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188B1 - 화장실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188B1
KR101439188B1 KR1020137025485A KR20137025485A KR101439188B1 KR 101439188 B1 KR101439188 B1 KR 101439188B1 KR 1020137025485 A KR1020137025485 A KR 1020137025485A KR 20137025485 A KR20137025485 A KR 20137025485A KR 101439188 B1 KR101439188 B1 KR 101439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wl
toilet
dirt
tes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396A (ko
Inventor
아키 하마키타
요 모로토미
코이치로 마츠시타
슈이치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과제] 유분에 기인하는 균의 번식이나 오물의 고착을 억제하여 변기의 보울면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화장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친수성을 가지며 오물을 받는 보울이 형성된 변기와, 상기 보울의 표면에 물 및 차아염소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출하는 분출부와, 상기 변기의 사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변기의 사용 전 및 사용 후에 상기 분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 전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로부터 상기 물 및 차아염소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출하고, 상기 사용 후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로부터 상기 차아염소산수를 분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장실 장치{TOILET DEVIC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화장실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변기를 살균 또는 세정 가능한 화장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물이 변기의 보울면(bowl surface)에 부딪히면 변 성분의 하나인 지방산이 보울면에 부착된다. 일반적인 변기 세정이 실행되면 변의 고형 성분은 흐르는 한편, 변에 포함되는 지방산 등의 유분은 보울면에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되면 유분의 피막이 보울면에 형성된다. 유분은 균의 영양분이 되기 때문에 유분이 보울면에 잔존하면 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균이 번식하면 예를 들면 바이오필름 등으로 불리는 박테리아 및 그 분비물의 집합이 형성된다.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면 보울면이 변색된다.
또한, 바이오필름이 형성된 보울면에 오물이 부딪히면 변이 보울면에 고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되면 일반적인 변기 세정에서는 변의 고형 성분을 보울면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보울면에 오물이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차아염소산을 토출시키는 노즐 기구를 구비한 대변기 및 변좌장치가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한 후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노즐 기구가 차아염소산을 토출시키는 경우에는 차아염소산의 토출량은 비교적 많아진다. 따라서,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전해조의 수명은 비교적 짧아진다. 이 점에 있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토출물의 토출 온도나 세제 혼입량을 사용자를 제어할 수 있는 토출수 성상 제어 수단과, 변기 세정용 노즐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기 내를 프리 세정시키는 자동 프리 세정 제어 수단을 구비한 국부 세정 장치가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국부 세정 장치에서는 시인 가능한 오물의 부착에 대해서는 소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변에 포함되는 지방산 등의 유분은 보울면에 잔존할 우려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448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48601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의거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유분에 기인하는 균의 번식이나 오물의 고착을 억제하고, 변기의 보울면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화장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친수성을 가지며 오물을 받는 보울이 형성된 변기와, 상기 보울의 표면에 물 및 차아염소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출하는 분출부와, 상기 변기의 사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변기의 사용 전 및 사용 후에 상기 분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 전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로부터 상기 물 및 차아염소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출하고 상기 사용 후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로부터 상기 차아염소산수를 분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장치이다.
이 화장실 장치에 의하면 변기 보울은 친수성을 갖는다. 제어부는 변기의 사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변기의 사용 전에 분출부로부터 물 및 차아염소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변기의 사용 전에 있어서 보울의 표면에 수막(水膜)이 형성된다. 따라서, 오물이 보울의 표면에 부착 또는 고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변기의 사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변기의 사용 후에 분출부로부터 차아염소산수를 분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보울은 친수성을 갖기 때문에 차아염소산수는 보울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의 유분을 둘러싸도록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울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의 유분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고, 보울의 표면에 잔존하는 오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물의 유분이 보울의 표면에 잔존하여 유분의 피막이 보울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오물의 유분에 기인하는 균의 번식이나 오물의 고착을 억제하여 보울 표면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는 상기 물 및 차아염소산수를 안개상으로 분무하는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장치이다.
이 화장실 장치에 의하면 분무부는 물 및 차아염소산수를 안개상으로 분무한다. 따라서, 분무부로부터 분무된 물 및 차아염소산수는 보울 표면의 보다 넓은 범위에 구석구석까지 부착된다. 이에 따라, 오물이 보울의 표면에 부착 또는 고착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무부로부터 분무된 살균수는 보울의 표면에 잔존한 오물의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울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의 유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울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9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장치이다.
이 화장실 장치에 의하면 보울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90도 이상이다. 따라서, 물 및 차아염소산수는 오물의 유분을 둘러싸도록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오물의 유분은 보울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쉽다. 또는, 오물의 유분은 차아염소산에 의해 분해되기 쉽다. 이에 따라, 보울 표면의 영양 잔존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물의 유분에 기인하는 균의 번식이나 오물의 고착을 억제하여 보울 표면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4 발명은 제 1∼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울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0.0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장치이다.
