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983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983B1
KR101447983B1 KR1020100098130A KR20100098130A KR101447983B1 KR 101447983 B1 KR101447983 B1 KR 101447983B1 KR 1020100098130 A KR1020100098130 A KR 1020100098130A KR 20100098130 A KR20100098130 A KR 20100098130A KR 101447983 B1 KR101447983 B1 KR 101447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image forming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695A (ko
Inventor
다케히로 고즈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9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paper trans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수용성을 개선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화상 형성 수단의 상방에 기록 매체 배출용의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 매체 배출 방향의 하류측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또는 당해 지지 부재의 표면을 덮는 피복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의 하류측의 선단을 아래를 향해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 매체 배출용의 공간에 배출되는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매체 배출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만곡된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선단은, 상기 기록 매체 배출용의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하단면으로 구성되는 공간을 통과하고, 당해 선단은,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아래를 향해 안내되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매체 배출용의 공간에 배출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23437호 공보나, 일본국 특허 제3625631호 공보, 혹은 일본국 특허 제4174390호 공보 등에 개시된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특개2002-23437호 공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유닛과 제 2 유닛을, 그들 유닛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강성 암으로 연결하고, 그 강성 암을 외장 커버로 덮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닛 간격을 넓게 했을 때, 상기 외장 커버와 다른 외장 커버의 극간을 없애는 보조 외장 커버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허 제3625631호 공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배지부(俳紙部)는, 장치 내의 노광 광학부와 그 하측에 배설(配設)된 플로터(plotter)부 사이에 용지를 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배지부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부의 상부의 용지가 배출되는 부분의 용지 배출 방향 하류측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노광 광학부의 용지 배출 방향 하류측 단부의 면을 외장 커버로 덮고, 상기 노광 광학부의 저부(底部)의 상기 플로터부에 대향하는 대향면에서 상기 외장 커버의 용지 배출 방향 상류측 근방에, 상기 대향면을 따라 배출된 용지를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뜨게 하도록 가이드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돌기의 하방측 선단부의 위치를 상기 외장 커버의 하단 가장자리의 위치보다 하측으로 돌출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허 제4174390호 공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원고 화상을 판독하고 피전사체에 화상을 형성하여 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원고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원고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나 다른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피전사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부에 배치된 상기 원고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 사이에 형성되고 장치 본체의 전면과 측면의 일부를 개방한 공간 개방부와, 상기 공간 개방부에 화상이 형성된 피전사체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상기 배출 수단의 피전사체를 배출하는 영역 외에 상기 공간 개방부를 형성하는 원고 화상 판독 수단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배출되는 피전사체를 적재하는 적재 부재를 지지하는 공간 개방부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고 화상 판독 수단 지지 부재는, 상기 공간 개방부에 배출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피전사체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형상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2002-23437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625631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174390호 공보
그런데, 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용 공간에 기록 매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수용성(受容性)을 개선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용 공간에 기록 매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높이를 억제하면서, 기록 매체의 수용성을 개선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해 송출력을 부가해서 상기 기록 매체를 기록 매체 배출 공간으로 송출하는 송출 수단과, 상기 송출력이 부여되는 상기 기록 매체의 영역에서, 상기 송출 수단에 의해 송출된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이 낙하하는 것을 막도록, 상기 선단이 수평 방향에 대해 만곡된 형상으로 상기 기록 매체를 휘게 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방에 기록 매체 배출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 배출 공간 내의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하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송출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송출력이 부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에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이 접촉했을 때에,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의 낙하를 촉진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의 반대측인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측인 하류측을 향해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이 접촉하는 적어도 일부의 면은,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이 상기 돌출부의 일부의 