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736B1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736B1
KR101404736B1 KR1020070066798A KR20070066798A KR101404736B1 KR 101404736 B1 KR101404736 B1 KR 101404736B1 KR 1020070066798 A KR1020070066798 A KR 1020070066798A KR 20070066798 A KR20070066798 A KR 20070066798A KR 101404736 B1 KR101404736 B1 KR 10140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portion
mounting hole
elastic
clip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379A (ko
Inventor
야수유키 와카바야시
히로타츠 마츠오
키요타카 이토우
테츠타로 나카가와
유수케 아라이
나오키 아이자와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tud, pin or spigot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mponent to be fastened, e.g. forming part of the sheet, plate or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베이스부를 어떠한 방향으로든 당기는 것만으로 장착구멍으로부터 간단히 떼어낼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한다.
이 클립(10)은, 장착구멍(5)의 앞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는 베이스부(20)와, 장착구멍(5)의 뒤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는 걸림 다리(30)를 구비하고, 걸림 다리(30)는 스템부(40)와, 이 스템부(40)의 앞 끝 부분으로부터 닻 형상으로 연장되며, 이 앞 끝 부분에 장착구멍(5)의 뒤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는 결합부(51)가 설치된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을 가지고, 스템부(40)의 축심 C와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스템부(40)의 축 방향으로 봤을 때 어긋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20)를 강하게 당기면, 탄성 결합편(50)과 스템부(40)가 V자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스템부(40)가 활 형상으로 휘며 장착구멍(5)으로부터 서서히 빠져, 클립(10)을 비교적 간단하게 장착구멍(5)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패널 부재 등의 피(被) 장착 부재에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떼어낼 수도 있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체 패널 등의 피 장착 부재에는, 하네스나 커버 부재 등의 부품을 고정하기 위하여 클립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들 부품 및 클립은, 교환이나 리사이클 등을 위해 피 장착 부재로부터 떼어내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클립에 있어서, 특히 하네스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일본 실공 평1-19543호 공보에는, 벨트 형상의 기판과, 이 기판에 연결 설치된 걸림 다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다리는 기판 하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스템부(지지 다리)와, 이 스템부의 선단으로부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여 연장하는 한 쌍의 탄성 결합편(스프링편)과, 탄성 결합편의 선단을 외측으로 굴곡시켜 이루어지는 개방 앞 끝 부분을 가지는 클립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하네스를 기판 상면에 테이프 감기하여 고정한 후, 걸림 다리를 장착구멍에 삽입하면, 한 쌍의 탄성 결합 편이 장착구멍 주변 엣지에 결합하여 하네스가 차체 패널에 배설된다. 한편 탄성 결합편의 양단의 개방 앞 끝 부분을 집으면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이 내측으로 휘므로, 장착구멍으로부터 클립을 떼어낼 수 있음과 함께, 하네스를 차체 패널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9-217864호 공보에는, 벨트 형상의 기판과, 이 기판에 연결 설치된 대략 U자 형상의 걸림 다리를 구비하고, 이 걸림 다리는, 기판 하면으로부터 늘어뜨려 설치함과 동시에 그 도중에 얇은 부분을 가지는 한 쌍의 걸림편과, 각 걸림편을 연결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바닥판의 내면으로부터 지주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이 지주의 앞 끝 부분에 U자 형상의 록 오목부가 설치되고, 이 록 오목부에 대향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으로부터 록 돌출부가 형성된 클립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을 밀어 넣어 록 오목부에 록 돌출부를 결합시키면, 한 쌍의 걸림편이 얇은 부분을 통해 비스듬하게 변형한 상태로 록킹되고, 이 상태에서 기판 상면에 테이프 감기에 의해 하네스를 고정하고 걸림 다리를 차체 패널의 장착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비스듬하게 변형한 한 쌍의 걸림편이 장착구멍 주변 엣지에 결합하여 하네스가 차체 패널에 배설된다. 한편 하네스를 당겨 록 오목부로부터 록 돌출부를 빼내면, 한 쌍의 걸림편이 기판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탄성 변형하므로, 그 결과 장착구멍으로부터 걸림 다리를 뽑아내 클립을 떼어낼 수 있음과 함께, 차체 패널로부터 하네스를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일본 실공 평1-19543호 공보의 경우, 클립을 장착구멍으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각 걸림편의 양쪽 개방 앞 끝 부분을 집어 한 쌍의 걸림편을 서로 근접하도록 휘게 해야하므로, 번잡하고 수고스러워서 작업성에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특개평 9-217864호 공보의 경우, 걸림 다리의 내측에 설치된 록 오목부는 U자 형상을 이루고 상방이 개구하고 있으므로, 기초부(基部)를 장착구멍에 대하여 수직으로 당길 수 있으면 록 오목부로부터 록 돌출부를 비교적 용이하게 빼낼 수 있으나, 기초부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당겨진 경우에는 록 오목부로부터 록 돌출부를 빼내기 어렵게 되고, 큰 당기는 하중이 필요하게 되어, 클립을 떼어낼 때의 당기는 각도에 따라 떼어내는 작업의 작업성이 좌우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부를 당기는 것만으로 장착구멍으로부터 간단히 떼어낼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 장착 부재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고정되는 클립으로서, 상기 장착구멍의 앞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기 장착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상기 장착구멍의 뒤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는 걸림 다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림 다리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하나 또는 복수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지는 스템부 와, 이 스템부의 앞 끝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닻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이 닻 형상 부분의 앞 끝 부분에 상기 장착구멍의 뒤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설치된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스템부의 축심과,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이, 상기 스템부의 축 방향으로 봤을 때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 다리를 상기 장착구멍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탄성 결합편이 휘면서 상기 장착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장착구멍의 뒤쪽면 주변 엣지에 상기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가 결합하여 빠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클립을 피 장착 부재의 장착구멍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리나 폐기 처분 등의 이유로, 클립을 피 처리 부재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장착구멍의 앞쪽으로부터 베이스부를 강하게 당기면 된다. 즉 베이스부를 당기면, 스템부의 축심에 당기는 힘이 작용함과 함께, 장착구멍의 뒤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고 있는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에서는 빠짐 방지력이 작용한다. 그러면, 스템부의 축심과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이 스템부의 축 방향으로 봤을 때 어긋나 있으므로,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은 서로 근접하면서 그들 중간에 위치하는 장착구멍의 주변 엣지로 이동한다.
