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101B1 -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101B1
KR101470101B1 KR1020120149367A KR20120149367A KR101470101B1 KR 101470101 B1 KR101470101 B1 KR 101470101B1 KR 1020120149367 A KR1020120149367 A KR 1020120149367A KR 20120149367 A KR20120149367 A KR 20120149367A KR 101470101 B1 KR101470101 B1 KR 101470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dge point
detection distance
obstacle
boundary traje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027A (ko
Inventor
동성모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1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85Parking performed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2Edge-based seg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4Audio sensitive means, e.g.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은 장애물과 근접한 주차 공간에 상기 차량이 주차되도록 상기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를 결정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에서 실행된다. 상기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는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탐지 거리를 스캔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경계 궤적을 이루는 복수의 점들 중 상기 탐지 거리가 기준 탐지 거리 이상인 점부터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원의 교차점을 상기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애물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한 차량이 주차 공간에 정확하게 주차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METHOD OF DETERMINING EDGE POINT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차량을 운행하지 않을 경우 주차장에 주차하며, 주차장에 구획된 장소를 향해 차량에 구비된 조향 휠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원하는 위치에 주차한다. 통상의 운전자는 차량을 주행할 때보다 주차할 때에 운전의 어려움을 더 느끼며, 야간 등과 같이 주변의 사물을 인지하기 어려울 때에는 더욱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주차 차량은 운전이 미숙한 초보운전자 또는 여성운전자들이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부분이다. 초보운전자나 여성운전자는 차량을 이용하여 평행 또는 종렬 주차를 수행함에 있어 숙련된 운전자보다 많은 주의와 시간을 요하게 된다.
또한, 초보운전자나 여성운전자는 주차 위치에 진입시키기 위해서 적지 않은 시간을 소모하며, 야간에 주변의 사물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주변에 주차된 차량과 접촉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차량 주차에 대한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에 초음파 센서를 내장시키고, 초음파 센서에 의해 충돌 가능 상황이 감지되면 특정 소리를 내어 운전자에게 인지시켜 주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초음파 센서는 차량과 장애물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충돌 가능 상황의 감지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애물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한 차량이 주차 공간에 정확하게 주차되도록 할 수 있는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은 장애물과 근접한 주차 공간에 상기 차량이 주차되도록 상기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를 결정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에서 실행된다. 상기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은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탐지 거리를 스캔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경계 궤적을 이루는 복수의 점들 중 상기 탐지 거리가 기준 탐지 거리 이상인 점부터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원의 교차점을 상기 특정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탐지 거리는 상기 차량에 있는 초음파 센서의 최대 탐지 거리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탐지 거리를 스캔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오차 범위를 가지는 경계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점들 중 탐지 거리가 기준 탐지 거리 이상인 점부터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에 따른 경계 궤적의 오차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범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원의 교차점을 상기 특정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있는 휠의 조향각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장애물과 근접한 주차 공간에 상기 차량이 주차되도록 상기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를 결정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는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탐지 거리를 스캔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하는 경계 궤적 생성부 및 상기 경계 궤적을 이루는 복수의 점들 중 상기 탐지 거리가 기준 탐지 거리 이상인 점부터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원의 교차점을 상기 특정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로 결정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탐지 거리는 상기 차량에 있는 초음파 센서의 최대 탐지 거리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계 궤적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오차 범위를 가지는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지 포인트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에 따른 경계 궤적의 오차 범위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는 상기 에지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있는 