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571B1 - 재봉틀 및 이 형태의 재봉틀을 이용한 봉합 시작부의 재봉방법 - Google Patents
재봉틀 및 이 형태의 재봉틀을 이용한 봉합 시작부의 재봉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0571B1 KR101410571B1 KR1020080081354A KR20080081354A KR101410571B1 KR 101410571 B1 KR101410571 B1 KR 101410571B1 KR 1020080081354 A KR1020080081354 A KR 1020080081354A KR 20080081354 A KR20080081354 A KR 20080081354A KR 101410571 B1 KR101410571 B1 KR 101410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thread
- seal
- tensioning device
- clam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2—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single-thread seam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틀은 바늘-실(9) 공급부를 구비한다. 바늘 바아(7)는 바늘-실(9)을 직물을 관통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재봉 바늘(8)을 포함한다. 후크(10)는 바늘땀을 형성하는 동안 바늘-실(9)을 붙잡는 역할을 한다. 제1바늘-실 클램프(14)는 후크(10)와 실 레버(18) 사이의 바늘-실(9)의 공급측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된다.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는 상기 제1바늘-실 클램프(14)의 상류측의 바늘-실(9)의 공급측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된다. 작동 가능한 제2바늘-실 클램프(28)는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상류측의 바늘-실(9)의 공급측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된다. 실 인장 장치(24)는 상기 실 레버(18)와 상기 제2바늘-실 클램프(28)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실 인장 장치(24)는 하나의 중립 위치와 실 인장 위치의 사이에서 제어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실 인장 위치에서 상기 바늘-실(9)의 경로는 상기 중립 위치에서의 경로에 비해 긴 실 경로 차이를 가진다. 그 결과, 작동이 안정하고, 봉합부의 시작부에서 직물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바늘-실(9)의 길이가 짧아지는 재봉틀이 얻어진다.
재봉틀, 봉합(seam), 시작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늘-실의 공급부; 직물을 통해 상기 바늘-실을 안내하기 위한 재봉 바늘 포함하는 바늘 바아로서, 상기 재봉 바늘이 하사점과 상사점의 사이에서 상하 운동을 위해 구동될 수 있는 바늘 바아; 바늘땀 형성 중에 상기 바늘-실을 붙잡기 위한 후크; 상기 바늘-실의 루우프 형성을 위한 실 레버; 상기 후크 및 실 레버의 사이에서 바늘-실의 공급측 이동 경로 내의 작동이 가능한 제1바늘-실 클램프; 및 상기 제1바늘-실 클램프의 상류측의 바늘-실의 공급측 이동 경로 내의 바늘-실의 주 인장 장치로서, 바늘-실의 주 인장 장치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바늘-실에 설정 양의 인장력을 가하는 바늘-실의 주 인장 장치를 포함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상기 형태의 재봉틀을 이용하여 봉합부의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형태의 재봉틀은 독일 특허공개 제DE 102 34 251 A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 독일 특허공개에는 바늘-실의 자유 단부를 후방으로 인장하기 위한 조 치가 매우 다양하게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한 작동 방식으로 봉합 시작부의 위치에서 직물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바늘-실의 길이를 단축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바늘-실(needle-thread)의 주 인장 장치(main tensioning device)의 상류측의 상기 바늘-실의 공급측의 이동 경로 내의 작동이 가능한 제2바늘-실 클램프, 실 레버(thread lever) 및 제2바늘-실 클램프의 사이의 상기 바늘-실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두 위치, 즉 상기 바늘-실이 상기 실 레버 및 바늘-실 주 인장 장치 사이의 제1실-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중립 위치와, 상기 바늘-실이 상기 실 레버 및 바늘-실 주 인장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실-경로로서 상기 제1실-경로 보다 긴 경로 차이를 가지는 실 경로인 제2실-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실 인장 위치(thread pulling position)의 사이에서 제어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실 인장 장치(thread pulling device)를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실 레버와 제2바늘-실 클램프 사이에 위치하는 실 인장 장치가 상기 실 레버의 하강 운동 중에 형성된 과잉의 실을 상기 실 레버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바늘-실 공급원 쪽으로 당겨준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여기서, 봉합 시작부의 재봉시, 봉합 시작부에서 직물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남게 되는 바늘-실의 자유 단부가 짧게 유지되도록 바늘-실은 실 레버에 의해 직물 내측으로 당겨진다. 이를 위 해, 바늘-실은 실 인장 장치에 의해 형성된 실 경로 차이와 동일한 거리만큼 뒤쪽으로 당겨진다. 그 결과, 바늘-실의 돌출된 자유 단부를 잘라내어 단축시킬 필요가 없이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봉합 시작부가 얻어진다. 이는 특히 예를 들면 차량의 내장 부품용 가죽의 재봉과 같이 봉합부의 시각적 품질이 중요한 경우에 유리하다. 상기 실 인장 장치는 작동이 가능한 제2바늘-실 클램프와 별개의 부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 인장 장치는 실 레버와 바늘-실 주 인장 장치 사이에 연장해 있는 바늘-실과 협동하는 실 인트레이너(thread entrainer)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바늘-실 주 인장 장치와 제2바늘-실 클램프 사이의 바늘-실의 이동 경로 내에 실 인장 장치를 배치한 것은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중립 위치와 실 인장 위치 사이의 이동에 의해 발생된 실의 경로 차이가 약 20 mm가 되도록 실 인장 장치를 배열하면 봉합부의 외관이 양호해지는 결과를 얻는다. 재봉틀의 용도에 따라 실 경로 차이를 다른 값으로 할 수도 있다.
