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394B1 -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394B1
KR101415394B1 KR1020080015661A KR20080015661A KR101415394B1 KR 101415394 B1 KR101415394 B1 KR 101415394B1 KR 1020080015661 A KR1020080015661 A KR 1020080015661A KR 20080015661 A KR20080015661 A KR 20080015661A KR 101415394 B1 KR101415394 B1 KR 101415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layer
antistat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567A (ko
Inventor
신야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21Antistatic or EM shielding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기능을 갖는 각종 광학 필름, 특히 대면적의 광학 필름의 표면 보호용으로 사용했을 때의 박리 대전이 적고, 예를 들어, 대형 디스플레이용 각종 광학 필름의 표면 보호용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우수한 박리 대전 방지 효과와 오염 방지 효과를 갖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측에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 대전 방지층 및 그 위에 방오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방오성과 대전 방지성을 갖는 층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으로서, 그 점착제층이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되어 있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이다.

Description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ADHESIVE FILM FOR SURFACE PROTECTION}
본 발명은 박리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운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한 편광판의 표면 보호용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판에 사용되는 편광판 등의 광학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은, 그 표면을 보호할 목적에서 표면 보호 필름이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판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액정 셀을 조립할 때까지의 동안에 편광판의 표면을 보호할 목적에서, 편광판의 표면에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으로는,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 의 표면에, 경(輕)박리성의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은, 경박리성의 점착제층에 의해, 박리 가능한 상태에서 편광판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은,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펀칭 등의 가공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 표면 보호 필름 의 배면측 (점착제층을 형성한 측과 반대측) 에, 점착제층에 사용되고 있는 점착제 등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점착제 등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측에 방오층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 표면 보호 필름에는,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측 또는 점착제층측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 필름이 실장된 후에 표면 보호의 역할을 끝내고 벗길 때, 박리 대전을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박리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박리시에 정전기가 생겨도, 그 대전압은 문제를 일으킬 정도로 커지지 않아, 전자 부품 등에 대한 영향은 적었다. 그러나, 최근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등에서 기인하여 박리 면적이 증대되어, 박리시의 대전압이 높아져, 정전기에 의해 전자 부품 등이 파괴된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키기 쉬워졌다. 이 문제는, 표면 보호 필름의 어느 일방의 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대전 방지제를 필름 중에 첨가함으로써 어느 정도는 억제할 수 있지만, 그 효과는 아직 불충분하였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56115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0903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광학 필름, 특히 대면적의 광학 필름의 표면 보호용 (예를 들어, 대형 디스플레이용 각종 광학 필름의 표면 보호용) 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우수한 박리 대전 방지 효과와 오염 방지 효과를 갖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표면 보호 필름을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적층했을 경우, 점착제층과 광학 필름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기 어렵고, 또 보관 중이나 반송 중에 표면 보호 필름이 광학 필름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우며, 나아가서는, 표면 보호 필름이 적층된 상태에서 실시되는 각종 제품의 결함 검사시에 장해가 되지 않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방의 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타방의 면에 대전 방지층과 방오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대전 방지성과 방오성을 갖는 층을 형성하고,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 중에 대전 방지제를 배합한 것을 사용하면, 우수한 박리 대전 방지 효과나 오염 방지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측에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 대전 방지층 및 그 위에 방오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방오성과 대전 방지 성을 갖는 층 (이하, 대전 방지층과 방오층으로 이루어지는 층, 및 방오성과 대전 방지성을 갖는 층을, 방오ㆍ대전 방지층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으로서, 그 점착제층이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이다.
또, 본 발명은 대전 방지제가 상온에서 액체인 이온계 대전 방지제인 것, 대전 방지제가 하기 식 (A) ∼ (C) 로 표시되는 양이온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인 것,
Figure 112008012866814-pat00001
(식 (A) 중, Ra 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b 및 Rc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단, 질소 원자가 2 중 결합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Rc 는 없다.)
