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458B1 - 전간 투입형 콤바인 및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전간 투입형 콤바인 및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458B1
KR101427458B1 KR1020117025863A KR20117025863A KR101427458B1 KR 101427458 B1 KR101427458 B1 KR 101427458B1 KR 1020117025863 A KR1020117025863 A KR 1020117025863A KR 20117025863 A KR20117025863 A KR 20117025863A KR 101427458 B1 KR101427458 B1 KR 101427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ar
shaped member
thresh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477A (ko
Inventor
요시따께 후꾸오까
유우이찌 분노
유우지 다나까
히로시 아이다
시로오 오꾸다
다꾸지 세가와
후미오 후루노
시게유끼 하야시
사다오 아사꾸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6086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2745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036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6956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036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89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118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7135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11850A external-priority patent/JP47135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14283A external-priority patent/JP549168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1013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6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esh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Abstract

예취부(10)의 정역회전 구동을 저렴하고 또한 구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이 제공된다. 이 콤바인의 탈곡 장치(5)의 주행 기체 전방측에는 전동 케이스(36)가 설치되고, 이 전동 케이스에는 엔진(20)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케이스 입력축(37)과, 케이스 입력축의 구동력을 급동(5a)에 전달하도록 케이스 입력축에 베벨 기어 기구(43)를 통해 연동한 주행 기체 전후 방향의 급동 출력축(38)과, 케이스 입력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케이스 입력축에 베벨 기어 기구를 통해 연동한 예취 출력축(39)을 장비하고 있다. 예취부의 예취 입력축(42)에 정회전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정회전 클러치(40)가 설치되고, 예취 입력축에 역회전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역회전 클러치(41)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간 투입형 콤바인 및 탈곡 장치 {COMBINE AND THRESHING DEVICE MOUNTABLE ON THE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1]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케이스 입력축과, 상기 케이스 입력축의 구동력을 급동(扱胴)에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 입력축 베벨 기어 기구를 통해 연동한 전후 방향의 급동 출력축이 장비된 전동 케이스를 탈곡 장치의 전방측에 설치한 콤바인으로서, 종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콤바인은, 탈곡 장치의 전방면에 장착된 기어 케이스(전동 케이스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어 케이스는, 좌측으로 돌출된 입력축과, 기어 케이스에 내장된 기어 변속 기구와 베벨 기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입력축은, 벨트 전동 기구와, 카운터 케이스의 제1 출력축과, 제1 카운터축과, 벨트 전동 기구를 통해 엔진 출력축에 연동되어 있다. 기어 케이스는 입력축의 구동력을 상기 기어 변속 기구에 의해 변속하고, 베벨 기어 기구에 의해 방향 전환하여 급동에 전달한다(이상, 특허 문헌 1의 단락 [0021], [0022], 도 1 내지 도 4 참조).
또한, 콤바인에 있어서, 예취부의 정회전 구동(forward driving)과 역회전 구동(reverse driving)이 가능한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한 것으로서, 종래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있었다.
특허 문헌 2에는 3종류의 동력 전달 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제1 동력 전달 기구는, 엔진의 출력축의 구동력을 카운터 케이스의 입력축에 전달하고, 이 카운터 케이스의 예취 출력축의 구동력을 예취부의 예취 입력축에 전달하고, 상기 카운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한 동력 절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동력 절환 기구는,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상기 예취 출력축에 전달하는 예취용 전달축에 설치한 기어와 역회전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 출력축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 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동력 절환 기구는, 예취용 전달축의 상기 기어와 상기 슬라이드 기어가 맞물리면, 정회전 방향의 동력을 예취 입력축에 전달하고, 예취용 전달축의 상기 역회전 기어와 맞물려 있는 중간 기어와 상기 슬라이드 기어가 맞물리면, 역회전 방향의 동력을 예취 입력축에 전달한다.
제2 동력 전달 기구는, 엔진의 출력축의 구동력을 유니버설 조인트가 구비된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탈곡 장치측 미션 케이스의 입력축에 전달하고, 이 탈곡 장치측 미션 케이스의 출력축의 구동력을 주행 미션 케이스의 HST에 전달하고, 상기 탈곡 장치측 미션 케이스에 설치한 예취 출력축과, 상기 주행 미션 케이스로부터 돌출한 작업 출력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탈곡 장치측 미션 케이스의 예취 출력축은, 원웨이 클러치와 예취 정회전 클러치를 통해 예취부의 예취 입력축에 동력 전달한다. 상기 주행 미션 케이스의 작업 출력축은 예취 역회전 클러치를 통해 예취 입력축에 동력 전달한다.
예취 정회전 클러치가 연결로 조작되면, 예취 입력축에 정회전의 동력이 전달되고, 예취 역회전 클러치가 입력으로 조작되면, 예취 입력축에 역회전의 동력이 전달된다.
제3 동력 전달 기구는, 엔진의 출력축의 구동력을 유니버설 조인트가 구비된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탈곡 장치측 미션 케이스의 입력축에 전달하고, 이 탈곡 장치측 미션 케이스의 예취 출력축의 구동력을, 벨트와 원웨이 클러치와 예취 정회전 클러치를 통해 예취부의 예취 입력축에 전달하고, 이 예취 입력축의 구동력을 동력 절환 기구를 통해 예취 2축에 전달한다.
상기 동력 절환 기구는, 예취 입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정회전용 베벨 기어와 역회전용 베벨 기어를 구비하고, 정회전용 베벨 기어와 역회전용 베벨 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예취 입력축에 고정된 베벨 기어와, 예취 입력축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된 미끄럼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동력 절환 기구는, 미끄럼 이동 부재를 정회전용 베벨 기어의 홈부에 끼워 넣게 하면, 예취 2축에 정회전의 동력을 전달하고, 미끄럼 이동 부재를 역회전용 베벨 기어의 홈에 끼워 넣게 하면, 예취 2축에 역회전의 동력을 전달한다(이상, 특허 문헌 2의 단락 [0016] 내지 [0023], [0028], [0029], [0033], [0035], [0036], 도 4, 도 6, 도 8 참조).
[2]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콤바인은, 예취부에 정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정회전 클러치와, 상기 예취부에 역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회전 클러치를 구비하고, 정회전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절환 조작함으로써, 예취부를 정회전 구동하여 작업한다. 예취부에 곡간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도, 역회전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절환 조작함으로써 예취부를 역회전 구동할 수 있어, 막힘을 해소하기 쉬운 것이다.
이 콤바인은, 엔진의 출력축에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입력축이 연결된 탈곡측 미션 케이스와, 이 탈곡측 미션 케이스의 출력축에 풀리와 벨트와 입력축을 통해 접속된 HST를 가진 주행 미션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탈곡측 미션 케이스에는, 예취 출력축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예취 출력축은 원웨이 클러치, 출력 풀리, 예취 정회전 클러치, 정회전 풀리를 통해 예취 입력축에 동력 전달한다.
상기 주행 미션 케이스로부터 작업 출력축이 돌출되어 있다. 이 작업 출력축은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상기 출력 풀리를 장착하는 동시에 역회전 입력 풀리를 고정 설치하고 있다. 상기 역회전 입력 풀리는, 예취 입력축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역회전 출력 풀리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벨트에는 예취 역회전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1개의 예취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있고, 이 예취 클러치 레버가 조작됨으로써, 예취 정회전 클러치가 연결로 되어 정회전의 동력이 예취부에 전달되거나, 예취 역회전 클러치가 연결로 되어 역회전의 동력이 예취부에 전달된다.
즉, 예취 클러치 레버는 정회전용 링크 부재와 역회전용 링크 부재의 사이에서 좌우 회전 및 전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레버를 레버 가이드의 연결용 홈에서 정회전측으로 쓰러뜨려 정회전용 링크 부재의 홈에 끼워 맞춤시키고, 레버 가이드의 정회전용 홈에서 전방으로 미끄럼 이동 조작한다. 그러면, 정회전용 링크 부재가 회전하여 이것의 장착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장착부에 연결되어 있는 정회전용 클러치 와이어가 인장되어 예취 정회전 클러치가 연결 조작된다.
한편, 예취 클러치 레버를 레버 가이드의 연결용 홈에 있어서 역회전측으로 쓰러뜨려 역회전용 링크 부재의 홈에 끼워 맞춤시키고, 레버 가이드의 역회전용 홈에 전방으로 미끄럼 이동 조작한다. 그러면, 역회전용 링크 부재가 회전하여 이것의 장착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장착부에 연결되어 있는 역회전용 클러치 와이어가 인장되어 예취 역회전 클러치가 입력 조작된다(이상, 특허 문헌 2의 단락 [0028] 내지 [0033], 도 6, 도 7 참조).
[3] 또한, 상기와 같은 콤바인에 탑재되는 탈곡 장치에는, 종래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급실에 공급된 예취 곡간에 대해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동을 구비하고, 또한 그 급동 구조로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직동(直胴) 부분의 외주에 나선 형상의 급치(扱齒) 등을 구비하여 급동을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
또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급동 본체의 외주에 V형으로 굴곡 형성된 복수의 급치 등을 구비하여 급동을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4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공개특허 평11-266670호 공보(JP11-266670A)
특허 문헌 2 : 일본공개특허 제2004-121123호 공보(JP2004-121123A)
특허 문헌 3 : 일본공개특허 평11-266666호 공보(JP11-266666A)
특허 문헌 4 : 일본공개특허 제2006-67910호 공보(JP2006-067910A)
[1] 배경 기술[1]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콤바인에 있어서, 예취부에 막힘이 발생한 경우, 예취부를 작업시에 구동되는 정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으면, 막힘을 해소하기 쉬워진다.
예취부의 정역회전 구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채용한 경우, 정역회전 절환 기구의 전체를 전동 케이스 또는 예취 입력축에 장비하거나, 혹은 주행용의 전동계로부터 역회전 동력을 취출하여 예취 입력축에 전달하는 역회전 전동 기구를 장비하게 된다. 그러면, 정역회전 절환 기구나 역회전 전동 기구의 제작이나 장비로 인해 비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전동 장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취부의 정역회전 구동을 저렴하고 또한 구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2] 배경 기술[2]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정회전 클러치와 역회전 클러치의 절환 조작에 의한 예취부의 정역회전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데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채용하면, 클러치 조작구를 정회전 클러치에 연계한 상태와, 역회전 클러치에 연계한 상태로 절환하는 연계 절환 기구를 장비해야 해, 클러치 조작구와 클러치를 연계시키는 데 복잡한 구조의 연계 기구가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회전 클러치와 역회전 클러치가 모두 연결 상태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예취부를 정역회전 구동할 수 있으면서, 클러치와 클러치 조작구와의 연계의 면으로부터 구조 간단하게 얻을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3] 배경 기술[3]에 대응하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급실의 대부분이 급동의 배치 공간에 사용되고, 급동의 주위에 남는 좁은 공간만이 탈곡 처리용의 처리 공간으로서 이용되므로, 고속 작업시 등에 의해 대량의 예취 곡간이 탈곡 처리물로서 급실에 공급된 경우에는, 그 처리 공간이 포화될 우려가 있고, 그 포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처리 공간에 탈곡 처리물이 체류함으로써, 충분한 탈곡 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채로 탈곡 처리물이 수망(受網)으로부터 걸러 내려지는 문제나, 탈곡 처리에 필요로 하는 부하가 증대되어 급동에 대한 전동계 등이 손상되는 문제 등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곡 처리물이 대량으로 공급된 경우라도 탈곡 처리에 필요로 하는 부하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 없이, 탈곡 처리물에 대해 충분한 탈곡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처리 능력이 우수한 급동 구조를 갖는 탈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과제[1]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이하와 같다.
급동을 구비한 탈곡 장치와 엔진을 주행 기체(機體)에 탑재하고,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부에 예취부를 설치한 콤바인이며,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케이스 입력축과, 상기 케이스 입력축의 구동력을 급동에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 입력축에 베벨 기어 기구를 통해 연동한 전후 방향의 급동 출력축이 장비된 전동 케이스를,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측에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 입력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케이스 입력축에 상기 베벨 기어 기구를 통해 연동한 예취 출력축을 상기 전동 케이스에 장비하고,
예취부의 예취 입력축에 정회전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 입력축과 상기 예취 출력축의 한쪽과 상기 예취 입력축을 연동시키는 정회전 클러치를 설치하고,
상기 예취부의 상기 예취 입력축에 역회전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 입력축과 상기 예취 출력축의 다른 쪽과 상기 예취 입력축을 연동시키는 역회전 클러치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본 구성에 따르면, 정회전 클러치가 연결 상태로 조작되고, 역회전 클러치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면, 케이스 입력축과 예취 출력축 중 정회전 클러치가 연동하고 있는 쪽의 구동력이 예취 입력축에 전달된다. 그러면, 케이스 입력축의 회전 방향과 예취 출력축의 회전 방향은, 베벨 기어 기구로 인해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예취 입력축이 정회전 구동된다.
한편, 정회전 클러치가 해제 상태로 조작되고, 역회전 클러치가 연결 상태로 조작되면, 케이스 입력축과 예취 출력축 중 역회전 클러치가 연동하고 있는 쪽의 구동력이 예취 입력축에 전달된다. 그러면, 케이스 입력축의 회전 방향과 예취 출력축의 회전 방향은, 베벨 기어 기구로 인해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예취 입력축이 역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예취부에 막힘이 발생해도, 예취부를 역회전 구동하여 막힘을 해소하기 쉬운 것이면서, 베벨 기어 기구를 회전 방향 변환 수단에 이용하여 저렴하게 얻을 수 있고, 또한 전동 장치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하게 완성할 수 있어 최대한 경량으로 얻을 수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케이스 입력축과 상기 예취 출력축이 상기 급동 출력축을 사이에 두고 주행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케이스 입력축과 예취 출력축이 주행 기체 횡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로 배열되어, 전동 케이스의 주행 기체 측면에서 볼 때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취부를 역회전 구동하여 막힘을 해소하기 쉬운 것을, 전동 케이스를 탈곡 장치의 전방측에 콤팩트하게 배치한 간소한 상태로 얻을 수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역회전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인위 조작에 의해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예취부를 역회전 구동하여 막힘을 해소하기 쉬운 것을, 예취부의 역회전 구동에 의한 트러블 발생을 회피하기 쉬운 상태로 얻을 수 있다.
즉, 예취부가 장시간에 걸쳐 역회전 구동되면, 예취부의 장치에 무리한 힘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본 제3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역회전 클러치의 연결 상태로의 유지를 의식적으로 행해야 한다. 이에 의해, 예취부를 역회전 구동하는 것에 있어서, 역회전 클러치의 연결 상태로의 절환 조작을 간헐적으로 행하는 등, 예취부의 역회전 구동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기 쉽다.
[2] 과제[2]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이하와 같다.
