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121B1 -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6121B1 KR101436121B1 KR1020120086590A KR20120086590A KR101436121B1 KR 101436121 B1 KR101436121 B1 KR 101436121B1 KR 1020120086590 A KR1020120086590 A KR 1020120086590A KR 20120086590 A KR20120086590 A KR 20120086590A KR 101436121 B1 KR101436121 B1 KR 1014361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zyme
- fermented beverage
- fermented
- mixture
- plants
- Prior art date
Links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5000019985 fermented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SRBFZHDQGSBBOR-IOVATXLUSA-N D-xyl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O)[C@H](O)[C@H]1O SRBFZHDQGSBBOR-IOVATXLU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IIZPXYDJLKNOIY-JXPKJXOSSA-N 1-palmit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CC IIZPXYDJLKNOIY-JXPKJXOS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PYMYPHUHKUWMLA-UHFFFAOYSA-N arabinose Natural products OCC(O)C(O)C(O)C=O PYMYPHUHKUWML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SRBFZHDQGSBBOR-UHFFFAOYSA-N beta-D-Pyranose-Lyxose Natural products OC1COC(O)C(O)C1O SRBFZHDQGSBBO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 Posanin Chemical compound 0.000 claims 1
- 229940122618 Trypsin inhibitor Drugs 0.000 claims 1
- 101710162629 Trypsin inhibitor Proteins 0.000 claims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1
- GOMNOOKGLZYEJT-UHFFFAOYSA-N isoflavone Chemical compound C=1OC2=CC=CC=C2C(=O)C=1C1=CC=CC=C1 GOMNOOKGLZYEJT-UHFFFAOYSA-N 0.000 claims 1
- CJWQYWQDLBZGPD-UHFFFAOYSA-N isoflavone Natural products C1=C(OC)C(OC)=CC(OC)=C1C1=COC2=C(C=CC(C)(C)O3)C3=C(OC)C=C2C1=O CJWQYWQDLBZGPD-UHFFFAOYSA-N 0.000 claims 1
- 235000008696 isoflavones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2753 trypsin inhibitor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11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3
- 241001330002 Bambus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239226 Scorpione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45665 Taraxac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187 Taraxacum officinale ssp.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464 cereal gra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075850 Avena orient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319 Avena orient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5561 Musa balbis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8422 Rhododendron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161 mammalian embryo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3388 Bacillus thuring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189548 Chrysanthemum x mor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371652 Curvularia clav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955 Equisetum hyemal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805 Musa ABB Gro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66 Plantago maj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42 Tryps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31 Tryp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97012 bacillus thuringiensi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31 for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88 tryp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YGDTMLNYKFZSV-URKRLVJHSA-N (2s,3r,4s,5s,6r)-2-[(2r,4r,5r,6s)-4,5-dihydroxy-2-(hydroxymethyl)-6-[(2r,4r,5r,6s)-4,5,6-trihydroxy-2-(hydroxymethyl)oxan-3-yl]oxyoxan-3-yl]oxy-6-(hydroxymethyl)oxane-3,4,5-tri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H](CO)O[C@@H](OC2[C@H](O[C@H](O)[C@H](O)[C@H]2O)CO)[C@H](O)[C@H]1O FYGDTMLNYKFZSV-URKRLVJH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34 Actinidia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8697 Actinidia delic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36 Actinidia delic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6764 Ailanthus triphy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99808 Allium atrorub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99147 Ananas como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19 Ananas como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30 Armoracia rust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291 Armoracia rust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439 Aspergillus oryz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58 Avena s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4107 Bacillus mega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98 Beta-gluc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9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647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25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78937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936 Bromus ma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21 Ca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55 Carthamus tinctor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0518 Carthamus tinc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07116 Castanospermum austr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250 Chrysanthe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560 Citrus x paradis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50 Crude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8871 Echinochloa crus-gal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8955 Echinoderm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66 European mistleto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623 Fragaria ves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63 Fragaria x anana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72 Gardenia jasmin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522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7823 Hydrangea