이 화장실 장치에 의하면 보울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0.07㎛ 이하이다. 이에 의하면 보울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더욱 커진다. 한편, 보울의 표면에 있어서의 물의 접촉각은 더욱 작아진다. 따라서, 수막이 보울의 표면에 보다 확실히 형성되어 물 및 차아염소산수는 오물의 유분을 둘러싸도록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오물의 유분은 보울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쉽다. 또는, 오물의 유분은 차아염소산에 의해 분해되기 쉽다. 이에 따라, 보울 표면의 영양 잔존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물의 유분에 기인하는 균의 번식이나 오물의 고착을 억제하여 보울 표면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분에 기인하는 균의 번식이나 오물의 고착을 억제하여 변기의 보울면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화장실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비교예에 의한 화장실 장치의 보울면을 나타낸 단면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의 보울면을 나타낸 단면모식도이다.
도 5는 차아염소산의 분해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도이다.
도 6은 차아염소산의 분해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자가 실시한 오물의 제거 시간의 실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한 결과표이다.
도 8은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잔존한 유사 오물의 유분의 일례를 예시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자가 실시한 영양 잔존율의 실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한 그래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자가 실시한 영양 잔존율과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실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한 그래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자가 실시한 가속 년수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실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한 그래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자가 실시한 표면 거칠기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실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한 그래프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살균수 생성부의 구체예를 예시한 단면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위생 세정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는 평면모식도이며, 서양식 좌변기를 나타낸 모식도는 단면모식도이다. 또한, 도 2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요부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화장실 장치(10)는 서양식 좌변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지 '변기'라 칭한다)(800)와, 그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변기(800)는 보울(801)을 갖는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좌(200)와, 변기 뚜껑(300)을 갖는다. 변좌(200)와 변기 뚜껑(300)은 케이싱(40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변기 뚜껑(300)은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보울(801)은 사용자가 배설한 오물을 받을 수 있다. 보울(801)의 표면은 친수성을 갖는다. 여기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친수성을 갖는다'는 예를 들면 아크릴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 변기의 보울면과 비교해서 물과의 친화성이 큰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물의 접촉각으로 비교했을 경우에 수지에 의해 형성된 변기의 보울면에 있어서의 물의 접촉각보다도 작은 접촉각을 갖는 보울면은 친수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보울(801)의 표면이 갖는 친수성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면 케이싱(400)의 하부에는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에 물이나 살균수를 분출하는 분무 노즐(분출부)(480)이 형성되어 있다. 분무 노즐(480)은 물이나 살균수를 안개상으로 분무할 수 있다. 분무 노즐(480)은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케이싱(400)의 외부에 부설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할 경우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끓인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살균수'는 예를 들면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수도물(단지 '물'이라고도 함)보다도 많이 포함하는 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10)는 수도나 저수 탱크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무 노즐(480)로 유도하는 제 1 유로(21)를 갖는다. 제 1 유로(21)의 상류측에는 전자 밸브(431)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431)는 개폐 가능한 전자 밸브이며,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해서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제 1 유로(21)는 전자 밸브(431)로부터 하류측의 2차측으로 한다.
전자 밸브(431)의 하류에는 살균수를 생성 가능한 살균수 생성부(450)가 설치되어 있다. 살균수 생성부(450)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살균수 생성부(450)의 하류에는 수세(유량)의 조정을 행하거나 분무 노즐(480)이나 도시되지 않은 세정 노즐 등으로의 급수의 개폐나 스위칭을 행하는 유조(流調)ㆍ유로 스위칭 밸브(471)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유로(21)는 유조ㆍ유로 스위칭 밸브(471)에 있어서 분기되어 있다. 제 1 유로(21)로 유도된 살균수나 상수는 유조ㆍ유로 스위칭 밸브(471)를 통과한 후에 분무 노즐(480)로 유도된다. 한편, 유조ㆍ유로 스위칭 밸브(471)에 있어서 분기된 제 2 유로(23)로 유도된 살균수나 상수는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세정 노즐이나 노즐 세정실 등으로 유도된다. 유조ㆍ유로 스위칭 밸브(471)는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살균수나 상수를 제 1 유로(21)로 유도하는 상태와, 살균수나 상수를 제 2 유로(23)로 유도하는 상태를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싱(400)에는 변기(800)의 사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장실로의 사용자의 입실을 검지하는 입실 검지 센서(검지부)(402)와, 변좌(200)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를 검지하는 인체 검지 센서(검지부)(403)와, 사용자가 변좌(200)에 앉은 것을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검지부)(404)가 케이싱(400)에 설치되어 있다.
