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266B1 - 검지 장치, 검지 방법, 및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검지 장치, 검지 방법, 및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266B1
KR101452266B1 KR1020110048814A KR20110048814A KR101452266B1 KR 101452266 B1 KR101452266 B1 KR 101452266B1 KR 1020110048814 A KR1020110048814 A KR 1020110048814A KR 20110048814 A KR20110048814 A KR 20110048814A KR 101452266 B1 KR101452266 B1 KR 101452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gnetic field
electric signal
detected
electr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219A (ko
Inventor
세이고 마키다
쇼지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08B13/2465Aspects related to the EAS system, e.g. system components other than tags
    • G08B13/2468Antenna in system and the related signal processing
    • G08B13/2471Antenna signal processing by receiver or emit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08B13/2465Aspects related to the EAS system, e.g. system components other than tags
    • G08B13/248EAS system combined with another detection technology, e.g. dual EAS and video or other presence detection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4Screened antenn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교번 자계(交番磁界)를 발생시키는 자계 발생 코일과, 상기 자계 발생 코일에 의해 발생된 교번 자계에 따른 전기 신호가 유도되는 신호 유도 코일과,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검지 대상으로 하는 자성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상기 자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제2 전기 신호의 차이로부터 얻어진 제3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자성체를, 당해 자성체의 자화(磁化) 반전에 의한 자장(磁場)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한 검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검지 장치, 검지 방법, 및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SENSING DEVICE, SEN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검지 장치, 검지 방법, 및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표평11-506279호 공보에는, EAS 장치에 이용되는 안테나 구조로서, 제1 및 제2의 인접하는 동일면의 루프와, 당해 제1면 루프에 접속되어 있어, 당해 제1면 루프에 직접적으로 교번(交番) 전류를 발생시키는 신호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루프가 유도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1 루프 내의 교번 전류가, 상기 제2 루프에, 상기 제1 루프 내의 교번 전류로부터 약 90도 위상이 어긋난 다른 교번 전류를 유도적으로 발생시키는 안테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노이즈에 의한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는 검지 장치 및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검지 장치는,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교번 자계(磁界)를 발생시키는 자계 발생 코일과,
상기 자계 발생 코일에 의해 발생된 교번 자계에 따른 전기 신호가 유도되는 신호 유도 코일과,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검지 대상으로 하는 자성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상기 자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제2 전기 신호의 차이로부터 얻어진 제3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자성체를, 당해 자성체의 자화(磁化) 반전에 의한 자장(磁場)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한 검지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검지 장치는,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전기 신호가 당해 제2 전기 신호의 부호가 반전된 상태로 중첩됨으로써 얻어진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양태에 기재된 검지 장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검지 장치는,
상기 제2 전기 신호는,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가 미리 정해진 역치(threshold value) 이하인 경우에 얻어진 것인 제1 양태에 기재된 검지 장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검지 장치는,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이동체가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전기 신호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통과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얻어진 것인 제1 양태에 기재된 검지 장치여도 된다.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른 검지 장치는,
상기 제2 전기 신호는, 디지털 정보로서 미리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지 장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른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는,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계 발생 코일에 의해 발생된 교번 자계에 따른 전기 신호가 유도되는 신호 유도 코일에 의해,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검지 대상으로 하는 자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도된 제2 전기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서 미리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상기 자성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디지털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차이로부터 얻어진 제3 전기 신호를 증폭기에 의해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자성체를, 당해 자성체의 자화 반전에 의한 자장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검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지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이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른 검지 방법은,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계 발생 코일에 의해 발생된 교번 자계에 따른 전기 신호가 유도되는 신호 유도 코일에 의해,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검지 대상으로 하는 자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도된 제2 전기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서 미리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상기 자성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디지털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차이로부터 얻어진 제3 전기 신호를 증폭기에 의해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자성체를, 당해 자성체의 자화 반전에 의한 자장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검지하는 검지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6 양태의 발명에 의하면, 제1 전기 신호에만 의거하여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통과하는 자성체를 검지할 경우에 비교하여, 노이즈에 의한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1 전기 신호와 제2 전기 신호의 차이를 이용할 경우에 비교하여, 보다 간단하게 노이즈에 의한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에 비교하여, 보다 확실하게 노이즈에 의한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2 전기 신호로서,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이동체가 통과하고 있는 경우에 얻어진 것을 이용할 경우에 비교하여, 보다 확실하게 노이즈에 의한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2 전기 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털 정보를 기억하지 않은 경우에 비교하여, 보다 적확하게 노이즈에 의한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의 평면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의 전기적인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큰 바르크하우젠 효과의 설명에 제공하는 파형도.
