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944B1 -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944B1
KR101450944B1 KR1020107015037A KR20107015037A KR101450944B1 KR 101450944 B1 KR101450944 B1 KR 101450944B1 KR 1020107015037 A KR1020107015037 A KR 1020107015037A KR 20107015037 A KR20107015037 A KR 20107015037A KR 101450944 B1 KR101450944 B1 KR 10145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car
elevator
vertical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432A (ko
Inventor
슈테펜 그룬드만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98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카 (4) 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직방향 이동은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을 포함하는 수직방향 트랙 (3) 을 따라서 실시되고, 수평방향 이동은 카 운반 기구 (13) 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상기 카 운반 기구 (13) 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방향 이동 유닛에 수직방향 안내 레일 피스 (18) 가 일체화되며, 상기 수직방향 안내 레일 피스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내에서 승강기 카 (4) 를 안내한다. 상기 수평방향 이동 유닛은, 안내 레이 피스 (18) 가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 카 (4) 는 브레이크 기구 (20) 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시 안내 레일 피스 (18) 에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LIFT SYSTEM WITH LIFT CARS WHICH CAN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본 발명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카 (elevator car) 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P 1693331 A1 에는, 각 경우에, 2 개의 카 안내 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방향 트랙을 갖춘 승강기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고, 이 수직방향 트랙은 최하부 정지 스테이션과 최상부 정지 스테이션 사이에서 연장하며 또한 이 수직방향 트랙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별도로 제어가능한 구동 시스템이 장착된다. 각각의 구동 시스템은 수직방향 트랙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가요성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승강기 시스템은, 상기 구동 시스템에 의하여, 제 1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서 상방으로 또한 제 2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정지가능한 다수의 승강기 카를 또한 포함한다. 이 경우에, 각각의 승강기 카는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이러한 연결 기구에 의해 상기 승강기는 현재의 수직방향 트랙에 할당된 구동 시스템의 지지 수단에 상호잠금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카 운반 기구는, 수직방향 트랙의 단부 영역에 도달한 승강기 카를 인계받아, 이 승강기 카를 다른 수직방향 트랙으로 이동시키는 일을 하고, 상기 다른 수직방향 트랙에서 승강기 카는 다른 수직방향 트랙의 안내 레일로 도입된다.
EP 1693331 A1 에 기재된 교시에 따라 구성되는 승강기 시스템에 있어서, 모든 승강기 카에는, 상기 승강기 카를 2 개의 수직방향 트랙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각각의 경우에, 선회가능한 지지 구조물에 장착되는 4 개의 상부 및 4 개의 하부 카 지지 롤러가 장착된다. 승강기가 그 최상부 위치에 도달하면, 4 개의 상부 카 지지 롤러는, 수평방향 이동에 대하여, 프로파일 레일 (profile rail) 로 선회되고, 이 프로파일 레일은 수직방향 트랙 위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이 승강기 카는 프로파일 레일 및 카 지지 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된다. 승강기 카가 그 최하부 위치에 도달한 후에, 그 하부 카 지지 롤러는 프로파일 레일로 선회되고, 이 프로파일 레일은 수직방향 트랙 아래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승강기 카는 상기 하부 프로파일 레일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양 단부 위치에서, 승강기 카의 수평방향 이동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구동 장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가 필요하다. 유사하게, 2 개의 수직방향 트랙을 가진 개시된 승강기 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 승강기 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카 안내 레일의 8 개의 단부 부분 전체는 선회가능하게 배열되고 또한 이 단부 부분에는 제어가능한 선회 구동부가 제공된다. 상기 단부 부분이 그 안내 위치로 다시 선회될 때, 이 단부 부분은 매우 치수 안정적이지 않은 승강기 카에 존재하는 안내 슈 중에서 유극이 없는 안내 홈안으로 다시 도입되어야 한다. 추가의 수직방향 트랙에 대해서, 선회될 수 있는 카 안내 레일의 수는 8 개로 증가된다.
본 발명은, 정확성 문제없이, 즉 기능적 신뢰성이 높고 또한 제조 및 설치 비용이 적게 들며, 이동되고 제어될 적은 수의 부품으로 승강기 카의 수평방향 이동이 실시될 수 있는 전술한 유형의 승강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은 그 특징부에 의해 개선된다. 청구항 23 은 본원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대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 및 본원에 따른 방법의 경우에 있어서, 승강기 카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수직방향 이동은 수직방향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서 실시되고, 수평방향 이동은 카 운반 기구의 도움으로 실시되며, 상기 카 운반 기구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방향 이동 유닛에 수직방향 안내 레일 피스가 일체화되며, 상기 안내 레일 피스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내에서 승강기 카를 안내하고, 상기 수평방향 이동 유닛은, 안내 레일 피스가 수직방향 안내 레일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 및 본원에 따른 방법의 실질적인 장점은, 안내 슈가 수직 안내 레일을 떠나지 않고 또한 다른 안내 레일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승강기 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정확성 문제가 방지된다. 본원에 따른 해결책의 다른 장점은, 승강기 카의 수평방향 이동에서는 하부 및 상부 지지 롤러를 장착한 승강기 카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이동되고 제어될 구성품 수가 상당히 적어도 수평방향 이동이 달성될 수 있고, 그리하여 승강기 시스템의 기능적 신뢰성이 더 커지고 또한 제조 및 설치 비용이 저감된다는 것이다.
본원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 및 본원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개량 및 개선은 종속청구항 2 내지 22 로부터 각각 나온다.
승강기 카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고, 이러한 브레이크 기구로 카 운반 기구의 수평방향 이동 유닛에 일체화된 안내 레일 피스에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방향 이동 유닛에 승강기 카를 고정함으로써, 수직방향 트랙에서부터 수평방향 이동 유닛으로 또한 그 반대로 승강기 카를 매우 간단하게 운반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승강기 카의 브레이크 기구는 제어 기구, 예를 들어 승강기 제어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또한 작동해제될 수 있다. 작동 또는 작동해제는, 예를 들어 수평방향 이동 유닛에 일체화된 안내 레일 피스 상에서 승강기 카의 존재를 검출함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브레이크 기구는 또한 승강기 카용의 캐치 브레이크 (catch brake) 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유형의 브레이크는, 예를 들어 허용가능한 속도 또는 허용가능한 가속이 초과되었음을 검출했을 때 승강기 카가 제동되도록 한다. 수평방향 이동시 승강기 카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브레이크 기구와 캐치 브레이크를 조합함으로써, 승강기 시스템의 전체 비용을 상당히 저감시킨다.
제어가능한 브레이크 기구는 또한 승강기 카용의 유지 브레이크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유형의 유지 브레이크는, 부하의 변동으로 인한 수직방향 이동 및 수직방향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층 정지시 수직방향 트랙의 수직방향 안내 레일 상에 승강기 카를 고정시킨다.
승강기 시스템은 2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직방향 트랙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고, 승강기 카는 카 운반 기구의 도움으로 상기 수직방향 트랙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유형의 승강기 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 승강기 카 또는 다수의 승강기 카는 다수의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고, 어떠한 수직방향 트랙은 상방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어떠한 수직방향 트랙은 하방 이동을 위해 사용된다.
