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041B1 -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및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및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041B1
KR101427041B1 KR1020130035611A KR20130035611A KR101427041B1 KR 101427041 B1 KR101427041 B1 KR 101427041B1 KR 1020130035611 A KR1020130035611 A KR 1020130035611A KR 20130035611 A KR20130035611 A KR 20130035611A KR 101427041 B1 KR101427041 B1 KR 101427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nnector housing
connector
conductors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895A (ko
Inventor
유타로 나카무라
오사무 와쿠
아키라 와타나베
유스케 마츠이
타카시 이와나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공통화한 커넥터 하우징의 구성으로 하고 나서, 모터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게 한다.
연성 도체(12)와, 모터부와 감합하기 위한 그라밋부(13)를 구비하고, 그라밋부(13)는, 동일 형상을 갖는 인접한 2개의 면부(13a, 13b)와, 인접한 2개의 면부(13a, 13b)를 걸쳐서 마련된 2개의 슬릿부(14)를 가지며, 2개의 연성 도체(12)는, 타단이 2개의 슬릿의 각각을 통과하여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장착 방향을 가변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및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MOVABLE CONNECTOR FOR A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MOVABLE CONNECTOR FOR A MOTOR}
본 발명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및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EPS(Electrical Power Steering : 전동 파워 스티어링)용 모터에 있어서, 커넥터를 직출(直出)한 타입의 모터는, 커넥터 하우징과 수지 브러시 홀더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일체 성형 부품은, 요크와 하우징에 접촉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291193호 공보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특허 문헌 1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외부 커넥터의 장착 방향에 따라 신규 금형이 필요하게 되어, 고비용이 된다는 구조면의 문제가 있다. 또한, 커넥터 방향에 따라 출하 검사용 시험기의 설비 개수, 또는, 매뉴얼 대응이 필요하게 되어, 자동화가 곤란하다라는 작업면의 문제도 있다.
또한, 구조면에서는, 수지 브러시 홀더와 커넥터 하우징의 일체 성형품이 요크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브러시와 커뮤테이터(commutator)가 활주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에 전달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통화한 커넥터 하우징의 구성을 채용하고 나서, 모터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게 하는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및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에 내장된 터미널부에 일단이 접속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에 타단이 접속됨으로써 모터에 대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체와, 모터부와 감합하기 위한 그라밋부(grommnet unit)를 구비한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로서, 그라밋부는, 모터부와 감합할 때에 모터부와 대향하는 면으로서, 동일 형상을 갖는 인접한 2개의 면부와, 인접한 2개의 면부를 걸쳐서 마련된 2개의 슬릿부를 가지며, 도체는, 2개의 연성 도체로 구성되고, 2개의 연성 도체의 타단이 2개의 슬릿의 각각을 통과하여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2개의 연성 도체는, 타단이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2개의 면부의 한쪽 면에 의해 감합된 제1의 장착 상태로부터, 2개의 면부의 다른쪽 면에 의해 감합된 제2의 장착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터미널부의 취출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하도록, 적절한 길이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커넥터 하우징에 내장된 터미널부에 일단이 접속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에 타단이 접속됨으로써 모터에 대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와, 모터부와 감합하기 위한 그라밋부를 구비한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모터부와 감합할 때에 모터부와 대향하는 면으로서, 동일 형상을 갖는 인접한 2개의 면부를 갖음과 함께, 인접한 2개의 면부를 걸쳐서 2개의 슬릿부를 갖는 그라밋부와, 터미널부가 내장된 커넥터 