급동을 구비한 탈곡 장치와 엔진을 주행 기체에 탑재하고,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부에 예취부를 설치한 콤바인이며,
상기 예취부에 정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정회전 클러치와, 상기 예취부에 역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회전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정회전 클러치를 절환 조작하는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와, 상기 역회전 클러치를 절환 조작하는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정회전 클러치가 연결 상태에 있으면, 상기 역회전 클러치의 연결 상태로의 절환 조작을 견제한 작용 상태로 절환되고, 상기 정회전 클러치가 해제 상태에 있으면, 상기 견제를 해제한 해제 상태로 절환되는 견제 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본 구성에 따르면, 정회전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한 상태에서 역회전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절환하려고 해도, 견제 기구의 작용에 의해 역회전 클러치가 연결 상태로 절환되지 않는다. 그러면, 정회전 클러치를 절환 조작하는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와, 역회전 클러치를 절환 조작하는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를 각각 설치해도, 정회전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한 상태로 하여 역회전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정회전 클러치와, 이것의 조작구로서의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를 항시 연계한 상태에서 연계시킬 수 있어, 역회전 클러치와, 이것의 조작구로서의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를 항시 연계한 상태에서 연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회전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한 상태에서 역회전 클러치가 연결 상태로 절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예취부를 정역회전 구동할 수 있는 것을, 정회전 클러치에도 역회전 클러치에도 조작구를 연계시킨 상태의 구조 간단한 것으로 하여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견제 기구는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와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의 한쪽에 일체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킨 견제체와,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와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의 다른 쪽에 설치한 접촉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의 연결 위치로의 절환을 견제함으로써, 역회전 클러치의 연결 상태로의 절환을 견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와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의 한쪽에 견제체를 일체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와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의 다른 쪽에 접촉부를 설치할 뿐인 간단한 구조로 견제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회전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한 상태에서 역회전 클러치가 연결 상태로 절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예취부를 정역회전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클러치와 조작구의 연계의 면뿐만 아니라, 견제 기구의 면에서도 구조 간단한 것으로 하여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3] 과제[3]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이하와 같다.
콤바인에 탑재되는 탈곡 장치이며,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급실에 공급된 예취 곡간에 대해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동을 구비하고,
상기 급동을, 상기 지지축을 따르는 자세로, 상기 급동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와, 그들 막대 형상 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축의 전후에 구비한 지지 부재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각각에, 상기 막대 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급동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자세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장비되는 복수의 급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본 구성에 따르면, 급동은 그 내부에 급실에 연통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그 내부 공간으로의 탈곡 처리물의 인입을 허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그 회전 작동시에는 그 주위의 탈곡 처리물과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탈곡 처리물을 교반하면서, 그들 탈곡 처리물에 대해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나 급치의 타격이나 훑기 등에 의한 탈곡 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즉, 대량의 예취 곡간이 탈곡 처리물로서 급실에 공급된 경우라도, 급동의 내부 공간을 탈곡 처리용의 처리 공간으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으므로, 처리 공간에서의 탈곡 처리물의 체류나 처리 공간의 포화를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탈곡 처리물의 체류나 처리 공간의 포화에 기인한, 충분한 탈곡 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탈곡 처리물이 수망으로부터 걸러 내려지는 문제나, 탈곡 처리에 필요로 하는 부하가 증대되어 급동에 대한 전동계가 손상되는 문제 등의 발생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를, 급동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배치한 것으로, 막대 형상 부재에 대한 긴 짚의 권취를 방지할 수 있어, 그 권취에 기인한 탈곡 처리물의 체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급동의 회전 작동시에는, 복수의 급치뿐만 아니라, 급동의 동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까지도 탈곡 처리물에 대해 타격이나 훑기에 의한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 처리 부재로서 기능하게 되므로,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급동에, 그 내부 공간을 전후로 이격하는 구획 부재(중간 지지 부재)를 장비하고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한층 유리해진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구획 부재에 의해 급동의 전방부측에서의 탈곡 처리에 의해 단립화된 곡립이나, 탈곡 처리의 초기 단계에서 급동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미탈립 곡간 등의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으로의 유동이 억제되고, 또한 그 단립화 곡립이나 미탈립 곡간 등이, 급동의 회전과 함께 급동의 주위로 유도되게 되므로, 단립화 곡립이나 미탈립 곡간 등이 급동의 내부 공간을 그냥 지나쳐, 탈립(脫粒) 곡간과 함께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 단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에 기인한 3번 로스(tertiary loss)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처리물이 대량으로 공급된 경우라도, 탈곡 처리에 필요로 하는 부하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 없이, 탈곡 처리물에 대해 충분한 탈곡 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또한 3번 로스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부하의 증대에 기인한 급동 전동계 등의 손상을 회피하면서 탈곡 성능이나 곡립 회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내구성이나 처리 능력이 우수한 탈곡 장치의 급동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선별풍을 일으키는 풍구(winnowing fan)를 장비하는 동시에, 상기 풍구로부터의 선별풍을 상기 구획 부재를 향해 유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한층 유리하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구획 부재에 의해 막힌 탈곡 처리물이, 풍구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구획 부재의 주위(급동의 주위)를 향해 여기저기 흩뜨려져 급동의 회전과 함께 구획 부재의 주위로부터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해 유동하게 되므로, 구획 부재의 직전 부위에서 탈곡 처리물이 퇴적될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처리물의 퇴적에 기인한 처리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급동의 상부측이 천장판에 의해 덮이고, 상기 천장판에, 상기 급동의 회전 구동에 따라서 상기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해 안내하는 복수의 먼지 이송 밸브를 장비하고 있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급실에 공급된 예취 곡간은, 급동의 회전에 따라서 복수의 급치에 의한 많은 타격이나 훑기에 의한 탈곡 작용을 받으면서, 급실의 상부를 향해 반송되고, 급실의 상부에 도달하는 것에 따라서 복수의 먼지 이송 밸브에 의해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해 안내되게 된다.
즉, 급동에 복수의 급치를 구비하여, 탈곡 처리물에 대한 급치의 타격이나 훑기 등에 의한 적합한 탈곡 작용을 충분히 얻어지도록 하면서도, 탈곡 처리물을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해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급치를, 예를 들어 급동의 회전에 따라서 탈곡 처리물을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해 안내하는 안내부 등을 갖도록 형성하면,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한 탈곡 처리물의 반송을 보다 양호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탈곡 처리물에 대한 타격이나 훑기만을 행하는 탈곡 전용의 형상으로 형성하면, 탈곡 처리물에 대한 보다 적합한 탈곡 작용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탈곡 처리물의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으로의 반송을 주로 먼지 이송 밸브에 행하게 함으로써,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한 탈곡 처리물의 반송 성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탈곡 성능이나 곡립 회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간(全稈) 투입형 콤바인의 탈곡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이송 밸브는, 상기 천장판의 좌우 양측 모서리부에 걸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있으면, 천장판에 장비되는 먼지 이송 밸브의 길이를 충분히 긴 것으로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먼지 이송 밸브에 의한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한 탈곡 처리물의 반송 안내를 보다 양호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급치에 의한 탈곡 성능이나 곡립 회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면서,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한 탈곡 처리물의 반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판을, 상기 급동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급치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을 대략 따라서 만곡하도록 형성하고 있으면, 급동의 회전에 따라서 급실의 상부로 반송된 탈곡 처리물을, 천장판이나 먼지 이송 밸브를 따르게 하면서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의 하방을 향해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급치에 의한 탈곡 성능이나 곡립 회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면서,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한 탈곡 처리물의 반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천장판으로의 충돌에 의한 곡립의 손상 등을 회피할 수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급동의 전단부에, 그 전단부를 향해 공급 반송된 예취 곡간을, 상기 급동의 회전에 따라서 후방을 향해 그러모음 반송하는 나선 날개를 장비하고, 상기 나선 날개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나선 날개가, 장기에 걸친 예취 곡간 등과의 심한 접촉에 의해 현저하게 마모된 경우에는, 마모된 나선 날개만을 교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나선 날개를 용접 등에 의해 급동의 전단부에 착탈 불가능하게 장비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나선 날개의 교환에 필요로 하는 수고나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고, 그 결과, 마모된 나선 날개의 교환을 행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마모된 나선 날개의 교환을 행하기 쉬워지는 것에 의해, 나선 날개의 마모를 방치한 경우에 초래되는 것인, 예취 곡간에 대한 나선 날개의 그러모음 반송 작용이 저하되고, 그 저하에 따라서 탈곡 처리 능력이 저하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급동의 전단부에 대해 나선 날개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개량을 실시함으로써, 나선 날개의 마모에 대한 적절한 처치를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나선 날개의 마모에 기인한 탈곡 처리 능력의 저하를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급동의 하방에, 상기 급동의 전단부를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급동의 전단부를 향해 공급 반송된 예취 곡간을 받아내어, 상기 나선 날개에 의한 예취 곡간의 그러모음 반송을 보조하는 반송 보조 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반송 보조 가이드를, 그 적어도 상기 급동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착탈 가능해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면, 반송 보조 가이드가 장기에 걸친 예취 곡간 등과의 심한 접촉에 의해 현저하게 마모된 경우에는, 마모된 반송 보조 가이드만을 교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반송 보조 가이드를, 용접 등에 의해 지지 프레임 등에 착탈 불가능에 장비한 경우에 비교하여, 마모된 반송 보조 가이드의 교환에 필요로 하는 수고나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고, 그 결과, 마모된 반송 보조 가이드의 교환을 행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마모된 반송 보조 가이드의 교환을 행하기 쉬워지는 것에 의해, 반송 보조 가이드의 마모를 방치한 경우에 초래되는 것인, 나선 날개와 반송 보조 가이드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커지는 것에 기인하여, 예취 곡간에 대한 나선 날개의 그러모음 반송 작용이 저하되고, 그 저하에 따라서 탈곡 처리 능력이 저하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그런데, 급동의 회전에 따라서 나선 날개에 의해 후방을 향해 그러모음 반송되는 예취 곡간 등은, 급동의 회전에 의한 영향을 받아 반송 보조 가이드에 있어서의 급동의 회전 방향 하류측 부분에 모아지게 된다. 그로 인해, 반송 보조 가이드에 있어서는, 그 급동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일수록 예취 곡간 등과 심하게 접촉하게 되어 그 접촉에 기인한 마모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그 점을 고려하여 반송 보조 가이드에 있어서의 급동의 회전 방향 하류측 부분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장기에 걸친 예취 곡간 등과의 심한 접촉에 의해, 반송 보조 가이드에 있어서의 급동의 회전 방향 하류측 부분이 현저하게 마모된 경우에는, 그 마모된 부분만을 교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송 보조 가이드의 전체를 교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교환에 필요로 하는 비용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보조 가이드를, 그 적어도 급동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착탈 가능해지도록 구성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개량을 실시함으로써, 반송 보조 가이드의 마모에 대한 적절한 처치를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반송 보조 가이드의 마모에 기인한 탈곡 처리 능력의 저하를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일 적합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급동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수망을 배치하고,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천장판을 배치하고, 상기 수망과 상기 천장판의 사이에, 그들의 내면을 일련으로 연결하는 안내면을 갖도록 형성된 이음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장비하고 있다.
이 특징 구성에 따르면, 이음 부재의 안내면이, 장기에 걸친 예취 곡간 등과의 심한 접촉에 의해 현저하게 마모된 경우에는, 마모된 이음 부재만을 교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음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수망 또는 천장판에 착탈 불가능하게 장비한 경우에 비교하여, 마모된 이음 부재의 교환에 필요로 하는 수고나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고, 그 결과, 마모된 이음 부재의 교환을 행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마모된 이음 부재의 교환을 행하기 쉬워지는 것에 의해, 이음 부재의 마모를 방치한 경우에 초래되는 것인, 수망의 내면과 천장판의 내면을 이음 부재의 안내면에 의해 일련으로 연결할 수 없게 되어, 급동의 수망과 천장판에 걸쳐 예취 곡간 등이 원활하게 유동하지 않게 되는 것에 기인하여, 탈곡 처리 능력이 저하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수망과 천장판의 사이에 이음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장비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개량을 실시함으로써, 이음 부재의 마모에 대한 적절한 처치를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이음 부재의 마모에 기인한 탈곡 처리 능력의 저하를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그 특징 구성으로부터 발휘되는 유리한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전동 기구의 선도이다.
도 4는 전동 케이스 배치부와 조작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체인 전동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조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의 연결 위치로의 조작 상태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 상태와,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의 해제 위치로의 조작 상태와, 견제 기구 및 고속 역회전 견제 기구의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의 해제 위치로의 조작 상태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의 저속 위치로의 조작 상태와,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의 연결 위치로의 조작 상태와, 견제 기구 및 고속 역회전 견제 기구의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텐션 윤체(輪體)의 체인 긴장 조작 상태에서의 측면도이고, 도 9의 (b)는 긴장 규제체의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체인 긴장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탈곡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2는 탈곡 장치의 전단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13은 탈곡 장치의 전후 중간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14는 급동 및 반송 보조 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급동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6은 나선 날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급동의 구성을 도시하는 급동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18은 급동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9는 이음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20은 먼지 이송 밸브의 길이 및 배치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21은 반송 보조 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반송 보조 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3은 수망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챠프시브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다른 명시가 없는 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콤바인의 주행 기체(走行機體)가 전진 및 후진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이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하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combine-harvester),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whole culm discharging type combine-harvester)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에 의해 자주(自走)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운전 좌석(2)이 장비된 운전부(3)를 가진 자주 기체(주행 기체에 상당)를 구비하고, 이 자주 기체의 기체 프레임(4)의 후방부측에 자주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한 탈곡 장치(5)와 곡립 포장부(6)를 구비하고, 상기 탈곡 장치(5)의 전방부에 피더(11)가 연결된 예취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콤바인은 벼, 보리 등의 곡립을 수확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예취부(10)는 상기 피더(11)를 구비하는 것 외에, 이 피더(11)의 전단부에 전처리 프레임(12)이 연결된 전처리 장치(1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예취부(10)는 상기 피더(11)의 탈곡 장치(5)에 대한 상하 요동 조작에 의해, 전처리 프레임(12)의 하부에 위치하는 플랫폼(14)이 지면 부근에 하강한 하강 작업 상태와, 상기 플랫폼(14)이 지면으로부터 높이 상승한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한다. 예취부(10)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여 자주 기체를 주행시키면, 상기 전처리 장치(13)는 전처리 프레임(12)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디바이더(15, 15)에 의해 예취 대상의 식립 곡간(planted stand grain culm)과, 비예취 대상의 식립 곡간을 분리하고, 예취 대상의 식립 곡간을 예취 장치(16)의 상방에 위치하는 회전 릴(17)에 의해 전처리 프레임(12)의 후방측으로 그러모으면서 헤어 클리퍼(hair clipper)형의 상기 예취 장치(16)에 의해 예취 처리하고, 예취 곡간을 상기 플랫폼(14)의 상면측에 위치하는 오거(18)에 의해 피더(11)의 전방측에 모아서 반송하고, 피더(11)의 전방측에 위치한 예취 곡간을 상기 오거(18)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는 그러모음 레버(19)에 의해 피더(11)의 입구(도시하지 않음)로 송입한다. 피더(11)는, 이것의 내부에 위치하는 피더 컨베이어(11a)(도 3 참조)에 의해 상기 그러모음 레버(19)로부터의 예취 곡간을 피더(11)의 후단부로 반송하고, 이 후단부에 위치하는 배출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탈곡 장치(5)의 급실(도시하지 않음)로 예취 곡간의 밑동으로부터 이삭 끝까지의 전체를 공급한다.