(식 (B) 중, Rd 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2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e, Rf 및 Rg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식 (C) 중, Rh 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2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i, Rj 및 Rk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의 친수성기가 -(OCH2CH2)nOR 인 것 (단, R 은 수소 원자, 탄화수소기 또는 아실기를 나타내고, n 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아크릴계 점착제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 점착제층 내 및 점착제층 표면의 이물질 개수가, 직경 150㎛ 이상의 이물질로 0 개/㎡ 이고, 또한, 직경 70㎛ 이상 150㎛ 미만의 이물질로 5 개/㎡ 이하인 것 중, 적어도 하나의 요건을 구비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은, 편광판이나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이들을 검사할 때나 반송할 때에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표면에 점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표면 보호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 후에, 광학 필름으로부터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이 적기 때문에, 정전기 방전에서 기인하는 디바이스의 파괴 등의 트러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측의 면에 방오성과 대전 방지성을 갖는 층 (이들의 성능을 동시에 갖는 층 하나이어도 되고, 이들의 성능을 따로따로 갖는 층을 방오층이 표층이 되도록 적층한 것이어도 된다.) 을 갖고, 반대측의 면에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점착제층>
(대전 방지제)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대전 방지제는,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제층의 점착 특성을 저해시키지 않고, 게다가 병용되는 아크릴계 폴리머 중의 친수성기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우수한 대전 방지 효과가 얻어진다는 점에서, 양이온계 또는 음이온계의 이온계 대전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온계 대전 방지제로는, 질소, 황 또는 인의 오늄염인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하기 식 (A) ∼ (C) 로 표시되는 양이온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12866814-pat00002
(식 (A) 중, Ra 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b 및 Rc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단, 질소 원자가 2 중 결합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Rc 는 없다.)
(식 (B) 중, Rd 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2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e, Rf 및 Rg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식 (C) 중, Rh 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2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i, Rj 및 Rk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제로는, 상온에서 액체인 이온계 대전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온에서 액체인 이온계 대전 방지제로는, 상기 식 (A) ∼ (C) 로 표시되는 양이온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를 이러한 양태로 함으로써, 점착제층의 점착 특성을 저해시키지 않고, 또한 우수한 대전 방지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전 방지제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상관없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 중, 상기 식 (A) 로 표시되는 양이온으로는, 피리디늄 양이온, 피페리디늄 양이온, 피롤리디늄 양이온, 피롤린 골격을 갖는 양이온, 피롤 골격을 갖는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1-에틸피리디늄 양이온, 1-부틸피리디늄 양이온, 1-헥실피리디늄 양이온, 1-부틸-3-메틸피리디늄 양이온, 1-부틸-4-메틸피리디늄 양이온, 1-헥실-3-메틸피리디늄 양이온, 1-헥실-4-메틸피리디늄 양이온, 1-부틸-3,4-디메틸피리디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B) 로 표시되는 양이온으로는, 이미다졸륨 양이온, 테트라히드로피 리미디늄 양이온, 디히드로피리미디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1,3-디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3-디에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옥틸-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데실-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도데실-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테트라데실-3-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에틸-2,3-디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부틸-2,3-디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헥실-2,3-디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 1,3-디메틸-1,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늄 양이온, 1,2,3,4-테트라메틸-1,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늄 양이온, 1,2,3,5-테트라메틸-1,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C) 로 표시되는 양이온으로는, 피라졸륨 양이온, 피라졸리니움(pyrazolinium)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1-메틸피라졸륨 양이온, 3-메틸피라졸륨 양이온, 1-에틸-2-메틸피라졸리니움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에 있어서, 그 음이온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음이온 성분으로는, Cl-, Br-, I-, AlCl4-, Al2C17-, BF4-, PF6-, ClO4-, NO3-, CH3COO-, CF3COO-, CH3SO3-, CF3SO3-, (CF3SO2)2N-, (CF3SO2)3C-, AsF6-, SbF6-, NbF6-, TaF6-, F(HF)n-, (CN)2N-, C4F9SO3-, (C2F5SO2)2N-, C3F7COO-, (CF3SO2)(CF3CO)N-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음이온 성분은, 상온에서 액체가 되는 저융점의 이온계 대전 방지제 가 얻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상온에서 액체인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의 구체예로는, 상기 양이온 성분과 음이온 성분을 적절히 선택하여 조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1-부틸피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부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3-메틸피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헥실-3-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헥실-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3-디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 내의 대전 방지제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후술하는 친수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일반적으로는,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은 경우에는, 대전 방지 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피착체가 되는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오염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식 (A) ∼ (C) 를 양이온 성분으로 하는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의 경우에는, 그 배합량은, 일반적으로는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4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03 ∼ 2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며, 0.05 ∼ 10 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친수성기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가 친수성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대전 방지제를 병용해도 박리 대전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전 방지제가, 피착체인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에 전사되어 그 광학 필름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14 인 알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이하, (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와, 친수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에서는, 친수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20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몰%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10 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14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친수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친수성기로서 수산기, 에테르기, 에폭시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등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산기, 에테르기, 에폭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OCH2CH2)nOR 로 표시되는 수산기나 에테르 결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 R 은 수소 원자, 탄화수소기 또는 아실기를 나타내고, n 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트리 에틸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이들 화합물 중에 존재하는 수산기가 에틸에테르기로 치환된 것, 게다가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OCH2CH2)nOR 로 표시되는 (단, n = 1 ∼ 5) 친수성기를 갖는, 저중합도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들 친수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러한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류를 들 수 있다.
