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985B1 - 이미지 센서 유닛 및 화상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유닛 및 화상 판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985B1
KR101395985B1 KR1020120086906A KR20120086906A KR101395985B1 KR 101395985 B1 KR101395985 B1 KR 101395985B1 KR 1020120086906 A KR1020120086906 A KR 1020120086906A KR 20120086906 A KR20120086906 A KR 20120086906A KR 101395985 B1 KR101395985 B1 KR 101395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mitted
reflected
sensor unit
image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8618A (ko
Inventor
슈우이찌 시모다
도모유끼 호리구찌
히데마사 요시다
아끼후미 후지와라
히데히사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케논 콤포넨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논 콤포넨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논 콤포넨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2Using a single or a few point light sources, e.g. a laser di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1Apparatus characterised by senso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5Details of integral hea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2201/03166Additional light shielding me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18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capable of scanning transmissive and reflective originals at a single scanning s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 Facsimile Heads (AREA)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미광의 영향을 저감함으로써 판독 화상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 유닛 및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한다.
지폐(S)에 대하여 반사광에 의한 화상 판독과 투과광에 의한 화상 판독을 실시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10)으로서, 반사광용 광원(15)으로부터의 광을 지폐(S)에 대하여 조사하는 반사광용 도광체(14)와, 투과광용 광원(22)으로부터의 광을 지폐(S)에 대하여 조사하는 투과광용 도광체(21)와, 지폐(S)로부터의 광을 결상하는 결상 소자(16)와, 결상 소자(16)에 의해 집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18)를 갖는다. 투과광용 광원(22) 및 투과광용 도광체(21)는 지폐(S)가 통과 가능한 반송로 P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과 함께, 반사광용 도광체(14)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차광하는 차광 부재(1)를 반사광용 도광체(14)와 투과광용 도광체(21) 사이에 배치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 유닛 및 화상 판독 장치 {IMAGE SENSOR UNI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이미지 스캐너 또는 팩시밀리 등의 화상 판독 장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 유닛 및 이미지 센서 유닛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지폐, 유가 증권 등의 기록 매체의 진위 판정을 행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화상 판독 장치를 비롯하여, 특히 지폐, 유가 증권 등의 진위 판정을 행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94797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반사 판독 시에 원고가 없는 상태(예를 들어 지폐를 연속하여 판독할 때의 지폐 사이의 간극, 흠집·찢어짐 등의 파손 부분)에는, 반사형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광선이, 원고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도광체(나팔형 도광체)에 들어가서 재반사된 후, 다시 출사하여 수광 소자에 들어가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워터마크 부분의 판독 시에 워터마크 부분을 투과한 광선이 발생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미광(후술하는 반사광)은 이미지 센서 유닛의 출력에 있어서 노이즈 성분이 되어, 원고가 있는 경우의 출력 신호(신호 성분)와 미광에 의한 노이즈 성분의 차분이 작아져, 콘트라스트가 불선명해져 판독 화상의 정밀도가 저하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미광의 영향을 저감함으로써 판독 화상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 유닛 및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유닛은, 피조명체에 대하여 반사광에 의한 화상 판독과 투과광에 의한 화상 판독을 실시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으로서, 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피조명체에 대하여 조사하는 제1 도광체와,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피조명체에 대하여 조사하는 제2 도광체와, 상기 피조명체로부터의 광을 결상하는 결상 소자와, 상기 결상 소자에 의해 집광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를 갖고, 상기 제2 광원 및 상기 제2 도광체는, 상기 피조명체가 통과 가능한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제1 도광체로부터의 광의 일부를 차광하는 차광 수단을 상기 제1 도광체와 상기 제2 도광체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차광 수단은 상기 제1 도광체 및 상기 제2 도광체 중의 어느 한쪽 측에 배치되고, 소정 폭의 슬릿을 갖고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차광 수단이 상기 제2 도광체의 출사면측에 배치된 광학 필름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 각각 발광 파장이 상이하고, 상기 차광 수단이 상기 제2 도광체의 출사면측에 배치된 광학 필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광체의 출사면은 부주사 방향으로 다른 부위보다도 협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미지 센서 유닛과 상기 피조명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에 의해 상기 피조명체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광을 유효하게 차폐함으로써, 판독 대상물인 피조명체와 배경의 콘트라스트를 선명하게 하여, 높은 판독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을 구비한 화상 판독 장치의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의 화상 판독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의 투과광용 조명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차광 부재로서의 차광 시트를 구비한 예의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차광 부재를 설치한 경우의 이미지 센서 유닛의 출력 신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b)는 차광 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이미지 센서 유닛의 출력 신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차광 부재로서의 차광 시트를 구비한 다른 예의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투과광용 광원의 조명 심도 특성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반사광용 광원의 조명 심도 특성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차광 시트의 슬릿의 개구 폭과 되비침광과의 관계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지폐에 대하여 반사 판독을 실시하여 얻어진 화상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차광 부재로서의 차광 시트를 구비한 또다른 예의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차광 부재로서의 루버 필름을 구비한 예의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차광 부재로서의 광학 필터를 구비한 예의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차광 부재로서 가시광을 흡수하는 광학 필터(게르마늄층을 첨착한 커버 유리)와 백색 기준 부재를 병용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 1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차광 부재로서 가시광을 흡수하는 광학 필터(게르마늄층을 첨착한 커버 유리)와 백색 기준 부재를 병용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흑백의 농도 변화의 커브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차광 부재로서의 게르마늄층을 구비한 예의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에 있어서 차광 부재로서 투과광용 도광체 자체에 의해 구성되는 예의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센서 유닛 및 화상 판독 장치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미지 센서 유닛(10)을 구비한 화상 판독 장치(100)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우선, 이들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개략을 설명한다.
