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894B1 -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894B1
KR0152894B1 KR1019960002297A KR19960002297A KR0152894B1 KR 0152894 B1 KR0152894 B1 KR 0152894B1 KR 1019960002297 A KR1019960002297 A KR 1019960002297A KR 19960002297 A KR19960002297 A KR 19960002297A KR 0152894 B1 KR0152894 B1 KR 0152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rizontal
passage
drivin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071A (ko
Inventor
황상연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02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894B1/ko
Publication of KR970059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 및 수평이동이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승강운행만 가능한 것이었으며, 근래 여러 개의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를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로 연결하여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이들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를 배치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내에서 운행하도록 한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양측벽에는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배치하고,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양측벽에는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며, 상기 카의 양측벽에는 상기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에 대응하는 승강구동용 2차측 부재와 상기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에 대응하는 수평구동용 2차측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교차점에는 승강구동용 코일과 수평구동용 코일이 감겨진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를 설치하는 것에의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승강 및 수평이동 전환시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 및 승강안내레일 및 수평안내레일을 보인 종단면도.
제2도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와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 및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의 배치 상태 및 카의 운행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와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카의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제동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카 3 :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
4 :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 7a :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
7b :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 7c :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
11 : 승강구동용 인버터 12 : 수평구동용 인버터
19 : 승강구동용 2차측 부재 20 : 수평구동용 2차측 부재
23a : 승강안내레일 23b : 수평이동안내레일
26 : 수평이동안내롤러 27 : 승강안내롤러
본 발명은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수평이동 구동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1차측 부재와 2차측 부재만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방향 승강과 수평방향 이동시킬 수 있게 한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과밀화 현상이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절실히 요구되는 초고층 빌딩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회전형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로프식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승객수송 서비스 향상의 관점에서 많은 수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빌딩의 유효면적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빌딩의 유효면적이 감소되지 않도록 단일의 승강로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도록 개발된 것이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로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 2-261789호로서 알려진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1)의 양측벽에 설치된 승강안내레일(5)을 따라 상,하부 카(2,2')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로(1)의 양측에 설치되는 1차측 부재(30a,30b,30c,30d)와 상기 상,하부 카(2,2')에 설치되는 2차측 부재(40)에 의하여 구성되는 리니어모터를 구비하여 이 리니어모터에 의하여 상,하부 카(2,2')를 승강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카(2,2')의 양측 상,하부에는 이들 카(2,2')를 승강안내레일(5)에 지지하여 안내하기 위한 상,하부 안내롤러(21,22)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니어모터의 2차측 부재(40)는 1차측 부재(30a,30b,30c,30d)에 대응하여 4개로 분할 설치된다.
상기 1차측 부재(30a,30b,30c,30d)는 철심과 이 철심에 감겨진 코일로 구성되며, 2차측 부재(40)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 카(2,2')에는 전자석을 구동원으로 하는 제동장치(1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운행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동장치(10)가 작동하여 카(2,2')가 임의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지령이 발생하면 제동장치(10)를 구성하는 전자석의 작동으로 제동이 해제됨과 동시에 파워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된 가변전압가변주파수 제어장치(통상 'VVVF장치'라고 함)에 의하여 소정의 속도지령신호에 따른 소정의 전압주파수의 교류를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1차측 부재(30a,30b,30c,30d)에 인가함에 따라 1차측 부재(30a,30b,30c,30d)와 2차측 부재(40)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직방향의 이동자계가 카(2,2')를 승강구동시키게 된다.
카(2,2')가 목적 층에 도착하게 되면 제동장치가 작동하여 카(2,2')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단순히 수직방향으로만 승강하는 통상적인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것이다.