(가교제)
본 발명에서의 아크릴계 점착제는, 점착제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가교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당한 응집력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나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 아네이트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3 량체 부가물 (상품명 콜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 량체 부가물 (상품명 콜로네이트 HL),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상품명 콜로네이트 HX) (모두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 제조)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가교제의 배합량은, 사용되는 가교제와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의 종류, 나아가서는, 피착체가 되는 광학 필름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일반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켜 충분한 내열성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1 중량부 이상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점착제층의 유연성이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배합량은,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5 중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밖의 첨가제)
게다가 본 발명에서의 점착제층에는, 종래 공지된 각종의 점착 부여제나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산화 방지제, 부식 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실란 커플링제,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금속분, 안료 등의 분체, 입자상, 박형물(箔狀物) 등의 각종 첨가제를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첨가해도 상 관없다.
이상의 성분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3 ∼ 20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 100㎛ 의 범위로 하면 된다.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점착 테이프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각 성분을 적당한 용매에 용해ㆍ분산시킨 점착제 도포액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도포 방법은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다이 코트 등의 방법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의 표면 보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 내 및 점착제층 표면의 이물질 개수가, 직경 150㎛ 이상의 이물질로 0 개/㎡ 이고, 또한, 70㎛ 이상 150㎛ 미만의 이물질로 5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 개수가 이것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착체인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과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 얼룩이 되거나, 반송시에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이 박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광학 필름 등을 검사하는 경우의 검사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물질 개수가 적은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은, 상기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도포액을 도포할 때에, 메시가 1㎛ 이상 20㎛ 이하인 필터로 여과한 점착제 도포액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필터는 점착제 도포액 중의 겔 성분 및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 는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필터로는, 예를 들어, 부직포 타입, 권사 타입 등을 들 수 있다. 또, 여과는 1 단이 아니라, 처음에 메시가 성긴 필터를 사용하고, 이어서 메시가 미세한 필터를 사용하는 2 단 이상의 여과를 행해도 된다. 또한, 여과 처리에 의해, 점착제 도포액을 조제할 때의 교반 처리 등에 의해 생긴 에어를 점착제 도포액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점착제 도포액을 도포하는 공정의 클린도를 클래스 10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 처리에 의해 점착제 도포액 중의 이물질을 없애도, 도공 중, 또는 도공 후의 제품의 반송 공정에서 이물질이 점착제층 표면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클린도는 가능한 한 낮은 편이 바람직하다. 클린도를 클래스 1000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정 내에 반입되는 에어를 HEPA 필터로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터 주위에서 점착제 도포액 중으로 혼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억제할 목적에서, 코터의 도공 헤드의 주위를 별실로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공 후의 필름을 슬릿할 때에, 베이스 필름의 절삭분이 발생하고, 그 절삭분이 필름에 부착됨으로써 이물질이 될 수도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릿날을 라운드 블레이드로 하여 일정 지점에 절삭분이 쌓이지 않도록 하거나, 슬릿날 주변을 흡인하여, 발생된 절삭분이 필름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오ㆍ대전 방지층>
본 발명의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은, 상기 서술한 점착제층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전 방지층 및 그 위에 방오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방오성과 대전 방지성을 갖는 층이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적층함으로써,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이 적층된 광학 필름을 재단했을 때에 재단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점착제에서 기인하는 표면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이 적층된 각종 제품의 마찰 대전에서 기인하는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대전 방지층>