피봇운동이 가능한 브라켓을 포함하고, 이 브라켓의 일단부에는 실 아이(thread eye)가 배치되고, 상기 일단부는 상기 실의 이동 경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피봇운동이 가능한 실 인장 장치는 구조 상의 작은 변경에 의해 바늘-실 안내 유닛과 일체화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실 인장 장치의 자동적인 이동에 의한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실 인장 위치는 각 모서리의 상태에 적합하게 되도록 봉합 시작부에서 바늘-실의 인장을 가능하게 한다. 필요에 따라 설정이 가능한 이들 실 인장 위치는 특히 자동 변경될 수 있고, 따라서 재봉틀의 사용 조건에 따라 다수의 가능한 실 경로 차이들 중의 하나를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된 방법으로 예를 들면 작업자가 선택한 각각이 재봉 프로그램에 의존하여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위치 변화는 상기 실 인장 장치의 제어 구동장치(controlled drive)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실 인장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기 구동장치는 작동이 안전하고 저비용이고 동시에 신속한 위치 변화가 가능하다. 또 실 인장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기압 구동장치나 스텝 모터 구동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실 인장 장치를 제2바늘-실 클램프의 클램핑 플레이트에 장착하는 배열에 의해 실 인장 장치와 제2바늘-실 클램프를 하나의 결합된 유닛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을 이용하여 봉합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재봉 바늘을 포함하는 상기 바늘 바아를 하사점으로부터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의 루우프 형성 스트로크 위치까지 상승시킴으로써 바늘-실 루우프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상승은 상기 제1 및 제2바늘-실 클램프가 개방되어 상기 바늘-실이 해방되고,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가 작동하고, 상기 실 인장 장치가 상기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발생하는 상기 바늘-실 루우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늘 바아의 루프 형성 스트로크 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바늘-실이 비인장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는 상기 제1 및 제2바늘-실 클램프의 실 클램핑 위치의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의 비작동화 단계; 상기 실 클램프의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의 비작동화 후, 상기 바늘-실이 상기 실 레버가 하강되었을 때 상기 실 레버 및 제1바늘-실 클램프 사이에서 단축되도록 상기 실 인장 위치 내의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실 인장 장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바늘-실 클램프의 실 방출 위치의 제어된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의 비작동화 단계; 및 상기 실 인장 장치를 중립 위치로 복귀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봉합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의 장점은 본 장치와 관련하여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제1루우프가 형성될 때 각 봉합부의 시작부에서만 상기 실 인장 장치를 작동시키면 되고, 초기의 바늘땀 이후의 재봉 과정에서는 실 인장 장치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상기 실 인장 장치는 제1바늘땀가 형성될 때 다시 말하면 봉합부의 시작부에서 작동된다. 상기 제1바늘땀의 전체 순서는 아암 샤프트의 정상 작업시의 회전 속도보다 저속인 아암 샤프트의 결정된 회전 속도에서 수행된다.
동시에 실행되는 상기 실 클램프의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의 비작동화 후 상기 실 인장 장치의 위치 변경을 위해 아암 샤프트의 회전 속도에 무관하게 재봉틀에 의해 설정된 시간 차이는 봉합부의 시작부의 작동 상 안전한 바늘-실 인장 순서를 확보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작동적으로 안전한 인장을 확실히 달성하기 위해, 시간 차이는 특정의 최소값 미만으로 떨어지면 안된다.
실 인장 장치가 동시적인 실 클램프의 작동화 및 바늘-실 주 인장 장치의 비작동화 후 약 50 ms 경과시 실 인장 위치 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하는 절대 시간 지연(absolute time lag)은 실 인장 장치의 안전한 작동을 확보하는데 특히 적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작동이 안정하고, 봉합부의 시작부에서 직물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바늘-실의 길이가 짧아지는 재봉틀이 얻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재봉틀(1)은 상측의 아암(2), 하측의 베이스 플레이트(3), 및 이들 양자를 연결하는 스탠드(4)를 구비하여 C자형 하우징을 형성한다. 상기 아암(2)에는 아암 샤프트(5)(도 2 참조)가 장착되어 있고, 이 아암 샤프트(5)는 스탠드(4)의 내부에 수용된 벨트를 구비한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모터에는 도 1의 상측 아암(2) 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중앙 제어 유닛(6)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중앙 제어 유닛은 이것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고, 심지어 재봉틀(1)의 외측에 배치한 다음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바늘 바아(needle bar; 7)는 아암 샤프트(5)에 의해 구동되어 상하방향으로 운동하고, 바늘(8)은 바늘 바아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바늘-실(9)(도 2 참조)은 바늘(8)의 귀를 통해 연장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 내에는 후크(10)가 배치되어 있다. 후크(10)는 수직 회전축(11)(도 2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 이 회전 운동은 공지의 방식으로 상기 아암 샤프트(5)로부터 유발된다. 보빈 실(13)(도 11 참조)의 공급원은 각각 후크(10)의 보빈 케이스나 실감기(thread-winding) 케이스(12) 내에 위치한다.