상기 탈곡 장치(5)는 급실에 공급된 예취 곡간을 주행 기체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급동(5a)(도 3 참조)에 의해 탈곡 처리하고, 탈곡 처리물을 탈곡립과 짚 배출로 선별 처리하고, 탈곡립을 상기 곡립 포장부(6)의 포장 탱크(6a)에 공급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곡립 포장부(6)는 상기 포장 탱크(6a)를 구비하는 것 외에, 이 포장 탱크(6a)의 주행 기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곡립 토출통(6b)의 각각에 대응시켜 포장 탱크(6a)의 하방에 설치한 포대 지지 레버(6c)와, 이 포대 지지 레버(6c)의 하방에 배치하여 상기 기체 프레임(4)에 설치한 포대 수용 데크에 겸용의 작업 데크(6d)와, 상기 기체 프레임(4)의 횡단부에 지지된 보조 데크(6e)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 데크(6e)는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기체 프레임(4)으로부터 주행 기체 횡외측에 수평으로 돌출한 하강 사용 자세와, 이 하강 사용 자세로부터 상승 요동하여 주행 기체 상하 방향을 따른 상승 수납 자세로 절환된다.
상기 자주 기체는, 상기 운전 좌석(2)의 하방에 설치한 엔진(20)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상기 엔진(20)의 구동력을 상기 주행 장치(1)와 상기 탈곡 장치(5)와 상기 예취부(10)에 전달하는 전동 기구의 선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 기구의 주행 전동부는 상기 엔진(20)의 출력축(20a)의 구동력을, 벨트 전동 기구(21)를 통해 주행 변속 장치(22)의 입력축(22a)에 전달하고, 이 주행 변속 장치(22)의 출력축(22b)의 구동력을 주행 미션(23)에 입력하여 이 주행 미션(23)에 의해 상기 좌우 한 쌍의 주행 장치(1, 1)에 전달한다.
상기 주행 변속 장치(22)는 상기 주행 미션(23)의 케이스에 연속 설치되어 있다. 이 주행 변속 장치(22)는 상기 입력축(22a)을 펌프축으로서 구비한 가변 용량형으로 액시얼 플런저형의 유압 펌프와, 이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액시얼 플런저형의 유압 모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주행 변속 장치(22)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로 되어 있다.
상기 전동 기구의 작업 전동부는, 상기 엔진(20)의 출력축(20a)을 벨트 전동 기구(25)를 통해 탈곡 장치(5)의 풍구 구동축(winnowing fan drive shaft)(26)의 일단부측에 연동시키고, 이 풍구 구동축(26)의 타단부측을 벨트 전동 기구(27)를 통해 탈곡 장치(5)의 1번 스크류 컨베이어(28)와 2번 스크류 컨베이어(29)에 연동시키고, 상기 벨트 전동 기구(27)에 설치한 동력 취출축(30)을 벨트 전동 기구(31)를 통해 탈곡 장치(5)의 선별 장치 구동축(32)에 연동시키고 있다.
상기 전동 기구의 작업 전동부는, 상기 엔진(20)의 상기 출력축(20a)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상기 벨트 전동 기구(25)와 상기 풍구 구동축(26)과 이 풍구 구동축(26)의 타단부측에 설치한 벨트 전동 기구(35)를 통해 전동 케이스(36)의 케이스 입력축(37)에 전달하고, 이 케이스 입력축(37)의 구동력을 전동 케이스(36)의 탈곡 출력축(급동의 지지축에 상당)(38)으로부터 급동(5a)에 전달하고, 상기 케이스 입력축(37)의 구동력을, 정회전 클러치(forward clutch)(40)를 통해, 혹은 전동 케이스(36)의 예취 출력축(39)과, 역회전 클러치(reverse clutch)(41)를 통해 예취부(10)의 예취 입력축(42)에 전달한다. 이 동력 전달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 케이스(36)는 탈곡 장치(5)의 주행 기체 전방측이고, 또한 상기 피더(11)의 후단부의 상방에, 탈곡 장치(5)의 전방 벽부에 지지시켜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 케이스(36)는 상기 급동 출력축(38)을 전동 케이스(36)의 주행 기체 횡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주행 기체 전후 방향으로 배치하여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동 케이스(36)는 상기 케이스 입력축(37)과 상기 예취 출력축(39)을 전동 케이스(36)의 주행 기체 횡방향에서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으로 분산한 배치로 하여, 또한 상기 급동 출력축(38)을 사이에 두고 주행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된 배치로 하여, 또한 케이스 입력축(37)도 예취 출력축(39)도 주행 기체 횡방향으로 된 배치로 하여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급동 출력축(38)은 급동(5a)의 회전 지지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동 케이스(36)는 상기 케이스 입력축(37)의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베벨 기어(43a)를 구비한 베벨 기어 기구(43)를 수용하고 있다. 이 베벨 기어 기구(43)는 상기 베벨 기어(43a)를 구비하는 것 외에, 상기 예취 출력축(39)의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베벨 기어(43b)와, 상기 베벨 기어(43a와 43b)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급동 출력축(38)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베벨 기어(43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베벨 기어 기구(43)는 주행 기체 횡방향의 케이스 입력축(37)과 주행 기체 전후 방향의 탈곡 출력축(38)과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케이스 입력축(37)의 회전 방향과 예취 출력축(39)의 회전 방향이 반대의 회전 방향이 되는 상태에서 케이스 입력축(37)과 예취 출력축(39)을 연동시키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정회전 클러치(40)는 상기 케이스 입력축(37)과 상기 예취 입력축(42)의 일단부측에 권취된 전동 벨트(40a)가 텐션 부재(40b)의 텐션 윤체(輪體)(40c)에 의해 긴장 상태와 이완 상태로 절환 조작됨으로써 연결 상태와 해제 상태로 절환되도록 벨트 텐션 클러치로 되어 있다. 텐션 부재(40)는 상기 전동 케이스(36)의 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정회전 클러치(40)는 연결 상태로 절환 조작됨으로써, 케이스 입력축(37)의 구동력을 예취 입력축(42)에 예취부(10)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력으로서 전달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역회전 클러치(41)는 상기 예취 출력축(39)과 상기 예취 입력축(42)의 타단부측에 권취된 전동 벨트(41a)가 텐션 부재(41b)의 텐션 윤체(41c)에 의해 긴장 상태와 이완 상태로 절환 조작됨으로써 연결 상태와 해제 상태로 절환되도록 벨트 텐션 클러치로 되어 있다. 텐션 부재(41b)는 상기 전동 케이스(36)의 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역회전 클러치(41)는 연결 상태로 절환 조작됨으로써, 예취 출력축(39)의 구동력을 예취 입력축(42)에 예취부(10)를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력으로서 전달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 입력축(42)은 상기 피더 컨베이어(11a)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예취 입력축(42)은, 전동 체인(44)을 통해 예취 장치(16)의 구동축(45)에 연동되어 있다. 이 구동축(45)과, 상기 오거(18)의 구동축(46)이 전동 체인(47)에 의해 연동되어 있다. 오거(18)의 구동축(46)과, 회전 릴(17)의 구동축(48)이 전동 체인(49)과 전동 벨트(50)를 이용한 연동 기구에 의해 연동되어 있다.
예취 입력축(42)은, 정회전 방향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예취부(10)의 피더 컨베이어(11a)와 오거(18)와 예취 장치(16)와 회전 릴(17)을 통상의 전처리 작업이나 반송 작업을 행하도록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하고, 역회전 방향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예취부(10)의 피더 컨베이어(11a)와 오거(18)와 예취 장치(16)와 회전 릴(17)을 통상의 작업용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구동한다.
도 4는 상기 정회전 클러치(40)와 상기 역회전 클러치(41)로의 절환 조작, 및 상기 엔진(20)의 속도 조정 조작을 행하도록 상기 운전부(3)에 설치한 조작부의 정면에서 볼 때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상기 조작부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운전 좌석(2)의 횡측방에 설치한 조작반(51)과, 이 조작반(51)에 주행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한 레버형의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와 레버형의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와, 상기 조작반(51)의 운전 좌석측과는 반대측의 횡외측에 설치한 레버형의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는, 이 조작구(52)의 베이스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회전 지지축(55)을 통해 지지 부재(56)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회전 지지축(55)의 주행 기체 횡방향 축심의 주위로 요동한다. 상기 지지 부재(56)는 조작반(51)의 이면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는 상기 회전 지지축(55)의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가 연결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요동 아암(61)을 구비한 연동 기구(60)에 의해, 정회전 클러치(40)의 텐션 부재(40b)에 연동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동 기구(60)는 상기 요동 아암(61)을 구비하는 것 외에, 이 요동 아암(61)의 유격 단부에 연결 핀(62)을 통해 일단부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요동 링크(63)와, 이 요동 링크(63)의 타단부를 정회전 클러치(40)의 텐션 부재(40b)에 이너 케이블에 의해 연동시키고 있는 조작 케이블(6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의 연결 위치(engaged)로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를 회전 지지축(55)의 주행 기체 횡방향의 축심 주위로 조작반(51)의 가이드 홈(51a)(도 4 참조)을 따르게 하여 주행 기체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하여 가이드 홈(51a)의 전단부측에 위치시키면,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가 연결 위치(engaged)가 된다. 그러면,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는 요동 아암(61)을 상승 요동 조작하여 요동 링크(63)를 끌어올림 조작한다. 이에 의해, 조작 케이블(64)의 이너 케이블이 인장 조작되어 텐션 부재(40b)를 전동 벨트(40a)에 압박 작용하도록 요동 조작하고, 전동 벨트(40a)가 긴장 상태가 되어 정회전 클러치(40)가 연결 상태가 된다.
도 8은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의 해제 위치(disengaged)로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를 상기 가이드 홈(51a)의 후단부측에 위치시키면,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가 해제 위치(disengaged)가 된다. 그러면,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는 요동 아암(61)을 하강 요동 조작하여 요동 링크(63)를 하강 조작한다. 이에 의해, 조작 케이블(64)의 이너 케이블이 이완 조작되어 텐션 부재(40b)를 전동 벨트(40a)의 압박을 해제하도록 요동 조작하고, 전동 벨트(40a)가 이완 상태가 되어 정회전 클러치(40)가 해제 상태가 된다.
도 4,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41)는 역회전 클러치(41)의 텐션 부재(41b)에 연결되어 있고, 이 텐션 부재(41b)를 통해 상기 전동 케이스(36)의 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8은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41)의 연결 위치(engaged)로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41)를 상기 예취 출력축(39)의 주행 기체 횡방향의 축심 주위로 상승 요동 조작하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41)가 연결 위치(engaged)로 된다. 그러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41)는 텐션 부재(41b)를 연결측으로 요동 조작한다. 이에 의해, 텐션 롤러(41c)가 전동 벨트(41a)를 긴장 조작하여, 역회전 클러치(41)가 연결 상태로 된다. 이때, 역회전 클러치(41)는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41)가 연결 위치(engaged)로 인위 조작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은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의 해제 위치(disengaged)로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의 연결 위치(engaged)로의 유지 조작을 해제하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가 자연히 하강 요동하여 해제 위치(disengaged)로 된다. 그러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는 텐션 부재(41b)를 해체측으로 요동 조작한다. 이에 의해, 텐션 롤러(41e)가 전동 벨트(41a)의 긴장 조작을 해제하여, 전동 벨트(41a)가 이완 상태가 되어 역회전 클러치(41)가 해제 상태가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는 이것의 기단부측을 삽입 관통한 지지축(57)을 통해 지지 부재(58)에 지지되어 있고, 지지축(57)의 주행 기체 횡방향의 축심 주위로 요동한다. 지지 부재(58)는 조작반(51)의 이면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의 기단부에 이너 케이블의 일단부측이 연결된 조작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엔진(20)의 액셀러레이터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연동되어 있다.
도 7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의 고속 위치(high)로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를 지지축(57)의 주행 기체 횡방향 축심의 주위로 조작반(51)의 가이드 홈(51b)(도 4 참조)을 따르게 하여 요동 조작하여 가이드 홈(51b)의 후단부측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는 고속 위치(high)가 되어 액셀러레이터 장치를 고속 상태로 조작한다. 이에 의해, 엔진(20)이 작업용으로 설정한 고회전수로 회전하는 작업용 고속 상태가 된다.
도 8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의 저속 위치(low)로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를 상기 가이드 홈(51b)의 전단부측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는 저속 위치(low)가 되어 액셀러레이터 장치를 저속 상태로 조작한다. 이에 의해, 엔진(20)이 예취부(10)의 역회전 구동용으로 설정한 저회전수로 회전하는 비작업용 저속 상태가 된다.
도 4,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요동 아암(61)에 일단부측이 연결된 띠형 판재에 의해 구성된 견제체(71)를 가진 견제 기구(70)와, 상기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에 연결한 굴곡 레버체에 의해 구성된 고속 역회전 견제체(81)를 가진 고속 역회전 견제 기구(8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견제 기구(70)는 상기 견제체(71)를 구비하는 것 외에, 상기 텐션 부재(41b)로부터 상기 조작반(51)의 상면측을 향해 연장된 굴곡 레버(72)에 의해 구성된 접촉부(7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견제체(71)는 상기 요동 아암(61)에 연결한 띠형 판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요동 아암(61)과 회전 지지축(55)을 통해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에 지지되어 있고,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와 일체 이동한다. 접촉부(73)는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가 연결되어 있는 텐션 부재(41b)로부터 연장된 굴곡 레버(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와 일체 이동하도록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에 설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7은 견제 기구(70)의 작용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가 연결 위치(engaged)로 조작되면, 견제체(71)가 요동 아암(61)에 의해 조작반(51)의 배치 높이와 동일한 배치 높이로 상승 조작된다. 그러면, 견제체(71)는 띠형 판재의 단부로 이루어지는 견제 작용부(71a)가 상기 접촉부(73)의 이동 경로에 인입한 작용 위치가 된다. 이에 의해, 견제체(71)는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를 해제 위치(disengaged)로부터 연결 위치(engaged)로 절환 조작하려고 하면, 상기 견제 작용부(71a)와 상기 접촉부(73)와의 접촉에 의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의 연결 위치(engaged)로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즉, 견제 기구(70)는 정회전 클러치(40)가 연결 상태에 있으면, 견제체(71)의 견제 작용부(71a)와,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가 구비하는 접촉부(73)의 접촉에 의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의 연결 위치(engaged)로의 절환을 견제하고, 이에 의해 역회전 클러치(41)의 연결 상태로의 절환을 견제하도록 작용 상태가 된다.
