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034B1 - 양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034B1
KR101427034B1 KR1020130012535A KR20130012535A KR101427034B1 KR 101427034 B1 KR101427034 B1 KR 101427034B1 KR 1020130012535 A KR1020130012535 A KR 1020130012535A KR 20130012535 A KR20130012535 A KR 20130012535A KR 101427034 B1 KR101427034 B1 KR 101427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wing
magnesium
brewing vessel
vessel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오성
Original Assignee
송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오성 filed Critical 송오성
Priority to KR102013001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fruits other than botanical genus Vit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양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조 방법은, (a) 과실 또는 곡류를 준비하는 단계(S10), (b) 과실 또는 곡류를 양조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S20), (c) 양조 용기에 효모를 혼입하는 단계(S30), (d) 양조 용기에 나노 칼슘 또는 나노 마그네슘을 혼입하는 단계(S40), 및 (e) 양조 용기에 공기 방울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LIQUOR}
본 발명은 양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과실주, 곡주 등의 주류를 제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나노 칼슘 또는 나노 마그네슘 및 공기 방울 교반으로 안정화시켜, 숙성 시간 단축, 유통기간 연장 및 잔류하는 기능성 이온으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술의 양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주는 과실 또는 곡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실주는 포도당을 함유한 과실에 효모를 투입하여 약 한달간의 발효기간을 거쳐, 포도당이 에틸알콜(ethylalcohol, ethanol) 및 이산화탄소로 변하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며, 과실주는 18~20% 정도의 알콜도수를 가질 수 있다. 이 과정은 C6H12O6 -> 2C2H5OH + 2CO2로 나타낼 수 있다.
곡주는 곡류의 탄수화물을 포도당으로 분해한 후 효소에 의한 발효 및 포도당을 알코올로 분해하는 효모에 의한 발효가 동시에 가능한 누룩을 이용하여 약 한달간의 발효기간을 거쳐 만들어지며, 곡주는 18~22% 정도의 알콜도수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양조 방법은 약 한달간의 장시간동안 술의 숙성상태를 확인하고 점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숙성 시간을 줄이기 위해, 온도를 높여 효모를 활성화시키고 알콜의 생성 반응을 촉진시킬 수도 있으나, 온도 제어에 문제가 생기거나 특정 온도를 넘으면 알콜이 산화되어 초산이 만들어지는 초산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효모가 죽거나 활성화 되지 못하여 오히려 숙성 시간을 단축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조가 완료되어 유통되는 술에서 효모가 살아있는 경우에는 발효진행이 계속 될 수 있어, 발효진행 중 생성된 이산화탄소 가스에 의한 용기 파괴, 과도한 거품 넘침, 술의 맛 변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제조가 완료된 술에서의 계속된 발효를 방지하기 위해 증류 공정, 살균 공정 등의 추가 공정을 수행하면, 술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거나, 살균취가 남아 술의 가치가 하락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숙성 시간을 단축시킨 양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 완료되어 유통되는 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를 안정화시켜, 용기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고 유통기간이 늘어난 양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술 내부에 잔존한 칼슘 또는 마그네슘 이온이 기능성 이온으로 작용하여 섭취자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양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유통이나 살균공정을 배제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양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조 방법은, (a) 과실 또는 곡류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과실 또는 곡류를 양조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양조 용기에 효모를 혼입하는 단계; (d) 상기 양조 용기에 나노 칼슘 또는 나노 마그네슘을 혼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양조 용기에 공기 방울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양조 용기에 설탕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나노 칼슘은 산화칼슘(CaO), 탄산칼슘(CaCO3) 또는 중탄산칼슘(Ca(HCO3)2)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마그네슘은 산화마그네슘(MgO), 탄산마그네슘(MgCO3) 또는 중탄산마그네슘(Mg(HCO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나노 칼슘 또는 상기 나노 마그네슘은 1mg/L의 농도를 가진 콜로이드 상태로 상기 양조 용기에 혼입되며, 상기 양조 용기에 채워진 전체 재료의 2.5wt% 또는 0.5vol%가 되도록 상기 양조 용기에 혼입될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공기 방울은 질소(N2), 산소(O2), 이산화탄소(CO2), 아르곤(A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양조 용기의 하부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숙성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 완료되어 유통되는 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를 안정화시켜, 용기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고 유통기간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술 내부에 잔존한 칼슘 또는 마그네슘 이온이 기능성 이온으로 작용하여 섭취자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유통이나 살균공정을 배제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칼슘 또는 나노 마그네슘의 반응을 나타내는 화학식이다.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슘 또는 마그네슘이 이온 상태로 술 내에 분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양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술을 만들기 위한 주 재료를 준비한다(S10).
주 재료는 과실 또는 곡류로서, 과실은 포도, 배, 사과, 복숭아, 감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곡류는 쌀, 보리, 옥수수, 감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포도당을 포함하여 술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재료에 있어서의 제한은 없다. 과실을 주 재료로 사용할 경우, 판매가 어려운 낙과 또는 수확시 일부에 흠이 생겨 버려질 수 있는 과실을 사용함으로써, 부가가치가 높은 술을 제조하여 농가소득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주 재료의 껍질을 제거하고 분쇄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S11).
