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920B1 -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920B1
KR101438920B1 KR1020120127556A KR20120127556A KR101438920B1 KR 101438920 B1 KR101438920 B1 KR 101438920B1 KR 1020120127556 A KR1020120127556 A KR 1020120127556A KR 20120127556 A KR20120127556 A KR 20120127556A KR 101438920 B1 KR101438920 B1 KR 101438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collision
steering assist
critical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791A (ko
Inventor
고향구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9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조향 보조 방법은 복수의 장애물들 사이의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도록 보조하는 주차 조향 보조 장치에서 실행된다. 주차 조향 보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장애물들 중 특정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기 결정된 주차 궤적을 따라 상기 차량이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면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차 대상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 상황에서도 차량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자동 주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METHOD OF ASSISTING PARK AND APPARS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차량을 운행하지 않을 경우 주차장에 주차하며, 주차장에 구획된 장소를 향해 차량에 구비된 조향 휠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원하는 위치에 주차한다. 통상의 운전자는 차량을 주행할 때보다 주차할 때에 운전의 어려움을 더 느끼며, 야간 등과 같이 주변의 사물을 인지하기 어려울 때에는 더욱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주차는 운전이 미숙한 초보운전자 또는 여성운전자들이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부분이다. 초보운전자나 여성운전자는 차량을 이용하여 평행 또는 종렬 주차를 수행함에 있어 숙련된 운전자보다 많은 주의와 시간을 요하게 된다.
또한, 초보운전자나 여성운전자는 주차 위치에 진입시키기 위해서 적지 않은 시간을 소모하며, 야간에 주변의 사물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주변에 주차된 차량과 접촉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차량 주차에 대한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에 초음파 센서를 내장시키고, 초음파 센서에 의해 충돌 가능 상황이 감지되면 특정 소리를 내어 운전자에게 인지시켜 주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초음파 센서는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충돌 가능 상황의 감지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차 대상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 상황에서도 차량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자동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주차 조향 보조 방법은 복수의 장애물들 사이의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도록 보조하는 주차 조향 보조 장치에서 실행된다. 상기 주차 조향 보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장애물들 중 특정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기 결정된 주차 궤적을 따라 상기 차량이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면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장애물들 중 특정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장애물의 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상기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장애물들 중 특정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장애물의 중심점에서 가장 먼 모서리들 중 상기 주차 공간과 가까운 모서리를 상기 특정 장애물의 어느 한 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 조향 보조 방법은 상기 차량 운전자의 운전 경력 및 충돌 사고 발생 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충돌 임계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면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복수의 장애물들 사이의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도록 보조하는 주차 조향 보조 장치는 차량의 충돌 가능 상황에 따라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부 및 상기 복수의 장애물들 중 특정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하고, 기 결정된 주차 궤적을 따라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공간을 향해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면 경고음이 발생시키도록 경고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조향 보조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향 보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장애물의 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상기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향 보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장애물의 중심점에서 가장 먼 모서리들 중 상기 주차 공간과 가까운 모서리를 상기 특정 장애물의 어느 한 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향 보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운전자의 운전 경력 및 충돌 사고 발생 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충돌 임계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향 보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경고음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대상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 상황에서도 차량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자동 주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조향 보조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조향 보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기 수직 주차된 복수의 차량들 사이의 주차 공간에 주차 대상 차량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참조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기 수평 주차된 복수의 차량들 사이의 주차 공간에 주차 대상 차량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조향 보조 장치는 복수의 장애물들 사이에 있는 공간에 주차 대상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기 주차된 차량들을 복수의 장애물들의 일 예로 설명할 것이나, 복수의 장애물들은 기 주자된 차량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조향 보조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는 주차 대상 차량(도 3, 3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주차 대상 차량(300)의 다른 수단들과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는 다른 차량들이 직각으로 주차된 상황(이하, “수직 주차”라 함)에서, 제1 차량(도 3, 310) 및 제2 차량(도 3, 320)의 사이에 있는 주차 가능한 공간(이하, “주차 공간”이라 함)에 주차 대상 차량(300)을 주차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는 다른 차량들이 수평으로 주차된 상황(이하, “수평 주차”라 함)에서, 제1 차량(310) 및 제2 차량(320)의 사이에 있는 주차 공간에 주차 대상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는 주차 궤적 생성부(110), 모드 선택부(120), 휠 구동부(130), 경고음 발생부(140) 및 조향 보조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을 주차 공간에 주차시키기 위한 주차 궤적을 생성한다.