도 8은 견제 기구(70)의 해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가 해제 위치(disengaged)로 조작되면, 견제체(71)가 요동 아암(61)에 의해 조작반(51)의 배치 높이보다도 낮은 위치로 하강 조작된다. 그러면, 견제체(71)는 상기 접촉부(73)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것의 외부로 퇴피한 해제 위치가 되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가 해제 위치(disengaged)로부터 연결 위치(engaged)로 절환 조작될 때의 상기 접촉부(73)와 상기 견제 작용부(71a)의 접촉을 회피한다.
즉, 견제 기구(70)는 정회전 클러치(40)가 해제 상태에 있으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의 연결 위치(engaged)로의 절환 견제를 해제하고, 이에 의해 역회전 클러치(41)의 연결 상태로의 절환 견제를 해제하도록 해제 상태가 된다.
상기 고속 역회전 견제 기구(80)는, 상기 고속 역회전 견제체(81)를 구비하는 것 외에, 상기 굴곡 레버(72)에 의해 구성된 접촉부(8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속 역회전 견제체(81)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에 연결한 굴곡 레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에 지지되어 있고,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와 일체 이동한다. 접촉부(82)는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가 연결되어 있는 텐션 부재(41b)로부터 연장된 굴곡 레버(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와 일체 이동하도록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에 설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고속 역회전 견제체(81)는 이것을 구성하는 굴곡 레버체의 굴곡부로 이루어지는 견제 작용부(8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고속 역회전 견제체(81)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에 연결되어 있는 부위와 상기 견제 작용부(83)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상기 조작반(51)에 지지된 홀더(84)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홀더(84)는 상기 조작반(51)에 지지되어 있다.
도 7은 고속 역회전 견제 기구(80)의 작용 상태에서의 측면도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가 고속 위치(high)로 조작되면, 고속 역회전 견제체(81)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에 의해 주행 기체 후방측으로 이동 조작된다. 그러면, 고속 역회전 견제체(81)는 작용 위치가 되고,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를 해제 위치(disengaged)로부터 연결 위치(engaged)로 절환 조작하려고 하면, 상기 견제 작용부(83)와 상기 접촉부(82)와의 접촉에 의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의 연결 위치(engaged)로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한다.
즉, 고속 역회전 견제 기구(80)는 엔진(20)이 작업용 고속 상태에 있으면, 고속 역회전 견제체(81)의 견제 작용부(83)와,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가 구비하는 접촉부(82)와의 접촉에 의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를 연결 위치(engaged)로 이동하기 어렵게 하고, 이에 의해 역회전 클러치(41)의 연결 상태로의 절환을 견제하도록 작용 상태가 된다.
도 8은 고속 역회전 견제 기구(80)의 해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가 저속 위치(low)로 조작되면, 고속 역회전 견제체(81)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에 의해 주행 기체 전방측으로 이동 조작된다. 그러면, 고속 역회전 견제체(81)는 해제 위치가 되고,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가 해제 위치(disengaged)로부터 연결 위치(engaged)로 절환 조작될 때의 고속 역회전 견제체(81)의 견제 작용부(83)와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의 접촉부(82)와의 접촉을 회피한다.
즉, 고속 역회전 견제 기구(80)는 엔진(20)이 비작업용 저속 상태에 있으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의 연결 위치(engaged)로의 절환 견제를 해제하고, 이에 의해 역회전 클러치(41)의 연결 상태로의 절환 견제를 해제하도록 해제 상태가 된다.
즉, 작업을 행하는 경우,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를 고속 위치(high)로 조작하고,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를 해제 위치(disengaged)로 조작하고,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를 연결 위치(engaged)로 조작한다. 그러면, 엔진(20)이 작업용 고속 상태에서 회전하고, 엔진(20)의 출력축(20a)으로부터의 구동력이 벨트 전동 기구(25)와 풍구 구동축(26)과 벨트 전동 기구(35)를 통해 전동 케이스(36)의 케이스 입력축(37)에 전달되어 이 케이스 입력축(37)이 구동되고, 이 케이스 입력축(37)의 구동력이 베벨 기어 기구(43)를 통해 예취 출력축(39)으로 전달되어 이 예취 출력축(39)이 케이스 입력축(37)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구동된다. 정회전 클러치(40)가 연결 상태로 되어 케이스 입력축(37)의 구동력이 정회전 클러치(40)에 의해 예취 입력축(42)에 전달되고, 역회전 클러치(41)가 해제 상태로 되어 예취 출력축(39)의 구동력이 예취 입력축(42)에 전달되지 않아, 예취 입력축(42)이 정회전 방향으로 작업용 회전 속도로 구동된다. 이 예취 입력축(42)의 구동력이 피더 컨베이어(11)의 반송 종단부측에 직접적으로, 전동 체인(44)을 통해 예취 장치(16)의 구동축(45)에, 전동 체인(44)과 전동 체인(47)을 통해 오거(18)의 구동축(46)에, 전동 체인(44)과 전동 체인(47)과 전동 벨트(50)를 통해 회전 릴(17)의 구동축(48)에 각각 전달되고, 피더 컨베이어(11a), 오거(18), 예취 장치(16), 회전 릴(17)이 정회전 방향으로 작업에 적절한 회전 속도로 구동된다.
예취부(10)에 곡간 막힘이 발생한 경우,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를 저속 위치(low)로 절환 조작하고,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를 해제 위치(disengaged)로 절환 조작하고,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를 연결 위치(engaged)로 절환 조작한다. 이때, 액셀러레이터 조작구(53)의 저속 위치(low)로의 절환 조작을 행하여 고속 역회전 견제 기구(80)에 의한 역회전 클러치(41)의 절환 견제를 해제하고, 또한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의 해제 위치(disengaged)로의 절환 조작을 행하여 견제 기구(70)에 의한 역회전 클러치(41)의 절환 견제를 해제한 후에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를 연결 위치(engaged)로 절환 조작한다.
그러면, 엔진(20)이 비작업용 저속 상태로 회전하고, 엔진(20)의 출력축(20a)으로부터의 구동력이 벨트 전동 기구(25)와 풍구 구동축(26)과 벨트 전동 기구(35)를 통해 전동 케이스(36)의 케이스 입력축(37)에 전달되고, 이 케이스 입력축(37)의 구동력이 베벨 기어 기구(43)를 통해 예취 출력축(39)에 전달되어, 이 예취 출력축(39)이 케이스 입력축(37)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구동된다. 정회전 클러치(40)가 해제 상태가 되어 케이스 입력축(37)의 구동력이 예취 입력축(42)에 전달되지 않고, 역회전 클러치(41)가 연결 상태가 되어 예취 출력축(39)의 구동력이 역회전 클러치(41)에 의해 예취 입력축(42)에 전달되어, 예취 입력축(42)이 역회전 방향으로 비작업용 회전 속도로 구동된다. 이 예취 입력축(42)의 구동력이 피더 컨베이어(11)의 반송 종단부측에 직접적으로, 전동 체인(44)을 통해 예취 장치(16)의 구동축(45)에, 전동 체인(44)과 전동 체인(47)을 통해 오거(18)의 구동축(46)에, 전동 체인(44)과 전동 체인(47)과 전동 벨트(50)를 통해 회전 릴(17)의 구동축(48)에 각각 전달되고, 피더 컨베이어(11a), 오거(18), 예취 장치(16), 회전 릴(17)이 역회전 방향으로 막힘 해소에 적절한 회전 속도로 구동되어, 곡간 막힘의 해소가 용이해진다. 이때,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를 연결 위치(engaged)로 인위적으로 유지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큼 역회전 클러치(41)가 연결 상태가 되어 예취부(10)가 역회전 구동되고,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의 연결 위치(engaged)로의 유지 조작을 해제하면,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가 자연히 해제 위치(disengaged)로 절환되어, 역회전 클러치(41)가 해제 상태가 되어 예취부(10)의 역회전 구동이 정지한다.
도 5는 상기 전동 체인(44)을 가진 체인 전동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체인 전동 기구는 상기 전동 체인(44)이 안내되도록 권취된 가이드 윤체(89)를 구비하고, 상기 피더(11)의 횡측벽부(11b)에 지지된 텐션 아암(91)을 가진 체인 긴장 기구(90)를 구비하고 있다.
도 5,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체인 긴장 기구(90)는 상기 텐션 아암(91)을 구비하는 것 외에, 이 텐션 아암(91)에 연결된 스프링(9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92)에 의해 텐션 아암(91)을 지지축(93)의 주위로 요동 가압하고, 이에 의해 텐션 아암(91)이 구비하는 헐겁게 회전 가능한 텐션 윤체(94)를 전동 체인(44)에 압박 가압함으로써, 전동 체인(44)에 긴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92)의 텐션 아암(91)에 연결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은, 상기 피더(11)의 횡측벽부(11b)에 브래킷(95)을 통해 지지된 스프링 지지 레버(9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텐션 윤체(94)는 상기 전동 체인(44) 중, 예취부(10)의 정회전 구동시에 이완측이 되는 부위(44a)에 작용하고 있다. 상기 텐션 아암(91)은, 이 텐션 아암(91)과 상기 스프링 지지 레버(96)에 걸쳐 장착한 긴장 규제체(97)를 구비하고 있다.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긴장 규제체(97)와 상기 스프링 지지 레버(96)는 연결 핀(98)을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긴장 규제체(97)와 상기 텐션 아암(91)은 상기 텐션 윤체(94)를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9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99)은 긴장 규제체(97)에 설치한 규제 긴 구멍(100)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고 있다.
도9의 (a)는 예취부(10)가 정회전 구동된 경우에서의 텐션 윤체(94)의 체인 긴장 조작 상태를 도시한다.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10)가 정회전 구동된 경우, 전동 체인(44)의 텐션 윤체(94)가 작용하는 부위(44a)가 이완측이 된다. 그러면, 텐션 윤체(94)는 스프링(92)에 의한 인장 조작에 의해 체인 부위(44a)를 긴장 조작한다.
도 9의 (b)는 예취부(10)가 역회전 구동된 경우의 긴장 규제체(97)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10)가 역회전 구동된 경우, 긴장 규제체(97)는 텐션 윤체(94)의 스프링(92)에 저항하여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예취부(10)의 역회전 구동으로 인해 전동 체인(44)의 이완측이 되는 부위(44b)가 가이드 림체(9)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즉, 전동 체인(44)의 텐션 윤체(94)가 작용하는 부위(44a)가 긴장측이 되면, 이 인장력으로 인해 텐션 윤체(94)가 스프링(92)에 저항하여 이동 조작된다. 그러면, 긴장 규제체(97)는 텐션 윤체(94)의 스프링(92)에 저항하여 이동을 규제하도록 지지축(99)을 통해 텐션 윤체(94)를 지지한다. 이 결과, 긴장 규제체(97)는 예취부(10)의 역회전 구동으로 인해 전동 체인(44)의 이완측이 되는 부위(44b)에 가이드 윤체(89)로부터 빠지는 대폭적인 이완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 부위(44b)의 이완 여유를 억제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상부에는 급실(114)이 형성되어 있다. 급실(114)에는 예취 곡간의 반송 방향을 따라 가설한 전후 방향의 탈곡 출력축(급동의 지지축에 상당)(38)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급동(5a)이 배치되어 있다. 급동(5a)의 하방에는, 급동(5a)의 하부측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정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급동(5a)의 회전에 따라서 탈곡 처리되는 예취 곡간을 받아내는 동시에 탈곡 처리로 얻어진 처리물을 걸러 내리는 수망(117)이 장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5)에 있어서, 그 탈곡 처리 방향의 하류측 단부가 되는 수망(117)의 후방에는, 탈곡 처리 후의 곡간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짚 배출구(118)가 형성되어 있다. 수망(117)의 하방에는 수망(117)으로부터 걸러 내려진 처리물에 대해 체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요동 선별 기구(119)가 배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 기구(119) 전방 하방에는, 수망(117)으로부터 걸러 내려져 오는 처리물이나 체 선별 처리 중의 처리물을 향해 선별풍을 공급하여, 그들의 처리물에 풍력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풍구(winnowing fan)(120)가 배치되어 있다. 풍구(120)의 후방에는, 요동 선별 기구(119)의 전방부측으로부터 걸러 내려진 처리물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1번 회수부(121)의 후방에는 요동 선별 기구(119)의 후방부측으로부터 걸러 내려진 처리물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 선별 기구(119)의 후방에는, 요동 선별 기구(119)로부터 걸러 내려지지 않고 요동 선별 기구(119)의 후단부까지 반송된 처리물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3)가 형성되어 있다. 급동(5a)의 상방에는, 급동(5a)의 상부측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천장판(124)이 개폐 가능하게 장비되고, 급동(5a)의 회전에 따라서 급동(5a)의 상부를 향해 반송된 예취 곡간 및 탈곡 처리물을 수망(117)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실(114)은 급동(5a)을 덮는 수망(117)이나 천장판(124) 등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급실(114)의 전단부 하방 부위에는 피더(11)에 의해 반송된 예취 곡간의 전체가 처리물로서 공급되는 공급구(125)가 형성되어 있다.
급동(5a)은 그 탈곡 출력축(38)이 탈곡 장치(5)의 전방벽(126)과 후방벽(127)에 걸쳐 회전 가능하게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급동(5a)은 풍구(120) 등을 통해 전달되는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으로, 탈곡 출력축(38)을 지지점으로 하여 정면에서 볼 때 우측 회전으로 회전 구동되고, 이 회전 구동에 의해 급실(114)에 공급된 예취 곡간에 대해 탈곡 처리를 실시하고, 곡립의 단립화를 촉진시키면서 그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 방향의 하류측이 되는 기체 후방을 향해 반송한다.
수망(117)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콘케이브 수망이며, 급실(114)에 공급된 예취 곡간을 받아내어, 예취 곡간에 대한 급동(5a)의 탈곡 처리를 보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수망(117)은 급동(5a)의 회전 작동에 따라서 탈곡 처리되는 예취 곡간을 받아내면서, 그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단립화 곡립이나 줄기가 붙은 곡립, 혹은 탈곡 처리에 의해 발생한 짚 부스러기 등의 처리물을 하방의 요동 선별 기구(119)를 향해 걸러 내리는 한편, 탈립 곡간 등의 요동 선별 기구(119)로의 걸러 내림을 방지한다.