근래, 빌딩이 초고층 초대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승객이 보행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순히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것만이 아니라 승강도중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목적 층에서는 탑승한 층의 승장에 대응하는 승강로와 다른 승강로측 승장에서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이동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1차측 부재(30a,30b,30c,30d)와 2차측 부재(40)가 상하 방향으로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수평방향 이동을 위하여는 별도의 수평방향 구동장치가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수직이동구간과 수평이동구간 사이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고, 1차측 부재(30a,30b,30c,30d)와 2차측 부재(40)에 의한 수직구동력을 받던 카(2,2')를 수평방향 구동장치에 인계되는 과정에서 대기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 시간이 연장되며, 그 작동상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수평방향 구동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1차측 부재와 2차측 부재를 적절히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방향 승강은 물론 수평방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직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층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이들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를 배치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내에서 운행하도록 한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양측벽에는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배치하고,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양측벽에는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며, 상기 카의 양측벽에는 상기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에 대응하는 승강구동용 2차측 부재와 상기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에 대응하는 수평구동용 2차측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교차점에는 승강구동용 코일과 수평구동용 코일이 감겨진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를 설치하여서 된 승강 및 수평이동이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 및 승강안내레일 및 수평안내레일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제2도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와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 및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의 배치 상태 및 카의 운행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수직 및 수평이동구간에서의 리니어모터의 1차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방향전환구간에서의 리니어모터의 1차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카에 장착된 구동 및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수직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각각 보인 것이다.
도 2의 (a)는 엘리베이터의 이동로와 안내레일 및 카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3은 카(2)가 수직방향으로 승강이동하는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이고, 3a는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이다.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는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로와 마찬가지로 층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는 각 층별로 각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에는 그 양측 내벽에 종래의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서와 마찬가지로 카(2)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승강안내레일(23b)이 설치되며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에는 카(2)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평이동안내레일(23b)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제2도의 (a)(b)에서는 2개의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와 3개의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를 구비한 예를 들고 있으나 그 이상의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를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카(2)의 양측 상하 단부에는 상기 승강안내레일(23b)에 안내되는 승강안내롤러(27)와 수평이동안내레일(23b)에 안내되는 수평이동안내롤러(26)가 각각 굴대 설치된다. 제5도 및 제7도에서 미설명 부호 24는 상기 안내롤러(27,26)들을 지지하는 롤러지지축이다.
상기 승강안내레일(23b)과 수평이동안내레일(23b)은 대략 ㄷ자형 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안내롤러(27,26)들은 이 ㄷ자형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홈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들 안내레일(23a,23b)의 교차점에서 각 롤러(27,26)들이 그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제2도의 (b)는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에설치되는 리니어모터의 1차측 구조와 카(2)에 설치되는 리니어모터의 2차측을 보인 것이고, 제5도는 카(2)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의 양측벽에는 카(2)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승강구동용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2열의 1차측 부재(7a)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카(2)의 양측벽에는 상기 1차측 부재(7a)에 대응하는 2차측 부재(19)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의 양측벽에는 카(2)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평구동용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2열의 1차측 부재(7b)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카(2)의 양측벽에는 상기 1차측 부재(7b)에 대응하는 2차측 부재(2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카(2)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력과 카(2)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1차측 부재(7c)가 상기 승강구동용 리니어모터의 2차측 부재(19)와 수평이동용 리니어모터의 2차측 부재(20)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7a)와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7b)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스트라이프 돌기(14a)를 가진 철심(14)에 코일(15)을 감아서 되는 것으로,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7a)는 그 스트라이프 돌기(14a)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7b)는 그 스트라이프 돌기(14a)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방향전환용 리니어모터의 1차측 부재(7c)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격자상 돌기(16a)를 가지는 철심(16)에 승강구동용 코일(17a)과 수평구동용 코일(17b)을 각각 감아서 되는 것으로, 승강구동용 코일(17a)은 승강구동용 2차측 부재(19)와의 상호 작용으로 승강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며, 수평구동용 코일(17b)은 수평구동용 2차측 부재(20)와의 상호 작용으로 수평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7a)의 코일에는 승강구동용 인버터(11)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며,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7b)의 코일에는 수평구동용 인버터(1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7c)의 승강구동용 코일(17a)에는 상기 승강구동용 인버터(11)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며 수평구동용 코일(17b)에는 상기 수평구동용 인버터(1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버터들은 IGBT 등의 전력용 반도체 소자로 구성된 VVVF 장치가 사용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동장치(25)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 철심(33a)과 코일(33b)로 구성되는 전자석(29)과, 이 전자석(29)에 의하여 작동되며 그 선단에는 상기 승강안내레일(23a)에 밀착되는 브레이크 슈(31a)가 부착된 브레이크 레버(31)와, 이 브레이크 레버(31)를 복원시키는 스프링(28)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동장치(25)의 브레이크 슈(31a)는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승강안내레일(23b)과 수평이동안내레일(23b)의 일측벽 양측에 밀착되는 것으로 승강안내레일(23b)과 수평이동안내레일(23b)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제6도에서 32는 브레이크 레버(31)를 지지하는 힌지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정지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동장치(25)가 제동작동하여 그 위치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며, 운행 지령이 전달되면 제동장치(25)의 제동이 해제되어 카(2)는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지령 방향에 따라 카(2)가 이동하게 된다.