휠의 조향각을 산출하는 조향 보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물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한 차량이 주차 공간에 정확하게 주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는 도 2의 실행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는 장애물과 근접한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도록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기 주차된 차량을 장애물의 일 예로 설명할 것이나, 장애물은 기 주자된 차량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에지 포인트”는 주차 공간에 근접한 곳이 위치한 장애물의 모서리 부분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 (100)는 주차 대상 차량(도 3, 3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주차 대상 차량(300)의 다른 수단들과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다른 차량들이 수직으로 주차된 상황(이하, “수직 주차”라 함) 또는 다른 차량들이 수평으로 주차된 상황(이하, “수평 주차”라 함)에서, 제1 차량(도 3, 310) 및 제2 차량(도 3, 320)의 사이에 있는 주차 가능한 공간(이하, “주차 공간”이라 함)에 주차 대상 차량(300)이 주차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대상 차량(300)은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주차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대상 차량(300)은 제1 차량(31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2 차량(320)을 향해 전진한 후에 제2 차량(320)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주차 대상 차량(300)은 제2 차량(32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1 차량(310)을 향해 전진한 후에 제1 차량(320)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하여 주차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주차 대상 차량(300)이 제1 차량(31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2 차량(320)을 향해 전진한 후에 제2 차량(320)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하여 주차공간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지만, 주차 대상 차량(300)은 제2 차량(32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1 차량(310)을 향해 전진한 후에 제1 차량(320)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하여 주차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경계 궤적 생성부(110),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 및 조향 보조 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모드 선택부(140), 휠 구동부(150) 및 경고음 발생부(1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과 복수의 장애물들 사이의 경계 궤적을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주차 대상 차량(300)과 복수의 장애물들(310 및 320) 사이의 탐지 거리에 대한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거리 정보들을 기반으로 주차 대상 차량(300)으로부터 각각의 탐지 거리만큼 떨어진 복수의 점들을 연결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장애물들의 외곽선이 경계 궤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과 복수의 장애물들 사이의 경계 궤적을 조향 보조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을 기준으로 주차 공간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센서로부터 주차 대상 차량(300)과 복수의 장애물들(310 및 320) 사이의 탐지 거리를 수신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을 기준으로 주차 공간이 좌측에 있으면 주차 대상 차량(300)의 좌측 센서로부터 주차 대상 차량(300)과 복수의 장애물들(310 및 320)과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을 기준으로 주차 공간이 우측에 있으면 주차 대상 차량(300)의 우측 센서로부터 주차 대상 차량(300)과 복수의 장애물들과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센서는 카메라와 같이 인식된 영상을 통하여 차량 주위의 사물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초음파 센서와 같이 주위의 물체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통하여 주위의 사물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과 복수의 장애물들 사이의 경계 궤적을 조향 보조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하이면 오차 범위가 작은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계 궤적 생성부(110)에 의한 경계 궤적과 복수의 장애물의 이격 거리는 특정 거리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상이면 오차 범위가 큰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계 궤적 생성부(110)에 의한 경계 궤적과 복수의 장애물의 이격 거리는 특정 거리 이상일 수 있다.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조향각에 따라 특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행 중 주차 대상 차량(300)의 조향각의 변화에 따라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대상 차량(300)이 소정 거리만큼 전진된 후에 특정 조향각으로 조향되어 전진되면,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에 따라 경계 궤적을 생성하다가 조향각의 변경에 따라 오차범위가 작은 경계 궤적 또는 오차범위가 큰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는 조향 보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경계 궤적을 이루는 복수의 점들 중 특정 점을 에지 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는 경계 궤적을 이루는 복수의 점들 중 탐지 거리가 기준 탐지 거리 이상인 점을 시작으로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는 생성된 원들 중 세 개 이상의 원이 모두 교차되는 점을 에지 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 대상 차량(300)과 복수의 장애물들 간의 탐지 거리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이동함에 따라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원을 생성하면, 생성된 원들이 모두 교차되는 교차점이 형성될 수 있다.