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휨에 의한 변형으로부터, 휨을 제거한 평면의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이 접촉하는 적어도 일부의 면이 오목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의 일부가, 그 측면측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 배출 공간에 배출된 기록 매체의 취출(取出)이 가능해지도록 열려 있고, 화상 판독 수단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중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의 반대측인 앞쪽에 있는 부분보다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측인 안쪽에 있는 부분 쪽이 높게 되는 형상으로 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안내부는,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상기 돌출부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측인 하류측 선단이 상기 기록 매체 배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만곡했을 경우에도,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 모서리부의 진입 각도가 예각으로 되게 형성된 제 1 안내면과, 상기 제 1 안내면을 통과한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 모서리부를 아래를 향해 안내하도록,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을 따라 아래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안내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안내면을 통과한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면에 설치된 기록 매체 배출부에 낙하시키도록, 상기 기록 매체 배출 방향을 따라 위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제 3 안내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방에 기록 매체 배출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 매체 송출 방향측인 하류측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을 덮는 피복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측인 하류측의 선단을 아래를 향해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 매체 배출 공간으로 송출되는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매체 송출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이 수평 방향에 대해 만곡된 상태로 송출되고, 상기 선단은, 상기 기록 매체 배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하단면으로 구성되는 공간을 통과하고, 상기 선단은,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아래를 향해 안내되고,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매체 배출 공간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용 공간에 기록 매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수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기록 매체의 수용성을 가일층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기록 매체의 수용성을 가일층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기록 매체의 수용성을 가일층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일 단부(端部)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수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용 공간에 기록 매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높이를 억제하면서, 기록 매체의 수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 판독 수단이 소형이며, 기록 매체 배출 방향의 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곤란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수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5는 지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지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지지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지지 프레임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프레임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 구성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판독 수단으로서의 화상 판독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퍼스널컴퓨터(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보내오는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복사하거나, 퍼스널컴퓨터나 서버나 휴대 단말 등에 화상을 보내거나, 전화 회선을 통해 화상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팩시밀리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1은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이 컬러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 형성 수단으로서의 화상 형성부가 내장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는 복수의 감광체 드럼이나 중간 전사 벨트(도시 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감광체 드럼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흑 등의 각 색의 토너 상을 중간 전사 벨트 상에 1차 전사한 후, 기록 매체로서의 기록 용지 상에 2차 전사하고, 또한 기록 용지 상에 전사된 옐로우, 마젠타, 시안, 흑 등의 각 색의 토너 상을 정착함으로써, 풀(full)컬러나 단색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부는, 기록 매체로서의 기록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감광체 드럼을 1개만 구비한 풀컬러의 화상을 형성 가능한 것이나, 감광체 드럼을 1개만 구비한 단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 혹은 화상 형성 방식도 전자 사진 방식에 한하지 않고, 잉크젯 방식 등을 채용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상방에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으로서의 화상 판독 장치(3)가, 기록 매체로서의 기록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용 공간(4)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화상 판독 장치(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를 가압하는 원고 누름 부재로서의 기능을 겸비한 원고 자동 반송 장치(5)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원고 자동 반송 장치(5)의 원고 수용대(6)에 수용된 원고(도시 생략)를 1매씩 화상 판독 장치(3)의 플래튼 글래스(platen glass)(도시 생략) 상에 반송하여,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판독 장치(3)의 전면(前面)측에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7) 및 표시 패널(8)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컬러 화상 형성 장치(1)로서는, 원고 자동 반송 장치(5)를 대신하여 일반적인 플래튼 커버로 이루어지는 원고 누름 부재를 구비한 것이어도 물론 된다.