화상 판독 장치(100)는 지폐, 유가 증권 등의 기록 매체의 진위 판정을 행하는 지엽류 식별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조명체로서 전형적으로는 지폐(S)로 한다. 또한, 지폐(S)에 한하지 않고, 그 밖의 대상물에 대하여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화상 판독 장치(100)의 소정부에는 지폐(S)의 반송 방향 F로, 쌍을 이뤄서 지폐(S)를 끼우면서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101A, 101B)와 반송 롤러(102A, 102B)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들 반송 롤러(101A, 101B 및 102A, 102B)는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지폐(S)는 소정의 반송 속도로 이미지 센서 유닛(10)에 대하여 반송 방향 F로 상대적으로 반송된다.
이미지 센서 유닛(10)은 도시와 같이, 반송 롤러(101A, 101B)와 반송 롤러(102A, 102B)의 사이에서 지폐(S)가 통과 가능한 반송로(P) 상에 반송로(P)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 배치되고, 반송되는 지폐(S)의 화상을 판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 유닛(10)은 지폐(S)에 반사광식 판독용의 광을 조사하는 반사광용 조명부(11A)를 포함하는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11)와, 지폐(S)에 투과식 판독용의 광을 조사하는 투과광용 조명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판독부(11)(반사광용 조명부(11A)) 및 투과광용 조명부(12)로부터의 광을 화상 판독부(11)가 각각 판독함으로써, 지폐(S)에 대하여 반사광에 의한 화상 판독과 투과광에 의한 화상 판독을 실시할 수 있다.
화상 판독부(11)는 하우징이 되는 부재인 프레임(13) 내에, 도 1에서는 개략도에 도시된 반사광용 광원(15)(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지폐(S)의 한쪽 면(하면)의 판독 위치(판독 라인) O에 유도하는 반사광용 도광체(14)(제1 도광체)와 반사광용 도광체(14)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된 반사광용 광원(15)(도 2 참조)으로 이루어지는 반사광용 조명부(11A)를 구비한다. 또한, 지폐(S)로부터의 반사광(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과광의 경우도 포함함)을 후술하는 수광 소자(18)에 결상시키는 결상 소자로서의 로드 렌즈 어레이(16)와, 센서 기판(17) 상에 배치 고정된 수광 소자(18)와, 프레임(13)의 상부를 덮는 투명한 커버 유리(19)를 구비한다.
프레임(13)은 전형적으로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개략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 프레임(13)의 길이 방향(주주사 방향)이 된다. 여기서, 도 2는 화상 판독부(11)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프레임(13)을 비롯하여 각 부재는 주주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2에 있어서는, 프레임(13) 등의 상세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프레임(13)의 내부에는 반사광용 도광체(14), 로드 렌즈 어레이(16), 기판(17) 또한 반사광용 광원(15)을 끼워 넣는 것 등에 의해 수용 가능한 부위가 형성된다.
반사광용 도광체(14)는 아크릴계의 수지나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투명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이 예에서는 한 쌍의 반사광용 도광체(14)가 로드 렌즈 어레이(16)의 광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배치된다. 각 반사광용 도광체(14)는 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 단부면을 반사광용 광원(15)으로부터의 광이 입광하는 입광면(14a), 그의 상단부면을 내부를 전파한 광이 출사하는 반사광 출사면(14b), 반사광 출사면(14b)과 대향하는 면을 확산면(14c)으로 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광이 화살표 L1과 같이 지폐(S)의 판독 위치 O를 향하여 조사된다.
