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957Y1 - 구이판 - Google Patents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957Y1
KR200369957Y1 KR20-2004-0025923U KR20040025923U KR200369957Y1 KR 200369957 Y1 KR200369957 Y1 KR 200369957Y1 KR 20040025923 U KR20040025923 U KR 20040025923U KR 200369957 Y1 KR200369957 Y1 KR 200369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tempered glass
glass plate
resistant tem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호
Original Assignee
민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영호 filed Critical 민영호
Priority to KR20-2004-0025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9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한 내열강화유리판을 사용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금속중독을 예방하고, 고기가 쉽게 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맛과 영양을 보존하며, 불꽃이 투명한 내열강화유리판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도록 하여 불꽃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한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화구(10)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고기(12)를 올려놓고 굽기 위한 투명한 내열강화유리판(30)과, 내열강화유리판(30)의 상측 모서리부분에 걸리어 이 내열강화유리판(30)과의 사이에 기름(14)이 빠져나갈 수 있는 틈(T)을 형성하는 꺾쇠형의 꺾쇠(42)가 저면에 형성된 링 형태의 상판(40)과, 상판(40)과 결합되고 일측에 형성된 기름배출구(52)로 이어지는 도랑형태의 기름통로(54)가 상기 내열강화유리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하판(50)과, 상판(40)과 하판(50)을 결합하는 손잡이(62)(64)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구이판{Hot Plate}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한 내열강화유리판을 사용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금속중독을 예방하고, 고기가 쉽게 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맛과 영양을 보존하며, 불꽃이 투명한 내열강화유리판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도록 하여 불꽃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구이판은 고기를 놓고 굽는 부분이 금속 주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거칠거칠해서 사용 후 세척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대형식당에서 대량으로 취급하는 경우 전동그라인더와 와이어 브러쉬를 이용해서 탄 고기와 잔류물을 제거하고 있는데,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금속가루가 구이판의표면에 잔류하여 금속중독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구이판은 고기를 놓고 굽는 부분이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높아 고기가 쉽게 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며, 타는 과정에서 맛과 영양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구이판 밑의 불꽃을 관찰할 수 없어 불꽃조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반적인 구이판을 이용해서 용기에 담긴 된장찌개를 데우거나 마늘, 양파 등과 같은 야채를 익히는 경우 열이 용기로 직접 전달되지 못하고 구이판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데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구이판의 상면과 용기의 저면이 밀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열전도 효율이 크게 저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금속중독을 예방하며, 고기가 쉽게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맛과 영양을 보존할 수 있으며, 불꽃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용기를 데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구이판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구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고기를 올려놓고 굽기 위한 투명한 내열강화유리판과, 내열강화유리판의 상측 모서리부분에 걸리어 이 내열강화유리판과의 사이에 기름이 빠져나갈 수 있는 틈을 형성하는 꺾쇠형의 꺾쇠가 저면에 형성된 링 형태의 상판과, 상판과 결합되고 일측에 형성된 기름배출구로 이어지는 도랑형태의 기름통로가 상기 내열강화유리판의 가장자리를따라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하판과, 상판과 하판을 결합하는 손잡이로 구성하여 구이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1의 A-A선을 절단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1의 상면분해사시도
도 4는 도1의 저면분해사시도
도 5는 도1의 평면도
도 6은 도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5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8의 상면분해사시도
도 10은 도8의 저면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12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6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화구 12 : 고기
14 : 기름 30 : 내열강화유리판
32 : 구멍 36 : 기름홈
40 : 상판 42 : 꺾쇠
46 : 위치결정리브 50 : 하판
52 : 기름배출구 54 : 기름통로
62,64 : 손잡이 62a,62b,64a,64b : 결합리브
70 : 용기 82,84 : 리벳
T : 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열강화유리판(30), 상판(40), 하판(50), 손잡이(62)(64)로 구성된다.
여기서 내열강화유리판(30)은 화구(10)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고 고기(12)를 올려놓고 굽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판(40)은 금속 링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내열강화유리판(30)의 상측 모서리부분에 걸리어 이 내열강화유리판(30)과의 사이에 기름(14)이 빠져나갈 수 있는 틈을 형성하는 "L"자 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꺾쇠(42)가 내열강화유리판(30)의 상측 모서리부분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군데군데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판(50)은 금속 링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판(40)의 저면에 결합되고 일측에 형성된 기름배출구(52)로 이어지는 도랑형태의 기름통로(54)가 상면에서 내열강화유리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62)(64)는 일측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판(40)과 하판(50)을 결합할 수 있도록 상판(40)과 하판(50)의 측부를 끼우기 위한 평행한 결합리브(62a)(62b)(64a)(64b)가 각각 상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리브(62a)(62b)(64a)(64b)는 리벳(82)(84)에 의해 상판(40)과 하판(50)에 고정된다.
