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733B1 -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 Google Patents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733B1
KR100972733B1 KR1020080001192A KR20080001192A KR100972733B1 KR 100972733 B1 KR100972733 B1 KR 100972733B1 KR 1020080001192 A KR1020080001192 A KR 1020080001192A KR 20080001192 A KR20080001192 A KR 20080001192A KR 100972733 B1 KR100972733 B1 KR 10097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sensitive adhesive
pressure
durabilit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360A (ko
Inventor
이희원
전해상
문기정
이상훈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7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62Insulating-layers or insulating-films on metal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내구신뢰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전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피착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은 대전방지층과 상기 대전방지층의 양 면에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점착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대전방지층과, 상기 대전방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이형필름과, 상기 대전방지층의 타면에 차례로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점착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전방지층, 점착제층, 이형필름, 점착시트, 점착필름

Description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ADHESIVE FILM WITH GOOD ANTISTATIC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본 발명은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내구신뢰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전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피착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착필름 및 시트는 전자부품의 접착, 보호필름,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는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러한 점착필름 및 시트는 소수성의 고분자의 필름형태에 점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구조로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정전기는 전자제품의 생산에 있어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즉 정전기로 인해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전자제품에 유입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자제품의 영구적 또는 일시적인 손상을 야기한다. 또한, 액정디스플레이의 경우 광학필름의 합지시 정전기가 발생되어 액정배향에 영향을 주어 불량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대전방지기능이 필요하다. 대전 방지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으로는 대전방지 물질을 필름의 외면에 코팅하거나, 또는 점착제 상에 혼합하여 그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필름의 외면에 대전방지층을 코팅하여 사용할 경우 신뢰성 테스트시 코팅표면이 수분에 취약하여 박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착제 상에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할 경우 이온계의 경우 대전방지제가 점착제 표면으로 이행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박리될 수 있고, 전도성 고분자 및 탄소나노튜브 등의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분산의 어려움과 물질의 사슬구조를 이루기 위해서 많은 양을 사용함으로 투명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전방지기능을 부여한 점착필름 및 시트의 종래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54250호의 경우 필름 표면에 코팅을 하여 대전방지 성능을 구현하였고,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49137호의 경우 아크릴점착제와 혼합형 대전성능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 중 코팅방식은 고가의 광학필름에 직접 코팅함으로써 가격적이나 공정면에서 경쟁력이 없으며, 아크릴점착제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은 점착제층의 특성유지 및 안정성이 부족하여 고내열 조건이나, 시간이 경과에 따라 계면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보호필름의 경우 붙였다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거하기 때문에 사용이 가능하지만, 액정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편광판용 점착제와 같은 경우에는 영구적으로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으로 대전방지의 이행은 신뢰성에서 큰 문제점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내구신뢰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전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피착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대전방지층과 상기 대전방지층의 양 면에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점착시트를 구비하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대전방지층과, 상기 대전방지층의 일면에 형성된 이형필름과, 상기 대전방지층의 타면에 차례로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점착시트를 구비하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층은 나노섬유상의 전도성물질, 전도성 나노 유기입자, 전도성 나노 무기입자 또는 이온화합물 등의 대전방지 기능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저항은 10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에 의하면, 우수한 내구신뢰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전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피착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은 대전방지층(3)과 상기 대전방지층(3)의 양 면에 점착제층(2,2')과 이형필름(1,1')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점착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은 대전방지층(13)과, 상기 대전방지층(13)의 일면에 형성된 이형필름(1)과, 상기 대전방지층(13)의 타면에 차례로 점착제층(2)과 이형필름(1)이 순차적으로 구성된 점착시트(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90 내지 99.9 중량부와 가교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아크릴계 모노머 0.1 내지 10 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광학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 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 300만 이하, 바람직하게는 30만 이상 200만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만 이상 15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만보다 작을 경우 응집력저하로 인한 접착제 잔존현상이 생기며, 300만 이상인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평균분자량 3000 내지 50000인 아크릴계 올리고머가 혼합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의 대전방지층은 전도성고분자, 이온계, 주석산화계, 탄소나노튜브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대전성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탄소나노튜브와 전도성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대전특성이 우수하다.