입실 검지 센서(402)는 화장실 도어를 열어서 입실한 직후의 사용자나, 화장실에 입실하려고 하여 도어 앞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입실 검지 센서(402)는 화장실에 입실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화장실에 입실하기 전의 사용자, 즉 화장실의 외측의 도어 앞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입실 검지 센서(402)로서는 초전 센서나, 도플러 센서 등의 마이크로파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센서나, 마이크로파를 송신해서 반사된 마이크로파의 진폭(강도)에 의거해서 피검지체를 검출하는 센서 등을 사용할 경우, 화장실 도어 앞의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화장실에 입실하기 전의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인체 검지 센서(403)는 변기(800)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 즉 변좌(20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인체 검지 센서(403)는 화장실에 입실해서 변좌(200)에 다가온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인체 검지 센서(403)로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투수광식의 측거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착좌 검지 센서(404)는 사용자가 변좌(200)에 착좌하기 직전에 있어서 변좌(200)의 상방에 존재하는 인체나,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착좌 검지 센서(404)는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변좌(200)의 상방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착좌 검지 센서(404)로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투수광식의 측거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비교예에 의한 화장실 장치의 보울면을 나타낸 단면모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의 보울면을 나타낸 단면모식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차아염소산의 분해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10)에서는 제어부(405)는 변기(800)의 사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변기(800)를 사용하기 전에 분무 노즐(480)로부터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에 물 및 살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출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입실 검지 센서(402)가 화장실로의 사용자의 입실을 검지하면 제어부(405)는 분무 노즐(480)로부터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에 물 및 살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출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즉, 제어부(405)는 사용자가 변기(800)를 사용하기 전에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을 물 및 살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적시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장실 장치(10)에서는 제어부(405)는 변기(800)의 사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변기(800)를 사용한 후에 분무 노즐(480)로부터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에 살균수를 분출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입실 검지 센서(402)가 화장실 실내의 사용자를 검지하지 않게 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405)는 분무 노즐(480)로부터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에 살균수를 분출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즉, 제어부(405)는 사용자가 오물을 흘려보내 변기(800)의 사용을 종료한 후에 보울(801)의 표면을 살균수로 적시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살균수가 차아염소산수, 즉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액일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낸 비교예의 보울(80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비교예의 보울(801a)의 표면은 친수성이 아닌 발수성을 갖는다. 여기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발수성'은 예를 들면 유약 등이 시공된 변기의 보울면과 비교해서 물과의 친화성이 작은 성질 또는 물을 튕기기 쉬운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기(800)를 사용하기 전에 제어부(405)가 분무 노즐(480)로부터 보울(801a)의 표면에 물이나 살균수를 분출시켜도 보울(801a)의 표면에 수막은 형성되지 않는다. 즉, 보울(801a)의 표면에 분출된 물이나 살균수는 예를 들면 물방울 등으로 응집되어 유수면(溜水面)으로 흘러 내린다.
오물(변)에는 지방산 등의 유분이 포함된다. 변에 포함되는 지방산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올레인산이나, 팔미틴산이나, 스테아린산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배설한 오물(601)은 발수성을 갖는 보울(801a)의 표면에 부딪히면 보다 넓은 범위로 퍼져서 부착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변기(800)를 사용한 후에 제어부(405)가 분무 노즐(480)로부터 차아염소산수(살균수)(651)를 분출시키면 차아염소산수(65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801a)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 위에 부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자의 검토의 결과, 차아염소산이 지방산 등의 유분을 분해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이것은 도 5에 도시된 2점쇄선(A)의 범위 내와 같이, 탄소간 이중 결합이 100ppm의 농도를 갖는 차아염소산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이것은 도 6에 도시된 2점쇄선(B)의 범위 내와 같이, 올레인산의 피크가 100ppm의 농도를 갖는 차아염소산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601) 위에 부착된 차아염소산수는 보울(801a)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의 상부를 분해할 수 있다.
그러나, 보울(801a)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오물(601)과 보울(801a)의 표면의 접촉 면적은 보울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는 경우보다도 넓다. 또한, 보울(801a)의 표면은 발수성을 갖고 보울(801a)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보울(801a)의 표면과 오물(601)의 유분 사이의 접촉각(θ1)은 보울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는 경우보다도 작다. 여기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접촉각'은 소정의 고체 표면과 액체 표면의 계면에 있어서 고체 표면과 액체 표면이 이루는 각도이며 액체측에서 측정되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차아염소산수(651)는 보울(801a)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의 하부에 인입될 수는 없다. 이에 따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801a)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의 하부는 차아염소산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보울(801a)의 표면에 잔존할 우려가 있다. 또는, 오물(601)에 포함되는 지방산 등의 유분이 보울(801a)의 표면에 잔존하여 유분의 피막이 보울(801a)의 표면에 형성될 우려가 있다.