그 결과, 탄성 결합편과 스템부가 V자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스템부가 활 형상으로 휘며 장착구멍으로부터 서서히 빠져 간다. 그때, 탄성 결합편이 기울어져 그 결합부가 장착구멍의 주변 엣지에 비스듬하게 닿고, 빠짐 방지력이 결합부의 모서리 부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며, 이 모서리부가 탄성 결합편의 길이 방향 및 두 께 방향으로 변형하여 결합력이 없어져서, 스템부가 빠져나옴과 동시에 탄성 결합편도 빠져나와, 클립을 장착구멍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템부와 축심과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끼리를 연결하는 선이 스템부의 축 방향으로 봤을 때 어긋나 있음으로써, 베이스부를 통해 스템부를 당기는 것만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클립을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템부의 축심과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끼리를 연결하는 선이 어긋나 있음으로써, 베이스부를 통해 스템부를 어떠한 방향으로 당겨도, 스템부와 탄성 결합편이 V자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변형하여 뽑히므로, 당기는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떼어냄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스템부의 축심이라는 것은, 스템부 지름의 가장 축소된 부분을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에 있어서, 이 횡단면이 면적에 따른 무게를 가진다고 가정했을 때 중심이 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스템부가 복수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 기둥 형상편 지름의 가장 축소된 부분의 횡단면의 각각의 중심을 구하고, 그들 중심에 단면적에 따른 무게가 가해졌다고 생각했을 때, 그들의 밸런스가 잡히는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클립을 상기 장착구멍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스템부의 축심은 상기 장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고,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끼리를 연결하는 선은, 상기 장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스템부의 축심과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스템부에 대하여 걸림 다리를 보다 크게 어긋나게 하여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베이스부를 통해 스템부를 당겼을 때, 스템부와 탄성 결합편을 V자 형상으로 벌려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어, 떼어냄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에는, 상기 장착구멍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스템부 쪽으로 넓어지는 폭 확대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에 스템부 쪽으로 넓어지는 폭 확대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착구멍과의 결합면을 넓게 잡을 수 있어, 고정시에 빠짐 방지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결합편의 상기 폭 확대부는, 탄성 결합편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얇게 되어, 외주측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상기 스템부 쪽으로 넓어지는 폭 확대부가 얇게 형성되어 외주측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탄성 결합편을 휘게 했을 때, 스템부가 상기 폭 확대부의 뒤쪽으로 들어가서, 탄성 결합편을 보다 작게 오므릴 수 있다. 이 때문에, 걸림 다리의 길이가 짧아도 탄성 결합편의 휨 계수를 크게 할 수 있고, 필요한 휨 계수를 얻기 위하여 걸림 다리를 길게 할 필요가 없어져, 걸림 다리를 컴팩트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 확대부는, 클립을 떼어낼 시에,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가 기울어서 장착구멍의 주변 엣지에 비스듬하게 닿는 부분이 되므로, 응력 집중에 따라 변형하기 쉽게 되어, 클립을 뽑아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측이고 상기 탄성 결합편과는 반대측의 일측부에는,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점점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스템부의 기초부측이고, 탄성 결합편과는 반대측의 일측부에 베이스부를 향해 점점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립을 떼어내기 위하여 베이스부를 당겼을 때, 스템부의 상기 일측부가 장착구멍의 내부를 부드럽게 미끄러져 빠져나오므로, 떼어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측이고 상기 탄성 결합편측의 일측부에는, 상기 탄성 결합편측으로 돌출하는, 상기 장착구멍의 내경에 적합한 크기의 기초부측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스템부를 장착구멍에 삽입하면, 장착구멍의 내경에 적합한 크기의 리브가 장착구멍의 내부에 맞닿으므로, 스템부의 장착구멍 내에서의 이동을 규제하여, 클립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템부의 앞 끝 부분측이고 상기 탄성 결합편측의 일측부에는, 상기 탄성 결합편측을 향해, 상기 스템부의 앞 끝 부분을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선단측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초부측 리브와 상기 선단측 리브의 사이에 골짜기 형상의 절삭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베이스부를 당겨 스템부를 장착구멍으로부터 빼낼 때, 스템부가 상기 절삭부에서 굴곡하여 변형하기 쉽게 되므로, 클립을 장착구멍으로부 터 빼내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템부의 앞 끝 부분측이고 상기 탄성 결합편과는 반대측의 일측부에는, 상기 스템부의 앞 끝 부분측을 향해 점점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스템부의 앞 끝 부분측이고 탄성 결합편과 반대측의 일측부에는, 스템부의 앞 끝 부분측을 향해 점점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템부의 앞 끝 부분을 장착구멍으로부터 빼낼 때 장착구멍의 내주에 걸리기 어렵게 되어, 스템부를 장착구멍으로부터 부드럽게 빼낼 수 있다. 또한 걸림 다리부를 장착구멍에 삽입하여 클립을 고정할 때에도, 스템부의 앞 끝 부분이 장착구멍 내주에 걸리지 않으므로, 삽입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템부는 2개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기둥 형상편의 앞 끝 부분으로부터 상기 탄성 결합편이 하나씩, 양자 합쳐 닻 형상이 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스템부가 2개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지므로, 클립을 떼어낼 때 스템부가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장착구멍으로부터 클립의 걸림 다리를 빼내기 쉽게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에는 상기 2개의 기둥 형상편을 연결하는 연결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2개의 기둥 형상편의 기초부가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템부가 비틀리기 어렵게 되어, 사용시에 뽑아내는 하중을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템부는 하나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기둥 형상편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스템부의 도중이 두 갈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스템부의 도중이 두 갈래를 이루고 있으므로, 클립을 떼어낼 시에, 스템부가 두 갈래 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보다도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장착구멍으로부터 클립의 걸림 다리를 빼내기 쉽게 된다. 또한 스템부가 완전히 나뉜 2개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비교하면, 사용시에 뽑아내는 하중을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에는, 상기 두 갈래 형상을 이루는 기둥 형상편을 연결하는 연결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두 갈래 형상을 이루는 기둥 형상편의 기초부가 리브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템부가 비틀리기 어렵게 되어, 사용시에 뽑아내는 하중을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이 내측으로 휘었을 때, 이 탄성 결합편에 대하여 스템부측에 위치하고, 이 탄성 결합편이 스템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걸림 다리의 탄성 결합편이 내측으로 휘어 피 장착 부 재의 장착구멍에 결합한 상태에서, 탄성 결합편의 스템부측에 규제 리브가 배치되어 탄성 결합편이 스템부측으로 완전히 쓰러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클립을 떼어낼 때의 탄성 결합편의 변형 모드를 일정하게 하여, 뽑아내는 하중을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규제 리브의 상기 탄성 결합편에 대향하는 면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탄성 결합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클립을 떼어낼 시에, 탄성 결합편이 규제 리브에 맞닿아도, 규제 리브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변형하기 쉬워져, 클립을 떼어내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 결합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장착구멍의 내주에 딱 들어맞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의 양측면은, 그 간격이 상기 베이스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돌출부가 장착구멍의 내주에 딱 들어맞음으로써, 클립을 장착구멍에 대하여 덜컹거림 없이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돌출부의 양측면이 베이스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탄성 결합편이 내측으로 휘었을 때, 돌출부에 의해 규제되지 않고 충분히 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클립에 따르면, 스템부의 축심과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이, 스템부의 축 방향으로 봤을 때 어긋나 있으므로, 클립이 피 장착 부재의 장착구멍에 고정된 상태에서, 장착구멍의 앞쪽으로부터 베이스부를 강하게 당기면, 스템부의 축심에 작용한 당기는 힘과 결합부에 작용한 빠짐 방지력에 의해,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이 서로 근접하면서 장착구멍의 주변 엣지를 이동한다. 그 결과, 탄성 결합편과 스템부가 V자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스템부가 활 형상으로 휘며 장착구멍으로부터 서서히 빠져 가고, 스템부가 빠져나감과 동시에 탄성 결합편도 빼내어져, 클립을 장착구멍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를 통해 스템부를 당기는 것만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클립을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템부의 축심과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끼리를 연결하는 선이 어긋나 있음으로써, 베이스부를 통해 스템부를 어떠한 방향으로 당겨도, 스템부와 탄성 결합편이 V자 형상으로 열리면서 변형하여 뽑아 내어지므로, 당김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떼어내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립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클립(10)은, 예를 들면 복수의 전선을 묶어서 이루어지는 하네스 H를 자동차의 패널 부재 등의 피 장착 부재(1)에 장착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것으로서, 하네스 H를 유지하고, 피 장착 부재(1)에 형성된 장착구 멍(5)의 앞쪽 주변 엣지에 맞닿는 베이스부(20)와, 이 베이스부(20)로부터 연장 돌출됨과 함께, 장착구멍(5)에 삽입되며, 그 뒤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는 걸림 다리(30)를 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클립(10)은, 하네스 H를 피 장착 부재(1)에 장착하기 위한 것인데, 예를 들면 내장 부재(가니쉬(garnish)나 트림보드(trim board) 등)를 자동차의 패널 부재 등의 피 장착 부재에 고정하거나, 복수의 패널 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클립(10)은, 피 장착 부재에 고정하려고 하는 부품, 예를 들면 선바이저 홀더나 훅 등의 부품에 일체 형성해도 무방하다.