도 2는 바늘-실(9)이 재봉틀(1)을 통해 안내되는 구성을 상세히 보여준다. 바늘-실의 공급측 이동 경로의 상기 바늘-실 공급 방향의 대향측인 바늘(8)의 귀의 상류측에는 제1바늘-실 클램프(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클램프(14)는 클램핑 플레이트(15)를 포함하고, 이 클램핑 플레이트는 제1바늘-실 클램프(14)의 베이스체(16)에 대해 변위가 가능하다. 신호 교환을 허용하기 위해 제어 유닛(6)에 연결된 제1바늘-실 클램프(14)는 바늘-실(9)이 제1바늘-실 클램프(14)의 위치에 클램프되는 제1실 클램핑 위치와 제1바늘-실 클램프(14)가 바늘-실(9)을 해방하는 실 해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제1바늘-실 클램프(14)의 인접부에서 바늘-실(9)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1바늘-실 클램프(14)의 바늘-실(9)의 통로는 베이스체(16) 내의 복수의 실 통과 개구(1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늘-실(9)은 실 공급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4개의 실 통과 개구 중의 하나인 우측의 제2실 통과 개구(17)를 통해 연장해 있다.
제1바늘-실 클램프(14)의 상류측에는 실 레버(1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 레버(18)의 상하 운동은 공지된 방식으로 아암 샤프트(5)에 의해 유발된다. 실 레버(18)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실 레버 눈(thread lever eye; 19)과 제1바늘-실 클램프(14) 사이에서 상기 바늘-실(9)은 베이스체(16)의 상단부에 배치된 가이드 아이(20)를 통과한다(도 2 참조).
실 레버(18)의 상류측에서, 바늘-실(9)은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를 통해 연장한다.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는 공지의 방식으로 작동함과 동시에 바늘-실 공급 방향에 직접 연속하여 배치된 2개의 주 텐셔너(tensioners; 22)를 포함 한다.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는 신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중앙 제어 유닛(6)에 연결된다. 상기 주 텐셔너(22)는 상기 제어 유닛(6)에 의해 동작되어 소정의 강도의 인장력을 바늘-실(9)에 가한다.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와 실 레버(18)의 사이에서 바늘-실(9)은 설정된 방식으로 바늘-실 공급 방향에 수직하게 변위될 수 있는 다른 가이드 눈(23)을 통과한다.
2개의 주 텐셔너(22)의 상류측에는 실 인장 장치(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 인장 장치(24)는 피봇운동이 가능한 브라켓(25)을 구비하고, 이 브라켓은 피봇 조인트(26)에 의해 제2바늘-실 클램프(28)의 클램핑 플레이트(27)에 관절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 인장 장치(24)는 제2바늘-실 클램프(28)의 클램핑 플레이트(27)에 장착된다. 상기 실 인장 장치(24)의 브라켓(25)은 그 자유 단부에 상류측 주 텐셔너(22)와 제2바늘-실 클램프(28)의 사이의 바늘-실(9)의 이동 경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실 아이(29)를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25)은 도 2에 도시된 중립 위치와 도 4에 도시된 실 인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와 제2바늘-실 클램프(28) 사이의 바늘-실(9)의 이동 경로는 브라켓(25)의 중립 위치의 바늘-실(9)의 대응 이동 경로 보다 긴 실의 경로 차이를 가진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이 실 경로 차이는 예를 들면 20 mm이다.
중립 위치에 있는 실 아이(29)와 상류측 주 텐셔너(22)의 사이 및 실 아이(29)와 제2바늘-실 클램프 사이에는 각각 실 안내 핀(thread guide pin; 31)이 바늘-실의 이동 경로를 따라 아암(2)에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30) 상에 배치되어 있다. 브라켓(25)의 실 인장 위치에서, 바늘-실(9)은 양측 실 안내 핀(31)과 이들 실 안내 핀 사이의 브라켓(25)의 실 아이(29)를 경유하여 연장한다. 상기 2개의 실 안내 핀(31)에 의해 브라켓(25)이 실 인장 위치에 있거나 또는 중립 위치에 있거나 무관하게 바늘-실(9)은 제2바늘-실 클램프(28)의 동일 지점에서 나와서 상류측 주 텐셔너(22)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5)은 전자기 구동장치에 의해 중립 위치 및 실 인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구동장치는 신호 교환을 위해 제어 유닛(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자기 구동장치 대신 공기압 구동장치 또는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브라켓(25)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늘-실 클램프(28)의 상류측에는 공지된 방식으로 동작함과 동시에 신호 교환을 허용하도록 제어 유닛(6)에 연결될 수 있는 바늘-실 프리텐션 장치(pretensioning device; 32)가 배치되어 있다. 안내 핀(31)과 함께, 2개의 주 텐셔너(22)를 포함하는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 실 인장 장치(24)가 장착되어 있는 제2바늘-실 클램프(28), 및 바늘-실 프리텐션 장치(32)도 역시 장착 플레이트(30)에 부착될 수 있다.