요동 선별 기구(119)는 캠식의 구동 기구(128)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요동 구동되는 평면에서 볼 때 프레임 형상의 시브 케이스(129)를 구비하고 있다. 시브 케이스(129)의 상부에는, 초벌 선별용의 그레인 팬(130)과 챠프시브(131)와 스트로 래크(132)가, 그 순서대로 시브 케이스(129)의 전방측으로부터 배치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129)의 하부에는, 정밀 선별용의 그레인 팬(133)과 그레인 시브(134)가, 그 순서대로 시브 케이스(129)의 전방측으로부터 배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 기구(119)의 상부에 있어서는, 단립화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 등이 혼재하는 상태에서 수망(117)으로부터 걸러 내려진 선별 처리물을, 상부의 그레인 팬(130)이나 챠프시브(131) 혹은 스트로 래크(132)에 의해 받아내어, 체 선별에 의한 초벌 선별 처리를 실시한다. 요동 선별 기구(119)의 하부에 있어서는, 단립화 곡립이나 줄기가 붙은 곡립 등이 혼재하는 상태에서 챠프시브(131)로부터 걸러 내려진 선별 처리물을, 하부의 그레인 팬(133)이나 그레인 시브(134)에 의해 받아내어, 체 선별에 의한 정밀 선별 처리를 실시한다. 그 결과, 선별 처리물을 1번물(1番物)로서의 단립화 곡립과, 2번물(2番物)로서의 줄기가 붙은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 등의 혼재물과, 3번물(3番物)로서의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로 선별한다.
풍구(120)는 벨트 전동 기구(25)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으로, 풍구 구동축(26)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선별풍을 일으킨다. 선별풍은 3개의 풍로(R1 내지 R3)를 통해, 수망(117)으로부터 걸러 내려진 선별 처리물이나, 요동 선별 기구(119)에서 선별되는 선별 처리물 등을 향해 공급됨으로써, 선별 처리물로부터 비중이 작은 짚 부스러기 등을 여기저기 흩뜨려,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의 배출구(123)를 향해 반송한다. 1번 회수부(121)는 풍구(120)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제거된 상태에서, 요동 선별 기구(119)의 그레인 시브(134)로부터 걸러 내려진 단립화 곡립을 1번물로서 회수한다. 1번 회수부(121)의 저부에는, 풍구(120) 등을 통해 전달되는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1번 스크류 컨베이어(28)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1번 스크류 컨베이어(28)는 1번 회수부(121)에서 회수된 1번물을, 그 우측 단부에 연속 설치한 양송(揚送) 스크류(137)(도 2 참조)를 향해 반송한다.
2번 회수부(122)는 요동 선별 기구(119)의 그레인 시브(134)로부터 걸러 내려지지 않고 그레인 시브(134)의 후단부로부터 유하한 줄기가 붙은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 등의 혼재물, 및 요동 선별 기구(119)의 스트로 래크(132)로부터 걸러 내려진 줄기가 붙은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 등의 혼재물을 2번물로서 회수한다. 2번 회수부(122)의 저부에는, 풍구(120) 등을 통해 전달되는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2번 스크류 컨베이어(29)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2번 스크류 컨베이어(29)는 2번 회수부(122)에서 회수된 2번물을, 그 우측 단부에 연속 설치한 2번 환원 기구(139)(도 2 참조)를 향해 반송한다.
양송 스크류(137)는 1번 스크류 컨베이어(28)에서 반송된 1번물을 양송하여, 곡립 포장부(6)의 상부에 구비한 포장 탱크(6a)에 공급한다(도 1 및 도 2 참조). 2번 환원 기구(139)는 2번 스크류 컨베이어(29)에서 반송된 2번물에 대해 다시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재처리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그 재처리부에 의한 탈곡 처리 후의 2번물을 양송하여 요동 선별 기구(119)로 환원한다(도 2 및 도 11 참조).
배출구(123)는 수망(117)으로부터 걸러 내려지지 않고 짚 배출구(118)로부터 유하하는 탈립 곡간이나, 체 선별 처리나 풍력 선별 처리로 요동 선별 기구(119)의 후방으로 선별 반송된 짚 부스러기 등을 기기 밖으로 방출한다.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5a)은 그 전단부를 형성하는 원뿔대 형상의 그러모음부(141)와, 그 그러모음부(141)의 후단부에 연접한 훑기 처리부(14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모음부(141)의 외주면에는, 피더(11)에 의해 공급구(125)로 공급 반송된 예취 곡간을, 급동(5a)의 회전에 따라서 후방의 훑기 처리부(142)를 향해 그러모아 반송하는 2매의 나선 날개(나선 치형부의 일례)(143)가 장비되어 있다.
훑기 처리부(142)는 탈곡 출력축(38)의 전방부에 일체 장비한 제1 플레이트(지지 부재의 일례)(144), 탈곡 출력축(38)의 전후 중간부에 일체 장비한 제2 플레이트(구획 부재의 일례)(145), 탈곡 출력축(38)의 후단부에 일체 장비한 제3 플레이트(지지 부재의 일례)(146), 그들 플레이트(144 내지 146)에 의해 탈곡 출력축(38)을 따르는 전후 방향의 자세로, 급동(5a)의 주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지지된 둥근 파이프 강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6개의 급동 프레임(막대 형상 부재의 일례)(147) 및 각 급동 프레임(147)에, 급동 프레임(147)으로부터 급동(5a)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자세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장비한 복수의 급치(148)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급동(5a)에는 그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급치(148)가, 훑기 처리부(142)의 주위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정렬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급동(5a)은 훑기 처리부(142)의 내부 공간(S)이 급실(114)에 연통하여, 그 내부 공간(S)으로의 처리물의 인입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급동(5a)의 회전 작동시에는 그 주위의 처리물과 내부 공간(S)으로 인입된 처리물을 교반하면서, 그들의 처리물에 대해 급동 프레임(147)이나 급치(148)의 타격이나 훑기 등에 의한 탈곡 처리를 실시한다.
게다가, 훑기 처리부(142)의 내부 공간(S)이 급실(114)에 연통함으로써, 대량의 예취 곡간이 처리물로서 급실(114)에 공급된 경우라도, 훑기 처리부(142)의 내부 공간(S)을 탈곡 처리용의 처리 공간으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처리 공간에서의 처리물의 체류나 처리 공간의 포화를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처리물의 체류나 처리 공간의 포화에 기인한, 충분한 탈곡 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처리물이 수망(117)으로부터 걸러 내려지거나, 혹은 탈곡 처리에 필요로 하는 부하가 증대되어 급동(5a)에 대한 전동계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급동(5a)의 회전 작동시에는, 복수의 급치(148)뿐만 아니라, 급동(5a)의 훑기 처리부(142)를 형성하는 6개의 급동 프레임(147)까지도 처리물에 작용하는 훑기 처리 부재로서 기능하므로, 탈곡 성능이나 탈곡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급동(5a)의 전방부측에서의 탈곡 처리에 의해 많은 곡립이 단립화되어 수망(117)으로부터 걸러 내림으로써 처리물량이 감소하는 급동(5a)의 전후 중간부에 있어서는, 급동(5a)의 내부 공간(S)을 전후로 이격하는 제2 플레이트(145)가, 급동(5a)의 내부 공간(S)에서의 처리물의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으로의 유동을 저지하고, 급동(5a)의 회전과 함께 처리물을 급동(5a)의 주위로 유도하여, 처리물에 대한 급치(148) 등의 타격이나 훑기 등에 의한 탈곡 및 단립화 곡립의 수망(117)으로부터의 걸러 내림을 촉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처리물에 포함되는 단립화 곡립이나 미탈립 곡간 등이 급동(5a)의 내부 공간(S)을 그냥 지나쳐, 탈립 곡간과 함께 탈곡 처리 방향의 하류측 단부에 형성한 짚 배출구(118)로부터 배출되는 것에 의한 3번 로스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급동(5a)의 회전 작동시에는 그러모음부(141)의 작용에 의해 그러모아 반송되는 예취 곡간과 함께, 나선 날개(143)의 회전에 따라서 공급구(125)로부터 흡인된 외기가, 급동(5a)의 주위나 훑기 처리부(142)의 내부 공간(S)으로 원활하게 유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탈곡 처리에 의해 발생한 짚 부스러기 등의 공급구(125)로부터 피더(11)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처리물의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으로의 반송을 보다 빠르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공급구(125)로부터 흡인되는 외기는, 공급구(125)에 접속된 피더(11)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이며, 또한 그 피더(11)는 예취 장치(16)나 오거(18) 등을 장비한 예취 반송 장치(4)의 예취 회수부에 형성한 회수 곡간 반출용의 반출구(도시하지 않음)와 공급구(125)를 연통하는 것이므로, 급동(5a)의 회전 작동시에는 나선 날개(143)의 회전에 의한 흡인 작용으로, 예취 회수부에서의 예취 처리나 회수 처리에 의해 발생한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도, 외기와 함께 예취 회수부의 반출구로부터 피더(11)의 내부 공간 및 공급구(125)를 통해, 급동(5a)의 주위나 훑기 처리부(142)의 내부 공간(S)으로 유입하게 된다. 그 결과, 예취 회수부에서의 짚 부스러기 등의 부착 퇴적이나 날아오름을 억제할 수 있고, 그 부착 퇴적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불량이나, 그 날아오름에 기인한 작업 환경 및 시계성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각 플레이트(144 내지 146)는 탈곡 출력축(38)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이며, 그 외주측에 있어서의 탈곡 출력축(38)으로부터의 등거리의 위치에 급동 프레임(147)이 볼트 연결되어 있다. 즉, 각 플레이트(144 내지 146)의 외주측에, 그 주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는 상태로 6개의 급동 프레임(147)을 배치하여, 급동(5a)의 동체 직경이 커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동(5a)에 대한 예취 곡간의 권취를 방지할 수 있다.
각 급동 프레임(147)은 그 전후 방향을 급동(5a)의 전후 방향과 일치시킨 통상 자세와, 그 전후 방향을 급동(5a)의 전후 방향과 반대로 한 반전 자세를 향해 변경 가능하게, 또한 인접하는 급동 프레임(147)과의 전후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각 플레이트(144 내지 146)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각 급동 프레임(147)에는 급치(148)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장착 구멍(147A, 147B)이, 그 전후 방향으로 일정 피치(P)로 배열되는 상태로, 또한 급동 프레임(147)의 전단부로부터 가장 전방의 장착 구멍(147A)의 중심까지의 거리 L1과, 급동 프레임(147)의 후단부로부터 가장 후방의 장착 구멍(147A)의 중심까지의 거리 L2를 반피치(=1/2P)만큼 다르게 한 상태로 천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급동 프레임(147)은, 인접하는 것과의 전후 방향이 반대가 되는 상태에서 각 플레이트(144 내지 146)에 연결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6개의 급동 프레임(147)으로서 동일한 구성의 것을 채용하면서, 그들 각 급동 프레임(147)에 장비되는 급치(148)를, 인접하는 급동 프레임(147)의 급치(148)와 전후 방향으로 반피치만큼 위치 어긋남시킨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급치(148)의 간격을 작게 하는 일 없이, 처리물에 대한 급치(148)의 타격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각 급동 프레임(147)을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한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또한 인접하는 급치(148)의 간격을 작게 할수록 초래하기 쉬워지는, 급치(148)에 대한 처리물 중의 곡간의 휘감김에 기인한 처리물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처리물에 대한 급치(148)의 타격 횟수를 많게 하는 것에 의한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급동 프레임(147)을, 통상 자세와 반전 자세로 방향 변경 가능하게 장비한 것으로, 처리물량이 많음으로써 비교적 마모되기 쉬운 탈곡 처리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급치(148)의 마모가 장기간 사용에 의해 현저해진 경우에는, 각 급동 프레임(147)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각 급동 프레임(147)에 구비한 복수의 급치(148)를, 비교적 마모되기 쉬운 탈곡 처리 방향 상류측의 급치(148)와 마모되기 어려운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의 급치(148)를 교환한 상태로, 한번에 위치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모가 적은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의 급치(148)를, 처리물량이 많은 탈곡 처리 방향 상류측의 급치(148)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장착 구멍(147A, 147B) 중, 각 급동 프레임(147)의 전후 양단부에 위치하는 4개(전후 2개씩)의 장착 구멍(147A)은 중간부에 위치하는 장착 구멍(147B)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급치(148) 중, 소직경의 장착 구멍(147A)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급치(148A)는, 장착 구멍(147A)에 삽입 관통되는 소직경부(148a)를 구비한 단차가 있는 둥근 막대 강재로 구성되고, 그 중심이 탈곡 출력축(38)의 중심과 급동 프레임(147)의 중심을 지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급동 프레임(147)에 착탈 가능하게 너트 고정되어 있다.
중간부의 장착 구멍(147B)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급치(148B)는 단차가 없는 둥근 막대 강재로 구성되고, 그 중심이 탈곡 출력축(38)의 중심과 급동 프레임(147)의 중심을 지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급동 프레임(147)에 착탈 불가능하게 용접되어 있다.
즉, 훑기 처리부(142)의 전후 양단부에 위치하는 각 급치(148A)가 착탈 가능하므로, 그들의 급치(148A)가 급동 프레임(147)의 방향 변경을 포함한 장기에 걸친 사용으로 현저하게 마모된 경우에는, 새로운 급치(148A)로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탈립 곡간량이 많아지는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5a)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급치(148A)를 솎아낸 상태로 배치하면, 급동 후단부에서의 급치(148A)의 간격이 커져, 급동 후단부에서의 급치(148A)에 대한 걸림에 기인한 탈립 곡간의 체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짚 배출구(118)로부터의 탈립 곡간의 방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 도 19의 (a), 도 19의 (b)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장판(124)에는 급치 선단의 회전 궤적(K)을 대략 따라서 만곡하는 만곡부(124A), 그 만곡부(124A)의 전후 양단부에 위치하는 반원 형상의 종벽부(124B) 및 만곡부(124A)의 좌우에 위치하는 일직선상의 측 모서리부(124C) 등이 일체 장비되어 있다. 천장판(124)은 그 좌측의 측 모서리부(124C)에 구비한 복수의 힌지(124D)를 지지점으로 하여, 급동(5a)의 상부측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폐쇄 위치와, 급동(5a)의 상부측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걸친 개폐 요동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측의 측 모서리부(124C)에는 천장판(124)을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124E)가 구비되어 있다.
