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064B1 - 조리시 음식 분출을 막는 덮개를 갖는 손잡이를 조리기구상에 고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시 음식 분출을 막는 덮개를 갖는 손잡이를 조리기구상에 고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064B1
KR101448064B1 KR1020080026608A KR20080026608A KR101448064B1 KR 101448064 B1 KR101448064 B1 KR 101448064B1 KR 1020080026608 A KR1020080026608 A KR 1020080026608A KR 20080026608 A KR20080026608 A KR 20080026608A KR 101448064 B1 KR101448064 B1 KR 101448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joint ring
stud
outer plat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412A (ko
Inventor
빠스깔 뀔르리
스떼판 쁠리숑
쟝-프랑수와 브라쎄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5242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4806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8008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구(2)의 외측판(6) 상에 손잡이(3)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스터드(5)와 손잡이(3) 및 이음 고리(8)를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5)는 자신의 제1 전방 단부(14)에 의해 상기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결합될 수 있고, 자신의 제2 후방 단부(15)에서는 하나의 개방구(16)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3)의 일 단부(30)는 하우징(33)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 32)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터드(5)를 수용하고, 나사(4)의 통행 및 상기 스터드(5) 개방구(16) 내로의 그 유입을 허용해주는 관통 구멍(39)이 상기 하우징 내에 뻗어 있고, 상기 이음 고리(8)는 상기 스터드(5) 및 상기 손잡이(8)의 돌출부(31, 32)를 둘러싸면서 고정 장치의 조립 시 상기 손잡이(3)를 조리기구(2)의 상기 외측판(6)에 세로로 연결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특징은 상기 손잡이(3)의 단부(30)가 한 면을 나타내는 상부 가장자리 면(50)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손잡이(3) 단부(30)의 상부 가장자리 면(50)과 상기 조리기구(2)의 외측판 사이의 거리가 0.5 내지 6 mm 인 것이다.
조리기구, 손잡이 고정 장치, 이음 고리, 스터드, 손잡이 단부.

Description

조리시 음식 분출을 막는 덮개를 갖는 손잡이를 조리기구 상에 고정하는 장치{DEVICE FOR FASTENING HANDLE WITH CAP THAT PREVENTS FOOD-ERUPTION WHEN COOKING ON COOKER}
본 발명은 냄비, 프라이팬 등의 조리기구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US 2787805는 자신의 단부에서 나사 홈이 파진 구멍을 가진 채 사각형 섹션으로 된 조리기구의 측벽에 인접한 주조된 스터드(stud)를 포함하는 유형의 조리기구의 측벽 또는 외측판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손잡이의 단부에 조리기구의 외측판이 붙여질 수 있으며, 상기 단부는 스터드의 사각형 섹션과 함께 작용하며 손잡이 축에 대한 두 수직 방향(수평 및 수직) 내에서의 세팅을 보장해주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의 연장선 상에서, 손잡이는 스터드의 나사 홈이 파진 구멍과 함께 작용하는 나사용 지지구역 및 통로를 갖추고 있다. 화염 방패 역할을 하는 이음 고리는 손잡이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장치의 단점은 조리기구 내에서 준비되는 음식물의 유기 물질의 분출물이, 조리기구의 외측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뜨거운 상태를 나타내는 손잡이의 상부 파트로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렇게 떨어진 분출물은 말라 비틀어져 강하게 점착되고 그 세척이 어려워진다.
아울러, 이러한 고정 장치는 지속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단점을 나타낸다. 왜냐하면 손잡이를 조리기구 외측판 상에 조립한 후 얼마 되지않아 간극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상, 조리기구의 외측판과 직접 접촉되는 손잡이의 재질이 순환되는 가열 및 냉각 사이클에 놓인 채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손상된다.
