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263Y1 - 중화렌지 - Google Patents

중화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263Y1
KR200339263Y1 KR20-2003-0033204U KR20030033204U KR200339263Y1 KR 200339263 Y1 KR200339263 Y1 KR 200339263Y1 KR 20030033204 U KR20030033204 U KR 20030033204U KR 200339263 Y1 KR200339263 Y1 KR 200339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stove body
stove
frame
back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Priority to KR20-2003-0033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2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화렌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스밸브를 통해 버너로 공급된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연소열에 의해 받침가이드에 올려진 조리기구가 가열되고, 동시에 냉각수 공급밸브 및 냉각수 공급파이프를 통해 받침가이드의 하부에 구비된 냉각부재로 냉각수가 공급되고, 냉각부재로 공급된 냉각수가 냉각수 토출파이프를 통해 상판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렌지몸체를 구성하고, 렌지몸체의 상부 뒷쪽에 백패널을 설치하되, 상기 백패널은 프레임에 단열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은 고정수단으로 렌지몸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져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벽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백패널을 별도로 제작하여 렌지몸체에 고정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중화렌지의 제작과 운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화렌지{Chinese range}
본 고안은 중화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화렌지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벽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백패널을 렌지몸체와 분리되도록 별도로 제작하고, 이를 운반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높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이를 운반하여 현장에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 재료에 일정시간 동안 열을 가열하여 그 재료를 완전히 익히거나 반숙이 되도록 익힘으로써 음식 특유의 맛을 음미해가면서 먹을 수 있게 된다.
음식의 재료를 굽거나 가열 및 익히는데 사용하는 수단은 가정에서는 통상 가스렌지를 사용하게 되며, 많은 량의 음식을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만드는 식당이나 호텔 등 업소에서는 그 보다 용량이 큰 가스렌지를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은 주로 업소에서 사용하는 용량이 큰 가스렌지 특히, 중식당 및 호텔의 주방에서 사용하는 렌지(이하, "중화렌지"라 칭함)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중화렌지는 일반 음식의 재료를 가열하여 익히는데 필요한 열량보다 더 많은 열량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특히, 중국 요리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식재료를 가열하여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 시키도록 구성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중화렌지는 렌지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가스관 및 가스공급밸브를 통해 그 내부에 구비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가 연소 되면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렌지몸체의 상부에 구비된 받침가이드에 올려진 조리기구를 신속하게 가열시켜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이때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렌지몸체와 벽면쪽으로 전도되는 과정에서 렌지몸체 및 벽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급수라인에 연결된 냉각수 공급밸브를 통해 버너의 상부측과 받침가이드 사이에 구비된 냉각부재로 공급되어 고온의 연소열 중 일부가 렌지몸체로 전도되는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냉각부재로 공급된 냉수는 연소열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된 온수로 변환되고, 변환된 온수는 냉각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냉각수토출 파이프를 통해 토출된 후 렌지몸체의 상판위로 흐르면서 이를 다시 냉각시키고, 상판의 후방에 형성된 배수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받침 가이드의 상부를 통해 렌지몸체의 후방으로 전도된 고온의 열은 벽패널에 의해 벽면으로 직접 전도되는 것을 막아 열화로 인한 벽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받침 가이드를 통해 토출되는 열화가 벽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백패널이 렌지몸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작업 공정수의 증가로 인해 비효율적이며 그로 인한 작업공간을 많이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백패널이 렌지몸체의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를 운반하거나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상의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음식 재료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열에 의해 식당의 벽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백패널을 별도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렌지몸체에 고정시킨 후 설치토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킨 중화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스밸브를 통해 버너로 공급된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연소열에 의해 받침가이드에 올려진 조리기구가 가열되고, 동시에 냉각수 공급밸브 및 냉각수 공급파이프를 통해 받침가이드의 하부에 구비된 냉각부재로 냉각수가 공급되고, 냉각부재로 공급된 냉각수가 냉각수 토출파이프를 통해 상판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렌지몸체를 구성하고, 렌지몸체의 상부 뒷쪽에 백패널을 설치하되, 상기 백패널은 프레임에 단열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은 고정수단으로 렌지몸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렌지를 제공함에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화렌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화렌지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화렌지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중화렌지의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화렌지의 냉각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백패널 2:단열부재
3:고정수단 4:렌지몸체
11:프레임 13,13':걸림턱
14:볼트 15:위치결정돌기
16:너트 41:가스공급밸브
42:버너 43:받침가이드
44:냉각수 공급밸브 45:냉각수 공급파이프
46:냉각부재 47:냉각수 토출파이프
48:상판 48a:관통공