바늘-실 프리텐션 장치(32)의 상류측에서 바늘-실(9)은 장착 플레이트(30)의 약 90도 각도만큼 전방으로 절곡된 상단부에 형성된 실 통과 구멍(33)(도 2 참조)을 통과한다. 상기 실 통과 구멍(33)의 상류측에는 바늘-실 공급원의 역할을 하는 바늘-실 보빈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10은 아암 샤프트(5)의 회전 위치들을 보여주고 있다. 각도 눈 금(35)은 아암 샤프트(5)의 단부에 이 아암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된 핸드 휠(34)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각도 눈금(35)은 아암 샤프트(5)의 360도의 회전을 표시하도록 360개의 눈금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하, 각도 눈금(35)의 각각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아암 샤프트(5)가 205도의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위치에서, 바늘 바아(7)는 180도에 위치한 하사점으로부터 약간 이동하고, 그 결과 바늘(8)의 귀의 인접부에서 바늘-실 루우프(needle thread loop; 36)가 형성된다. 205도의 위치에서, 후크(10)의 후크 팁(hook tip; 37)은 바늘-실 루우프(36)와 결합하여 바늘-실(9)과 결합할 수 있다.
도 3에서 직물의 평면(NE)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선의 위치는 재봉틀(1)의 바늘 플레이트(39) 상에 놓여있는 직물(38)의 위치와 동일하다.
205도의 위치에서, 제1바늘-실 클램프(14)는 실 클램핑 위치에 있다.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는 비작동 상태에 있고, 그 결과 바늘-실(9)에는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실 인장 장치(24)는 중립 위치에 있다. 제2바늘-실 클램프(28)는 실 클램핑 위치에 있다. 바늘-실 프리텐션 장치(32)는 작동 상태에 있고, 그 결과 바늘-실(9)은 바늘-실 보빈 및 바늘-실 프리텐션 장치(32)의 사이에서 인장력을 받는다. 실 레버(18)는 하사점을 향해 하강 중에 있다. 실 레버(18)는 이미 상사점으로부터 이동되었고, 그 결과 2개의 바늘-실 클램프(14, 28) 의 사이에 과잉의 실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지점에서의 실에는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 과잉의 실은 실 레버 아이(19)가 실 레 버(18)의 상사점으로부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205도의 위치까지 이동한 거리의 2배에 해당한다.
도 4 및 도 5는 아암 샤프트의 225도의 위치를 보여준다. 이 아암 샤프트(5)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아암 샤프트의 위치에 비해 재봉 방향으로 20도의 각도만큼 회전되었다.
225도 위치에서, 제1바늘-실 클램프(14)는 실 클램핑 위치에 있다.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는 여전히 비작동 상태에 있다. 실 인장 장치(24)의 브라켓(25)은 실 인장 위치로 이동되었다. 제2바늘-실 클램프(28)는 실 클램핑 위치에 있다.
225도 위치에서, 실 레버 아이(19)는 하방으로 더욱 이동되어 하사점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실 인장 장치(24)를 실 인장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 레버 아이(19)에 인접한 과잉의 바늘-실은 실 인장 장치(24)의 실 눈(thread eye; 29)을 향해 후방으로 당겨진다. 이제 바늘-실(9)은 실 레버 아이(19)와 제1바늘-실 클램프(14) 사이에 대략 연장되어 있다.
225도 위치에서, 후크(10)는 회전축선(11)을 중심으로 대응되는 각도 만큼, 즉 회전축선(11)을 중심으로 40도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있다. 이제, 바늘-실(9)은 후크 팁(37)에 의해 하방으로 더욱 당겨진다.
도 6 및 도 7은 아암 샤프트의 305도 위치를 보여준다. 305도의 위치에서 실 레버 아이(19)는 하사점에 인접해 있다.
제1바늘-실 클램프(14)는 실 해방 위치에 있다.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는 작동 상태에 있고, 그 결과 바늘-실(9)의 장력이 유지된다. 실 인장 장치(24)의 브 라켓(25)은 중립 위치에 있다. 제2바늘-실 클램프(28)는 실 해방 위치에 있다. 바늘-실 프리텐션 장치(32)는 작동 상태에 있다. 305도 위치에서, 바늘-실(9)은 후크(10)에 의해 하방으로 더욱 당겨져 있다.
225도의 아암 샤프트의 위치 및 305도의 아암 샤프트의 위치의 사이에서 후크(10)는 바늘-실(9)의 자유 단부(40)를 직물(38)의 통해 하방으로 당겨준다. 아암 샤프트(5)가 계속 회전하면, 실 레버(18)는 바늘-실을 직물의 후방으로 당겨준다. 그 결과, 직물의 밖으로 돌출하는 자유 단부(40)의 길이는 더욱 짧아진다.