하우징을,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터미널부와 모터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도체로서 2개의 연성 도체를 채용하고, 2개의 연성 도체의 타단이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2개의 면부의 한쪽 면에 의해 감합된 제1의 장착 상태로부터, 2개의 면부의 다른쪽 면에 의해 감합된 제2의 장착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터미널부의 취출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하도록, 2개의 연성 도체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두는 공정과, 절단 후의 2개의 연성 도체의 일단을 터미널부에 접속하고, 2개의 연성 도체의 타단을 2개의 슬릿의 각각을 통과하여 외부에 배설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및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장착 방향을 변경 가능한 형상을 구비한 그라밋부의 2면에 걸쳐서 슬릿을 형성하고, 슬릿을 통과하여 연재된 연성 도체를 이용하여 모터와 커넥터부와의 접속을 행함에 의해, 공통화한 커넥터 하우징의 구성을 채용하고 나서, 모터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게 하는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및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이미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과 수지 브러시 홀더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도 2에 도시한 브러시 홀더 ASSY가, 하우징(3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도 3에 도시한 하우징 ASSY가, 모터에 장착된 완성품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알맞는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과 수지 브러시 홀더를 연성 도체에 의해 접속함과 함께,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 성형되는 그라밋부에 상당한 부분에 있어서, 인접하는 2면을 동일 형상으로 한다는 사양을 채용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양을 채용함으로써, 완성품이 된 후에, 커넥터 취출 방향을 변경하고, 재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수지 브러시 홀더와 커넥터 하우징은, 연성 도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의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이미지도 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a)는,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10)의 사시도 이고, 도 1의 (b)는, 커넥터 하우징(10)의 정면, 측면, 배면, 윗면, 하면의 각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커넥터 하우징(10)에는, 터미널부(11)가 내장되고, 터미널부의 선단에 연성 도체(1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수지 브러시 홀더(20)와의 접속 부분이 되는 그라밋부(13)는, 2개의 슬릿(14)이 마련되어 있고, 그들 슬릿(14)을 통과하여 연성 도체(12)가 커넥터 하우징(10)의 외부로 취출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10)은, 후술하는 모터측의 하우징(30)에 마련된 오목부(31)와 감합시키기 위한 볼록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10)과 수지 브러시 홀더(20)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의 외부로 늘어난 연성 도체(12)는, 수지 브러시 홀더(20)에 내장된 플레이트(21)에 접속된다. 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접속 상태를, 이하의 설명에서는, 브러시 홀더 ASSY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도 2의 상단은, 커넥터 하우징(10)을 수지 브러시 홀더(20)에 대해 가로로 길다란 상태로 접속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a)정면, (b)측면, (c)배면의 각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2의 하단은, 커넥터 하우징(10)을 수지 브러시 홀더(20)에 대해 세로로 길다란 상태로 접속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d)정면, (e)측면, (f)배면의 각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그라밋부(13)에서, 슬릿(14)이 형성된 2면을, 부호 13a, 13b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들 2개의 면(13a, 13b)은, 감합할 때에 모터측의 수지 브러시 홀더(20)의 감합면과 대향하는 면에 상당하고, 서로 인접하여 있음과 함께, 동일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2개의 면(13a, 13b)의 어느 면으로도 모터측의 수지 브러시 홀더(20)와 감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도 2에 도시한 브러시 홀더 ASSY가, 하우징(3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착 후의 상태를,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우징 ASSY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도 3에 도시한 하우징 ASSY가, 모터에 장착된 완성품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다. 