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685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685A
KR20170001685A KR1020160176633A KR20160176633A KR20170001685A KR 20170001685 A KR20170001685 A KR 20170001685A KR 1020160176633 A KR1020160176633 A KR 1020160176633A KR 20160176633 A KR20160176633 A KR 20160176633A KR 20170001685 A KR20170001685 A KR 20170001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clutch
clutch
reverse
reverse rotation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신원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685A/ko
Publication of KR2017000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으로서, 예취부; 상기 예취부에 정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정회전 클러치; 상기 예취부에 역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회전 클러치; 상기 정회전 클러치에 연결되어 상기 정회전 클러치를 연결 또는 해제 조작하기 위한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 상기 역회전 클러치에 연결되어 상기 역회전 클러치를 연결 또는 해제 조작하기 위한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 및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와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를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의 연결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가 해제 조작되고,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의 연결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가 해제 조작되도록 하는 연동 기구를 포함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연동 기구를 사용하여, 콤바인의 예취부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상호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콤바인의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와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를 서로 연동하여, 정회전 클러치와 역회전 클러치 사이의 상호 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연동 기구를 포함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벼, 보리 등의 곡립을 수확하여, 곡립과 볏짚을 선별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콤바인은 예취부의 정회전을 작동시키기 위한 정회전 클러치 및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와, 콤바인의 예취부의 역회전을 작동시키기 위한 역회전 클러치 및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콤바인은 예취부의 정회전 클러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역회전 클러치를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를 조작하더라도, 콤바인 내부에 형성된 견제 장치를 통해, 상기 역회전 클러치의 연결 상태로의 전환 조작을 견제하여, 상기 정회전 클러치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예취부의 정회전이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예취부의 역회전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1차적으로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정회전 클러치의 연결을 해제하고, 다시 2차적으로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역회전 클러치를 연결하여야 한다.
한국특허공보 10-1345045호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콤바인은 예취부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전환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조작을 거쳐야하므로 작업 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예취부의 정회전 작동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예취부의 역회전을 입력하는 경우, 예취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축의 회전 방향을 급작스럽게 변경시키는 것이므로, 콤바인의 동력 전달 기구 및 기어 등에 기계적인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부의 정회전 상태에서 역회전 상태로의 전환을 자연스럽게 연동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클러치 조작부의 작동만으로도 다른 클러치의 해제를 유도할 수 있는 연동 기구를 구비한 콤바인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콤바인으로서, 예취부; 상기 예취부에 정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정회전 클러치; 상기 예취부에 역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회전 클러치; 상기 정회전 클러치에 연결되어 상기 정회전 클러치를 연결 또는 해제 조작하기 위한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 상기 역회전 클러치에 연결되어 상기 역회전 클러치를 연결 또는 해제 조작하기 위한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 및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와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동 기구를 포함하는 콤바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동 기구는,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와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를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의 연결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가 해제 조작되고,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의 연결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가 해제 조작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동 기구는, 일단은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에 연결되어, 역회전 클러치를 연결하기 위한 기준 힘 이상의 조작력이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에 가해지면,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에 상기 조작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콤바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동 기구는 연동 