이러한 대전 방지층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대전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제 4 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제 1 ∼ 3 급 아미노기 등의 양이온성기를 갖는 각종 양이온성 대전 방지제, 술폰산염기, 황산에스테르염기, 인산에스테르염기, 포스폰산염기 등의 음이온성기를 갖는 음이온계 대전 방지제, 아미노산계, 아미노황산에스테르계 등의 양성 대전 방지제, 아미노알코올계, 글리세린계, 폴리에틸렌글리콜계 등의 비이온성 대전 방지제, 각종 계면 활성제형 대전 방지제, 나아가서는 상기와 같은 대전 방지제를 고분자량화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제 3 급 아미노기나 제 4 급 암모늄 기를 갖고, 전리 방사선에 의해 중합할 수 있는 모노머나 올리고머를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모노머의 구체예로는, N,N-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나, 그들의 제 4 급 화합물 등의 중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의 도전성 폴리머나, 주석, 안티몬 계 필러, 산화인듐계 필러를 바인더에 분산시킨 것도 대전 방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하기 식 (D) 로 표시되는 단위를 주된 반복 단위로 하는 폴리양이온 형상의 폴리티오펜과, 스티렌술폰산이 공중합된 폴리술폰산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12866814-pat00003
(식 (D) 중,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일체가 되어 임의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수 1 ∼ 12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티오펜계 도전성 폴리머 (상기 폴리양이온 형상의 폴리티오펜과 상기 폴리음이온의 염) 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88389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94532호에 기재되어 있는 폴리티오펜계 도전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티오펜 고리의 약 1/3 이 양이온화된 것) 과 폴리스티렌술폰산 (술폰산의 대략 절반이 음이온화된 것) 의 복합체를 들 수 있다.
(알콕시실란)
이러한 폴리티오펜계 도전성 폴리머는, 대전 방지층의 강도를 향상시킬 목적 에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알콕시기 이외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알콕시실란을 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트리알콕시실란으로는, 특히 글리시독시기를 갖는 트리알콕시실란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본 발명에서의 대전 방지층에는, 예를 들어, 대전 방지층의 강도를 높일 목적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접착성을 높일 목적 등을 위해, 바인더로서 열가소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미립자)
또, 본 발명에서의 대전 방지층에는, 그 대전 방지층의 미끄럼성이나 내블로킹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목적에서, 활제로서 평균 입경이 0.01 ∼ 20㎛ 인 무기나 유기의 미립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대전 방지층의 중량에 대해 0.001 ∼ 5 중량% 이다. 이러한 미립자의 구체예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티탄, 카본블랙, 카올린, 탄산칼슘 등의 무기 미립자, 폴리스티렌 수지, 가교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 수지, 가교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입자,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우레아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의 유기 미립자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미립자는, 대전 방지층 내에서 미립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지라면, 열가소성 수지이어도 되고, 열경화성 수지이어도 된다. 또, 유기 미립자는, 목적에 따른 가교도로 가교된 수지이어도 된다.
(그 밖의 첨가제)
게다가, 본 발명에서의 대전 방지층에는, 상기 미립자 이외에도, 계면 활성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안료, 형광 증백제, 가소제, 가교제, 유기 활제 (미끄럼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의 각 성분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함으로써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도포액은, 바람직하게는 수성 도포액이다. 이 때,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1 ∼ 30 중량% 가 바람직하고, 2 ∼ 20 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고형분 농도가 이 범위에 있으면, 도포액의 점도를 도포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상기 도포액의 도포 방법으로는, 공지된 임의의 도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함침법 및 커튼 코트법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대전 방지층의 표면 고유 저항값은 1×105 ∼ 1×1012Ω/□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고유 저항값이 1×105Ω/□ 미만인 경우에는, 대전 방지층이 약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1×1012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대전 방지성이 부족하다. 또, 대전 방지층의 두께는 0.01 ∼ 1㎛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2 ∼ 0.5㎛ 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두 께가 0.01㎛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1㎛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블로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방오층>
본 발명에 있어서, 대전 방지층 상에 형성되는 방오층은, 적당히 낮은 박리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부착시킨 편광판을 재단할 때에 재단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점착제가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에 부착되기 어렵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방오층에 사용되는 오염 방지제 (방오제)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장쇄의 알킬 측쇄를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킬 측쇄는 탄소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소수 16 ∼ 20 의 알킬 측쇄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12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오염 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장쇄의 알킬 측쇄를 갖는 다른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에틸렌이민을, 염소화알킬로일 또는 알킬이소시아네이트로 장쇄 알킬화한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과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비닐-N-옥타데실카르바메이트나, 폴리에틸렌이민과 옥타데실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틸렌이민-N-옥타데실카르바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오염 방지제로서, 이형 필름용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계 이형제나 불소계 이형제를 들 수 있다.