수직방향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의 카 벽에 평행하게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카 벽은 카 도어를 구비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가 차례로 배열된 다수의 수직방향 트랙에서 주행할 수 있는 승강기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고, 승객은 각 층에서 승강기 카의 동일 측에서 들어가고 나오게 된다. 이는, 각각의 경우에 수직방향 트랙 및 층마다 단지 하나의 샤프트 도어가 필요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카 운반 기구의 수평방향 이동 유닛은, 승강기 샤프트의 영역에서 카 도어를 구비한 카 벽에 평행하게 배열된 수평방향 안내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 카 벽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기 카에 의해 지지 (take up) 되지 않는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형태는 다수의 수직방향 트랙 및/또는 기다란 수평방향 이동 경로를 가진 승강기 구성에 특히 유리하다.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는 카 도어를 각각 갖춘 2 개의 상호 마주보는 카 벽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고, 수직방향 트랙은 상기 카 벽에 수직하게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오직 2 개의 수직방향 트랙을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에 특히 적절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방 이동을 위해서는 제 1 수직방향 트랙이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고, 하방 이동을 위해서는 제 2 수직방향 트랙이 사용된다. 그로부터, 각 층으로부터, 상방 이동을 위한 하나의 입구 현관 (entry vestibule) 과 하방 이동을 위한 하나의 입구 현관이 있으며, 상기 입구 현관은 승강기 샤프트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장점은, 상방 이동을 위한 대기 영역과 하방 이동을 위한 대기 영역을 분리시킴으로써, 통행 흐름을 보다 정연하게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승강기 시스템은 다수의 카 운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카 운반 기구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에 일체화된 안내 레일 피스가 2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직방향 트랙의 수직방향 안내 레일의 이동가능한 단부 또는 중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이한 높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유형의 승강기 시스템으로, 특히 높은 운반 용량이 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직방향 트랙에는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고 또한 정지가능한 가요성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카 구동 시스템이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고, 승강기 카는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를 구비하며, 이러한 연결 기구로 승강기 카는 지지 수단에 연결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연결 또는 분리 작동은, 각각의 경우에, 승강기 카가 카 운반 기구의 도움으로 수직방향 트랙에 장착된 후에 또는 상기 승강기 카가 카 운반 기구에 의해 수직방향 트랙 외부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기 전에 실시된다.
지지 수단 및 연결 기구는, 승강기 카 및 지지 수단이 상호잠금 결합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호잠금 결합에 의한 연결은 특히 신뢰가능한 연결을 보장해 주지만, 예를 들어 구멍 또는 보스 등의 어떠한 상호잠금 부재를 장착한 지지 수단을 필요로 한다.
지지 수단 및 연결 기구는, 승강기 카 및 지지 수단이 마찰 결합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는, 지지 수단의 모든 지점이 연결 지점으로 사용된다는 것이고 또한 지지 수단의 위치가 연결 작동 이전에 카 위치와 정렬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구동 시스템은 속도 제어가능한 전동기를 갖춘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고, 이 전동기는 지지 수단 또는 구동 샤프트에 작용하는 구동 풀리를 구동시키고, 이 구동 풀리는 100 ㎜ 미만의 유효 직경, 바람직하게는 80 ㎜ 미만의 유효 직경을 가진다. 이러한 구동 풀리의 유효 직경을 작게 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거의 점유하지 않는 전동기에 의해 트랜스미션 없이 지지 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다.
각각의 구동 시스템은 평행하게 배열되는 2 개의 가요성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승강기 시스템의 기능적인 신뢰성은 각각의 경우에 승강기 카에 중복적으로 작용하는 2 개의 지지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증가된다.
각각의 구동 시스템은, 동기식으로 제어되고 조절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고 또한 구동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에 함께 작용한다. 이러한 대책으로, 승강기 시스템의 견인 용량 및 기능적 신뢰성이 증가된다.
구동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은 플랫 벨트, V-리브형 벨트 또는 치형 벨트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유형의 지지 수단은, 우수한 견인 특성을 가지며 또한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와 상호 작용하는데 특히 쉽게 적용가능하다.
마찰 결합에 의해 작용하는 연결 기구는, 승강기 카의 수평방향 운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동 벨트의 영역 외부로 이동가능한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구동 시스템은 평형추 (counterweight) 없이 작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는, 평형추가 어떠한 개시 위치에 미리 가 있을 필요없이, 수직방향 트랙의 동일한 이동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항상 이동하는 승강기 카가 구동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구동 시스템은, 승강기 카의 하방 이동시, 메인에 형성된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또는 재사용하기 위해 커패시터 또는 어큐뮬레이터에 상기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구동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책은 평형추가 없을 시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수직방향 트랙에는, 2 개 또는 그 이상의 승강기 카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 개 또는 그 이상의 구동 시스템이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고, 승강기 카는 2 개 또는 그 이상의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를 구비하며, 이러한 연결 기구로 승강기 카는 현재 할당된 별도로 제어가능한 구동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의 이러한 일 개량으로, 하나의 승강기 카의 층 정지부가 다른 승강기 카(들)를 동시에 강제로 정지시키지 않고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방향 트랙에서 2 개 또는 그 이상의 승강기 카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절대적인 (absolute) 인코딩을 갖춘 코드 스케일이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승강기 카에는 비접촉식으로 기능하는 검출기에 의해 상기 코드 스케일로부터 승강기 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판독하는 코드 판독 기구가 할당된다. 이러한 기구는, 모든 작동 상황에서 이용가능한 승강기 시스템의 모든 승강기 카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데이터를 가지도록, 승강기 제어기에 필요한 정보를 공급한다.
상기 승강기 카에는 회전식 센서가 부착되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회전식 센서는 수직방향 안내 레일 또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의 안내 레일부를 따라 구르는 마찰 휠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회전식 센서는 현재의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에 공급한다. 승강기 카의 현재의 이동 속도에 대한 이러한 중복된 정보는 승강기 시스템의 기능적 신뢰성을 일반적으로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모니터는, 회전식 센서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참조하여 또한 위치 정보로부터 판단되는 이동 경로의 연속 미분 (differentiation) 에 의해 승강기 카의 이동 속도 및/또는 현재의 가속을 중복 (redundantly) 관찰하고, 속도 한계 또는 가속 한계를 초과한 것으로 검출되면, 캐치 브레이크로서의 제어가능한 브레이크 기구를 작동시킨다. 특히, 모니터가 승강기 카에 설치되면, 상기 모니터는 비상시에 가장 높은 가능한 반응 속도 및 기능적 신뢰성을 가진 캐치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캐치 브레이크의 기능적 신뢰성을 더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 코드 스케일로부터의 정보를 평가함으로써 중복 작동된다.
본원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1a 는 2 개의 수직방향 트랙, 2 개의 승강기 카 및 2 개의 카 운반 기구를 구비한 본원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전방도로서, 이 수직방향 트랙은 카 도어를 구비한 카 벽에 평행하게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 배열된 도면,
도 1b 는 도 1 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측면도,
도 2a 는 상기 카 운반 기구의 수평방향 이동 유닛의 확대 측면도,
도 2b 는 도 2a 에 따른 수평방향 이동 유닛의 전방도,
도 3a 는 3 개의 수직방향 트랙, 2 개의 승강기 카 및 2 개의 카 운반 기구를 구비한 본원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측면도로서, 이 수직방향 트랙은 카 도어를 구비한 카 벽에 수직하게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 배열된 도면,
도 3b 는 도 3a 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전방도, 및
도 4 ~ 도 7 은 승강기 카를 지지 수단에 마찰 결합결식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기구의 측면도, 평면도 및 2 개의 단면도.