macrophy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86 Hydrangea macrophy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953 Hypo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168 La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472 Leucaena leucocepha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43 Leucaena leuco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70406 Malus silvest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826 Mangifera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228 Mangifera in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351 Mela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657 Menopaus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90 Musa x paradis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8846 Ov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72 Persea amer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673 Persea amer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582 Pisum sativ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713 Pis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27 Prunus armen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18633 Prunus armen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809 Prunus per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40 Prunus persica var per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100037486 Reverse transcriptase/ribonuclease H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52640 Rhipsalis cassuth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300 Rhipsalis cassuth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593344 Rhizopus microspo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357 Ribes grossular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71263 Ribes gross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651 Rubus glau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34 Rubus glauc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2 Rubus idae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2281 Saur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056 Sec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38 Secale cere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29 Sorghum propinq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84 Spondias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84 Trigonella foenum grae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50129 Trigonella foenum grae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SQUKJJJFZCRTK-UHFFFAOYSA-N Urea Chemical compound NC(N)=O XSQUKJJJFZCR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2295 Vigna mung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16 Vigna mu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39 alpha-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37 alpha-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4171 alpha-amyla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2531 ano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79 black be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11 capsicum annu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2 carb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742 colon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85 cor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7 cor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428 decreased appet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3 hypoten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5 micronutr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9 micro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2253 ov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33 prote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9 proteas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18 seed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59 skin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4 squa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3 trace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9 trace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9 trigonella foenum-grae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미생물 복합균주를 곡물과 함께 발효시켜 식물효소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식물 효소에 맛과 향을 나도록 첨가제를 첨가하여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를 제조함으로써, 남녀 노소 누구나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준비된 다종류의 곡물 및 식물을 각각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를 통하여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세척된 곡물 및 식물을 각각의 발효조에 미생물 복합균주와 함께 투입시켜 발효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의해 발효된 각각의 발효조로부터 효소액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의해 추출된 효소액을 혼합조에 투입한 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숙성조에 투입시켜 혼합물에 포함된 효소를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단계에 의해 숙성된 혼합물을 저장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생물 복합균주를 곡물 또는 식물과 함께 발효시켜 식물효소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식물 효소에 맛과 향을 나도록 첨가제를 첨가하여 기타발효음료를 제조함으로써, 남녀 노소 누구나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효소(enzyme)란 생명체 내에서 화학반응의 촉매가 되는 여러 가지 미생물로부터 생기는 유기화합물로, 동물, 식물 등 모든 생물의 세포는 여러 종류의 효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그러한 효소의 촉매작용에 의하여 생명이 유지된다.
즉, 효소는 세포 안에 널리 분포하면서 생명체의 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것이다.
그러한 효소의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식품이 효소식품으로, 여기에는 곡류·과일·채소 자체의 효소와 미생물들의 발효 및 숙성과정을 통하여 각종 생리활성물질과 영양소들을 생성시키고 유익균들을 증식시켜 소화·흡수를 돕는 각종 미량원소 및 생리활성물질들이 풍부하게 들어있다(참조: Huh, S.H. and Kim, M. H. The modern health and health food, Hongikjea press. Korea, 35-36 (1997)).
상기 효소식품은 크게 곡류효소식품, 배아효소식품, 과채류효소식품 등으로 분류된다. 곡류효소식품은 60% 이상의 곡류를 함유하여 가공된 식품이고, 배아효소식품은 곡물의 배아가 40% 이상 함유되어 가공된 식품이며, 과채류효소식품은 60%이상의 과채류를 함유하여 가공된 식품이다. 이 외에, 곡류곡물배아 및 과채류 이외의 성분을 주원료(식물성원료 60%이상)로 하여 가공한 기타효소식품 등이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분류 중 곡류효소식품에 속하게 된다.