기구는, 일단은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에 연결되어, 정회전 클러치를 연결하기 위한 기준 힘 이상의 조작력이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에 가해지면,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에 상기 조작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콤바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와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는 각각 회동 가능한 레버이고, 와이어의 일단은 역회전 클러치의 회동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정회전 클러치의 회동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동 기구는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부가 정회전으로 작동시, 소정의 힘 이상으로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를 작동시키면, 정회전 클러치를 해제함과 동시에, 역회전 클러치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부가 역회전으로 작동시, 소정의 힘 이상으로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를 작동시키면, 역회전 클러치를 해제함과 동시에, 정회전 클러치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부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작동시, 콤바인의 구동축 등에 상기 소정의 힘 이상으로 역회전 클러치 또는 정회전 클러치를 작동시키지 않는다면, 정회전 클러치 또는 역회전 클러치가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콤바인의 구동축과 기어 등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부가 정회전으로 작동시, 역회전 클러치가 연결되는 것을 견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의 작동만으로도 정회전 클러치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콤바인의 예취부를 역회전 작동시킬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부가 역회전으로 작동시, 정회전 클러치가 연결되는 것을 견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의 작동만으로도 역회전 클러치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콤바인의 예취부를 정회전 작동시킬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동력 전달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 및 연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기재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연동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에 기재된 B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콤바인의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의 위치에 따른 연동 기구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 및 그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방"의 표현은 콤바인(100) 본체의 앞쪽 방향으로써 도 1의 좌측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의 표현은 콤바인(100) 본체의 뒤쪽 방향으로써 도 1의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100)는 그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주행부(1)를 통해, 전체 콤바인(100)가 기립되어 있고,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운전 좌석(2)이 형성된 조종부(3)를 구비하고 있으며, 콤바인(100)의 후방에 탈곡부(5)와 곡립 포장부(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콤바인(100)의 전방에는 전처리장치(12)와 피더(11)로 구성된 예취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콤바인(100)는 벼, 보리 등의 곡립을 수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더(11)의 전단부에는 전처리 장치(1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처리 장치(12)는 상기 피더(11)의 상하 조작에 의해 하강하여 작업 상태로 위치되거나, 상승하여 비작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작업 상태인 예취부(10)가 하강한 상태에서 콤바인(100)를 주행시키면, 상기 전처리 장치(12)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디바이더(15)에 의해 예취 대상물과 비예취 대상물을 분리하고, 상기 예취부(10) 내에 형성된 회전릴(17)에 의해 상기 예취 대상물을 모아, 수집롤(19)을 통해 상기 피더(11)의 입구로 송입한다.
또한, 상기 피더(11)의 입구로 송입된 예취 대상물은 탈곡부(5)로 전달되고, 상기 탈곡부(5)에서는 상기 예취 대상물을 탈곡 처리하고, 탈곡 처리물을 탈곡립과 짚으로 선별하여, 선별된 탈곡립을 상기 곡립 포장부(6)로 공급한다.
도 1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곡립 포장부(6)는 곡립 토출부와 포대 수용부를 구비하여, 최종적으로, 탈곡립이 포대에 수용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평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좌석(2)이 형성된 조종부(3)에는 예취부(10)를 정회전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52)와, 상기 예취부(10)를 역회전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52)와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는 사용자가 운전 좌석(2)에서 착석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 좌석(2)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동력 전달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선도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100)의 운전 좌석(2) 하부에는 전체 콤바인(100)의 이동 및 작동을 위한 엔진(20)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20)의 출력축(20a)의 구동력이 제 1 벨트 기구(21a)를 통해, 주행 변속 장치(22)에 전달되고, 이 주행 변속 장치(22)의 출력을 미션 장치(23)에 입력하여, 전술한 주행부(1)가 작동된다.
상기 주행 변속 장치(22)는 도시되지 않은 유압 펌프와 유압 모터로 구성되며, 통상적으로, 주행 변속 장치(22)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20)의 출력축(20a)의 구동력은 제 1 벨트 기구(21a')를 통해, 탈곡부(5)의 구동축(26)에 전달되며, 상기 구동축(26)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 2 벨트 기구(21b)와 제 3 벨트 기구(21c)를 통해, 각각 탈곡부(5)와 예취부(10)로 전달된다.
탈곡부(5)에 전달된 동력은 스크류 컨베이어(28)를 작동시켜, 상기 탈곡부(5)에서의 곡립을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작업과 곡립의 재선별 작업을 위해 구동된다.