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대전방지제의 종류로는 양이온성 작용기를 갖는 양이온형 대전방지제의 경우는 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제1, 제2 또는 제3 아미노기 등, 음이온성 작용기를 갖는 음이온형 대전방지제의 경우는 설폰산염 및 황산에스터염, 포스폰산염, 인산에스터염등, 양성형으로는 알킬베타인 및 그 유도체, 이미다졸린 및 그 유도체, 알라닌 및 그 유도체 등의 양성형 대전방지제, 아미노알코올 및 그 유도체, 글리세린 및 그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 유도체 등의 비이온형 대전방지제등의 이온성 대전방지제가 사용된다. 또한, 이온전도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이온전도성 중합체로는 알킬트라이 메틸암모늄염, 아실로일아미도프로필트라이메틸암모늄메토설페이트, 알킬벤질메틸암모늄염, 아실염화콜린, 폴리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등의 4급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폴리바이닐벤질트라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기를 갖는 스타이렌공중합체, 폴리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기를 갖는 다이알릴아민공중합체 등의 양이온형, 알킬설폰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황산에스터염, 알킬에톡시황산에스터염, 알킬인산에스터염, 및 설폰산기 함유 스타이렌공중합체등의 음이온형, 알킬베타인, 알킬이미다졸륨베타인 및 카보베타인그래프트공중합체등의 양성이온형을 들 수 있다. 지방산알킬올아마이드, 다이(2-하이드록시에틸)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지방산글라이세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글라이콜지방산에스터, 솔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솔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다이아민, 폴리에스터 및 폴리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비이온성 대전방지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싸이오펜 등의 도전성 중합체,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인듐, 주석, 안티몬,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크롬, 티타늄, 철, 코발트, 요오드화구리, 및 이들의 합금 또는 혼합물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하여 대전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열거한 이들 화합물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도전성 물질들은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혼합물로 사용 가능하므로, 이러한 물질자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대전방지성수지 및 도전성수지 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아크릴, 폴리바이닐, 우레탄, 에폭시 등의 범용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가교제로는 에폭시 화합물, 아소아네이트 등의 경화형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유기용제로는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이소프로판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세인, 사이클로헥산온, n-헥산, 톨루엔, 메탄올, 에탄올, 자일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혼합용매로도 사용 가능하다. 코팅법으로는 스프레이코팅, 에어나이프코팅, 커튼코팅법, 닙코팅, 그라비아코팅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성수지층, 도전성 중합체 또는 도전성 수지의 두께는 통상 0.01내지 5㎛, 바람직하게는0.03내지 1㎛정도이며, 도전성물질 층의 두께는 통상 20내지 10000Å이고, 바람직하게는 50내지 5000Å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시트는, 상술한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며, 점착시트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점착시트의 경우 시트, 테이프, 보호필름 등의 여러 형태로 칭하고 있으며, 이러한 것들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점착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10 내지 2000㎛인 투명한 플라스틱필름 등이며, 점착제층은 기재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부가할 수 있으며,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5내지 100㎛ 이다. 이 점착시트의 경우 기재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기재가 없는 점착시트의 경우 이형필름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한 후 이형필름을 합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필터나, 광학필름의 고정용으로서 바람직하다. 광학필름으로서는 편광판, PDP필터, 터치패널의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학필름과,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필름, 폴리카보네이트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나 노르보르넨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아크릴수지판, 폴리카르보네이트판, 유리판 등과 같은 광학용 기판을, 본 발명의 점착시트의 점착제층을 통해 접합시킴으로써 LCD, PDP, 터치패널등과 같은 광학제품을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대전방지 성능을 갖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101)은 양 쪽에 점착제층(2,2')과 이형필름(1,1')으로 이루어진 점착시트가 있고 그 두 점착제층(2,2') 사이에 대전방지층(3)이 구성되어 있다. 아래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A: 아크릴 공중합체의 제조
먼저, 아크릴계 점착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발열반응을 제어하기 쉽도록 냉각장치가 설치된 1,000㏄ 반응기에 에틸아세테이트용매 150g을 주입하고, 여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33g, 메틸아크릴레이트 6g, 아크릴산 7g 및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3g을 포함한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기내의 온도를 60℃로 유지한 후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ADMVN) 0.017g을 투입하고, 4시간 내지 8시간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 고분자를 얻었다. 실험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실험을 5회 실시하였고, 제조된 아크릴계고분자를 GPC를 이용하여 수평균 분자량 및 분산도를 측정한 결과, 수평균 분자량이 200만 내지 250만이었고, 분자량 분포도는 3.0 내지 3.5로 나타났다.
B :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A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용제인 에틸아세테이트(EAc)를 65중량부를 첨가하여 희석시키고, 극성화합물인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2g과 실란 커플링제인 비닐트리메톡시실란 (vinyl-trimethoxy silane)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액을 제조하였다.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 제 1 점착제층(2)의 형성
상기 B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바코터를 사용하여 두께 38㎛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필름(1)에 코팅하여 110℃에서 2분 건조한 후 두께 10㎛의 균일한 제 1 점착제층(2)을 얻었다.
