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701B1 -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701B1
KR101448701B1 KR1020137003276A KR20137003276A KR101448701B1 KR 101448701 B1 KR101448701 B1 KR 101448701B1 KR 1020137003276 A KR1020137003276 A KR 1020137003276A KR 20137003276 A KR20137003276 A KR 20137003276A KR 101448701 B1 KR101448701 B1 KR 10144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ing
actuator
flow path
cleaning
clea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566A (ko
Inventor
노부유키 하나이
겐 오가타
Original Assignee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4Cleaning or preventing clogging of the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 B05B15/52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using cleaning elements penetrating th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 B05B15/52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using cleaning elements penetrating the discharge openings
    • B05B15/5223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using cleaning elements penetrating the discharge openings the cleaning element, e.g. a needle, and the discharge opening being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low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rough said ope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용기(11)의 스템(15. 15)을 포위해서 액추에이터 본체(41)를 장착 고정하고, 각 스템과 연통하는 복수의 독립된 연통로(42a)가 형성되며 일단부에 분사구(42b)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각 스템으로의 끼워맞춤 연결부가 형성된 노즐 본체(42)를 액추에이터 본체(41)에 설치한다. 노즐 본체(42)의 분사구로부터 연통로에, 내용액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43d) 및 분사 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긁어내기부(43e)를 구비한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하여 두고, 이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연통로로부터 인출한 긁어내기 세정 위치를 유지 수단(44)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노즐 본체(42)로부터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인출하고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연통로 내의 잔류물을 긁어내어 세정하도록 하고, 긁어낸 부분을 세정로로 해서 물을 흐르게 하여 연통로를 세정한다. 한편, 긁어내기 세정 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도 유로부에 의해 유로를 확보하고 분사 상태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ACTUATOR FOR AEROSOL CONTAINER}
본 발명은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며, 스템(stem)으로부터의 연통로 내에 분사 후의 잔류물이 있어 이것을 긁어내어 간단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예를 들면, 크림 형태의 염모제 등 2개의 원액을 분사시키는 액추에이터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에어로졸 용기 내에 내용액(內容液)과 분사제를 충전한 에어로졸 제품에는 각종의 것이 있고, 그 하나에 복수의 내용액을 혼합함으로써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 예를 들면, 도료, 접착제, 염모제, 의약품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사용 시에 혼합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 중 상당수는, 혼합에 의해 경화나 산화 등의 화학반응이 생기게 하는 것에서부터 에어로졸 제품으로 하는 경우에는, 에어로졸 밸브 내에서 혼합이 생기게 하면 경화 등에 의해 에어로졸 밸브를 재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어, 에어로졸 밸브 내에서 혼합시키지 않고 액추에이터를 통하여 외부에 분배하여 분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한편, 내용액에 따라서는, 분사 후의 건조에 의해 액추에이터에 막힘을 생기게 하는 것이 있어, 그 대책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2연 에어로졸식 액체 분출 용기에서는, 좌우 한 쌍의 에어로졸 캔에 연결 부재를 끼워맞추어 연결 상태로 하고, 통로 부재에 수직 형성한 제1 끼워맞춤 통을 에어로졸 캔의 스템에 끼워맞추는 동시에, 기립시켜 제2 끼워맞춤 통을 형성하고, 이들 통로 부재와 연결 부재의 외면에 주통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주통 부재에 노즐 부착 헤드와 조작용의 레버를 구비한 캡을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하는 경우에는, 주통 부재를 연결 부재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주통 부재와 함께, 통로 부재를 스템으로부터 제외하고, 통로 부재에 설치한 손잡이 판으로 주통 부재로부터 통로 부재를 인출하여 통로 내의 잔류물을 세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 3의 2제 토출 용기에서는, 병렬 배치된 2개의 에어로졸 용기의 스템에 유도로가 형성된 노즐을 끼워맞추고, 노즐을 덮는 커버에 조작용의 레버를 설치하는 동시에, 노즐은 커버를 장착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하는 경우에는, 커버를 남기고 노즐을 인출하여 세정하는 동시에, 별도로 준비한 노즐 세정 그릇을 노즐의 유도로에 연결한 후, 펌프부에서 유체를 흡입 배출하여 세정하는 것도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5-4151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 제2003-2008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공개특허 199-59746호 공보
이와 같은 특허 문헌 1의 통로 부재를 분리하여 세정하는 구조에서는, 가는 통로 내에 막혀 있는 잔류물에 물을 뿌려도 간단하게 세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 동시에, 손잡이 판은 설치되어 있지만, 인출하는 경우에 잔류물이 손에 묻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 3에 개시된 펌프부를 구비한 노즐 세정 그릇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정 그릇을 노즐과 함께 물 등에 담가, 노즐과 세정 그릇 사이를 물이 흐르도록 펌프부를 신축시키는 것을 반복하지만, 이 경우에도 가는 통로 내에 막혀 있는 잔류물을 펌프의 수압을 뿜어도 간단하게 세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 동시에, 노즐 세정 그릇을 별도로 보관해 두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세정하는 경우에는, 세정 그릇을 노즐과 함께 물 등에 담글 필요가 있으므로 잔류물이 용해되는 물에 손을 넣게 되어 손이 오염되는 동시에, 세정 완료까지의 공정이 액추에이터의 분해, 노즐의 인출, 노즐로의 노즐 세정 그릇의 연결, 노즐 및 노즐 세정 그릇의 물에의 담금, 재조립 등으로 많고, 수고가 든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스템으로부터의 연통로 내에 분사 후의 잔류물이 있고 이것을 긁어내어 간단하게 세정할 수 있는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는, 에어로졸 용기의 복수의 스템(stem)을 포위해서 장착 고정되는 액추에이터 본체와, 상기 액추에이터 본체에 설치되고 각 스템과 연통하는 복수의 독립된 연통로가 형성되며 일단부에 분사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각 스템으로의 끼워맞춤 연결부가 형성된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분사구로부터 상기 연통로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용액(內容液)의 유로(流露)를 형성하는 유로부 및 분사 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긁어내기부를 