예취부(10)로 전달되는 동력은 하기의 전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선, 제 3 벨트기구(21c)를 통해 전달된 동력은, 전동 케이스(36)의 입력축(37)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전동 케이스(36)를 중심으로 입력축(37) 측에는 정회전 클러치(40)가 연결되고, 그 반대측에는 역회전 클러치(41)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전동 케이스(36) 내부에는 복수의 베벨 기어를 포함하는 베벨 기어 기구(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벨 기어 기구(43)의 작동을 통해, 입력축(37) 측에서의 예취부(10) 정회전과, 입력축(37) 반대측(즉, 역회전 클러치(41)가 위치하는 측)에서의 예취부(10) 역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정회전 클러치(40)가 예취부(10)의 구동축(42)에 연결되는 경우, 예취부(10)는 정회전을 하고, 역회전 클러치(41)가 구동축(42)에 연결되는 경우, 예취부(10)는 역회전을 한다.
또한, 상기 정회전 클러치(40)는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52)에 연결되어,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52)의 조작에 의해 연결 또는 해제 조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역회전 클러치(41)는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에 연결되어,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의 조작에 의해 연결 또는 해제 조작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회전 클러치(40)를 조작하는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52), 역회전 클러치(41)를 조작하는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 및 이들 클러치 조작부들(52, 54)을 서로 연결하며, 이들 클러치 조작부들(52, 54)의 상호 조작을 연계하는 연동 기구(56, 57, 6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기구(56, 57, 61)는 연동 레버(56), 와이어(61) 및 와이어 커버(5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 레버(56)는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가 부착된 장착 플레이트(53)의 피봇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와이어(61)의 일단이 상기 연동 레버(56)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52)의 피봇 회전축(59)에는 방사상으로 연장하고, 상기 와이어(61)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60)는 상기 피봇 회전축(59)의 피봇 회전(P)과 함께 피봇 회전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61)는 U 형의 와이어 커버(57)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61)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따라 그 힘의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61)가 상기 와이어 커버(57) 내에서 이동되고, 상기 와이어 커버(57)는 콤바인(100)의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52)와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는, 사용자의 작동 조작에 따라, 각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레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연동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를 도시하였고, 도 7은 도 6에 기재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52)와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는 연동 기구(56, 61)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6의 상태는 현재 예취부(10)가 정회전하는 정회전 클러치(40)가 연결된 상태(연동레버가 N2에 위치)로서,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52)는 피봇 회전축(59)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있어서,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를 소정의 힘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경우, 즉, 역회전 클러치(41)를 연결시키고자 하는 경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정회전 클러치(40)가 연결된 상태(연동레버가 N2에 위치)를 유지하려는 힘보다 작을 경우에는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가 상방으로 올려지지 않으며, 정회전 클러치(40)는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정회전 클러치(41)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을 기준 힘이라고 한다.
그러나, 상기 정회전 클러치(40)가 연결된 상태(N2)를 유지하려는 힘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경우,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가 부착된 장착 플레이트(53)도 동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장착 플레이트(53)가 피봇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가 부착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의 회동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부착된 연동 레버(56)가 콤바인(100) 본체 전방 방향으로 전진하여 연동 레버(56)가 정회전 클러치(40)가 연결된 상태(연동레버가 N2에 위치)에서 N1을 거쳐 N3에 위치된다.