영국 특허 GB 1077475는 제1 단부를 통해 조리기구의 외측판에 고정되는 스터드 및 제1 단부를 통해 조리 용품의 외측판에 맞닿아 함께 놓여질 수 있으며 또한 자신의 제2 단부에 맞닿는 지주 형태로 손잡이의 버팀벽을 수용할 수 있는 손잡이 단부를 둘러싸는 반사장치 또는 이음 고리를 포함하는 유형의 조리기구의 외측판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또 다른 유형의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스터드의 제2 단부는 손잡이의 축방향 고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수단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끼워넣기를 통해 손잡이를 세팅시키게 해주는 수단들 또한 포함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손잡이 단부의 버팀벽은 자신의 중앙부에서 스터드 수용 하우징을 갖추고 있는 평행육면체의, 또한 정사각형으로 불리기도 하는, 돌출부를 한정한다.
이러한 고정 장치는 위에서 인용된 장치의 노화 문제를 개선할 수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고정 장치의 단점은 조리기구 내에서 준비되는 음식물의 유기 물질의 분출물이, 조리기구의 외측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열 전도성 물질로 실현되기 때문에 뜨거운 상태를 나타내는 이음 고리의 상부 파트로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렇게 떨어진 분출물은 말라붙거나, 나아가서는 탄화 현상까지 야기하므로 그 세척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단점들을 개선하는 것과, 세척하기가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오래 유지될 수 있는 고정성을 보장해주는 고정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가진 고정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스터드와 손잡이 및 이음 고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구의 외측판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와 함께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는 자신의 제1 전방 단부를 통해서는 조리기구의 외측판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자신의 제2 후방 단부에서는 하나의 개방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의 일 단부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스터드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나사의 통행 및 스터드 개방구 내로의 그 유입을 허용해주는 구멍이 상기 하우징 내에 뻗어 있고, 상기 이음 고리는 고정 장치의 조립 시 손잡이의 돌출부 및 스터드를 둘러싸면서 손잡이를 조리기구의 외측판에 세로로 연결해준다. 본 발명은 손잡이의 단부가 한 면을 나타내는 상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것과, 이 손잡이 단부의 상부 가장자리 면과 조리기구 외측판 사이의 거리가 0.5 내지 6 mm 사이에 포함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통해 조리기구 외측판에 가장 가까이 근접하는 손잡이 단부의 상부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조리기구 내에서 준비되는 음식물의 유기 물질의 분출물이 손잡이의 상부 파트 상에 떨어지게 된다. 조리기구의 외측판과 접촉되지 않는 이 손잡이의 상부 파트는 상대적으로 찬 상태로 머물게 된다.
손잡이 단부의 상부 가장자리 면은 수직 횡단 축의 양쪽에서 손잡이의 중앙 수평 횡단 축에 이르기까지 최대한도로 펼쳐지는 것이 선호된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세로 축 및 손잡이의 수평 횡단 축에 의해 형성되는 면 내에서, 손잡이 단부의 상부 파트의 분출 표면 상에 음식물 유기 물질 분출물이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음 고리 하부면의 길이는 20 mm 이상인 것이 좋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조리기구의 가열 시, 손잡이 단부의 하부 파트가 화염에 직접 맞닿아 가열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손잡이 단부는 이음 고리의 상부 파트 위에 위치되는 모퉁이 단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선호된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손잡이 단부의 모퉁이 단면부 및 이음 고리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모퉁이 단면부가 낮은 온도 상태로 머무르게 된다. 그 결과, 분출물이 점착되지 않아 세척이 용이해진다. 아울러, 이러한 배열로 인하여, 대단히 경제적인 방법으로 알려진 알루미늄 분출 및 절단 작업을 통한 이음 고리 제작 과정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 단부의 상부 가장자리 면과 조리기구 외측판 간의 거리는 1 mm인 것 이 좋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조리 시 각각의 분출물이 이음 고리 상에 떨어지지 않게 되며, 또한 손잡이 단부의 상부 파트의 온도가 충분히 낮은 상태로 머물 수 있게 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음 고리 상부 면의 길이가 5 mm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서는 분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이음 고리의 최소한의 상부 면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실상, 외측판과 접촉되는 이음 고리는 대단히 뜨거우며, 분출물이 이음 고리 상에 떨어지는 경우 이들은 탄화되어 세척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이음 고리 후방 단부의 상부 파트는 손잡이의 상부 가장자리 면에 맞닿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비한정적으로 기술된 실시예들을 통해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하기가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오래 유지될 수 있는 고정성을 보장해주고 아울러 부품의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경제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1)를 통해 손잡이(3)를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장치는 손잡이(3) 단부(30)를 둘러싸는 이음 고리(8) 및 스터드(5), 그리고 나사(4)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스터드(5)는 세로 축(40)에 대해 사각형 베이스 따위의 각기둥으로 된 일반적인 형태를 지닌다. 스터드(5)는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고정되는 제1 전방 단부(14) 및 나사(4)를 수용하는 막힌 개방구(16)를 포함하고 있는 제2 후방 단부(15)를 포함한다. 스터드(5)의 전방 단부(14)는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용접 고정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 쪽으로 놓인 뾰족 부위(18)를 갖춘 굽은 디스크(17)를 포함한다.