도 4에 도시한 모터(40)는, 요크(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성품의 상태에서는, 커넥터 하우징(10)은, 하우징(30)과 요크(41)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는, 슬릿(14)이 형성된 그라밋부(13)의 2면(13a, 13b)의 면 형상이, 정방형(正方形)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앞서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성 도체(12)는, 면(13a) 및 면(13b)의 2면에 걸쳐서 마련된 슬릿(14)을 통과하여 외부로 늘어나 있음과 함께, 조립 후의 커넥터 취출 방향 변경을 상정하여, 적당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0)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10)의 고정은, 하우징(30)에 마련된 오목부(31)에, 커넥터 하우징(10)에 마련된 볼록부(15)를 감합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그라밋부(13)가 일체 성형된 커넥터 하우징(10)은, 도 2의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로로 길다란 상태, 또는 도 2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세로로 길다란 상태로, 90°씩 취출 방향을 변경하여, 모터(40)에 대해 재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하면,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연성 도체(12)의 일단이 플레이트(21)에 접속된 상태 그대로, 모터(40)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10)의 장착 방향을, 원활하면서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커넥터의 구체적인 취출 방향의 상태로서는, 도 3에서는 (a) 내지 (d)로서 예시되고, 도 4에서는 (a) 내지 (c)로서 예시되어 있다. 즉, 도 3에서, (a)는, 커넥터 하우징(10)을 가로로 길다란 상태로 장착하고, 또한 취출 방향을 지면상(紙面上)의 좌측으로 한 경우, (b)는, 커넥터 하우징(10)을 세로로 길다란 상태로 장착하고, 또한 취출 방향을 지면상의 상측으로 한 경우, (c)는, 커넥터 하우징(10)을 가로로 길다란 상태로 장착하고, 또한 취출 방향을 지면상의 우측으로 한 경우, (d)는, 커넥터 하우징(10)을 가로로 길다란 상태로 장착하고, 또한 취출 방향을 지면상의 앞쪽측으로 한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서, (a)는, 모터(40)에 대해 커넥터 하우징(10)을 가로로 길다란 상태로 장착하고, 또한 취출 방향을 모터 후방측(도 4의 지면상의 우측)으로 한 경우, (b)는, 모터(40)에 대해 커넥터 하우징(10)을 가로로 길다란 상태로 장착하고, 또한 취출 방향을 모터 앞쪽측(도 4의 지면상의 좌측)으로 한 경우, (c)는, 모터(40)에 대해 커넥터 하우징(10)을 세로로 길다란 상태로 장착하고, 또한 취출 방향을 모터 상방측(도 4의 지면상의 상측)으로 한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10)의 취출 방향 변경에 수반하여, 2개의 연성 도체(12)가 비틀림으로써 서로 접촉(쇼트)할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이 방지책으로서,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브러시 홀더(20)에 마련된 벽부(22)에 의해, 연성 도체(12)끼리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벽부(22)는, 커넥터 하우징(10)의 그라밋부(13)측에 마련할 수도 있다.
종래의 일체형 커넥터 하우징은, 커넥터의 취출 방향에 응하여 전용의 금형을 복수 제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는, 모터 완성품의 상태에서, 커넥터 취출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은, 1종류만으로 대응할 수가 있어서, 그라밋부(13)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10)을, 공통 부품으로서 일체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종래는, 커넥터의 취출 방향에 응하여, 커넥터 하우징(10) 방향이 복수 타입 있기 때문에, 각각 방향에 응한 설비 개수(改修), 또는 매뉴얼 조작이 필요하였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커넥터 하우징(10)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조립 라인이 유동(流動)할 때, 커넥터 하우징(10)의 취출 방향을 일정 방향으로 정하여서 유동할 수가 있어서, 출하 검사용 설비의 자동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는, 이하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공정 1] 동일 형상을 갖는 인접한 2개의 면(13a, 13b)을 가지며, 이들 2개의 면(13a, 13b)을 걸쳐서 2개의 슬릿(14)을 갖는 그라밋부와, 터미널부(11)가 내장된 커넥터 하우징(10)을, 일체 성형하는 공정.
[공정 2] 연성 도체(12)의 일단이 플레이트(21)에 접속된 상태 그대로, 모터(40)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10)의 장착 방향을, 원활하며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2개의 연성 도체(12)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두는 공정.
