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956B1 -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 - Google Patents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956B1
KR101442956B1 KR1020130013456A KR20130013456A KR101442956B1 KR 101442956 B1 KR101442956 B1 KR 101442956B1 KR 1020130013456 A KR1020130013456 A KR 1020130013456A KR 20130013456 A KR20130013456 A KR 20130013456A KR 101442956 B1 KR101442956 B1 KR 101442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root
cutting machine
root cana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305A (ko
Inventor
김경범
Original Assignee
김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범 filed Critical 김경범
Priority to KR102013001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95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7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 B65G2812/0245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8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9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load-carrying surfaces using platforms or 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체인 컨베이어의 구조를 변경하여 근채류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함에 의해 근채류를 항상 균일한 두께로 일정하게 절단할 수 있는 근채류 절단기에서 근채류의 상부를 강하게 가압하면서 공급할 수 있음으로 근채류의 공급불량을 없애고 자동화로 인하여 보다 값싸게 대량 절단이 가능하게 한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feeding chain for root vegetables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임무(단무지), 생무, 우엉, 당근(이하, 근채류(根菜類)라 한다.) 또는 오이, 고추(피망류) 등을 절단하기 위한 근채류 절단기에서 상기 근채류 및 피망류를 용이하게 이송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한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무지는 무를 소금물에 장기간 절여 적당히 간이 베면 이를 세척한 후, 적당히 설어서 반찬류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절임류 식품중의 하나이며 대부분이 중국음식점이나 분식점에서 대량 소비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무지는 통상 얇게 썰어 먹거나 혹은 단무지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김밥용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단무지의 절단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이 많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 받은 등록번호 제10-1076438호의 "근채류 절단기"가 있다.
상기 '근채류 절단기'는 바닥에 지지되는 기체(機體)에 격자형을 이루게 수직칼들과 수평칼들을 설치하여 상기 수직칼들과 수평칼들이 각각 수직,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왕복되게 한 상태에서 근채류를 이송시켜 절단하도록 한 것으로, 항상 균일한 두께로 일정하게 절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근채류 절단기'에는 근채류를 공급하기 위한 이송 방법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근채류를 강제적으로 밀어 공급하거나 혹은 벨트에 의한 방법으로 근채류를 공급하도록 한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근채류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강제적으로 공급할 경우에는 자동화 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또 벨트에 의한 방법으로 공급할 경우 근채류가 연한 경우에는 근채류가 잘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근채류 절단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 받은 등록번호 제10-1117584호의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가 있다.
상기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는 근채류를 항상 균일한 두께로 일정하게 절단할 수 있는 근채류 절단기에서 근채류의 상부를 강하게 가압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근채류의 공급에 따른 불량을 없애고 자동화로 인하여 보다 값싸게 대량 절단이 가능하게 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근채류의 상부를 강하게 가압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근채류의 하부에서 근채류를 이송시키는 벨트에 처짐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통상의 체인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있는데, 통상의 체인 컨베이어를 이용할 경우 근채류의 상부를 가압할 경우 처짐 현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근채류가 체인 컨베이어에 면 접촉된 상태로 이송되게 때문에 이송시 부하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미끄럼이 발생되어 통상의 체인 컨베이어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076438호, 근채류 절단기.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117584호,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체인 컨베이어의 구조를 변경하여 근채류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함에 의해 근채류를 항상 균일한 두께로 일정하게 절단할 수 있는 근채류 절단기에서 근채류의 상부를 강하게 가압하면서 공급할 수 있음으로 근채류의 공급불량을 없애고 자동화로 인하여 보다 값싸게 대량 절단이 가능하게 한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지지되는 기체(機體)에 절단칼들이 설치되어 그 절단칼들에 의해 근채류를 절단할 수 있게 한 근채류 절단기를 구비하고, 상기 근채류 절단기에서 절단칼들 측으로 근채류를 이송시킬 수 있게 설치한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은 단위체인들과 체인연결구들을 연결핀으로 상호 연결하여 소정 길이를 갖게 형성되어 소정 폭을 이루게 설치된 체인본체; 상기 체인본체에 구비되는 체인연결구들에 일체로 설치되어 그 체인연결구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에 의해 수평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수평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체결공에 체결나사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체인본체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에 의해 근채류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체결나사가 관통될 수 있는 고정공이 형성된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근채류의 하부에 선 접촉됨에 의해 근채류를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게 한 지지벽부로 이루어 지지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벽부는 지지면의 일측 혹은 양측 모두를 절곡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근채류를 항상 균일한 두께로 일정하게 절단할 수 있게 한 근채류 절단기에서 근채류를 이송시키기 위한 체인 컨베이어의 구조를 변경하여 선 접촉에 의해 근채류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함에 의해 근채류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여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게 하여 공급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은 바닥에 지지되는 기체(機體)에 절단칼들이 설치되는 근채류 절단기에서 근채류를 절단하기 위해 절단칼들 측으로 근채류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근채류 절단기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자가 특허 받은 특허등록번호 제10-1076438호의 "근채류 절단기" 및 특허등록번호 제10-1117584호의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은 체인본체(110)와 브라켓(120) 및 지지체(130)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본체(110)는 단위체인(112)들과 체인연결구(114)들을 연결핀(116)으로 상호 연결하여 소정 길이를 갖게 형성되어 소정 폭을 이루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20)은 체인본체(110)에 구비되는 체인연결구(114)들에 일체로 설치되어 그 체인연결구(114)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에 의해 수평면(122)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면(122)에 체결공(12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24)에는 암나선부가 형성되어 체결나사(140)가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브라켓(120)에 의해 상기 체인본체(110)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지지체(130)들을 설치하여 근채류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체(130)들은 체결나사(140)로 상기 브라켓(12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체(130)들은 브라켓(120)의 수평면(122)에 형성된 체결공(124)을 통해 체결나사(140)가 관통될 수 있는 고정공(132a)이 형성된 지지면(132)과 상기 지지면(132)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근채류의 하부에 선 접촉됨에 의해 근채류를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게 한 지지벽부(134a,134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벽부(134a,134b)는 지지면(132)의 일측만을 상부로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혹은 지지면(132)의 양측 모두를 상부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벽부(134a,134b)에 의해 근채류와 접촉되는 면적이 면 접촉이 아닌 선 접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근채류의 이송시 근채류가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됨은 당연하고, 또 상기 이송체인에 의해 근채류를 이송시 상기 근채류가 옆으로 비껴나지 않고 앞으로만 이송될 수 있도록 2개의 이송체인을 소정 경사각을 이루며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게 설치함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은 근채류를 절단하기 위해 이송함과 아울러 이송되는 근채류를 상부에서 가압시 처짐 현상을 없게 함으로서 이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0 - 체인본체 112 - 단위체인
114 - 체인연결구 116 - 연결핀
120 - 브라켓 122 - 수평면
124 - 체결공 130 - 지지체
132 - 지지면 134a,134b - 지지벽부