만곡부(124A)는 급동(5a)의 회전 작동에 따라서 급동(5a)의 상부를 향해 반송된 처리물을, 그 내면에 의해 하방의 수망(117)을 향해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124A)의 내면에는 급동(5a)의 회전 작동에 따라서, 급실(114)의 상부로 반송된 처리물을 탈곡 처리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 안내하는 복수의 먼지 이송 밸브(149)가,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는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 장비되어 있다. 복수의 먼지 이송 밸브(149) 중, 가장 전방의 먼지 이송 밸브(149A)는 전방측의 종벽부(124B)로부터 좌측의 측 모서리부(124C)에 걸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먼지 이송 밸브(149B)는 좌우의 측 모서리부(124C)에 걸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천장판(124)에 만곡부(124A)를 구비한 것으로, 급동(5a)의 회전에 따라서 복수의 급치(148) 등으로 급실(114)의 상부에 그러올려져 반송된 처리물을, 만곡부(124A)의 내면이나 먼지 이송 밸브(149)를 따르게 하면서,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 하방의 수망(117)을 향해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각 먼지 이송 밸브(149)를, 좌측의 측 모서리부(124C) 또는 좌우의 측 모서리부(124C)에 걸친 장척(長尺)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급동(5a)의 회전에 따라서 급실(114)의 상부로 반송된 처리물에 대한 각 먼지 이송 밸브(149A)의 안내 작용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급치(148)를 처리물에 대한 반송 작용을 구비하는 형상이 아닌, 처리물에 대한 타격이나 훑기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탈곡 전용의 형상으로 형성하면서도, 처리물을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해 양호하게 반송 안내할 수 있고, 그 결과, 처리물에 대한 탈곡 성능 및 반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좌우의 측 모서리부(124C)에는 만곡부(124A)의 내면과 수망(117)의 내면을 일련으로 연결하는 안내면(150a)을 갖도록 굴곡 형성된 강판제의 이음 부재(150)가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망(117)과 천장판(124)의 이음부에 위치함으로써 처리물과의 접촉이 심해지는 이음 부재(150)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것에 의해, 이 이음 부재(150)가, 처리물과의 접촉에 의해 현저하게 마모된 경우에는 이음 부재(150)만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이 이음 부재(150)를 천장판(124)에 착탈 불가능하게 용접한 경우와 같이, 마모된 이음 부재(150)와 함께 천장판(124)의 전체를 교환하는 것과 같은 수고나 경제적인 불리를 초래하는 일 없이, 이음 부재(150)의 마모에 대한 처치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덧붙여, 각 급치(148)의 선단과 각 먼지 이송 밸브(149)의 하부 모서리의 사이에는, 먼지 이송 밸브(149)에 의한 처리물의 안내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작은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급치(148)의 선단과 수망(117)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단립화 곡립의 수망(117)으로부터의 걸러 내림을 촉진시키기 위해, 각 급치(148)의 선단과 각 먼지 이송 밸브(149)의 하부 모서리의 사이에 설정한 간극보다도 큰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도 11, 도 12, 도 14 내지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5a)에 있어서 그 그러모음부(141)의 외주면에는 2매의 지지 플레이트(141A)가 나선 형상으로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각 지지 플레이트(141A)의 배면에, 대응하는 나선 날개(143)가, 그들의 외연측을 대응하는 지지 플레이트(141A)의 외연보다도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즉, 이 급동(5a)에 있어서는, 그 회전에 따라서 피더(11)에 의해 공급구(125)로 공급 반송된 예취 곡간을 후방을 향해 그러모아 반송함으로써, 예취 곡간과 격렬하게 접촉하고, 그 접촉에 기인한 마모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2매의 나선 날개(143)가, 급동(5a)의 그러모음부(141)에 착탈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고, 이에 의해 장기의 사용에 의해 각 나선 날개(143)가 현저하게 마모된 경우에는, 나선 날개(143)만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나선 날개(143)를 그러모음부(141)에 착탈 불가능하게 용접한 경우와 같이, 마모된 나선 날개(143)와 함께 그러모음부(141)를 교환하는 것과 같은 수고나 경제적인 불리를 초래하는 일 없이 나선 날개(143)의 마모에 대한 처치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지 플레이트(141A)는 그들의 전방면과 그러모음부(141)의 외주면에 걸치도록 용접된 복수의 보강 리브(141B)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도 11, 도 12, 도 14,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에 있어서, 그 전방벽(126)과 수망(117)의 사이에는, 피더(11)에 의해 공급구(125)로 공급 반송된 예취 곡간을 받아내어, 2매의 나선 날개(143)에 의한 예취 곡간의 그러모음 반송을 보조하는 반송 보조 가이드(151)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보조 가이드(151)는 그러모음부(141)의 하부측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으로 볼트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부재(151A, 15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가이드 부재(151A, 151B)는 탈곡 장치(5)의 전방벽(126) 및 탈곡 장치(5)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한 좌우 한 쌍의 지지 프레임(152)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는 스테인레스제의 제1 플레이트(151a)에, 탈곡 장치(5)의 전방벽(126)으로부터 수망(117)에 걸친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제의 제2 플레이트(151b)를 용접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이 탈곡 장치(5)에 있어서는, 2매의 나선 날개(143)에 의한 예취 곡간의 그러모음 반송을 보조함으로써, 예취 곡간과 심하게 접촉하고, 그 접촉에 기인한 마모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반송 보조 가이드(151)를 착탈 가능하게 장비하는 동시에, 급동(5a)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좌측의 가이드 부재(151A)와, 급동(5a)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우측의 가이드 부재(151B)에 좌우로 분할 가능한 좌우 2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에 의해 장기의 사용에 의해 반송 보조 가이드(151)의 전체가 현저하게 마모된 경우에는, 반송 보조 가이드(151)만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장기의 사용에 의해 반송 보조 가이드(151)에 있어서의 좌우 어느 한쪽의 가이드 부재(151A, 151B)가 현저하게 마모된 경우에는, 마모가 현저한 가이드 부재(151A, 151B)만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반송 보조 가이드(151)를 수망(117)이나 좌우의 지지 프레임(152) 등에 착탈 불가능하게 용접한 경우와 같이, 반송 보조 가이드(151)와 함께 수망(117) 또는 좌우의 지지 프레임(152)을 교환하거나, 혹은 반송 보조 가이드(151)를 분할 불가능하게 구성한 경우와 같이, 반송 보조 가이드(151)의 좌우 어느 한쪽측이 현저하게 마모된 경우라도 반송 보조 가이드(151)의 전체를 교환하는 것과 같은 수고나 경제적인 불리를 초래하는 일 없이 반송 보조 가이드(151)의 마모에 대한 처치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반송 보조 가이드(151)는 부식에 강하고 강도가 높은 스테인레스제이므로, 마모에 의한 교환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1, 도 13, 도 14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망(117)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4개의 수망 부재(153)에 의해 구성되고, 좌우의 지지 프레임(152)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어 있다. 각 수망 부재(153)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짜여진 베이스 프레임(153A)이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53A)의 프레임 내에는, 띠 형상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수직 레일(153B)이, 급동(5a)의 주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는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띠 형상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 수평 레일(153C)이, 급동(5a)의 지지축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는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피아노 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2 수평 레일(153D)이, 인접하는 제1 수평 레일(153C)의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는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53A)의 프레임 내에 형성되는 메쉬가, 급동(5a)의 주위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어지는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이 되도록 각 레일(153B 내지 153D)의 배치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즉, 급동(5a)이 회전 구동되는 탈곡 처리시에는 예취 곡간에 대한 탈곡 처리로 얻어진 단립화 곡립 등이, 급동(5a)의 회전을 따라서 그 회전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수망(117)을, 그 메쉬가 급동(5a)의 회전 방향으로 긴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망(117)을, 그 메쉬가 급동(5a)의 탈곡 처리 방향(전후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단립화 곡립 등이 수망(117)의 전방부측으로부터 걸러 내려지기 쉬워진다. 그 결과, 수망(117)의 전방부측으로부터의 단립화 곡립의 걸러 내림이 억제되는 것에 기인한 탈피립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수망 부재(153)를 동일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수망(117)의 생산성이나 조립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벌 선별용의 챠프시브(131)는 그 선별 방향 하류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후방 상승 경사 자세로 시브 케이스(129)에 볼트 연결된 단일의 선별 플레이트(154)로 구성되어 있다.
선별 플레이트(154)의 전방부측[선별 플레이트(154)의 전체에 대한 전방측의 약 1/3의 영역]에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걸러 내림 구멍(154A)이, 전방 열의 걸러 내림 구멍(154A)의 사이에 후방 열의 걸러 내림 구멍(154A)이 위치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정렬 형성되어 있다. 선별 플레이트(154)의 후방부측[선별 플레이트(154)의 전체에 대한 후방측의 약 2/3의 영역]에는, 선별편(154a, 154b)을 갖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걸러 내림 구멍(154B, 154C)이, 전방 열의 걸러 내림 구멍(154B, 154C)의 사이에 후방 열의 걸러 내림 구멍(154B, 154C)이 위치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정렬 형성되어 있다.
각 선별편(154a, 154b) 중, 선별 플레이트(154)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는 선별편(154a)은, 그 선별 방향 하류측일수록 협폭으로 상방으로 위치하는 비늘 형상으로 타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선별 플레이트(154)의 좌우 양단부에 위치하는 선별편(154b)은 좌우 중앙측의 선별편(154a)보다도 단척(短尺)의 직사각 형상이며, 그 선별 방향 하류측일수록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타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초벌 선별용의 챠프시브(131)를 단일의 선별 플레이트(154)로 구성하므로, 예를 들어 챠프시브(131)를 띠형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챠프립을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하도록 정렬 배치하여 구성하는 경우 등에 비교하여, 구성의 간소화나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립화 곡립의 함유율이 높은 선별 처리물이 공급되는 챠프시브(131)의 전방부측에 선별편(154a, 154b)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걸러 내림 구멍(154A)을 형성한 것으로, 챠프시브(131)의 전방부측으로부터 하방의 그레인 팬(133)이나 그레인 시브(134)에 걸러 내려지는 단립화 곡립이 많아진다. 그 결과, 그레인 팬(133)이나 그레인 시브(134)의 하방에 위치하는 1번 회수부(121)에서의 단립화 곡립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챠프시브(131)의 후방부측에, 선별편(154a, 154b)을 구비한 걸러 내림 구멍(154B, 154C)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전후 좌우로 정렬 형성한 것에 의해, 체 선별 처리에 있어서는 챠프시브(131) 상의 선별 처리물이 좌우 방향으로 치우침 없이 균등하게 분배되게 된다. 이에 의해, 단립화 곡립의 각 걸러 내림 구멍(154B, 154C)으로부터의 걸러 내림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챠프시브(131)를 후방 상승의 경사 자세로 장비한 것에 의해, 챠프시브(131)를 수평 자세로 장비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체 선별 처리에 있어서 챠프시브(131)가 선별 처리물을 선별 처리 방향 상류측의 상방을 향해 압출하는 힘이 커진다. 그로 인해, 체 선별 처리시에는 선별 처리물의 선별 방향 하류측으로의 반송이 억제되는 동시에, 선별 처리물의 상하 이동이 심해져 선별 처리물의 비중차 선별이 보다 효과적으로 행해지게 되고, 따라서 비중이 큰 곡립의 각 걸러 내림 구멍(154B, 154C)으로부터의 걸러 내림이 촉진되는 동시에, 단립화 곡립이 배출구(123)로부터 기기 밖으로 방출되는 3번 로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곡립 회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챠프시브(131)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부의 선별편(154b)을, 좌우 중앙측의 선별편(154a)보다도 단척으로 형성한 것으로, 챠프시브(131)에 있어서의 선별 처리물이 퇴적하기 쉬운 좌우 양단부의 걸러 내림 구멍(154C)으로부터의 곡립 등의 걸러 내림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챠프시브(131)의 좌우 양단부에서의 선별 처리물의 퇴적에 기인한 선별 효율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덧붙여, 챠프시브(131)에 형성되는 선별편(154a, 154b)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걸러 내림 구멍(154A)과, 선별편(154a, 154b)을 구비한 걸러 내림 구멍(154B, 154C)의 비율은, 선별하는 곡립의 종류 등에 따라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선별 플레이트(154)의 전방부측에, 단척으로 직사각 형상의 선별편(154b)을 갖도록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걸러 내림 구멍(154C)을, 전방 열의 걸러 내림 구멍(154C)의 사이에 후방 열의 걸러 내림 구멍(154C)이 위치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정렬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구(120)로부터의 선별풍 중, 상단의 풍로(R1)를 통과하는 선별풍은, 시브 케이스(129)에 형성한 풍로(R4)를 통해 급동(5a)의 제2 플레이트(145)를 향해 유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플레이트(145)에 의해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으로의 유동이 저지되는 처리물을, 급동(5a)의 주위를 향해 풍력 반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처리물이 제2 플레이트(145)의 직전 부위에서 퇴적하여, 탈곡 처리에 지장을 초래하는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동(5a)은 그 후단부에 위치하는 급치(148A)가, 수망(117)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여 짚 배출구(118)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즉, 급동(5a)의 후단부에 있어서는, 수망(117)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그 주위에 비교적 큰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급동 후단부의 급치(148A)에 탈립 곡간이 휘감겨 있었다고 해도, 그 탈립 곡간은 급동(5a)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에 의해, 그 급치(148A)의 선단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그 결과, 급동(5a)의 후단부에서의 급치(148A)에 대한 걸림에 기인한 탈립 곡간의 체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탈립 곡간의 짚 배출구(118)로부터의 방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지축[급동 출력축(38)]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급실(114)에 공급된 예취 곡간에 대해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동(5a)을 구비한 탈곡 장치(5)에 있어서, 급동(5a)을, 지지축을 따르는 자세로 급동(5a)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단면 원형의 막대 형상 부재[급동 프레임(147)]와, 막대 형상 부재를 지지하도록 지지축의 전후에 구비한 지지 부재[제1 플레이트(144), 제3 플레이트(146)]와, 막대 형상 부재의 각각에 막대 형상 부재로부터 급동(5a)의 외측을 향해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하는 자세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장비되는 복수의 단면 원형의 급치(148)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급동(5a)은 그 내부에 급실(114)에 연통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그 내부 공간으로의 탈곡 처리물의 인입을 허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그 회전 작동시에는 그 주위의 탈곡 처리물과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탈곡 처리물을 교반하면서, 그들 탈곡 처리물에 대해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급동 프레임(147)]나 급치(148)의 타격이나 훑기 등에 의한 탈곡 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즉, 대량의 예취 곡간이 탈곡 처리물로서 급실(114)에 공급된 경우라도, 급동(5a)의 내부 공간을 탈곡 처리용의 처리 공간으로서 유효 이용할 수 있으므로, 처리 공간에서의 탈곡 처리물의 체류나 처리 공간의 포화를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탈곡 처리물의 체류나 처리 공간의 포화에 기인한, 충분한 탈곡 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탈곡 처리물이 수망으로부터 걸러 내려지는 문제나, 탈곡 처리에 필요로 하는 부하가 증가되어 급동(5a)에 대한 전동계가 손상되는 문제 등의 발생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급동 프레임(147)]를, 급동(5a)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배치한 것으로, 막대 형상 부재에 대한 긴 짚의 권취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권취에 기인한 탈곡 처리물의 체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급동(5a)의 회전 작동시에는 복수의 급치(148)뿐만 아니라, 급동(5a)의 동체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까지도 탈곡 처리물에 대해 타격이나 훑기에 의한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 처리 부재로서 기능하게 되므로, 탈곡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급동 프레임(147)] 및 급치(148)가 단면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막대 형상 부재 및 급치(148)에 뾰족한 코너부와 같은 부분이 적게 되어 있으므로, 막대 형상 부재 및 급치(148)의 타격에 의해 탈곡 처리물이 손상을 받는다고 하는 것과 같은 일이 적다.