[공정 3] 절단 후의 2개의 연성 도체(12)의 일단을 터미널부(11)에 접속하고, 2개의 연성 도체(12)의 타단을 2개의 슬릿(14)의 각각을 통과하여 외부에 배설하는 공정.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이, 그라밋부의 2면에 걸쳐서 마련된 슬릿과, 조립 후의 커넥터 취출 방향 변경을 상정하여 적당한 길이를 가지며, 슬릿을 통과하도록 외부로 늘어나 있는 연성 도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라밋부의 인접하는 2면의 형상은, 커넥터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에 마련된 오목부에,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볼록부를 감합시킴으로써, 기계적인 접속을 행할 수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연성 도체끼리의 접촉(쇼트)을 방지하는 구조도 구비하고 있다.
이 결과, 부품을 공통화하고 나서, 커넥터 하우징을 모터에 장착한 후에도, 연성 도체의 일단이 플레이트에 접속된 상태 그대로, 모터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 방향을, 원활하며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부품을 공통화하고 나서 장착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결과, 출하 검사용 설비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브러시 홀더와 커넥터 하우징은, 연성 도체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러시와 커뮤테이터가 활주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의 전달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그라밋부가 인접하는 2면의 동일 형상이 정방형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라밋 형상은, 정방형으로 한하지 않고, 정다각형(예를 들면, 정삼각형, 정육각형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그라밋 형상에 응하여, 커넥터 하우징의 취출 방향의 각도 조절이 변동한다. 예를 들면, 정방형이라면 90°씩, 삼각형이라면 120°씩, 육각형이라면 60°씩, 커넥터 하우징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라밋부에서 2개의 면을 정다각형으로 하지 않는 경우라도, 각각 2개의 면이 동일 형상을 갖고 있음으로써, 앞서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로로 길다란 방향의 장착 상태와 세로로 길다란 방향의 장착 상태를 전환하는 것은 가능하다.
10 : 커넥터 하우징 11 : 터미널
12 : 연성 도체 13 : 그라밋부
13a, 13b : 슬릿이 마련된 면 14 : 슬릿
15 : 볼록부 20 : 수지 브러시 홀더
21 : 플레이트 22 : 벽부
30 : 하우징 31 : 오목부
40 : 모터부 41 : 요크

Claims (5)

  1. 커넥터 하우징에 내장된 터미널부에 일단이 접속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에 타단이 접속됨으로써 상기 모터에 대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체와,
    상기 모터부와 감합하기 위한 그라밋부를 구비하는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로서,
    상기 그라밋부는,
    상기 모터부와 감합할 때에 상기 모터부와 대향하는 면으로서, 동일 형상을 갖는 인접한 2개의 면부와,
    인접한 상기 2개의 면부를 걸쳐서 마련된 2개의 슬릿부를 가지며,
    상기 도체는, 2개의 연성 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연성 도체의 타단이 상기 2개의 슬릿의 각각을 통과하여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2개의 연성 도체는, 상기 타단이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면부의 한쪽 면에 의해 감합된 제1의 장착 상태로부터, 상기 2개의 면부의 다른쪽 면에 의해 감합된 제2의 장착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터미널부의 취출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면은, 동일 형상의 면이 정 N각형(단, N은 3 이상의 정수)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면부 중의 어느 하나의 면으로 상기 모터부에 장착될 때에, 상기 하나의 면을 (360/N)도씩 감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커넥터 취출 방향을 (360/N)도식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밋부는, 상기 모터부측에 마련된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과 감합하기 위해 마련된 복수의 볼록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연성 도체끼리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5. 커넥터 하우징에 내장된 터미널부에 일단이 접속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에 타단이 접속됨으로써 상기 모터에 대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와,
    상기 모터부와 감합하기 위한 그라밋부를 구비한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모터부와 감합할 때에 상기 모터부와 대향하는 면으로서, 동일 형상을 갖는 인접한 2개의 면부를 갖음과 함께, 인접한 상기 2개의 면부를 걸쳐서 2개의 슬릿부를 갖는 상기 그라밋부와, 상기 터미널부가 내장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터미널부와 상기 모터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상기 도체로서 2개의 연성 도체를 채용하고, 상기 2개의 연성 도체의 상기 타단이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면부의 한쪽 면에 의해 감합된 제1의 장착 상태로부터, 상기 2개의 면부의 다른쪽 면에 의해 감합된 제2의 장착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터미널부의 취출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길이로, 상기 2개의 연성 도체를 절단하여 두는 공정과,