도 1a 및 도 1b 는, 승강기 샤프트 (2) 에 배열되는 2 개의 수직방향 트랙 (3) 과, 이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2 개의 승강기 카 (4) 를 포함하는 본원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제 1 실시형태의 전방도 및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수직방향 트랙 (3) 은 각각의 경우에 승강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의 2 개의 길이로 형성되고, 승강기 카 (4) 는 안내 슈 (6) 에 의해 상기 수직방향 안내 레일을 따라 안내되며, 각각의 경우에 승강기 카의 각 측에 2 개의 안내 슈가 있다. 각각의 수직방향 트랙 (3) 에는 회전하는 지지 수단 (8) 을 구비한 3 개의 카 구동 시스템 (7) 이 장착된다. 승강기 카 (4) 각각은, 승강기 카를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서 운반하도록,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카 구동 시스템의 지지 수단 (8) 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승강기 카를 일방의 수직방향 트랙에서 타방의 수직방향 트랙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지지 수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승강기 카에는 3 개의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 (40) 가 장착되고, 이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 각각은 3 개의 카 구동 시스템 (7) 중 하나에 할당된다. 변형예로서, 각각의 승강기 카는 오직 하나의 단일 연결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고, 이 연결 기구는 각각의 경우에 연결 작동 이전에 제어된 위치결정 장치에 의하여 현재 할당된 카 구동 시스템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게 된다. 필요한 카 구동 시스템 및 연결 기구는 상기 문헌에 더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승강기 시스템의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직방향 트랙 (3) 은 카 도어 (10) 를 구비한 카 벽 (11) 에 평행하게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정상 작동시, 일방의 수직방향 트랙 (3) 은 승강기 카의 상방 운동을 위한 트랙으로서 사용되고, 타방의 수직방향 트랙은 승강기 카의 하방 운동을 위한 트랙으로서 사용되며, 승강기 카 각각은, 수직방향 트랙의 단부 영역에 있는 층 높이 (story level) 에 도달한 후에, 승강기 카가 반대 이동 방향으로 계속 이동할 수 있는 타방의 수직방향 트랙으로의 수평방향 운반을 실시한다.
3 개의 카 운반 기구 (13) 는 각각의 경우에 층 정지 영역 (12) 에 도시되어 있고, 이 카 운반 기구의 도움으로 승강기 카는 수직방향 트랙 (3)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카 운반 기구 각각은, 승강기 샤프트 (2) 의 도어측 벽에 고정되는 2 개의 수평방향 안내부 (14, 15) 및 상기 수평방향 안내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수평방향 이동 유닛은, 2 개의 수직방향 안내 레일 피스 (18) 가 고정되는 프레임 구조물 (17) 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레일 피스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이 대응하는 전달 위치 (transit position) 에 위치될 때, 수직방향 트랙 (3) 의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의 중간부 또는 단부를 형성한다. 프레임 구조물 (17) 은, 승강기 카 (4) 가 정확한 전달 위치에 있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을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수평방향 이동 유닛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승강기 카는 상기 안내 레일 피스 (18) 에서 안내된다.
카 운반 기구 (13) 에는 각각의 이동 구동부 (도시하지 않음) 가 장착되고, 이 이동 구동부는, 승강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수평방향 이동 유닛을 수직방향 트랙 (3) 사이에서 이동시키며, 상기 수평방향 이동 유닛을 한정된 전달 위치에 위치시키며, 상기 한정된 전달 위치에서 일체의 안내 레일 피스 (18) 는 수직방향 트랙의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과 정확하게 정렬된다. 수평방향 이동 유닛은 이동 작동시 비워질 수 있거나 또는 승강기 카가 탑재될 수 있다. 이동 구동부는, 예를 들어, 구동 트레인, 치형 벨트 또는 랙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바람직하게 속도 제어가능한 전동기가 수평방향 이동 유닛을 이동시키고 또한 이 수평방향 이동 유닛을 그 순간에 필요한 전달 위치에 위치시킨다.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에는 조심 장치 (centering devices) 가 유리하게 존재할 수 있고, 상기 조심 장치는, 수평방향 힘이 작용하더라도, 예를 들어 위치 고정된 반대 피스에 제어가능하게 결합하는 조심 쐐기의 도움으로, 수평방향 이동 유닛을 전달 위치 중 하나에 정확하게 또한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승강기 카 (4) 의 양측에는 제어가능한 브레이크 기구 (20) 가 부착되며, 이 브레이크 기구는, 브레이크 기구가 제어 기구에 의해 작동될 때 이 브레이크 기구가 승강기 카를 제동하거나 고정시키도록,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과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의 안내 레일 피스 (18) 와 상호작용한다. 상기 브레이크 기구 (20) 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에 일체화된 안내 레일 피스 (18) 에 승강기 카 (4) 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고, 상기 승강기 카는 2 개의 수직방향 트랙 (3) 사이에서 이동된다. 상기 브레이크 기구 (20) 는 또한 캐치 장치로서 사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이 캐치 장치는, 허용가능한 카 속도 또는 가속을 초과하는 경우에, 승강기 카 (4) 및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사이에서 작용하는 안전 브레이크로서 작용한다.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또한, 층 정지시, 부하의 변동으로 인한 수직방향 진동 및 승강기 카의 높이 변화를 방지하는 유지 브레이크로서 작용할 수 있다. 브레이크 기구 (20) 는 통상적으로 제어가능한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수직방향 안내 레일에 대하여 가압되는 브레이크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다양한 원리는, 이러한 유형의 액츄에이터, 예를 들어 토크 제어가능한 구동 모터를 구비한 승강 스핀들, 압력 조절부를 구비한 유압 실린더 또는 작동 상태에서 안내 레일에 부착되는 솔레노이드를 구현하는데 적절하다. 이러한 경우에, 생성된 제동력은 감속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승강기 카 감속에 따라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상의 이유로,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에는 제어가능한 잠금 장치가 부착될 수 있고, 이 잠금 장치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에 의하여 승강기 카를 하방으로 전달하는 것을 잠그고 또한 승강기 카가 수평방향 이동 유닛으로부터 떨어질 위험을 없애준다.
수직방향 트랙이 카 도어 (10) 를 구비한 카 벽 (11) 에 평행하게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배열된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승강기 시스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수의 수직방향 트랙 (3) 은 또한 차례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층에 위치되어 수직방향 트랙 각각에 할당될 수 있는 층 정지부 (12) 에서 출입을 실시한다. 카 운반 기구 (13) 의 수평방향 안내부 (14, 15) 는, 각각의 승강기 카가 수직방향 트랙 (3) 각각을 사용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 트랙 전부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한다. 비교적 대량의 평행한 수직방향 트랙을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의 경우에, 1 개 이상의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이 카 운반 기구 (13) 의 동일한 수평방향 안내부 (14, 15) 에서 작동하도록 하거나 2 개 이상의 카 운반 기구를 서로 상하로 직접 배열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의 어떠한 중간 높이에는 카 운반 기구가 또한 존재할 수 있고, 상기 중간 높이는 층 정지부의 영역에 위치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유형의 승강기 시스템에 있어서,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승강기 제어기와 조합하여, 승강기 카는, 수직방향 트랙의 단부 영역을 통하여 회로를 완성할 필요없이, 중간 높이에 배열되는 상기 카 운반 기구를 통하여 그 수직방향 트랙 및, 적절하다면, 그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또는 큰 우회 없이 또한 감수해야 하는 대기 시간없이 평행한 수직방향 트랙으로부터 비워진 승강기 카를 호출할 수 있다. 수직방향 트랙 중 하나는 층으로서 또는 비워진 승강기 카용 주차 공간으로서 제공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수직방향 트랙의 단부 영역에 배열되지 않고 또한 비워진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을 구비한 카 운반 기구 (13) 는 최하부 층 정지부 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카 운반 기구는 승강기 시스템의 어떠한 중간 높이에 배열될 수 있다. 롤러 장착된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및 제어가능한 이동 구동부로 인하여, 카 운반 기구 (13) 는 또한 승객에 의해 점유되는 승강기 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적절하다.