먼저,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에서 승강운행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카(2)가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에 위치하고 있고 운행 지령이 승강작동 지령인 경우에는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7a)의 코일에 승강구동용 인버터(11)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고 이 자기장이 영구자석으로 된 승강구동용 2차측 부재(19)의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으로 카(2)를 승강시키기 위한 추력이 발생되어 카(2)는 목표 층을 향하여 승강하게 된다. 카(2)가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7c)의 승강구동용 코일(17a)에 승강구동용 인버터(11)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계속하여 승강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카(2)측의 승강구동용 2차측 부재(19)는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의 교차점을 통과할 때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7a)와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7c)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카(2)가 목표 층에 근접하게 되면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7a)에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카(2)의 속도를 점차 줄이며, 이 위치에 도달하면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7a)는 카(2)에 대하여 승강구동을 위한 추력을 부여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7c)의 승강구동용 코일(17a)에 승강구동용 인버터(11)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계속하여 승강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7c)의 승강구동용 코일(17a)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카(2)의 속도를 줄여 최종적으로 그 속도가 0이 되도록, 즉 정지하도록 한다. 이때, 제동장치(25)의 제동작동에 의하여 카(2)는 목표 층에 정확하게 정지되도록 한다. 상술한 승강운행시에는 카(2)에 설치된 승강안내롤러(27)가 승강안내레일(23a)을 따라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카(2)의 안정적인 운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수평운행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한편, 카(2)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에 위치하고 있고, 운행 지령이 수평 이동 지령인 경우에는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7a)의 코일에는 전원이 차단되고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7b)의 코일에 수평구동용 인버터(12)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고 이 자기장이 영구자석으로 된 수평구동용 2차측 부재(20)의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으로 카(2)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추력이 발생되어 카(2)는 수평이동하게 된다. 카(2)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와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7c)의 수평구동용 코일(17b)에 수평구동용 인버터(12)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계속하여 수평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카(2)측의 승강구동용 2차측 부재(19)는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의 교차점을 통과할 때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7b)와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7c)중 적어도 하나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카(2)가 원하는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에 근접하게 되면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7b)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카(2)의 속도를 점차 줄이며, 이 위치에 도달하면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7b)는 카(2)에 대하여 수평구동을 위한 추력을 부여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7c)의 수평구동용 코일(17b)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계속하여 수평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7c)의 수평구동용 코일(17b)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카(2)의 속도를 줄여 최종적으로 그 속도가 0이 되도록, 즉 정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수평운행시에는 카(2)에 설치된 수평이동안내롤러(26)가 수평이동안내레일(23b)을 따라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카(2)의 안정적인 운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승강운행상태에서 수평운행상태로의 전환 및 수평운행상태에서 승강운행상태로의 전환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승강운행상태에서 수평운행상태로의 전환 과정을 설명한다.
카(2)가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승강구동에 의하여 승강하여 원하는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와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의 교차점에 위치하게 되면 상술한 승강운행시와 같은 작용으로 카(2)를 순간적으로 정지시킴과 동시에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7c)의 수평구동용 코일(17b)에 전원을 인가하여 카(2)측의 수평구동용 2차측 부재(2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카(2)에 수평방향 추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카(2)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측으로 진입하여 이동하게 된다.
다음, 수평운행상태에서 승강운행상태로의 전환과정을 설명한다.
