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008B1 -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008B1
KR101400008B1 KR1020120098728A KR20120098728A KR101400008B1 KR 101400008 B1 KR101400008 B1 KR 101400008B1 KR 1020120098728 A KR1020120098728 A KR 1020120098728A KR 20120098728 A KR20120098728 A KR 20120098728A KR 101400008 B1 KR101400008 B1 KR 101400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tating shaft
tension
shaf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169A (ko
Inventor
유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0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66C23/53Floating cranes including counterweight or means to compensate for list, trim, or skew of the vessel or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 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에서 내벽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대상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일측이 상기 대상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공간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체를 승하강 시키는 제 1와이어 및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에서 상기 제 1와이어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제 1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승하강 조절유닛 및 일부가 상기 대상체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의 승하강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와이어가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대상체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유동감쇄유닛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An Object Lifting Devices for Ships to Reduce the Flux}
본 발명은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대상체를 들어올릴 때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켜 대상체 및 선박의 파손을 방지하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생활에서 해양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해양구조물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해양구조물이나 선박을 제조함에 있어 내부에 복잡한 구성의 장비들이 수용된다.
이러한 장비들을 구비한 해양구조물에 있어서 일반적인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은 컬럼구조 형태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장비 등을 교체 및 수리하기 위해 수용공간 상부로 올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경우 해수면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해수의 움직임에 따라 요잉, 롤링, 피칭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선박이나 해양구조물 내부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물체는 함께 유동을 하게 된다. 그래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서 장비를 들어올리는 경우 장비가 수용공간의 내벽에 부딪혀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이때, 대형 선박의 경우 컬럼구조의 수용공간 크기는 하부에서 최상부에 이르는 거리가 60m 에서 80m 에 이르게 된다. 장비의 교체 및 수리를 위해 수용공간에서부터 이와 같은 높이를 끌어올리는 경우, 해수에 의해서 선박이 유동함에 따라 장비가 수용공간 내벽에 부딪힌다.
특히, 선박에 형성된 컬럼구조 수용공간의 경우 리프팅공간이 협소하여 장비와 수용공간의 내벽에 부딪히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이와 같이 해수면상에 있는 선박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장비를 승하강 시킬 때 장비의 유동을 감소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 내부에 컬럼형태로 형성된 수용공간에서 대상체를 들어올릴 때 대상체를 들어올리는 와이어가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선박의 움직임에 따라 대상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리프팅 장치는 선박에서 내벽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대상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일측이 상기 대상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공간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체를 승하강 시키는 제 1와이어 및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에서 상기 제 1와이어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제 1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승하강 조절유닛 및 일부가 상기 대상체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의 승하강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와이어가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대상체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유동감쇄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동감쇄유닛은 상기 대상체에 연결되는 제 2와이어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 2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와이어와 대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 2와이어가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길이를 조절하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제 2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체의 승하강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 2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 2와이어가 긴장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부하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샤프트를 가압하여 마찰을 통해 상기 회전샤프트에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조절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샤프트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날개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유체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날개의 움직임에 저항력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샤프트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샤프트에 전자기력을 제공하여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 2와이어를 감는 별도의 보조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리프팅 장치는, 선박 내부에 구비된 컬럼형태의 수용공간에서 제 1와이어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승하강 시킬 때 대상체의 하부에 별도의 제 2와이어 및 텐션조절부를 구비하여 제 1와이어 및 제 2와이어가 긴장상태를 유지하여 각각의 길이 조절을 통해 대상체를 승하강 시킴으로써, 선박의 움직임에 의해서 대상체가 유동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리프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서 제 1와이어 및 제 2와이어에 의해서 대상체의 유동이 감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는 도 1의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서 텐션조절부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텐션조절부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선박용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승하강 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서 텐션조절부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리프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서 제 1와이어 및 제 2와이어에 의해서 대상체의 유동이 감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리프팅 장치는 크게 수용공간(100), 승하강 조절유닛(200) 및 유동감쇄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00)은 선박의 일부에 함몰되도록 컬럼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대상체(T)가 수용된다. 선박에서 내벽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대상체(T)가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110)는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20)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대상체(T)를 승강시키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120)를 오픈하여 상기 수용공간(100)의 내 외부를 연통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100)은 화물을 수용하는 장소가 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선박용 내부 구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200)은 크게 제 1와이어(210) 및 크레인(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와이어(2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측 끝단부가 상기 대상체(T)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서 상기 수용공간(100) 외부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와이어(210)의 타측은 상기 크레인(2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와이어(210)는 단순히 와이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대상체(T)에 연결하여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팅 수단으로써 쇠사슬이나 체인 등 다양한 종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220)은 상기 대상체(T)를 승하강 시키는 수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00)의 최상부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와이어(210)의 타측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 1와이어(210)를 감거나 푸는 형태로 상기 제 1와이어(2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대상체(T)를 승하강 시킨다.