수직방향 트랙의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은 카 운반 기구 (13) 의 영역에서 중단되기 때문에, 승강기 제어기는, 승강기 카가 그러한 영역에 유입되기 전의 각각의 시간에서,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의 안내 레일 피스 (18) 가 이러한 중단을 이어주는 것 (spanning) 을 보장해 준다. 수평방향 이동 유닛이 필요한 이어주기를 위한 정확한 시간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승강기 카는 중단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정지된다.
도 2a 및 도 2b 에서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과 함께 상기 카 운반 기구 (13) 의 확대된 측면도 및 전방도를 각각 도시한다. 수평방향 이동 유닛과 승강기 카 (4) 의 상호 작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하나의 상기 승강기 카는 점선으로 수평방향 이동 유닛의 유지 위치에 도시된다. 상부 수평방향 안내부는 도면부호 14 로 나타내었고, 하부 수평방향 안내부는 도면부호 15 로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수평방향 안내부 상에서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은 승강기 시스템의 수직방향 트랙 사이에서 이동 구동부 (24) 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수평방향 안내부 (14, 15) 는 승강기 샤프트의 도어측 벽 (25) 에 체결된다.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은, 2 개의 수직하게 배열된 측면 프레임 (26), 이 2 개의 측면 프레임 (26) 을 서로 연결시키는 상부 종방향 부재 (27) 및 하부 종방향 부재 (28) 를 구비한 프레임 구조물 (17) 을 포함한다. 4 개의 프로파일된, 상부 안내 롤러 (29) 는, 상부 종방향 부재 (27) 에 고정되고 또한 상부 수평방향 안내부 (14.1) 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상부 종방향 부재 (27) 를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하부 종방향 부재 (28) 는 하부 수평방향 안내부 (15) 에서 수평방향으로 하부 종방향 부재 (28) 를 안내하는 4 개의 하부 안내 롤러 (30) 를 구비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안내 레일 피스 (18) 는 2 개의 측면 프레임 (26) 의 내부측에 고정된다. 상부 및 하부 종방향 부재 (27, 28) 와 함께 2 개의 측면 프레임 (26) 은 2 개의 측면 프레임 (26) 사이에서 승강기 카 (4) 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U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2 개의 안내 레일 피스 (18) 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이 정확한 전달 위치에 위치될 때, 승강기 시스템의 수직방향 트랙의 수직방향 안내 레일의 단부 또는 중간부를 형성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유사하게, 승강기 카에는 제어가능한 브레이크 기구 (20) 가 장착되고, 이러한 브레이크 기구로 승강기 카 (4) 는 2 개의 수직방향 트랙 간의 수평방향 운반시 상기 안내 레일 피스 (18) 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 구동부 (24) 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위에 배열되고 또한 벨트 구동부를 포함하며, 이 벨트 구동부는 상부 수평방향 안내부에 체결되고, 전체 이동 거리에 걸쳐 연장하며, 구동 유닛 (32), 회전 이동 벨트 (33) 및 편향 벨트 풀리 (34) 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벨트의 하부 스트랜드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의 상부 종방향 부재 (27) 에 연결된다.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의 구동 유닛 (32) 은 승강기 통행 전부를 제어하고 관찰하는 중앙 승강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에는 도면부호 35 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중앙 장치가 장착된다. 중앙 장치 (35) 는, 예를 들어 전달 위치 중 하나에 정확하게 수평방향 이동 유닛을 고정시킬 수 있고, 그리하여 이동 구동부 (31) 에 의해 대략 위치결정시킨 후 상부 수평방향 안내부 (14) 상의 노치에 전자기적으로 제어된 중앙 쐐기를 결합시킴으로써 부하를 지탱할 수 있다.
제어가능한 잠금 장치를 도면부호 36 으로 나타내었고, 이러한 잠금 장치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에 의해 하방으로의 승강기 카 (4) 의 전달을 잠그고 또한 승강기 카가 수평방향 이동 유닛 외부로 떨어질 위험, 예를 들어 브레이크 기구가 떨어지는 것을 없애준다. 이러한 유형의 잠금 장치 (36) 는, 예를 들어 전자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잠금 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잠금 볼트는, 승강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프레임 (26) 으로부터 뻗어나와 상기 승강기 카가 하방으로 수평방향 이동 유닛을 나가지 않는 한 수평방향 이동 유닛에 고정된 승강기 카 아래에 결합한다.
도 3a 및 도 3b 에서는,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구성품을 도 1a 및 도 1b 에서 사용된 도면부호로 나타낸 본원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제 2 실시형태의 측면도 및 전방도를 각각 도시한다. 필요하다면, 제 2 실시형태의 부재에 대한 도면부호를 ".2" 의 색인으로 나타내었다.