이 경우, 도 1과 같이 프레임(13)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폐(S) 측의 부위가 반사광 출사면(14b)으로서, 프레임(13)으로부터 노출되고, 이 반사광 출사면(14b)에서 집광 작용을 갖도록 지폐(S) 측으로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입광면(14a), 반사광 출사면(14b) 및 확산면(14c) 이외의 기타의 부위는 실질적으로 반사면으로서 형성된다. 입광면(14a)으로부터 입광한 광은 반사광용 도광체(14) 내로 반사 및 확산하고, 즉 그 반사면에 의해 전반사하면서 반사광용 도광체(14) 내를 전파하면서, 반사광 출사면(14b)으로부터 출사하고, 그리고 지폐(S)에 대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라인 형상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조사된다.
입광면(14a)에는 반사광용 광원(15)이 배치된다. 도 2의 도시예에서는 반사광용 도광체(14)의 일방측 단부면에 반사광용 광원(15)이 배치되지만, 반사광용 도광체(14)의 양측 단부면에 반사광용 광원(15)을 설치해도 된다. 반사광용 광원(15)으로서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이하, RGB라고 약칭함)의 발광 파장을 갖는 LED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 또한 적외선(이하, IR이라고 약칭함) 및 자외선(이하, UV라고 약칭함)을 발광하는 LED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드 렌즈 어레이(16)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정립 등배 결상형의 로드 렌즈가 주주사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지폐(S) 측에 광의 입광면을, 또한 수광 소자(18) 측에 광의 출사면을 갖는다. 이렇게 한 쌍의 반사광용 도광체(14)가 부주사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것들의 중앙 위치에 로드 렌즈 어레이(16)가 배치된다. 또한, 결상 소자는 로드 렌즈 어레이(16)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여도 된다.
수광 소자(18)는 로드 렌즈 어레이(16)의 광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지폐(S)로부터의 반사광(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과광의 경우도 포함함)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판독부(11)의 기본 동작에 있어서, 반송 롤러(101A, 101B 및 102A, 102B)에 의해, 소정의 반송 속도로 반송 방향 F로 반송되는 지폐(S)에 대하여 반사광용 광원(15)의 RGB, IR, UV 발광 소자를 순차, 점등 구동함으로써 반사광용 광원(15)을 발광시킨다. 반사광용 광원(15)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반사광용 도광체(14) 내를 전파하고, 로드 렌즈 어레이(16)를 끼운 2 방향으로부터 지폐(S)의 표면의 판독 위치 O에 대하여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 라인 형상으로 균일하게 조사된다. 이 조사광은 지폐(S)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로드 렌즈 어레이(16)를 통하여 수광 소자(18) 상에 수렴 결상된다. 이 수렴 결상된 반사광은 수광 소자(18)에 의해 전기 신호(출력 신호)로 변환된 후, 도시하지 않은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다.
이와 같이 하여 RGB, IR, UV 모든 반사광을 1 주사 라인 분 판독함으로써, 지폐(S)의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1 주사 라인의 판독 동작을 완료한다. 1 주사 라인의 판독 동작 종료 후, 지폐(S)의 부주사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술하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다음 1 주사 라인 분의 판독 동작이 행해진다. 이렇게 지폐(S)를 반송 방향 F로 반송하면서 1 주사 라인 분씩 판독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지폐(S)의 전체면이 순차 주사되어서 반사광에 의한 화상의 판독이 실시된다.
다음으로 투과광용 조명부(12)는 하우징이 되는 부재인 프레임(20) 내에, 도 1에서는 개략 도시한 투과광용 광원(22)(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지폐(S)의 다른 쪽의 면(상면)의 판독 위치(판독 라인) O에 유도하는 투과광용 도광체(21)(제2 도광체)과, 투과광용 도광체(21)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된 투과광용 광원(22)과, 프레임(20)의 하부를 덮는 투명한 커버 유리(23)를 구비한다. 또한, 투과광용 조명부(12)의 경우, 지폐(S)에 조사된 광은 지폐(S)를 투과하고, 화상 판독부(11) 내에 설치된 로드 렌즈 어레이(16)에 의해 센서 기판(17) 상의 수광 소자(18)에 결상한다.
프레임(20)은 전형적으로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개략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주주사 방향)이 된다. 여기서, 도 3은 투과광용 조명부(12)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프레임(20)을 비롯하여 각 부재는 주주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3에 있어서는, 프레임(20)의 상세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프레임(20)의 내부에는 투과광용 도광체(21)나 투과광용 광원(22)을 끼워 넣는 것 등에 의해 수용 가능한 부위가 형성된다.
투과광용 도광체(21)는 아크릴계의 수지나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투명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이 예에서는 단일 투과광용 도광체(21)가 로드 렌즈 어레이(16)의 광축 상에 있어서 지폐(S)를 끼워서 수광 소자(18)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투과광용 도광체(21)는 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 단부면을 반사광용 광원(15)으로부터의 광이 입광하는 입광면(21a), 그의 하단부면을 내부를 전파한 광이 출사하는 투과광 출사면(21b), 투과광 출사면(21b)과 대향하는 면을 확산면(21c)으로 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광이 화살표 L2와 같이 지폐(S)의 판독 위치 O를 향하여 직교 방향으로부터 조사된다.