이음 고리(8)는 타원형의 파인 튜브로 된 일반적인 형태를 지닌다. 이음 고리(8)는 조리기구(2)의 외측판을 동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전방 단부(21) 및 손잡이(3)의 버팀벽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후방 단부(22)를 포함한다. 이음 고리(8)의 전방 단부(21)가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정확하게 동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방 단부(21)에 의해 한정되는 표면 또는 파트 및 이 표면 또는 파트가 함께 동반하는 외측판(6) 구역은 평행 상태를 나타낸다.
손잡이(3)의 단부(30)는 손잡이(3)의 축(40)과 직각인 수직 횡단 축(41)의 양쪽에 배치되며, 스터드(5)를 수용하는 하우징(33)을 형성하는 공간에 의해 분리되는 튀어나온 두 개의 돌출부(31, 32)를 포함한다. 하우징(33)은 스터드(5)의 두 측면(11, 12)과 함께 협력 작용하는 두 돌출부(31, 32)의 두 내부 측벽(34, 35)으 로 구성되는 두 개의 평평한 면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손잡이(3) 축과 직각인 수평 횡단 축(42)을 따라 스터드(5) 상에서 손잡이를 움직이지 못하게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세로 축(40) 주위에서 손잡이(3)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두 돌출부(31, 32)에 의해 형성되는 손잡이(3)의 단부(30)는 이음 고리(8) 내에 끼워 넣어진다. 돌출부(31, 32)는 자신들의 외부 파트에서 이음 고리(8)의 내부 측부 표면(23, 24)에 맞춰지는 표면(36, 37)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표면(36, 37) 각각은 측부 횡단 축(42) 내에서 손잡이(3)에 대해 이음 고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음 고리(8)와 접하는 측부 접촉 면(46, 47)을 포함한다. 돌출부(31, 32)의 외부 표면(36, 37)은 수직 횡단 축(41) 내에서 손잡이(3)에 대해 이음 고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음 고리(8)와 접하는 수직 접촉 면(48, 49) 또한 포함한다.
두 돌출부(31, 32)의 외부 표면(36, 37)은 손잡이(3)의 세로 축(40)에 대해 하나의 돋움부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돌출부(31, 32)는 원뿔대 형태를 나타낸다는 것이며, 돌출부 섹션이 손잡이(3)의 더욱 작은 전방 단부 측면이 된다는 것이다. 돋움부는 두 돌출부(31, 32)의 상부 파트 및 하부 파트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손잡이(3)의 단부(30)는 두 돌출부(31, 32)의 주변부로서, 이음 고리(8)의 후방 단부 파트에 맞닿아 지탱되는 버팀벽(38)을 통해 한정된다. 그 결과 돌출부(31, 32)가 이음 고리(8) 내로 파고드는 힘이 최대 한도로 된다. 이음 고리(8) 후방 단부(22)의 하부 파트의 상부 가장자리는 돌출부(31, 32)의 하부면 상에 지지 된다.
이음 고리(8)는, 자신의 하부 파트(25)의 내부면 상에서, 스터드(5) 후방 단부(15)의 하부 파트에 위치되는 가장자리(19) 상에 지지되는,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터드(5)의 하부면(10)의 중앙 라인 상에 지지되는 하나의 리브(26)를 포함한다.
이음 고리(8)는, 자신의 전방 단부(21)의 상부 파트에서, 스터드(5)의 상부면(13) 상에 지지되는 하부 가장자리(28)를 포함한다.