또한, 상기 화상 판독 장치(3)는,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 최대로 A4사이즈(210×297㎜)의 원고의 화상을 판독 가능하게 구성되지만, 실제로는 A4사이즈의 기록 용지보다 한층 사이즈가 큰 리걸 사이즈(legal size)(8.5×14인치= 약 216× 약 356㎜)의 원고도 판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화상 판독 장치(3)는, 플래튼 글래스 상에 원고를 놓고, 당해 플래튼 글래스 상에 놓인 원고의 화상을 광원에 의해 조명하면서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판독 장치(3)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5)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광원에 의해 조명하면서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래튼 글래스는, 판독 가능한 최대 사이즈의 원고보다 어느 정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플래튼 글래스의 하방에는, 원고를 조명하는 광원이나, 원고로부터의 반사광 상(像)을 화상 판독 소자에 안내하는 미러 및 결상 렌즈, 혹은 광원이나 미러 등을 구동하는 구동계 등이 배치되어 있고, 화상 판독 장치(3)는 판독 가능한 최대 사이즈의 원고보다 한층 큰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하부에는, 원하는 사이즈 및 재질의 기록 매체로서의 기록 용지를 1매씩 분리한 상태로 급지(給紙)하는 급지 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록 용지로서는, A4사이즈의 기록 용지보다 한층 사이즈가 큰 리걸 사이즈의 기록 용지도 급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급지 장치(9)는 급지 카세트(도시 생략)에 원하는 사이즈 및 재질의 기록 용지를 수용한 상태에서, 당해 급지 카세트로부터 기록 용지를 1매씩 분리한 상태로, 도 2 중,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급지한 후, 기록 용지를 연직 방향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반송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감광체 드럼이나 중간 전사 벨트 등에 의해, 기록 용지 상에 풀컬러 또는 단색 등의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풀컬러 또는 단색 등의 화상이 형성된 기록 용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우측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배지부(10)의 중간에 위치하는 배출 수단으로서의 배출 롤(11)로부터, 배출용 공간(4)을 거쳐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상면에 설치된 배지 트레이(12) 상에 화상면을 아래로 한 상태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컬러 화상 형성 장치(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용지의 급지 방향(도 2의 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2의 도면에 수직인 방향)의 한쪽(앞쪽)을 전면(前面)측, 다른쪽(안쪽)을 배면측으로 하고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컬러 화상 형성 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7) 및 표시 패널(8)은, 화상 판독 장치(3)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지 장치(9)의 급지 카세트(도시 생략)로의 기록 용지의 보급이나, 급지 카세트의 교환 등도, 급지 카세트를 컬러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면측으로 인출함으로써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 화상 형성 장치(1)는, 어떤 면을 전면측으로 하고 배면측으로 할지에 의해, 당해 컬러 화상 형성 장치(1)를 오피스의 데스크 위 등에 설치해서 사용할 때의 조작성이 결정된다. 이 컬러 화상 형성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용지의 급지 방향(도 2의 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2의 도면에 수직인 방향)의 한쪽(앞쪽)을 전면측, 다른쪽(안쪽)을 배면측으로 함으로써, 급지 장치(9)의 급지 카세트에의 기록 용지의 보급이나 배출 트레이(12)로부터의 취출(取出), 혹은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등의 작업을, 컬러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면측에서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장치의 소형화 및 공간 절약화를 달성하고 있다.
이 배출 트레이(1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용지의 배출 방향에 따른 상류측의 단부(12a)가 가장 낮게 형성되어 있고,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을 따라 위를 향하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만곡부(12b)를 거치고,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 단부가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부(12c)로 되어 있다.