구비한 긁어내기 세정 부재와, 상기 긁어내기 세정 부재를 상기 연통로로부터 인출한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노즐 본체를, 상기 액추에이터 본체에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서 회동 상태를 긁어내기 세정 위치로 해서 세정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긁어내기 세정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는 계지 암과, 상기 계지 암을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서 계지하는 세정 시 계지부(係止部)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긁어내기 세정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는 계지 암과, 상기 계지 암을 분사 위치에서 계지하는 분사 시 계지부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긁어내기 세정 부재의 하단부와 중간부 중 적어도 2곳에, 유로부와 긁어내기부를 반전하여 형성하고 유로의 확보와 잔류물의 긁어내기를 양립시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긁어내기 세정 부재에, 나사 형태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유로부 및 긁어내기부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에어로졸 용기가, 개구부의 구경을 1인치로 한 인치 캔(can)에 복수의 스템이 설치되고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여기서, 잔류물이란, 에어로졸 용기 내에 충전되는 액상의 원액의 잔류물뿐만 아니라, 젤 형태, 폼 형태, 크림 형태의 원액에 의한 잔류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에 의하면, 에어로졸 용기의 복수의 스템을 포위해서 장착 고정되는 액추에이터 본체와, 이 액추에이터 본체에 설치되어 각 스템과 연통하는 복수의 독립된 연통로가 형성되고 일단부에 분사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각 스템으로의 끼워맞춤 연결부가 형성된 노즐 본체와, 이 노즐 본체의 상기 분사구로부터 상기 연통로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용액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 및 분사 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긁어내기부를 구비한 긁어내기 세정 부재와, 이 긁어내기 세정 부재를 상기 연통로로부터 인출한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 노즐 본체의 분사구로부터 긁어내기 세정 부재를 인출하여 유지 수단으로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연통로 내의 잔류물을 긁어내기 세정 부재의 긁어내기부에서 긁어낼 수가 있고 긁어낸 부분을 세정로로 해서 물을 흐르게 함으로써, 완전히 막힌 상태와는 다르게,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한편, 긁어내기 세정 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도 유로부에 의해 유로를 확보하여 원활한 분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에 의하면, 상기 노즐 본체를, 상기 액추에이터 본체에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회동 상태를 긁어내기 세정 위치로 해서 세정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세정 시에 액추에이터 본체에 대하여 노즐 본체 및 긁어내기 세정 부재를 회동시켜 긁어내기 세정 위치로 함으로써, 에어로졸 용기와는 방향을 바꾼 상태로 해서 한층 용이하게 유수 등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에 의하면, 상기 긁어내기 세정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는 계지 암과, 이 계지 암을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서 계지하는 세정 시 계지부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세정 시에 계지 암을 세정 시 계지부에 계지하는 것에 의해,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서 긁어내기 세정 부재를 노즐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고, 긁어내기 세정 부재를 세정에 따라 흐르게 하는 등으로 없어지지도 않고, 재조립도 밀어넣음으로써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에 의하면, 상기 긁어내기 세정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는 계지 암과, 상기 계지 암을 분사 위치에서 계지하는 분사 시 계지부를 설치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므로, 분사 시에 계지 암을 분사 시 계지부에 계지하는 것에 의해, 분사에 따라 긁어내기 세정 부재가 인출되지 않고 유지할 수 있어 안정된 상태로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에 의하면, 상기 긁어내기 세정 부재의 하단부와 중간부 중 적어도 2곳에, 유로부와 긁어내기부를 반전하여 형성하고 유로의 확보와 잔류물의 긁어내기를 양립시켜 구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유로부와 긁어내기부를 반전하여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2곳의 반전한 위치의 유로부에서 유로를 확보하여 분사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한쪽의 유로부의 잔량물을 다른 쪽의 긁어내기부에서 긁어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에 의하면, 상기 긁어내기 세정 부재에, 나사 형태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유로부 및 긁어내기부로서 되므로, 나사 형태의 돌기부에 의해 유로의 확보와 잔류물의 긁어내기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에 의하면, 상기 에어로졸 용기가, 개구부의 구경을 1인치로 한 인치 캔에 복수의 스템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이루어지므로, 인치 캔에 2개 등의 복수의 스템을 구비한 에어로졸 용기에 설치한 액추에이터에서도 세정 부재를 사용하여 세정함으로써, 유로의 확보와 잔류물의 긁어내기를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의 일실시예에 관한 분사 상태 및 긁어내기 세정 상태의 각각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가 적용되는 에어로졸 용기의 일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의 일실시예에 관한 중앙 종단면도(도 4 중의 A-A' 단면에 상당) 및 도 4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의 일실시예에 관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의 일실시예에 관한 액추에이터 본체의 중앙 종단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의 일실시예에 관한 노즐 본체의 정면도, 평면도 및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의 일실시예에 관한 긁어내기 세정 부재의 중앙 세로면도, 평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의 각각 긁어내기 세정 부재 실시예에 따라 유로부 및 긁어내기부를 설명하는 정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의 일실시예에 따라 긁어내기 세정 상태의 정면도 및 그 공정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의 일실시예에 관한 정면도, 측면도 및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의 일실시예에 관한 긁어내기 세정 상태의 정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상세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1)의 일실시예에서는, 에어로졸 용기(11)의 복수의 스템, 예를 들면, 2개의 스템(15, 15)에 장착하여 각각의 스템(15, 15)으로부터 혼합하지 않고 분배하여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분사 후의 액추에이터(1) 내의 잔류물을 간단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1)가 적용되는 에어로졸 용기는, 지금까지의 2개의 에어로졸 용기를 배열하여 연결 부재로 연결한 것의 2개의 스템에 적용하는 것으로 바꾸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로졸 용기(11)로서 일반적으로 규격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경 1인치의 비드부(bead portion)를 구비한 인치 캔에 2조의 에어로졸 밸브를 설치한 1개의 인치 캔의 2개의 스템(15, 15)에 적용하는 형태를 예로 설명한다.