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는 생성된 원들 중 세 개 이상의 원이 모두 교차되는 점을 경계 궤적의 에지 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생성한 원들은 두 점에서 교차될 수 있으나, 두 점들 중 경계 궤적에 형성되거나 경계 궤적과 보다 가까운 점만을 고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에 따른 경계 궤적의 오차 범위에 따른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주차 대상 차량(300)을 자동으로 주차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평행 주차 및 수직 주차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되도록 휠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중 수평 주차 메뉴를 누르고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수평 주차가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운전자가 리모콘을 통해 수직 주차를 선택하고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수직 주차가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조향 보조 상황에 따라 주차 대상 차량(30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기 결정된 주차 궤적을 따라 주차 대상 차량(300)의 전후진이 실행되는 중에 센서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주차 대상 차량(300)의 전후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에 의한 장애물과의 거리가 10cm이면,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전후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장애물은 정지되어 있는 물체로서, 기 주차된 차량, 연석 등이 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조향 보조 상황에 따라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기 생성된 주차 궤적을 따라 주차 대상 차량(300)을 전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기 생성된 주차 궤적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조향각으로 주차 대상 차량(300)을 조향하여 전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복수의 장애물들 중 제1 차량(31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2 차량(320)을 향하도록 주차 대상 차량(300)을 전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경계 궤적 생성부(110)를 이용하여 주차 대상 차량(300)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후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궤적을 따라 전진하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정지한 경우,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경계 궤적 생성부(110)에 의한 궤적을 따라 이동되도록 최소 회전 반경으로 주차 대상 차량 (300)을 조향하여 후진시킬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과 근접한 장애물에 대한 경계 궤적을 이용하여 에지 포인트를 결정하도록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제1 차량(31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2 차량(320)을 향해 전진한 후에 제2 차량(320)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하여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우, 주차 대상 차량(300)와 제2 차량(320)에 대한 경계 궤적을 이용하여 에지 포인트를 결정하도록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은 제2 차량(32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1 차량(310)을 향해 전진한 후에 제1 차량(310)과 근접한 곳에서 후진하여 주차공간으로 이동하는 경우, 주차 대상 차량(300)와 제1 차량(310)에 대한 경계 궤적을 이용하여 에지 포인트를 결정하도록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에 따른 경계 궤적의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경계 궤적의 특정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이용하여 원을 생성하도록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상이면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하일 때보다 좁은 간격으로 떨어진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이용하여 원을 생성하도록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하이면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상일 때 보다 넓은 간격으로 떨어진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이용하여 원을 생성하도록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를 이용하여 휠의 조향각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에지 포인트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에 향하도록 주차 대상 차량(300)에 있는 휠의 조향각을 산출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주행 상황에 따라 조향각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공간으로 주차 대상 차량(300)을 이동하는 중에 특정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를 향하도록 하는 조향각으로 주차 대상 차랑(300)에 있는 휠의 조향각을 변경할 수 있다.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주차 상황에 따라 사용자 조작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사용자에게 주차 대상 차량(300)의 기어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대상 차량(300)가 특정 거리만큼 전진된 후에 주차 공간을 향해 후진해야 하는 경우, 조향 보조 제어부(13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기어를 전진에서 후진으로 변경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140)는 운전자로부터 평행 주차, 수직 주차 및 평행 출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여 조향 보조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드 선택부(14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선택 메뉴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드 선택부(140)는 원격 수단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휠 구동부(150)는 조향 보조 제어부(130)의 지시에 따른 조향각을 갖도록 휠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휠은 주차 대상 차량(300)의 핸들일 수 있다.