도 4는 종래의 검지 장치의 문제점의 설명에 제공하는 파형도.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증폭기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모식도(일부 회로도).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백그라운드 노이즈 취득 처리 프로그램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체 통과 인터럽트 처리 프로그램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의 다른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여자(勵磁; exciting) 코일의 다른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의 다른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일부 회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는, 큰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갖는 자성체가 매립된 태그가 통과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여, 통과했을 경우에 경보를 발하는 것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는, 2개의 대향하는 시큐리티(security) 게이트(10)와, 2개의 시큐리티 게이트(10)를 서로 마주보게 하여 병렬로 지지하는 지지대(14)와, 각 시큐리티 게이트(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태그의 통과가 검지되었을 경우에 빛이 발생되는 경고등(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2개의 시큐리티 게이트(1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설치해도 되고, 지지대(14) 내에 설치해도 되며, 2개의 시큐리티 게이트(10)와는 별체로서 설치해도 된다. 또한, 경고등(30)도 2개의 시큐리티 게이트(10)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해도 되고, 2개의 시큐리티 게이트(10)와는 별체로서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는, 시큐리티 게이트(10)와 지지대(14) 사이에 조정 부재(16)가 설치되어 있어, 시큐리티 게이트(10)의 높이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2개의 시큐리티 게이트(10) 사이의 공간이 태그를 검지하는 검지 영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출이 금지되어 있는 중요 서류 등의 물품(41)에 상기 태그를 붙여 일체로 해 둔다. 한편, 시큐리티 게이트(10)를 물품(41)이 보관되어 있는 공간의 출입구에 설치해 둔다. 이에 따라, 물품(41)이 상기 공간으로부터 반출될 때에 경고등(30)이 점등되는 결과, 물품(41)의 반출이 제한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각 시큐리티 게이트(10)에는,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는 여자 코일(11)과, 외부로부터의 자계에 의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는 검지 코일(12,1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검지 코일(12,13)이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는, 지지대(14)의 상기 공간의 내부측의 단부(端部) 근방에 사람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해 인체 감지 센서(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체 감지 센서(18)로서는, 인체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수신함으로써 사람을 검출하는 패시브형 센서를 적용해도 되고, 또한, 예를 들면 적외선 빔을 발사함으로써, 당해 적외선 빔을 반사 또는 차단한 물체를 검출하는 액티브형 센서를 적용해도 된다.
도 2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의 전기적인 요부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는, 상술한 여자 코일(11)에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여자 전류 공급부(15)와, 상술한 검지 코일(12,13)에 유도된 아날로그의 전기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21)와, 신호 처리부(21)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정보에 의거하여 태그의 통과를 검지하는 컨트롤러(2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검지 코일(12,13)은, 평면상에서 서로 이웃하고, 또한 권선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검지 코일(12)의 일단부는 신호 처리부(21)에 접속되고, 검지 코일(12)의 타단부는 검지 코일(13)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지 코일(13)의 타단부는 신호 처리부(21)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컨트롤러(22)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CPU(중앙 처리 장치)(22A), ROM(Read Only Memory)(22B), RAM(Random Access Memory)(22C), 및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휘발성의 기억부(22D)를 구비하고 있어, 검지 장치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여자 전류 공급부(15)는 컨트롤러(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여자 코일(11)에 대하여 교류의 여자 전류를 공급한다.
여자 코일(11)은, 여자 전류 공급부(15)로부터 여자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여자되어, 정현파(正弦波)와 같이 자계가 변화하는 교번 자계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검지 코일(12,13)에서는, 여자 코일(11)에서 발생된 교번 자계에 의해 교류 전류가 유도됨과 동시에, 큰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갖는 자성체를 포함한 태그가 상기 교번 자계 내에 존재할 경우에는, 자화 반전에 의해 펄스 전류가 발생한다.
도 3은 큰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큰 바르크하우젠 효과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B―H 특성, 즉,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가 거의 장방형이고, 보자력(Hc)이 비교적 작은 재료, 예를 들면 Co―Fe―Ni―B―Si로 이루어지는 아몰퍼스 자성 재료를 교번 자계 안에 두었을 때에, 급준한 자화 반전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큰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갖는 자성체는, 정부(正負) 각각 미리 정해진 강도보다 큰 강도의 자계가 작용했을 때에 자화 반전한다. 이 때문에, 여자 코일(11)에 여자 전류를 흘려서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고, 그 교번 자계 안에 태그를 두면, 자화 반전시에 태그의 근방에 배치된 검지 코일(12,13)에 펄스 형상의 전류가 흐른다.
예를 들면, 여자 코일(11)에 의해 도 3의 (B)의 상단에 나타내는 교번 자계가 발생했을 경우, 검지 코일(12,13)에는 일례로서 도 3의 (B)의 하단에 나타내는 펄스 전류가 흐른다.