이 인치 캔에 2조의 에어로졸 밸브의 스템(15, 15)을 설치한 에어로졸 용기(11)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로졸 용기(11)의 비드부(12)에 합성 수지제의 장착 부재(13)를 끼워맞추어 장착하도록 하고, 이 장착 부재(13)에 2조의 밸브 하우징 장착부(14, 14)를 형성하여 둔다. 그리고 각각의 밸브 하우징 장착부(14, 14)에 스템(15, 15)을 구비한 에어로졸 밸브가 장착된다.
이 장착 부재(13)는, 대략 원통형의 외형으로 된 장착부 본체(13a)를 구비하고, 그 중간부 외주에 플랜지부(13b)가 형성되어 에어로졸 용기(11)의 비드부(12) 상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3b)의 중간부 아래쪽에는 비드부(12)의 내주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돌출부가 형성된 걸어맞춤편이 원주 등간격으로 8개 설치되고, 각각의 걸어맞춤편의 상단부와 장착부 본체(13a)와의 사이가 방사 방향의 방사 리브로 지지되며, 장착부 본체(13a)와의 사이에 형성된 완충 공간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로써, 장착 부재(13)를 에어로졸 용기(11)의 비드부(12)에 위쪽으로부터 밀어넣음으로써 비드부(12)에 끼워맞추어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에어로졸 용기(11)의 비드부(12)에 끼워맞추어 장착되는 장착 부재(13)의 장착부 본체(13a)에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작은 원통형의 밸브 하우징 장착부(14, 14)가 장착 부재(13)의 중심축을 협지하는 양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장착부 본체(13a)의 상부로 돌출한 2개의 평측벽면을 평행하게 하고, 그 양단의 반원 벽면으로 대략 긴 원형 상태로 형성된 선단 돌출부(13c) 내에 밸브 하우징 장착부(14, 14)의 상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밸브 하우징 장착부(14, 14)의 중간부 내주에는, 걸어맞춤 클로우(claw)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로졸 밸브의 밸브 하우징(16, 16)의 중간부 외주에 형성한 걸어맞춤 스텝부를 걸어맞추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밸브 하우징(16)에는, 중간 상부에 각각 밸브실(16a)이 형성되어 하단부에 형성한 튜브 장착부(16b)에 딥핑 튜브(dip tube)(17)가 연결된다. 또한, 딥핑 튜브(17)의 외측에 분사제의 가압력으로 용적을 변경할 수 있는 내측 백(inner bag)(18)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밸브실(16a)에 장착되는 에어로졸 밸브는, 스템(15)이 스템 보디(15a)와 스템 돌출부(15b)로 일체로 구성되고, 스템 돌출부(15b)의 중심부에 분사로(15c)가 형성되는 동시에, 분사로(15d)의 스템 보디(15a)의 상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밸브실(16a)과 연통되는 오리피스(orifice)(15d)가 측방에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스템(15) 및 일체의 스템 보디(15a)가 밸브실(16a)의 바닥부에 장착한 스프링(15e)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각 스템(15)은, 밸브로서 개폐되는 환형의 스템 가스켓(15f)의 중심공을 관통하고, 스템(15)이 정상 위치인 상단에 가압된 상태에서는, 스템(15)의 측방에 개구된 오리피스(15d)를 막아 밸브실(16a)과 분사로(15c)와의 연통을 차단하고, 스템(15)이 압하된 때에 스템 가스켓(15f) 자신이 휘어져서, 오리피스(15d)를 열어 밸브실(16a)과 스템(15)의 분사로(15c)를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밸브로서 개폐되는 스템 가스켓(15f)은, 주위가 밸브 하우징(16)의 상면 및 장착 부재(13)의 선단 돌출부(13c)의 상면에 걸치도록 배치되고, 밸브 하우징(16)의 상면 및 장착 부재(13)의 선단 돌출부(13c)의 상면에 각각 형성한 2겹 동심 위의 환형의 돌기부에 의한 실링 포인트(seal point)에 의해 스템 가스켓(15f)을 상부로부터 눌렀을 때 대면 압력을 높여 실링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2개의 스템(15, 15)에 대응하여 일체의 스템 가스켓(15f)이 사용되고, 대략 긴 원형 상태의 선단 돌출부(13c)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착 부재(13) 및 밸브 하우징(16, 16)의 외측을 덮어 금속판제의 피복체(19)가 설치되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로 되고, 2개의 스템(15, 15)을 관통시켜 돌출시키는 동시에, 스템 가스켓(15f)을 가압하여 하단 외주를 에어로졸 용기(11)의 비드부(12)의 외측에 클리프해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피복체(19)는, 최상부가 장착 부재(16)의 선단 돌출부(13c)의 대략 타원 기둥 형상의 외측을 덮는 형상으로 되고, 그 아래쪽에 소경 원통부와 이에 연속하는 대경 원통부와 클리프부가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복체(19)를 비드부(12)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비드부(12)의 상면과 장착 부재(13)의 플랜지부(13b)와의 사이에 실링 가스켓(20)을 배치하여 클리프함으로써, 에어로졸 용기(11)를 실링성를 높여 밀봉한다.