또, 손잡이(62)(64)에 형성된 결합리브(62a)(62b)(64a)(64b)에는 상판(40)과 하판(50)에 형성된 리벳체결공(49)(59)에 일치하는 리벳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리벳체결공(49)(59)의 중심을 일치시킨 후 리벳(82)(84)을 삽입하여 체결하면, 상판(40)과 하판(50) 그리고 손잡이(62)(64)가 하나로 결합되다.
그리고, 상기 기름배출구(52)와 기름통로(54)의 바깥쪽 상측 모서리부분에 걸리어 상판(40)과 하판(50)이 끼워 맞춤되도록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리브(46)가 상판(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제 1실시예에서는 상판(40)과 하판(50)을 사각링의 형태로 형성하고, 내열강화유리판(30)을 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이에 따라 기름통로(54)와 위치결정리브(46)도 사각형의 경로를 갖게 된다.
첨부도면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제 2실시예에서는 상판(40)과 하판(50)을 원형링의 형태로 형성하고, 내열강화유리판(30)을 원판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이에 따라 기름통로(54)와 위치결정리브(46)도 원형의 경로를 갖게 된다.
첨부도면 도11에 도시된 제 3실시예에서는 사각의 내열강화유리판(30) 중앙에 관통된 구멍(32)을 형성한 것이며, 첨부도면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제 4실시예에서도 원형의 내열강화유리판(30) 중앙에 관통된 구멍(32)을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내열강화유리판(30)의 중앙에 형성한 구멍(32)은 뚝배기와 같은 용기(70)를 끼우거나 작은 접시형태의 보조불판을 얹어놓기 위한 것이며, 화구(10)로부터 발생되는 불꽃이 용기(70)에 직접 닿도록 함으로써 열전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용기(70)는 맥반석이나 금속, 세라믹, 내열유리, 철망 등으로 만들어진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제 5실시예 및 제 6실시예에서는 고기(12)로부터 배출되는 기름(14)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해 주기 위해 내열강화유리판(30)의 상면에 기름홈(36)을 형성한 것이며, 예컨대 도14의 경우 사각으로 된 내열강화유리판(30)에는 격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15의 경우 원형으로 된 내열강화유리판(30)에는 동심원과 방사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90은 식탁을 나타낸 것이며, 92는 기름받이를 나타낸 것이고, 95는 마늘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0)과 하판(50), 내열강화유리판(30) 그리고 손잡이(62)(64)를 조립하는 경우 먼저 상판(40)을 뒤집어서 상판(40)에 형성된 복수의 꺾쇠(42)에 내열강화유리판(30)의 끼운 다음 상판(40)과 내열강화유리판(30)이 분리되지 않도록 잡은 상태에서 원래대로 뒤집어서 하판(50) 위에 덮으면 상판(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리브(46)가 하판(50)에 형성되어 있는 기름통로(54)의 바깥쪽 상측 모서리부분에 걸리면서 상판(40)과 하판(50)이 가결합된다.
이때 내열강화유리판(30)의 가장자리부분은 상판(40)과 하판(5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두 개의 손잡이(62)(64)에 형성되어 있는결합리브(62a)(62b)(64a)(64b)를 상판(40)과 하판(50)의 좌우측으로 끼우게 되면, 손잡이(62)(64)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리브(62a)(62b)(64a)(64b)가 상판(40)과 하판(50)의 상면과 저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후 손잡이(62)(64)에 형성되어 있는 리벳체결공의 중심과 상판(40) 및 하판(50)에 형성되어 있는 리벳체결공(49)(59)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리벳(82)(84)을 삽입하고 체결하면 상판(40)과 하판(50) 그리고 손잡이(62)(64)가 하나로 결합된다.