상기 배지 트레이(12) 상에 배출되는 기록 용지(13)는, 그 배출 방향의 하류측 단부가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14)에 접촉하거나, 또는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14)에 가까운 위치를 통과해서 배지 트레이(12) 상에 배출되고, 당해 배지 트레이(12) 상에 낙하했을 때에 자중(自重)에 의해 만곡부(12b)를 따라 이동하고, 기록 용지(13)의 배출 방향의 상류측 단부가 배지부(10)가 기립한 측면(15)에 맞닿음으로써 정렬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금 등에 의해 상면이나 정면의 일부 등이 개구된 직방체형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프레임(16)을 구비하고 있고, 당해 본체 프레임(16)의 도 3 중 우측의 상단부에는, 화상 판독 장치(3)의 우측의 단부를 탑재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17)이, 당해 본체 프레임(16)의 배면측과 전면측 사이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때, 상기 화상 판독 장치(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 단부인 우측 단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일 단부인 우측 단부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6)의 좌측의 단부 가까이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판독 장치(3)의 좌측의 단부를 탑재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지지 프레임(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18)은, 그 기단부가 본체 프레임(16)의 배면측에 고정되고, 또한 그 선단부가 배면측으로부터 전면측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6)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8)이 설치된 측의 배면에, 당해 지지 프레임(18)에 화상 판독 장치(3)의 중량이 작용했을 때에, 당해 본체 프레임(16)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보강 프레임(19)이 비스듬히 건너질러 설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18)이, 예를 들면 1매의 판금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곡(折曲)시킴으로써,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18)은 크게 구별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본체 프레임(16)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20)와, 화상 판독 장치(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 이 실시형태에서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1)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와 화상 판독 장치(3)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용 공간(4)의 높이를 낮게 설정하고, 또한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과 지지 프레임(18)의 하단부의 공간을 기록 용지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8)의 부착부(2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지지 프레임(18)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기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8)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折曲)된 상태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부착판부(22, 23)와, 이 제 1 부착판부(22)보다 높은 위치에서, 당해 제 1 부착판부(22)보다 짧게 돌출되도록 절곡된 제 3 부착판부(2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8)의 길이 방향의 일 단면(기단면)에 설치된 제 4 및 제 5 부착판부(25, 2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8)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5 부착판부(22~26)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본체 프레임(16)에 나사 고정(도시 생략)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8)의 선단면에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커버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2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8)의 지지부(21)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지지 프레임(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면 형상이 가늘고 긴 장방형(長方形)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21)의 상단면(30)은, 가늘고 긴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당해 상단면(30)에는,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평면 형상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보강용 돌기부(31)와, 이 보강용 돌기부(31)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평면 형상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용 돌기부(32, 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8)의 지지부(21)는, 그 상단면(3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 단부(33, 34)가 하방을 향해 상이한 길이로 각각 절곡되어 있는 동시에, 당해 절곡부(33, 34)의 하단 가장자리(35, 3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8)의 선단으로부터 부착부(20)에 걸쳐 L자형 형상으로 내측으로 대향하도록 더 절곡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지지 프레임(18)의 지지부(21)는, 그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 단부(33, 34)의 단면 형상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段差)를 갖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지지부(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강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8)의 지지부(21)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절곡부(33, 34)의 길이(L1, L2)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33, 34) 중,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절곡부(33)는, 상대적으로 길이(L1)가 짧고, 또한 지지 프레임(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해,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절곡부(34)는, 상대적으로 길이(L2)가 길고, 또한 지지 프레임(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곡부(34)의 길이(L2)가 서서히 길어지게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지지 프레임(18)의 지지부(21)는, 그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8)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가 배출 트레이(12) 상에 배출되는 기록 용지(13)의 배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도달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8)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부재로서의 커버 부재(40)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40)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부재(40)는, 지지 프레임(18)의 표면을 덮은 상태로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14)에 장착된다. 이 커버 부재(4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의 일 단부(40a)(안쪽 단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그 길이 방향의 타단부(40b)(전면측 단부)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타단부(40b)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클로(claw) 부재(41)를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14)에 설치된 오목부(도시 생략)에 끼워 넣음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40)의 타단부(40b)는, 지지 프레임(18)의 선단면에 설치된 고정편(27)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안내부의 돌출부의 내부에 지지 프레임(18)을 수용시킴으로써, 화상 판독 장치(3)를 설치하는 높이는, 지지 프레임을 돌출부의 상부에 설치할 때보다 낮아진다.