또한, 이 복수액 분배용의 에어로졸 장치(1)에는, 충전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는 동시에, 분사 유량을 조정하기 위해, 밸브 하우징(16)의 밸브실(16a)의 아래쪽에 각각 하부 밸브실(16d)이 형성되어 포펫(poppet) 밸브(21)가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내용액의 충전 시에는, 포펫 밸브(21)를 내리누른 위치로 해서 주위를 유로로 하고, 단시간에 내용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충전 후의 사용 상태에서는, 포펫 밸브(21)를 내용액으로 밀어올린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중심부의 유로에서 분사 유량을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포펫 밸브(21)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스템(15)의 오리피스(15d)로 분사 유량을 규제할 필요가 없고, 내용액의 충전에 지장이 없는 큰 구멍으로서 둘 수가 있다.
또한, 이 에어로졸 용기(11)에서는, 피복체(19)로 2개의 스템(15, 15)에 대응하는 1개의 스템 가스켓(15f)을 가압하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1개의 스템에 대응하는 스템 가스켓에 비해 그 면적이 선단 돌출부(13c)의 면적에 대응하여 커지고 에어로졸 용기(11)의 내압이 가해지는 수압 면적도 커진다.
그래서, 스템 가스켓(15f)을 가압하는 동시에, 피복체(19)의 변형을 방지하는 합성 수지제의 보강 커버 부재(30)가 설치되어 있고, 장착 부재(13)의 선단 돌출부(13c)의 외측을 덮도록 하고 있다. 이 합성 수지제의 보강 커버 부재(30)의 강성에 의해 스템 가스켓(15f)을 가압하고, 또한 피복체(19)의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치 캔에 2개의 스템(15, 15)을 구비한 에어로졸 용기(11)에 설치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1)는, 에어로졸 용기(11)의 2개의 스템(15, 15)을 포위해서 장착 고정되는 액추에이터 본체(41)와, 이 액추에이터 본체(41)에 설치되어 각 스템(15, 15)과 연통되는 2개의 독립된 연통로가 형성되고 일단부에 분사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각 스템으로의 끼워맞춤 연결부가 형성된 노즐 본체(42)와, 이 노즐 본체(42)의 분사구로부터 연통로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용액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 및 분사 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긁어내기부를 구비한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와, 이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연통로로부터 인출한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수단(4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노즐 본체(42)의 분사구로부터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인출하여 유지 수단(44)으로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연통로 내의 잔류물을 긁어낼 수가 있고 긁어낸 부분을 세정로로 해서 물을 흐르게 함으로써, 완전히 막힌 상태와는 다르게,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한편,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삽입한 상태로도 유로부에 의해 유로를 확보하여 원활한 분사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액추에이터(1)의 액추에이터 본체(41)는, 에어로졸 용기(11)의 커버를 구성하여 상부가 돔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 에어로졸 용기(11)의 캔 몸통의 상단에 닿는 원통형의 외측 몸통부(41a)가 수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내측에 중앙 몸통부(41b)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2겹 원통형으로 있다. 그리고 중앙 몸통부(41b)의 내주로 돌출하여 형성한 끼워맞춤 클로우(41c)로 비드부(12)에 끼워맞추어 에어로졸 용기(11)의 스템(15, 15)을 에워싸도록 액추에이터 본체(41)가 장착 고정된다.
