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316B1 -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316B1
KR101834316B1 KR1020160093386A KR20160093386A KR101834316B1 KR 101834316 B1 KR101834316 B1 KR 101834316B1 KR 1020160093386 A KR1020160093386 A KR 1020160093386A KR 20160093386 A KR20160093386 A KR 20160093386A KR 101834316 B1 KR101834316 B1 KR 10183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piston rod
power
driving forc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763A (ko
Inventor
홍정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3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이 개시된다.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은, 동력 발생 장치; 상기 동력 발생 장치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동력 전달부에 복수개 연결되어 각각에 대응되는 체인을 피스톤 로드의 왕복운동으로 끌어올리는 체인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력 발생장치의 회전운동을 상기 체인 승강장치에 왕복운동으로 변화하여 전달하되, 상기 복수개의 체인 승강장치가 동시에 최고높이에 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Mooring system for floating platform}
본 발명은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해상에 부유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및 생산을 실시하기 위한 시추선(drill ship),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의 해상 부유체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해상 부유체에는 해상에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계류 시스템(mooring system)이나 자동위치제어시스템(DPS) 등과 같은 설비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해상 부유체(10)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윈치 장치(21)를 포함하는 윈치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한국공개특허 제2012-0118729호 참조).
도 1을 참조하면, 윈치 시스템은 일단부에 앵커(20)가 결합된 체인(30)을 선택적으로 권취하는 윈치 장치(21)와, 체인(30)을 풀거나 감을 때 체인(3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페어리더(22)와, 윈치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수압을 제공하는 수압 장치(23)와, 수압 장치(23) 및 윈치 장치(21)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24)와, 수압 장치(23), 윈치 장치(21) 및 제어 장치(24)를 조작하기 위한 운전실(25)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30)을 감거나 풀어 승하강시키는 윈치 장치(21)는 각 윈치 장치(21)마다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동력 발생 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이는 종래의 윈드라스(windlass) 타입이나 램 실린더(ram cylinder) 타입에서 모두 공통된다.
그러나 체인(3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윈치 장치(21) 등과 같은 종래의 체인 승강 장치들은 모두 개별적으로 동력 발생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가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인 사이즈의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체인 승강 장치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변동성에 대한 대처가 취약한 문제점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18729호(해양 앵커링 윈치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본 발명은 공유되는 하나의 동력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 각각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어 유지 보수에 유리하며, 복수의 계류 체인을 동시에 승하강 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력이 제공될 체인 승강 장치의 수량이 증가되더라도 구동축의 길이 연장 및 캠(cam) 추가만으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체인 사이즈의 변경시 공유되는 하나의 동력 발생 장치만을 교체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동력 발생 장치; 상기 동력 발생 장치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각각 대응되는 체인을 피스톤 로드의 왕복 운동으로 끌어올리도록, 상기 동력 전달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체인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력 발생장치의 회전운동을 상기 복수개의 체인 승강장치 각각에 왕복운동으로 변화하여 전달하되, 상기 복수개의 체인 승강장치 각각이 서로 상이한 시점에서 상사점(top dead point)에 도달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는 상기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동력 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피스톤 로드를 상승시켜 체인을 끌어올리되,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 각각에 의해 체인이 끌어올려지는 시간 구간이 비일치하도록 상기 동력 전달부가 구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력 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체인 승강장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축;및 상기 복수의 체인 승강장치 각각에 구비된 상기 피스톤 로드 하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 대응되는 피스톤 로드의 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위치된 캠은 상응하는 구동축에 편심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체인 승강장치 각각에 구비된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는 크랭크 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는, 각각 대응되는 피스톤 로드의 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위치된 크랭크 암이 서로 미리 지정된 각도만큼 어긋나게 각각 결합된 크랭크 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 각각은, 끌어올려질 체인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승되는 한 쌍의 