도 2(a), (b)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하네스 H를 죄어 고정하는 베이스부(20)는, 밴드 삽입로(22)가 형성된 틀 형상의 록(lock) 부(21)와, 이 록 부(21)의 상면측의 일측부의 끝 부분 엣지로부터 연장 돌출된 밴드부(23)와, 상기 록 부(21) 상면의 일측부에, コ자 형상의 슬릿(24;도 1 참조)을 통해 하방으로 굴곡함과 함께 휠 수 있게 형성된 록 돌기(25)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밴드부(23)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결합홈(23a)이 길이 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록 돌기(25)의 하면측에 복수의 결합 돌기(25a)가 설치되어 있어, 밴드부(23)를 밴드 삽입로(22) 내로 삽입해 가면, 결합 돌기(25a)가 결합홈(23a)에 각각 결합하고, 록 돌기(25)가 밴드부(23)에 단계적으로 결합하게 되어 있다(도 6(b), 도 7(b), 도 8(b) 참조). 이에 따라 하네스 H를 밴드부(23)로 죄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네스 H를 베이스부(20)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이 양태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형상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20a)를 설치하고, 이 베이스부(20a)에 하네스 H를 올려 높고 테이프 T에 의해 감는, 소위 테이프 감기 방법에 의해 하네스 H를 고정해도 무방하다. 또한 테이프 감기 방법에 이용되는 베이스부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자 형상을 이룬 베이스부(20b)로 해도 무방하고, 하네스 H의 배설 위치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록 부(21)의 하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부(27)의 축심을 부호 M2로 나타낸다(도 3 및 도 5 참조). 축부(27)의 외주에는, 비스듬한 하방을 향해 스커트 형상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28)가 연결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28)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 장착 부재(1)의 장착구멍(5)의 앞쪽 주변 엣지에 탄성적으로 맞닿아, 클립(10)의 덜컹거림 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28)는, 이 실시 형태와 같이 피 장착 부재(1)의 장착구멍(5)의 앞쪽 주변 엣지에 직접적으로 맞닿는 경우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피 장착 부재(1)의 상면에 트림 부재 등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 트림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장착구멍(5)의 앞쪽 주변 엣지에 맞닿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축부(27)의 하방에는, 그 축심(M2)에 대하여 기운 위치로부터 연장 돌출된 1개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지는 스템부(40)와, 이 스템부(40)의 앞 끝 부분으로부터 상기 축심(M2)에 대하여 상기 스템부(40)와는 반대 방향으로 기운 위치로부터 닻 형상으로 연장 돌출된,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으로 이루어지는 걸 림 다리(30)가 설치되어 있다.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지는 스템부(40)는, 상기 베이스부(20)의 축부(27)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 돌출하고 있다. 이 스템부(40)의 축심 C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27)의 축심 M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기울어져 있다. 또한 클립(10)을 고정한 상태에서, 축부(27)의 축심 M2는, 장착구멍(5)의 중심 M1에 대하여 같은 위치가 되므로, 스템부(40)의 축심 C은 장착구멍(5)의 중심 M1에 대하여 기운 상태로 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에서의 스템부(40)의 축심 C라는 것은, 스템부(40)의 지름이 가장 축소된 부분을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의 중심이 되는 위치, 예를 들면 이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도 4에서의 E-E' 화살표 선을 따른 단면의 중심이 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횡단면의 중심이라는 것은, 상기 횡단면이 면적에 따른 무게를 가진다고 가정했을 때, 그 중심이 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스템부(4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기초부측이 두껍게 형성되고, 축 방향의 도중에, 앞 끝 부분측을 향해 점차 얇아지는 사면(斜面;41, 41)이 형성되고, 이 사면(41, 41)보다 앞 끝 부분측은 기초부측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어, 기초부측에서 강성을 높여 장착구멍(5)에 강고하게 장착 가능하게 하는 한편, 스템부(40)가 장착구멍(5)으로부터 빼내어질 때에 앞 끝 부분측을 변형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봤을 때, 스템부(40)의 상기 사면(41)보다도 상방의 기초부측이고, 탄성 결합편(50)과는 반대측의 일측부에는, 상 기 베이스부(20)를 향해 점점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제1 테이퍼면(43)이 형성되어 있어, 스템부(40)을 장착구멍(5)으로부터 빼내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스템부(40)의 상기 사면(41)보다도 하방의 앞 끝 부분측이고, 탄성 결합편(50)과는 반대측의 일측부에는, 스템부(40)의 앞 끝 부분측을 향해 점점 지름이 축소되는 제2 테이퍼면(44)이 형성되어 있어, 스템부(40)를 장착구멍(5)으로부터 빼낼 때 장착구멍(5)의 내주로의 걸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장착구멍(5)으로 스템부(40)를 삽입하기 쉽게 하고 있다.
스템부(40)의 기초부측이고, 탄성 결합편(50) 측의 일측부에는, 스템부(40)가 장착구멍(5)에 삽입될 때, 스템부(40)의 장착구멍(5) 내에서의 이동을 규제해야만 하여, 장착구멍(5)의 내경에 딱 들어맞는 크기로, 탄성 결합편(50)이 기운 방향을 향해 기초부측 리브(4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초부측 리브(45)의 돌출 설치 방향의 외측면은, 피 장착 부재(1)의 판 두께 변화에 대해 대응하여 일정 폭으로 연장한 후, 스템부(40)를 향해 비스듬하게 움푹 꺼지는 경사면(45a)이 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스템부(40)의 앞 끝 부분측이고, 탄성 결합편(50) 측의 일측부에는, 스템부(40)의 앞 끝 부분을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선단측 리브(46)가, 탄성 결합편(50)이 기운 방향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단측 리브(46) 및 상기 기초부측 리브(45)에 의해, 각 리브(45, 46)의 사이에, 골짜기 형상의 절삭부(47)가 형성되게 되어, 장착구멍(5)으로부터 스템부(40)를 빼낼 때 스템부(40)를 변형하기 쉽게 하고 있다.
상기 스템부(40)의 앞 끝 부분의 일측부에는, 스템부(40)의 축심 C(도 3, 도 5 참조)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로부터,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 탄성 결합편(50, 50)은, 상기 베이스부(20)를 향해 닻 형상으로 넓어져 연장되어 있고, 그 앞 끝 부분의 외측면에는, 하측 끝 부분(52) 및 상측 끝 부분(53)을 가지는 단 형상을 이룬 결합부(5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 장착 부재(1)가 얇은 경우에는 상측 끝 부분(53)이 장착구멍(5)에 결합하고, 또한 피 장착 부재(1)가 두꺼운 경우에는 하측 끝 부분(52)이 장착구멍(5)에 결합함으로써(도 5 참조), 피 장착 부재(1)의 판 두께에 대응하여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탄성 결합편(50)의 상기 결합부(51)가 설치된 부분에는, 장착구멍(5)의 둘레 방향을 따라 스템부(40) 측을 향해 연장 돌출된 폭 확대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폭 확대부(57)의 외주면에도 상기 끝 부분(52, 53)이 형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장착구멍(5)의 뒤쪽면 주변 엣지에 넓은 면적으로 결합하여 빠짐 방지력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폭 확대부(57)는 탄성 결합편(50)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얇게 되어, 외주측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폭 확대부(5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부(40)에 겹치는 위치에 있고, 탄성 결합편(50)을 내측으로 휘게 했을 때 스템부(40)가 얇게 된 폭 확대부(57)의 뒤쪽으로 들어가므로, 탄성 결합편을 보다 작게 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클립(10)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부(40)의 축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상기 스템부(40)의 축심 C와,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템부(40)의 축심 C은 장착구멍(5)의 중심 M1에 대하여 기울어 있는 것에 대해, 각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은 장착구멍(5)의 중심 M1에 대하여 상기 스템부(40)의 축심 C와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클립(10)을 이용하여, 차체 패널 등의 피 장착 부재(1)에 대하여 하네스 H를 소정 장소에 배설시키는 순서, 및 장착구멍(5)으로부터 클립(10)을 떼어내는 순서에 대하여, 도 5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밴드부(23)를 결합홈(23a)이 설치된 측면을 내측으로 하여 하네스 H의 외주에 감고, 그 앞 끝 부분을 밴드 삽입로(22) 내로 삽입하고 반대측으로부터 끌어냄에 따라, 밴드부(23)의 결합홈(23a)에 록 돌기(25)의 결합 돌기(25a)가 결합하여, 하네스 H를 죄어 고정한다(도 5 참조).