과실 껍질 또는 씨의 성분을 술에 포함시키기 위해 본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으나, 과육이 아닌 부분이 첨가되면 제조된 술의 색감이 안 좋을 수 있고, 과육에 비해 포도당이 덜 포함된 껍질 또는 씨 부분으로 인해 술의 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분쇄는 과육과 효모가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효과적으로 발효반응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다. 과육을 절단하거나 믹서로 갈아서 0.1cm 내지 1cm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분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발효가 완료된 후에는 과육 덩어리를 술과 분리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주 재료(과실 또는 곡류)를 양조 용기에 투입한다(S20).
양조 용기의 내부에서는 발효 및 숙성이 진행될 수 있다. 양조 용기에는 망과 같이 술과 과육 덩어리를 분리하는 수단, 숙성 과정 중 술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술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 양조 용기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창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공기 방울을 공급하며 교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조 용기의 하부면에는 공기 방울을 공급할 수 있는 통로인 구멍이 형성되거나, 공기 방울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인 튜브, 펌프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양조 용기에 설탕물을 투입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S21).
보당(補糖)을 너무 적게 실시한다면, 과실의 당도가 낮은 경우 알콜도수가 5% 이하인 술이 제조될 수 있어 저장성과 맛이 좋지 않을 수 있고, 보당을 너무 많이 실시하면 효모에 의한 알콜 생성 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30g/L 내지 70g/L 의 농도를 가지는, 바람직하게는 50g/L의 농도를 가지는 설탕물을 투입할 수 있다.
이어서, 양조 용기에 효모를 혼입한다(S30).
효모는 양조용 효모를 1g/L 내지 5g/L, 바람직하게는 3g/L의 농도를 가지도록 하여 양조 용기에 혼입할 수 있다. 효모를 30℃ 전후(약 25℃ 내지 35℃)의 온도를 가지는 설탕물에 넣어 활성도를 높인 후에 양조 용기에 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양조 용기에 나노 칼슘 또는 나노 마그네슘을 혼입한다(S40)
나노 칼슘, 나노 마그네슘은 입자가 나노 사이즈인 칼슘, 마그네슘을 의미한다. 나노 칼슘은 산화칼슘(CaO), 탄산칼슘(CaCO3) 또는 중탄산칼슘(Ca(HCO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나노 마그네슘은 산화마그네슘(MgO), 탄산마그네슘(MgCO3) 또는 중탄산마그네슘(Mg(HCO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칼슘 또는 나노 마그네슘은 양조 용기에 분말을 직접 투입하거나, 1mg/L의 농도를 가진 콜로이드 농축액 상태로 수화시켜 양조 용기에 혼입할 수 있으며, 그 양은 양조 용기에 채워진 전체 재료의 2.5wt% 또는 0.5vol%가 되도록 혼입할 수 있다.
나노 칼슘 또는 나노 마그네슘을 혼입함으로써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가 안정화되며, 칼슘 또는 마그네슘이 이온화 될 수 있다. 도 2의 (a)는 산화칼슘(CaO)을 혼입한 경우, 도 2의 (b)는 탄산칼슘(CaCO3)을 혼입한 경우, 도 2의 (c)는 중탄산칼슘(Ca(HCO3)2)을 혼입한 경우의 화학식을 나타내며, 도 3은 칼슘 또는 마그네슘이 이온 상태로 술 내에 분산되는 경우의 술의 색 변화를 나타낸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산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칼슘이 생성되고[CaO + H2O -> Ca(OH)2], 이 수산화칼슘이 포도당이 발효되면서 생성[C6H12O6 -> 2C2H5OH + 2CO2]된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중탄산칼슘이 생성[Ca(OH)2 + CO2 -> Ca(HCO3)2]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탄산칼슘은 수용성의 이온 형태인 Ca2 + 및 2(HCO3)-로 술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탄산칼슘이 물 및 포도당이 발효되면서 생성[C6H12O6 -> 2C2H5OH + 2CO2]된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중탄산칼슘이 생성[CaCO3 + H2O + CO2 -> Ca(HCO3)2]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탄산칼슘은 수용성의 이온 형태인 Ca2+ 및 2(HCO3)-로 술에 존재할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중탄산칼슘은 수용성의 이온 형태인 Ca2 + 및 2(HCO3)-로 술에 존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산화마그네슘(MgO) 콜로이드 농축액을 투입(좌측 및 우측 비이커)한 후에, 우측 비이커에만 공기방울 교반을 실시한 경우 마그네슘 이온이 술 내에 분산됨으로써 술 색이 맑아짐(우측 비이커)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두 비이커에 19% 알코올수용액을 준비하고, 산화마그네슘(MgO) 콜로이드 농축액 2.5wt%을 투입(좌측 및 우측 비이커)한 후에, 우측 비이커에만 30초동안 공기방울 교반을 실시한 경우, 30분후에 마그네슘 이온이 더 용이하게 술 내에 분산됨으로써 술 색이 맑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방울 교반에 의해 교반이 더욱 잘 일어나며 칼슘 또는 마그네슘이 이온 상태로 완전히 용해 분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포도당이 발효되면서 생성된 이산화탄소가 2(HCO3)-에 포함된 이온 상태로 술에 분산되기 때문에, 발효 중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안정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조가 완료되어 유통되는 술에서 이산화탄소 가스의 생성으로 인한 용기 파괴, 과도한 거품 넘침, 술의 맛 변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가스가 계속 이온 상태로 술에 분산되므로, 르샤틀리에 원리에 따라서 포도당이 에틸알콜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순반응이 계속 진행될 수 있게 되어 숙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Ca2 + 또는 Mg2 +가 이온 상태로 술에 분산되므로, 술을 마실 때 기능성 이온으로 작용하는 칼슘 또는 마그네슘 이온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칼슘 이온은 골다공증 예방, 성장발육 촉진 등의 효능이 있고, 마그네슘 이온은 컨디션 회복, 신체 내 효소반응 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능이 있다.