상기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체인을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피스톤 로드 각각의 내측면에 일 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체인의 마디에 삽입되어 상기 체인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한 쌍의 체인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인 스토퍼는, 일 단부가 대응되는 피스톤 로드의 내측면에 부착된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일 단부가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체인의 마디에 삽입되도록 위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체인 승강장치는, 상기 체인의 양측에 한쌍이 배치되는 상기 피스톤 로드 각각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상승하는 동안 타단이 상기 체인에 맞물려 상기 체인을 상승시키는 제1 체인 스토퍼; 및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와 다른 높이에 구비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하강하는 동안 타단이 상기 체인에 맞물려 상기 체인을 고정시키는 제2 체인 스토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되는 하나의 동력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 각각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어 유지 보수에 유리하며, 복수의 계류 체인을 동시에 승하강 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이 제공될 체인 승강 장치의 수량이 증가되더라도 구동축의 길이 연장 및 캠(cam) 추가만으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체인 사이즈의 변경시 공유되는 하나의 동력 발생 장치만을 교체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해양 앵커링 윈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과 캠의 결합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승강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체인 승강 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과 캠의 결합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승강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체인 승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은 동력 발생 장치(280),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200a, 200b 등이며, 이하 200으로 통칭함)를 포함한다. 도 2에는 하나의 동력 발생 장치(280)가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200)에 공유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해상 부유체에는 복수의 동력 발생 장치(280)가 구비되어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들 그룹 각각에서 개별적으로 공유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동력 발생 장치(280)는 각각의 체인 승강 장치(200)에 구비된 2개의 피스톤 로드(210a, 210b, 이하 210으로 통칭함), 즉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 각각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복수의 동력 전달부(290)를 각각 동일한 속도로 회전시킨다.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200)는 복수의 동력 전달부(290) 각각을 통해 동력 발생 장치(280)(예를 들어, 유압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체인(30)을 승하강하도록 구동된다.
각각의 체인 승강 장치(200)는 해상 부유체가 해상에 계류되도록 대상물과 연결된 체인(30)을 마주보도록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 하측 표면에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의 상부면이 각각 부착되고 내측에 체인(30)이 통과되는 체인 홀(chain hole)이 형성된 판형(板形)의 덮개(215), 체인(3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상응하는 피스톤 로드(210)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일 단부가 부착된 한 쌍의 제1 체인 스토퍼(220a, 220b, 이하 220으로 통칭함), 체인(3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한 쌍의 제1 체인 스토퍼(220)의 수직 하방에 위치되도록 해상 부유체의 일 측에 고정되는 제2 체인 스토퍼(230a, 230b, 이하 230으로 통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 등을 내측 공간에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동력 발생 장치(28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각각의 체인 승강 장치(20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290)는 체인 승강 장치(200)에 구비된 피스톤 로드(210)의 수량에 부합되도록 마련되며, 각각의 동력 전달부(290)는 구동축(292)과 동력 전달될 체인 승강 장치(200)의 수에 부합하도록 구동축(292)에 편심(偏心) 장착되는 복수의 캠(310a 내지 310d, 도 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체인 승강 장치(200)에 구비된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의 하부에는 각각 대응되는 구동축(292)이 배치되고,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의 하측면은 동력 발생 장치(28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피스톤 로드(210)로 전달하기 위해 구동축(292)에 결합된 상응하는 캠(310a 내지 310d, 이하 310이라 칭함)에 접촉된다.
구동축(292)과 캠(310)의 결합 형상이 예시된 도 3을 참조하면, 동력 발생 장치(28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292)에는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200)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캠(310)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4개의 체인 승강 장치(200)에 각각 대응되도록 4개의 캠(310)이 구동축(292)에 결합된 경우, 동력 발생 장치(280)가 구동축(292)을 회전시키면 구동축(292)에 결합된 캠(310) 역시 구동축(292)의 회전에 상응하도록 회전된다.
이때, 각각의 캠(310)은 회전에 의해 캠(310)의 단부가 도달되는 최고 높이는 모두 일치하지만, 최고 높이에 도달되는 시점은 각각 상이해지도록 구동축(292)에 편심 장착된다. 캠(310)은 편심을 가지도록 구동축(292)에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면 충분하며, 그 형상은 예를 들어 원, 타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으로 다양하다.
따라서 도 3에 예시된 경우를 참조하면, 구동축(292)이 1회전하는 동안 세번째, 두번째, 첫번째 및 네번째 위치된 캠(310)의 순서로 각각의 캠(310)은 지정된 최고 높이에 도달된다.