도시된 실시형태는 2 개의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을 각각 구비한 2 개의 수직방향 트랙 (3) 과 이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3 개의 승강기 카 (4) 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본원의 수직방향 트랙 (3) 은 카 도어 (10) 를 구비한 카 벽 (11) 에 수직하게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승강기 카 각각은 2 개의 상호 마주보는 카 도어 (10) 를 구비하고, 이 카 도어 각각은 승강기 샤프트의 상호 마주보는 벽에 제공된 샤프트 도어 (9) 에 대응한다.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 운반 기구 (13) 의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은 수평방향 안내부 (14, 15) 를 따라 이동되고, 이 수평방향 안내부는 승강기 샤프트 (2) 의 예를 들어 플로어 및 천장 각각에서 수직방향 트랙 (3) 의 상단부 위에 또한 하단부 아래에 각각 배열된다. 상기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에 있어서, 이에 일체화되는 안내 레일 피스 (18) 는, 마찬가지로, 승강기 카가 2 개의 수직방향 트랙 (3)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이 승강기 카 (14) 를 수용하도록 한다. 중간 높이에 설치되어 승강기 카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은 이 실시형태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일 장점은, 상방 이동 및 하방 이동을 위한 층 정지부 (12) 및 입구 현관이 승강기 샤프트의 맞은편 측에 서로 분리되어 위치되어, 통행 흐름을 보다 정연하게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단점은, 오직 2 개의 수직방향 트랙이 배열될 수 있어서 이러한 트랙 상에서 이동하는 승강기 카가 층 정지부로부터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샤프트 도어 (9) 에 인접한 2 개의 수직방향 트랙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수직방향 트랙을 배열할 수 있고 또한 유리하며, 추가의 수직방향 트랙이 현재 사용되지 않는 승강기 카용 층으로서 및/또는 현재 더 통행하는 이동 방향에 대한 제 2 트랙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의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승강기 카 (4) 는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카 구동 시스템의 2 개의 동기 작동식 서브시스템 (7.2) 에 의해 구동되고, 이러한 서브시스템 (7.2) 은, 승강기 카의 상호 맞은편 측에 배열되고 또한 2 개의 회전 지지 수단 (8) 을 각각 구비한다. 전체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3 개의 카 구동 시스템을 함께 형성하는 6 개의 서브시스템 (7.2) 이 있으며, 각각의 승강기 카 (4) 에는 총 6 개의 연결 기구 (40) 가 제공되고, 이 6 개의 연결 기구 중 3 개는 각각의 경우에 카 구동 시스템의 좌측과 상호 작용하고, 나머지 3 개는 카 구동 시스템의 우측과 상호 작용한다. 각각의 경우에 양측상의 2 개의 서브시스템 (7.2) 의 구성은, 각각의 경우에 승강기 카를 구동하는 2 개의 동기 작동식 및 조절식 서브시스템이 승강기 카에 작용하는 경사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카 구동 시스템은 또한 승강기 카의 일측에만 배열될 수 있다. 일측에 배열된 카 구동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어 승강기 카에 작용하는 경사 모멘트는, 승강기 카의 수직방향 안내 레일 및 안내 슈 사이의 안내 힘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양 실시형태에 있어서, 승강기 카를 그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 이동시키고 위치시키도록, 각각의 수직방향 트랙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카 구동 시스템이 할당된다. 상기 카 구동 시스템은 동일한 수직방향 트랙을 따른 다수의 승강기 카의 비동기식, 즉 비연결식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단일 카 구동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에 비하여 운반 능력 및 이동 시간에 있어서 실질적인 장점을 제공해 준다. 이를 위해, 승강기 카는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 (이하 더 기재됨) 의 도움으로 카 구동 시스템의 가요성 지지 수단에 연결될 수 있고, 이 지지 수단은 승강기 제어기에 의해 승강기 카에 일시적으로 할당된다. 물론, 본원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에는 또한 서로 독립적인 3 개 이상 또는 3 개 미만의 카 구동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안전상의 이유로, 기재된 카 구동 시스템 (7, 7.2) 각각은 적어도 2 개의 평행한 가요성 지지 수단 (8) 을 포함하고, 이 지지 수단은, 할당된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상부 승강기 영역에서는 구동 풀리 (41) 둘레를 감고 또한 하부 영역에서는 편향 풀리 (42) 또는 제 2 구동 풀리 둘레를 감는다. 각각의 구동 풀리 (41) 는 구동 유닛 (43) 에 의해 구동되고, 이 구동 유닛은 속도 제어가능한 전동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경우에 카 구동 시스템 (7 또는 7.2) 에 할당된, 구동 유닛 (43) 또는 그의 전동기는, 동일한 수직방향 트랙과 연관된 다른 구동 유닛과는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조절될 수 있다. 구동 풀리 (41) 는 100 ㎜ 미만의 작은 유효 직경, 바람직하게는 80 ㎜ 미만의 유효 직경을 가지고, 그리하여 달성되는 효과는, 개재 트랜스미션 없이 바로 구동 풀리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작은 치수의 전동기에 의해 지지 수단 (8) 에서 필요한 승강 힘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전동기의 모터 샤프트 및 연관된 구동 풀리는 일체의 유닛을 형성할 수도 있다. 카 구동 시스템의 허용가능한 부하는,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카 구동 시스템에 할당된 구동 풀리를 각각 구비한 상부 및 하부 구동 유닛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형태는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구동 유닛의 전동기는 동기식으로 제어되고 또한 동기식으로 속도 제어된다.
하부 승강기 영역의 구동 또는 편향 풀리에는 인장 기구 (화살표 P 로 상징적으로 도시함) 가 장착되고, 이러한 인장 기구로, 지지 수단의 필요한 예비 인장이 발생되고, 또한 자체적으로 폐쇄되는 지지 수단의 최초 길이의 편차 및 선택적으로 유도되는 지지 수단의 길이의 유연한 (plastic) 변화를 보상한다. 필요한 인장력은 인장 추 (weights), 가스 충전식 스프링 또는 금속 스프링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도 1b, 도 3a, 도 3b 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에 도시된 지지 수단 (8) 은 벨트 형태이다. 이 벨트는 치형 벨트 또는 V-리브형 벨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와이어 케이블, 합성 섬유 케이블 또는 합성 섬유 티슈 (tissues) 형태의 인장 보강재로 보강되며, 그리하여 상기 벨트는 허용불가능한 수직방향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다수의 층에 걸쳐서 할당된 승강기 카 (4) 를 운반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된 승강기 시스템의 각각의 승강기 카 (4) 에는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 (40) 가 장착되고, 이러한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는 각각의 승강기 카 (4) 가 일시적으로 할당된 카 구동 시스템 (7) 또는 서브시스템 (7.2) 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물론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유형의 결합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하게 이동가능한 연결 부재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연결 부재는, 승강기 카 및 지지 수단 간의 일시적인 연결을 형성하도록, 할당된 카 구동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에 존재하는 개구 또는 보스와 상호잠금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유형의 연결 기구가 확고한 연결을 보장하더라도, 이러한 연결 기구는, 각각의 결합 작동 전에, 개구 중 하나 또는 보스 중 하나가 카 측 연결 기구의 가동 연결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가게 되는 위치로 지지 수단이 가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분리하기 전에, 상호 잠금 연결을 부하 없이 분리하고 또한 비교적 탄성적인 지지 수단의 갑작스런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승강기 카를 수평방향 이동 유닛에 유지한 후에, 구동 유닛의 적절한 작동으로 지지 수단을 해제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하여, 수직방향 트랙마다 카 구동 시스템 (7) 또는 서브시스템 (7.2) 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승강기 카에는 유리하게는 마찰 결합식으로 작용하는 많은 연결 기구가 있다. 변형예로서, 각각의 승강기 카는, 또한 연결 작동 전에, 제어된 위치결정 장치에 의해 현재 할당된 카 구동 시스템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게 되는 단일의 연결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연결 기구 (40) 에는 제어가능한 클램핑 장치 (45) 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클램핑 장치로 각각의 경우에 승강기 카의 연결 기구 중 하나가 일시적으로 할당된 카 구동 시스템 (7) 또는 서브시스템 (7.2) 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 (8) 에 마찰 결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승강기 카 (4) 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의 안내 레일 피스 (18) 에 고정될 때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 연결 기구 (40) 의 클램핑 장치 (45) 는 지지 수단 (8) 의 영역 외부로 후퇴될 수 있다. 마찰 결합식으로 작용하는 연결 기구는, 지지 수단의 어떠한 연결 부재가 승강 카와 관련된 한정된 위치로 미리 갈 필요없이, 모든 수직방향 위치에서 승강기 카가 카 구동 시스템의 지지 수단에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추가로, 마찰 결합식으로 작용하는 연결 기구의 경우에 분리하기 전에 지지 수단을 해제할 필요가 없다.