경고음 발생부(160)는 충돌 가능 상황에 따라 특정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경고음 발생부(160)는 주차 대상 차량(300)과 복수의 장애물들 중 어느 하나의 장애물 사이의 탐지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면, 거리에 해당하는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음 발생부(160)는 주차 대상 차량(300)과 장애물 사이의 탐지 거리가 30cm이면 50cm일 때보다 크고 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입력부(미도시됨), 디스플레이부(미도시됨),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됨) 및 스피커(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입력부는 복수의 입력키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 주차 선택 신호 또는 자동 출차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들을 모드 선택부(140)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주차 조향 보조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주차 궤적에 따른 주차 대상 차량(300)의 전후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대상 차량(300)이 주차 궤적에 따라 후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후진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주차 조향 보조 과정을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주차 상황에 따른 기어 변경 요청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는 모드 입력 요청을 음성으로 안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해당하는 모드의 실행 여부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한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은 전술한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에서 수행되므로, 서로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으나, 당업자는 전술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는 도 2의 실행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에 따라 제1 차량(310) 및 제2 차량(320)과 주차 대상 차량(300)의 탐색 거리를 스캔하여 경계 궤적(330)을 생성한다(단계 S210). 보다 상세하게는,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주차 대상 차량(300)과 복수의 장애물들(310 및 320) 사이의 탐지 거리에 대한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경계 궤적 생성부(11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거리 정보들을 기반으로 주차 대상 차량(300)으로부터 각각의 탐지 거리만큼 떨어진 복수의 점들을 연결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장애물들의 외곽선이 경계 궤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경계 궤적(330)을 이루는 복수의 점들 중 탐지 거리가 기준 탐지 거리 이상인 점(340)부터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350a, 350b 및 360c)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생성한다(단계 S220). 여기에서, 기준 탐지 거리는 주차 대상 차량(300)에 있는 초음파 센서의 최대 탐지 거리 이하일 수 있다.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각각의 원의 교차점(360)을 제1 차량(310)의 에지 포인트로 결정한다(단계 S230). 단계(S230)에서,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단계(S210)에서 생성된 원들 중 세 개 이상의 원이 모두 교차되는 점을 에지 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 대상 차량(300)과 복수의 장애물들 간의 탐지 거리는 주차 대상 차량(300)이 이동함에 따라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원을 생성하면, 생성된 원들이 모두 교차되는 교차점이 형성될 수 있다.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 (100)는 생성된 원들 중 세 개 이상의 원이 모두 교차되는 점을 에지 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생성한 원들은 두 점에서 교차될 수 있으나, 두 점들 중 경계 궤적에 형성되거나 경계 궤적과 보다 가까운 점만을 고려할 수 있다.
단계 S21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제1 차량(31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2 차량(320)을 향해 전진하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도 3, 300b => 300a)에 따라 제1 차량(310) 및 제2 차량(320)과 주차 대상 차량(300)의 탐색 거리를 스캔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1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제2 차량(310)을 지나 주차 공간을 가로질러 제1 차량(310)을 향해 전진하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도 5, 300a => 300b)에 따라 제1 차량(310) 및 제2 차량(320)과 주차 대상 차량(300)의 탐색 거리를 스캔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1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오차 범위를 가지는 경계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주차 대상 차량(300)과 근접한 장애물의 경계 궤적을 이루는 복수의 점들 중 특정 점들 각각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주차 대상 차량(300)과 제1 차량(310)의 경계 궤적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주차 대상 차량(300)과 제2 차량(320)의 경계 궤적을 이용할 수 있다.