상기 크레인(220)은 상기 수용공간(100)의 최상부 외측에 배치되며 본 실시예 에서 상기 크레인(220)은 선박의 갑판상에 배치되어 상기 선박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대상체(T)를 갑판위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크레인(220)은 일반적인 형태의 크레인(220)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와이어(210)를 감거나 푸는 동작을 통해 상기 대상체(T)를 승하강 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200)은 상기 제 1와이어(210) 및 상기 크레인(220)을 통해서 상기 대상체(T)에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220)의 동작을 통해서 상기 대상체(T)를 승하강 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감쇄유닛(300)은 상기 수용공간(100)의 최하부에 배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대상체(T)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체(T)가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200)에 의해서 승하강하는 경우, 상기 대상체(T)의 승하강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와이어(210)가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대상체(T)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외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유동감쇄유닛(300)은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200)에 의해서 상기 대상체(T)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200) 및 상기 유동감쇄유닛(300)에 의해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서 상기 대상체(T)의 유동을 감소시킨다.
상기 유동감쇄유닛(300)은 크게 제 2와이어(310) 및 텐션조절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와이어(310)는 상기 제 1와이어(210)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대상체(T)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대상체(T)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2와이어(310)의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텐션조절부(320)는 상기 수용공간(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와이어(3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체(T)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2와이어(31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텐션조절부(320)는 상기 대상체(T)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제 2와이어(310)가 상기 제 1와이어(210)와 함께 긴장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크레인(220)에 의해서 상기 대상체(T)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텐션조절부(320)는 상기 대상체(T)의 하부에 연결된 상기 제 2와이어(310)가 긴장상태가 되도록 반대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텐션조절부(320)가 너무 큰 힘으로 상기 대상체(T)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크레인(220)에 의해서 상기 대상체(T)의 승하강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크레인(220)보다 작은 힘으로 상기 대상체(T)에 작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220)에 의해서 상기 대상체(T)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크레인(220)이 동작하여 상기 제 1와이어(210)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감아 올린다. 이때 상기 대상체(T)는 상기 제 1와이어(210)에 의해서 상부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들어올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상체(T)는 상기 제 2와이어(310)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상기 텐션조절부(320)가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2와이어(31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텐션조절부(320)는 상기 크레인(220)에 의해서 작용하는 외력에는 못 미치지만 상기 제 1와이어(210) 및 상기 제 2와이어(310)가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력을 작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텐션조절부(320)가 상기 크레인(220)에 의해서 이동하는 상기 대상체(T)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제 1와이어(210) 및 상기 제 2와이어(310) 장력이 작용하여 긴장상태가 된다. 즉, 상기 텐션조절부(320)는 상기 제 2와이어(310)가 상기 제 1와이어(210)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와이어(210) 및 상기 제 2와이어(310)가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크레인(220)과 상기 텐션조절부(320) 사이에서 상기 제 1와이어(210), 상기 대상체(T) 및 상기 제 2와이어(31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장력이 작용하게 되며 상기 대상체(T)를 기준으로 상기 크레인(220)에 의해서 상부로 A의 힘이 작용하고 상기 텐션조절부(320)에 의해서 하부로 B의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와이어(210) 및 상기 제 2와이어(310) 각각에 작용하는 장력은 A+B가 되며 상기 대상체(T)는 상기 제 1와이어(210) 및 상기 제 2와이어(310)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서 긴장상태가 되어 선박의 움직임에 의해서 함께 유동하는 것이 감소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텐션조절부(3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도 1의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서 텐션조절부(320)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도 4는 도 3의 텐션조절부(320)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조절부(320)는 상기 수용공간(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와이어(310)에 긴장상태가 유지되어 장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텐션조절부(320)는 크게 회전샤프트(322) 및 부하조절수단(324)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샤프트(322)는 상기 수용공간(10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회전축 방향과 상기 대상체(T)의 승하강 방향이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 2와이어(310)의 일부가 감겨서 상기 대상체(T)의 승하강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 2와이어(310)의 길이를 조절한다.