도 8은 아암 샤프트의 0도의 위치를 보여준다. 이 0도의 위치에서 바늘 바아(7)는 상사점에 도달해 있다. 이 위치는 재봉의 개시 위치, 다시 말하면 직물(38)의 삽입을 위한 바늘(8)의 하측의 최대의 자유 공간이 제공되는 위치인 봉합 개시 위치이다.
상기 0도의 위치에서, 제1바늘-실 클램프(14)는 실 해방 위치에 있다.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는 작동 상태에 있다. 실 인장 장치(24)는 중립 위치에 있다. 제2바늘-실 클램프(28)는 비작동 상태에 있다. 바늘-실 프리텐션 장치(23)는 작동 상태에 있다. 실 레버(18)는 하사점으로부터 상단부를 향해 이동 중에 있다.
도 9 및 도 10은 65도의 아암 샤프트 위치를 보여준다. 바늘(8)은 하사점을 향해 이동 중에 있다. 2개의 바늘-실 클램프(14, 28)는 해방 위치에 있다.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는 작동 상태에 있다. 바늘-실 프리텐션 장치(32)는 작동 상태에 있다. 실 인장 장치(24)는 중립 위치에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따른 아암 샤프트(5)의 일련의 각 위치는 실 인장 장 치(24)의 작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실 인장 장치(24)의 실제 작동은 아암 샤프트(5)가 도 8에 따른 0도의 위치에 있을 때 개시된다. 여기서 바늘-실(9)은 상호 교직(interlaced)되지 않고 자유 단부(40)를 가진다. 이 위치에서, 이중층 직물이 삽입된다. 상태 메시지인 "봉합의 시작(beginning of the seam)"이 제어 유닛(6)에 저장된다. 도 8에 따른 위치에서 시작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38)에 봉합부의 재봉이 이루어진다. 첫번째 바늘땀가 형성되었을 때에만 실 인장 장치(24)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한다. 후속 바늘땀가 형성되었을 때는 실 인장 장치(24)는 항상 중립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실 인장 장치(24)의 작동에 의해 실 인장 위치는 아암 샤프트의 225도의 위치에서 이동하고, 그 결과 바늘-실(9)의 자유 단부(40)는 실 레버(18)에 의해 직물(38)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그 길이가 단축된다.
실 인장 장치(24)가 상기 실 인장 위치의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처음으로 이동하면, 제어 유닛(6) 내에 저장된 상태 메시지인 "봉합 개시" 는 "연속 봉합(continuous seam)"으로 변경된다. 이 상태 메시지는 실 전달 공정이 수행될 때 제어 유닛(6) 내에서 "봉합 개시"로 되돌아간다. 이 상태 메시지는 후속 재봉 과정 중에 모니터된다. 실 인장 장치(24)는 상기 상태 메시지가 "봉합 개시"인 경우에만 작동된다.
직물(38)의 외부로 돌출하는 자유 단부(40)의 길이는 실 인장 위치 내의 브라켓(25)의 각도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브라켓(25)이 스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다양한 실의 최종 길이를 제어 유닛(6) 내에 미리 선택해 넣어 둘 수 있다. 실 인장 위치 내의 브라켓(25)의 각도 위치는 실의 선택된 최종 길이에 의존하여 제어 유닛(6)에 의해 결정된다. 또는, 최종 실의 길이에 대응하는 실의 인장 길이는 브라켓(25)의 기계적 스토퍼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동시에 이루어지는 바늘-실 클램프(14, 28)의 작동화 및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비작동화 후 50 ms 경과시, 실 인장 장치(24)는 실 인장 위치의 중립 위치로부터 이동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늘-실 클램프(14, 28)의 해방 위치에서의 이동,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작동화, 및 실 인장 장치(24)의 중립 위치에서의 이동과 같은 복귀 운동은 재봉 과정이 고장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305도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이미 종료되지만, 어떤 경우에도 350도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는 대략 완료되어야 한다.