그 상태에서 걸림 다리(30)를 피 장착 부재(1)의 장착구멍(5)에 앞쪽으로부터 삽입해 가면,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이 장착구멍(5)의 내주로 눌려서 내측으로 휘어 가고, 피 장착 부재(1)의 두께에 따라, 결합부(51)의 하측 끝 부분(52) 또는 상측 끝 부분(53)이 장착구멍(5)의 뒤쪽 주변 엣지에 결합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끝 부분(52)이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장착구멍(5)의 앞쪽 주변 엣지에는 플랜지부(28)가 탄성적으로 맞닿고, 걸림 다리(30)와의 사이에서 피 장착 부재(1)를 끼워둔다. 이렇게 하여 걸림 다리(30)가 장착구멍(5)에 빠짐 방지 고정되어, 클립(10)을 통해 하네스 H를 피 장착 부재(1)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이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51)의 일측부로부터 장착구멍(5)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폭 확대부(57)가 연장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착구멍(5)과의 결합 면적을 넓게 잡을 수 있고, 클립(10)을 장착구멍(5)에 대하여 확실히 고정하여 빠짐 방지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템부(40)의 기초부측이고 탄성 결합편(50) 측의 일측부에는, 장착구멍(5)의 내경에 딱 들어맞는 크기로 기초부측 리브(45)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기초부측 리브(45)가 장착구멍(5)의 내주에 맞닿도록 되어 있으므로, 스템부(40)의 장착구멍(5) 내에서의 이동을 규제하여 클립(10)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품의 수리나 폐기 처분 등에 수반되는 리사이클, 또한 하네스 H의 교환 등의 각종 이유에 의해 하네스 H 및 클립(10)을 피 장착 부재(1)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하네스 H를 쥐고, 하네스 H를 피 장착 부재(1)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 즉 도 5의 상태에서는 상방으로, 소정 하중 이상의 힘으로 당기면 된다.
이에 따라 밴드부(23)를 통해 베이스부(20)가 당겨지고, 그에 수반하여 스템부(40)에는 장착구멍(5)에 대한 뽑아내는 힘이 작용한다. 한편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은, 그들의 결합부(51)가 장착구멍(5)의 뒤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고 있으므로, 장착구멍(5)에 대한 빠짐 방지력을 부여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템부(40)의 축심 C와 각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스템부(40) 의 축 방향으로 봤을 때 어긋나 있으므로, 상기 뽑아내는 힘과 상기 빠짐 방지력이 어긋나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스템부(40)를 당기면,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구멍(5)의 주변 엣지를 따라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하고, 스템부(40)는 도 6(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스템부(40)의 기초부측에는 제1 테이퍼면(4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템부(40)가 장착구멍(5)의 내주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빠지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한 도 6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스템부(40)를 더욱 잡아당기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이 더욱 근접하도록 이동함과 동시에, 도 7(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부(40)의 절삭부(47) 부분이 장착구멍(5) 내주에 도달하고, 스템부(40)가 절삭부(47) 부분에서 굴곡하여 활 형상으로 휘도록 변형하며,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구멍(5)으로부터 서서히 빠지기 시작한다. 그 결과,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이 비스듬하게 경사지고, 그 결합부(51)의 하측 끝 부분(52)이 장착구멍(5)의 주변 엣지에 비스듬하게 맞닿아, 빠짐 방지력이 하측 끝 부분(52)의 모서리부에 집중한다.
상기 상태로부터 더욱 스템부(40)를 당기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은 더욱 근접하도록 장착구멍(5)의 주변 엣지를 이동하고, 내측으로 작게 오므라들며, 그와 함께 도 8(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부(40)가 활 형상으로 크게 휘도록 변형하여 장착구멍(5)으로부터 빠져나간다. 그 결과,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이 더욱 크게 비스듬하게 기울고, 그 결합부(51)의 하측 끝 부분(52)의 모서리부에 대한, 빠짐 방지력에 따른 응력 집중이 커져서, 하측 끝 부분(52)의 모서리부가 탄성 결합편(50)의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변형하여 빠짐 방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스템부(40)를 당기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부(40)가 장착구멍(5)으로부터 빠져나옴과 동시에, 탄성 결합편(50)도 빠져 나와, 클립(10)을 장착구멍(5)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이 클립(10)에서는, 스템부(40) 앞 끝 부분의 탄성 결합편(50)과는 반대측의 측부에 제2 테이퍼면(44)을 설치했으므로, 스템부(40)를 장착구멍(5)으로부터 빼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클립(10)에서는, 스템부(40)의 축심 C와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스템부(40)의 축 방향으로 봤을 때 어긋나 있음에 따라, 베이스부(20)를 통해 스템부(40)를 당기는 것만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클립(10)을 장착구멍(5)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부(20)를 통해 스템부(40)를 어떠한 방향으로 당겨도, 스템부(40)의 축심 C와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어긋나 있음에 따라, 스템부(40)와 탄성 결합편(50)이 V자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변형하여 뽑히므로, 당김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떼어내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스템부(40)와 탄성 결합편(50)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폭 확대부(57)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 이, 탄성 결합편(50)의 폭 확대부(57)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얇고, 또한 외주측으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탄성 결합편(50, 50)을 휘게 했을 때, 스템부(40)가 상기 폭 확대부(57)의 뒤쪽으로 들어가서 탄성 결합편(50, 50)을 보다 작게 오므릴 수 있다. 따라서 걸림 다리(30)의 길이가 짧아도 탄성 결합편(50)의 휨 계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휨 계수를 얻기 위하여 걸림 다리를 길게 할 필요가 없어져, 걸림 다리(30)의 컴팩트화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 폭 확대부(57)는, 클립을 떼어낼 때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의 결합부(51)가 기울어 장착구멍(5)의 주변 엣지에 비스듬하게 닿는 부분이 되므로, 응력 집중에 의해 변형되기 쉽게 되어, 클립(10)을 용이하게 뽑아내는 효과를 가지고 온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클립의 제2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의 클립(10a)은, 상기 실시 형태의 클립(10)에 대하여 스템부(40)와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위치 관계가 다르다. 즉, 이 실시 형태의 클립(10a)에서는, 클립(10a)을 장착구멍(5)에 고정한 상태에서, 스템부(40)의 축심 C는 장착구멍(5)의 중심 M1과 동일 위치가 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은, 스템부(40)의 축심 C에 대하여 한 방향으로 기울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2(c) 참조). 또한 스템부(40) 기초부측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기초부측 리브(45, 45)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점도 상기 실시 형태와 다르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클립(10a)에서도, 스템부(40)의 축심 C와 탄성 결합 편(50 ,50)의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어긋나 있으므로, 베이스부(20)를 통해 스템부(40)를 당김으로써, 스템부(40)와 탄성 결합편(50)이 V자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변형하여 뽑혀, 클립(10a)을 장착구멍(5)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클립(10a)이 장착구멍(5)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스템부(40)의 축심 C는 장착구멍(5)의 중심 M1과 동일 위치가 되므로, 장착구멍(5)에 대하여 스템부(40)가 기우는 것을 억제하여, 클립(10a)을 안정적인 자세로 장착구멍(5)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클립의 제3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의 클립(10b)은, 상술한 클립(10, 10a)에 대하여 스템부(40)와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위치 관계가 다르다. 즉, 이 실시 형태의 클립(10b)에서는, 클립(10b)을 장착구멍(5)에 고정한 상태에서, 스템부(40)의 축심 C는 장착구멍(5)의 중심 M1에 대하여 기울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결합부(51, 51)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은, 장착구멍(5)의 중심 M1과 동일 위치가 됨과 함께, 상기 스템부(40)의 축심 C에 대하여 한 방향으로 기울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3(c) 참조).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클립(10b)에서도, 스템부(40)의 축심 C와 탄성 결합편(50 ,50)의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어긋나 있으므로, 베이스부(20)를 통해 스템부(40)를 당기면, 스템부(40)와 탄성 결합편(50)이 V자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변형하여 뽑혀, 클립(10b)을 장착구멍(5)으로부터 용이하게 떼 어낼 수 있다. 또한 클립(10b)이 장착구멍(5)에 고정된 상태에서,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각 결합부(51)가, 장착구멍(5)의 대향하는 주변 엣지에 균형있게 결합하여 클립(10b)을 장착구멍(5)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4 내지 26에는 본 발명의 클립의 제4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의 클립(10c)은, 상기 제1 내지 3 실시 형태의 클립이 둥근 구멍 형상의 장착구멍(5)에 고정되는 것에 대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구멍 형상의 장착구멍(5a)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클립(10c)은, 긴 구멍 형상을 이룬 장착구멍(5a)에 딱 들어맞도록, 넓은 폭의 걸림 다리(30)를 가지고 있다.