즉, 상기 회전샤프트(322)는 회전하는 회전축이 상기 대상체(T)가 승하강 하는 방향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와이어(310)의 타측 끝단부와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제 2와이어(310)의 길이를 조절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일측에 풀리 형태로 형성된 별도의 가이드(322a)를 구비하여 상기 제 2와이어(310)가 감기는 경우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 거리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부하조절수단(324)은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도록 하는 가압부재(324a) 및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 일부와 상기 가압부재(324a)를 감싸는 하우징(326)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재(324a)가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샤프트(322)에 부하를 발생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재(324a)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접촉면이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과 접촉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324a)는 단순히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과 접촉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과 상기 가압부재(324a)와의 발생되는 마찰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텐션조절부(320)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체(T)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324a)는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과 접촉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326)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220)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대상체(T)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회전샤프트(322)는 상기 대상체(T)가 들어올려짐에 따라서 상기 제 2와이어(310)의 길이를 조절하며 회전을 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324a)는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샤프트(322)와 상기 가압부재(324a)에서 마찰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과 상기 가압부재(324a)가 접촉 함으로써 마찰이 발생하여 상기 대상체(T)를 기준으로 하부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와이어(210) 및 상기 제 2와이어(310)는 긴장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324a)는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과 접촉하는 외력을 변화시켜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크레인(220)에 의해서 상기 대상체(T)가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가압부재(324a)가 상기 회전샤프트(322)와 접촉하여 발생되는 마찰력이 상기 크레인(220)에 의해서 상기 대상체(T)가 들어올려지는 힘 보다 큰 경우 상기 회전샤프트(322)는 회전을 하지 않게 되어 상기 제 1와이어(210) 및 상기 제 2와이어(310)의 내구성에 손상이 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상기 가압부재(324a)의 접촉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크레인(220)에 의해서 상기 대상체(T)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322)와 상기 가압부재(324a)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회전샤프트(322)를 회전시켜 상기 제 2와이어(310)를 감는 별도의 보조구동모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구동모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00) 외부에서부터 상기 수용공간(100) 내부로 상기 대상체(T)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2와이어(310)가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구동모터가 상기 회전샤프트(322)를 회전시켜 상기 제 2와이어(310)를 감음으로써 상기 제 2와이어(310)는 긴장상태가 유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와이어(210) 및 상기 제 2와이어(310)에 장력이 발생하여 상기 대상체(T)의 유동이 감소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승하강조절유닛 및 상기 유동감쇄유닛(300)에 의해서 유동이 감되어 상기 대상체(T)가 승강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선박용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체(T)를 승하강 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체(T)는 상기 수용공간(100)의 바닥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와이어(210)가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와이어(310) 하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대상체(T)가 상기 수용공간(100)의 바닥에 안착된 경우 상기 크레인(220) 및 상기 텐션조절부(320)는 동작을 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220)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 대상체(T)는 상부방향으로 승강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와이어(310)는 상기 대상체(T)의 승강에 따라서 길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텐션조절부(320)는 상기 제 2와이어(310)의 길이가 늘어남과 동시에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수준의 외력을 상기 대상체(T)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샤프트(322)가 상기 제 2와이어(310)가 풀림에 따라서 회전은 하지만 상기 제 2와이어(310)가 긴장상태를 유지하여 장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324a)가 타측을 가압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324a)가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회전을 억제를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와이어(310)가 긴장상태를 유지하여 풀리게 된다.
상기 제 2와이어(310)가 긴장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 1와이어(210) 및 상기 제 2와이어(310)에 장력이 발생하여 선박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대상체(T)에 발생하는 유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텐션조절부(32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1의 선박용 리프팅 장치에서 텐션조절부(32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하조절수단(324)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과 유사하지만 상기 가압부재(324a)를 구비하지 않고 별도의 회전날개(324b) 및 하우징(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날개(324b)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에서 회전축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날개(324b)는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에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날개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26)은 상술한 상기 하우징(326)과 구성이 유사하지만 내부에 상기 부하조절수단(324)이 구비되지 않고 별도의 유체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326) 내부에 별도의 유체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대상체(T)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샤프트(322)가 회전함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324b)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샤프트(322)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날개(324b)는 함께 회전을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326)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에 의해서 저항력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회전에 대한 부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와이어(310)가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길이 조절이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부하조절수단(324)은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타측 일부를 감싸며 상기 회전샤프트(322)에 전자기력을 제공하여 회전에 대한 부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샤프트(322)와 이를 감싸는 상기 하우징(326)에 전력을 인가하여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서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회전에 대한 부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샤프트(322)가 회전하여 상기 제 2와이어(310)의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부하조절수단(324)은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회전에 대하여 부하를 줄 때 상기 회전샤프트(322)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방식이 사용되며 상술한 예와 비슷한 것으로는 자전거형 운동기구 등과 같이 상기 부하조절수단(324)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별히 상기 부하조절수단(324)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하조절수단(324)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샤프트(322)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 2와이어(310)가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구성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수용공간 110: 개구부
120: 도어 200: 승하강 조절유닛
210: 제 1와이어 220: 크레인
300: 유동감쇄유닛 310: 제 2와이어
320: 텐션조절부 322: 회전샤프트.