이 액추에이터 본체(41)의 돔형에는, 2겹 원통형의 외측 몸통부(41a) 및 중앙 몸통부(41b)의 내측에, 장착 부재(13)의 선단 돌출부(13c)의 대략 긴 원형 상태의 외주에 대응한 형상의 중앙 몸통부(41d)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내측 몸통부(41d)의 하단부가 피복체(19)의 외주와 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몸통부(41d)의 조작측(도 5a의 우측)이 낮은 천정판부(41e)로 되어 중앙 몸통부(41b) 및 외측 몸통부(41a)의 상단이 막히고, 조작측과 반대측은 수직의 평행 측벽부가 형성되어 아래쪽에 개구된 회동 지지부(41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액추에이터 본체(41)의 내측에 장착되는 노즐 본체(42)는, 횡단면 형상이 대략 긴 원형 상태로 되고, 내측에 스템(15, 15)과 연통되는 2개의 원통형의 연통로(42a, 42a)가 설치되어 상단부가 분사구(42b, 42b)로 되는 한편, 하단부가 스템(15, 15)과의 끼워맞춤 연결부(42c, 42c)로 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본체(42)의 조작측에는, 조작 레버(42d)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천정판부(41e)의 위쪽에 배치되고, 반대측에는 액추에이터 본체(41)의 회동 지지부(41f)에 지지되는 수평인 회동축부(42e)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노즐 본체(42)에는, 긴 직경의 양 외측에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의 삽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42f)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홈(42f)의 상부에 세정 시 계지부(係止部)로 되는 스토퍼(42g)가 형성되고, 하부에 분사 시 계지부로 되는 계지공(42h)이 형성되어 있다.
이 노즐 본체(42)에는, 잔류물을 긁어내어 세정하기 위한 긁어내기 세정 부재(43)가 분사구(42b, 42b)로부터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는, 천정면부에 분사공(43a)이 형성되는 동시에, 분사공(43a)의 상부 칸막이부로부터 노즐 본체(42)의 연통로(42a, 42a)에 삽입 및 인출되는 긁어내기 봉부(scraping bar portion)(43b)가 2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긁어내기 봉부(43b)가 연통로(42a, 42a)의 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긁어내기 봉부(43b, 43b)에는, 하단부와 중간부에 수평으로 돌출한 원판형의 긁어내기 판(43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단부의 긁어내기 판(43c)에는, 긁어내기 봉부(43b)와 반대의 중앙에 절결 홈이 형성되어 유로부(43d)로 되고, 나머지 부분이 긁어내기부(43e)로 된다. 한편, 중간부의 긁어내기 판(43c)에는, 하단부와 반전시켜 긁어내기 봉부(43b)와 반대측의 중앙부의 양측에 2개의 절결 홈이 형성되어 유로부(43d)로 되고, 나머지 부분이 긁어내기부(43e)로 있다.
이로써, 중간부의 긁어내기 판(43c)의 상하의 부분 및 각각의 긁어내기 판(43c)의 절결 홈의 유로부(43d)가 분사 시의 내용액의 유로로 되는 동시에, 유로에 잔류하는 잔류물은 긁어내기 판(43c)의 긁어내기부(43e)로 긁어내는 것에서 중간부의 유로부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하단부의 긁어내기부에서 긁어낼 수가 있다.
또한, 이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에 의하면, 세정 시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긁어내기 봉부(43b)의 인출한 부분도 세정 시의 유로로 되어, 상단의 분사공(43a)으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속하는 세정 시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에는, 노즐 본체(42)로부터 인출한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44)이 설치되어 있고,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의 천정면부의 양측에 계지 암(holding arm)(44a, 44a)이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합성 수지의 탄성으로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줄이거나, 놓아서 넓어지도록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유지 암(44a, 44a)에는, 하단부 내측에 L자형으로 단차부(44b, 44b)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계지 돌기(44c, 44c)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노즐 본체(42)에 삽입한 분사 시에는, 유지 암(44a, 44a)의 계지 돌기(44c, 44c)를 노즐 본체(42)의 가이드홈(42f, 42f)의 하부의 계지공(42h, 42h)에 삽입하여 계지하는 것에 의해, 그 분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유지 암(44a, 44a)을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줄여, 계지 상태를 개방하여 인출할 수 있다.
한편,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노즐 본체(42)로부터 인출한 세정 시에는,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의 단차부(44b, 44b)를 노즐 본체(42)의 가이드홈(42f, 42f)의 상부의 스토퍼(42g, 42g)에 닿게 함으로써, 더 이상 인출할 수가 없는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에 형성되는 유로부 및 긁어내기부의 형상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형태가 있고, 도 8b에서는,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의 긁어내기 봉부(43b)를 좌우로 분할해 2개로 하고, 중간부와 하단부에 각각 긁어내기 판(43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부의 긁어내기 판(43c)에서는 중앙부에 절결 홈의 유로부(43d)가 형성되고, 유로부(43d) 이외의 나머지 부분이 긁어내기부(43e)로 되고, 중간부에서는 중앙부를 협지하는 양측에 2개의 절결 홈을 형성하여 유로부(43d)가 형성되고, 유로부(43d) 이외의 나머지 부분이 긁어내기부(43e)로 있다.
이와 같은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에 의해서도 유로부(43d)와 긁어내기부(43e)를 반전하여 형성함으로써, 반전한 위치의 유로부(43d)로 유로를 확보하여 분사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한쪽의 유로부(43d)의 잔량물을 다른 쪽의 긁어내기부(43e)로 긁어낼 수가 있다.