상기 연동 레버(56)의 위치가 N2에서 최종적으로 N3로 위치될 때, 상기 연동 레버(56)의 일단의 연동 레버 연결부(58)에 연결된 와이어(61)를 전방(도 6의 오른쪽 방향)으로 당기고, 그 후, 상기 와이어(61)에 연결되는 연결부(60)를 후방(도 6의 왼쪽방향)으로 당기고, 상기 연결부(60)가 부착된 피봇 회전축(59)을 반시계 방향(도 6의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최종적으로,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52)를 반시계 방향(도 6의 왼쪽 방향)으로 피봇 회전시킨다. 이러한 작동을 통해, 정회전 클러치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별도의 조작없이 정회전 클러치(40)는 연결 상태(연동레버가 N2에 위치)에서 중립상태(연동레버가 N1에 위치)을 거쳐 역회전 클러치(41)가 연결된 상태(연동레버가 N3에 위치)로 변경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작동을 통해, 정회전 클러치(40)가 연결된 상태(연동레버가 N2에 위치)에서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54)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정회전 클러치(40)의 연결을 해제하고, 역회전 클러치(41)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전술한 일련의 작동 관계를 반대로 실행시켜, 역회전 클러치(41)가 연결된 상태에서,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52)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역회전 클러치(41)의 연결을 해제하고, 정회전 클러치(40)를 연결시킬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역회전 클러치(41)가 연결상태를 유지하려는 힘도 기준 힘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전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들에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균등한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콤바인 1 주행부
2 운전 좌석 3 조종부
5 탈곡부 6 곡립 포장부
10 예취부 11 피더
12 전처리 장치 15 디바이더
17 회전릴 19 수집롤
20 엔진 20a 엔진 출력축
21a, 21a' 제 1 벨트 기구 22 주행 변속 장치
23 미션 장치 21b 제 2 벨트 기구
21c 제 3 벨트 기구 28 스크류 컨베이어
36 전동 케이스 37 전동 케이스 입력축
40 정회전 클러치 41 역회전 클러치
42 예취부 구동축 43 베벨 기어 기구
52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 53 장착 플레이트
54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 56 연동 레버
57 와이어 커버 58 연동 기구 연결부
59 피봇 회전축 60 연결부
61 와이어

Claims (1)

  1. 예취부;
    상기 예취부에 정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정회전 클러치;
    상기 예취부에 역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회전 클러치;
    상기 정회전 클러치에 연결되어 상기 정회전 클러치를 연결 또는 해제 조작하기 위한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
    상기 역회전 클러치에 연결되어 상기 역회전 클러치를 연결 또는 해제 조작하기 위한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 및
    상기 정회전 클러치 조작부와 상기 역회전 클러치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60176633A 2016-12-22 2016-12-22 콤바인 KR20170001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633A KR20170001685A (ko) 2016-12-22 2016-12-22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633A KR20170001685A (ko) 2016-12-22 2016-12-22 콤바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235A Division KR101710753B1 (ko) 2014-08-08 2014-08-08 콤바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85A true KR20170001685A (ko) 2017-01-04

Family

ID=5783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633A KR20170001685A (ko) 2016-12-22 2016-12-22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6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045B1 (ko) 2007-01-11 2013-12-2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045B1 (ko) 2007-01-11 2013-12-2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499B2 (ja) 変速伝動装置
KR101710753B1 (ko) 콤바인
JP2007252322A (ja) 作業車の駆動制御装置
KR20170001685A (ko) 콤바인
KR20200009465A (ko) 콤바인의 예취부 구동장치
JP5564017B2 (ja) 農作業機の走行伝動装置
JP5564016B2 (ja) 農作業機の走行伝動装置
JP4476234B2 (ja) 作業車の駆動制御装置
JP5471760B2 (ja) コンバインのフィードチェン変速装置
JP5313957B2 (ja) 収穫機の走行伝動装置
KR20160089258A (ko) 링크기구를 이용한 일체형 정역회전 장치를 갖는 콤바인
JP4996571B2 (ja) 作業車
JP2015208294A (ja) コンバイン
JP5739275B2 (ja) 農作業機の走行伝動装置
JP5313958B2 (ja) 収穫機の走行伝動装置
JP5592829B2 (ja) 農作業機の変速伝動装置
JP4413169B2 (ja) 農作業車の走行用伝動装置
JP4585373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装置
JP5676355B2 (ja) コンバインの変速伝動装置
JP5792544B2 (ja) 農作業機の走行伝動装置
JP2006077811A (ja) 走行用伝動構造
JP5925283B2 (ja) 変速伝動装置
JP2016202086A (ja) コンバイン
JP5552086B2 (ja) 変速伝動装置
JP4903739B2 (ja) 刈取変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