또한, 급치(148)가 막대 형상 부재[급동 프레임(147)]로부터 외측을 향해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급치(148)의 선단부가 개방된 상태(어떠한 부재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급치(148)에 휘감긴 탈곡 처리물이 급동(5a)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급치(148)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기 쉽고, 급치(148)의 선단부로부터 이격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어, 탈곡 처리물이 급치(148)에 휘감겨 이격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과 같은 상태가 적어진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급동 프레임(147)]를 통상 자세와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한 반전 자세로 방향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탈곡 장치(5)에서는 일반적으로, 급동(5a)의 전방부의 급치(148)의 마모가 심하고, 급동(5a)의 후방부의 급치(148)의 마모는 적다. 이것은 공급구(125)로부터 급실(114)에 예취 곡간이 공급되어, 주로 급동(5a)의 전방부에서 예취 곡간의 탈곡 처리가 행해지고, 수망(117)으로부터 탈곡 처리물이 걸러 내려지는 것이며, 급실(114)의 후방부로 갈수록 탈곡 처리되어 있지 않은 예취 곡간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구성에 따르면, 처음에는 막대 형상 부재[급동 프레임(147)]를 통상 자세로 해 두고, 막대 형상 부재의 전방부의 급치(148)의 마모가 진행되면, 이 막대 형상 부재를 반전 자세로 방향 변경하면 좋다. 따라서, 마모가 진행된 급치(148)의 막대 형상 부재에 있어서, 마모가 진행된 급치(148)를 막대 형상 부재의 후방부에 위치시키고, 마모가 진행되어 있지 않은 급치(148)를 막대 형상 부재의 전방부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으로, 막대 형상 부재의 전체적인 사용 수명을 긴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치(148)가 인접하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에 걸쳐 장착되어 있으면, 막대 형상 부재의 방향 변경을 행하는 경우, 방향 변경해야 할 막대 형상 부재와 방향 변경할 필요가 없는 막대 형상 부재에 걸쳐 급치(148)가 장착되어 있으면, 이 급치(148)를 제거하지 않으면 방향 변경해야 할 막대 형상 부재의 방향 변경을 행할 수 없다. 또한, 급치(148)가 인접하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에 걸쳐 장착되어 있으면, 이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 전부를 방향 변경할 필요가 있어, 1개의 막대 형상 부재를 단독으로 방향 변경한다고 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본 구성에 따르면, 급치(148)가 막대 형상 부재[급동 프레임(147)]로부터 외측을 향해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급치(148)의 선단부가 개방된 상태(어떠한 부재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막대 형상 부재의 방향 변경을 행하는 경우, 급치(148)를 제거하는 일 없이 1개의 막대 형상 부재를 단독으로 방향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방향 변경할 필요가 없는 막대 형상 부재는 통상 자세로 남겨 둘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급치(148)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막대 형상 부재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급치(148)를 착탈 불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에서는 일반적으로 급동(5a)의 전방부의 급치(148)의 마모가 심하다. 이에 대해, 본 구성에 따르면, 막대 형상 부재[급동 프레임(147)]의 전방부의 급치(148)의 마모가 진행되면, 이 막대 형상 부재의 전방부의 급치(148)를 교환함으로써, 막대 형상 부재의 전체적인 사용 수명을 긴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치(148)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그만큼 구조의 복잡화를 수반하므로, 막대 형상 부재의 모든 급치(148)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아닌, 막대 형상 부재의 전방부에 비해 마모의 진행이 느린 중간부의 급치(148)를 착탈 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막대 형상 부재의 구조의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동(5a)의 전단부에 예취 곡간을 후방으로 그러모음 반송하는 나선 치형부[나선 날개(143)]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치(148)를 단면 원형으로 구성하면, 급치(148)에는 예취 곡간이나 탈곡 처리물을 후방으로 반송하는 기능은 발생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급치(148)를 단면 원형으로 구성한 경우, 본 구성에 따르면 급동(5a)의 전단부에 나선 치형부[나선 날개(143)]를 구비함으로써, 공급구(125)로부터 급실(114)로 공급된 예취 곡간이, 나선 치형부에 의해 체류하는 일 없이 그러모아져 후방으로 반송되는 것이며, 공급구(125)로부터 급실(114)로 공급된 예취 곡간이 체류하는 것에 의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동(5a)의 내부 공간을 전후로 이격하는 구획 부재[제2 플레이트(145)]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구획 부재에 의해 급동(5a)의 전방부측에서의 탈곡 처리에 의해 단립화된 곡립이나, 탈곡 처리의 초기 단계에서 급동(5a)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미탈립 곡간 등의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으로의 유동이 억제되고, 또한 그 단립화 곡립이나 미탈립 곡간 등이 급동(5a)의 회전과 함께 급동(5a)의 주위로 유도되게 되므로, 단립화 곡립이나 미탈립 곡간 등이 급동(5a)의 내부 공간을 그냥 지나쳐, 탈립 곡간과 함께 탈곡 처리 방향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에 기인한 3번 로스(tertiary loss)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처리물이 대량으로 공급된 경우라도, 탈곡 처리에 필요로 하는 부하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 없이, 탈곡 처리물에 대해 충분한 탈곡 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또한 3번 로스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부하의 증대에 기인한 급동(5a) 전동계 등의 손상을 회피하면서 탈곡 성능이나 곡립 회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내구성이나 처리 능력이 우수한 탈곡 장치(5)의 급동(5a)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별풍을 일으키는 풍구(winnowing fan)(120)를 장비하고, 풍구로부터의 선별풍을 구획 부재[제2 플레이트(145)]를 향해 유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구획 부재[제2 플레이트(145)]에 의해 막힌 탈곡 처리물이, 풍구(120)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구획 부재의 주위[급동(5a)의 주위]를 향해 여기저기 흩트려져, 급동(5a)의 회전과 함께 구획 부재의 주위로부터 탈곡 처리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 유동하게 되므로, 구획 부재의 직전 부위에서 탈곡 처리물이 퇴적할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처리물의 퇴적에 기인한 처리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급동 프레임(147)]를 구획 부재[제2 플레이트(14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동(5a)의 내부 공간을 전후로 이격하는 구획 부재를 구비한 경우, 본 구성에 따르면, 막대 형상 부재를 구획 부재에 연결하면 막대 형상 부재는 전방부 및 후방부가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막대 형상 부재의 중간부가 구획 부재에 지지되게 되므로, 막대 형상 부재가 충분한 강도로 지지된다.
따라서, 막대 형상 부재를 통상 자세와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한 반전 자세로 방향 변경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 본 구성에 따르면 막대 형상 부재를 구획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막대 형상 부재의 통상 자세 및 반전 자세의 방향 변경을 지장 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급동(5a)의 상부측을 덮는 천장판(124)을 구비하고, 급동(5a)의 회전 작동에 따라서 급실(114)의 상부로 반송된 탈곡 처리물을 후방을 향해 안내하는 먼지 이송 밸브(149)를, 천장판(124)에 구비하고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치(148)를 단면 원형으로 구성하면, 급치(148)에는 예취 곡간이나 탈곡 처리물을 후방으로 반송하는 기능은 발생하기 어렵다.
이에 의해, 급치(148)를 단면 원형으로 구성한 경우에, 본 구성에 따르면 급동(5a)의 상부측을 덮는 천장판(124)에 먼지 이송 밸브(149)를 구비함으로써, 탈곡 처리물이 급실(114)에 있어서 체류하는 일 없이 먼지 이송 밸브(149)에 의해 후방으로 안내되는 것으로, 탈곡 처리물이 급실(114)에 있어서 체류하는 것에 의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이송 밸브(149)를 천장판(124)의 좌우의 측 모서리부에 걸친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고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동(5a)의 상부측을 덮는 천장판(124)에 먼지 이송 밸브(149)를 구비하는 경우, 본 구성에 따르면 먼지 이송 밸브(149)를 천장판(124)의 좌우의 측 모서리부에 걸친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고, 먼지 이송 밸브(149)를 충분히 긴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탈곡 처리물이 급실(114)에 있어서 더 체류하는 일 없이 먼지 이송 밸브(149)에 의해 후방으로 안내되게 된다.
또한, 천장판(124)을 급동(5a)의 회전에 따라서 급치(148)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K)을 대략 따라서 만곡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동(5a)의 상부측을 덮는 천장판(124)에 먼지 이송 밸브(149)를 구비하는 경우, 본 구성에 따르면 천장판(124)을 급동(5a)의 회전에 따라서 급치(148)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K)을 대략 따라서 만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곡 처리물이 천장판(124)의 내면을 따라 원활하게 안내되는 것이며, 탈곡 처리물이 먼지 이송 밸브(149)의 안내 작용을 받아 원활하게 후방으로 안내된다.
또한, 급동(5a)의 하방에 수망(117)을 구비하고, 수망(117)의 메쉬를 급동(5a)의 회전 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급실(114)에 있어서는, 급동(5a)의 회전에 따라서 급동(5a)과 함께 회전하는 탈곡 처리물이 많다. 이에 의해, 본 구성에 따르면, 급동(5a)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망(117)의 메쉬를 급동(5a)의 회전 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급동(5a)과 함께 회전하는 탈곡 처리물의 이동 방향과 수망(117)의 메쉬의 방향을 따르는 상태가 되어, 탈곡 처리물 중 곡립이 수망(117)의 메쉬로부터 걸러 내려지기 쉬워진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탈곡 장치의 일 적합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에 열거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상기한 실시 형태의 전동 기구 대신에, 케이스 입력축(37)이 역회전 방향으로, 예취 출력축(39)이 정회전 방향으로 각각 구동되도록 구성하고, 케이스 입력축(37)과 예취 입력축(42)을 역회전 클러치에 의해 연동시키고, 예취 출력축(39)과 예취 입력축(42)을 정회전 클러치에 의해 연동시키는 구성을 가진 전동 기구나, 케이스 입력축(37)과 예취 출력축(39)이 모두 급동 출력축(38)에 대해 주행 기체 좌측 또는 주행 기체 우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가진 전동 기구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좋다. 이들의 경우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2] 상기한 실시 형태의 견제 기구(70) 대신에, 견제체(71)를 역회전 클러치 조작구(54)에 설치하고, 정회전 클러치 조작구(52)에 접촉부를 설치한 구성의 견제 기구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3] 급동(5a)으로서는, 그러모음부(141)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라도 좋고, 또한 그러모음부(141)에, 나선 날개(143) 대신에 정소치 또는 급치(148)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4] 급동(5a)으로서는, 각 급동 프레임(막대 형상 부재)(147)에, 둥근 막대 강재, 각이진 막대 강재, 각이진 파이프 강재, 앵글 부재, 또는 채널재 등을 채용한 것이라도 좋다.
[5] 급동(5a)에 있어서, 급동 프레임(막대 형상 부재)(147)의 장비 수량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8개의 급동 프레임(147)을 장비하도록 해도 좋다.
[6] 급동(5a)에 있어서, 복수의 급동 프레임(막대 형상 부재)(147)을 각 플레이트(144 내지 146)에 방향 변경 불가능하게 고착하도록 해도 좋다.
[7] 급동 프레임(막대 형상 부재)(147)에 장비하는 모든 급치(148)를, 급동 프레임(147)에 용접 고정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급동 프레임(147)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도록 해도 좋다.
[8] 막대 형상 부재(47)에 장비하는 모든 급치(148) 또는 일부의 급치(148)를, 급동(5a)의 회전에 따라서 탈곡 처리물을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해 안내하는 안내면을 갖는 날개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그 선단부가, 급동(5a)의 회전에 따라서 탈곡 처리물을 탈곡 처리 방향 하류측을 향해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기능하도록 L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해도 좋다.
[9] 급치(148)로서, 각이진 막대 강재나 둥근 파이프재 등을 채용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U자 형상이나 V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것을 채용하도록 해도 좋다.
[10] 급치(148)의 배치 간격으로서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급동 프레임(막대 형상 부재)(147)의 장비 개수를 3의 배수로 하는 경우에는, 각 급치(148)가, 인접하는 급동 프레임(147)에 장비된 급치(148)와 전후 방향에서 1/3 피치만큼 어긋난 상태에서 위치하도록, 또한 급동 프레임(막대 형상 부재)(147)의 장비 개수를 4의 배수로 하는 경우에는, 각 급치(148)가, 인접하는 급동 프레임(막대 형상 부재)(147)에 장비된 급치(148)와 전후 방향에서 1/4 피치만큼 어긋난 상태에서 위치하도록 배치 설정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후방부측에서의 급치(148)의 전후 간격이 전방부측에서의 급치(148)의 전후 간격보다도 커지도록, 전방부측과 후방부측에서 급치(148)의 배치 간격을 다르게 하도록 해도 좋다.
[11] 구획 부재는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낸 제2 플레이트(4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구성이나 형상 혹은 장비 수량 등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구획 부재를, 원형의 다공판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탈곡 출력축(38)로부터 각 막대 형상 부재(47)에 걸치도록 연장된 복수의 막대 형상의 연장 부재와, 각 연장 부재의 연장 단부측을 연결하는 환상의 연결 부재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구획 부재를, 그 외주측일수록 탈곡 처리 후방 하류측에 위치하는 원뿔 형상 등으로 형성하여, 탈곡 처리물을 급동(5a)의 주위로 안내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한 급동(5a)에 복수의 구획 부재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12] 구획 부재에 대한 탈곡 처리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구획 부재를 향해 유동하는 바람을 일으키는 전용의 기풍(起風) 장치(예를 들어, 풍구)를 장비하도록 해도 좋다.
[13] 천장판(124)에 장비하는 모든 먼지 이송 밸브(149) 또는 일부의 먼지 이송 밸브(149)를, 천장판(124)의 좌우 어느 한쪽의 측 모서리부(124C), 또는 좌우 양쪽의 측 모서리부(124C)에 걸치지 않는 짧은 길이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14] 먼지 이송 밸브(149)를, 급실(114) 내의 탈곡 처리물량에 따른 개방도 조절이 가능한 가동식으로 구성하여, 탈곡 성능이나 탈곡 효율의 향상을 더욱 도모하도록 해도 좋다.
[15] 천장판(124)으로서는, 그 만곡부(124A)가 급치(148)의 선단이 그리는 회전 궤적(K)을 따라 만곡하도록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만곡부(124A) 대신에, 급동(5a)의 상부측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굴곡 형성된 굴곡부를 갖도록 구성된 것이라도 좋다.