마찰 결합식으로 작용하는 연결 기구 (40) 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는 도 4 ~ 도 7 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4 에서는 연결 기구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5 에서는 연결 기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a, 도 1b, 도 3a, 도 3b 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연결 기구는 승강기 카의 상부 측에 장착된다. 도 6 및 도 7 에서는, 연결 기구의 클램핑 장치 (45) 및 연결 기구를 후퇴시키는 종방향 안내부가 제공되는 연결 기구의 영역을 통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연결 기구 (40) 는 승강기 카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46) 및 이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이동가능한 연결부 (47) 를 포함한다. 연결부 (47) 는, 그 전방 단부의 영역에서, 슬롯 (49) 을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45) 를 구비하고, 연결 부분 (47) 이 연장된 위치까지 올 때, 벨트로서 구성된 2 개의 지지 수단 (8) 이 이 슬롯을 통하여 안내된다. 2 개의 브레이크 플레이트 (50) 는 클램핑 장치 (45) 의 슬롯 (49) 에 배열되고, 브레이크 플레이트 각각은 가압 피스톤 (51) 에 의해 안내되며 또한 할당된 지지 수단 (8) 에 접하여 가압 피스톤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가압 피스톤 (51) 은 각각의 실린더 보어 (52) 에 배열되고, 이 보어는 클램핑 장치 (45) 의 암 중 하나에 드릴링되며 또한 밀봉 정지부 (53) 에 의해 일측에서 폐쇄된다. 가압 피스톤과 밀봉 정지부 (53) 사이의 2 개의 실린더 보어 (52) 에 존재하는 압력 공간은, 연결 보어 (55) 에 의해 오일 충전식 압력 실린더 보어 (56) 에 연결된다. 상기 압력 실린더 보어로부터의 오일은, 가압 피스톤 (51) 에 의해, 브레이크 플레이트 (50) 를 지지 수단 (8) 에 대하여 가압하여 이 지지 수단을 연결 부분 (47) 또한 승강기 카에 마찰 결합식으로 연결하도록, 압력 형성 피스톤 (57) 의 이동에 의해 상기 압력 공간안으로 가압될 수 있다. 압력 형성 피스톤 (57) 을 이동시키도록, 전동기에 의해 작동되는 승강 스핀들 (58) 은 연결 부분 (47) 에 측방으로 장착되고 또한 스프링 부재 (59) 및 압력 형성 피스톤 (57) 을 통하여 연결에 필요한 오일 압력을 형성한다. 분리하기 위해서, 스프링 부재는 승강 스핀들 (58) 에 의해 부하 해제되고, 그리하여 가압 피스톤 (51) 은 복원 스프링 (60) 에 의해 후퇴되며, 그리하여 브레이크 플레이트 (50) 는 지지 수단 (8) 으로부터 승강된다. 그리하여, 승강기 카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의 안내 레일 피스에 고정되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연결 부분 (47) 의 클램핑 장치 (45) 는 지지 수단 (8) 의 영역 외부로 후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부분 (47) 은 T 형상의 종방향 안내부 (62) 를 통하여 그의 베이스 플레이트 (46) 에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 ~ 도 7 에 도시된 연결 기구 (40) 에서, 연결 부분 (47) 및 클램핑 장치 (45) 는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다른 이동 승강 스핀들 (61) 에 의해 후퇴되고 전진된다.

Claims (24)

  1.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 (4) 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승강기 카는,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을 포함하는 수직방향 트랙 (3) 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카 운반 기구 (13) 의 도움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직방향 트랙 (3) 에는 가요성 지지 수단 (8) 을 포함하는 카 구동 시스템 (7; 7.2) 이 장착되고, 상기 가요성 지지 수단은 수직방향 트랙 (3) 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정지가능하며,
    상기 승강기 카 (4) 는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 (40)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로 승강기 카는 상기 지지 수단에 연결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승강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 운반 기구 (13) 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방향 이동 유닛에 수직방향 안내 레일 피스 (18) 가 일체화되며,
    상기 안내 레일 피스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내에서 승강기 카 (4) 를 안내하고,
    상기 수평방향 이동 유닛은, 안내 레일 피스 (18) 가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기 카 (4) 는 브레이크 기구 (20) 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기구로 상기 승강기 카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에 일체화된 안내 레일 피스 (18) 에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기구 (20) 는 제어 기구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작동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기구 (20) 는 또한 승강기 카 (4) 용의 캐치 브레이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기구 (20) 는 또한 승강기 카 (4) 용의 유지 브레이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시스템은 2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직방향 트랙 (3) 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 카 (4) 는 카 운반 기구 (13) 의 도움으로 상기 수직방향 트랙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 트랙 (3) 은 승강기 카 (4) 의 카 벽 (11) 에 평행하게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배열되고, 상기 카 벽은 카 도어 (1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운반 기구 (13) 의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은 수평방향 안내부 (14, 15) 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수평방향 안내부는 승강기 샤프트의 일부에서 카 도어 (10) 를 구비한 카 벽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카 벽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기 카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카는 카 도어 (10) 를 각각 갖는 2 개의 상호 마주보는 카 벽 (11) 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방향 트랙 (3) 은 상기 카 벽에 수직하게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에 일체화되는 안내 레일 피스 (18) 가 2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직방향 트랙 (3) 의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의 이동가능한 단부 또는 중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이한 높이에 배열되는 다수의 카 운반 기구 (13) 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8) 및 상기 연결 기구는, 승강기 카 (4) 및 지지 수단이 상호 잠금 결합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및 상기 연결 기구 (40) 는, 승강기 카 (4) 및 지지 수단 (8) 이 마찰 결합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 (7; 7.2) 은 속도 제어가능한 전동기를 구비한 구동 유닛 (43) 을 포함하고, 상기 전동기는 지지 수단 또는 구동 샤프트에 작용하는 구동 풀리 (41) 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 풀리는 100 ㎜ 미만의 유효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 (7; 7.2) 은 평행하게 배열된 2 개의 가요성 지지 수단 (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 (7; 7.2) 은 상부 및 하부 구동 유닛 (43)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동기식으로 제어되고 조절될 수 있고 또한 구동 시스템의 1 개 또는 그 이상의 지지 수단 (8) 에 함께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 (7; 7.2) 의 1 개 또는 그 이상의 지지 수단 (8) 은 와이어 케이블, 플랫 벨트, V-리브형 벨트 또는 치형 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마찰 결합에 의해 작용하는 상기 연결 기구 (40) 는, 승강기 카 (4) 의 수평방향 운반을 가능하게 하도록, 지지 수단 (8) 의 영역 외부로 이동가능한 클램핑 장치 (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 (7; 7.2) 은 평형추 없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 (7; 7.2) 은 구동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절기는, 승강기 카 (4) 의 하방 이동시, 메인에 형성된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또는 커패시터 또는 어큐뮬레이터에 상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방향 트랙 (3) 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 개 또는 그 이상의 구동 시스템 (7; 7.2) 이 장착되어, 2 개 또는 그 이상의 승강기 카 (4) 는 상기 수직방향 트랙을 따라서 동시에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승강기 카는 2 개 또는 그 이상의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 (40) 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기구로 승강기 카는 그에 현재 할당된 별도로 제어가능한 구동 시스템 (7; 7.2) 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절대적인 인코딩을 갖춘 코드 스케일이 수직방향 트랙 (3) 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승강기 카 (4) 에는 비접촉식으로 기능하는 검출기에 