단계 S2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차량의 이동 속도에 따른 경계 궤적의 오차 범위에 따라 특정 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350a, 350b 및 360c)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차량의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상이면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하일 때보다 좁은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350a, 350b 및 360c)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100)는 차량의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하이면 주차 대상 차량(300)의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상일 때보다 넓은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350a, 350b 및 360c)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
110: 경계 궤적 생성부
120: 에지 포인트 결정부
130: 조향 보조 제어부
140: 모드 선택부
150: 휠 구동부
160: 경고음 발생부
1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10)

  1. 장애물과 근접한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도록 상기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를 결정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에서 실행되는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센서로부터 상기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탐지 거리에 대한 거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수신된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으로부터 각각의 탐지 거리만큼 떨어진 복수의 점들을 연결한 경계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경계 궤적을 이루는 복수의 점들 중 상기 탐지 거리가 기준 탐지 거리 이상인 점부터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원들 중 세 개 이상의 원이 모두 교차되는 점을 상기 경계 궤적의 에지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탐지 거리는
    상기 차량에 있는 초음파 센서의 최대 탐지 거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탐지 거리를 스캔하여 경계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오차 범위를 가지는 경계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점들 중 탐지 거리가 기준 탐지 거리 이상인 점부터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에 따른 경계 궤적의 오차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범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원의 교차점을 상기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있는 휠의 조향각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6. 장애물과 근접한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도록 상기 장애물의 에지 포인트를 결정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센서로부터 상기 장애물과 상기 차량 사이의 탐지 거리에 대한 거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수신된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으로부터 각각의 탐지 거리만큼 떨어진 복수의 점들을 연결한 경계 궤적을 생성하는 경계 궤적 생성부; 및
    상기 경계 궤적을 이루는 복수의 점들 중 상기 탐지 거리가 기준 탐지 거리 이상인 점부터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원들 중 세 개 이상의 원이 모두 교차되는 점을 상기 경계 궤적의 에지 포인트로 결정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부를 포함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탐지 거리는
    상기 차량에 있는 초음파 센서의 최대 탐지 거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궤적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오차 범위를 가지는 경계 궤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포인트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에 따른 경계 궤적의 오차 범위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다른 점들 각각의 탐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있는 휠의 조향각을 산출하는 조향 보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 포인트 결정 장치.
KR1020120149367A 2012-12-20 2012-12-20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470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367A KR101470101B1 (ko) 2012-12-20 2012-12-20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367A KR101470101B1 (ko) 2012-12-20 2012-12-20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027A KR20140080027A (ko) 2014-06-30
KR101470101B1 true KR101470101B1 (ko) 2014-12-05

Family

ID=5113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367A KR101470101B1 (ko) 2012-12-20 2012-12-20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732B1 (ko) * 2015-12-11 2017-05-1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주차 공간 탐색을 위한 모서리 검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3633B (zh) * 2018-12-20 2020-12-15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可停车位的检测方法及装置
CN110588638B (zh) * 2019-09-24 2021-06-25 威马智慧出行科技(上海)有限公司 自动泊车控制方法、电子设备及汽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99B1 (ko) * 2007-07-20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진궤적을 포함하는 주차궤적을 제공하는 차량의 자동주차 시스템
JP2012146024A (ja) * 2011-01-07 2012-08-02 Denso Corp 駐車空間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99B1 (ko) * 2007-07-20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진궤적을 포함하는 주차궤적을 제공하는 차량의 자동주차 시스템
JP2012146024A (ja) * 2011-01-07 2012-08-02 Denso Corp 駐車空間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732B1 (ko) * 2015-12-11 2017-05-1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주차 공간 탐색을 위한 모서리 검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027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5179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assistance method
KR101365498B1 (ko) 차량의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60068187A1 (en) Parking assist device
JP4962739B2 (ja) 駐車支援装置
KR20130106940A (ko) 차량의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282730B2 (ja) 運転支援装置
JP2010018180A (ja)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US20210402986A1 (en) Vehicle control device
KR20150058903A (ko)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맵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JP2014159182A (ja) 駐車空間検知装置
KR101470101B1 (ko) 에지 포인트 결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4086060B2 (ja) 点列の近似方法および点列の近似装置
KR101438920B1 (ko)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449152B1 (ko)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5786833B2 (ja) 駐車支援装置
KR20150028492A (ko) 조향 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362744B1 (ko)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5012670B2 (ja) 駐車支援装置、駐車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7792175B (zh) 出库辅助装置
KR20170058598A (ko) 주차 지원 장치 및 그의 주차 제어 방법
KR20110105233A (ko) 차량의 자동주차 장치
KR101438930B1 (ko)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N110364023B (zh) 驾驶辅助系统和方法
KR101438944B1 (ko) 주차 공간 내 물체 인식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438919B1 (ko) 주차 조향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