즉, 내열강화유리판(30)의 가장자리부 저면은 하판(50)의 기름통로(54)를 형성하고 있는 벽의 상단에 얹힌 상태로 놓이게 되며, 내열강화유리판(30)의 가장자리부 상면은 상판(40)의 저면에 형성된 꺾쇠(42)의 턱에 걸리어 아래쪽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모서리부분이 꺾쇠(42)에 걸려서 상하좌우로의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상태에서 꺾쇠(42)가 위치되지 않은 곳은 상판(40)과 내열강화유리판(30)과의 사이에 기름(14)이 빠져나갈 수 있는 틈(T)이 형성되며, 하판(50)의 기름통로(54)와 내열강화유리판(30)의 가장자리부분이 떨어져 있으므로, 틈(T)을 통해 떨어지는 기름(14)이 모여서 흐를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을 이용 고기(12)를 굽는 경우 식탁(90) 위의 화구(10)에 구이판을 놓고 고기(12)를 내열강화유리판(30)에 올린 다음 열을 가하게 되면, 고기(12)로부터 배출되는 기름(14)이 내열강화유리판(30)의 가장자리부분과 상판(40) 사이에 형성된 틈(T)을 통해 하판(50)의 기름통로(54)로 떨어지면서모인 다음 하판(50)의 일측에 형성된 기름배출구(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기름배출구(52)의 밑에 종이컵이나 그릇 등의 기름받이(92)를 놓게 되면, 외부로 배출되는 기름(14)이 기름받이(92)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도14 및 도15에서와 같이 내열강화유리판(30)의 상면에 형성한 기름홈(36)은 고기(12)로부터 배출되는 기름(14)이 내열강화유리판(30)의 가장자리로 향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여 기름(14)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기름이 튀는 것을 현저하게 줄이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화구(10)로부터의 불꽃이 투명한 내열강화유리판(30)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므로, 불꽃을 보면서 불꽃크기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열강화유리판(30)의 열전도율이 금속으로 된 일반적인 구이판보다 느리기 때문에 고기(12)가 쉽게 타는 것을 방지하고, 맛과 영양을 보존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11 내지 도13에 도시된 제 3실시예 및 제 4실시예에서와 같이 중앙에 관통형의 구멍(32)이 형성된 내열강화유리판(30)의 경우 용기(70)를 구멍(32)에 끼우거나 얹어놓게 되면, 용기(70) 안의 된장찌개나 마늘, 양파 등과 같은 야채를 데워서 익혀먹을 수 있게 되며, 화구(10)로부터의 불꽃이 직접 용기(70)에 닿기 때문에 열전도가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음식을 데우거나 끓이는 시간이 단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고기를 놓고 굽는 부분이 매끄러운 유리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세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존과 같이 세척과정에서 금속가루가 발생될 염려가 없으므로 금속중독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내열강화유리판의 열전도율이 금속보다 낮기 때문에 금속으로 만들어진 기존 구이판에 비해 고기가 쉽게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영양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고, 투명한 내열강화유리판을 통해 불꽃을 관찰 할 수 있으므로 불꽃조정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구멍이 뚫인 내열강화유리판의 경우 뚝배기나 작은 접시형태의 용기를 구멍에 끼우거나 구멍 위에 올려놓게 되면 화구로부터의 불꽃이 용기에 직접 닿기 때문에 열전도 효율이 향상되어 용기를 데우기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화구(10)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고기(12)를 올려놓고 굽기 위한 투명한 내열강화유리판(30)과;
    상기 내열강화유리판(30)의 상측 모서리부분에 걸리어 이 내열강화유리판(30)과의 사이에 기름(14)이 빠져나갈 수 있는 틈(T)을 형성하는 꺾쇠형의 꺾쇠(42)가 저면에 형성된 링 형태의 상판(40)과;
    상기 상판(40)과 결합되고 일측에 형성된 기름배출구(52)로 이어지는 도랑형태의 기름통로(54)가 상기 내열강화유리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하판(50)과;
    상기 상판(40)과 하판(50)을 결합하는 손잡이(62)(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강화유리판(30)의 중앙에 관통형의 구멍(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배출구(52)와 기름통로(54)의 바깥쪽 상측 모서리부분에 걸리어 상판(40)과 하판(50)이 끼워 맞춤되도록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리브(46)가 상기 상판(40)의 저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62)(64)는 상판(40)과 하판(50)의 측부를 끼우기 위한 평행한 결합리브(62a)(62b)(64a)(64b)가 각각 상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리브(62a)(62b)(64a)(64b)가 리벳(82)(84)에 의해 상판(40)과 하판(5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강화유리판(30)의 상면에 기름홈(3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KR20-2004-0025923U 2004-09-09 2004-09-09 구이판 KR200369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23U KR200369957Y1 (ko) 2004-09-09 2004-09-09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23U KR200369957Y1 (ko) 2004-09-09 2004-09-09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957Y1 true KR200369957Y1 (ko) 2004-12-13

Family

ID=4944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923U KR200369957Y1 (ko) 2004-09-09 2004-09-09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9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4994B2 (ja) 調理のための重量調節可能な食品プレス器
US9215949B1 (en) Modular griddle and grill frame with inserts
US20060081236A1 (en) Sideburner assembly for barbecue grills
KR200369957Y1 (ko) 구이판
KR101713432B1 (ko) 다기능 불판
KR20040099212A (ko)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US20200297162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20090018422A (ko) 조리장치
KR200411800Y1 (ko) 테이블용 요리판 세트
KR200370079Y1 (ko) 고기구이 및 전골요리 겸용 조리기구
KR200266752Y1 (ko) 뚜껑이 분리되는 솥뚜껑형 구이판
KR20040053051A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KR200318145Y1 (ko) 전골요리 겸용 돌 구이판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102347762B1 (ko) 직화구이 및 간접구이 겸용 구이용 불판
KR200366225Y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200314595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CN209996071U (zh) 一种烧烤用器具
KR200359184Y1 (ko) 구이기
KR200408124Y1 (ko) 다목적 구이기
KR200359736Y1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377867Y1 (ko) 착탈식 2단 고기 구이판
KR200428758Y1 (ko) 무연구이기능과 끓이는기능을 겸용한 석쇠
KR20080008201A (ko) 무연구이기능과 끓이는기능을 겸용한 석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