도 14 내지 1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네스 H를 조여 고정하는 베이스부(20)의 록 부(21)의 하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긴 작은판 형상을 이루는 축부(27)가 연장 설치되고, 또한 이 축부(27)의 외주에, 평면 방향으로부터 보아 작은판 형상을 이루는 플랜지부(28)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27)의 하면으로부터, 전체적으로 1개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실시예보다도 폭이 넓은 스템부(40a)가 소정 길이로 연장 돌출하고, 이 스템부(40a)의 앞 끝 부분으로부터 닻 형상으로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이 연장하여, 넓은 폭의 걸림 다리(4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 결합편(50)의 앞 끝 부분에는, 3개의 끝 부분(52, 53, 54)을 가지는 결합부(51)가 설치되고(도 15 참조), 피 장착 부재(1)의 판 두께 대응하여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폭이 넓은 스템부(40a)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지는데,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구멍(61)에 의해 도중이 2 갈래 형상으로 나뉘어 2개의 기둥 형상부(60, 60)를 이루고 있다. 이 관통구멍(61)은,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각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도 18 참조)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템부(40a)를 관통하고 있다.
2개의 기둥 형상부(60, 60)는, 탄성 결합편(50, 50)의 각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상기 선 L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들 앞 끝 부분은 연결부(69)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그들 기초부는 비교적 얇은 연결 리브(6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 리브(63)의 면은, 좌우의 기둥 형상부(60, 60)에 의해 오목부(62)를 이루고 있다(도 16(b) 참조). 또한 기둥 형상부(60, 60)는, 기초부측으로 향할수록 서로의 간격을 좁혀 ハ자형을 이루고 있다.
스템부(40a)의 기초부에는, 기둥 형상부(60, 60)의 기초부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규제 리브(65, 65)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 리브(65, 65)의 외측 끝 부분 엣지는 스템부(40a)의 기초부를 향할수록 외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경사면(65a)을 이루고 있다. 이 경사면(65a)에 의해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리브(65)의 외측면과 탄성 결합편(50)의 내측면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게 되어, 스템부(40a) 및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성형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각 규제 리브(65)의 기초부측의, 탄성 결합편(50)과는 반대측의 둘 레(65b)는(도 18 참조), 장착구멍(5a)의 내주 형상에 대응하여 원호 형상으로 커브하고 있고, 클립(10c)을 장착구멍(5a)에 고정했을 때의 덜컹거림을 억제하는 부분이 된다.
또한 각 규제 리브(65)의 상기 둘레(65b)와 반대측 면은 비교적 편평한 면을 이루고 있어, 탄성 결합편(50)이 내측으로 휘었을 때 탄성 결합편(50)의 휨을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탄성 결합편(50)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 탄성 결합편(50)이 스템부(40a) 측으로 완전히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규제벽(65c)이 된다. 이 규제벽(65c)은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0)로부터 멀어질수록, 탄성 결합편(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면, 스템부(40a)의 기초부의 탄성 결합편(50) 측에는,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기둥 형상부(60, 60)의 기초부가 탄성 결합편(50) 측으로 돌출한 돌출편(67, 67)으로 구성된 돌출부(66)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편(67, 67)은, 기둥 형상부(60, 60)와 마찬가지로, 기초부측으로 향할수록 서로의 간격을 좁혀 ハ자형을 이루고, 도 17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결합편(50, 50)이 내측으로 휘었을 때에 간섭하지 않고 충분히 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돌출부(66)의 돌출편(67, 67)은 걸림 다리(30)를 장착구멍(5a)로 삽입했을 때, 장착구멍(5a)의 내주에 딱 들어맞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a)를 함께 참조하면, 각 돌출편(67)은, 기둥 형상부(60, 60)의 기끝 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그 돌출 방향측 단면은, 스템 부(40a)의 앞 끝 부분을 향해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완만한 경사면(67a)을 이루고 있다. 이 경사면(67a)에 의해, 장착구멍(5a)로부터 스템부(40a)를 뽑아낼 때, 장착구멍(5a)의 내주에 걸리지 않고 빼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돌출편(67)의 스템부(40a)의 선단측에는, 상기 스템부(40a) 측을 향하는 급경사면(67b)을 사이에 두고 절삭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절삭부(47)의 스템부(40a)의 선단측은, 선단측 리브(46)를 통해 연결부(69)에 연결되어 있다. 이 선단측 리브(46)는 그 배면측이 상기 기둥 형상부(60)의 앞 끝 부분과 일체화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스템부(40a)의 축심 C는, 도 18,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부(40a) 지름의 가장 축소된 부분을 축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자른 횡단면, 즉 도 18의 F-F' 화살표 선을 따른 단면의 중심이 되는 위치이다. 이 경우 F-F' 화살표 선을 따른 단면은, 2개의 기둥 형상부(60, 60)에 의해 2개로 나뉜 단면이 되는데, 이 경우의 중심이라는 것은, 2개의 단면의 각각의 중심을 구하고, 그들 중심에 단면적에 따른 무게가 가해졌다고 생각했을 때, 그들의 균형이 잡히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축심 C는 축부(27)의 축심 M2(장착구멍(5a)의 중심과 일치함)에 대하여, 탄성 결합편(50)과는 반대측으로 어긋난 위치가 된다. 이 때문에, 스템부(40a)의 축심 C와 각 탄성 결합편(50)의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축 방향으로 봤을 때 어긋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돌출부(66)와 선단측 리브(46)의 사이는, 절 삭부(47)에 의해 공극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 부분을 도 15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돌출편(67) 및 선단측 리브(46)보다도 얇은 박막 형상편(68)으로 연결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박막 형상편(68)을 설치한 경우에는, 스템부(40a)의 강성을 높이고, 클립(10c)의 뽑아내는 하중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뽑아내는 하중을 초과하여 클립(10c)을 당김으로써, 상기 박막 형상편(68)이 파괴되고 스템부(40a)의 변형이 시작되므로, 클립(10c)을 장착구멍(5a)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박막 형상편(68)은, 도 1 내지 1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클립(10)이나, 도 13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의 클립(10b)의 절삭부(47)에 설치할 수 있고(모두 기초부측 리브(45)와 선단측 리브(46)의 사이에 형성함), 후술하는 제5 실시 형태의 클립(10d)의 절삭부(47)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스템부 지름의 가장 축소된 부분이라는 것은, 스템부의 횡단면적의 가장 작아지는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이 절삭부에 박막 형상편을 설치한 경우에도, 그 부분의 횡단면적이 가장 작으면 가장 지름이 축소된 부분이 된다.