    절단 후의 상기 2개의 연성 도체의 일단을 상기 터미널부에 접속하고, 상기 2개의 연성 도체의 타단을 상기 2개의 슬릿의 각각을 통과하여 외부에 배설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130035611A 2012-07-23 2013-04-02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및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1427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2830A JP5377718B1 (ja) 2012-07-23 2012-07-23 モータ用可動式コネクタおよびモータ用可動式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JP-P-2012-162830 2012-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895A KR20140013895A (ko) 2014-02-05
KR101427041B1 true KR101427041B1 (ko) 2014-08-06

Family

ID=4995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611A KR101427041B1 (ko) 2012-07-23 2013-04-02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및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77718B1 (ko)
KR (1) KR101427041B1 (ko)
CN (1) CN103579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592B1 (ko) * 2019-04-25 2020-06-05 (주)파스텍 브레이크 내장형 스텝 서보모터
JP7425718B2 (ja) * 2020-12-14 2024-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5219A (ja) 2002-08-29 2004-03-25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電気コネクタ
JP2004248354A (ja) 2003-02-12 2004-09-02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KR20080007063A (ko) * 2006-07-14 2008-01-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JP2010148313A (ja) * 2008-12-22 2010-07-01 Mitsuba Corp 減速装置付き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288U (ko) * 1976-07-16 1978-02-03
JPH02149197U (ko) * 1989-05-19 1990-12-19
JP2943139B2 (ja) * 1994-10-13 1999-08-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型記憶装置の駆動装置
JP3918245B2 (ja) * 1997-09-19 2007-05-2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1176596A (ja) * 1999-12-14 2001-06-29 Nippon Tanshi Kk 多極コネクタ用リテイナ
JP3980301B2 (ja) * 2001-07-30 2007-09-26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付きコネクタ
US8235553B2 (en) * 2009-02-16 2012-08-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ghting device for a headlamp light sour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5219A (ja) 2002-08-29 2004-03-25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電気コネクタ
JP2004248354A (ja) 2003-02-12 2004-09-02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KR20080007063A (ko) * 2006-07-14 2008-01-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JP2010148313A (ja) * 2008-12-22 2010-07-01 Mitsuba Corp 減速装置付き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895A (ko) 2014-02-05
CN103579790B (zh) 2016-01-20
CN103579790A (zh) 2014-02-12
JP2014022318A (ja) 2014-02-03
JP5377718B1 (ja) 201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7995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JP6806529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US8804314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10131296B2 (en) Insert bus bar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325945B2 (ja) モータに用いられる雌型コネクタ
US8435065B2 (en) Plug-in unit
JP5931491B2 (ja) モータユニット、ワイパーモータ装置、及びカバー製造方法
KR101427041B1 (ko)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 및 모터용 가동식 커넥터의 제조 방법
WO2015037699A1 (ja) 電気接続箱
KR101678731B1 (ko) 차량용 전기 센터
KR102118030B1 (ko) 모터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262579B2 (ja) 電流センサーと導電部材との組み付け構造
CN105428891A (zh) 用于可插式连接器的绝缘体及可插式连接器
JP4974173B2 (ja) 電気接続箱
KR101569432B1 (ko) 와이어리스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 유닛
US20160035528A1 (en) Fuse unit
US20160079027A1 (en) Fuse unit
JP6384859B2 (ja) 電気接続箱
JP5888801B1 (ja) 電気接続箱
US10181710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1830272B1 (ko) 퓨즈홀더 일체형 커넥터
JP6412728B2 (ja) 電気接続箱
JP5949647B2 (ja) 電線スプライス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5090832A (ja) コネクタ
JP2014023245A (ja) 電子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