유분은 균의 영양분이 되기 때문에 유분이 보울(801a)의 표면에 잔존하면 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균이 번식하면 예를 들면 바이오필름 등으로 불리는 박테리아 및 그 분비물의 집합이 형성된다. 바이오필름이 형성된 보울(801a)의 표면에 오물(601)이 부딪히면 오물(601)이 보울(801a)의 표면에 고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되면 일반적인 변기 세정에서는 오물(601)의 고형 성분을 보울(801a)의 표면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보울(801)의 표면은 친수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변기(800)를 사용하기 전에 제어부(405)가 분무 노즐(480)로부터 보울(801)의 표면에 물이나 살균수를 분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배설한 오물(601)이 보울(801)의 표면에 부딪히기 전에 보울(801)의 표면에 수막(653)을 형성할 수 있다. 오물(601)의 유분은 수막(653)에 튕겨지거나 또는 유분 자신의 부력에 의해 보울(801)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다. 이에 따라, 오물(601)이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 또는 고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801)의 표면에 오물(601)이 잔존했을 경우라도 보울(801)의 표면에 수막(65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물(601)의 유분은 수막(653)에 튕겨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보울(801)의 표면과 오물(601)의 유분 사이의 접촉각(θ2)은 보울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접촉각(θ1)[도 3(a) 참조]보다도 크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변기(800)를 사용한 후에 제어부(405)가 분무 노즐(480)로부터 차아염소산수(651)를 분출시키면 차아염소산수(651)는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 위에 부착됨과 아울러 오물(601)의 하부로 인입되거나 돌아 들어갈 수 있다. 환언하면 차아염소산수(651)는 오물(601)의 유분을 둘러싸도록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아염소산은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의 상부 및 하부를 분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의 유분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고, 보울(801)의 표면에 잔존하는 오물(601)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물(601)의 유분이 보울(801)의 표면에 잔존하여 유분의 피막이 보울(801)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오물(601)의 유분에 기인하는 균의 번식이나 오물(601)의 고착을 억제하여 보울(801) 표면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울(801)의 표면에 수막(653)이 형성됨으로써 오물(601)의 보울(801) 표면으로의 부착이 억제되기 때문에 오물(601)이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보울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도 넓다. 따라서, 보울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차아염소산수(651)는 오물(601)이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은 영역에 부착 또는 정착되기 쉽다. 따라서, 보울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차아염소산수(651)는 오물(601)의 유분을 둘러싸도록 존재하기 쉽다. 이에 따라,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의 유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차아염소산은 보울(801)의 표면에 잔존한 오물(601)을 분해하는 것에 이용된다. 따라서, 차아염소산수의 생성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는 전해조의 부하를 경감하고, 전해조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는 전해조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분무 노즐(480)은 물이나 살균수를 안개상으로 분무할 수 있다. 따라서, 분무 노즐(480)로부터 분무된 물이나 살균수는 보울(801)의 표면보다 넓은 범위에 구석구석까지 부착된다. 이에 따라, 오물(601)이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 또는 고착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무 노즐(480)로부터 분무된 살균수는 보울(801)의 표면에 잔존한 오물(601)의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의 유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자가 실시한 실험의 결과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자가 실시한 오물의 제거 시간의 실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한 결과표이다.
본 발명자는 소정의 표면 성상을 갖는 테스트 피스에 유사 오물을 부착시키고, 그 후에 유사 오물을 씻어 버렸다. 유사 오물은 오물의 성분인 올레인산을 포함하고, 오물과 성상을 근사시킨 것이다. 본 발명자는 유사 오물을 씻어 버린 후의 각 테스트 피스의 표면을 촬영했다. 또한, 본 발명자는 각 테스트 피스에 부착시킨 유사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을 각각 측정했다. 각 테스트 피스의 표면 사진의 일례는 도 7에 도시된 '표면 사진'과 같다. 또한, 각 테스트 피스에 부착된 유사 오물(601)을 제거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의 일례는 도 7에 도시된 '제거 시간(초)'과 같다.
시료(1) 및 (2)의 테스트 피스(810)의 표면은 친수성을 갖는다. 시료(2)의 테스트 피스(810)에서는 본 발명자는 유사 오물(601)을 테스트 피스(810)에 부착시키기 전에 테스트 피스(810)의 표면에 물을 분출시켰다. 따라서, 시료(2)의 테스트 피스(810)의 표면에는 수막(6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시료(2)의 테스트 피스(810)의 '표면 상태'에서는 수막(653)은 물방울의 상태로 점재하고 있다.
시료(3)(제 1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810a)는 예를 들면 광촉매 등을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광촉매 등을 이용해서 형성된 테스트 피스(810a)의 표면은 예를 들면 '초친수성' 등이라고 부르고 있다. 따라서, 시료(3)의 친수성은 시료(1)의 친수성보다도 우수하다. 시료(4)(제 2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810b)의 표면에는 유사 오물(60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테스트 피스(810b)의 표면에 부착된 유사 오물(601) 위에는 유사 바이오필름(657)이 형성되어 있다. 바이오필름은 단백질과 아미노산 유도체와 다당류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래서, 단백질, 아미노산 유도체, 및 다당류를 포함하는 시판의 껌 시럽으로 대용 가능하고, 껌 시럽을 피복해서 유사 바이오필름으로서 평가했다(이하 설명의 편의상, 유사 바이오필름을 단지 '바이오필름'이라 칭함). 시료(5)(제 3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810b)의 표면에는 바이오필름(65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스트 피스(810b)의 표면에 형성된 바이오필름(657) 위에는 유사 오물(601)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친수성을 갖는 테스트 피스(810)[시료(1) 및 (2)]의 '제거 시간'은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테스트 피스(810b)[시료(4) 및 (5)]의 '제거 시간'보다도 짧다. 따라서, 친수성을 갖는 테스트 피스(810)는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테스트 피스(810b)와 비교하여 유사 오물(601)이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 또는 고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시료(2)의 '제거 시간'은 시료(1)의 '제거 시간'보다도 짧다. 따라서, 유사 오물(601)이 테스트 피스(810)의 표면과 접촉하기 전에 테스트 피스(810)의 표면에 물을 분출시킴으로써 유사 오물(601)이 테스트 피스(810)의 표면에 부착 또는 고착되는 것을 억제하고, 초친수성을 갖는 테스트 피스(810a)[시료(3)]의 '제거 시간'에 근접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시료(4)의 '표면 사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 오물(601) 위에 바이오필름(657)이 형성되면 유사 오물(601)을 294초간 씻어 버린 후라도 테스트 피스(810b) 위에 유사 오물(601)이 잔존하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필름(657)이 형성되면 유사 오물(601)을 씻어 버리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는 것을 알았다.
도 8은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잔존한 유사 오물의 유분의 일례를 예시한 사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자가 실시한 영양 잔존율의 실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한 그래프도이다.