이상 설명한 클립(10c)을 이용하여 피 장착 부재(1)에 하네스 H를 장착할 때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밴드부(23)에 의해 하네스 H를 죄어 고정한 후, 넓은 폭으로 형성된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을 긴 구멍 형상의 장착구멍(5a)의 길이 방향을 향해, 걸림 다리(30)를 장착구멍(5a)에 삽입한다. 그에 따라,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구멍 형상의 장착구멍(5a)의 원호 형상을 이룬 양끝 부분의 뒤쪽 주변 엣지에, 피 장착 부재(1)의 두께에 따라, 결합부(51)의 어느 끝 부분(52, 53, 54;도 20에서는 끝 부분(54))이 결합함과 함께, 장착구멍(5a) 의 앞쪽 주변 엣지에 플랜지부(28)가 탄성적으로 맞닿아, 클립(10c)을 통해 하네스 H를 피 장착 부재(1)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긴 구멍 형상의 장착구멍(5a)에 넓은 폭의 걸림 다리(30)가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클립(10c)의 회전 방지를 도모할 수 있어, 하네스 H를 소정의 방향으로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클립(10c)은, 스템부(40a)의 기초부에서, 2갈래 형상을 이루는 기둥 형상부(61)가 연결 리브(63)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템부(40)가 비틀리기 어렵게 되어, 사용시에 뽑아내는 하중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템부(40)의 기초부에 형성된 돌출부(66)와 각 규제 리브(65)의 둘레(65b;도 18 참조)가, 장착구멍(5a)의 내주에 딱 들어맞으므로, 클립(10c)을 장착구멍(5a)에 대하여 덜컹거림 없이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네스 H 및 클립(10)을 피 장착 부재(1)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네스 H를 쥐고 하네스 H를 피 장착 부재(1)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소정 하중 이상의 힘으로 당기면 된다. 그러면,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스템부(40a) 및 탄성 결합편(50)이 변형하고 클립(10c)을 장착구멍(5a)로부터 빼낼 수 있다.
즉, 스템부(40a)의 축심 C와 각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스템부(40a)의 축 방향으로 봤을 때 어긋나 있으므로, 베이스부(20)를 통해 스템부(40a)를 당기면, 스템부(40a)에 작용하는 뽑아내는 힘과,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에 의한 빠짐 방지력이 어긋나 작용하여,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구멍(5a)의 양끝 부분에 결합한 탄성 결합편(50, 50)이, 그 주변 엣지를 따라 서 로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스템부(40a)를 당기면, 도 22(a)에 도시한 피 장착 상태로부터,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결합편(50, 50)이 이동하여 스템부(40a)에 대하여 V자 형상으로 벌어져 간다. 또한 스템부(40a)의 기둥 형상편(60)이 절삭부(47)의 부분에서 활 형상으로 휘도록 변형하고, 탄성 결합편(50, 50)이 비스듬하게 기울어 간다. 또한 탄성 결합편(50, 50)이 기울임으로써, 끝 부분(54)의 결합면도 피 장착 부재(1)의 설치면에 대하여 기울어 간다.
그리고 스템부(40a)를 더욱 당겨 올리면, 도 2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결합편(50, 50)이 스템부(40a)에 대하여 더욱 크게 V자 형상으로 벌어지고, 끝 부분(54)의 결합면의 경사가 커지는 결과, 끝 부분(54)의 모서리부가 장착구멍(5a)의 내주에 깎여 결합력을 소실하여, 걸림 다리(30)를 장착구멍(5a)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한 돌출부(66)의 양측면은, 그 간격이 베이스부(20)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휨 량이 규제되지 않고, 충분히 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클립(10c)에서는, 스템부(40a)에 관통구멍(61)이 형성되고, 스템부(40a)의 도중이 두 갈래를 이루고 있으므로, 스템부가 두 갈래로 되어 있지 않은 것보다도 강성이 낮아, 용이하게 변형한다. 이 때문에, 스템부(40a)를 어떠한 방향으로 당겨도 장착구멍(5a)로부터 걸림 다리(30)를 간단히 빼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3 내지 26은, 피 장착 부재(1)에 대하여 각 종 당김 각도에서 하네스 H를 당긴 경우의 걸림 다리(30)의 변형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에는, 클립(10c)을 피 장착 부재(1)에 대하여,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의 일방으로 기운 방향, 즉 도면 중의 왼쪽 비스듬한 상방으로 당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향으로 클립(10c)이 당겨지면, 두 갈래를 이루는 한 쌍의 기둥 형상부(60, 60)에 변형력이 작용하여, 우측의 기둥 형상부(60)가 좌측으로 구부러지도록 크게 변형한다. 그 결과, 우측의 탄성 결합편(50)과 스템부(40a)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플랜지부(28)의 우측변이 장착구멍(5)으로부터 떠오르므로, 탄성 결합편(50)이 장착구멍(5a)의 내부 주변 엣지를 따라 이동하기 쉽게 되어, 걸림 다리(30)를 상기와 같이 변형시켜 뽑아낼 수 있다.
도 24에는, 클립(10c)을 피 장착 부재(1)에 대하여, 상기한 도 23에 도시한 경우와는 반대측, 즉 도면 중의 오른쪽 비스듬한 상방으로 당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향으로 클립(10c)이 당겨지면, 도 23과는 역으로, 좌측의 기둥 형상부(60)가 우측으로 크게 구부러져 변형하고, 스템부(40a)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플랜지부(28)의 좌측변이 장착구멍(5)으로부터 떠오르므로, 탄성 결합편(50)이 장착구멍(5a)의 내부 주변 엣지를 따라 이동하기 쉽게 되어, 걸림 다리(30)를 상기와 같이 변형시켜 뽑아낼 수 있다.
도 25에는, 클립(10c)을 피 장착 부재(1)에 대하여, 장착구멍(5a)의 짧은 직경 방향이고, 탄성 결합편(50) 측으로 기운 방향, 즉 도면 중의 오른쪽 비스듬한 상방으로 당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향으로 스템부(40a)가 당겨지면, 스 템부(40a)가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 탄성 결합편(50)이 장착구멍(5a)의 내부 주변 엣지를 따라 이동하고, 스템부(40a)가 장착구멍(5a)의 내부 주변 엣지에 의해 눌려 활 형상으로 휘도록 서서히 변형하므로, 걸림 다리(30)를 상기와 같이 변형시켜 뽑아낼 수 있다.
도 26(a), (b)에는, 클립(10c)을 피 장착 부재(1)에 대하여, 상기 도 24와는 반대측, 즉 도면 중의 왼쪽 비스듬한 상방으로 당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향으로 클립(10c)이 당겨지면,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구멍(5a)의 내부 주변 엣지에 스템부(40a)의 기초부가 맞닿고, 이 장착구멍(5a)의 내부 주변 엣지에 의해 강하게 눌려,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부(40a)가 활 형상으로 휘도록 용이하게 변형한다. 그와 함께,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이 스템부(40a) 측으로 서서히 이동하여 규제 리브(65)에 맞닿고, 더욱 스템부(40a)가 당겨짐에 따라, 걸림 다리(30) 전체를 장착구멍(5a)로부터 간단히 뽑아낼 수 있다.