하나의 관통 구멍(39)이 하우징(33)의 연장선 상에서 손잡이(3)의 단부(30) 내에 실현된다. 구멍(39) 내에 미리 끼워져 있는 나사(4)는 스터드의 막힌 개방구(16)와 협력 작용한다. 구멍(39)은 하나의 버팀벽을 포함하며, 나사의 헤드는 이 버팀벽에 맞닿아 지탱된다. 나사(4)는 스터드의 막힌 개방구(16)에 나사 홈을 파는 작업을 생략하기 위해, 그리고 본 장치 제작 비용의 절감을 위해 자동으로 홈을 파는 유형일 수 있다.
손잡이(3)의 단부(30)는 이음 고리(8)의 상부 파트(27)를 덮는 모퉁이 단면부(45)를 포함한다. 손잡이(3)의 단부(30)의 상부 가장자리 면(50)과 조리기구(2) 외측판(6) 간의 거리는 1 mm 이다. 손잡이(3)의 단부(30)의 상부 가장자리 면(50)은 수직 횡단 축(41)의 양쪽에서 손잡이(3)의 중앙 수평 횡단 축(42)에 이르기까지 최대한도로 펼쳐진다. 상기 가장자리 면(50)은, 분출물에 대해 이음 고리(8)를 보호하는 덮개 역할을 하는 모퉁이 단면부를 한정해야 하므로, 손잡이(3)가 연결되는 면에 이르기까지 펼쳐지는 것이 좋다.
이음 고리(8) 하부 면(25)의 길이는 20 mm 이상이다. 이 하부 면(25)은 수직 횡단 축(41)의 양쪽에서 손잡이의 연결부에 이르기까지 펼쳐지며, 손잡이(3) 단부(30) 및 모퉁이 단면부(45)가 화염에 닿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조리기구(2)의 사용 시, 기계적인 측면에서 이음 고리(8)는 나사(4)-손잡이(3)-스터드(5)에 의한 상부 연결 및 외측판(6)-이음 고리(8)-손잡이(3)에 의한 하부 연결 간의 대항 커플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받는 하나의 하부 파트를 가진다. 특히 이 압력 수용 파트에는 상당히 힘이 가해지며, 조리 레인지가 가열되면 그 영향을 받게 된다. 이음 고리(8)의 상부 파트는 자신의 전방 파트 덕분에 단지 스터드 상에 놓이는 역할에만 참여한다. 후방 상부 파트는 기계적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음 고리(8)의 후방 상부 가장자리 내에 하나의 균열부가 실현되며, 이처럼 실현된 균열부는 손잡이의 모퉁이 단면부에 의해 채워지게 된다. 이음 고리(8)의 후방 파트(22)는 하부 파트 및 상부 파트의 두 파트로 구분된다. 하부 파트는 손잡이(3) 단부의 버팀벽(38)에 맞닿아 지지되며, 상부 파트는 손잡이(3)의 상부 가장자리 면(50)에 맞닿아 지지된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앞에서 기술된 실시예 보다 수직 횡단 축(41) 내에서 행해지는 손잡이(3) 단부의 실현을 더욱 세련되게 개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1)를 이용하여 손잡이(3)를 조리기구(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스터드(5)의 전방 단부(14)를 예를 들어 용접 등을 통해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고정시킨다.
손잡이(3)의 단부(30)의 두 돌출부(31, 32)를 이음 고리(8)의 후방 단부(22) 내로 유입시킨다. 이어서 손잡이(3)의 두 돌출부(31, 32)의 평평한 면(34, 35)과 이음 고리(8)를 스터드(5) 주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사(4)를 손잡이(3)의 구멍(39) 내로 끼워 넣는다. 이때 구멍(39)과 스터드(5)의 막힌 개방구(16)는 상호 간에 마주 놓이기 때문에 나사(4)는 이 막힌 개방구(16) 내로 파고들어가게 된다.
나사가 파고 들면서 이음 고리(8)의 전방 단부(21) 파트는 조리기구의 외측판(6)에 맞닿아 달라붙게 되며, 이음 고리(8)의 후방 단부(22) 파트는 손잡이(3)의 버팀벽(38)에 맞닿아 달라붙게 된다.