(그 밖의 첨가제)
이러한 오염 방지제를 함유하는 방오층에는, 방오층의 강도, 대전 방지층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밀착성, 내수성, 내용제성, 블로킹성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바인더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방오층에는, 가교제로서, 메틸올화 또는 알킬올화된 멜라민계, 우레아계, 글리옥살계, 아크릴아미드계 등의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류를 함유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방오층은 오염 방지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방오층을 형성할 때의 도포액의 농도, 도포 방식 및 도포 조건 등의 도포 방법은, 대전 방지층의 도포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방오층의 두께는 0.01 ∼ 1㎛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3 ∼ 0.5㎛ 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가 0.01㎛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오염 방지 효과 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두께가 1㎛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층은 과잉 품질로서 경제적이지 않다.
방오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박리력은 20 ∼ 400g/25㎜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0 ∼ 150g/25㎜ 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박리력은, 점착 테이프 (닛토 덴코 주식회사 제조, 품번 ; 31B) 를 측정면에 부착시키고, 300㎜/분의 속도로 180 도의 각도로 박리할 때의 힘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에 대전 방지층 및 그 위에 방오층을 형성하는 대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에 대전 방지제 및 방오제를 동시에 함유하는 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대전 방지제 및 방오제를 동시에 함유하는 층은, 상기 서술한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과, 상기 서술한 방오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혼합시킨 혼합 도포액을 제조하고, 그 혼합 도포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그 때,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에 함유되는 대전 방지제와, 방오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에 함유되는 방오제의 혼합 비율은, 양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방오제가 10 ∼ 90 중량%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70 중량% 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혼합 비율을 상기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대전 방지성과 방오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대전 방지제와 방오제를 함유하는 층은, 상기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때, 대전 방지제와 방오제를 함유하는 층의 두께는 0.01 ∼ 1㎛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 0.5㎛ 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가 0.01㎛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와 오염 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1㎛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블로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 축 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2 축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 20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 ∼ 50㎛ 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판이나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이들을 검사할 때나 반송할 때에,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표면에 점착제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표면 보호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 후에, 광학 필름으로부터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이 적기 때문에, 정전기 방전에서 기인하는 디바이스의 파괴 등의 트러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중에서의 각 평가는 하기 방법에 따랐다.
(1) 표면 고유 저항값
다케다 리켄사 제조의 고유 저항 측정기를 사용하고, 측정 온도 23℃, 측정 습도 65%RH 의 분위기에서, 인가 전압 100V 로 1 분 후의 표면 고유 저항값 (단위 : Ω/□) 을 측정하였다. 또한, 표면 고유 저항값으로는 1×1012Ω/□ 미만이 바람직하다.