324: 부하조절수단 324a: 가압부재
324b: 회전날개 326: 하우징
T: 대상체

Claims (7)

  1. 선박에서 내벽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대상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일측이 상기 대상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공간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체를 승하강 시키는 제 1와이어 및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에서 상기 제 1와이어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제 1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대상체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2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와 대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2와이어가 긴장상태를 유지하도록 길이를 조절하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가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대상체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유동감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제 2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체의 승하강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 2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 2와이어가 긴장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부하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샤프트를 가압하여 마찰을 통해 상기 회전샤프트에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조절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샤프트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날개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유체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날개의 움직임에 저항력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샤프트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샤프트에 전자기력을 제공하여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 2와이어를 감는 별도의 보조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KR1020120098728A 2012-09-06 2012-09-06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KR101400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728A KR101400008B1 (ko) 2012-09-06 2012-09-06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728A KR101400008B1 (ko) 2012-09-06 2012-09-06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169A KR20140032169A (ko) 2014-03-14
KR101400008B1 true KR101400008B1 (ko) 2014-05-28

Family

ID=5064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728A KR101400008B1 (ko) 2012-09-06 2012-09-06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16U (ko) 2015-06-30 2017-01-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상하 이동 구조의 화물 플랫폼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125A (ko) 2021-10-14 2023-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에 구비되는 부상자 구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682A (ja) * 1997-03-14 1998-09-22 Chuo Seiki Kk 船舶用昇降装置
JP2003300695A (ja) 2002-04-08 2003-10-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海上クレーンのフック揺れ防止装置
KR101027583B1 (ko) * 2010-07-08 2011-04-06 (주)해안기계산업 선박용 크레인의 상하요동 보상 시스템
KR20110125555A (ko) * 2010-05-13 2011-11-21 (주)엠씨티이엔지 해양 선박용 넉클 크레인의 요동 보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682A (ja) * 1997-03-14 1998-09-22 Chuo Seiki Kk 船舶用昇降装置
JP2003300695A (ja) 2002-04-08 2003-10-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海上クレーンのフック揺れ防止装置
KR20110125555A (ko) * 2010-05-13 2011-11-21 (주)엠씨티이엔지 해양 선박용 넉클 크레인의 요동 보상장치
KR101027583B1 (ko) * 2010-07-08 2011-04-06 (주)해안기계산업 선박용 크레인의 상하요동 보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16U (ko) 2015-06-30 2017-01-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상하 이동 구조의 화물 플랫폼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169A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0976B2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及び該装置の部品搬送方法
KR100890563B1 (ko) 선박의 조종 및 내항 성능 실험 장치
KR101400008B1 (ko)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CN110962998B (zh) 一种基于半潜式无人艇的沉浮装置
CN103510459A (zh) 一种垂直升降式开启桥的升降开合机构
JP2010228503A (ja) 浮体式海洋構造物の減揺装置
KR101427565B1 (ko) 해양 구조물의 위치제어장치
CN203865801U (zh) 一种带旋转提升外用电梯门的施工电梯
KR20170000116U (ko) 상하 이동 구조의 화물 플랫폼 기구
JP2011152998A (ja) 岸壁クレーン
KR20130051535A (ko) 대형차량 및 선박의 통행이 원활한 도개형 사장교
KR20160142423A (ko) 갱웨이 지지용 개선된 페데스탈을 구비한 선박
KR20110103210A (ko) 승강형 작업대
CN105804475B (zh) 一种用于高压输电线路的铁塔
KR200467094Y1 (ko) 밸러스트 탱크를 이용한 선박의 동요 저감장치
KR101831394B1 (ko) 와이어 로프 인양용 수문
KR102438695B1 (ko)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460632B1 (ko) 정선한 소형 선박의 복원 성능 제어 장치
KR101512283B1 (ko) 크레인 케이블 흔들림 방지장치
KR20130116106A (ko) 선박의 무어링시스템
KR102006909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크레인 시스템
KR20210073316A (ko) 파일 계류 장치
JP669459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650047B1 (ko) 크레인의 양방향 움직임 방지 장치 및 크레인
KR20140076241A (ko) 선박 건조용 도크의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