구멍(39)은 하나의 버팀벽을 포함하며, 나사(4)의 헤드는 이 버팀벽에 맞닿은 채 지탱된다. 나사가 파고 들면서 이음 고리(8)의 전방 단부(21) 파트는 조리기구의 외측판(6)에 맞닿아 달라붙게 되며, 이음 고리(8)의 후방 단부(22) 파트는 손잡이(3)의 버팀벽(38)에 맞닿아 달라붙게 된다. 나사가 파고드는 작용이 끝나는 시점, 이음 고리(8)를 통해 조리기구(2)의 기울어진 외측판 상에 가해지는 방사상 힘이 이음 고리(8) 전방 단부(21)의 상부 파트의 하부 가장자리(28)가 스터드(5)의 상부면(13) 상에 압박을 가하는 것을 만들어 낼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 및 그 변이형에만 한정되는 것은 절대 아니며, 아래의 청구항에서 기술되는 틀 내에서 가능한 다양한 변이형들 또한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외측판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장치가 손잡이 축에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 외측판 상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장치가 손잡이 축에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Claims (7)

  1. 조리기구(2)의 외측판(6) 상에 손잡이(3)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스터드(5)와 손잡이(3) 및 이음 고리(8)를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5)는 자신의 제1 전방 단부(14)에 의해 상기 조리기구(2)의 외측판(6)에 결합될 수 있고, 자신의 제2 후방 단부(15)에 하나의 개방구(16)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3)의 일 단부(30)는 하우징(33)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 3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터드(5)를 수용하고, 나사(4)의 통행 및 상기 스터드(5) 개방구(16) 내로의 유입을 허용해주는 관통 구멍(39)이 상기 하우징 내에 뻗어 있고, 상기 이음 고리(8)는 상기 스터드(5) 및 상기 손잡이(3)의 돌출부(31, 32)를 둘러싸면서 고정 장치의 조립 시 상기 손잡이(3)를 조리기구(2)의 상기 외측판(6)에 세로로 연결해주며,
    상기 손잡이(3)의 단부(30)는 한 면을 나타내는 상부 가장자리 면(50)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3)의 단부(30)의 상부 가장자리 면(50)과 상기 조리기구(2)의 외측판 사이의 거리는 0.5 내지 6 mm 이고,
    상기 손잡이(3)의 단부(30)는 상기 이음 고리(8)의 상부 파트(27) 위에 위치되는 하나의 모퉁이 단면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 단부(30)의 상부 가장자리 면(50)은 수직 횡단 축(41)의 양쪽에서 상기 손잡이(3)의 중앙 수평 횡단 축(42)에 이르기까지 최대한도로 펼쳐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고리(8)의 하부면(25)의 길이는 20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 단부(30)의 상부 가장자리 면(50)과 상기 조리기구(2)의 외측판(6) 사이의 거리는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고리(8)의 상부 면(27)의 길이는 5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고리(8)의 후방 단부(22)의 상부 파트는 상기 손잡이(3)의 상부 가장자리 면(50)과 맞닿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KR1020080026608A 2007-03-21 2008-03-21 조리시 음식 분출을 막는 덮개를 갖는 손잡이를 조리기구상에 고정하는 장치 KR101448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2042 2007-03-21
FR0702042A FR2913872B1 (fr) 2007-03-21 2007-03-21 Dispositif de fixation de poignee sur un article culinaire avec capot anti proj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412A KR20080086412A (ko) 2008-09-25
KR101448064B1 true KR101448064B1 (ko) 2014-10-07

Family

ID=3852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608A KR101448064B1 (ko) 2007-03-21 2008-03-21 조리시 음식 분출을 막는 덮개를 갖는 손잡이를 조리기구상에 고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972244B1 (ko)
JP (1) JP5461783B2 (ko)
KR (1) KR101448064B1 (ko)
CN (1) CN101288560B (ko)
AT (1) ATE475345T1 (ko)
BR (1) BRPI0817549B1 (ko)
CA (1) CA2626141C (ko)
DE (1) DE602008001907D1 (ko)
DK (1) DK1972244T3 (ko)
ES (1) ES2349176T3 (ko)
FR (1) FR2913872B1 (ko)
MX (1) MX2008003824A (ko)
PL (1) PL1972244T3 (ko)
PT (1) PT1972244E (ko)
RU (1) RU247140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4697B1 (nl) * 2016-10-25 2018-06-01 Probalco Bvba Kookpot met handvatstructuu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6020A (ja) * 1994-12-07 1996-08-13 Hokusei Nikkei Kk 両手鍋用持手部及び片手鍋用持手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6000C (ko) *
US2787805A (en) * 1955-06-09 1957-04-09 West Bend Aluminum Co Flame guard for plastic handle
JPS5228552U (ko) * 1975-08-15 1977-02-28
DE2831194C2 (de) * 1978-07-15 1982-11-18 Fissler Gmbh, 6580 Idar-Oberstein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Griffes an einem Behältnis o.dgl.