일반적인 효소식품의 제조공정은 원료식품을 수세, 정선 및 증자하여 원료에 함유된 천연의 균들을 제거한 후, 주로 전분이나 단백질 분해효소의 생산능력이 높은 종균을 첨가하고 일정 조건하에서 36-48시간 동안 배양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배양이 끝나면 배양에 의해서 생성된 효소와 각종 유용 미생물의 사멸이 없는 온도조건하에서 건조하는 단계 및 여기에 비타민 등 미량 영양소를 부가하여 성형을 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 효소식품의 효능은 효소의 활성도 및 그 유지에 달려있다. 따라서, 온도, 습도 또는 공기 조절 등과 같은 효소화과정(발효·숙성)의 조건이 매우 까다롭고 엄격히 지켜져야 하며, 잡균의 혼입 등과 같은 위생조건에도 민감하게 작용하므로 제품생산 후에도 습기나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등의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품질규격은 성분배합기준과 성상, 수분·조단백질함량 및 대장균에 관한 사항만을 규정해 놓았을 뿐, 가장 중요한 요소인 효소와 관련하여서는 단지 알파-아밀라아제와 프로티아제의 활성이 양성반응일 것만을 규정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참조: 이은주, 이철호, 한국식품과학회지, 461-468 (2001)).
이러한 효소관련규정의 부재때문에, 시판중인 효소식품들의 효소활성 측정결과들은 매우 다양한 효소활성들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질적으로 효소활성이 높은 건강식품들은 매우 드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77891호와 같이 고활성 효소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대두, 검은콩, 쌀보리, 현미 및 율무를 수침 및 증자시키는 전처리단계; 곰팡이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KCTC-6373, 리조푸스 마이크로스포루스(Rhizopus microsporus)KCTC-1778 및 세균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Bacillus megaterium) SMY-212을 배양하는 단계; 상기 증자시킨 곡류에 상기 배양한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상기 종균을 접종한 곡류를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가 끝난 곡류를 건조 및 분말화하는 단계; 및 분말화한 발효곡류에 첨가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활성 효소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활성 효소식품이 게시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고활성 효소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활성 효소식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곡물류를 증자시키게 되므로, 고온의 열로 인하여 곡물류에 있는 효소가 소멸되는 것을 감안하여 배양 단계 후 배양한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활성 효소식품을 제조함에 있어 구성이 매우 복잡해 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생물 복합균주를 곡물과 함께 발효시켜 식물효소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식물 효소에 맛과 향을 나도록 첨가제를 첨가하여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를 제조함으로써, 남녀 노소 누구나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레시틴, 포사닌, 이소프라본, 트립신인히비터의 영양성분이 들어 있는 백태와, 수용성 섬유소와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는 통귀리와, 체내의 노폐물이나 유해 금속을 배출시킬 수 있는 미강으로 구성되어 준비된 곡물 및 식물을 각각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를 통하여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세척된 곡물 및 식물을 각각의 발효조에 미생물 복합균주와 함께 투입시켜 발효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의해 발효된 각각의 발효조로부터 효소액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의해 추출된 효소액을 혼합조에 투입한 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숙성조에 투입시켜 혼합물에 포함된 