또한 스템부(40a) 측으로 이동한 한 쌍의 탄성 결합편(50, 50)은, 상기와 같이 규제 리브(65)에 맞닿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 탄성 결합편(50)이 스템부(40a) 측으로 크게 쓰러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클립을 떼어낼 때의 탄성 결합편(50)의 변형 모드를 일정하게 하여, 뽑아내는 하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27 내지 29에는, 본 발명의 클립의 제5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의 클립(10d)은,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클립(10c)과 마찬가지로 긴 구멍 형상의 장착구멍(5a)에 고정되는 것으로, 폭이 넓은 걸림 다리(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클립(10d)에서, 상기 실시 형태의 클립과 가장 크게 다른 부분은, 스템부(40b)의 기둥 형상부(60, 60)가 그들의 앞 끝 부분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고, 2개의 기둥 형상편(60a, 60a)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다. 다른 부분은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클립(10c)과 기본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7 및 도 28(a), (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은판 형상의 축부(27)의 하면으로부터, 스템부(40b)를 이루는 2개의 기둥 형상편(60a, 60a)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이 되도록 연장 돌출하고 있고, 각 기둥 형상편(60a, 60a)의 앞 끝 부분으로부터 탄성 결합편(50, 50)이 하나씩, 양자 합쳐 닻 형상이 되도록 베이스부(20)를 향해 연장하고 있다. 즉, 각 기둥 형상편(60a, 60a)의 사이에는,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클립(10c)과 같이, 양자의 기초부측을 연결하는 연결 리브(63)나, 양자의 앞 끝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69)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그 결과 각 기둥 형상편(60a, 60a)은 각각 독립하여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스템부(40a)의 축심 C는 도 28(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부(40a) 지름의 가장 축소된 부분을 축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자른 횡단면, 즉 도 28(b)의 G-G' 화살표 선을 따른 단면의 중심이 되는 위치이다. 이 경우 G-G' 화살표 선을 따른 단면은, 2개의 기둥 형상편(60a, 60a)에 의해 2개로 나뉜 단면이 되는데, 이 경우의 중심이라는 것은, 2개의 단면의 각각의 중심을 구하고, 그들 중심에 단면적에 따른 무게가 가해졌다고 생각했을 때, 그들의 균형이 잡히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축심 C는 축부(27)의 축심 M2(장착구멍(5a)의 중심과 일치함)에 대하여, 탄성 결합편(50)과는 반대측으로 어긋난 위치가 된다. 이 때문에, 스템부(40a)의 축심 C와 각 탄성 결합편(50)의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축 방향으로 봤을 때 어긋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20)가 당겨지면, 2개의 기둥 형상편(60a, 60a)의 앞 끝 부분이 서로 충돌하고, 스템부(40b)가 절삭부(47)에서 휘도록 변형하여, 장착구멍(5a)로부터 클립(10d)의 걸림 다리(30)를 빼낼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스템부(40b)가 2개의 기둥 형상편(60a, 60a)으로 되어 있고, 각각이 독립하여 변형하므로, 클립(10d)을 떼어낼 때에 스템부(40b)가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장착구멍(5a)로부터 걸림 다리(30)를 보다 부드럽게 빼낼 수 있다.
(실시예)
피 장착 부재의 장착구멍에 장착한 클립을, 각종 당김 각도로 당겼을 때, 어느 정도의 당김 하중으로 떼어낼 수 있는지에 대하여 시험했다.
실시예로써, 도 1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부(40)의 축심 C와 각 결합부(51, 51)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스템부(40)의 축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어긋난 클립을 이용했다. 한편 비교예로써, 스템부(40)의 축심 C와 각 결합부(51, 51) 끼리를 연결하는 선 L이, 스템부(40)의 축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동일한 클립을 이용했다.
그리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클립을 피 장착 부재의 장착구멍에 고정하고, 그 고정한 상태에서, 피 장착 부재에 대한 당김 각도를 바꿔서 각 클립을 당겨 장착구멍으로부터 클립을 떼어내고, 이때의 각 당김 각도(피 장착 부재에 수직인 방향을 0°로 했을 때의 각도)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당김 하중으로 클립을 떼어낼 수 있는지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30에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S1이 실시예를 나타내고, S2가 비교예를 나타낸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에는, 피 장착 부재에 대하여 수평으로 가까워질수록 작은 당김 하중으로 클립을 떼어낼 수 있으나, 피 장착 부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까워질수록 당김 하중이 높아져, 클립을 떼어내는 데에 필요한 당김 하중에 큰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인정되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의 클립의 경우, 피 장착 부재에 대하여, 어떠한 당김 각도로 클립을 당겨도 그 당김 하중이 거의 일정해지고, 게다가 비교예와 비교하여 낮은 하중으로 떼어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클립의 당김 방향을 전혀 고려할 필요가 없고, 어떠한 방향에서도 클립을 확실히 떼어낼 수 있어, 떼어내는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립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同) 클립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동 클립의 저면(底面)도이다.
도 4는 도 2(b)의 A-A 화살표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클립을 피 장착 부재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동 클립을 피 장착 부재로부터 떼어낼 때의 제1 공정을 나타내고 있고,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동 클립을 피 장착 부재로부터 떼어낼 때의 제2 공정을 나타내고 있고,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동 클립을 피 장착 부재로부터 떼어낼 때의 제3 공정을 나타내고 있고,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동 클립을 피 장착 부재로부터 완전히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동 클립의 베이스부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클립의 베이스부의 또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클립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클립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클립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동 클립을 나타내고 있고, 도 14의 배면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동 클립을 나타내고 있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동 클립의 주요부를 확대한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동 클립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도 16(a)의 B-B 화살표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동 클립을 피 장착 부재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동 클립을 피 장착 부재로부터 떼어낼 때의 걸림 다리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2는 동 클립을 피 장착 부재로부터 떼어낼 때의 걸림 다리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a)는 그 제1 단계의 설명도, (b)는 제2 단계의 설명도, (c)는 제3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동 클립을 제1 당김 각도로 당겼을 때의 걸림 다리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동 클립을 제2 당김 각도로 당겼을 때의 걸림 다리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동 클립을 제3 당김 각도로 당겼을 때의 걸림 다리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동 클립을 제4 당김 각도로 당겼을 때의 걸림 다리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a)는 그 제1 단계의 설명도, (b)는 제2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클립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동 클립을 나타내고 있고, (a)는 우측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29는 동 클립을 피 장착 부재로부터 떼어낼 때의 걸림 다리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피 장착 부재로부터 클립을 떼어내는 시험에 있어서, 당김 하중과 당김 각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피 장착 부재
5, 5a 장착구멍
10, 10a, 10b, 10c, 10d 클립
20 베이스부
30 걸림 다리
40, 40a, 40b 스템부
43 제1 테이퍼면
44 제2 테이퍼면
45 기초부측 리브
46 선단측 리브
47 절삭부
48 기둥 형상편
50 탄성 결합편
51 결합부
57 폭 확대부
60, 60a 기둥 형상편
61 관통구멍
63 연결 리브
65 규제 리브
66 돌출부
C 축심(스템부)
M1 중심(장착구멍)
L 결합부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Claims (16)

  1. 피(被) 장착 부재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고정되는 클립으로서, 상기 장착구멍의 앞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기 장착구멍에 삽입 통과되며, 상기 장착구멍의 뒤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는 걸림 다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다리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하나 또는 복수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지는 스템부와, 이 스템부의 앞 끝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서로 떨어져서 닻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이 닻 형상 부분의 앞 끝 부분에 상기 장착구멍의 뒤쪽 주변 엣지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설치된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을 가지고,
    상기 스템부의 축심과,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이, 상기 스템부의 축 방향으로 봤을 때 어긋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상기 스템부를 당기면,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과 상기 스템부가 V자 형상으로 벌어지면서 변형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이 기울어져 상기 결합부가 상기 장착구멍의 주변 엣지에 비스듬하게 닿고, 상기 결합부의 장착구멍 주변 엣지에 맞닿은 모서리부가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을 상기 장착구멍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스템부의 축심은 상기 장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고,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끼리를 연결하는 선은, 상기 장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스템부의 축심과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클립.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에는, 상기 장착구멍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스템부 쪽으로 넓어지는 폭 확대부가 설치되어 있는 클립.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편의 상기 폭 확대부는, 탄성 결합편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얇게 되어, 외주측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클립.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基部)측이고 상기 탄성 결합편과는 반대측의 일측부에는,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점점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측이고 상기 탄성 결합편측의 일측부에는, 상기 탄성 결합편측으로 돌출하는, 상기 장착구멍의 내경에 딱 들어맞는 크기의 기초부측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클립.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의 앞 끝 부분측이고 상기 탄성 결합편측의 일측부에는, 상기 탄성 결합편측을 향해, 상기 스템부의 앞 끝 부분을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선단측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초부측 리브와 상기 선단측 리브의 사이에 골짜기 형상의 절삭부가 설치되어 있는 클립.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의 앞 끝 부분측이고 상기 탄성 결합편과는 반대측의 일측부에는, 상기 스템부의 앞 끝 부분측을 향해 점점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는 2개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기둥 형상편의 앞 끝 부분으로부터 상기 탄성 결합편이 하나씩, 양자 합쳐 닻 형상이 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클립.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에는 상기 2개의 기둥 형상편을 연결하는 연결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클립.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는 하나의 기둥 형상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기둥 형상편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결합부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스템부의 도중이 두 갈래 형상을 이루고 있는 클립.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에는, 상기 두 갈래 형상을 이루는 기둥 형상편을 연결하는 연결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클립.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이 내측으로 휘었을 때, 이 탄성 결합편에 대하여 스템부측에 위치하고, 이 탄성 결합편이 스템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클립.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리브의 상기 탄성 결합편에 대향하는 면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탄성 결합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클립.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의 기초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 결합편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 기 탄성 결합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장착구멍의 내주에 딱 들어맞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의 양측면은, 그 간격이 상기 베이스부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클립.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 장착 부재의 장착구멍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구멍의 앞쪽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소정치 이상의 힘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장착구멍으로부터 상기 스템부 및 상기 탄성 결합편을 빼낼 수 있게 된 클립.