단, 검지 코일(12,13)의 전류에는, 이 펄스 전류뿐만 아니라, 교번 자계에 의해 유도되는 교류 전류도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이 검지 코일(12,13)에 유도되는 교류 전류를 상쇄시키기 위해, 검지 코일(12,13)을 권선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접속하고 있다.
태그에 포함되는 자성체의 재료(자성 재료)로서는, 일반적으로는 영구 자석, 예를 들면 희토류계의 네오디뮴(Nd)―철(Fe)―붕소(B)를 주성분으로 한 것, 사마륨(Sm)―코발트(Co)를 주성분으로 한 것, 알니코계의 알루미늄(Al)―니켈(Ni)―코발트(Co)를 주성분으로 한 것, 페라이트계의 바륨(Ba) 또는 스트론튬(Sr)과 산화철(Fe2O3)을 주성분으로 한 것이나, 그 밖에 연질 자성 재료, 산화물 연질 자성 재료 등이 있다. 상기 큰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일으키는 자성 재료로서는, 기본 조성이 Fe―Co―Si나 Co―FeNi계인 아몰퍼스 자성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자성 재료의 형상은, 큰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일으키기에 적합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큰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단면적에 대응하는 길이가 필요해지므로, 선 형상(와이어 형상)이나 밴드 형상으로 해도 되고, 와이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 재료가 와이어 형상인 경우에는, 큰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 직경으로서 10㎛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최대 직경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기록 매체(용지)에 자성 재료를 떠서 일체로 할 경우, 기록 매체의 표면에 자성 재료가 노출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그 직경은 기록 매체의 두께에 의존하고, 예를 들면 90㎛ 전후의 두께의 기록 매체의 경우에는,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이하로 해도 된다.
자성 재료의 길이로서는, 큰 바르크하우젠 효과를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 길이로서 5㎜ 이상으로 해도 된다. 아몰퍼스 자성 재료의 최대 길이에 대해서는, 내부에 함유되었을 때에, 기록 매체로부터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430㎜ 이하로 해도 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21)는 양(兩)단자간의 전압(검지 코일(12)의 일단부 및 검지 코일(13)의 타단부로부터 각각 출력된 신호 전압)의 차동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31)와, 차동 증폭기(3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증폭률로 증폭하는 주증폭기(32)와, 주증폭기(32)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파형 정형 회로(33)와, 파형 정형 회로(33)에 의해 파형 정형된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이하, 「ADC」라고 함)(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는 파형 정형 회로(33)와 ADC(34) 사이에, 파형 정형 회로(33)에 의해 얻어진 신호로부터 자성체의 자화 반전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 전류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주증폭기(32)로서 반전 증폭기를 적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비반전 증폭기 등의 다른 증폭기를 적용해도 된다.
컨트롤러(22)는, ADC(3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정보의 레벨이 역치를 초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거나, 또는 당해 디지털 정보의 파형 형상이 자성체의 자화 반전에 의한 파형 형상인지 아닌지를, 당해 자화 반전에 의한 파형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기준 파형 형상과의 상호 상관치에 의거하여 판정하는 상호 상관법 등에 의해 판정함으로써 태그의 통과의 유무를 검지하여, 태그의 통과가 검지되었을 경우 경고등(30)을 점등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태그의 통과의 유무를 상호 상관법에 의해 검지한다.
또한, 컨트롤러(22)에는 인체 감지 센서(18)가 접속되어 있어, 컨트롤러(22)에 의해, 인체 감지 센서(18)에 의한 사람의 검출 결과가 파악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는, 검지 코일(12,13)에 유도되는 교류 전류에 중첩되어 버리는 노이즈인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제거하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백그라운드 노이즈는, 주변 기기의 가동 상태나, 당해 주변 기기, 철제 도어, 소화기 등의 배치 상태 등의 변화에 따라 검지 장치의 검지 코일(12,13)에 의한 검지 신호에 영향을 주는 노이즈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에서는,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상시 검지하여, 시큐리티 게이트(10) 사이를 사람이 통과할 때에 검지된 검지 신호로부터 당해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백그라운드 노이즈에는, 여자 코일(11)에 여자 전류를 공급하지 않은 상태여도 검지 코일(12,13)에 의한 검지 신호에 중첩되는 노이즈와, 여자 코일(11)에 여자 전류를 공급한 상태에서 검지 코일(12,13)에 의한 검지 신호에 중첩되는 노이즈의 2종류의 노이즈가 있다.