효소를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단계에 의해 숙성된 혼합물을 저장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에 있어서,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과, 상기 효소 추출물에 맛과 향을 갖도록 자일리톨과 허브가 1:1의 중량비율 또는 자일로스와 허브가 1:1의 중량비율 또는 포도당과 허브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첨가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에 따르면, 미생물 복합균주를 곡물과 함께 발효시켜 식물효소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식물 효소에 맛과 향을 나도록 첨가제를 첨가하여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를 제조함으로써, 남녀 노소 누구나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를 제조가능하도록 미생물 복합균주를 곡물과 함께 발효시켜 식물 효소를 추출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준비된 다종류의 곡물 및 식물을 각각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를 통하여 세척하는 단계(S110)와, 상기 단계(S110)에 의해 세척된 곡물 및 식물을 각각의 발효조에 미생물 복합균주와 함께 투입시켜 발효하는 단계(S120)와, 상기 단계(S120)의 의해 발효된 각각의 발효조로부터 효소액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S130)와, 상기 단계(S130)의 의해 추출된 효소액을 혼합조에 투입한 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40)와, 상기 단계(S140)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숙성조에 투입시켜 혼합물에 포함된 효소를 숙성하는 단계(S150)와, 상기 숙성단계(S150)에 의해 숙성된 혼합물을 여과기를 통하여 저장조에 저장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곡물은 레시틴, 포사닌, 이소프라본, 트립신인히비터의 영양성분이 들어 있어 항암 작용을 비롯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지방 합성을 억제하여 비만을 예방하며, 정장 작용을 통해 장운동을 활성화시키 배변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변비를 예방할 수 있는 백태(흰콩)와, 베타-글루칸이라는 일종의 수용성 섬유소가 풍부하여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장내에 존재하는 발암물질의 농도를 희석하여 대장암을 예방시키며, 많은 양의 칼륨이 함유되어 있어 음식을 짜게 먹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등 성인병에 좋은 통귀리와, 체내의 노폐물이나 유해 금속의 배출 능력이 우수하고, 피부에 영양공급, 미백효과, 생체유지능력이 있어 주근깨 피부노화에 좋으며, 위장병, 간장병, 신장병, 감기, 고혈압, 저혈압이 호전되며 식욕부진, 두통, 산후회복, 갱년기 장애, 숙취, 생리불순 등에도 효능을 갖는 미강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세척단계는, 준비된 다수의 곡물 즉, 백태와, 통귀리 그리고 미강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각각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를 통하여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발효단계는, 세척단계에 의해 세척된 백태와, 통귀리 그리고 미강을 각각의 발효조에 미생물 복합균주와 함께 투입시켜 발효하는 단계이다.
이때, 각각의 발효조에 미생물 복합균주와 함께 투입된 백태와, 통귀리 그리고 미강의 발효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발효조의 내부온도는 38℃~42℃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10일 내지 14일 동안 발효시킨다.