체인 승강 장치(200)의 피스톤 로드(210)는 하측면에 접촉된 캠(310)의 회전에 따른 높이 변화에 의해 승강되고, 캠(310)의 회전에 의해 상승되는 동안에만 체인(30)을 상승시키기 위해 동력 발생 장치(280)가 제공하는 구동력을 소비한다. 반면에, 캠(310)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 로드(210)가 하강되는 동안에는 체인(30)은 외부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체인 고정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회전하는 캠(310)의 상부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되어 별도의 구동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즉, 각각의 체인 승강 장치(200)의 피스톤 로드(210)는 하부에 접촉된 캠(310)의 회전에 의해 변화되는 높이에 상응하여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되며, 상승 과정에서만 구동축(292)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은, 하나의 동력 발생 장치(280)가 구동축(292)을 통해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200)에 체인을 끌어올리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지라도, 각각의 캠(310)이 동일한 시점에서 최고 높이에 도달되지 않도록 캠(310)을 구동축(292)에 편심 장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장치로 보다 많은 체인 승강 장치(200)를 동시 구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체인 승강 장치(200)가 구비되고 어느 하나가 최고 높이까지 상승될 때 다른 하나가 최저 높이까지 하강되도록 구성한다면, 동력 발생 장치(280)는 하나의 체인 승강 장치(200)에 상응하는 구동력 발생 용량만으로 2개의 체인 승강 장치(200)를 동시 구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는 동력 전달부(290)의 형상으로 직선 형상의 구동축(292)과 편심을 가지도록 구동축(292)에 장착되는 복수의 캠(310)이 예시되었으나, 이외에도 크랭크 암이 서로 특정각도만큼 어긋나게 결합되는 크랭크 축 형상 등과 같이 동력 전달부(290)는 하나의 경로로 구동력을 공급하되 각각 상이한 시점에 상응하는 피스톤 로드(210)가 최고 높이에 도달되도록 하는 구조(즉, 각 피스톤 로드(210)가 상승되어 구동력을 소비하는 시간 구간이 상이한 구조)이면 아무런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사항을 참조할 때, 끌어올려질 필요가 있는 계류 체인의 수량에 부합하도록 캠(310)이 구동축에 부착될 수 있고, 이때 각 캠(310)의 편심 정도는 동력 발생 장치(280)의 동력 발생 용량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동력 발생 장치(280)는 2개의 구동축(292)을 동시에 및 같은 속도로 회전시켜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 각각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각각의 캠(310)이 회전되도록 한다.
구동축(292)에 편심 장착된 캠(310)의 회전에 상응하여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는 상하로 이동된다(도 4의 (a), (b) 및 (c) 참조).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가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도록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2개의 캠(310)은 동일하게 편심 장착됨은 당연하다.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가 함께 상승될 때, 체인(30)의 각 마디 사이에 삽입되도록 예를 들어 포크(fork)와 같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각 피스톤 로드(210)의 내측면에 일 단부가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제1 체인 스토퍼(220)가 함께 상승되어, 체인(30)을 상방향으로 끌어올린다(도 4의 (b) 참조). 물론 제1 체인 스토퍼(220)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어느 하나의 피스톤 로드(210)의 내측면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다.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가 상승하여 체인(30)을 끌어올릴 때, 제2 체인 스토퍼(230)는 체인(30)의 상승을 구속하지 않도록 동작한다.
즉, 제1 체인 스토퍼(220)와 제2 체인 스토퍼(230) 각각은 피스톤 로드(210) 또는 해상 부유체(10)의 일측에 단부가 고정되는 제1 영역, 제1 영역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힌지축 및 힌지 축에 일 단부가 결합되는 제2 영역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영역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힌지축은 제2 영역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지만, 하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의 상승시 함께 상승하는 제1 체인 스토퍼(220)는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체인(30)을 끌어올리게 되나, 제2 체인 스토퍼(230)는 제1 영역이 해상 부유체(10)의 일측(예를 들어, 데크 하부의 특정 지점)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2 영역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되어 열린 상태로 전환되어 체인(30)의 상승에 저항을 가하지 않는다(도 4의 (b) 참조).