상기 커버 부재(40)는, 도 1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용지(13)의 배출 방향에 따른 단면 형상이,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40)의 하면 형상은, 그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상류측 단부인 제 1 영역(42)이,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평면)(14)에 대하여 작은 경사 각도를 이루고 위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영역(42)은,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14)에 대하여 작은 경사 각도를 이루게 형성된 평면(사면(斜面))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40)의 하면 형상은, 도 1 및 도 10,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영역(42)의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43)이, 제 1 영역(42)을 통과한 기록 용지(13)의 선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변위시키는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을 따라 아래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영역(4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큰 곡률 반경(R)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40)의 하면 형상은, 상술한 제 2 영역(43)의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3 영역(44)이, 제 2 영역(43)을 통과한 기록 용지의 선단부가 맞닿으면서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을 따라 위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영역(4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영역(44)에 이어지는 커버 부재의 하단면(45)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40)의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측면(46)은, 기록 용지의 배출성 등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좌측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성을 고려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으로부터 하방 내측으로 약간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40)는,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록 용지 배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걸쳐, 그 단면 형상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전면측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차 높이가 낮아져, 그 전면측의 단부가 낮은 평탄부(47)로 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용 공간에 기록 매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높이를 억제하면서, 기록 매체의 수용성을 개선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상부에 기록 용지(13)를 배출하는 배출용 공간(4)을 사이에 두고 화상 판독 장치(3)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컬러 화상 형성 장치(1)는, 기록 용지(13)의 배출성을 고려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와 화상 판독 장치(3)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용 공간(4)을 크게 하는, 즉 배출용 공간(4)의 높이를 높게 설정했을 경우에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1) 전체의 높이가 높아져, 장치가 대형화하는 동시에, 컬러 화상 형성 장치(1)를 오피스의 데스크 위에 둔 상태로 사용할 경우 등, 화상 판독 장치(3)의 위치가 높아져, 조작성이 저하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컬러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와 화상 판독 장치(3)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용 공간(4)의 높이를 가능한 한 낮게 설정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화상 판독 장치(3)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8)을, 화상 판독 장치(3)의 내부가 아니라, 당해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14)에 있어서의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 단부인 외부에 설치하여, 화상 판독 장치(3)를 박형화하고 있다.
이러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1)의 배출부(10)로부터 배출된 기록 용지(13)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용지 배출용 공간(4)에 있어서,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과 지지 프레임(18)의 하단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4a)을 통과해서 배출 트레이(12) 상에 배출되고, A4사이즈나 A4사이즈보다 큰 리걸 사이즈 등의 배출 방향에 따른 길이가 긴 기록 용지(13)는,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14)을 따라 이동한 후에, 지지 프레임(18)을 덮는 커버 부재(40)와 접촉한다.
그러나, 상기 컬러 화상 형성 장치(1)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와 화상 판독 장치(3)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용 공간(4)의 높이를 낮게 설정하고,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과 지지 프레임(18)의 하단부의 공간(4a)을 기록 용지(13)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구성했을 경우, 당해 배출용 공간(4)에는, 도 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판독 장치(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18) 및 당해 지지 프레임(18)을 피복하는 커버 부재(40)가 배치되기 때문에, 기록 용지 배출용 공간(4)에 배출되는 기록 용지(13)가, 지지 프레임(18)을 덮는 커버 부재(40)에 충돌하여, 기록 용지(13)의 선단부가 절곡되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의 내부에 있는 화상 기록부에 의해 화상을 기록 매체 위에 기록한 후, 기록된 용지는, 배지부(10)의 기록 매체 배출용의 공간(4)과 대향하는 측면의 상방에 설치된 기록 매체 배출구를 통해 공간(4)에 배출되지만, 그 때 기록 매체를 송출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를 배출 롤(11)과 접촉시킨 상태로 롤을 회전시키는 등 해서 송출력을 부가하여, 기록 매체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접촉 개소가 바뀌어 가면서 기록 매체가 송출된다. 이 때, 접촉 개소에서는, 기록 매체의 선단이 송출 수단에 의해 보내진 후에, 자중(自重)에 의해 자연 낙하하게 되지 않도록, 기록 매체를 만곡 변형시킨다. 이 만곡은, 예를 들면 하나의 축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롤을 설치해서 배출 롤(11)의 한쪽을 구성하고, 이에 대향하는 롤의 배치나 직경을 변화시키는 등 해서, 대향하는 배출 롤(11)의 사이를 통과한 용지가, 용지의 두께 방향을 볼 때 상하로 휘어짐(예를 들면 U자 형상이나 파형)으로써 얻어진다. 혹은 송출된 직후나 부근에서, 만곡되게 변형시키는 부재를 용지에 작용시킴으로써도 얻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록 용지(13)는 평면 형상으로 배출될 경우와 비교해서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기록 용지(13)의 선단의 자유 낙하를 막을 수 있고, 용지의 송출 도중에 기록 용지(13)의 선단이 처지지 않아, 배출 트레이(12)의 상면에 있어서의 기록 용지를 멀리까지 보낼 수 있다.