한편, 발효조의 온도가 상기한 38℃~42℃를 벗어나게 되면, 발효의 임계점을 벗어나게 되어, 결국 발효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상기 온도 범위로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미생물 복합균주는, 한국식약청에 기탁 보관된, 80여종의 미생물 균주 중에서 본 발명의 목적상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균주이면 족하며, 바람직하기로는 2개의 미생물균주 또는 2개 이상이 혼합된 미생물 복합균주로 구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효소 추출단계는, 발효단계에 의해 백태와, 통귀리 그리고 미강이 미생물 복합균주와 함께 각각 투입된 각각의 발효조에서 효소액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한 효소 추출단계는 발효조의 출구측으로부터 배출되는 발효된 액을 필터부를 통하여 필터링시키면서 각각 백태 효소액과 통귀리 효소액 그리고 미강 효소액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혼합물 제조단계는, 상기 효소 추출단계에 의해 추출된 각각의 효소를 혼합조에 투입시켜 혼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혼합물은, 백태 효소액 40~60wt%와, 통귀리 효소액 20~30wt% 그리고 미강 효소액 20~30wt%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숙성단계는 혼합물 제조단계에 의해 혼합 제조된 혼합물의 효소를 숙성조에 투입시켜 숙성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즉, 상기한 숙성단계는,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에 의해 혼합 제조된 혼합물을 38℃~42℃의 내부온도를 갖는 숙성조에 20시간 내지 26시간 동안 저장하여 혼합물에 포함된 효소를 숙성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방법은, 곡물 즉, 백태(흰콩), 통귀리, 미강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쌀보리쌀, 이팥, 완두콩, 작두콩, 발아찰흑미, 찹쌀, 찰보리, 현미, 흑미, 홍삼찰보리, 강낭콩, 율무, 녹미, 깐녹두, 보리쌀, 서리태, 적두, 발효현미, 수수, 할맥, 압맥, 흑태, 발아찰현미, 차조, 기장, 발아흑미, 진찰흑미, 검정보리, 약쌀, 자일리톨, 딸기, 파인애플, 바나나, 망고, 아보카도, 자몽, 양배추, 배, 키위, 브로컬리, 파프리카, 당근, 토마토, 적양배추, 적양파, 단호박, 복분자, 블루베리, 레몬, 로즈마리, 비트, 가지, 인삼, 장뇌인삼, 차가버섯, 영지버섯, 상황버섯, 운지버섯, 약쑥, 개사철쑥, 익모초, 감, 미나리, 두충나무, 뽕나무, 사철쑥, 두릅나무, 솔잎, 왕질경이, 보리, 대나무, 고구마, 생강, 질경이, 매실, 마, 산사나무, 산수유, 고욤나무, 국화, 꾸지뽕나무, 겨우살이, 고추냉이, 가시오가피, 가죽나무, 가시둥글레, 갓대, 계피, 갯쑥부쟁이, 고들빼기, 고로쇠나무, 곰취, 구절초, 근대, 냉이, 노간주나무, 녹차나무, 다래나무, 대추, 덩굴장미, 달맞이꽃, 도라지, 돌나물, 둥글레, 마늘, 망초, 맥문동, 무화과, 민들레, 마가목, 머우, 모과, 백작약, 백출, 버드나무, 벗나무, 복령, 비자나무, 부추, 산약, 산초나무, 삼백초, 생강나무, 숙지황, 싸리나무, 씀바귀, 수국, 산돌배나무, 산딸기, 소리쟁이, 쇠뜨기, 쇠비름, 아욱, 어성초, 엉컹퀴 연꽃, 오미자, 원추리, 인동초, 작약, 잔대, 진달래, 찔레나무, 주목, 창출, 천마, 천문동, 측백나무, 참느릅나무, 토사자, 탱자, 감초, 당귀, 섣장포, 천궁, 유근피, 오가피, 백수오, 지구자, 구기자, 골담초, 갈근, 황정, 귀전우, 상기생, 상심자, 황기를 발효조에 미생물 복합균주와 함께 각각 투입시킨 후 발효되어 추출된 효소액 중 하나의 효소액 또는 하나 이상의 효소액을 상기 백태 효소액과 통귀리 효소액 그리고 미강 효소액과 함께 혼합조에 혼합시켜 혼합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혼합물은 백태 효소액과 통귀리 효소액 그리고 미강 효소액에 세척된 오이수세미, 쇠비름, 한련초, 까마중잎, 냉이, 찔레순, 민들레, 머위대, 익모초, 솔순, 뽕잎, 단감, 도라지, 칡순, 탱자, 엉컹퀴, 야콘, 달맞이꽃, 차조기, 돌나물, 죽순, 밤호박, 들깨, 소루쟁이, 하수오잎, 은행, 새삼, 쇠뜨기, 산국, 운지버섯, 번초, 닭의 장풀, 녹차잎, 둥굴레, 두릅, 배, 사과, 살구, 복숭아, 토란, 개미취, 구절초, 비름, 엄나무, 두충나무, 치자, 홍화, 서양산사자, 씀바귀, 무청, 케일, 당근, 마늘, 오미자, 갓, 무화과, 신선초, 모과, 느릅나무, 측백, 갈매보리수, 돌배, 가지, 인동, 갯방풍, 부추, 모시풍, 유근피, 천궁, 들미나리, 짚신나물, 꿀풀, 진득찰, 연근, 유채, 한삼덩굴, 황금, 뱀딸기, 줄맨드라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갈색설탕물과 1:1의 중량비율로 각각의 발효조에서 혼합 발효시켜 추출된 효소액과 혼합되어 제조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 혼합물은 혼합되는 요소액에 따라 백태 효소액과, 통귀리 효소액 그리고 미강 효소액의 혼합량(wt%)은 변화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를 추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준비된 백태과 통귀리 그리고 미강을 각각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를 통하여 세척한다.