D: 제 1 점착제층 상에 대전 방지층(3)의 형성
상기 C에서 얻어진 제 1 점착제층(2)에 형성할 대전 방지층(3)을 위하여, 에탄올에 용해된 전도성 고분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분산액(바이엘사, BaytronP) 10g, 우레탄계 바인더 20g(독일 ALBERDINGK사, U710)을 에틸알콜 70g에 혼합하여 정전기 방지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 점착제층(2) 상에 제조된 정전기 방지액을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0.1㎛ 두께로 대전 방지층(3)을 형성하였다.
E: 제 2 점착제층(2')을 형성하여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제조
상기 D에서 제조된 제 1 점착제층(2) 상에 형성된 대전 방지층(3) 상에, 상기 C와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의 균일하게 제 2 점착제층(2')을 형성하고, 제 2 이형필름(1')을 합지 후, 상온에서 7일간 숙성시켜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10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대전 방지층의 형성에서 탄소나노튜브(HollowCNT 50, 나노카본사 제조) 2g을 에탄올 98g에 혼합하여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대전 방지층의 형성에서 이온계(PEL-20A, 일본 carlit) 15g을 에탄올 85g에 혼합하여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의 제 2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대전방지 성능을 갖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 착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104)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점착제층(2)과 이형필름(1)으로 이루어진 점착시트(10)와 이형필름(1) 사이에 대전방지층(3)이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A, B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고, C와 동일한 방법으로 20㎛의 두께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점착제층 위에 단일벽 탄소나노튜브(KH SWNT-Semiconducting, KH 케미컬사 제조) 0.2g을 에탄올 10g에 분산 후 D와 같은 방법으로 약 100nm로 코팅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A, B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를 제조하고, C와 동일한 방법으로 20㎛의 두께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점착제층 위에 ITO(AIS-E030, 미지테크사 제조) 10g, 우레탄계바인더 20g(독일ALBERDINGK사U710)을 에틸알콜 70g에 혼합하여 대전방지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대전방지액을 D와 같은 방법으로 약 100nm로 코팅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도 3는 비교예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106)은 양 쪽에 있는 이형필름(1) 사이에 대전방지제가 혼합된 점착제층(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A와 동일하게 제작된 점착제에 이온계 대전방지제(PEL-20A, 일본 carlit)을 3g을 섞고 실시예 1의 B, C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고, 단 점착제층은 단일층으로 두께 20㎛으로 코팅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코로나 처리된 편광판(AMN-3244EV, 에이스디지텍사 제품 또는 AMN-3244SVAG25)면에 고형분으로서, 전도성고분자수지(바이엘사, BaytronP;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0.5중량%와 폴리스티렌술폰산 0.8중량%를 함유하는 수분산체)를 100중량부, 아크릴바인더수지(니뽄카바이드사, Y8003B) 400중량부, 멜라민가교제(사이텍사, CYMEL385) 100중량부 및 불소계실란커플링제 50중량부를 물에 혼합하여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고형분의 함량은 전체 대전방지 코팅액에 대하여 2.0중량%를 함유하도록 하였다. 상기 제조된 대전방지 코팅액을 코로나 방전처리된 편광판 일면에 메이어바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상기 건조후의 두께가 50nm 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120℃ 건조구간에서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시켰다. 제조된 필름의 코팅면에 실시예 1의 A, B, C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고, 단 점착제층은 단일층으로 두께 20㎛으로 코팅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내구신뢰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필름과 합지된 편광판(AMN-3244EV, 에이스디지텍사 제 조 또는, AMN-3244SVAG25, 폭: 90mm, 길이: 170mm)을 유리기판(110mm×190mm×0.7mm)에 양면으로 광학 흡수축이 크로스된 상태로 부착시켰다. 이때 가해진 압력은 약 5kg/cm2으로 기포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크린룸 작업을 하였다. 이 시편들을 내습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60℃, 95% 상대습도조건하에서 1000시간 방치한 후 기포나 박리가 발생하였는지 관찰하였다. 내열특성은 85℃, 1000 시간 방치한 후 기포나 박리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편의 상태를 평가하기 직전에 상온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 실시하였다. 신뢰성에 대한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기포나 박리현상 없음
△: 기포나 박리현상 다소 있음
×: 기포나 박리현상 있음
[실험예 2: 표면저항 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필름과 합지된 편광판에서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점착면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표면저항은 저항율계(TREK INC., 152-CE-EX)을 이용하여, 23℃, 50% 상대습도환경하에서 100V의 전압을 1분간 인가한 후 측정된 값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표면저항 내습열 내열
실시예 1 107
실시예 2 105
실시예 3 1011
실시예 4 105
실시예 5 106
비교예 1 1011 × ×
비교예 2 101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은 대전방지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내습열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은 대전방지 물질이 점착제층 가운데 위치함으로써 점착제 표면으로 이행되지 않아 내구 신뢰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실시예 3의 경우 이온계 대전방지제를 사용한 것으로 이온계 외 다른 대전물질을 사용한 실시예들에 비하여 대전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지만, 실시예 3과 동일한 이온계를 사용하나 층 구성이 다른 비교예 1의 경우보다 내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대전방지 성능을 갖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대전방지 성능을 갖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의 단면도.