JP3020863U (ja) * 1995-07-23 1996-02-06 株式会社小林コーポレーション 鍋の把手
JP2002028093A (ja) * 2000-07-18 2002-01-29 Nikkei Products Co 加熱調理容器用取手
DE10100370A1 (de) * 2001-01-05 2001-08-02 Kurt Buehl Kochgeschirr
FR2863470B1 (fr) * 2003-12-12 2006-02-24 Seb Sa Systeme de fixation d'une poignee de prehension a un recipient d'un article culinaire
CN2794395Y (zh) * 2005-04-07 2006-07-12 慎威企业有限公司 锅具之分离式锅把结构
US7624893B2 (en) * 2006-03-28 2009-12-0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ookware handle with metal insert and overmo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6020A (ja) * 1994-12-07 1996-08-13 Hokusei Nikkei Kk 両手鍋用持手部及び片手鍋用持手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110811A (ru) 2009-09-27
ATE475345T1 (de) 2010-08-15
CA2626141A1 (fr) 2008-09-21
FR2913872B1 (fr) 2009-05-01
JP5461783B2 (ja) 2014-04-02
PT1972244E (pt) 2010-10-11
MX2008003824A (es) 2009-02-27
BRPI0817549B1 (pt) 2018-12-04
BRPI0817549A2 (pt) 2014-03-18
DK1972244T3 (da) 2010-11-22
CA2626141C (fr) 2014-11-25
CN101288560A (zh) 2008-10-22
EP1972244A1 (fr) 2008-09-24
FR2913872A1 (fr) 2008-09-26
PL1972244T3 (pl) 2010-11-30
RU2471401C2 (ru) 2013-01-10
JP2008289856A (ja) 2008-12-04
DE602008001907D1 (de) 2010-09-09
CN101288560B (zh) 2011-09-14
EP1972244B1 (fr) 2010-07-28
ES2349176T3 (es) 2010-12-28
KR20080086412A (ko) 2008-09-25
AU2008201233A1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6851A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KR101566266B1 (ko) 구이기구
KR101448064B1 (ko) 조리시 음식 분출을 막는 덮개를 갖는 손잡이를 조리기구상에 고정하는 장치
KR100831379B1 (ko) 공기 열 전달방식을 이용한 조리용기
US2092878A (en) Stirring spoon
KR101713432B1 (ko) 다기능 불판
KR101900924B1 (ko) 구이 불판 결합형 가스 조리기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JPH07201463A (ja) 電磁調理器
KR101613633B1 (ko) 기름가이드를 구비한 숯불구이용 화로장치
RU24687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рукоятки уменьшенной толщины на изделии, относящемся к кухонной посуде
JP2003135285A (ja) 調理器
KR102447387B1 (ko) 구이판
US3283696A (en) Cooking utensil
KR200466227Y1 (ko) 휴대용 불판 조립체
JPH08196434A (ja) 電気焼肉器
KR200291040Y1 (ko) 분리형 고기 구이판
JP2000210202A (ja) 電気加熱調理器
KR20040053051A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JP6588411B2 (ja) 加熱調理用鍋
KR200339263Y1 (ko) 중화렌지
KR200369957Y1 (ko) 구이판
KR20090048992A (ko) 탄화방지 기능을 갖는 구이용 불판
KR200388446Y1 (ko) 프라이팬
KR200414153Y1 (ko) 구이용 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