상기와 같이 세척조를 통하여 세척된 백태과 통귀리 그리고 미강을 40℃의 내부온도를 갖는 각각의 발효조에 한국식약청에 기탁 보관된 2개의 미생물균주와 함께 투입시켜 12일 동안 발효시킨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발효조에서 백태과 통귀리 그리고 미강이 발효되면, 각각의 발효조 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면서 필터부를 통하여 필터링시켜 각각 백태 효소액과 통귀리 효소액 그리고 미강 효소액을 추출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각각의 효소액 즉, 백태 효소액 50wt%와, 통귀리 효소액 25wt% 그리고 미강 효소액 25wt%를 혼합조에 투입시켜 혼합하는 것에 의해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혼합물이 제조되면, 이의 혼합물에 포함된 효소를 숙성시키기 위해 40℃의 내부온도를 갖는 숙성조에 투입시킨 후, 24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이와 같이 혼합물의 숙성이 완료되면, 상기 혼합물을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시킨 후 저장조에 저장시키는 것에 의해 완료된다.
한편,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방법의 의해 추출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는, 상기한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방법에 의해 여과기를 통하여 저장조에 저장된 효소 추축물에 맛과 향을 갖도록 자일리톨과 허브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첨가물 또는, 자일로스와 허브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첨가물 또는 포도당과 허브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첨가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는 혼합물 92wt%~97wt%와, 첨가물 3wt%~8wt%로 이루어진다.
이때, 첨가물이 3wt%~8wt%를 벗어나게 되면, 혼합물의 맛과 향이 떨어지고 아울러 성분이 떨어지게 되어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하여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방법의 의해 추출된 효소 추출물95wt%와 자일리톨과 허브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첨가물5wt%를 혼합시키므로 인해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레시틴, 포사닌, 이소프라본, 트립신인히비터의 영양성분이 들어 있는 백태와, 수용성 섬유소와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는 통귀리와, 체내의 노폐물이나 유해 금속을 배출시킬 수 있는 미강으로 구성되어 준비된 곡물 및 식물을 각각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를 통하여 세척하는 단계(S110)와;
상기 단계(S110)에 의해 세척된 곡물 및 식물을 각각의 발효조에 미생물 복합균주와 함께 투입시켜 발효하는 단계(S120)와;
상기 단계(S120)의 의해 발효된 각각의 발효조로부터 효소액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S130)와;
상기 단계(S130)의 의해 추출된 효소액을 혼합조에 투입한 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40)와;
상기 단계(S140)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숙성조에 투입시켜 혼합물에 포함된 효소를 숙성하는 단계(S150)와;
상기 숙성단계(S150)에 의해 숙성된 혼합물을 저장조에 저장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S140)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은, 백태 효소액 40~60wt%와, 통귀리 효소액 20~30wt% 그리고 미강 효소액 20~30wt%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과,
상기 효소 추출물에 맛과 향을 갖도록 자일리톨과 허브가 1:1의 중량비율 또는 자일로스와 허브가 1:1의 중량비율 또는 포도당과 허브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첨가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는, 효소 추출물 92wt%~97wt%와, 첨가물 3wt%~8w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0729 | 2011-08-12 | ||
KR20110080729 | 2011-08-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8140A KR20130018140A (ko) | 2013-02-20 |
KR101436121B1 true KR101436121B1 (ko) | 2014-09-01 |
Family