의해 상기 코드 스케일로부터 승강기 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판독하는 코드 판독 기구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카에는 회전식 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회전식 센서는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또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의 안내 레일부 (18) 를 따라 구르는 마찰 휠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회전식 센서는 현재의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회전식 센서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참조하여 또한 위치 정보로부터 판단되는 이동 경로의 연속 미분에 의해 승강기 카 (4) 의 이동 속도 및 현재의 가속 중 하나 이상을 중복 관찰하고, 속도 한계 또는 가속 한계를 초과한 것으로 검출되면, 캐치 브레이크로서의 제어가능한 브레이크 기구 (20) 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 (4) 는,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을 포함하는 수직방향 트랙 (3) 을 따라서 이동하고 또한 카 운반 기구 (13) 의 도움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승강기 카 (4) 를 카 구동 시스템 (7; 7.2) 의 가요성 지지 수단 (8) 에 연결시키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제어가능한 연결 기구 (40) 를 사용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수직방향 트랙 (3) 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또한 정지가능한 승강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수평방향 이동을 위해, 상기 승강기 카 (4) 는, 카 운반 기구 (13) 의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에 일체화되는 안내 레일 피스 (18) 상에서 이동되고, 상기 안내 레일 피스는,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의 운반 위치에서, 수직방향 트랙 (3) 의 수직방향 안내 레일 (5) 의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기 카 (4) 는 그에 부착된 브레이크 기구 (20) 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 유닛 (16) 에 일체화된 안내 레일 피스 (18)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2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는 80 ㎜ 미만의 유효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KR1020107015037A 2007-12-11 2008-12-11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KR101450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22912.4 2007-12-11
EP07122912A EP2070860A1 (de) 2007-12-11 2007-12-11 Aufzugssystem mit vertikal und horizontal verfahrbaren Aufzugkabinen
PCT/EP2008/067271 WO2009074627A1 (de) 2007-12-11 2008-12-11 Aufzugssystem mit vertikal und horizontal verfahrbaren aufzugkabi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432A KR20100098432A (ko) 2010-09-06
KR101450944B1 true KR101450944B1 (ko) 2014-10-15

Family

ID=3928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037A KR101450944B1 (ko) 2007-12-11 2008-12-11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48994B2 (ko)
EP (2) EP2070860A1 (ko)
KR (1) KR101450944B1 (ko)
CN (1) CN101896416B (ko)
BR (1) BRPI0821510B1 (ko)
CA (1) CA2708794C (ko)
HK (1) HK1147237A1 (ko)
WO (1) WO2009074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61233B1 (de) 2008-09-01 2012-02-01 ThyssenKrupp Elevator AG Tragvorrichtung zum Umsetzen eines Fahrkorbs eines Aufzugs
DE102008059711A1 (de) * 2008-11-29 2010-06-10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Vorrichtung zum Umsetzen von Gegenständen sowie Förderanlagen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EP2370333B1 (de) * 2008-12-26 2013-08-28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EP2221269A1 (de) * 2009-02-20 2010-08-25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m Mehrdeckfahrzeug
CN102060228B (zh) * 2010-12-08 2013-07-24 长安大学 行人过街机
US8757327B2 (en) 2011-04-15 2014-06-24 L-3 Communications Integrated Systems Lp Vehicle elevator systems and methods
WO2012154178A1 (en) * 2011-05-11 2012-11-15 Otis Elevator Company Circulation transport system
CN102464247B (zh) * 2011-08-21 2015-06-17 冯静 在多层住宅楼中设置多幢楼共用电梯的建筑结构
CN102408054B (zh) * 2011-08-21 2013-09-25 冯静 多层住宅楼的多幢楼共用电梯的建筑结构及使用方法
US20150014098A1 (en) 2012-01-25 2015-01-15 Inventio Ag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onitoring travel movements of an elevator car
WO2013159800A1 (en) * 2012-04-26 2013-10-31 King Fritz Articulated funiculator
CN102756964B (zh) * 2012-07-23 2014-05-14 刘广天 非缠绕式高层救援升降机
US8969212B2 (en) 2012-11-20 2015-03-03 Applied Materials, Inc. Dry-etch selectivity
US10118799B2 (en) * 2013-03-25 2018-11-06 Otis Elevator Company Multicar self-propelled elevator system
US10059566B2 (en) * 2013-05-07 2018-08-28 Otis Elevator Company Connecting cars in a multicar elevator system
GB201310023D0 (en) * 2013-06-05 2013-07-17 Godwin Michael Transporation system
CN103482451B (zh) * 2013-09-11 2015-11-18 盐城工学院 一种挂接式桥厢高效客运电梯
DE102014104458A1 (de) * 2014-03-28 2015-10-01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system
CN104210922B (zh) * 2014-09-04 2016-06-15 黄韩华 垂直升降跨路电梯
US9758347B2 (en) * 2014-12-02 2017-09-12 ThyssenKrupp Elevator AG; ThyssenKrupp AG Arrangement and method to move at least two elevator cars independently in at least one hoistway
WO2016100609A1 (en) * 2014-12-17 2016-06-23 Otis Elevator Company Configurable multicar elevator system
WO2016109338A1 (en) * 2014-12-30 2016-07-07 Otis Elevator Company Transfer station for a ropeless elevator system with redundancy of subcomponents and parking zone
US20180029832A1 (en) * 2015-02-05 2018-02-01 Otis Eleva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elevator system installation
DE102015102563A1 (de) 2015-02-23 2016-08-25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fzugsystems mit mehreren Schächten und mehreren Kabinen
DE102015103012A1 (de) * 2015-03-03 2016-09-08 Thyssenkrupp Ag Bremsvorrichtung für einen Fahrkorb einer Aufzugsanlage
US10017354B2 (en) 2015-07-10 2018-07-10 Otis Elevator Company Control system for multicar elevator system
US10370222B2 (en) 2015-07-16 2019-08-06 Otis Elevator Company Ropeless elevator system and a transfer system for a ropeless elevator system
CN106395552B (zh) 2015-08-03 2020-03-17 奥的斯电梯公司 无绳电梯系统导轨组件
CN107922158B (zh) * 2015-08-03 2020-11-24 奥的斯电梯公司 中间转运站
EP3334675A1 (en) * 2015-08-12 2018-06-20 Otis Elevator Company Transport system for ropeless elevator hoistway and method
CN106477435B (zh) * 2015-08-25 2019-12-10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电力供应
US10486940B2 (en) * 2015-08-25 2019-11-26 Otis Elevator Company Alignment system for an elevator car
DE102015218025B4 (de) * 2015-09-18 2019-12-12 Thyssenkrupp Ag Aufzugsystem
US9598265B1 (en) * 2015-09-28 2017-03-21 Smart Lifts, Llc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bile elevator cabins
CN105236244B (zh) * 2015-11-25 2018-11-20 佛山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多轿厢式电梯
WO2017093595A1 (en) * 2015-11-30 2017-06-08 Kone Corporation Adjustable multicar elevator system
CN105936459A (zh) * 2016-06-23 2016-09-14 袁望画 一种电梯
CN108059062B (zh) 2016-11-07 2020-05-26 奥的斯电梯公司 模块化调转站