이 경우, 도 1과 같이 프레임(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폐(S) 측의 부위가 투과광 출사면(21b)으로서, 프레임(20)으로부터 노출되고, 이 투과광 출사면(21b)에서 집광 작용을 갖도록 지폐(S) 측으로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입광면(21a) 및 투과광 출사면(21b) 이외의 기타의 부위는 실질적으로 반사면으로서 형성된다. 입광면(21a)으로부터 입광한 광은 투과광용 도광체(21) 내로 반사 및 확산하고, 즉 그 반사면에 의해 전반사하면서 투과광용 도광체(21) 내를 전파하면서, 투과광 출사면(21b)으로부터 출사하고, 그리고 지폐(S)에 대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라인 형상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조사된다.
입광면(21a)에는 투과광용 광원(22)이 배치된다. 도 3의 도시예에서는 투과광용 도광체(21)의 일방측 단부면에 투과광용 광원(22)이 배치되지만, 투과광용 도광체(21)의 양측 단부면에 투과광용 광원(22)을 설치해도 된다. 투과광용 광원(22)으로서 예를 들어 RGB 3색의 발광 파장을 갖는 LED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 또한 IR 및 UV를 발광하는 LED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투과광용 조명부(12)의 기본 동작에 있어서, 반송 롤러(101A, 101B 및 102A, 102B)에 의해, 소정의 반송 속도로 반송 방향 F로 반송되는 지폐(S)에 대하여 투과광용 광원(22)의 RGB, IR, UV 발광 소자를 순차, 점등 구동함으로써, 투과광용 광원(22)을 발광시킨다. 투과광용 광원(22)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투과광용 도광체(21) 내를 전파하고, 지폐(S)의 표면의 판독 위치 O에 대하여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 라인 형상으로 균일하게 조사된다. 이 조사광은 지폐(S)를 투과함으로써, 로드 렌즈 어레이(16)를 통하여 수광 소자(18)의 광전 변환 소자 상에 수렴 결상된다. 이 수렴 결상된 투과광은, 수광 소자(18)에 의해 전기 신호(출력 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다. 투과광에 의한 화상의 판독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여, RGB, IR, UV 모든 투과광을 1 주사 라인 분 판독함으로써, 지폐(S)의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1 주사 라인의 판독 동작을 완료한다. 1 주사 라인의 판독 동작 종료 후, 지폐(S)의 부주사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술하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다음 1 주사 라인 분의 판독 동작이 행해진다. 이렇게 지폐(S)를 반송 방향 F로 반송하면서 1 주사 라인 분씩 판독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지폐(S)의 전체면이 순차 주사되어서 투과광에 의한 화상의 판독이 실시된다.
그런데, 예를 들어 지폐(S)를 연속하여 판독할 때의 지폐(S) 사이의 간극, 흠집·찢어짐 등의 파손 부분, 또는, 워터마크 부분 등과 같이 화상 판독부(11)로부터의 광이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직접 입광하고, 그 후, 로드 렌즈 어레이(16)에 재출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미광 등을 포함하는 소위 반사광은 이미지 센서 유닛(10)의 출력에 있어서 노이즈 성분이 되어, 지폐(S)가 있는 경우의 출력 신호(신호 성분)와 미광에 의한 노이즈 성분과의 차분이 작아져, 그대로로는 콘트라스트가 불선명해져 판독 화상의 정밀도가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 유닛(10)은 화상 판독부(11)와 투과광용 조명부(12)를 갖고, 투과형 및 반사형을 병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도광체(14)와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의 사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판독부(11) 측으로부터 투과광용 조명부(12) 측으로의 광(도 4, 화살표 L)의 일부를 차폐하는 차광 수단으로서의 차광 부재(1)를 배치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차광 부재(1)는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의 투과광 출사면(21b) 측에 배치된 차광 커버 또는 차광 시트(1A)에 의해 구성된다. 이 차광 시트(1A)는 주주사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2)을 갖고, 슬릿(2)은 부주사 방향으로 소정의 개구폭 W를 갖는다.