여기에서, 전자의 노이즈에는 일례로서 공기 조화기(소위 에어컨)의 가동시에 있어서의 노이즈가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가동 중의 작동 상태가 시시 각각 변화한다. 이 때문에, 당해 공기 조화기에 의한 노이즈도 시시 각각 변화하게 된다. 또한, 후자의 노이즈에는 일례로서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소화기 등의 금속물에 의해, 여자 코일(11)에 의해 발생된 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가 있다. 또한, 이 종류의 노이즈에서는, 노이즈의 발생원이 되는 금속물은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 금속물이 이동되었을 경우에 당해 노이즈의 상태가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이 백그라운드 노이즈가 검지 신호에 중첩되는 결과, 일례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증폭기(3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포화되어 버려, 태그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은, 이상의 백그라운드 노이즈에 기인하는 태그의 오검지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당해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주증폭기(32)는, 일례로서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주증폭기(32)는 연산 증폭기(OP)가 구비되어 있고, 연산 증폭기(OP)의 반전 입력 단자는 2개로 분기되어, 한 쪽이 저항기(R1)를 통해 한 쪽의 입력 단자(Ⅰ1)에 접속되고, 다른 쪽이 저항기(R2)를 통해 다른 쪽의 입력 단자(Ⅰ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산 증폭기(OP)의 비반전 입력 단자는 접지되는 한편, 출력 단자(O)는 저항기(R3)를 통해 연산 증폭기(OP)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단자(Ⅰ1)는 컨트롤러(22)에 접속되어, 컨트롤러(22)로부터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제거(캔슬)시키는 신호인, 후술하는 캔슬용 파형 신호가 입력된다. 한편, 입력 단자(Ⅰ2)는 차동 증폭기(3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차동 증폭기(31)로부터 당해 차동 증폭기(31)에 의해 증폭된 검지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출력 단자(O)는 파형 정형 회로(33)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주증폭기(32)에서는, 일례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캔슬용 파형 신호와 검지 신호가 중첩되어, 백그라운드 노이즈가 제거(상쇄)된 검지 신호가 연산 증폭기(OP)의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이 결과, 일례로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증폭기(32)의 포화가 방지된다. 또한, 도 7은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지 않은 경우의 주증폭기(3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파형도가 도 4에 나타낸 것인 경우의,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는 경우의 주증폭기(3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파형도를 도 4와 동일한 범위로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캔슬용 파형 신호를 컨트롤러(22)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정보인, 후술하는 반전 파형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얻는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21)에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이하, 「DAC」라고 함)(35)가 설치되어 있고, 컨트롤러(22)는 DAC(35)를 통해 주증폭기(3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후술하는 반전 파형 정보를 차동 증폭기(31)로부터 출력된 검지 신호에 의거하여 작성한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21)에는 ADC(36)가 설치되어 있고, 차동 증폭기(31)의 출력 단자는 ADC(36)를 통해 컨트롤러(22)에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는, 검지 장치에 의한 검지 영역(각 시큐리티 게이트(10) 사이의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으며, 당해 카메라에 의해 상기 검지 영역을 사람이 통과할 때에만 당해 검지 영역을 촬영하는 자동 촬영 기능도 갖고 있다. 상술한 인체 감지 센서(18)는, 이 자동 촬영 기능이나, 태그가 검지 영역을 통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기 위한 후술하는 이동체 통과 인터럽트 처리를 실행하는 타이밍을 규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태그의 통과의 유무를 상호 상관법에 의해 검지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는, 상기 자화 반전에 의한 파형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기준 파형 형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정보(이하, 「기준 파형 정보」라고 함)가 기억부(22D)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검지 장치에 의한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이나 자동 촬영 기능 등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처리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단,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한 실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드웨어 구성이나, 하드웨어 구성과 소프트웨어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현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당해 프로그램을 검지 장치의 컨트롤러(22)에 미리 인스톨해 두는 형태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되는 형태,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통신 수단을 통해 배신(配信)되는 형태 등을 적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의 작용으로서, 본 발명에 특히 관계되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에 관한 처리를 실행할 때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착종(錯綜)을 회피하기 위해, 한 쪽의 시큐리티 게이트(10)만을 이용하여 태그의 통과를 검지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백그라운드 노이즈 취득 처리 및 이동체 통과 인터럽트 처리가 실행된다. 그래서,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백그라운드 노이즈 취득 처리를 실행할 때의 검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도 8은 검지 장치의 전원 스위치(도시 생략)가 온(on)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컨트롤러(22)의 CPU(22A)에 의해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취득 처리 프로그램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며, 당해 프로그램은 ROM(22B)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우선, 동 도면의 스텝 100에서는, 검지 코일(12,13)에 의한 검지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해 신호 처리부(21)의 가동을 개시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여자 코일(11)에의 여자 전류의 공급을 개시하도록 여자 전류 공급부(15)를 제어한다. 다음 스텝 102에서는, ADC(36)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디지털 정보의 미리 정해진 제1 기간(본 실시형태에서는, 5초간)의, 미리 정해진 주기(본 실시형태에서는, 여자 코일(11)에 공급하는 여자 전류의 1주기) 단위에서의 이동 평균을 산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미리 정해진 기간(본 실시형태에서는, 5초간)분의 최신의 상기 디지털 정보를 RAM(22C)에 기억시켜 두고, 본 스텝 102에서는, 이 기억하고 있는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기간만큼 되돌아간 기간의 이동 평균을 산출하고 있다.