KR1020070066798A 2006-07-05 2007-07-04 클립 KR101404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5332 2006-07-05
JPJP-P-2006-00185332 2006-07-05
JPJP-P-2006-00305969 2006-11-10
JP2006305969A JP4630259B2 (ja) 2006-07-05 2006-11-10 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79A KR20080004379A (ko) 2008-01-09
KR101404736B1 true KR101404736B1 (ko) 2014-06-09

Family

ID=3856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798A KR101404736B1 (ko) 2006-07-05 2007-07-04 클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13756B2 (ko)
EP (1) EP1876361B1 (ko)
JP (1) JP4630259B2 (ko)
KR (1) KR101404736B1 (ko)
CN (1) CN1011010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2749B1 (en) * 2008-06-25 2014-05-07 Yazaki Corporation Wire harness installation structure
JP5116610B2 (ja) * 2008-08-22 2013-01-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平型化用バンド
JP2010084793A (ja) * 2008-09-29 2010-04-15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錨脚型保持具
JP5275127B2 (ja) * 2009-05-08 2013-08-28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5336396B2 (ja) * 2009-07-14 2013-11-06 株式会社ニフコ バンドクリップ
JP5617720B2 (ja) * 2011-03-25 2014-11-05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バンドクリップ
RU2489612C1 (ru) * 2011-12-26 2013-08-10 Владимир Павлович Аким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протяженных элементов
JP6224306B2 (ja) * 2012-05-08 2017-11-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固定構造
JP2014167324A (ja) * 2013-02-28 2014-09-11 Kitagawa Kogyo Co Ltd 固定機構
EP3075612B1 (en) * 2013-11-29 2018-12-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lip, and pillar garnish attaching structure
FR3022189A1 (fr) * 2014-06-11 2015-12-1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Fixation de faisceau electrique de vehicule automobile
US9610887B1 (en) * 2015-09-11 2017-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rgo tie-down assembly
JP2017089841A (ja) * 2015-11-16 2017-05-25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
US10460853B2 (en) 2016-05-24 2019-10-29 Flex-Cable Power cable and bus bar with transitional cross sections
EP3305610B1 (en) * 2016-10-10 2020-12-16 WABCO Europe BVBA Electronic control unit for a vehicle, in particular commercial vehicle
JP2018071562A (ja) * 2016-10-24 2018-05-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留め具
JP1590183S (ko) * 2017-03-06 2017-11-06
CN208759511U (zh) * 2017-05-19 2019-04-19 宁波市峻茂环保设备有限公司 自定位连接件和带有自定位连接件的工作台
EP3477125A1 (en) * 2017-10-25 2019-05-01 HILTI Aktiengesellschaft Expansion anchor with sleeve abutment walls
JP1612261S (ko) * 2017-10-26 2018-08-27
USD982429S1 (en) 2021-06-04 2023-04-04 Hellermanntyton Corporation Cable ti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506U (ko) * 1986-10-24 1988-05-09
JPH0741027U (ja) * 1993-12-22 1995-07-21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錨脚クリップ
US5947631A (en) * 1994-09-20 1999-09-07 Daiwa Kogyo Kabushiki Component retaining legs
US6471313B1 (en) * 1999-12-13 2002-10-29 Hoshizaki Denki Co., Ltd. Corner cover mounting structure for heat-insulated housing for use in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3246A (en) * 1977-06-09 1979-01-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dlamp adjusting nut
JPS58153525U (ja) 1982-04-05 1983-10-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着脱自在なワイヤハ−ネスのクリツプ
US4739543A (en) * 1987-06-08 1988-04-26 Ford Motor Company Push pin retainer
US5039267A (en) * 1989-05-30 1991-08-13 Phillips Plastics Corporation Tee tree fastener
JPH0381410U (ko) * 1989-12-12 1991-08-20
US5129768A (en) 1992-01-08 1992-07-14 Illinois Tool Works Inc. Sliding grommet
US5333822A (en) * 1992-04-30 1994-08-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Attachment system
US5233870A (en) * 1992-05-14 1993-08-10 Lafrance Corporation Single post stud with locking blade
JPH071318U (ja) * 1993-06-04 1995-01-10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一方向から取り付け可能な締結具
DE29601784U1 (de) 1996-02-05 1996-05-15 Panduit Gmbh Anordnung zum Festlegen von Befestigungsmitteln
JP3750071B2 (ja) 1996-02-15 2006-03-01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留め具
US6785722B2 (en) 1998-03-20 2004-08-31 Sun Microsystems, Inc.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transactional support of network management operations
JP4299471B2 (ja) * 2001-03-19 2009-07-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樹脂クリップ
JP4292047B2 (ja) * 2003-09-30 2009-07-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JP4689986B2 (ja) * 2004-07-21 2011-06-0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バンドクランプ
JP4504840B2 (ja) 2005-03-03 2010-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
JP4625388B2 (ja) * 2005-09-21 2011-02-0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US7351023B2 (en) * 2006-03-20 2008-04-01 Illinois Tool Works Inc. W-base re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506U (ko) * 1986-10-24 1988-05-09
JPH0741027U (ja) * 1993-12-22 1995-07-21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錨脚クリップ
US5947631A (en) * 1994-09-20 1999-09-07 Daiwa Kogyo Kabushiki Component retaining legs
US6471313B1 (en) * 1999-12-13 2002-10-29 Hoshizaki Denki Co., Ltd. Corner cover mounting structure for heat-insulated housing for use in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6361A1 (en) 2008-01-09
JP2008032205A (ja) 2008-02-14
CN101101075A (zh) 2008-01-09
CN101101075B (zh) 2011-03-23
KR20080004379A (ko) 2008-01-09
US8113756B2 (en) 2012-02-14
JP4630259B2 (ja) 2011-02-09
EP1876361B1 (en) 2014-06-18
US20080008560A1 (en)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736B1 (ko) 클립
EP1783005B1 (en) Bumper fixture and bumper mounting structure
JP2524861Y2 (ja) ボルト係止用の係止部構造
US7120971B2 (en) Low insertion effort u-base retainer
EP1832791B1 (en) A fixture
US7575267B2 (en) Metal clip for vehicle accessory fixation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JP2595456Y2 (ja) ハーネスクリップ
JP2013064492A (ja) クリップ
JP2002036873A (ja) サンバイザーホルダー
US7134170B2 (en) Plastic retaining clip for rib attachment
JP2001063364A (ja) 止め具
JP5560336B2 (ja) 固定具、シート、及びカバー固定方法
JP2002372256A (ja) 空気調和機の化粧パネル取付構造
JP6076731B2 (ja) 樹脂爪構造
JP5085427B2 (ja) クリップ
JP2004176753A (ja) 締付けバンド
JP3112152B2 (ja) カバー体の取付構造
JP3439321B2 (ja) ルーフモール用クリップ
JP2000027824A (ja) ルーフモール用クリップ
JP2006234138A (ja) クリップ
JP2578208Y2 (ja) 部品の取付構造
JP4010788B2 (ja) クリップ
JPH04310423A (ja) トリムパネルを支持パネルに取り付ける固定装置
JP2002339929A (ja) クリップ
JPH07243413A (ja) 2部材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