차광 시트(1A)로서, 화상 판독부(11)의 프레임(13) 자체의 일부로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별체의 커버 부재를 부설해도 된다. 또한, 차광 시트(1A)는 별체의 시트 부재를 첨착하는 것이어도 되고, 커버 유리(23)와 일체여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차광 시트(1A)에 있어서의 화상 판독부(11) 측의 한쪽 면은 광흡수 특성을 갖고, 투과광용 조명부(12) 측의 다른 쪽의 면은 광 반사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유닛(10)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도광체(14)와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의 사이에 차광 부재(1)로서의 차광 시트(1A)를 설치함으로써, 특히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시에 화상 판독부(11) 측으로부터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들어가려고 하는 광선을, 도 4와 같이 유효하게 차폐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판독부(11) 및 투과광용 조명부(12)사이에 끼워져 있었던 반송로(P) 상에 지폐(S)가 없는 상태, 및/또는, 워터마크 부분에 대한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상태 등에 있어서, 차광 시트(1A)는 특히 유효하게 작용하여, 반사광에 기인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10)의 출력 신호 중의 노이즈 성분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의해 차광 부재(1)를 설치한 경우의 이미지 센서 유닛(10), 구체적으로는 화상 판독부(11)의 수광 소자(18)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비교예로서 차광 부재(1)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이미지 센서 유닛(10)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차광 부재(1), 이 예에서는 차광 시트(1A)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반송로(P) 상에 지폐(S)가 없는 상태, 및/또는, 워터마크 부분에 대한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상태 등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도광체(14)로부터 출사한 광이 되비침광이 되어,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도달하고, 또한 그대로 투과광 경로(화살표 L2)를 통하여 수광 소자(18)에서 수광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이미지 센서 유닛(10)의 출력 신호는, 도 5의 (b)와 같이 대폭 증가한다. 여기서, 지폐(S) 등을 판독하는 경우, 판독한 화상에 있어서 지폐(S)의 배경은 흑색이 바람직하고, 지폐(S)의 에지 검출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배경 대응 부분에서 되비침광이 수광되면, 지폐(S)와 배경과의 콘트라스트가 저하하여, 그대로로는 검출 정밀도 또는 화상 품위를 저하시켜버린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반사광을 유효하게 차폐함으로써, S/N비를 향상하여 고품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적으로는 반송로(P) 상에 지폐(S)가 없는 상태에서는 출력 신호를 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상 완전히 0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황 하에서도 상당히 이상에 가까운 형태로 반사광의 영향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도광체(14)의 반사광 출사면(14b) 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광 부재(1)는 차광 커버 또는 차광 시트(1B)에 의해 구성되고, 이 차광 시트(1B)의 슬릿(2')은 부주사 방향으로 소정의 개구폭 W'를 갖는다.
차광 시트(1B)로서,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프레임(20) 자체의 일부로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별체의 커버 부재를 부설해도 된다. 또한, 차광 시트(1B)는 별체의 시트 부재를 첨착하는 것이어도 되고, 커버 유리(19)와 일체여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차광 시트(1B)에 있어서의 화상 판독부(11) 측의 한쪽 면은 광흡수 특성을 갖고, 투과광용 조명부(12) 측의 다른 쪽의 면은 광 반사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유닛(10)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도광체(14)와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의 사이에 차광 부재(1)로서의 차광 시트(1B)를 설치함으로써, 특히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시에 화상 판독부(11) 측으로부터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들어가려고 하는 광선(도 6, 화살표 L)을 유효하게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되비침광이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광 시트(1A)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광 시트(1A) 및 차광 시트(1B)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각 우수한 차광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차광 시트(1A) 및 차광 시트(1B)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화상 판독부(11) 및 투과광용 조명부(12)의 각각 반사측 광원 및 투과측 광원의 조명 심도 특성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7은 투과측 광원의 조명 심도 특성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조명 심도(도 7, 횡축 z)와 상대 조도(도 7, 종축)의 관계를, 차광 시트(1A)(도 4 참조)의 슬릿(2)의 개구폭 W를 변화시켜서 표현한 것이다. 