다음 스텝 104에서는, 상기 스텝 102의 처리에 의해 평균화된 디지털 정보(이하, 「제1 파형 정보」라고 함)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정보 레벨(본 실시형태에서는, 최대 레벨)이 미리 정해진 역치를 초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긍정 판정이 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110으로 이행하는 한편, 부정 판정이 된 경우에는 스텝 106으로 이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 104의 처리는, 태그가 검지 영역을 통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처리이며,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상기 스텝 104의 처리에 있어서 이용되는 역치로서, 태그가 검지 영역을 통과하고 있을 때에 얻어지는 제1 파형 정보에 있어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정보 레벨이 검지되는 레벨로서, 당해 정보 레벨보다 미리 정해진 레벨(본 실시형태에서는, 당해 정보 레벨의 10분의 1의 레벨)만큼 낮은 레벨이 적용되고 있다.
스텝 106에서는, 상기 스텝 102의 처리에 의해 얻어진 제1 파형 정보의 부호를 반전시켜, 다음 스텝 108에서 당해 반전된 파형 정보(이하, 「반전 파형 정보」라고 함)를 기억부(22D)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기억시킨다.
다음 스텝 110에서는, 본 백그라운드 노이즈 취득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타이밍으로서 미리 정해진 타이밍이 도래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부정 판정이 된 경우에는 상기 스텝 102로 돌아간다. 한편, 긍정 판정이 된 시점에서 스텝 112로 이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상기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서, 검지 장치의 전원 스위치(도시 생략)가 오프(off) 상태로 된 타이밍을 적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검지 장치의 가동을 종료하는 시각으로서 미리 정해진 시각이 된 타이밍, 유저에 의해 백그라운드 노이즈 취득 처리 프로그램의 종료를 지시하는 지시 조작이 행해진 타이밍 등을 적용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스텝 112에서는, 상기 스텝 100의 처리에 의해 개시한 신호 처리부(21)의 가동 및 여자 코일(11)에의 여자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그 후에 본 백그라운드 노이즈 취득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이동체 통과 인터럽트 처리를 실행할 때의 검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도 9는 인체 감지 센서(18)에 의해 사람이 검출되었을 때에 컨트롤러(22)의 CPU(22A)에 의해 인터럽트 처리로서 실행되는 이동체 통과 인터럽트 처리 프로그램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당해 프로그램은 ROM(22B)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우선, 동 도면의 스텝 200에서는, 기억부(22D)로부터 상기 반전 파형 정보를 판독하고, 다음 스텝 202에서, 판독한 반전 파형 정보의 DAC(35)에의 출력을 개시한다. 또한, 본 스텝 202에서는,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차동 증폭기(31)로부터 출력되는 검지 신호와, DAC(35)로부터 출력되는 캔슬용 파형 신호를 동기(同期)가 취해지는 타이밍에 중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당해 동기가 취해지는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반전 파형 정보를 DAC(35)에 반복 입력하도록 한다.
다음 스텝 204에서는, ADC(34)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디지털 정보의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기간의,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 단위에서의 이동 평균을, 상기 백그라운드 노이즈 취득 처리 프로그램의 스텝 102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산출하고, 다음 스텝 206에서, 상기 스텝 202의 처리에 의해 개시된 반전 파형 정보의 DAC(35)에의 출력을 정지한다.
다음 스텝 208에서는, 기억부(22D)로부터 상술한 기준 파형 정보를 판독하고, 다음 스텝 210에서, 판독한 기준 파형 정보와, 상기 스텝 204의 처리에 의해 평균화된 디지털 정보(이하, 「제2 파형 정보」라고 함)의 상호 상관치를 산출한다.
다음 스텝 212에서는, 상기 스텝 210의 처리에 의해 산출한 상호 상관치가 미리 정해진 역치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부정 판정이 된 경우에는 본 이동체 통과 인터럽트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긍정 판정이 된 경우에는 스텝 214로 이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장치에서는, 상기 스텝 212의 처리에 있어서 이용되는 역치로서, 검지 장치의 용도나 검지 장치에 요구되는 태그의 검지 정밀도 등에 따라, 비교 대상으로 하는 상호 상관치가 당해 값 이상인 경우에 검지 영역을 태그가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는 값으로서, 실제 기계를 이용한 실험이나, 실제 기계의 사양 등에 의거하는 컴퓨터·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미리 얻어진 값을 이용하고 있다.