이어서, 양조 용기에 공기 방울을 공급하여 교반한다(S50).
공기 방울은 질소(N2), 산소(O2), 이산화탄소(CO2), 아르곤(A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가스 상태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기 방울은 양조 용기의 하부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공급될 수 있다. 공기 방울은 매시간마다 5분 이상씩 공급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방울이 양조 용기의 하부면에서부터 상부로 올라오면서 액체 상태의 술을 교반하여, 포도당의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술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숙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1. (a) 과실 또는 곡류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과실 또는 곡류를 양조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양조 용기에 효모를 혼입하는 단계;
    (d) 상기 양조 용기에 나노 마그네슘 - 상기 나노 마그네슘은 산화마그네슘(MgO), 탄산마그네슘(MgCO3) 또는 중탄산마그네슘(Mg(HCO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 - 을 혼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양조 용기에 공기 방울을 공급하며 교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양조 용기에 설탕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나노 마그네슘은 1mg/L의 농도를 가진 콜로이드 상태로 상기 양조 용기에 혼입되며, 상기 양조 용기에 채워진 전체 재료의 2.5wt% 또는 0.5vol%가 되도록 상기 양조 용기에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공기 방울은 질소(N2), 산소(O2), 이산화탄소(CO2), 아르곤(A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양조 용기의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조 방법.
KR1020130012535A 2013-02-04 2013-02-04 양조 방법 KR101427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535A KR101427034B1 (ko) 2013-02-04 2013-02-04 양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535A KR101427034B1 (ko) 2013-02-04 2013-02-04 양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034B1 true KR101427034B1 (ko) 2014-08-05

Family

ID=5174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535A KR101427034B1 (ko) 2013-02-04 2013-02-04 양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0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676B1 (ko) 2010-06-09 2011-02-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초의 제조장치
KR20110119104A (ko) * 2010-04-26 2011-11-02 김기호 생막걸리 탄산 자동 주입장치
KR20120075721A (ko) * 2010-12-29 2012-07-09 원주시 다래를 이용한 와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104A (ko) * 2010-04-26 2011-11-02 김기호 생막걸리 탄산 자동 주입장치
KR101014676B1 (ko) 2010-06-09 2011-02-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초의 제조장치
KR20120075721A (ko) * 2010-12-29 2012-07-09 원주시 다래를 이용한 와인 제조 방법
KR101355746B1 (ko) 2010-12-29 2014-01-27 원주시 다래를 이용한 와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0086B1 (ja) 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170206B1 (ja) 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522160B (zh) 一种葡萄复合涂膜保鲜剂及其制备方法
JP2008086269A (ja) 緑色野菜容器詰飲料
CN102093940B (zh) 富硒干红葡萄酒的酿造工艺
KR100769528B1 (ko) 석류 와인의 제조 방법
CN101288443A (zh) 西瓜酱及其生产方法
CN101564182A (zh) 樱桃饮料的制作方法
KR101427034B1 (ko) 양조 방법
KR100563651B1 (ko) 과즙과야채즙액을수곡으로한양조술의제조방법
CN108641840A (zh) 红枣果啤及加工方法
KR101730913B1 (ko) 무화과 와인 및 그 제조방법
CN104041908A (zh) 一种牡丹花粉泡腾片的制备方法
JP2017209102A (ja) 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726300A (zh) 一种加气起泡柿酒的酿造方法
JP2019004869A (ja) 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484297A (zh) 一种猕猴桃酒
CN104171993B (zh) 一种抗结块山药红枣粉及其制备方法
CN104585830B (zh) 一种金针菇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70086265A (ko) 아로니아 와인 및 그 제조방법
CN109259016A (zh) 一种薏仁米饮料及其制作方法
CN108606984A (zh) 一种神秘果粉泡腾制剂及其制备方法与用途
JPH1175788A (ja) 発酵野菜ジュースの製造方法
CN103436405A (zh) 块菌发酵酒及其酿造方法
CN106753982A (zh) 一种酸枣酒的酿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