제어 유닛(6)에 의해 정의된 시간 차이는 실질적으로 작동상 안전한 바늘-실 클램프(14, 28)의 위치 변화 및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위치 변화를 확보하는데 요하는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실 인장 장치가 실 인장 위치의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는 봉합 시작부에서의 첫번째 바늘땀의 전체 순서는 아암 샤프트(5)의 정상 회전 속도보다 느리게 결정된 아암 샤프트(5)의 회전 속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아암 샤프트(5)의 감소된 회전 속도도 제어 유닛(6)에 의해 결정된다. 첫번째 바늘땀이 아암 샤프트의 결정된 회전 속도에서 형성되므로 바늘-실 클램프(14, 28)의 작동시의 실 인장 장치(24)의 위치 변화에 요하는 시간 차이 및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비작동화를 위한 시간 차이는 예를 들면 50 ms의 일정한 값이 된다. 동시에 이루어지는 바 늘-실 클램프(14, 28)의 작동화 및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비작동화 후의 실 인장 장치(24)의 위치 변화에 요하는 시간 차이는 재봉틀(1)의 아암 샤프트(5)의 필요에 따른 다양한 회전 속도에 무관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재봉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205° 루프 형성 스트로크(looping stroke) 상태"의 아암 샤프트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바늘-실 안내 유닛의 세부를 보여주는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된 상태의 도 2와 유사한 바늘-실 안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4는 "225° 실 인장 장치가 작동된 상태"의 아암 샤프트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바늘-실 안내 유닛의 세부를 보여주는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된 상태의 도 4와 유사한 바늘-실 안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6은 "305° 실 인장 장치가 완전히 후퇴된 상태"의 아암 샤프트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바늘-실 안내 유닛의 세부를 보여주는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7는 도 6의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된 상태의 도 6과 유사한 바늘-실 안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8은 "0° 바늘 바아의 상사점 상태"의 아암 샤프트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바늘-실 안내 유닛의 세부를 보여주는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9는 "65° 실 레버의 상사점 상태"의 아암 샤프트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바늘-실 안내 유닛의 세부를 보여주는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된 상태의 도 9와 유사한 바늘-실 안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바늘-실과 보빈-실에 의해 형성된 봉합부 평면을 따른 이중층 직물의 봉합 시작부가 도시된 개략 수직단면도이다.
Claims (11)
- 바늘-실(9)의 공급부;직물(38)을 통해 상기 바늘-실(9)을 안내하기 위한 재봉 바늘(8)을 포함하는 바늘 바아(7)로서, 상기 재봉 바늘(8)이 하사점과 상사점의 사이에서 상하 운동을 위해 구동될 수 있는 바늘 바아(7);바늘땀 형성 중에 상기 바늘-실(9)을 붙잡기 위한 후크(10);상기 바늘-실(9)의 루우프 형성을 위한 실 레버(18);상기 후크(10) 및 실 레버(18)의 사이에서 바늘-실(9)의 공급측 이동 경로 내의 작동이 가능한 제1바늘-실 클램프(14); 및상기 제1바늘-실 클램프(14)의 상류측의 바늘-실(9)의 공급측 이동 경로 내의 바늘-실의 주 인장 장치(21)로서, 바늘-실의 주 인장 장치(21)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바늘-실(9)에 설정 양의 인장력을 가하는 바늘-실의 주 인장 장치(21)를 포함하는 재봉틀에 있어서,상기 바늘-실의 주 인장 장치(21)의 상류측의 상기 바늘-실(9)의 공급측의 이동 경로 내의 작동이 가능한 제2바늘-실 클램프(28); 및상기 실 레버(18) 및 제2바늘-실 클램프(28)의 사이의 상기 바늘-실(9)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바늘-실(9)이 상기 제2바늘-실 클램프(28) 및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 사이의 제1실-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중립 위치와, 상기 바늘-실(9)이 상기 제2바늘-실 클램프(28) 및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 사이에 위치하는 제2실-경로로서 상기 제1실-경로 보다 긴 실 경로 차이를 가지는 실 경로인 상기 제2실-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실 인장 위치의 사이에서 제어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실 인장 장치(24)를 포함하고,재봉틀(1)을 이용하여 봉합 시작부를 재봉할 때:재봉 바늘(8)을 포함하는 바늘 바아(7)를 하사점으로부터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의 루우프 형성 스트로크 위치까지 상승시킴으로써 바늘-실 루우프(36)가 형성되고, 상기 상승은 제1 및 제2바늘-실 클램프(14, 28)가 개방되어 바늘-실이 해방되고,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가 작동하고, 상기 실 인장 장치(24)가 상기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발생하며,상기 바늘 바아(7)의 루우프 형성 스트로크 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바늘-실(9)이 비인장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바늘-실 클램프(14, 28)의 실 클램핑 위치의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비작동화가 제어되고,상기 실 클램프(14, 28)의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비작동화 후, 상기 실 인장 장치(24)는, 상기 바늘-실(9)이 상기 실 레버(18)가 하강되었을 때, 상기 실 레버(18) 및 제1바늘-실 클램프(14) 사이에서 단축되도록 상기 실 인장 위치 내의 중립 위치로부터 이동되고,상기 제1 및 제2바늘-실 클램프(14, 18)의 실 방출 위치의 제어된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비작동화는 제어되고, 상기 실 인장 장치(24)는 중립 위치로 복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인장 장치는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와 상기 제2바늘-실 클램프(28) 사이의 상기 바늘-실(9)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위치와 상기 실 인장 위치 사이의 이동에 의해 형성된 실 경로 차는 20 mm가 되는 상기 실 인장 장치(24)의 배치를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인장 장치(24)는 피봇운동이 가능한 브라켓(25)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일단부에는 