48b:위치결정홈 49:배수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중화렌지(A)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패널(1), 렌지몸체(4), 버너(42) 및 과열방지부재(4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렌지몸체(4)는 조리기구를 용이하게 가열하는데 필요한 높이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높낮이 조절받침(4a)이 하단에 구비된 받침다리(4b)(4b')를 통해 그 상부에 박스형태로 가리워지도록 형성된 부분이 수평이 유지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박스형태의 앞부분에는 수평형태를 갖는 가스공급관(4c)이 고정부재(4d)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스공급관(4c)에는 다수개의 가스공급밸브(41)(41')를 통해 그 내부에 구비된 버너(42)로 가스가 공급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그 중 하나의 가스공급밸브(41')에는 점화를 위한 점화건(4e)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박스형태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받침다리(4a)(4a')에는 조리과정에서 필요한 조리기구나 기타 필요한 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받침판(4f)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수개의 받침다리(4)(4a')에 의해 지지된 박스형태의 상부에는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기름이나 음식재료의 일부가 그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버너(42)로 부터 발생된 고온의 열이 바깥쪽 즉,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상판(4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판(48)은 가장자리가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바깥쪽으로 이물질(예를 들어, 음식재료의 부수러기 등)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냉각부재(46)의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버너(42)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48)의 후방인 뒷쪽에는 소정의 깊이와 기울기는 갖는 배수로(4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수로(49)의 일측단에는 걸림망(49a)이 형성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음식물 찌거기가 미도시한 배수구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너(42)는 가스공급관(4c)에 연결된 가스공급밸브(41)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음식 재료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을 얻도록 박스형태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버너(42)의 상부에는 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가 바깥쪽으로 그대로 전도되어 렌지몸체(4)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냉각부재(4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각부재(46)는 상하부가 링형태를 갖는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됨과 동시에 외부로 토출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부재(46)의 하부에는 냉각수 공급밸브(44)에 연결된 냉각수 공급파이프(45)가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는 버너(42)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상측 전방에 형성된 냉각수 배출파이프(47)를 통해 상판(48)의 전면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 배출파이프(47)로 토출된 냉각수는 상판(48)의 폭과 같은 냉각수 분배파이프(47a)로 공급된 후 미도시한 노즐을 통해 분사됨에 따라 상판(48)의 윗면을 냉각시키면서 뒷쪽에 형성된 배수로(49)를 통해 배수구로 버려지는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은 프레임(11)과 단열부재(2)로 형성된 백패널(1)이 렌지몸체(4)의 상판(38)에 고정수단(3)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1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재로 형성된 것으로 그 폭은 렌지몸체(4)의 폭과 동일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그 전면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단열부재(2)가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프레임(11)은 패널부재(12)의 상하, 좌우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개방된 홈의 형태를 갖는 걸림턱(13)(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패널부재(12)는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부재(2)는 버너(42)로 부터 가스가 연소 되면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받침 가이드(43)의 상부를 통해 조리기구를 가열한 후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연소열의 일부가 벽면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요리사쪽으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열부재(2)는 섬유계 단열재 또는 발포계 단열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섬유계 단열재는 유리섬유보온판, 암면보온판, 유리섬유 및 셀룰로즈섬유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2)는 섬유계 단열재 이외에 발포계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발포계 단열재를 사용할 경우, 폴리스틸렌 폼, 압출발포 폴리스틸렌, 경질 우레탄폼, 고발포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부재(12)와 단열부재(2)의 결합 또는 고정은 단열부재(2)의 가장자리가 패널부재(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13)(13')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3)은 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14)가 상판(48)의 뒷쪽에 형성된 관통공(48a)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관통공(48a)의 하부로 노출된볼트(14)에 너트(16)를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48a)이 형성된 상판(48)의 일측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위치결정홈(48b)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결정홈(48b)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15)를 프레임(11)에 형성된 볼트(14)의 일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g는 오물받이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화렌지(A)는 먼저, 식당의 내부에 렌지몸체(4)를 옮겨 놓고 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14)와 위치결정돌기(15)를 상판(48)에 형성된 관통공(48a)과 위치결정홈(48b)에 정확히 끼워지도록 안착시킨 후 상판(48)의 밑으로 노출된 볼트(14)에 너트(16)를 조이는 것으로 백패널(1)이 고정된다.
다음, 렌지몸체(4)의 후방 상측으로 고정된 백패널(1)을 식당의 벽쪽에 밀착되도록 설치한 후 받침다리(4b)의 하부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받침(4a)을 이용하여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중화렌지의 설치작업이 마무리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설치된 중화렌지를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 경우에는 먼저, 받침 가이드(43)의 상부에 미도시한 조리기구에 음식재료를 넣은 후 가스공급밸브(41)를 열고, 점화건(4e)을 이용하여 버너(42)에 점화를 하게 됨과 동시에 버너(42)로 공급되는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불꽃이 받침 가이드(43)의 상부에 올려진 조리기구의 밑면에 직접 닿음으로써, 고온의 열에 의해 음식재료가 신속하게 익게 된다.