Claims (2)

  1. 바닥에 지지되는 기체(機體)에 절단칼들이 설치되어 그 절단칼들에 의해 근채류를 절단할 수 있게 한 근채류 절단기를 구비하고, 상기 근채류 절단기에서 절단칼들 측으로 근채류를 이송시킬 수 있게 설치한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은 단위체인들과 체인연결구들을 연결핀으로 상호 연결하여 소정 길이를 갖게 형성되어 소정 폭을 이루게 설치된 체인본체;
    상기 체인본체에 구비되는 체인연결구들에 일체로 설치되어 그 체인연결구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에 의해 수평면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수평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체결공에 체결나사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체인본체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에 의해 근채류를 이송시킬 수 있는 지지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들은: 상기 체결나사가 관통될 수 있는 고정공이 형성된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근채류를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게 상기 근채류의 하부에 선 접촉되게 한 지지벽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벽부는, 상기 지지면의 일측 혹은 양측 모두를 절곡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
  2. 삭제
KR1020130013456A 2013-02-06 2013-02-06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 KR101442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56A KR101442956B1 (ko) 2013-02-06 2013-02-06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56A KR101442956B1 (ko) 2013-02-06 2013-02-06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05A KR20140100305A (ko) 2014-08-14
KR101442956B1 true KR101442956B1 (ko) 2014-09-23

Family

ID=5174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456A KR101442956B1 (ko) 2013-02-06 2013-02-06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129A1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699B1 (ko) * 2021-11-19 2022-07-22 곽동성 지그받침대의 선택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로봇 자동연마 가공을 위한 피연마물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500Y1 (ko) * 1989-08-09 1991-05-31 김경조 고추꼭지 절단기
KR20000003981U (ko) * 1998-07-31 2000-02-25 천왕욱 생무우 절단기의 생무우 공급장치
JP2002019941A (ja) 2000-07-06 2002-01-23 Nanpu Jidosha Service Area:Kk チェーンコンベヤ及びそのチェーンコンベヤを用いた根菜収穫機
KR200306226Y1 (ko) 2002-11-25 2003-03-04 백성기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껍질분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500Y1 (ko) * 1989-08-09 1991-05-31 김경조 고추꼭지 절단기
KR20000003981U (ko) * 1998-07-31 2000-02-25 천왕욱 생무우 절단기의 생무우 공급장치
JP2002019941A (ja) 2000-07-06 2002-01-23 Nanpu Jidosha Service Area:Kk チェーンコンベヤ及びそのチェーンコンベヤを用いた根菜収穫機
KR200306226Y1 (ko) 2002-11-25 2003-03-04 백성기 습식 마늘박피장치의 껍질분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129A1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05A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956B1 (ko) 근채류 절단기용 이송체인
KR101469922B1 (ko) 계육 수직 절단가공장치
KR101245882B1 (ko) 육류 수평 절단장치
KR101765084B1 (ko) 치즈 블록 컷팅기와 이를 이용한 치즈 블록 컷팅방법
CN211322826U (zh) 一种生牛肉切割机
KR101259404B1 (ko) 체인의 면 절삭기용 체인 지지장치
KR101117584B1 (ko)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
JP6192464B2 (ja) パン等の食品カット装置における搬送ベルト
KR20150091561A (ko) 고추 절단기
JP2010280442A (ja) ミンチのトレーへの盛付方法とその装置
KR20160131346A (ko) 육절기
KR101004190B1 (ko) 시루떡 절단기
JP4870497B2 (ja) 不定形食肉原木のハーフカット装置
CN207519391U (zh) 一种山羊喂养食槽
KR102420377B1 (ko) 육류 세절기
KR101390407B1 (ko) 근채류 절단칼의 고정장치
US20200086520A1 (en) Attaching system
KR20170036372A (ko) 과일 선별기
JP5769162B2 (ja) 食材切断装置
JP5988441B2 (ja) 食肉のスライス装置
CN217375058U (zh) 芋卷芋片包装入料装置
CN214924994U (zh) 一种食品加工用切片装置
CN212352155U (zh) 一种山药切片装置
JP2005058194A (ja) 根菜類の切断装置
WO2007005773A3 (en) Feed mechanism for slic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