실 눈(29)이 배치되고, 상기 일단부는 상기 실의 이동 경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피봇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인장 장치(24)는 설정될 수 있는 다양한 실 인장 위치들 중의 하나에서 자동 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인장 장치(24)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전자기 구동장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인장 장치(24)는 상기 제2바늘-실 클램프(28)의 클램핑 플레이트(27)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 재봉 바늘(8)을 포함하는 바늘 바아(7)를 하사점으로부터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의 루우프 형성 스트로크 위치까지 상승시킴으로써 바늘-실 루우프(36)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승은 제1 및 제2바늘-실 클램프(14, 28)가 개방되어 바늘-실이 해방되고,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가 작동하고, 상기 실 인장 장치(24)가 상기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발생하는 상기 바늘-실 루우프(36)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바늘 바아(7)의 루우프 형성 스트로크 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바늘-실(9)이 비인장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는 상기 제1 및 제2바늘-실 클램프(14, 28)의 실 클램핑 위치의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비작동화 단계;상기 실 클램프(14, 28)의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비작동화 후, 상기 바늘-실(9)이 상기 실 레버(18)가 하강되었을 때 상기 실 레버(18) 및 제1바늘-실 클램프(14) 사이에서 단축되도록 상기 실 인장 위치 내의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실 인장 장치(24)를 이동시키는 단계;상기 제1 및 제2바늘-실 클램프(14, 18)의 실 방출 위치의 제어된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비작동화 단계; 및상기 실 인장 장치(24)를 중립 위치로 복귀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을 이용하여 봉합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인장 장치(24)는 제1루우프가 형성되었을 때 각 봉합부의 시작부에서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을 이용하여 봉합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동시적인 상기 실 클램프(14, 28)의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비작동화 이후에, 상기 실 인장 장치의 위치 변화를 위한 시간 차이는 상기 재봉틀(1)의 아암 샤프트(5)의 회전 속도에 무관하게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을 이용하여 봉합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인장 장치(24)는 동시적인 상기 실 클램프(14, 28)의 작동화 및 상기 바늘-실 주 인장 장치(21)의 비작동화 후 50 ms 경과시 상기 실 인장 위치(24)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을 이용하여 봉합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7039596.7 | 2007-08-22 | ||
DE102007039596A DE102007039596A1 (de) | 2007-08-22 | 2007-08-22 | 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m Nähen eines Nahtanfangs mit einer derartigen Nähmas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0495A KR20090020495A (ko) | 2009-02-26 |
KR101410571B1 true KR101410571B1 (ko) | 2014-06-23 |
Family
ID=4012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1354A KR101410571B1 (ko) | 2007-08-22 | 2008-08-20 | 재봉틀 및 이 형태의 재봉틀을 이용한 봉합 시작부의 재봉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028311B1 (ko) |
JP (1) | JP5508698B2 (ko) |
KR (1) | KR101410571B1 (ko) |
CN (1) | CN101372797B (ko) |
DE (1) | DE10200703959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74414B2 (ja) | 2007-10-05 | 2013-04-03 | Juki株式会社 | ミシンの糸張力制御装置 |
DE102009048794A1 (de) | 2009-10-08 | 2011-04-14 | CHEE SIANG INDUSTRIAL CO., LTD., Wugu | Fadenabziehvorrichtung beim Starten des Nähvorgangs für eine Nähmaschine mit der Möglichkeit zum automatischen Fadenschneiden |
CN102041645B (zh) * | 2009-10-21 | 2012-10-17 | 启翔针车(上海)有限公司 | 自动切线缝纫机的起缝拉线装置 |
IT1396822B1 (it) * | 2009-11-11 | 2012-12-14 | Chee Siang Ind Co Ltd | Dispositivo tirafilo agente all'avviamento del processo di cucitura per una macchina da cucire con la possibilità di taglio automatico del filo. |
CN102220676B (zh) * | 2010-04-19 | 2012-11-14 | 启翔针车(上海)有限公司 | 缝纫机的针线供应器装置 |
DE102010043906A1 (de) | 2010-11-15 | 2012-05-16 | Dürkopp Adler AG | 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m Nähen eines Nahtanfangs mit einer derartigen Nähmaschine |
DE102011005198A1 (de) | 2011-03-07 | 2012-09-13 | Dürkopp Adler AG | 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m Nähen eines Nahtanfangs mit einer derartigen Nähmaschine |
DE202012011059U1 (de) * | 2012-11-19 | 2014-02-20 | Dürkopp Adler AG | Nähmaschine |
DE102012221060B3 (de) | 2012-11-19 | 2014-02-06 | Dürkopp Adler AG | Nähmaschine |
DE102017201240A1 (de) | 2017-01-26 | 2018-07-26 | Dürkopp Adler AG |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Naht-Anfangsoberfadens einer in Nähgut auszubildenden Naht mit einem definierten Soll-Nahtüberstand sowie Nähmaschine zur Durchführung eines derartigen Verfahrens |