연소불꽃이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버너(42)와 받침 가이드(43) 사이에 구비된 냉각부재(46)에 의해 연소열의 일부가 렌지몸체(4)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과열이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냉각수 공급밸브(44)와 냉각수 공급 파이프(45)를 통해 냉각수가 냉각부재(46)의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연소불꽃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 흡수되고, 동시에 이를 흡수한 냉각수는 그 내부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압력에 의해 냉각부재(46)의 상부에 형성된 냉각수 배출파이프(47)를 경유한 후 냉각수 분배 파이프(47a)를 통해 상판(48)의 앞쪽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판(48)의 앞쪽으로 배출된 냉각수는 상판(48)의 윗면을 흐르는 과정에서 상판(48)으로 전도된 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킴과 동시에 그 윗면에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떨어진 음식재료 부스러기를 같이 이동시킴에 따라 항상 깨끗한 상판(48)이 되도록 하여 청결한 환경에서 음식을 만들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버너(42)로 부터 발생된 연소열의 일부가 벽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재(2)를 뒷면이 막힌 형태의 패널부재(12)에 의해 전체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면서 그 가장자리의 걸림턱(13)(13')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단열부재(2)의 강도가 큰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단열부재 (2)의 가장자리를 따라 홈의 형태를 갖는 걸림턱(13)이 이를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열부재(2)의 뒷면이 직접 벽면에 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식당의 벽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백패널을 중화렌지의 상부를 구성하는상판의 후방에 볼트와 위치결정돌기에 의해 고정이 되도록 함으로서 그 제작공정을 줄여 많은 량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이를 용이하게 운반하여 설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가스밸브(41)를 통해 버너(42)로 공급된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연소열에 의해 받침가이드(43)에 올려진 조리기구가 가열되고, 동시에 냉각수 공급밸브(44) 및 냉각수 공급파이프(45)를 통해 받침가이드(43)의 하부에 구비된 냉각부재(46)로 냉각수가 공급되고, 냉각부재(46)로 공급된 냉각수가 냉각수 토출파이프(47)를 통해 상판(48)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렌지몸체(4)를 구성하고, 렌지몸체(4)의 상부 뒷쪽에 백패널(1)을 설치하되, 상기 백패널(1)은 프레임 (11)에 단열부재(2)를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11)은 고정수단(3)으로 렌지몸체(4)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은 패널부재(12)의 가장자리에 홈의 형태를 갖는 걸림턱(13)을 일체로 형성되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렌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은 렌지몸체(4)의 상부 뒷쪽에 관통공(48a)을 형성하여 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14)가 삽입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렌지몸체(4)의 관통공(48a) 일측에 위치결정홈(48b)을 형성하여 볼트(14)의 일측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15)가 삽입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볼트(14)에 체결되는 너트(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화렌지.
KR20-2003-0033204U 2003-10-23 2003-10-23 중화렌지 KR200339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204U KR200339263Y1 (ko) 2003-10-23 2003-10-23 중화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204U KR200339263Y1 (ko) 2003-10-23 2003-10-23 중화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263Y1 true KR200339263Y1 (ko) 2004-01-24

Family

ID=4934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204U KR200339263Y1 (ko) 2003-10-23 2003-10-23 중화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2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281B1 (ko) 2009-06-18 2011-08-22 정광훈 중화 렌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281B1 (ko) 2009-06-18 2011-08-22 정광훈 중화 렌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4666A (en) Heating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US5755154A (en) Gas barbecue assembly
US7853129B2 (en) Infrared emitting apparatus
JP5313306B2 (ja) ガスコンロ用グリル装置
KR101628621B1 (ko)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KR101315045B1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102234389B1 (ko) 덮개부를 포함하는 구이장치
KR200339263Y1 (ko) 중화렌지
US6761160B1 (en) Hollow walled solid fuel grill
AU2011101307C4 (en) A burner assembly
US20170067633A1 (en) Radiant Panel Burner
KR200422827Y1 (ko) 수냉식 석쇠가 구비된 로스터
KR200384374Y1 (ko) 열풍가열식 고기구이구
KR200272473Y1 (ko) 원통구이기
KR100364640B1 (ko) 가스겸용 회전식 꼬치구이기
KR20190070030A (ko) 유수 분리식 가스 튀김 장치
JP4678693B2 (ja) グリル
KR101635004B1 (ko) 캠핑용 구이장치
JPS589122Y2 (ja) グリル付テ−ブルコンロ
KR20230172876A (ko) 구이기구
JP2000217718A (ja) 両面焼グリル
KR100620500B1 (ko) 대나무 석쇠 조립체
KR20090001299A (ko) 아궁이식 구이 테이블
KR200270930Y1 (ko) 바베큐 장치
KR20050080084A (ko) 확산화염 가스버너와 다공성매질복사체에 의한 고기구이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