본 발명자는 소정의 표면 성상을 갖는 테스트 피스에 소정량의 올레인산을 함유하고 있는 유사 오물을 부착시키고, 그 후에 유사 오물에 소정 시간의 토수를 행하여 씻어 버렸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유사 오물을 씻어 버린 후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올레인산의 농도에 의해 영양 잔존율을 측정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 오물을 씻어 버려도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는 유사 오물의 유분이 잔존한다. 본 발명자는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잔존하는 유사 오물의 유분에 포함되는 영양 성분의 농도 즉 영양 잔존율을 측정했다. 테스트 피스 표면의 영양 잔존율은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서의 균 번식 속도에 상당한다. 각 테스트 피스 표면의 영양 잔존율의 일례는 도 9에 나타낸 그래프도와 같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사진은 도 9에 도시된 시료(1)의 표면의 확대 사진이다.
시료(1) 및 (2)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도 7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1) 및 (2)의 테스트 피스(810)와 같은 표면 성상 즉 친수성을 갖는다. 시료(2)의 테스트 피스에서는 본 발명자는 유사 오물(601)을 테스트 피스에 부착시키기 전에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물을 분출시켰다. 따라서, 시료(2)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는 수막(653)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도 7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2)와 같다.
시료(3)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친수성을 갖는다. 단, 시료(3)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이 갖는 친수성은 시료(1) 및 (2)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이 갖는 친수성 만큼은 높지 않다. 시료(3)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 성상은 본 실시형태의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 성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시료(4)(제 1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는 도 7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3)(제 1 비교예)와 같다. 즉, 시료(4)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초친수성을 갖는다. 시료(5)(제 3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는 도 7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5)(제 3 비교예)와 같다. 즉, 시료(5)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어 있다. 시료(6)(제 4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친수성 표면에 발수성 피막을 설비한 것이므로 발수성을 갖는다.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친수성을 갖는 시료(1)∼(3)의 테스트 피스 표면의 영양 잔존율은 바이오필름 및 발수성을 각각 갖는 시료(5) 및 (6)의 테스트 피스 표면의 영양 잔존율보다도 낮다. 따라서, 친수성을 갖는 시료(1)∼(3)의 테스트 피스는 바이오필름 및 발수성을 각각 갖는 시료(5) 및 (6)의 테스트 피스와 비교하여 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친수성을 갖는 시료(1)∼(3)의 테스트 피스는 바이오필름 및 발수성을 각각 갖는 시료(5) 및 (6)의 테스트 피스와 비교하여 균의 영양분이 되는 유분의 잔존량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시료(2)의 테스트 피스 표면의 영양 잔존율은 시료(1)의 테스트 피스 표면의 영양 잔존율보다도 낮다. 따라서, 유사 오물(601)이 테스트 피스의 표면과 접촉하기 전에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물을 분출시킴으로써 균이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서 번식하는 것을 억제하고, 초친수성을 갖는 테스트 피스[시료(4)]의 표면의 영양 잔존율에 근접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시료(5)의 테스트 피스 표면의 영양 잔존율은 시료(6)의 테스트 피스 표면의 영양 잔존율보다도 높다. 따라서, 시료(5)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과 같이,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면 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것을 알았다.
도 10은 본 발명자가 실시한 영양 잔존율과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실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한 그래프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자가 실시한 가속 년수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실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한 그래프도이다.
수중 접촉각은 테스트 피스 위에 올레인산을 적하한 상태에서 수조에 가라앉히고, 그 상태에서 올레인산과 테스트 피스의 접촉각을 접촉각계[쿄와카이멘카가쿠(주)제, 자동접촉각계 DM-500]로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테스트 피스 표면의 영양 잔존율과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관계를 측정했다. 여기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수중 접촉각'은 수중에 있어서의 접촉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변에 포함되는 지방산 성분의 하나인 올레인산의 접촉각은 수중과 공기중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도 4에 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405)는 사용자가 변기(800)를 사용하기 전에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에 물이나 살균수를 분출시킴으로써 수막(653)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수중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접촉각을 평가하는 것이 공기중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접촉각을 평가하는 것보다도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테스트 피스 표면의 영양 잔존율의 측정 방법은 도 8 및 도 9에 관해서 상술한 바와 같다.
테스트 피스 표면의 영양 잔존율과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관계의 일례는 도 10에 나타낸 그래프도와 같다. 시료(1) 및 (2)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도 7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1)의 테스트 피스(810)와 같은 표면 성상 즉 친수성을 갖는다. 시료(2)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이 갖는 친수성은 시료(1)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이 갖는 친수성 만큼은 높지 않다. 시료(2)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 성상은 본 실시형태의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 성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시료(3)(제 1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는 도 7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3)(제 1 비교예)와 같다. 즉, 시료(3)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초친수성을 갖는다. 시료(4)(제 4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는 도 9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6)(제 4 비교예)와 같다. 즉, 시료(4)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발수성을 갖는다. 시료(5)(제 5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고, 발수성을 갖는다.