(2) 방오성
1450㎜ 폭의 롤 형상으로 감긴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과, 1500㎜ 폭의 롤 형상으로 감긴 편광판을 각각 권출하면서 부착시켜 적층체로 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16 인치 디스플레이용 치수로, 펀칭 가공법에 의해 90 장/분의 속도로 900 장 재단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900 장의 재단품을 겹쳐 쌓아 보관하였다. 그 후, 900 장의 재단품에 대하여, 1 장씩 각각 육안 검사로 이물질 검사를 하였다. 재단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점착제가 원인인 이물질의 수의, 전체 이물질의 수에 대한 비율을 계산하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 1% 미만
△ : 1% 이상 20% 미만
× : 20% 이상
(3) 박리 대전 특성
클리어 편광판을 폭 70㎜, 길이 100㎜ 의 사이즈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그 클리어 편광판을, 미리 제전(除電)해 둔 두께 1㎜, 폭 70㎜, 길이 100㎜ 인 유리판에, 점착제를 개재하여 핸드 롤러로 부착시키고 확실히 고정시켜 피착체를 제조하였다. 그 피착체를 충분히 제전한 후, 그 피착체에 있어서의 클리어 편광판측의 표면에, 폭 70㎜, 길이 130㎜ 의 사이즈로 커팅한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점착제층측이 클리어 편광판측이 되도록, 그리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편측의 단부가 30㎜ 비어져 나오도록 핸드 롤러로 압착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샘플을 온도 23℃, 습도 50%RH 의 환경 하에 하룻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자동 권취기를 갖는 받침대를 준비하고, 받침대에는 샘플의 유리판측의 표면을 양면 테이프로 확실히 부착하여 고정시켰다. 또, 자동 권취기에는 샘플의 30㎜ 가 비어져 나온 단부를 고정시켰다. 이어서, 자동 권취기를 작동시켜, 박리 각도 150°, 박리 속도 10m/min 의 조건에서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박리하였다. 이러한 박리시에, 박리 부분의 상방 높이 100㎜ 의 위치에 고정된 전위 측정기 (카스가 전기 (주) 사 제조, KSD-0103) 로 박리시의 편광판 표면의 전위를 측정하여, 박리 대전량 (단위 : ㎸) 으로 하였다. 또한, 측정은 온도 23℃, 습도 50%RH 의 환경 하에서 실시하였다.
(4) 이물질 개수의 측정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A4 사이즈의 편광판 전체면에 부착시켰다. 이어서, 부착시킨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전체 범위를 크로스 니콜법으로 육안 검사하여,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내의 이물질, 및 점착제층 표면의 이물질 개수를 카운트하였다. 검사는 A4 사이즈의 샘플 30 장에 대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1 평방 미터당 이물질 개수 (단위 : 개/㎡) 로 환산하였다. 또한, 이물질의 긴 직경을 이물질의 직경으로 하였다.
실시예 1
두께 38㎛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평균 분자량이 12,600, 티오펜 고리의 1/3 이 양이온화) 15 중량부에, 폴리스티렌술폰산 (수평균 분자량이 38,700, 술폰산의 40 몰% 가 음이온화) 을 25 중량부 혼합한 대전 방지제 (도전성 폴리머 : M1),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54 몰%, 이소프탈산 37 몰%, 아디프산 5 몰% 및 5-Na 술포이소프탈산 4 몰%,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92 몰%, 디에틸렌글리콜 5 몰%, 1,4-부탄디올 3 몰%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M2) (Tg 59℃, 수평균 분자량 20,660), 그리고 지방족계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M3) 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중량비 ; M1/M2/M3 = 30/70/10) 의 5 중량% 수성 도포액을 그라비아 코터로 도포하였다. 이어서, 140℃ 에서 1 분간 도막을 건조시켜, 두께가 0.12㎛ 인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대전 방지층 상에, 이하와 같이 하여 방오층을 형성하였다. 즉, 폴리에틸렌이민옥타데실카르바메이트 (니혼 쇼쿠바이 주식회사 제조, RP-20) 20 부 (고형분 중량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히타치 화성 공업 주식회사 제조, 에스페르 1510) 60 부 (고형분 중량부), 및 멜라민 수지 (산와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니커락 NS-11) 20 부 (고형분 중량부) 를 혼합하여 얻어진 도포액을,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150℃ 에서 30 초간 도막을 건조ㆍ경화시켜, 두께 0.3㎛ 인 방오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 대전 방지층 및 방오층을 형성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이하와 같이 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즉,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 성분으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 50 몰과, 아크릴산디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50 몰을 공중합한 아크릴 폴리머 (중량 평균 분자량 40 만) 를, 고형분 농도가 40 중량% 가 되도록 톨루엔으로 희석시켰다. 이어서, 이것에 가교제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아크릴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2 중량부 첨가하였다. 또한, 대전 방지제로서 1-헥실-3-메틸피리디늄 양이온과 카운터 이온으로서의 6 플루오르화인으로 이루어지는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를, 아크릴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2 중량부 첨가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얻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한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는 상온에서 액체이었다.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를 가압 탈포한 후, 메시 20㎛ 인 권사 필터 및 메시 10㎛ 인 권사 필터를 사용하여 2 단으로 여과한 후, 도공 헤드 주위가 별실에 격리된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이어서, 100℃ 에서 2 분간 도막을 건조ㆍ경화시켜, 두께 15㎛ 인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규정 사이즈로 슬릿하였다. 이 때, 절삭분 방지로서 슬릿날 주변을 흡인하여, 절삭분이 표면 보호 필름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조작을 할 때에는, 공정 중에는, HEPA 필터로 집진된 에어가 공급되고 있으며, 클린도는 도공 헤드 주변은 클래스 100 이고, 그 이외의 공정은 클래스 1000 이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점착제층에 사용하는 대전 방지제로서, 1,3-디메틸이미다졸륨 양이온과 카운터 이온으로서의 6 플루오르화인으로 이루어지는 대전 방지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2 에서 사용한 대전 방지제는 상온에서 액체이었다.
