2011118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7188B2 (ja) * 2012-07-30 2015-12-02 株式会社キトー チェーンブロック
JP6068857B2 (ja) * 2012-07-30 2017-01-25 株式会社キトー チェーンブロック
JP2014108839A (ja) 2012-11-30 2014-06-12 Kito Corp チェーンブロックおよびロードチェーン
JP6029955B2 (ja) 2012-11-30 2016-11-24 株式会社キトー チェーンブロック
US10093084B2 (en) 2014-02-26 2018-10-09 Jowat Se Laminating process employing grid-like adhesive application
CN106976812B (zh) * 2017-04-11 2022-08-09 陈树忠 一种手拉葫芦空载、带载升降速度变换机构
CN106882718B (zh) * 2017-04-17 2018-09-25 维多利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改进的手扳葫芦结构
US10099904B1 (en) * 2017-05-25 2018-10-16 James Zaguroli, Jr. Safety arrangement for a hois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1989U (ja) * 1982-04-21 1983-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ホイスト
JPS59195193U (ja) * 1983-06-10 1984-12-25 象印チエンブロツク株式会社 捲上機
JP2004168454A (ja) 2002-11-18 2004-06-17 Kito Corp 巻上、牽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7808Y2 (ko) * 1973-05-14 1977-06-24
JPS5759223A (en) 1980-09-26 1982-04-09 Toshiba Corp Keyboard device
JPH0243789B2 (ja) 1981-11-24 1990-10-01 Toshiba Electric Equip Keikomakunokeiseihoho
PT76165A (en) 1982-02-02 1983-02-01 Plast Labor Sa Marking agent used namely for the marking of explosive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S59195193A (ja) 1983-04-21 1984-11-06 富士電機株式会社 原子炉の炉外燃料貯蔵槽
CN2067699U (zh) * 1990-03-18 1990-12-19 夏元峰 自动变速手拉葫芦
US5556078A (en) * 1992-12-16 1996-09-17 Elephant Chain Block Company Limited Manual hoist and traction machine
AU666078B2 (en) * 1993-07-02 1996-01-25 Elephant Chain Block Company Limited Manual chain block
JP3355484B2 (ja) * 1998-11-19 2002-12-09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巻上機
JP3416608B2 (ja) 2000-03-27 2003-06-16 株式会社キトー 巻上、牽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1989U (ja) * 1982-04-21 1983-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ホイスト
JPS59195193U (ja) * 1983-06-10 1984-12-25 象印チエンブロツク株式会社 捲上機
JP2004168454A (ja) 2002-11-18 2004-06-17 Kito Corp 巻上、牽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0410B2 (ja) 2014-07-16
US9284172B2 (en) 2016-03-15
KR20120127505A (ko) 2012-11-21
JP2011201637A (ja) 2011-10-13
BR112012024043B1 (pt) 2021-05-18
BR112012024043A2 (pt) 2016-08-30
CN102834344B (zh) 2015-03-04
CN102834344A (zh) 2012-12-19
AU2011230372A1 (en) 2012-10-04
EP2551236A4 (en) 2013-10-09
EP2551236A1 (en) 2013-01-30
EP2551236B1 (en) 2015-05-13
CA2793962A1 (en) 2011-09-29
AU2011230372B2 (en) 2015-01-22
WO2011118666A1 (ja) 2011-09-29
CA2793962C (en) 2015-07-14
US20130001489A1 (en)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348B1 (ko) 수동 체인 블록
JP7188849B2 (ja) 減速機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EP2722254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958041B1 (ko) 기어 장치
KR20140014714A (ko) 소음저감형 전동식 조향장치
WO2014021254A1 (ja) チェーンブロック
WO2013035506A1 (ja) リフト機構の荷重保持機構
US20140260743A1 (en) Wheel driving apparatus
JP2011105210A (ja) 作業用車両の終減速装置
JP2013170674A (ja) 動力伝達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WO2017208385A1 (ja) ヘリカルlsd用クラッチ付キャップ
JP2004239320A (ja) 減速装置
JP2008247055A (ja) リダクション型アクスル装置
JP2008002599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4735970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の組み付けアセンブリおよび組み付けアセンブリ用固定具
JP6182428B2 (ja) 遊星歯車減速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84262B2 (ja) 巻上機組立治具及び巻上機組立治具を用いた巻上機組立方法
JP4396474B2 (ja) 電動工具
JP7444551B2 (ja) 回転機器の軸受組付け部構造
JP2016125538A (ja) ボールねじ装置及びボールねじ装置を備えた動力伝達装置
JP2003028177A (ja) 軸受の配置構造
JP2007126107A (ja) 動力伝達装置
JP4817686B2 (ja) 駆動軸減速装置
KR20200002188A (ko) 등속 조인트
CN112081897A (zh) 传动齿轮的支承部构造、减速器、以及旋转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