[16] 급동(5a)으로서는, 그 훑기 처리부(142)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동체부, 그러모음부(141)에 구비한 2매의 나선 날개(143)와 연속되도록 동체부의 외주에 장비한 2매의 스크류 및 각 스크류의 외주부에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상태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비된 다수의 급치 등에 의해 드럼식으로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17] 급동(5a)으로서는, 그 전단부에 설치한 그러모음부(141)의 외주면에 단일의 나선 날개(143)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것이라도 좋고, 또한 그 그러모음부(141)의 외주면에 3매 이상의 나선 날개(143)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것이라도 좋다.
[18] 급동(5a)으로서는, 그 전단부[그러모음부(141)]의 외주면에, 나선 날개(14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지지 금속 부재를 나선 형상으로 정렬 배치한 것이라도 좋다.
[19] 나선 날개(143)로서는, 복수의 날개 형상 부재를, 급동 전단부[그러모음부(141)]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정렬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20] 반송 보조 가이드(151)로서는, 좌우로 분할 불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라도 좋고, 또한 3분할 이상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21] 반송 보조 가이드(151)로서는, 급동(5a)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51B)만이 착탈 가능해지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22] 반송 보조 가이드(151)의 소재로서, 스테인레스 이외의 탄소강 등의 강재를 채용하도록 해도 좋다.
[23] 이음 부재(150)로서는, 수망(117)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것이라도 좋다.
[24] 마지막으로, 탈곡 장치로서는 도시한 전간 투입형 콤바인(whole culm discharging type combine-harvester) 대신에, 급실(114)에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만이 공급되는 자탈형 콤바인(culm head discharging type combine-harvester)에 탑재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탈곡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전간 투입형 콤바인,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5)

  1. 탈곡 장치를 탑재한 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며,
    상기 탈곡장치는,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급실에 공급된 예취 곡간에 대해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동과, 상기 급동의 하방에 장비된 수망을 구비하고,
    상기 급동을, 상기 지지축을 따르는 자세로, 상기 급동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와, 그들 막대 형상 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축의 전후에 구비한 지지 부재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각각에, 상기 막대 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급동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자세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장비되는 복수의 급치로 구성하고,
    상기 급동의 내부에 상기 급실에 연통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상기 지지축보다도 작은 직경의 외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급동의 주위의 처리물과 상기 내부 공간에 인입한 처리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 및 급치의 타격에 의한 훑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설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급치를 상기 설치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설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급치를 상기 설치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과 외측의 2개소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급치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으로 연장된 전후의 연결판을 장비하고,
    상기 지지축의 전방부 및 후단부에 장비된 전후의 지지 부재에, 상기 전후의 연결판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볼트 연결함으로써,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상기 전후의 지지 부재에 연결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실의 전방에, 상기 예취 곡간을 상기 급동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를 장비하고,
    상기 급동의 전단부에, 상기 지지축 주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곡간을 후방을 향해서 그러모음 반송하는 나선 치형부를 구비한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그러모음부를 장비하고,
    상기 그러모음부의 작용으로 그러모음 반송되는 곡간과 함께 상기 나선 치형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공급구로부터 흡인된 외기를 상기 급동의 주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유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그 전후를 반대로 한 반전 자세를 향해 변경 가능하게 장비하고,
    상기 급동의 전후 중간부에 배치되는 상기 급치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용접 고정하고, 상기 급동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급치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7. 콤바인에 탑재되는 탈곡 장치이며,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급실에 공급된 예취 곡간에 대해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동을 구비하고,
    상기 급동을, 상기 지지축을 따르는 자세로, 상기 급동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각각에, 상기 막대 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급동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자세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장비되는 복수의 급치와, 상기 지지축의 전방부에 장비된 전방측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축의 후단부에 장비된 후방측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축의 전후 중도부에 장비된 중간 지지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의 각각을, 상기 전방측 지지부재와 상기 후방측 지지부재에 걸쳐 분할되지 않고 연결된 1개의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상기 막대 형상 부재보다도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전단부를 상기 전방측 지지 부재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전방부를 상기 전방측 지지 부재에 연결지지하고,
    상기 막대 형상 부재보다도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후단부를 상기 후방측 지지 부재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후방부를 상기 후방측 지지 부재에 연결지지하고,
    상기 막대 형상 부재보다도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 내측에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전후중도부를 상기 중간 지지부재의 외주부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전후중도부를 상기 중간 지지부재에 지지하고, 또한,
    상기 급동의 하방에 수망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이 막대 형상 부재로부터 연장된 전방측 연결판 및 후방측 연결판을 각각 장비하고,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 지지 부재에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 연결판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 지지 부재에 연결 지지하고,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 연결판의 사이에 중간 연결판을 장비하고, 상기 중간 지지 부재의 외주부에 상기 중간 연결판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전후 중도부를 상기 중간 지지 부재에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연결판, 상기 중간 연결판 및 상기 후방측 연결판을, 상기 막대 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고,
    상기 전방측 연결판, 상기 중간 연결판 및 상기 후방측 연결판을, 상기 막대 형상 부재보다도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에서, 상기 전방측 지지 부재, 상기 중간 지지 부재 및 상기 후방측 지지 부재에 각각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 지지 부재에 상기 전방측 및 후방측 연결판을 전후 방향의 볼트로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 부재에 상기 중간 연결판을 전후 방향의 볼트로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실의 전방에, 상기 예취 곡간을 상기 급동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를 장비하고,
    상기 급동의 전단부에, 상기 지지축 주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곡간을 후방을 향해서 그러모음 반송하는 나선 치형부를 구비한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그러모음부를 장비하고,
    상기 전방측 지지 부재를, 상기 그러모음부의 후방측을 덮는 상태에서, 상기 그러모음부의 후단부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가 원형 파이프 부재, 원형 막대 부재, 각진 파이프 부재 또는 각진 막대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가 원형 파이프 부재, 원형 막대 부재, 각진 파이프 부재 또는 각진 막대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가 원형 파이프 부재 또는 각진 파이프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복수의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 구멍에 상기 급치를 삽입 관통함으로써 상기 급치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지지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19. 탈곡장치를 탑재한 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며,
    상기 탈곡 장치는, 지지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급실에 공급된 예취 곡간에 대해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급동과, 상기 급동의 하방에 장비된 수망을 구비하고,
    상기 급동을, 상기 지지축을 따르는 자세로, 상기 급동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와, 그들 막대 형상 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축의 전후에 구비한 지지 부재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각각에, 상기 막대 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급동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자세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열되도록 장비되는 복수의 급치로 구성하고,
    상기 막대 형상 부재는, 원형 파이프 부재, 원형 막대 부재, 각진 파이프 부재 또는 각진 막대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급치가, 원형 막대 강재, 각진 막대 강재 또는 원형 파이프재로 구성되고,
    상기 급동의 내부에 상기 급실에 연통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상기 지지축보다도 작은 직경의 외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급동의 주위의 처리물과 상기 내부 공간에 인입한 처리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 및 급치의 타격에 의한 훑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가 원형 파이프 부재 또는 각진 파이프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복수의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 구멍에 상기 급치를 삽입 관통 함으로써 상기 급치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지지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상기 급동의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설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급치를 상기 설치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설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급치를 상기 설치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과 외측의 2개소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급치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기 급동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으로 연장된 전후의 연결판을 장비하고,
    상기 지지축의 전방부 및 후단부에 장비된 전후의 지지 부재에, 상기 전후의 연결판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볼트 연결함으로써,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상기 전후의 지지 부재에 연결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24.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실의 전방에, 상기 예취 곡간을 상기 급동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를 장비하고,
    상기 급동의 전단부에, 상기 지지축 주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곡간을 후방을 향해서 그러모음 반송하는 나선 치형부를 구비한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그러모음부를 장비하고,
    상기 그러모음부의 작용으로 그러모음 반송되는 곡간과 함께 상기 나선 치형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공급구로부터 흡인된 외기를 상기 급동의 주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유동 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25.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를, 그 전후를 반대로 한 반전 자세로 방향 변경 가능하게 장비하고,
    상기 급동의 전후 중간부에 배치되는 상기 급치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용접 고정하고, 상기 급동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급치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KR1020117025863A 2007-01-11 2008-01-09 전간 투입형 콤바인 및 탈곡 장치 KR101427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03644A JP4695608B2 (ja) 2007-01-11 2007-01-11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JP-P-2007-003645 2007-01-11
JP2007003645A JP4148978B2 (ja) 2007-01-11 2007-01-11 脱穀装置
JPJP-P-2007-003644 2007-01-11
JPJP-P-2007-111849 2007-04-20
JP2007111849A JP4713535B2 (ja) 2007-04-20 2007-04-20 コンバイン
JPJP-P-2007-111850 2007-04-20
JP2007111850A JP4713536B2 (ja) 2007-04-20 2007-04-20 コンバイン
JPJP-P-2007-114283 2007-04-24
JP2007114283A JP5491685B2 (ja) 2007-04-24 2007-04-24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PCT/JP2008/050088 WO2008084790A1 (ja) 2007-01-11 2008-01-09 コンバインおよびこれに搭載可能な脱穀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244A Division KR101151084B1 (ko) 2007-01-11 2008-01-09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284A Division KR101345045B1 (ko) 2007-01-11 2008-01-09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KR1020137017937A Division KR101427546B1 (ko) 2007-01-11 2008-01-09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477A KR20110132477A (ko) 2011-12-07
KR101427458B1 true KR101427458B1 (ko) 2014-08-07

Family

ID=3960868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937A KR101427546B1 (ko) 2007-01-11 2008-01-09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KR1020117025863A KR101427458B1 (ko) 2007-01-11 2008-01-09 전간 투입형 콤바인 및 탈곡 장치
KR1020137005284A KR101345045B1 (ko) 2007-01-11 2008-01-09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KR1020097015244A KR101151084B1 (ko) 2007-01-11 2008-01-09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937A KR101427546B1 (ko) 2007-01-11 2008-01-09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284A KR101345045B1 (ko) 2007-01-11 2008-01-09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KR1020097015244A KR101151084B1 (ko) 2007-01-11 2008-01-09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4) KR101427546B1 (ko)
CN (5) CN201898723U (ko)
MY (3) MY161648A (ko)
PH (1) PH12015501800A1 (ko)
WO (1) WO20080847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609A (ko) * 2013-09-12 2015-03-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WO2016021825A1 (ko) * 2014-08-08 2016-02-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4510B2 (ja) * 2012-06-29 2016-03-3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102018389B1 (ko) * 2012-02-21 2019-09-04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N102714983B (zh) * 2012-06-04 2014-08-20 安徽农业大学 一种用于全喂入联合收割机的防堵塞装置
CN110278764B (zh) * 2013-08-07 2022-09-23 株式会社久保田 收获机及全喂入式联合收获机
US20210015048A1 (en) * 2014-03-05 2021-01-21 Kevin J. Kile Threshing beds and concave for an agricultural combine formed therewith
CN112602449A (zh) * 2014-09-02 2021-04-06 株式会社久保田 全秆喂入型联合收割机的脱粒装置和联合收割机
KR102180768B1 (ko) 2015-01-19 2020-11-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링크기구를 이용한 일체형 정역회전 장치를 갖는 콤바인
WO2016117868A1 (ko) * 2015-01-19 2016-07-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링크기구를 이용한 일체형 정역회전 장치를 갖는 콤바인
CN106385942B (zh) * 2015-04-15 2019-01-18 东风井关农业机械有限公司 联合收割机
KR20170001685A (ko) 2016-12-22 2017-01-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0223A (ja) * 1987-11-04 1989-05-12 Kubota Ltd 全稈投入型脱穀装置
JPH1118558A (ja) * 1997-07-09 1999-01-26 Kubota Corp 脱穀装置の扱胴構造
JPH11318182A (ja) * 1998-05-12 1999-11-24 Kubota Corp 自脱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0312526A (ja) * 1999-04-28 2000-11-14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コンバインの脱穀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7037U (ko) * 1984-11-09 1986-06-07
JPH0350829U (ko) * 1989-09-22 1991-05-17
JP3143312B2 (ja) * 1994-03-04 2001-03-07 株式会社クボタ 軸流型脱穀装置の受網構造
JPH1075620A (ja) * 1996-09-03 1998-03-2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3435058B2 (ja) * 1998-03-25 2003-08-11 株式会社クボタ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3730510B2 (ja) 2000-12-13 2006-01-05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3730558B2 (ja) * 2001-10-23 2006-01-05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3859570B2 (ja) 2002-10-03 2006-12-2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0223A (ja) * 1987-11-04 1989-05-12 Kubota Ltd 全稈投入型脱穀装置
JPH1118558A (ja) * 1997-07-09 1999-01-26 Kubota Corp 脱穀装置の扱胴構造
JPH11318182A (ja) * 1998-05-12 1999-11-24 Kubota Corp 自脱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0312526A (ja) * 1999-04-28 2000-11-14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コンバインの脱穀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609A (ko) * 2013-09-12 2015-03-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KR102295257B1 (ko) 2013-09-12 2021-08-3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WO2016021825A1 (ko) * 2014-08-08 2016-02-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KR20160018117A (ko) * 2014-08-08 2016-02-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KR101710753B1 (ko) * 2014-08-08 2017-02-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5501800B1 (en) 2016-02-01
CN201846606U (zh) 2011-06-01
KR20090102816A (ko) 2009-09-30
MY162889A (en) 2017-07-20
KR20130095829A (ko) 2013-08-28
CN201898723U (zh) 2011-07-20
KR101427546B1 (ko) 2014-08-07
KR20130041287A (ko) 2013-04-24
KR101151084B1 (ko) 2012-06-04
KR101345045B1 (ko) 2013-12-26
WO2008084790A1 (ja) 2008-07-17
MY161648A (en) 2017-04-28
PH12015501800A1 (en) 2016-02-01
CN201624016U (zh) 2010-11-10
MY186659A (en) 2021-08-04
KR20110132477A (ko) 2011-12-07
CN201894076U (zh) 2011-07-13
CN201839626U (zh)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458B1 (ko) 전간 투입형 콤바인 및 탈곡 장치
JP4148978B2 (ja) 脱穀装置
JP6165229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2016039834A5 (ko)
JP5491685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4695608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4488445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6466372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4956576B2 (ja) コンバイン
JP2016178947A5 (ko)
JP5215351B2 (ja) 脱穀装置の選別構造
JP2007174999A (ja) 全稈投入形コンバインの排稈処理構造
JP5963833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及び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5643868B2 (ja) 脱穀装置及び脱穀装置を搭載した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6719516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2010200764A5 (ko)
JP5818408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5839782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JP4413187B2 (ja) 脱穀装置の選別構造
JP5963832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及び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2018161155A5 (ko)
JP2010200763A5 (ko)
JP2010200762A5 (ko)
JP4769312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チャフシーブ構造
JP2008178417A (ja) 脱穀装置の扱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