이 경우, 개구폭 W를 1.5 mm 내지 10.0 mm의 범위에서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조명 심도 z(mm)는 구체적으로는, 투과측 광원의 커버 유리(23)와 반사측 광원의 커버 유리(19) 상호의 간극이 2 mm이며, 그 중심부에 초점(핀트)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광 시트(1A)는 되비침광의 침입 방지 작용의 점에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데, 개구폭 W를 1.5 mm 정도까지 너무 좁게 하면 조도가 불충분해지고, 따라서 차광 시트(1A)의 슬릿(2)의 개구폭 W는 최저 2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도 8은, 반사측 광원의 조명 심도 특성에 대해서, 조명 심도와 상대 조도의 관계를, 차광 시트(1B)(도 6 참조)의 슬릿(2')의 개구폭 W'를 변화시켰을 때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개구폭 W'를 5.0 mm 내지 10.0 mm의 범위에서 변화시키고 있다. 차광 시트(1B)에 대해서도 우수한 반사광 침입 방지 기능을 갖지만, 그의 개구폭 W'로서는 6.0 mm 정도까지 너무 좁게 하면 조도가 불충분해지고, 따라서 차광 시트(1B)의 슬릿(2')의 개구폭 W'는 최저 6.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는 차광 시트(1A) 및 차광 시트(1B)의 슬릿(2, 2')의 개구폭 W, W'와 되비침광과의 관계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투과광용 조명부(12) 측(투)의 차광 시트(1A)의 슬릿(2)의 개구폭 w를 1.5 mm 내지 3.0 mm의 범위에서, 또한 화상 판독부(11) 측(반)의 차광 시트(1B)의 슬릿(2')의 개구폭 W'를 6.0 mm 내지 7.5 mm의 범위에서 각각 변화시키고, 그리고 투과측 광원에 입광하는 광량을 비교한 것이다. 차광 시트(1A) 및 차광 시트(1B) 모두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반사광의 광량을 기준값 1.00이라고 하고 이것에 대한 비율이 각각 나타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광을 유효하게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차광 시트(1A)의 슬릿(2)의 개구폭 W로서 2.0 mm 내지 3.0 mm이고, 차광 시트(1B)의 슬릿(2')의 개구폭 W'로서 6.5 mm 내지 7.5 mm인 범위 P가 적당하다. 이 중 특히 차광 시트(1A)의 슬릿(2)의 개구폭 w=2.5 mm이고, 차광 시트(1B)의 슬릿(2')의 개구폭 W'=7.0 mm가 최적이다.
여기서 도 10은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 유닛(10)을 구비한 화상 판독 장치(100)의 화상 판독부(11)에 있어서, 지폐(S)에 대하여 반사 판독을 실시하여 얻어진 화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폐(S) 등이 판독한 화상에 있어서 지폐(S)의 배경은 흑색이 바람직하고, 지폐(S)의 에지 검출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광을 유효하게 차폐하여 그의 영향을 저감함으로써, 지폐(S)와 배경과의 콘트라스트를 선명하게 하여, 높은 검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은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도광체(14)와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1)로서,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재에는 적절히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차광 부재(1)는 투과광용 조명부(12)에 있어서, 그 투과광용 도광체(21)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경사져서 배치된 차광 시트(1C)에 의해 구성된다. 차광 시트(1C)는 주주사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2)을 갖고, 슬릿(2)은 부주사 방향으로 소정의 개구폭 W를 갖는다.
이 예에 있어서 특히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시에 반송로(P) 상에 지폐(S)가 없는 상태, 및/또는, 워터마크 부분에 대한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상태 등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11) 측으로부터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들어가려고 하는 광선(도 11, 화살표 L)을 차광 시트(1C)에 의해 반사시킴으로써, 유효하게 차폐할 수 있다. 또한, 투과광용 조명부(12)에 있어서 투과광용 광원(22)으로부터 투과광용 도광체(21)에 입광한 광은, 도 11의 화살표 L2와 같이 지폐(S)를 향하여 조사된다.
도 12는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도광체(14)와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1)로서, 또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차광 부재(1)는 투과광용 조명부(12)에 있어서, 예를 들어 커버 유리(23)에 첨착된 루버 필름(1D)에 의해 구성된다. 루버 필름(1D)의 루버는 로드 렌즈 어레이(16)의 광축 방향을 지향하여 형성된다.
이 예에 있어서 특히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시에 반송로(P) 상에 지폐(S)가 없는 상태, 및/또는, 워터마크 부분에 대한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상태 등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11) 측으로부터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들어가려고 하는 광선(도 12, 화살표 L)은 루버 필름(1D)에 의해 유효하게 차폐된다. 또한, 투과광용 조명부(12)에 있어서 투과광용 광원(22)으로부터 투과광용 도광체(21)에 입광한 광은, 도 12의 화살표 L2와 같이 지폐(S)를 향하여 조사된다. 그 광은 또한, 루버 필름(1D)의 루버의 사이를 통하여 지폐(S)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루버 필름(1D)으로서 투명층과 차광층이 교대로 배치되어서 성형된 것이어도 상관없고, 블라인드 형상으로 차광판이 설치된 구조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의 경우의 이외에 예를 들어 커버 유리(23)에, 로드 렌즈 어레이(16)의 광축 근방이 평탄하고, 이 평탄부보다도 외측이 부주사 방향으로 톱니 형상으로 성형된 프레넬 렌즈 형상을 붙여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도시하지 않음)을 첨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광학 필름에 의하면 프레넬 렌즈부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11) 측으로부터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들어가려고 하는 광선을 유효하게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반사광용 도광체(14)의 반사광 출사면(14b) 측과 투과광용 도광체(21)의 투과광 출사면(21b) 측에 각각 편광 필터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편광각을 직교시킴으로써 화상 판독부(11) 측으로부터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들어가려고 하는 광선을 유효하게 차폐할 수 있다.