주차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센서에 의한 주차 대상 차량(300)과 다른 장애물들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주차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대상 차량(300)과 다른 장애물들과의 거리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제1 차량(31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2 차량(320)을 향해 전진할 때, 주차 대상 차량(300)의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주차 대상 차량(300)과 다른 장애물들과의 거리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제1 차량(31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1 차량(310)을 향해 전지할 때, 주차 대상 차량(300)의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주차 대상 차량(300)을 기준으로 주차 공간이 좌측에 있으면 주차 대상 차량(300)의 좌측 센서가 동작하여 주차 대상 차량(300)과 다른 장애물들(예를 들어, 제1 차량, 제2 차량 및 연석)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반면, 주차 대상 차량(300)을 기준으로 주차 공간이 우측에 있으면 주차 대상 차량(300)의 우측 센서가 동작하여 주차 대상 차량(300)과 다른 장애물들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센서는 카메라와 같이 인식된 영상을 통하여 차량 주위의 사물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초음파 센서와 같이 주위의 물체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통하여 주위의 사물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주차 대상 차량(300)이 제1 차량(31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2 차량(320)을 향해 전진한 후에 제2 차량(320)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하지만, 주차 대상 차량(300)은 제2 차량(32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1 차량(310)을 향해 전진한 후에 제1 차량(320)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모드 선택부(120)는 운전자로부터 평행 주차, 수직 주차 및 평행 출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조향 보조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드 선택부(12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선택 메뉴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드 선택부(120)는 원격 수단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휠 구동부(130)는 조향 보조 제어부(150)의 지시에 따른 조향각을 갖도록 휠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휠은 주차 대상 차량(300)의 핸들일 수 있다.
경고부(140)는 충돌 가능 상황에 따라 주차 대상 차량(300)의 운전자에게 해당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고부(140)는 충돌 가능 상황에 따라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켜 해당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대상 차량(300)이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주차 대상 차량(300)이 주차 대상 차량(300)과 제2 차량(320)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면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고부(14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부(14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충돌 임계 범위에 2cm 진입하면 5cm 진입했을 때 발생하는 소리보다 작은 소리의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고부(140)는 장애물과 주차 대상 차량(300)의 거리 변화 막대 그래프로 표시하여 해당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부(140)는 장애물과 주차 대상 차량(300)과의 거리가 50cm 이면 5cm에 해당하는 막대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경고부(140)는 충돌 가능 상황을 영상을 통해 표시하여 해당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부(140)는 장애물과 주차 대상 차량(300)의 거리가 가까워 지는 상황을 영상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주차 대상 차량(300)을 자동으로 주차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평행 주차 및 수직 주차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되도록 휠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중 수평 주차 메뉴를 누르고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수평 주차가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운전자가 리모콘을 통해 수직 주차를 선택하고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수직 주차가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경고부(140)를 이용하여 주차 대상 차량(300)이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면 특정 경고음이 발생시켜 주차 대상 차량(300)의 운전자에게 해당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제2 차량(320)과 주차 대상 차량(300)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돌 임계 거리는 주차 대상 차량(300) 운전자의 운전 경력 및 충돌 사고 발생 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대상 차량(300) 운전자가 초보 운전자라면,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제2 차량(320)과 주차 대상 차량(300)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20cm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차량(320)과 주차 대상 차량(300)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돌 임계 범위는 제2 차량(320)의 중심점에서 가장 먼 모서리들 중 주차 공간과 가까운 모서리를 중심으로 충돌 임계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였다면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조향 보조 상황에 따라 주차 대상 차량(30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궤적을 따라 주차 대상 차량(300)의 전후진이 실행되는 중에 센서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주차 대상 차량(300)의 전후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에 의한 장애물과의 거리가 10cm이면,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전후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장애물은 정지되어 있는 물체로서, 기 주차된 차량 등이 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주차 상황에 따라 주차 대상 차량(300)에 있는 휠의 조향각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주차 궤적에 따라 휠의 조향각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궤적이 특정 각도만큼 구부러진 형태인 경우,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궤적에 맞도록 특정 각도에 해당하는 조향각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변위에 따라 조향각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궤적에 따라 후진되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정지한 경우,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시작 위치에서 주차 대상 차량(300)의 기준점과 후진 정지 위치에서 주차 대상 차량(300)의 기준점 사이의 궤적을 따라 원을 생성하고, 원의 접선을 따라 주차 대상 차량(300)이 이동되도록 휠의 조향각을 산출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주차 상황에 따라 사용자 조작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기어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대상 차량(300)가 특정 거리만큼 전진된 후에 주차 공간을 향해 후진해야 하는 경우, 조향 보조 제어부(15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기어를 전진에서 후진으로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입력부(미도시됨), 디스플레이부(미도시됨),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됨) 및 스피커(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입력부는 복수의 입력키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 주차 선택 신호 또는 자동 출차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들을 모드 선택부(120)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주차 보향 보조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주차 궤적에 따른 주차 대상 차량(300)의 전후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대상 차량(300)이 주차 궤적에 따라 후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후진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주차 보향 보조 과정을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주차 상황에 따른 기어 변경 요청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는 모드 입력 요청을 음성으로 안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해당하는 모드의 실행 여부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주차 조향 보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한 주차 조향 보조 방법은 전술한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에서 수행되므로, 서로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으나, 당업자는 전술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조향 보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조향 보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기 수직 주차된 복수의 차량들 사이의 주차 공간에 주차 대상 차량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기 수평 주차된 복수의 차량들 사이의 주차 공간에 주차 대상 차량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참조도이다. 도 2의 실시예는 복수의 차량들 사이의 주차 공간에 주차 대상 차량을 이동하는 과정 중에 충동 가능 상황에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는 특정 장애물과 주차 대상 차량(300)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한다(단계 S210).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는 기 결정된 주차 궤적을 따라 주차 대상 차량(300)이 주차 공간을 향해 후진하는 과정에서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220).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주차 공간을 향해 후진하는 과정에서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하면(단계 S220),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킨다(단계 S230).