또한,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에 형성되는 유로부 및 긁어내기부의 형상은,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의 긁어내기 봉부(43b)를 긁어내기 판(43c)의 중심부에 배치하고, 중간부와 하단부에 각각 긁어내기 판(43c)을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단부의 긁어내기 판(43c)에서는, 대각 위치의 양측에 절결 홈의 유로부(43d)가 형성되고, 유로부(43d) 이외의 나머지 부분이 긁어내기부(43e)로 되고, 중간부에서는 하단부와 직교하는 대각 위치의 양측에 2개의 절결 홈을 형성하여 유로부(43d)가 형성되고, 유로부(43d) 이외의 나머지 부분이 긁어내기부(43e)로 있다.
이와 같은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에 의해서도 유로부(43d)와 긁어내기부(43e)를 반전하여 형성함으로써, 반전한 위치의 유로부(43d)로 유로를 확보하여 분사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한쪽의 유로부(43d)의 잔량물을 다른 쪽의 긁어내기부(43e)로 긁어낼 수가 있다.
또한,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에 형성되는 유로부 및 긁어내기부의 형상은,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의 긁어내기 봉부(43b)를 중심부에 배치하고, 그 주위에 나선형의 긁어내기 판(43c)을 설치하고, 나선부의 사이를 유로부(43d)로 하고, 나선부 자체를 긁어내기부(43e)로 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에 의해서도 나선형의 긁어내기 판(43c)의 사이에 의해 유로를 확보하여 분사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잔량물을 긁어내기 판(43c)으로 긁어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1)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 분사 및 잔류물의 세정을 행한다.
이 액추에이터(1)의 조립은, 노즐 본체(42)에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분사구(42b, 42b)로부터 연통로(42a, 42a)에 삽입하고, 유지 수단(44)의 유지 암(44a, 44a)의 계지 돌기(44c, 44c)를 계지공(42h, 42h)에 넣어 걸고, 액추에이터 본체(41)의 회동 지지부(41f)에 노즐 본체(42)의 회동축부(42e)를 장착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분사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본체(41)를 에어로졸 용기(11)의 2개 스템(15, 15)을 에워싸도록 배치하고, 비드부(12)의 외주에 끼워맞춤 클로우(41c)를 끼워맞춤으로써, 액추에이터(1)가 장착된다.
이 액추에이터(1)에 의한 내용액의 분사는, 에어로졸 용기(11)에 액추에이터(1)를 장착 상태로 한 채, 조작 레버(42d)를 압하함으로써 2개의 스템(15, 15)을 가압하고, 내용액을 각각의 스템(15, 15)의 분사로(15c, 15c), 노즐 본체(42)의 연통로(42a, 42a), 분사구(42b, 42b) 및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의 유로부(43d, 43d), 분사공(43a, 43a)을 통하여 혼합하지 않고 분배 상태로 분사시킬 수 있다.
분사 후의 액추에이터(1)의 세정은 먼저,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노즐 본체(42)로부터 인출하여 잔류물을 긁어내기 위해, 유지 수단(44)의 유지 암(44a, 44a)을 양측으로부터 압입하도록 한 후, 계지 돌기(44c, 44c)를 계지공(42h, 42h)에 위치시켜 끌어올려 계지 상태를 개방한다.
그리고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끌어올려 긁어내기 판(43c, 43c)으로 잔류물을 긁어내도록 하고, 유지 암(44a, 44a)의 단차부(44b, 44b)를 노즐 본체(42)의 스토퍼(42g, 42g)에 닿은 인상 상단의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 유지한다.
이 후, 노즐 본체(42)를 회동축부(42e)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에어로졸 용기(11)에 대하여 노즐 본체(42)를 대략 90도 경사진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노즐 본체(42)를 회동시킨 상태로, 스템(15, 15)으로의 끼워맞춤 연결부 측으로부터 유수로 노즐 본체(42)의 연통로(42a, 42a)를 세정하는 동시에,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의 인출한 부분도 유수로 세정한다.
이와 같이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로 잔류물을 긁어내는 것으로, 노즐 본체(42)의 연통로(42a, 42a)에는, 세정로가 형성되고, 지금까지의 연통로에 완전히 잔류물이 막힌 상태에서는, 유수가 튀는 등으로 연통로 내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이 액추에이터(1)에서는, 잔류물을 긁어내는 것으로 형성된 세정로에 유수를 안내할 수 있고, 간단하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액추에이터(1)에 의하면,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유지 수단(44)으로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세정 시의 유수에 의해 유실하여 버릴 것도 없고, 다음의 세정을 위해 별도로 보관할 필요도 없으며, 그대로 노즐 본체(42)에 밀어넣음으로써 조립할 수 있어 취급도 용이하다.
그리고 유지 수단(44)으로서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의 양측에 유지 암(44a, 44a)을 설치하고, 단차부(44b, 44b)와 계지 돌기(44c, 44c)로 노즐 본체(42)에 유지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유지 수단(44)을,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긁어내기 세정 부재(43)의 한쪽인 노즐 본체(42)의 조작 레버(42d) 측의 중앙에 1개의 유지 암(44a)을 설치하고, 상단에 조작부(44d)를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하며, 하단부에 계지 돌기(44c)를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여 둔다. 그리고 노즐 본체(42)에는, 계지 돌기(44c)가 이동하는 상하 방향의 계지 홈(44e)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계지 홈(44e)의 상단에 유지 암(44a)의 계지 돌기(44c)를 계지하는 것에서 더 이상 끌어올리지 못하고,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지 수단(44)에 의해서도 긁어내기 세정 부재(43)를 유지 수단(44)으로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 유지할 수 있어, 세정 시의 유수에 의해 유실하여 버릴 것도 없고, 다음의 세정을 위해 별도로 보관할 필요도 없으며, 그대로 노즐 본체(42)에 밀어넣음으로써 조립할 수 있어 취급도 용이하다.