그러나, 이 기록 용지(13)의 선단부의 절곡 등의 손상은, 특히 기록 용지(13)가 위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컬(curl)되어 있을 경우, 당해 기록 용지(13)가 평면 형상으로 배출될 경우와 비교해서 강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기록 용지(13)의 선단부의 모서리 부분이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록 용지(13)의 선단이 지지 프레임(18)을 덮는 커버 부재(40)와 충돌함으로써, 기록 용지 선단부의 절곡 등이 가일층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기록 용지(13)가 하방을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컬되어 있을 경우도, 당해 기록 용지(13)가 평면 형상으로 배출될 경우와 비교해서 강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기록 용지(13)의 선단부의 중앙의 부분이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록 용지(13)의 선단이 지지 프레임(18)을 덮는 커버 부재(40)에 맞닿아, 기록 용지 선단부의 절곡 등이 가일층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용지(13)를 배출하기 위한 공간(4)의 높이를 낮게 설정하여, 컬러 화상 형성 장치(1)의 소형화 등을 도모했을 경우에도, 다음과 같이 하여 기록 용지(13)의 절곡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고, 기록 용지(13)의 수용성을 개선하고 있다.
우선 기록 용지(13)를 위를 향하는 또는 아래를 향하는 용지의 선단이 자유 낙하하지 않는 바와 같은 오목 형상으로 휘게 하여, 용지의 허리를 강하게 해서, 기록 용지(13)의 선단이 배출 트레이(12)의 상면에 착지하는 거리를 연장시키고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기록 용지(13)를 오목 형상으로 휘게 하여 용지의 허리를 강하게 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용지의 허리가 강해지는 것이면, 기록 용지(13)의 선단을 당해 선단측에서 봤을 때의 형상을 물결 형상(만곡의 1 태양)으로 해도 된다.
휜 기록 용지(13)는, 그 선단이 안내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40))의 돌출부에 충돌할 때까지 송출 수단에 용지의 허리를 유지한 채(선단이 아래로 드리워지지 않는 상태로) 송출되고, 그 선단이 커버 부재(40)의 돌출부에 충돌했을 때에, 용지 선단부의 휨을 용지의 송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풀어줌(선단을 맞닿고 있는 면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휨에 의한 변형으로부터, 휨을 제거한 평면의 상태에 가까워짐)으로써, 기록 용지의 선단의 장력을 저감시키고, 용지의 허리에 의해 생겨 있었던 결함의 부분(절곡이나, 배출 완료 용지의 밀어냄 등)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지의 선단과 접하는 면을 오목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기록 용지의 휜 선단 부분이 맞닿아, 선단을 가이드해서 휨을 해소시키는 작용이, 볼록면 형상으로 할 때보다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점을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버 부재(40)의 하면 형상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상류측 단부에 제 1 영역(42)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 1 영역(42)은,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14)에 대하여 작은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14)을 따라 이동한 기록 용지(13)의 선단부, 혹은 선단부의 양 모서리부는, 커버 부재(40)의 제 1 영역(42)에 의해 떠 올라,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14)으로부터 이간된다.
그 후, 상기 기록 용지(13)는,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 혹은 선단부의 양 모서리부가, 커버 부재(40)의 제 1 영역(42)을 통과한 후, 당해 제 1 영역(42)의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 2 영역(43)으로 이동한다. 이 커버 부재(40)의 제 2 영역(43)은,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을 따라 위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되게 형성된 만곡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록 용지(13)의 선단부의 양 모서리부에는, 커버 부재(40)의 제 2 영역(43)을 따라 아래를 향하는 힘이 작용하는 동시에, 컬된 기록 용지(13)의 양 모서리부가 아래를 향해 변위하는 결과, 기록 용지(13)의 양 모서리부에는, 기록 용지 배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바깥 방향으로 넓어지는 힘도 작용한다.