스텝 214에서는, 경고등(30)을 발광시킴으로써, 태그의 통과가 검지되었음을 알리고, 그 후에 본 이동체 통과 인터럽트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고, 당해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는, 클레임(청구항)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실시형태 안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할 수 없다.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각종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고 있으며,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 요건의 조합에 의해 각종 발명이 추출된다.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전(全)구성 요건으로부터 몇 가지 구성 요건이 삭제되어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에서, 이 몇 가지 구성 요건이 삭제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검출 수단으로서 인체 감지 센서(18)를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사람뿐만 아니라, 그 밖의 물체도 검출되는 물체 검출 센서를 적용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인체 감지 센서(18)를, 시큐리티 게이트(10)를 경계로 하여 태그의 반출을 제한하는 공간의 내부측에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태그의 반입을 제한하는 공간의 출입구에 시큐리티 게이트(10)을 설치하여, 당해 시큐리티 게이트(10)를 경계로 하여 당해 공간의 외부측에 인체 감지 센서(18)를 설치하는 형태나, 태그의 반출, 및 반입의 쌍방을 제한하는 공간의 출입구에 시큐리티 게이트(10)를 설치하여, 당해 시큐리티 게이트(10)를 경계로 하여 당해 공간의 내부측 및 외부측의 쌍방에 인체 감지 센서(18)를 설치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된 파형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 정보의 정보 레벨이 미리 정해진 역치 이하인 경우에 반전 파형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인체 감지 센서(18)에 의해 검지 영역을 사람이 통과하는 것이 검출되지 않는 타이밍에 반전 파형 정보를 취득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신호와 캔슬용 파형 신호를 차동 증폭기(31)와 주증폭기(32) 사이에서 중첩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각 검지 코일(12,13)과 차동 증폭기(31) 사이에서 중첩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로서, 차동 증폭기(31) 및 주증폭기(32)의 2개의 증폭기를 종속 접속하여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증폭기를 종속 접속하여 적용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검지 신호와 캔슬용 파형 신호를 중첩시키는 위치는, 각 검지 코일(12,13)과 차동 증폭기(31) 사이, 및 각 증폭기간의 접속 배선상의 어느 위치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신호와 캔슬용 파형 신호를, 캔슬용 파형 신호의 부호가 반전된 상태에서 중첩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태그가 검지 영역을 통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검지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 정보(이하, 「캔슬용 파형 정보」라고 함)를 기억해 두고, 이동체가 검지 영역을 통과하고 있는 경우의 검지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 정보와, 캔슬용 파형 정보의 차이를 산출하는 형태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장치의 한 쪽의 시큐리티 게이트(10)만을 이용하여 태그를 검지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쌍방의 시큐리티 게이트(10)를 이용하여 태그를 검지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어느 한 쪽의 시큐리티 게이트(10)에 의해 태그가 검지되었을 경우에 경보를 알리도록 하는 형태, 쌍방의 시큐리티 게이트(10)에 의해 태그가 검지되었을 경우에만 경보를 알리는 형태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검지 코일(12,13)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일례로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코일(12,13)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 등, 각 검지 코일이 평면상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권선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접속되어 있는 다른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파형 정보 및 제2 파형 정보의 각 파형 정보로서,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의 이동 평균에 의해 얻어진 것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이동 평균을 취하지 않고 순간적인 파형 정보를 적용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경고등(30)을 발광시킴으로써, 태그의 통과를 알리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스피커 등에 의한 음성에 의한 알림, 통신 회선 등을 통한 외부 장치에 의한 알림 등, 다른 알림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코일(12,13)을 권선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접속하여 검지 코일(12,13)에 교번 자계에 의해 유도된 교류 전류를 서로 없애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검지 코일(12,13)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변환한 후에 차이를 구하여 교류 전류를 없애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검지 코일은 반드시 2개 필요하지는 않고, 1개만 갖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장치에 2개의 시큐리티 게이트(1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시큐리티 게이트(10)가 1개만 설치되어 있는 형태로 해도 되고, 시큐리티 게이트(10)가 3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여자 코일(11)의 형상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여자 코일(11)의 형상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행사변형으로 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태그가 수평으로 이동해도 이동 중에 상변, 하변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태그의 검지를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파형 정보의 정보 레벨이 미리 정해진 역치를 초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반전 파형 정보를 검지해야 할 타이밍이 도래했음을 자동적으로 검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주변 기기의 배치 상태나 가동 상태 등이 변화하는 등으로 백그라운드 노이즈가 변화했다고 생각될 경우에 유저에 의해 미리 정해진 지시 조작을 행하는 것으로 해 두고, 당해 지시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졌음을 검지함으로써, 반전 파형 정보를 검지해야 할 타이밍이 도래했음을 검지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억부(22D)에 미리 반전 파형 정보를 기억시켜 두고, 당해 반전 파형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을 실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일례로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그의 자화 반전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 전류에 대응하는 대역의 신호를 커트하는 필터(40)와, 당해 필터(40)에 의해 얻어진 검지 신호에 대하여 부호를 반전시키는 반전부(42)를 종속 접속하여 이용하는 것 등에 의해, 기억부를 이용하지 않고 백그라운드 노이즈 제거 기능을 실현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형태의 경우, 필터(40) 및 반전부(42)에 의한 캔슬용 파형 신호의 지연을 고려하여, 저항기(R2)의 전단(前段)에 딜레이 라인(delay line) 등의 신호 지연 소자를 설치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그 밖에,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검지 장치의 구성(도 1, 도 2 참조)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부분을 추가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종 프로그램의 처리의 흐름(도 8, 도 9 참조)도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불필요한 스텝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스텝을 추가하거나, 처리 순서를 바꾸거나 해도 된다.