이후, 캠(310)의 회전이 지속되어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제1 체인 스토퍼(220) 역시 제1 영역이 고정된 피스톤 로드(210)와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1 체인 스토퍼(220)의 제2 영역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열림 상태로 전환되어 체인(30)을 끌어내리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에 비해, 제2 체인 스토퍼(230)는 제1 영역이 해상 부유체(1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2 영역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됨이 억제되어 닫힘 상태로 전환된다(도 4의 (c) 참조). 이 경우, 체인 고정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추가적으로 외부에서 체인(30)을 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한 쌍의 피스톤 로드(21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끌어올려진 체인(30)은 해당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은 동력 발생 장치(280)가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축(292)의 상부에 배치되어 각각 대응되는 캠(310)의 회전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는 각각의 체인 승강 장치(200)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동력 발생 장치(280)가 구동축(292)을 1회전할 때마다 각기 다른 시간 구간에서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200)가 미리 지정된 길이 만큼 체인(30)을 끌어올리게 되며, 하나의 동력 발생 장치(280)로부터 구동축(292)을 공유하는 복수의 체인 승강 장치(200) 각각이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 : 앵커 21 : 윈치 장치
22 : 페어리더 23 : 수압 장치
24 : 제어 장치 25 : 운전실
100 : 윈치 장치 200, 200a, 220b : 체인 승강 장치
210, 210a, 210b : 피스톤 로드 215 : 덮개
220, 220a, 220b, 230, 230a, 230b : 체인 스토퍼
280 : 동력 발생 장치 290 : 동력 전달부
292 : 구동축 310 : 캠

Claims (4)

  1. 하나의 동력 발생 장치;
    상기 동력 발생 장치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각각 대응되는 체인을 피스톤 로드의 왕복 운동으로 끌어올리도록, 상기 동력 전달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체인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력 발생장치의 회전운동을 상기 복수개의 체인 승강장치 각각에 왕복운동으로 변화하여 전달하되, 상기 복수개의 체인 승강장치 각각이 서로 상이한 시점에서 상사점(top dead point)에 도달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력 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체인 승강장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축;및
    상기 복수의 체인 승강장치 각각에 구비된 상기 피스톤 로드 하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는 캠을 포함하는,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체인 승강장치 각각에 구비된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는 크랭크 축인,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승강장치는,
    상기 체인의 양측에 한쌍이 배치되는 상기 피스톤 로드 각각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상승하는 동안 타단이 상기 체인에 맞물려 상기 체인을 상승시키는 제1 체인 스토퍼; 및
    상기 제1 체인 스토퍼와 다른 높이에 구비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하강하는 동안 타단이 상기 체인에 맞물려 상기 체인을 고정시키는 제2 체인 스토퍼를 포함하는,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
KR1020160093386A 2016-07-22 2016-07-22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 KR10183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386A KR101834316B1 (ko) 2016-07-22 2016-07-22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386A KR101834316B1 (ko) 2016-07-22 2016-07-22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63A KR20180010763A (ko) 2018-01-31
KR101834316B1 true KR101834316B1 (ko) 2018-03-06

Family

ID=6108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386A KR101834316B1 (ko) 2016-07-22 2016-07-22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3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4706A1 (en) * 2008-08-01 2010-02-04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ology Cent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Mooring of Offshore Structures
KR101434151B1 (ko) 2013-03-22 2014-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용 체인잠금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4706A1 (en) * 2008-08-01 2010-02-04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ology Cent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Mooring of Offshore Structures
KR101434151B1 (ko) 2013-03-22 2014-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용 체인잠금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63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163B2 (en) Device for conversion of wave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process for its deployment at the exploitation location
CN110382346B (zh) 深水升降系统以及方法
US10081988B2 (en) Heave compensation winches
CN102464213A (zh) 用于船舶的系泊系统以及包括该系泊系统的浮体和岸壁
EA001520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морской нефтедобычи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трубопровода для подачи нефти
KR101324602B1 (ko) 스러스터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20200231253A1 (en) Mooring rope device of floating offshore structure for avoiding ship collision,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EP3155206A2 (en) Winches and hoisting systems with heave compensation
AU2004218479A1 (en) Riser pipe support system and method
KR101834316B1 (ko) 해상 부유체 계류 시스템
KR101482864B1 (ko) 바지선을 이용한 파력 발전 시스템
KR100967816B1 (ko) 반잠수식 리그선의 스러스터 장착 방법
KR10148767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0978065B1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방법
KR101524666B1 (ko) 해상구조물의 라이저 홀딩 장치
KR101313602B1 (ko) 선박용 스러스터
KR101418677B1 (ko) 선박용 파력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400008B1 (ko)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KR10145463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CN109987530A (zh) 波浪补偿活塞张紧器及其使用方法
KR101707412B1 (ko) 해저 브리지 시스템
KR20140133348A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구속장치
KR101616384B1 (ko) 해상구조물의 체인 락커 장치
EP428836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moving a load between a floating vessel and a submerged position
SU1701884A1 (ru) Подводный буровой стан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