그 결과, 컬된 기록 용지(13)의 양 모서리부는, 컬이 교정된 상태로 아래를 향해 이동하여, 커버 부재(40)의 제 2 영역(43)을 통과하는 동안 평면에 가까운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기록 용지(13)는, 그 선단부가 커버 부재(40)의 제 2 영역(43)을 통과한 후, 당해 제 2 영역(43)의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 3 영역(44)으로 이동한다. 이 커버 부재(40)의 제 3 영역(44)은,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을 따라 아래를 향해 오목 형상으로 되게 형성된 만곡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록 용지(13)의 선단부에 작용하는 아래를 향하는 힘은, 서서히 개방되어, 기록 용지(13)의 선단부는,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을 따라 평면 형상으로 펴진 상태로, 게다가 제 3 영역(44)을 통과하는 동안에, 평면 형상으로 펴지는 힘과 제 3 영역(44) 표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를 걸어 감속된 상태로, 기록 용지 배출 방향의 하류측을 향한 속도 성분이 거의 제로로 되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트레이(12)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낙하한다.
한편, 기록 용지(13)가 아래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컬되어 있을 경우도 대략 동일하며, 선단부, 혹은 선단부의 중앙부가, 커버 부재(40)의 제 1 영역(42)에 의해 떠 올라, 화상 판독 장치(3)의 하면(14)으로부터 이간된다.
그 때문에, 상기 컬러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기록 용지(13)에 컬이 발생해 있었을 경우에도, 기록 용지(13)의 선단부의 모서리부가 커버 부재(40)에 맞부딪쳐 절곡 등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아, 배출 트레이(12) 상에 정연하게 배출할 수 있어, 기록 용지(13)의 수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프레임(18)을 커버 부재(40)로 덮도록 구성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커버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지지 프레임(18)의 표면 형상을 상술한 커버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1 : 컬러 화상 형성 장치 2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3 : 화상 판독 장치 4 : 기록 매체 배출용의 공간
13 : 기록 매체 18 : 지지 프레임
40 : 커버 부재 42 : 제 1 영역
43 : 제 2 영역

Claims (9)

  1.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해 송출력을 부가해서 상기 기록 매체를 기록 매체 배출 공간으로 송출하는 송출 수단과,
    상기 송출력이 부여되는 상기 기록 매체의 영역에서, 상기 송출 수단에 의해 송출된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이 낙하하는 것을 막도록, 상기 선단이 수평 방향에 대해 만곡된 형상으로 상기 기록 매체를 휘게 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방에 기록 매체 배출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 배출 공간 내의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하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송출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송출력이 부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에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이 접촉했을 때에,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의 낙하를 촉진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의 반대측인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측인 하류측을 향해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이 접촉하는 적어도 일부의 면은,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이 상기 돌출부의 일부의 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휨에 의한 변형으로부터, 휨을 제거한 평면의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이 접촉하는 적어도 일부의 면이 오목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의 일부가, 그 측면측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 배출 공간에 배출된 기록 매체의 취출(取出)이 가능해지도록 열려 있고,
    화상 판독 수단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중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과 직교하는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의 반대측인 앞쪽에 있는 부분보다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측인 안쪽에 있는 부분 쪽이 높게 되는 형상으로 된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상기 돌출부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측인 하류측 선단이 상기 기록 매체 배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만곡했을 경우에도,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 모서리부의 진입 각도가 예각으로 되게 형성된 제 1 안내면과,
    상기 제 1 안내면을 통과한 상기 기록 매체의 선단 모서리부를 아래를 향해 안내하도록,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을 따라 아래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안내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안내면을 통과한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면에 설치된 기록 매체 배출부에 낙하시키도록, 상기 기록 매체 배출 방향을 따라 위를 향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제 3 안내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방에 기록 매체 배출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 매체 송출 방향측인 하류측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을 덮는 피복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록 매체의 송출 방향측인 하류측의 선단을 아래를 향해 안내하는 안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 매체 배출 공간으로 송출되는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매체 송출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이 수평 방향에 대해 만곡된 상태로 송출되고,
    상기 선단은, 상기 기록 매체 배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하단면으로 구성되는 공간을 통과하고,
    상기 선단은,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아래를 향해 안내되고,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매체 배출 공간으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98130A 2010-03-19 2010-10-08 화상 형성 장치 KR101447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4219 2010-03-19