시료(1)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일례는 예를 들면 약 123.9도 정도이다. 시료(2)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일례는 예를 들면 약 106.0도 정도이다. 시료(3)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일례는 예를 들면 약 169.4도 정도이다. 시료(4)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일례는 예를 들면 약 33.1도 정도이다. 시료(5)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일례는 예를 들면 약 2.5도 정도이다.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이 더 클수록 영양 잔존율이 더 낮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도 4에 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이 더 크면 물이나 살균수가 오물(601)의 유분을 둘러싸도록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물(601)의 유분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이 더 클수록 테스트 피스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쉽다. 또는,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이 더 크면 올레인산과 테스트 피스의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오물(601)의 유분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이 더 클수록 차아염소산수(651)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해되어 박리되기 쉽다. 이에 따라, 친수성을 갖는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이 큰 테스트 피스[시료(1) 및 (2)]는 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보울(801)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 성상은 변기(800)의 사용 년수에 의해 변화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울(801)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변기(800)의 사용 년수에 의해 변화된다. 본 발명자는 가속 시험을 실시하여 가속 년수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관계를 측정했다.
우선, 본 발명자는 질량백분률이 5wt%인 수산화나트륨(NaOH)의 용액을 생성했다. 이어서, 본 발명자는 생성한 수산화나트륨의 용액을 70℃로 설정하고, 그 용액 속에 테스트 피스를 침지시켰다. 본 조건에서는 생성한 수산화나트륨의 용액 속에 테스트 피스를 1시간 침지시키면 테스트 피스[변기(800)]가 1년간 사용된 것에 상당한다.
가속 년수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에 나타낸 그래프도와 같다. 도 11에 나타낸 시료(1)∼(5)는 도 10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1)∼(5)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그래프도와 같이, 시료(2) 및 (3)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초기 상태(가속 년수:0년)로부터 저하된다는 것을 알았다. 시료(4)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초기 상태(가속 년수:0년)로부터 일단 상승한 후, 가속 년수가 5년부터 10년이 되면 저하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표면의 발수 피막이 제거되어 아래의 친수성 표면이 노출되어 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료(1) 및 (5)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초기 상태(가속 년수:0년)로 대부분 유지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도 10에 나타낸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초기 상태(가속 년수:0년)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이다. 이것을 고려하면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약 9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약 110도 이상, 더욱이 약 120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아염소산수(651)가 오물(601)의 유분을 둘러싸도록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의 유분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오물(601)의 유분에 기인하는 균의 번식이나 오물(601)의 고착을 억제하여 보울(801) 표면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자가 실시한 표면 거칠기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실험 결과의 일례를 예시한 그래프도이다.
본 발명자는 테스트 피스의 표면 거칠기(Ra)[산술 평균 거칠기(Ra)]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관계를 측정했다. 테스트 피스의 표면 거칠기(Ra)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관계의 일례는 도 12에 나타낸 그래프도와 같다.
표면 거칠기(Ra)는 테스트 피스를 표면 거칠계[(주)미쯔토요제, 소형 표면 거칠기 측정기 SJ-400)로 측정한 값이다.
시료(1)는 도 7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1)의 테스트 피스(810)와 같은 표면 성상 즉 친수성을 갖는다. 시료(2)(제 1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는 도 7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3)(제 1 비교예)와 같다. 즉, 시료(2)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초친수성을 갖는다. 시료(3)(제 4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는 도 9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6)(제 4 비교예)와 같다. 즉, 시료(3)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발수성을 갖는다. 시료(4)(제 5 비교예)의 테스트 피스는 도 10 및 도 11에 관해서 상술한 시료(5)(제 5 비교예)와 같다. 즉, 시료(4)의 테스트 피스의 표면은 발수성을 갖는다.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친수성을 갖는 테스트 피스[시료(1)]에 있어서 표면 거칠기(Ra)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 사이에는 상관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을 갖는 테스트 피스[시료(1)]는 표면 거칠기(Ra)가 더 작을수록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이 더 큰 경향을 갖는다는 것을 알았다.
도 10 및 도 11에 관해서 상술한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과, 도 12에 나타낸 표면 거칠기(Ra)와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의 관계의 일례를 고려하면 보울(801)의 표면 거칠기는 약 0.07㎛(미크론)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울(801)의 표면 거칠기는 약 0.0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아염소산수(651)가 오물(601)의 유분을 둘러싸도록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의 유분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오물(601)의 유분에 기인하는 균의 번식이나 오물(601)의 고착을 억제하여 보울(801) 표면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살균수 생성부(450)의 구체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살균수 생성부의 구체예를 예시한 단면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살균수 생성부(450)는 예를 들면 전극을 갖는 전해조 유닛이다.
본 구체예의 살균수 생성부(4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양극판(451) 및 음극판(452)을 갖고, 제어부(405)로부터의 통전의 제어에 의해 내부를 흐르는 수도물을 전기 분해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도물은 염소 이온을 포함하고 있다. 이 염소 이온은 수원(예를 들면 지하수나, 댐의 물이나, 하천 등의 물)에 식염(NaCl)이나 염화칼슘(CaCl2)으로서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그 염소 이온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차아염소산이 생성된다. 그 결과, 살균수 생성부(450)에 있어서 전기 분해된 물(전해수)은 차아염소산수로 변화된다.