도 3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대전방지 성능을 갖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 이형필름 2,2' : 점착제층
3, 13 : 대전방지층
15 : 대전방지제가 혼합된 점착제층
101, 104, 106 :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에 있어서,
    제 1 이형필름(1)의 일면 상에 5 ~ 100 ㎛ 두께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균일하게 형성된 제 1 점착제층(2),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50 ~ 5000 Å의 두께로 형성된 대전방지층(3), 그리고 상기 제 1 점착제층(2)과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균일하게 형성된 제 2 점착제층(2')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점착제층(5) 상에 제 2 이형필름(1')이 합지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점착제층(2, 2')를 이루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90 내지 99.9 중량부와 가교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아크릴계 모노머 0.1 내지 10 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광학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층(3)은 나노섬유상의 전도성물질, 전도성 나노 유기입자, 전도성 나노 무기입자 또는 이온화합물 등의 대전방지 기능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5. 삭제
KR1020080001192A 2008-01-04 2008-01-04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KR10097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92A KR100972733B1 (ko) 2008-01-04 2008-01-04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92A KR100972733B1 (ko) 2008-01-04 2008-01-04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360A KR20090075360A (ko) 2009-07-08
KR100972733B1 true KR100972733B1 (ko) 2010-07-27

Family

ID=4133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192A KR100972733B1 (ko) 2008-01-04 2008-01-04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941B1 (ko) * 2011-05-19 2013-08-30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접합된 광학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612A (ko) * 2010-02-01 2011-08-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성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KR102071913B1 (ko) * 2016-05-31 2020-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111A (ja) * 2000-04-28 2002-02-06 Lintec Corp 粘着シートおよび貼着体
KR20040060373A (ko) * 2002-12-30 2004-07-0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형 기능이 보강된 포토마스크 보호용 점착 필름
JP2004223923A (ja) 2003-01-23 2004-08-12 Fujimori Kogyo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4338379A (ja) * 2003-04-21 2004-12-02 Nitto Denko Corp 帯電防止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111A (ja) * 2000-04-28 2002-02-06 Lintec Corp 粘着シートおよび貼着体
KR20040060373A (ko) * 2002-12-30 2004-07-0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형 기능이 보강된 포토마스크 보호용 점착 필름
JP2004223923A (ja) 2003-01-23 2004-08-12 Fujimori Kogyo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4338379A (ja) * 2003-04-21 2004-12-02 Nitto Denko Corp 帯電防止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941B1 (ko) * 2011-05-19 2013-08-30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접합된 광학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360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479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류 및 표면 보호 필름
JP4358190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185637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류, 및 표면 보호 필름
TWI504707B (zh) 光學用黏著劑、光學用黏著片及附有黏著劑層之光學構件
JP5047557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と粘着性光学部材
KR100960731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편광판
CN101583684B (zh) 丙烯酸压敏粘合剂组合物
CN1477488A (zh) 透明导电膜用表面保护膜及制法和具有该膜的透明导电膜
TWI735614B (zh) 黏著劑組成物、黏著劑層、附黏著劑層之光學薄膜、影像顯示面板及液晶顯示裝置
KR20120064721A (ko) 박리 시트 부착 양면 점착제 시트
KR20090027930A (ko) 대전방지성 점착형 편광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2009229956A (ja) 帯電防止型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782034B1 (ko) 플렉소 인쇄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972733B1 (ko) 대전방지 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JP2004082371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30092128A (ko) 박막 디스플레이 기판 유리 비산 방지 보호필름
CN116097138A (zh) 偏振片及使用了该偏振片的图像显示装置
KR20080024452A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585512B1 (ko) 전도성층을 포함하는 무 기재 타입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02290A (ko) 편광판용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편광판
CN115247034A (zh) 表面保护膜以及光学部件
KR20210119871A (ko)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한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20080087972A (ko)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080047031A (ko) 설폰 또는 설폭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성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편광판
KR101770448B1 (ko)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