그리고 이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가 사용되는 에어로졸 용기의 2개의 내측 백에 충전되는 내용액으로서는, 주제(main agent)와 첨가제 등 미리 혼합하여 두면 경화나 산화 등의 화학반응이 생겨 바람직하지 않은 폼 형태 등의 제형의 에어로졸 제품의 주제와 첨가제 등을 들 수가 있는데, 예를 들면, 핫 면도 크림(hot shaving cream), 모발 염료, 접착제, 도료, 의약품 등의 에어로졸 제품에 적절하고, 특히 건조 등에 의해 막히기 쉬운 크림 형태의 내용액에 바람직하다.
1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11 에어로졸 용기(인치 캔)
12 비드부
13 장착 부재
13a 장착부 본체
13b 플랜지부
13c 선단 돌출부
14 밸브 하우징 장착부
15 스템
15a 스템 보디
15b 스템 돌출부
15c 분사로
15d 오리피스
15e 스프링
15f 스템 가스켓
16 밸브 하우징
16a 밸브실
16b 튜브 장착부
16c 실링 포인트
16d 하부 밸브실
17 딥핑 튜브
18 내측 백
19 피복체
20 실링 가스켓
21 포펫 밸브
30 보강 커버부
41 액추에이터 본체
41a 외측 몸통부
41b 중앙 몸통
41c 끼워맞춤 클로우
41d 내측 몸통
41e 천정판부
41f 회동 지지부
42 노즐 본체
42a 연통로
42b 분사구
42c 끼워맞춤 연결부
42d 조작 레버
42e 회동축부
42f 가이드홈
42g 스토퍼
42h 계지공
43 긁어내기 세정 부재
43a 분사공
43b 긁어내기 봉부
43c 긁어내기 판
43d 유로부
43e 긁어내기부
44) 유지 수단
44a 계지 암
44b 단차부
44c 계지 돌기
44d 조작부
44e 계지 홈

Claims (7)

  1. 에어로졸 용기의 복수의 스템(stem)을 포위해서 장착 고정되는 액추에이터 본체와,
    상기 액추에이터 본체에 설치되고 각 스템과 연통하는 복수의 독립된 연통로가 형성되며 일단부에 분사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각 스템으로의 끼워맞춤 연결부가 형성된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분사구로부터 상기 연통로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용액(內容液)의 유로(流路)를 형성하는 유로부 및 분사 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긁어내기부를 구비한 긁어내기 세정 부재와,
    상기 긁어내기 세정 부재를 상기 연통로로부터 인출한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긁어내기 세정 부재를 상기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상기 유지 수단을,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는 계지(係止) 암(arm)과, 상기 계지 암을 긁어내기 세정 위치에서 계지하는 세정 시 계지부(係止部)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를, 상기 액추에이터 본체에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회동 상태를 긁어내기 세정 위치로 해서 세정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계지 암을 분사 위치에서 계지하는 분사 시 계지부를 더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긁어내기 세정 부재의 하단부와 중간부의 적어도 2곳에, 유로부와 긁어내기부를 반전하여 형성하고 유로의 확보와 잔류물의 긁어내기를 양립시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긁어내기 세정 부재에, 나사 형태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유로부 및 긁어내기부로서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6. 삭제
  7. 삭제
KR1020137003276A 2010-08-03 2010-10-05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KR101448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74321 2010-08-03
JP2010174321A JP5734594B2 (ja) 2010-08-03 2010-08-03 エアゾール容器用のアクチュエータ
PCT/JP2010/067407 WO2012017566A1 (ja) 2010-08-03 2010-10-05 エアゾール容器用のアクチュエ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566A KR20130027566A (ko) 2013-03-15
KR101448701B1 true KR101448701B1 (ko) 2014-10-08

Family

ID=4555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276A KR101448701B1 (ko) 2010-08-03 2010-10-05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25765B2 (ko)
EP (1) EP2602209B1 (ko)
JP (1) JP5734594B2 (ko)
KR (1) KR101448701B1 (ko)
CN (1) CN103108813B (ko)
BR (1) BR112013001172B1 (ko)
WO (1) WO2012017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04644U1 (de) * 2012-05-11 2013-05-13 Gerhard Brugger Sprühspender fûr mehrere Komponenten
JP5901564B2 (ja) 2013-04-03 2016-04-13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固定盤
JP6096598B2 (ja) * 2013-05-31 2017-03-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用スパウト
JP6151575B2 (ja) 2013-05-31 2017-06-21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及び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EP3006373B1 (en) * 2013-05-31 2017-09-06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Shoulder cover for aerosol container
JP6161958B2 (ja) 2013-05-31 2017-07-12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キャップ
JP6110293B2 (ja) * 2013-12-27 2017-04-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容器用肩カバー
JP6013663B1 (ja) * 2016-01-18 2016-10-25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固定盤
US10906058B2 (en) * 2017-01-27 2021-02-02 Nords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specting and cleaning a nozzle of a dispenser
JP6932626B2 (ja) * 2017-09-15 2021-09-08 株式会社マンダム ノズルユニット、ならびにそれを備える二液吐出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1465A (en) 1987-04-20 1989-01-31 Sponer Richard A Dispenser apparatus for a solid particulate material and a fluid