차아염소산은 살균 성분으로서 기능하고, 그 차아염소산수 즉 살균수는 암모니아 등에 의한 오염을 효율적으로 제거 또는 분해하거나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아염소산수는 변에 포함되는 지방산 등의 유분을 분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은 친수성을 갖는다. 제어부(405)는 변기(800)의 사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변기(800)를 사용하기 전에 분무 노즐(480)로부터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에 물 및 살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출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405)는 변기(800)의 사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변기(800)를 사용한 후에 분무 노즐(480)로부터 변기(800)의 보울(801) 표면에 살균수를 분출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오물(601)이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 또는 고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울(801)의 표면에 부착된 오물(601)의 유분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고, 보울(801)의 표면에 잔존하는 오물(601)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물(601)의 유분이 보울(801)의 표면에 잔존하여 유분의 피막이 보울(801)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오물(601)의 유분에 기인하는 균의 번식이나 오물(601)의 고착을 억제하여 보울(801) 표면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을 더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화장실 장치(10) 등이 구비한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등이나 분무 노즐(480)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한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시킬 수 있고, 이것들을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화장실 장치 21 : 제 1 유로
23 : 제 2 유로 100 : 위생 세정 장치
200 : 변좌 300 : 변기 뚜껑
400 : 케이싱 402 : 입실 검지 센서
403 : 인체 검지 센서 404 : 착좌 검지 센서
405 : 제어부 431 : 전자 밸브
450 : 살균수 생성부 451 : 양극판
452 : 음극판 471 : 유로 스위칭 밸브
480 : 분무 노즐 601 : 오물
651 : 차아염소산수(살균수) 653 : 수막
657 : 바이오필름 800 : 변기
801, 801a : 보울 810, 810a, 810b : 테스트 피스

Claims (4)

  1. 친수성을 가지며 오물을 받는 보울이 형성된 변기와,
    상기 보울의 표면에 물 및 차아염소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출하는 분출부와,
    화장실로의 사용자의 입실을 검지하는 입실 검지 센서, 상기 변기 상에 설치된 변좌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를 검지하는 인체 검지 센서, 및 상기 변기 상에 설치된 변좌로의 사용자의 착좌를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가 상기 사용자를 검지하면 상기 변기의 사용 전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로부터 상기 물 및 차아염소산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출하고, 상기 검지부가 상기 사용자를 검지하지 않게 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변기의 사용 후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로부터 상기 차아염소산수를 분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는 상기 물 및 차아염소산수를 안개상으로 분무하는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인산의 수중 접촉각은 9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0.0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장치.
KR1020137025485A 2011-03-30 2012-03-26 화장실 장치 KR101439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4214 2011-03-30
JP2011074214A JP5029930B1 (ja) 2011-03-30 2011-03-30 トイレ装置
PCT/JP2012/057740 WO2012133298A1 (ja) 2011-03-30 2012-03-26 トイレ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396A KR20130125396A (ko) 2013-11-18
KR101439188B1 true KR101439188B1 (ko) 2014-09-12

Family

ID=4693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485A KR101439188B1 (ko) 2011-03-30 2012-03-26 화장실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66676B2 (ko)
EP (1) EP2692958B1 (ko)
JP (1) JP5029930B1 (ko)
KR (1) KR101439188B1 (ko)
CN (1) CN103492647B (ko)
BR (1) BR112013024943B1 (ko)
RU (1) RU2604511C2 (ko)
TW (1) TWI470139B (ko)
WO (1) WO2012133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7743A (ja) * 2013-02-15 2014-09-25 Toto Ltd トイレ装置
JP2015183503A (ja) * 2014-03-26 2015-10-22 Toto株式会社 小便器装置
JP6358459B2 (ja) * 2014-03-26 2018-07-18 Toto株式会社 小便器装置
TWI588329B (zh) 2014-03-26 2017-06-21 Toto Ltd Urinal device
JP6455797B2 (ja) * 2014-03-26 2019-01-23 Toto株式会社 小便器装置
JP6369744B2 (ja) * 2014-03-26 2018-08-08 Toto株式会社 小便器装置
TWI588331B (zh) 2014-07-23 2017-06-21 Toto Ltd 小便器裝置及小便器單元
JP6429003B2 (ja) * 2014-07-23 2018-11-28 Toto株式会社 小便器装置および小便器ユニット
JP6428015B2 (ja) * 2014-07-23 2018-11-28 Toto株式会社 小便器装置および小便器ユニット
JP6429004B2 (ja) * 2014-07-23 2018-11-28 Toto株式会社 小便器装置および小便器ユニット
US10370837B2 (en) 2017-05-16 2019-08-06 Homemation Llc Self-contained toilet bowl dispenser and light
US10378194B2 (en) 2017-02-08 2019-08-13 Homemation Llc Self-contained toilet bowl dispenser and light
JP2019007235A (ja) * 2017-06-26 2019-01-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洗浄便座装置
US10563388B2 (en) 2017-12-22 2020-02-18 Toto Ltd. Toilet device and toilet seat device
US10584469B2 (en) * 2017-12-22 2020-03-10 Toto Ltd.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device