JP2010064219A JP5447055B2 (ja) 2010-03-19 2010-03-19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695A KR20110105695A (ko) 2011-09-27
KR101447983B1 true KR101447983B1 (ko) 2014-10-13

Family

ID=4460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130A KR101447983B1 (ko) 2010-03-19 2010-10-08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67115B2 (ko)
JP (1) JP5447055B2 (ko)
KR (1) KR101447983B1 (ko)
CN (1) CN102193378B (ko)
AU (1) AU2010224467B2 (ko)
TW (1) TWI4085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7548B2 (ja) * 2012-03-22 2015-09-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4302484B (zh) * 2012-06-26 2016-09-0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介质引导件
JP6076388B2 (ja) * 2015-01-27 2017-02-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506A (ja) 2001-07-31 2003-02-13 Ricoh Co Ltd シート排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416178B2 (en) 2004-06-17 2008-08-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KR20090105044A (ko) * 2008-04-01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5171A (ja) * 1984-04-20 1985-11-0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複写機の記録紙搬送装置
JPH0891671A (ja) * 1994-09-29 1996-04-09 Canon Inc 記録装置
JPH08197723A (ja) * 1995-01-27 1996-08-06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3625631B2 (ja) 1997-11-28 2005-03-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排紙部
US6503011B2 (en) * 1998-09-30 2003-01-07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JP3701527B2 (ja) * 1999-11-04 2005-09-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023437A (ja) 2000-07-13 2002-01-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797211B2 (ja) * 2001-01-17 2006-07-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174390B2 (ja) 2003-08-15 2008-10-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5196124A (ja) * 2003-12-12 2005-07-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003649A (ja) 2004-06-17 2006-01-0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240050A (ja) * 2005-03-03 2006-09-14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及び、記録媒体排出構造
JP4097659B2 (ja) * 2005-03-31 2008-06-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給紙構造
US7578504B2 (en) * 2006-09-15 2009-08-25 Lite-On Technology Corp. Duplex automatic document feeder
JP5104170B2 (ja) * 2007-09-28 2012-12-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4897656B2 (ja) * 2007-12-10 2012-03-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506A (ja) 2001-07-31 2003-02-13 Ricoh Co Ltd シート排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416178B2 (en) 2004-06-17 2008-08-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KR20090105044A (ko) * 2008-04-01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93378B (zh) 2015-02-25
AU2010224467B2 (en) 2012-05-24
CN102193378A (zh) 2011-09-21
TWI408520B (zh) 2013-09-11
KR20110105695A (ko) 2011-09-27
JP2011197412A (ja) 2011-10-06
AU2010224467A1 (en) 2011-10-06
TW201133162A (en) 2011-10-01
JP5447055B2 (ja) 2014-03-19
US8467115B2 (en) 2013-06-18
US20110228360A1 (en)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4181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418308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50141947A1 (en) Image forming device
JP2016088645A (ja) シート搬送装置
US7099618B2 (en) Paper discharge tray
US8099016B2 (en) Image-forming apparatus
EP127631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447983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23153217A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013627A1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821616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7259129A (ja) 画像読取装置
US10237443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389899B2 (en) Document pressing unit, and automatic documen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8773732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8275303B2 (en) Discharg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7380285B2 (ja) 画像形成装置
JP7175671B2 (ja) 画像形成装置
US8351088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multi-functional machine and document discharging method
JP2008273635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72913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204428B2 (en)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etection error of test pattern on conveyor belt
JP202306725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54052A (ja) 分離給紙装置
JP201402145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原稿押さ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