도 13은,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도광체(14)와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1)로서, 또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차광 부재(1)는 투과광용 조명부(12)에 있어서, 예를 들어 커버 유리(23)에 첨착된 광학 필터(1E)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광원(15)의 발광 파장과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광원(22)의 발광 파장이 상이하고, 광학 필터(1E)는 반사광용 광원(15), 즉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도광체(14)로부터 출사된 광을 흡수함과 함께, 투과광용 광원(22) 즉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로부터 출사된 광에 대해서는 투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특히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시에 반송로(P) 상에 지폐(S)가 없는 상태, 및/또는, 워터마크 부분에 대한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상태 등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11) 측으로부터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들어가려고 하는 광선(도 13, 화살표 L)은 광학 필터(1E)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유효하게 차폐된다. 또한, 투과광용 조명부(12)에 있어서 투과광용 광원(22)으로부터 투과광용 도광체(21)에 입광한 광은, 도 13의 화살표 L2와 같이 지폐(S)를 향하여 조사된다. 그 광은 또한, 광학 필터(1E)를 투과하여 지폐(S)에 도달한다.
상기의 경우,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광원(15)의 발광 파장과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광원(22)의 발광 파장의 조합의 예로서, 예를 들어 반사광용 광원(15)이 녹색광이고, 투과광용 광원(22)이 적색광으로 한다. 그리고, 녹색광을 흡수하는 광학 필터(1E)를 사용함으로써 적색광은 투과하지만, 녹색광은 흡수하는 작동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터(1E)에 있어서 흡수된 파장은 투과광으로서 사용을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가시광을 흡수하는 광학 필터(1E)를 사용한 경우, 투과광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파장은 IR, UV가 된다.
반사광용 광원(15)이 가시광이고, 투과광용 광원(22)이 적외광으로 한다. 그리고, 가시광을 흡수하는 광학 필터(1E)를 사용함으로써 적외광은 투과하지만, 가시광은 흡수하는 작동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필터(1E)를 투과광용 조명부(12) 측에 배치함으로써, 지폐(S)의 표면의 판독 위치 O에 걸친 흑색의 배경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지폐(S)의 에지 검출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이점을 발휘한다.
또한, 예를 들어 백색 기준값을 얻기 위하여 백색 기준 부재(30)를 사용한 경우, 광학 필터(1E)와 백색 기준 부재(30)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백색 기준값을 얻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흑백의 농도 변화의 커브를 취득함으로써, 반사광용 조명부(11A)와 투과광용 조명부(12) 위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도 14의 (a), 도 14의 (b), 도 15 참조). 이때 부주사 방향에서의 광학 필터(1E)의 폭은 로드 렌즈 어레이(16)의 렌즈의 직경 이상이며, 주주사 방향에서는 백색 기준 부재(30)와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색 기준값이란 쉐이딩 보정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기준값으로서, 백색이 균일한 농도 분포를 갖는 화상에 대한 데이터이다. 쉐이딩 보정은 지폐(S)의 계조의 재현성을 높이기 위하여 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지폐(S)에의 조사광을 적정화하는 광량 조정과, 수광 소자(18)의 화상 신호 출력에 대한 증폭률을 적정화하는 게인 조정을 행한다. 또한, 반사광용 광원(15)·투과광용 광원(22)·로드 렌즈 어레이(16)의 광량 불균일이나 수광 소자(18)의 감도 불균일을 화소 단위로 보정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다.
도 16은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도광체(14)와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1)로서, 또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차광 부재(1)는 투과광용 조명부(12)에 있어서, 예를 들어 커버 유리(23)에 첨착된 게르마늄층(1F)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광원(15)의 발광 파장과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광원(22)의 발광 파장이 상이하고, 게르마늄층(1F)은 반사광용 광원(15), 즉 화상 판독부(11)의 반사광용 도광체(14)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함과 함께, 투과광용 광원(22) 즉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로부터 출사된 광에 대해서는 투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차광 부재(1)가 게르마늄층(1F)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반사광용 광원(15)으로부터의 가시광이 반사됨과 함께, 투과광용 광원(22)으로부터의 적외광이 투과된다.