카(2)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수평구동에 의하여 수평이동하여 원하는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의 교차점에 위치하게 되면 상술한 수평운행시와 같은 작용으로 카(2)를 순간적으로 정지시킴과 동시에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7c)의 승강구동용 코일(17a)에 전원을 인가하여 카(2)측 승강구동용 2차측 부재(19)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카(2)에 승강방향 추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카(2)가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측으로 진입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운행에서 수평운행, 수평운행에서 승강운행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승강안내롤러(27)는 승강안내레일(23a)을 따라 안내되고 수평이동안내롤러(26)는 수평이동안내레일(23b)을 따라 안내되는 것으로, 이들 승강안내레일(23a)과 수평이동안내레일(23b)의 교차점에서는 승강안내레일(23a)의 안내홈부와 수평이동안내레일(23b)의 안내홈부가 서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승강안내롤러(27)와 수평이동안내레일(23b)간의 간섭과 수평이동안내롤러(26)와 승강안내레일(23a)간의 간섭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한편, 카(2)가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될 때 작동하는 제동장치(25)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제동지령을 받으면 전자석(29)을 구성하는 코일(33b)에 전원이 인가되고, 철심(33a)과의 작용으로 발생된 자력이 브레이크 레버(31)를 작동시켜 이 브레이크 레버(31)의 선단에 부착된 브레이크 슈(31a)가 승강안내레일(23b)과 수평이동안내레일(23b)의 일측벽 양측에 밀착되면서 제동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3)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4)는 제2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 카(2)가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엘리베이터를 층간을 연결하는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승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각 승강로를 연결하는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를 통해 수평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어 엘리베이터 사용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승강구동과 수평구동을 모두 간단한 구조의 리니어모터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생산성이 향상되며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수평이동용 기계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승강운행과 수평운행간의 전환시 대기시간을 단축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건물의 층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이들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를 배치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내에서 운행하도록 한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양측벽에는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배치하고,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양측벽에는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며, 상기 카의 양측벽에는 상기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에 대응하는 승강구동용 2차측 부재와 상기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에 대응하는 수평구동용 2차측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교차점에는 승강구동용 코일과 수평구동용 코일이 감겨진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KR1019960002297A 1996-01-31 1996-01-31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KR0152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297A KR0152894B1 (ko) 1996-01-31 1996-01-31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297A KR0152894B1 (ko) 1996-01-31 1996-01-31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071A KR970059071A (ko) 1997-08-12
KR0152894B1 true KR0152894B1 (ko) 1998-10-15

Family

ID=1945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297A KR0152894B1 (ko) 1996-01-31 1996-01-31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8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944B1 (ko) * 2007-12-11 2014-10-15 인벤티오 아게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KR20210138891A (ko) 2020-05-13 2021-11-2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31585B2 (en) * 2015-09-25 2018-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onent separation assur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944B1 (ko) * 2007-12-11 2014-10-15 인벤티오 아게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시스템
KR20210138891A (ko) 2020-05-13 2021-11-2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071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738B1 (ko) 리니어모터 구동방식 엘리베이터장치
KR102095654B1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JPH0648672A (ja) エレベータ
EP1172321B1 (en) Elevator device
KR20040052478A (ko) 기계실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KR20170136562A (ko) 승강기 통로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승강기 승강칸 벽
US5625174A (en) Linear motor elevator
JP2507275B2 (ja) 循環式エレベ―タの横行移動装置
KR0152894B1 (ko)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CN107207195B (zh) 用于致动电梯轿厢制动器的组件
JP3056885B2 (ja) 自走式エレベータ
KR102007089B1 (ko) 엘리베이터의 저층부 탑승 시 종진동 저감장치
JP2914832B2 (ja) 自走式エレベータ
JPH05124781A (ja) エレベータ
JPH01220691A (ja) 斜行エレベータ
JPH0977418A (ja) 自在走行エレベータ
JP6610501B2 (ja) ロープレスエレベーター装置
JP4637603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KR100351279B1 (ko) 엘리베이터
JPH04148785A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
US20210371241A1 (en) Elevator safety monitoring system, elevator system, elevator drive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WO200507780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5338946A (ja) ロープ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200508908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312769B1 (ko) 운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