실시예 3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 50 몰과, 아크릴산 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50 몰을 공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 폴리머 (중량 평균 분자량 40 만) 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 50 몰과, 아크릴산글리시딜 50 몰을 공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 폴리머 (중량 평균 분자량 40 만) 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6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과, 아크릴산디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를,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공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점착제층에 대전 방지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아크릴 폴리머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 100 몰을 중합하여 얻어진, 친수성기 를 갖지 않는 아크릴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아크릴계 점착제를, 필터로 여과하지 않고 도포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공조(空調)를 HEPA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점착제층에 사용하는 대전 방지제로서, 양이온성의 계면 활성제인 디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 (라이온 주식회사 제조, 아카드 20-755I) 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12866814-pat00004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은, 폴리에스테르의 편측의 면에 대전 방지층과 방오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대전 방지성과 방오성을 갖는 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방의 면에는,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 중에 대전 방지제, 특히 이온계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은, 점착성을 저해시키지 않고 박리 대전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면적의 광학 필름의 표면 보호용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그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이 적다. 또, 본 발명의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은, 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을 광학 필름에 부착시킨 후에 재단했을 때, 재단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점착제가 보호 필름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편광판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면, 제품의 결함 검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사실로부터, 본 발명의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은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면 보호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측에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 대전 방지층 및 그 위에 방오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방오성과 대전 방지성을 갖는 층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으로서, 그 점착제층이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가,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14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 비율로서 20 몰% 이상의 친수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대전 방지제가 상온에서 액체인 이온계 대전 방지제인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대전 방지제가 하기 식 (A) ∼ (C) 로 표시되는 양이온의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인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Figure 112008012866814-pat00005
    (식 (A) 중, Ra 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b 및 Rc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단, 질소 원자가 2 중 결합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Rc 는 없다.)
    (식 (B) 중, Rd 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2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e, Rf 및 Rg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식 (C) 중, Rh 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2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i, Rj 및 Rk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가 상온에서 액체인 양이온계 대전 방지제인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의 친수성기가 -(OCH2CH2)nOR 인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단, R 은 수소 원자, 탄화수소기 또는 아실기를 나타내고, n 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함유하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 내 및 점착제층 표면의 이물질 개수가, 직경 150㎛ 이상의 이물질로 0 개/㎡ 이고, 또한, 직경 70㎛ 이상 150㎛ 미만의 이물질로 5 개/㎡ 이하인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광판의 표면 보호용으로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9. 편광판에,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판.