Claims (9)

  1.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교번 자계(交番磁界; alternating magnetic field)를 발생시키는 자계 발생 코일과,
    상기 자계 발생 코일에 의해 발생된 교번 자계에 따른 전기 신호가 유도되는 신호 유도 코일과,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검지 대상으로 하는 자성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상기 자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제2 전기 신호의 차이로부터 얻어진 제3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자성체를, 당해 자성체의 자화(磁化) 반전에 의한 자장(磁場)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전기 신호가 당해 제2 전기 신호의 부호가 반전된 상태로 중첩됨으로써 얻어진 상기 제3 전기 신호를 증폭시키는 검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신호는,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가 미리 정해진 역치(threshold value) 이하인 경우에 얻어진 것인 검지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이동체가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전기 신호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통과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얻어진 것인 검지 장치.
  6. 삭제
  7.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신호는, 디지털 정보로서 미리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검지 장치.
  8.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계 발생 코일에 의해 발생된 교번 자계에 따른 전기 신호가 유도되는 신호 유도 코일에 의해,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검지 대상으로 하는 자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도된 제2 전기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서 미리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상기 자성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디지털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차이로부터 얻어진 제3 전기 신호를 증폭기에 의해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자성체를, 당해 자성체의 자화 반전에 의한 자장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검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기 신호는 상기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전기 신호가 당해 제2 전기 신호의 부호가 반전된 상태로 중첩됨으로써 얻어지는 검지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
  9.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교번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계 발생 코일에 의해 발생된 교번 자계에 따른 전기 신호가 유도되는 신호 유도 코일에 의해,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검지 대상으로 하는 자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도된 제2 전기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서 미리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상기 자성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디지털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제2 전기 신호의 차이로부터 얻어진 제3 전기 신호를 증폭기에 의해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3 전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검지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자성체를, 당해 자성체의 자화 반전에 의한 자장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검지하고,
    상기 제3 전기 신호는 상기 제1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전기 신호가 당해 제2 전기 신호의 부호가 반전된 상태로 중첩됨으로써 얻어지는 검지 방법.