WO2018134645A1 (en) * 2017-01-21 2018-07-26 Sayedahmad Mohammad Multi cars elevator
US10494229B2 (en) 2017-01-30 2019-12-03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esilient design and operation of elevator system
DE102017202405A1 (de) 2017-02-15 2018-08-16 Thyssenkrupp Ag Halteeinrichtung
CN106966261A (zh) * 2017-05-25 2017-07-21 沈阳建筑大学 一种电梯运行系统及其控制方法
EP3409631B1 (en) * 2017-06-01 2021-04-28 KONE Corpor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hanging a direction of movement of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and the elevator thereof
CN107161817B (zh) * 2017-06-06 2019-06-07 湖南德力通电梯有限公司 一种基于拖车形式的水平电梯系统及调度方法
CN110831881B (zh) * 2017-06-21 2022-03-22 蒂森克虏伯电梯股份公司 用于电梯系统中旋转平台的支撑装置
CN107458948B (zh) * 2017-07-31 2019-04-05 山东建筑大学 一种基于拖车结构可垂直和横向移动的电梯
WO2019034381A1 (de) * 2017-08-17 2019-02-21 Inventio Ag Aufzugsystem
US11027944B2 (en) * 2017-09-08 2021-06-08 Otis Elevator Company Climbing elevator transfer system and methods
CN110817629B (zh) * 2018-08-09 2021-05-04 杭州沪宁电梯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诊断系统
DE102018213760A1 (de) * 2018-08-15 2020-02-20 Thyssenkrupp Ag Aufzugsanlage
WO2020054911A1 (ko) * 2018-09-10 2020-03-1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리니어 모터
CN113286758B (zh) * 2019-02-12 2022-10-18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系统
AU2020222206B2 (en) * 2019-02-12 2023-05-25 Inventio Ag Lift system
CN113272239A (zh) * 2019-02-28 2021-08-17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系统
CN110155826A (zh) * 2019-03-07 2019-08-23 湖南大举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电梯运行系统的驱动机构及多轿厢电梯运行系统
CN110329875A (zh) * 2019-08-12 2019-10-15 伊塞克电梯有限公司 一种用于钢丝绳与负载的转向连绳器
CN110817654B (zh) * 2019-11-22 2021-03-02 山东富士制御电梯有限公司 一种单井道双轿厢电梯
CN114829284A (zh) * 2019-12-23 2022-07-29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摩擦驱动装置的电梯系统
CN117486039B (zh) * 2023-12-28 2024-03-12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智慧医院电梯的物资输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7005A (en) 1965-04-21 1967-05-02 Arthur H Kehoe Elevator system
KR970026875A (ko) * 1995-11-29 1997-06-24 로버트 피이. 헤이터 수평 이동가능한 캡의 로딩 및 언로딩중 빌딩에의 엘리베이터 승강기 프레임 로킹장치
KR0152894B1 (ko) * 1996-01-31 1998-10-15 이종수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EP1693331A1 (de) * 2005-02-17 2006-08-23 Inventio Ag Aufzugssystem mit mehreren Schächten und mit Aufzugskabinen welche vom gewählten Antriebssystem an- und abgekuppelt werden könn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9483A (en) * 1929-08-23 1932-05-24 Lenna R Winslow Elevator
US3658155A (en) * 1970-09-15 1972-04-25 William G Salter Elevator system
US4946006A (en) * 1988-04-13 1990-08-07 T. K. M. Engineering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with a sectored vertical shaft and a turntable for transfering elevator cages between the individual sectors
US5419414A (en) * 1993-11-18 1995-05-30 Sakita; Masami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the same hoistway
US5829553A (en) * 1995-11-29 1998-11-03 Otis Elevator Company Fail-safe movement of elevator cabs between car frames and landings
ZA969388B (en) * 1995-11-29 1997-06-02 Otis Elevator Co Locking a horizontally moveable elevator cab to an elevator platform
CN1154338A (zh) * 1995-11-29 1997-07-16 奥蒂斯电梯公司 紧急电梯舱室征用传送装置
US5758748A (en) * 1995-11-29 1998-06-02 Otis Elevator Company Synchronized off-shaft loading of elevator cabs
US6354404B1 (en) * 2000-05-16 2002-03-12 Otis Elevator Company Rotatable elevator system
EP1323660B1 (de) * 2001-12-24 2017-01-04 Inventio AG Sicherheitsbremse für Aufzugsanlagen
JP2004002020A (ja) * 2002-05-27 2004-01-08 Inventio Ag 数台の自走式かごと少なくとも3つの隣接配置されたエレベータ昇降路と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
DE202004009022U1 (de) * 2004-06-07 2004-09-09 Müller, Wolfgang T. Aufzugsschacht für selbstfahrende Kabinen
JP2006027902A (ja) * 2004-07-15 2006-02-02 Inventio Ag 互いに隣接して配置される少なくとも3つの垂直エレベータ昇降路を有する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そのようなエレベータ昇降路の動作方法
TWI343357B (en) * 2004-07-22 2011-06-11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with individually movable elevator car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US20060163008A1 (en) * 2005-01-24 2006-07-27 Michael Godwin Autonomous linear retarder/motor for safe operation of direct drive gearless, rope-less eleva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7005A (en) 1965-04-21 1967-05-02 Arthur H Kehoe Elevator system
KR970026875A (ko) * 1995-11-29 1997-06-24 로버트 피이. 헤이터 수평 이동가능한 캡의 로딩 및 언로딩중 빌딩에의 엘리베이터 승강기 프레임 로킹장치
KR0152894B1 (ko) * 1996-01-31 1998-10-15 이종수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EP1693331A1 (de) * 2005-02-17 2006-08-23 Inventio Ag Aufzugssystem mit mehreren Schächten und mit Aufzugskabinen welche vom gewählten Antriebssystem an- und abgekuppelt werden kön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9985A1 (de) 2010-08-25
CN101896416A (zh) 2010-11-24
CA2708794A1 (en) 2009-06-18
KR20100098432A (ko) 2010-09-06
BRPI0821510A2 (pt) 2015-06-16
CN101896416B (zh) 2012-10-10
US9248994B2 (en) 2016-02-02
HK1147237A1 (en) 2011-08-05
WO2009074627A1 (de) 2009-06-18
EP2219985B1 (de) 2013-02-13
EP2070860A1 (de) 2009-06-17
CA2708794C (en) 2016-12-06
US20110042168A1 (en) 2011-02-24
BRPI0821510B1 (pt)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944B1 (ko)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CN111712455B (zh) 紧急停止装置及电梯
CN103261073A (zh) 具有轿厢和对重的电梯设备
KR20110053468A (ko) 엘리베이터 몸체를 재배치하는 수송 장치
EP3369686A1 (en) Elevator comprising an electric linear motor
WO2007080626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914183A (zh) 电梯系统
KR20040019269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0407057B (zh) 电梯安全机构致动装置
US11059698B2 (en) Elevator safety gear assembly
KR102211112B1 (ko) 엘리베이터 안전 기어 작동 디바이스
US20220048736A1 (en) Elevator system
KR20210085850A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11295351B (zh) 用于在电梯竖井中执行维护工作的装置
KR102330510B1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US11713212B2 (en) Vehicle with shock absorption for transporting passengers on a variable slope track and installation comprising said vehicle
KR102330456B1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13581976B (zh) 用于电梯轿厢的导向装置和电梯系统
KR20210085852A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210085853A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WO2009036232A2 (en) Elevator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EP3569548A1 (en) Elevator safety gear assembly
CN114084777A (zh) 转移站中的自动运载器的无绳电梯锁定及确认
CN117003080A (zh) 具有电子安全促动器的电梯轿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