ID=4789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6590A KR101436121B1 (ko) | 2011-08-12 | 2012-08-08 |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612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4337B1 (ko) * | 2013-05-30 | 2014-11-25 | 주식회사 아토큐앤에이 |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CN104957633B (zh) * | 2015-07-17 | 2017-06-30 | 唐玉贵 | 植物酵素固体制剂及其制备方法 |
KR101955883B1 (ko) * | 2018-01-26 | 2019-03-07 |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2063484B1 (ko) * | 2018-07-23 | 2020-01-08 | 윤영진 | 효소발효를 통한 호박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호박음료 |
KR102139447B1 (ko) * | 2020-05-12 | 2020-07-29 | 석 철 이 | 잔대를 이용한 음식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102356739B1 (ko) * | 2021-11-17 | 2022-02-09 | 김영희 | 떡갈비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9732A (ko) * | 2002-02-22 | 2003-08-27 | 김원태 | 효소음료의 제조방법 |
KR20100016876A (ko) * | 2008-08-05 | 2010-02-16 | 오춘근 | 다이어트 및 당뇨에 유용한 기능성 혼합곡물 |
KR20110058398A (ko) * | 2009-11-26 | 2011-06-01 | 강곤태 | 식물 복합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 복합 발효액의 이용 방법 |
-
2012
- 2012-08-08 KR KR1020120086590A patent/KR1014361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9732A (ko) * | 2002-02-22 | 2003-08-27 | 김원태 | 효소음료의 제조방법 |
KR20100016876A (ko) * | 2008-08-05 | 2010-02-16 | 오춘근 | 다이어트 및 당뇨에 유용한 기능성 혼합곡물 |
KR20110058398A (ko) * | 2009-11-26 | 2011-06-01 | 강곤태 | 식물 복합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그 복합 발효액의 이용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8140A (ko) | 2013-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564562B (zh) | 果蔬发酵液、果蔬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0593371C (zh) | 红薯汁营养饮品及工艺方法 | |
KR101436121B1 (ko) | 미생물을 이용한 곡물 및 식물의 효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효소 추출물을 이용한 과,채류효소함유 발효음료 | |
KR100971677B1 (ko) | 생약 발효물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 |
CN106360360A (zh) | 一种调味专用新型豆瓣发酵工艺 | |
CN104509907A (zh) | 一种复合植物酵素醋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5476018A (zh) | 分段发酵法生产南丰蜜桔水果酵素的工艺 | |
CN107212195A (zh) | 一种富含sod果蔬汁及其加工方法 | |
CN105265969B (zh) | 多源酵素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7897887A (zh) | 一种糙米酵素的制备方法 | |
KR101261823B1 (ko) | 미생물발효에 의한 활성 효소식품의 제조방법 | |
CN103477864A (zh) | 一种灵芝化方法及其灵芝化产品的生产方法 | |
CN100417336C (zh) | 一种糯玉米酵米面的制备方法及其应用 | |
CN108902934A (zh) | 一种混合酵素的制备方法 | |
KR101701827B1 (ko) | 불릴 필요없는 발효 곡물의 제조방법 | |
CN102676366A (zh) | 一种拐枣醋 | |
CN106901336A (zh) | 一种高原酵素发酵工艺 | |
KR101281839B1 (ko) | 현미를 기조로 하는 유산균 음료의 제조방법 | |
KR101788925B1 (ko) | 유자 스파클링 약주의 제조방법 | |
CN103749797B (zh) | 保健型糙米红茶饮料的制作方法 | |
KR101913277B1 (ko) | 매실발효식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60918B1 (ko) | 셀레늄 및 아연이 융합된 기능성 탁주와 약주의 제조방법 | |
CN107794160A (zh) | 一种谷物蛋白液及其制备方法 | |
KR101262959B1 (ko) | 율무 전처리방법 개량에 의한 율무 발효주 및 이 율무 발효주의 제조방법 | |
KR102691988B1 (ko) | 팽화 처리에 의해 효소활성이 향상된 팽화곡물 발효효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