KR1020110048814A 2010-12-10 2011-05-24 검지 장치, 검지 방법, 및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 KR101452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5881 2010-12-10
JP2010275881A JP5750879B2 (ja) 2010-12-10 2010-12-10 検知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219A KR20120065219A (ko) 2012-06-20
KR101452266B1 true KR101452266B1 (ko) 2014-10-22

Family

ID=4560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814A KR101452266B1 (ko) 2010-12-10 2011-05-24 검지 장치, 검지 방법, 및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55607B2 (ko)
EP (1) EP2463836A2 (ko)
JP (1) JP5750879B2 (ko)
KR (1) KR101452266B1 (ko)
CN (1) CN1025402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255A1 (ja) * 2010-08-23 2012-03-01 アルプス・グリーンデバイス株式会社 磁気平衡式電流センサ
US8994531B2 (en) * 2011-08-03 2015-03-31 Invue Security Products Inc. Merchandise sensor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item of merchandise
JP2013053903A (ja) * 2011-09-02 2013-03-21 Alps Green Devices Co Ltd 電流センサ
EP2682893B1 (en) * 2012-07-06 2018-10-31 Deutsche Telekom AG Magnetic tag device, reader for a magnetic tag, and method of interrogating a magnetic tag
JP2014025771A (ja) * 2012-07-26 2014-02-06 Nidec Sankyo Corp 磁気センサ装置
CN104297813A (zh) * 2014-09-12 2015-01-21 何山 一种通过式人身安检设备与工作面固定的装置
CN104897959B (zh) * 2014-12-03 2017-11-24 王澎 一种基于频谱扫描的分布式物理量探测方法及其装置
EP3234656B1 (en) * 2014-12-18 2024-02-07 Metrasens Limited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contraband items
CN104614692A (zh) * 2015-02-09 2015-05-13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采用涡流技术的金属标签检测系统
FR3083329B1 (fr) * 2018-06-28 2021-06-18 Alessandro Manneschi Systeme de detection portable comprenant des capteurs magnetostatiques
CN108919119A (zh) * 2018-07-18 2018-11-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传动系统带负载运行状态下的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8033A (ja) 2005-02-18 2006-08-31 Fuji Xerox Co Ltd 磁性体検知装置および方法
JP2009151687A (ja) * 2007-12-21 2009-07-09 Fuji Xerox Co Ltd 検知装置および処理システム
JP2009230402A (ja) * 2008-03-21 2009-10-08 Fuji Xerox Co Ltd セキュリティゲート
JP2010223699A (ja) 2009-03-23 2010-10-07 Fuji Xerox Co Ltd 検知タグ、記憶媒体、及び検知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6556B2 (ja) 1995-05-30 2007-08-29 センサーマティック・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改良された呼びかけ磁界分布を提供するためのeas装置アンテナ構造
AU2388100A (en) * 1998-12-23 2000-07-12 Peter D Jakab Magnetic resonance scanner with electromagnetic position and orientation tracking device
JP4602897B2 (ja) * 2005-11-29 2010-12-22 グンゼ株式会社 タグ検出装置
JP4970129B2 (ja) * 2006-05-26 2012-07-04 株式会社フジクラ 近接検知センサ及び近接検知方法
JP2008020579A (ja) * 2006-07-12 2008-01-31 Fuji Xerox Co Ltd 磁性体ワイヤー及び記録媒体
JP2009031966A (ja) * 2007-07-26 2009-02-12 Fuji Xerox Co Ltd 携行物管理ゲート
JP4544283B2 (ja) * 2007-09-19 2010-09-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携行物管理ゲート
JP5131009B2 (ja) * 2008-04-18 2013-01-30 住友電装株式会社 金属異物検出装置
US8648875B2 (en) 2008-05-14 2014-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fferential resource applications in virtual worlds based on payment and account op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8033A (ja) 2005-02-18 2006-08-31 Fuji Xerox Co Ltd 磁性体検知装置および方法
JP2009151687A (ja) * 2007-12-21 2009-07-09 Fuji Xerox Co Ltd 検知装置および処理システム
JP2009230402A (ja) * 2008-03-21 2009-10-08 Fuji Xerox Co Ltd セキュリティゲート
JP2010223699A (ja) 2009-03-23 2010-10-07 Fuji Xerox Co Ltd 検知タグ、記憶媒体、及び検知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0260B (zh) 2015-10-28
JP2012122955A (ja) 2012-06-28
EP2463836A2 (en) 2012-06-13
CN102540260A (zh) 2012-07-04
JP5750879B2 (ja) 2015-07-22
US8655607B2 (en) 2014-02-18
US20120150457A1 (en) 2012-06-14
KR20120065219A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266B1 (ko) 검지 장치, 검지 방법, 및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
JP2011017618A (ja) 電流センサ
KR101603092B1 (ko) 금속이물 검출장치
EP1516583A3 (en) Insp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movement of parts of the body
JP2011043521A (ja) 広帯域化された磁界補償システム
EP1447685A3 (en) Flux control system for metal detectors
JP5482039B2 (ja) 検知装置
JP5565219B2 (ja) 検知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257974A1 (en) Proximity sensor
JP6413111B2 (ja) 磁性体検出装置
JP5699577B2 (ja) 検知システム、検知装置、物品およびプログラム
JP5573194B2 (ja) 検知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73205B2 (ja) 検知装置
JP6119384B2 (ja) 電流検知装置
KR20170099644A (ko)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신체의 소형 금속을 탐지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5001503A (ja) 電流検出装置
KR20200027289A (ko) 자석과 일체화된 금속 탐지 센서 및 금속 이물 검출 장치
JP2010169529A (ja) 磁性体検知機
JP2011058830A (ja) 金属異物検知装置
JPH1090431A (ja) 鉄片探知装置
JP2002333467A (ja) 磁界検出装置
JPH0223407A (ja) 磁気センサ及び磁場発生方法
JP5471542B2 (ja) 検知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759934B2 (ja) 磁気センサの配置方法及びアクティブ磁気シールド装置
WO2016027756A1 (ja) 手術用吸収性物品、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