DE102017206499B3 (de) | 2017-04-18 | 2018-05-03 | Dürkopp Adler AG | Nähmaschine |
DE102022203472A1 (de) | 2022-04-07 | 2023-10-12 | Dürkopp Adler GmbH | Nähmaschin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34162A (ja) * | 1992-10-28 | 1994-05-17 | Juki Corp | ミシンの上糸供給制御装置 |
JPH06190173A (ja) * | 1992-12-24 | 1994-07-12 | Juki Corp | ミシンの縫い始め針糸抜け防止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54883A (en) * | 1970-05-14 | 1972-04-11 | Union Special Machine Co | Thread control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
DE2815297C2 (de) * | 1978-04-08 | 1983-01-13 | Dü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 Gesteuerte, im Bereich zwischen dem Fadenhebel u. dem Nadelöhr angeordnete, auf mindestens einen Nadelfaden einwirkende Fadenklemme einer Nähmaschine |
DE3604299A1 (de) * | 1985-04-16 | 1986-10-16 |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 Verfahren zum ziehen des freien fadenendes eines nadelfadens von der oberseite eines naehguts auf dessen unterseite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
DE4132991C1 (en) * | 1991-10-04 | 1992-12-03 | Duerkopp Adler Ag, 4800 Bielefeld, De | Producing seam having short thread ends on bottom of workpiece - involves drawing back needle thread from underside of workpiece so that only short thread piece remains on underside |
US5931107A (en) * | 1997-12-22 | 1999-08-03 |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 Advanced stitching head for making stitches in a textile article having variable thickness |
DE10234251C1 (de) | 2002-07-27 | 2003-10-09 | Duerkopp Adler Ag | Verfahren zum Ziehen des freien Fadenendes eines Nadelfadens von der Oberseite eines Nähgutteils auf dessen Unterseite und Näh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DE10344982A1 (de) * | 2003-09-27 | 2005-04-21 | Duerkopp Adler Ag | Fadenspann-Vorrichtung für eine Nähmaschine |
JP2008245731A (ja) | 2007-03-29 | 2008-10-16 | Juki Corp | ミシン |
DE102009048794A1 (de) * | 2009-10-08 | 2011-04-14 | CHEE SIANG INDUSTRIAL CO., LTD., Wugu | Fadenabziehvorrichtung beim Starten des Nähvorgangs für eine Nähmaschine mit der Möglichkeit zum automatischen Fadenschneiden |
-
2007
- 2007-08-22 DE DE102007039596A patent/DE102007039596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8
- 2008-08-06 EP EP08014040.3A patent/EP2028311B1/de not_active Ceased
- 2008-08-20 KR KR1020080081354A patent/KR10141057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08-21 JP JP2008212776A patent/JP5508698B2/ja active Active
- 2008-08-22 CN CN2008102133267A patent/CN10137279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34162A (ja) * | 1992-10-28 | 1994-05-17 | Juki Corp | ミシンの上糸供給制御装置 |
JPH06190173A (ja) * | 1992-12-24 | 1994-07-12 | Juki Corp | ミシンの縫い始め針糸抜け防止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028311A2 (de) | 2009-02-25 |
JP2009045468A (ja) | 2009-03-05 |
DE102007039596A1 (de) | 2009-02-26 |
JP5508698B2 (ja) | 2014-06-04 |
EP2028311B1 (de) | 2013-10-09 |
KR20090020495A (ko) | 2009-02-26 |
CN101372797A (zh) | 2009-02-25 |
CN101372797B (zh) | 2013-01-02 |
EP2028311A3 (de) | 2011-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0571B1 (ko) | 재봉틀 및 이 형태의 재봉틀을 이용한 봉합 시작부의 재봉방법 | |
JP5073272B2 (ja) | ミシン | |
JP6045392B2 (ja) | ミシン | |
JP4235435B2 (ja) |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 |
JP3175658U (ja) | ミシン | |
KR101862871B1 (ko) | 재봉틀 및 이러한 재봉틀을 이용하여 재봉 개시 부분을 재봉하기 위한 방법 | |
JP5544056B2 (ja) | 飾り縫いミシン | |
KR20090104763A (ko) |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 | |
KR102481545B1 (ko) | 정의된 공칭 초과 실 길이를 가지고 섬유 조각 내에서 꿰매어질 솔기의 솔기 시작 바늘 실을 생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유형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재봉틀 | |
JP5026231B2 (ja) | ミシンの上糸つかみ装置 | |
KR20030041791A (ko) | 단추구멍내기 재봉기 | |
JP4716176B2 (ja) | ミシン | |
JP3527835B2 (ja) | 二重環縫いミシンの縫目ほつれ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 |
JP4094867B2 (ja) | ミシン | |
US4934291A (en) | Needle thread supply device in two needle sewing machine with one needle pause function | |
CN108796855B (zh) | 产生具有目标线缝突出部的线缝起始顶线的组件和缝纫机 | |
JP4247097B2 (ja) | 鳩目穴かがりミシン | |
CN106498629B (zh) | 孔锁边缝纫机 | |
JP6099378B2 (ja) | ボタン付けミシン | |
CN105283596B (zh) | 具有至少一个双锁式针迹旋梭的刺绣机 | |
WO2005073448A1 (ja) | ミシン | |
JPH0999193A (ja) | ミシンの刺繍糸自動切断装置 | |
JP2004181134A (ja) | ミシンの糸繰り出し装置 | |
US13661A (en) | Improvement in sewing-machines | |
JPH03109095A (ja) | 糸切りミシ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