단계 S21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주차 대상 차량(300)이 제1 차량(310)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되면,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는 제1 차량(310)과 주차 대상 차량(300)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2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주차 대상 차량(300)이 제2 차량(320)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되면,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는 제2 차량(320)과 주차 대상 차량(300)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3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는 장애물과 주차 대상 차량(300)의 거리를 변화 막대 그래프로 표시하여 해당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단계 S230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주차 조향 보조 장치(100)는 충돌 가능 상황을 영상을 통해 표시하여 해당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주차 조향 보조 장치
110: 주차 궤적 생성부
120: 모드 선택부
130: 휠 구동부
140: 경고부
150: 조향 보조 제어부
1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10)

  1. 복수의 장애물들 사이의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도록 보조하는 주차 조향 보조 장치에서 실행되는 주차 조향 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애물들 중 특정 장애물의 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특정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기 결정된 주차 궤적을 따라 상기 차량이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면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장애물들 중 특정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장애물의 중심점에서 가장 먼 모서리들 중 상기 주차 공간과 가까운 모서리를 상기 특정 장애물의 어느 한 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조향 보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전자의 운전 경력 및 충돌 사고 발생 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충돌 임계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조향 보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면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조향 보조 방법.
  6. 복수의 장애물들 사이의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도록 보조하는 주차 조향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가능 상황에 따라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부; 및
    상기 복수의 장애물들 중 특정 장애물의 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특정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충돌 임계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충돌 임계 범위를 결정하고, 기 결정된 주차 궤적을 따라 상기 차량이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하면 경고음이 발생시키도록 경고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조향 보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향 보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장애물의 중심점에서 가장 먼 모서리들 중 상기 주차 공간과 가까운 모서리를 상기 특정 장애물의 어느 한 점으로 결정하는 주차 조향 보조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보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운전자의 운전 경력 및 충돌 사고 발생 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충돌 임계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조향 보조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보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충돌 임계 범위에 진입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경고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조향 보조 장치.
KR1020120127556A 2012-11-12 2012-11-12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438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556A KR101438920B1 (ko) 2012-11-12 2012-11-12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556A KR101438920B1 (ko) 2012-11-12 2012-11-12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791A KR20140060791A (ko) 2014-05-21
KR101438920B1 true KR101438920B1 (ko) 2014-09-11

Family

ID=5088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556A KR101438920B1 (ko) 2012-11-12 2012-11-12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058B1 (ko) * 2015-08-10 2021-1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193240B (zh) * 2020-09-28 2022-02-01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积水信息的泊车方法
CN112172798B (zh) * 2020-09-28 2022-02-01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积水环境的泊车方法及存储介质
CN112356826B (zh) * 2020-10-28 2022-02-01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一种辅助泊车方法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6194A (ja) * 2005-10-12 2007-04-26 Nissan Motor Co Ltd 駐車支援装置および駐車支援方法
JP2010100086A (ja) * 2008-10-21 2010-05-06 Nissan Motor Co Ltd 駐車支援装置および障害物接触判定方法
KR20120103232A (ko) * 2011-03-10 2012-09-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장애물 충돌 방지를 위한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15688A (ko) *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주차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6194A (ja) * 2005-10-12 2007-04-26 Nissan Motor Co Ltd 駐車支援装置および駐車支援方法
JP2010100086A (ja) * 2008-10-21 2010-05-06 Nissan Motor Co Ltd 駐車支援装置および障害物接触判定方法
KR20120103232A (ko) * 2011-03-10 2012-09-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장애물 충돌 방지를 위한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15688A (ko) *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주차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791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7353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
US11505179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assistance method
JP6760499B2 (ja) 駐車制御方法及び駐車制御装置
JP4962739B2 (ja) 駐車支援装置
KR20130106005A (ko) 차량의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282730B2 (ja) 運転支援装置
KR101438920B1 (ko)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2021020497A (ja) 衝突回避支援装置
KR20170118505A (ko) 운전 지원 장치
JP2018045397A (ja) 自動運転車両
CN111183066A (zh) 停车控制方法及停车控制装置
WO2019069430A1 (ja) 駐車制御方法及び駐車制御装置
JP2018090108A (ja)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KR20130072709A (ko) 영상인식 및 초음파 센서 기술 융합기반 주차 지원 시스템
KR101278064B1 (ko) 차량의 주차 보조 영상 제공 방법 및 그의 제공 시스템
JP6115529B2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KR101470101B1 (ko)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449152B1 (ko)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2014184746A (ja) 駐車支援装置及び制御装置
JP7081148B2 (ja) 駐車制御方法及び駐車制御装置
KR101362744B1 (ko)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7400338B2 (ja) 駐車支援装置
KR101438919B1 (ko)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438930B1 (ko)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575485B1 (ko) 주차 공간 인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주차 조향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