JPH11503071A (ja) * 1995-04-06 1999-03-23 インクロ リミテッド スプレイ装置およびノズル装置
JP2002193363A (ja) * 2000-12-22 2002-07-10 Maruichi Valve Co Ltd 複数液型のエアゾールバルブ装置
US20060219808A1 (en) * 2005-03-17 2006-10-05 Sparytex, Inc. Cleaning actuator for aerosol can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0385A (en) * 1948-09-01 1952-01-01 Comb Eng Superheater Inc Spray nozzle with cleaning means
US2804338A (en) * 1956-01-16 1957-08-27 Temple Safety On Sea Mfg Co In Nozzles for water hose
US3390814A (en) * 1965-09-24 1968-07-02 Chem Dev Corp Mixing device
US3435478A (en) * 1967-03-23 1969-04-01 Karl O Moser Conduit cleaning tool
US3961756A (en) * 1975-02-10 1976-06-08 National Chemsearch Corporation Adjustable-spray mechanism
US5040728A (en) * 1990-02-26 1991-08-20 Olin Corporation Composite valving rod scraper device and cartridge
US5074470A (en) * 1990-01-02 1991-12-24 Olin Corporation Valving rod with scraper device for foam dispensing apparatus
CN1180340A (zh) * 1995-04-06 1998-04-29 英克罗有限公司 喷射设备的喷管
US20020193363A1 (en) * 1996-02-26 2002-12-19 Bridger Gary J. Use of nitric oxide scavengers to modulate inflamm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y
WO1997038914A1 (de) * 1996-04-13 1997-10-23 Wella Aktiengesellschaft Aufsatz zum vermischen und entnehmen von fliessfähigen stoffen aus mindestens einem vorratsbehälter
US6158625A (en) * 1999-08-17 2000-12-12 Calmar Inc. Anti-clog pump sprayer
JP3803955B2 (ja) * 1999-12-27 2006-08-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混合液注出容器
JP3961203B2 (ja) * 2000-08-07 2007-08-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吐出器
US6375044B1 (en) * 2000-08-11 2002-04-23 Thomas M. Knestout Device for removing dried caulking compound from caulking tube nozzle
KR200233932Y1 (ko) * 2001-01-22 2001-09-25 강성일 배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용기
JP3969517B2 (ja) * 2001-04-26 2007-09-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式2液混合容器
JP4101698B2 (ja) * 2003-05-22 2008-06-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噴出器
JP4921920B2 (ja) * 2006-10-20 2012-04-25 花王株式会社 2連式吐出器
JP5424150B2 (ja) * 2009-10-30 2014-02-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のノズルヘ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1465A (en) 1987-04-20 1989-01-31 Sponer Richard A Dispenser apparatus for a solid particulate material and a fluid
JPH11503071A (ja) * 1995-04-06 1999-03-23 インクロ リミテッド スプレイ装置およびノズル装置
JP2002193363A (ja) * 2000-12-22 2002-07-10 Maruichi Valve Co Ltd 複数液型のエアゾールバルブ装置
US20060219808A1 (en) * 2005-03-17 2006-10-05 Sparytex, Inc. Cleaning actuator for aerosol c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01172B1 (pt) 2019-07-09
CN103108813A (zh) 2013-05-15
US20130119088A1 (en) 2013-05-16
EP2602209A1 (en) 2013-06-12
EP2602209A4 (en) 2014-01-08
CN103108813B (zh) 2015-04-01
JP2012030886A (ja) 2012-02-16
EP2602209B1 (en) 2016-09-14
US8925765B2 (en) 2015-01-06
WO2012017566A1 (ja) 2012-02-09
JP5734594B2 (ja) 2015-06-17
KR20130027566A (ko) 2013-03-15
BR112013001172A2 (pt)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01B1 (ko)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KR20040019287A (ko) 혼합주출장치
JP3751125B2 (ja) 2剤吐出容器
KR101377020B1 (ko) 멀티컨테이너를 갖는 화장수 분사장치
US20160325916A1 (en) Dispensing device
TWI698286B (zh) 噴霧容器用噴出器具
CN110062738B (zh) 具有喷口的闭合件和用于将添加剂引入饮料容器的装置
EP3283389A1 (en) Fluid cartridge system and method of using a fluid cartridge system
US6513681B2 (en) Spray closure with a push-pull seal
CA2215051C (en) Dual compartment package and closures therefor
JP2005145074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ヘッド
JP2003020083A (ja) 2剤吐出容器
EP3789122B1 (en) Spray gun
JP6552205B2 (ja) 泡噴出容器
JP2002326684A (ja) 注出容器
AU2016430866B2 (en) Dispenser
CN109963794B (zh) 用于闭合设备中的加压罐的阀装置
JP7005114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7072988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7154700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2012106749A (ja) 内容物充填機構
JP2018140790A (ja) 塗布容器
JPH0751126A (ja) 毛髪着色料容器付ブラシ
CN2432177Y (zh) 带有液体分配装置的容器
JP7118533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