  10. 화상 표시 장치에,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80015661A 2007-02-23 2008-02-21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KR101415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43670 2007-02-23
JP2007043670A JP4971826B2 (ja) 2007-02-23 2007-02-23 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567A KR20080078567A (ko) 2008-08-27
KR101415394B1 true KR101415394B1 (ko) 2014-07-04

Family

ID=3978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661A KR101415394B1 (ko) 2007-02-23 2008-02-21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71826B2 (ko)
KR (1) KR101415394B1 (ko)
TW (1) TWI4347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2110A2 (en) * 2007-06-27 2008-12-31 Kwang Suck Su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ith improved peeling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films using the same
JP5393393B2 (ja) * 2008-10-21 2014-01-22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剤、ならびに光学部材用粘着剤、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5523052B2 (ja) * 2008-10-29 2014-06-18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シート、一時表面保護用粘着剤、それを用いてなる一時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一時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
JP5490445B2 (ja) * 2009-06-05 2014-05-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剤塗布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73248B2 (ja) * 2009-07-01 2013-08-28 旭硝子株式会社 微細凹凸構造を表面に有する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の製造方法
WO2012042670A1 (ja) * 2010-10-01 2012-04-05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塗料組成物、接着方法および積層体
CN103025839A (zh) * 2010-10-01 2013-04-03 理研科技株式会社 粘接剂组合物、涂料组合物及使用了其的底漆、喷墨油墨、粘接方法及层叠体
JP5723618B2 (ja) * 2011-02-04 2015-05-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749076B2 (ja) * 2011-05-19 2015-07-15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
JP2013163783A (ja) * 2012-02-13 2013-08-22 Fujimori Kogyo Co Ltd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882774B2 (ja) * 2012-02-13 2016-03-09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946668B2 (ja) * 2012-03-23 2016-07-06 清水建設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系塗り床材
JP5909137B2 (ja) * 2012-04-05 2016-04-26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174847B2 (ja) * 2012-07-27 2017-08-02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US20140061610A1 (en) 2012-08-31 2014-03-06 Hyo-Young MU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199828B2 (ja) * 2014-08-14 2017-09-20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JP2018172473A (ja) * 2017-03-31 2018-11-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保護用粘着フィルム
JP6970169B2 (ja) * 2018-06-26 2021-11-24 藤森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6896120B2 (ja) * 2018-08-28 2021-06-30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757831B2 (ja) * 2019-07-17 2020-09-23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JP6971368B2 (ja) * 2019-07-17 2021-11-24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JP7238072B2 (ja) * 2019-07-17 2023-03-13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CN110556331B (zh) * 2019-09-19 2023-03-14 苏州芯慧联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及使用该材料的静电卡盘的制造方法
WO2022185606A1 (ja) * 2021-03-03 2022-09-09 東洋紡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520A (ja) 2000-02-08 2001-08-14 Teijin Ltd フィルムロール
JP2002226814A (ja) 2001-02-05 2002-08-14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2005066919A (ja) 2003-08-21 2005-03-1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5125659A (ja) 2003-10-24 2005-05-19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7823A (ja) * 1997-04-11 1998-12-22 Lintec Corp 基材および該基材を用いた粘着テープ
JP4014280B2 (ja) * 1998-03-13 2007-11-28 帝人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0168016A (ja) * 1998-12-10 2000-06-2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1151896A (ja) * 1999-11-29 2001-06-05 Nippon Zeon Co Ltd 互着防止処理共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
JP3350518B2 (ja) * 2000-08-11 2002-11-25 コニシ株式会社 水性接着剤組成物
JP3996800B2 (ja) * 2002-05-08 2007-10-24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US8137788B2 (en) * 2004-09-29 2012-03-20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d film
JP4907075B2 (ja) * 2004-10-28 2012-03-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520A (ja) 2000-02-08 2001-08-14 Teijin Ltd フィルムロール
JP2002226814A (ja) 2001-02-05 2002-08-14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2005066919A (ja) 2003-08-21 2005-03-1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5125659A (ja) 2003-10-24 2005-05-19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07356A (ja) 2008-09-11
TWI434765B (zh) 2014-04-21
KR20080078567A (ko) 2008-08-27
JP4971826B2 (ja) 2012-07-11
TW200906615A (en) 200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394B1 (ko) 표면 보호용 점착 필름
KR101375948B1 (ko) 점착 보호필름
KR101185637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류, 및 표면 보호 필름
EP2107092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and surface protecting film
KR101019903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류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1022079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이트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1183790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류 및 표면 보호 필름
JP5749076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
US7084516B2 (en) Surface protection film
JP2010001360A (ja) 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
KR20170113025A (ko)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JP2011195666A (ja) 光学用粘着剤、光学用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US20140099504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KR101058358B1 (ko) 액정 편광판 보호용 투명 점착 필름
JP595969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
KR101953589B1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503920B1 (ko) 표면 보호 필름
JP2018168373A (ja) 帯電防止粘着テープ
KR100972733B1 (ko)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JP6761084B2 (ja)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3767156A (zh) 粘合剂用组合物、粘合膜和表面保护膜
CN101668795A (zh) 防静电性膜、表面保护膜用聚酯膜和光学部件表面保护用聚酯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