US10590639B2 (en) * 2017-12-22 2020-03-17 Toto Ltd.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device
US10597857B2 (en) 2018-03-27 2020-03-24 Toto Ltd. Toilet device and toilet seat device
US10570599B2 (en) 2018-03-27 2020-02-25 Toto Ltd. Toilet device and toilet seat device
JP7153214B2 (ja) * 2018-03-27 2022-10-14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6587222B2 (ja) * 2018-03-27 2019-10-09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及び便座装置
USD1008036S1 (en) 2021-08-05 2023-12-19 Homemation, Inc. Fragrance container
USD991427S1 (en) 2021-08-05 2023-07-04 Homemation, Inc. Fragrance dispens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846A (ja) 1998-11-13 2000-05-26 Toto Ltd 大便器および便座装置
KR20110021100A (ko) * 2009-08-25 2011-03-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데제어센서부가 구비된 비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12256A (ko) * 2011-08-29 2011-10-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살균수 분사 장치를 구비한 변좌
KR101103765B1 (ko) 2009-03-12 2012-01-06 주식회사 희람테크 물 비산 방지수단이 구비된 변기뚜껑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7352B2 (ja) * 1993-12-27 2003-09-16 東陶機器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TW272244B (ko) * 1994-08-19 1996-03-11 Toto Ltd
RU4544U1 (ru) * 1996-06-27 1997-07-16 Александр Вячеславович Малыгин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0248601A (ja) 1999-03-02 2000-09-12 Toto Ltd 局部洗浄装置
JP2000265527A (ja) * 1999-03-15 2000-09-26 Toto Ltd 衛生陶器及びその洗浄方法並びに衛生陶器用洗剤
CN101008188B (zh) * 2001-08-30 2012-09-05 Toto株式会社 便器洗净装置
KR20030030679A (ko) * 2001-10-12 2003-04-18 정덕필 오존 살균 장치를 구비하는 좌변기용 좌대 시스템
AU2003302584A1 (en) 2002-12-03 2004-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oilet device that detects human body, and human body detecting method
EP1473355A1 (en) * 2003-04-29 2004-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method for increasing the hydrophobicity of a lavatory bowl surface
JP4333339B2 (ja) * 2003-11-25 2009-09-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便座装置
JP2006307522A (ja) * 2005-04-28 2006-11-09 Toto Ltd 温水洗浄便座
JP4946273B2 (ja) * 2006-08-30 2012-06-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5470679B2 (ja) * 2007-01-05 2014-04-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WO2009041065A1 (ja) * 2007-09-28 2009-04-02 Panasonic Corporation 衛生洗浄装置
JP2009138359A (ja) * 2007-12-04 2009-06-25 Panasonic Corp 衛生洗浄装置
DE102009011588A1 (de) 2009-03-06 2010-09-09 Duravit Ag Wasserklosett
US20100242164A1 (en) * 2009-03-31 2010-09-30 Woongjin Coway Co., Ltd. Sterilizing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bidet and toilet seat having the same
JP5601570B2 (ja) 2009-08-06 2014-10-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TWM386321U (en) * 2009-12-17 2010-08-11 yan-jun Lin Toilet equipment capable of automatically sensing lifting toilet seat and flush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846A (ja) 1998-11-13 2000-05-26 Toto Ltd 大便器および便座装置
KR101103765B1 (ko) 2009-03-12 2012-01-06 주식회사 희람테크 물 비산 방지수단이 구비된 변기뚜껑
KR20110021100A (ko) * 2009-08-25 2011-03-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데제어센서부가 구비된 비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12256A (ko) * 2011-08-29 2011-10-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살균수 분사 장치를 구비한 변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04511C2 (ru) 2016-12-10
EP2692958A4 (en) 2014-08-20
TWI470139B (zh) 2015-01-21
WO2012133298A1 (ja) 2012-10-04
EP2692958B1 (en) 2018-02-28
EP2692958A1 (en) 2014-02-05
CN103492647B (zh) 2015-08-12
KR20130125396A (ko) 2013-11-18
US8966676B2 (en) 2015-03-03
RU2013146870A (ru) 2015-04-27
BR112013024943A2 (pt) 2017-11-07
TW201239165A (en) 2012-10-01
JP2012207461A (ja) 2012-10-25
BR112013024943B1 (pt) 2020-09-29
US20140059757A1 (en) 2014-03-06
JP5029930B1 (ja) 2012-09-19
CN103492647A (zh)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188B1 (ko) 화장실 장치
KR101439192B1 (ko) 위생 세정 장치
JP4968635B1 (ja) トイレ装置
KR101506225B1 (ko) 위생 세정 장치
JP2013155595A (ja) トイレ装置
KR20130093536A (ko) 화장실 장치
WO2016088586A1 (ja) 自動水栓装置
JP6369744B2 (ja) 小便器装置
JP6429004B2 (ja) 小便器装置および小便器ユニット
TWI588329B (zh) Urinal device
JP5471847B2 (ja) 衛生洗浄装置
JP6164453B2 (ja) トイレ装置
TWI588331B (zh) 小便器裝置及小便器單元
JP2019170522A (ja) トイレ装置
JP6607340B2 (ja) 自動水栓装置
JP6590052B2 (ja) トイレ装置及び便座装置
JP2009213875A (ja) 浴室殺菌ユニット
JP2007130220A (ja) 遊技媒体洗浄システム
JP6358459B2 (ja) 小便器装置
JP6455797B2 (ja) 小便器装置
JP2012066179A (ja) 殺菌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JP2017125310A (ja) 衛生洗浄装置
JP2019170526A (ja) 便座装置
JP2015183503A (ja) 小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