이 예에 있어서 특히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시에 반송로(P) 상에 지폐(S)가 없는 상태, 및/또는, 워터마크 부분에 대한 화상 판독부(11)에 의한 판독 상태 등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11) 측으로부터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들어가려고 하는 광선(도 16, 화살표 L)은 경면 상태로 되어 있는 게르마늄층(1F)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유효하게 차폐된다. 또한, 투과광용 조명부(12)에 있어서 투과광용 광원(22)으로부터 투과광용 도광체(21)에 입광한 광은, 도 16의 화살표 L2와 같이 지폐(S)를 향하여 조사된다. 그 광은 또한, 게르마늄층(1F)을 투과하여 지폐(S)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게르마늄층(1F)을 첨착한 커버 유리(23)를 사용한 경우, 투과광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파장은 IR가 된다. 이로 인해, 백색 기준 부재(30)를 병용함으로써 상술한 광학 필터(1E)를 사용한 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커버 유리(23)를 게르마늄으로 형성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광 부재(1)로서, 별체(프레임(20), 커버 유리(19) 및 커버 유리(23)와 일체인 경우를 포함함)로 구성한 예를 설명하였다. 이렇게 별체 구성의 경우의 이외에,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 자체에 의해 동등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투과광용 도광체(21)의 투과광 출사면(21b)의 부주사 방향을 따른 폭 w는, 투과광용 도광체(21) 자체의 다른 부위보다도 협폭이다.
투과광용 도광체(21)의 투과광 출사면(21b)의 폭 w를 협폭으로 함으로써, 화상 판독부(11) 측으로부터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들어가려고 하는 광선(도 17, 화살표 L)은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대하여 매우 입광하기 어려워진다. 즉,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들어가려고 하는 광을 실질적으로 차광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광용 도광체(21)의 측면(21c), 화상 판독부(11) 측으로부터 투과광용 조명부(12)의 투과광용 도광체(21)에 들어가려고 하는 광선(도 17, 화살표 L)에 대하여 이것을 정반사하도록 각도 설정된다.
투과광용 도광체(21)의 측면(21c)을 이렇게 성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차광 부재(1)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체적 수치 등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그것들의 수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차광 부재
1A, 1B, 1C: 차광 시트
1D: 루버 필름
1E: 광학 필터
1F: 게르마늄층
2, 2': 슬릿
10: 이미지 센서 유닛
11: 화상 판독부
12: 투과광용 조명부
13, 20: 프레임
14: 반사광용 도광체(제1 도광체)
15: 반사광용 광원(제1 광원)
16: 로드 렌즈 어레이
17: 센서 기판
18: 수광 소자
21: 투과광용 도광체(제2 도광체)
22: 투과광용 광원(제2 광원)
100: 화상 판독 장치
P: 반송로
S: 지폐(피조명체)

Claims (6)

  1. 피조명체에 대하여 반사광에 의한 화상 판독과 투과광에 의한 화상 판독을 실시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이며,
    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피조명체에 대하여 조사하는 제1 도광체와,
    상기 제1 도광체와는 상기 피조명체가 통과 가능한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피조명체에 대하여 조사하는 제2 도광체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 중 상기 피조명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 또는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 중 상기 피조명체를 투과한 투과광을 결상하는 결상 소자와,
    상기 결상 소자에 의해 집광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를 갖고,
    상기 제1 도광체와 상기 제2 도광체의 사이, 또한 상기 반송로보다 상기 제1 도광체측에, 제1 편광 필터를 배치하고,
    상기 제1 도광체와 상기 제2 도광체의 사이, 또한 상기 반송로보다 상기 제2 도광체측에, 제2 편광 필터를 배치하고,
    상기 제1 편광 필터와 상기 제2 편광 필터의 편광각이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
  2. 피조명체에 대하여 반사광에 의한 화상 판독과 투과광에 의한 화상 판독을 실시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이며,
    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피조명체에 대하여 조사하는 제1 도광체와,
    상기 제1 도광체와는 상기 피조명체가 통과 가능한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피조명체에 대하여 조사하는 제2 도광체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 중 상기 피조명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 또는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 중 상기 피조명체를 투과한 투과광을 결상하는 결상 소자와,
    상기 결상 소자에 의해 집광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를 갖고,
    상기 제1 도광체와 상기 제2 도광체의 사이, 또한 상기 반송로보다 상기 제2 도광체측에, 상기 결상 소자의 광축 방향과 평행한 루버가 설치된 루버 필름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
  3. 피조명체에 대하여 반사광에 의한 화상 판독과 투과광에 의한 화상 판독을 실시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이며,
    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피조명체에 대하여 조사하는 제1 도광체와,
    상기 제1 도광체와는 상기 피조명체가 통과 가능한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피조명체에 대하여 조사하는 제2 도광체와,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 중 상기 피조명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 또는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 중 상기 피조명체를 투과한 투과광을 결상하는 결상 소자와,
    상기 결상 소자에 의해 집광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를 갖고,
    상기 제1 광원은 적외광 이외의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2 광원은 적외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2 도광체의 출광면측에 게르마늄층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이며,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과 상기 피조명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이미지 센서 유닛에 의해 상기 피조명체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20086906A 2011-08-09 2012-08-08 이미지 센서 유닛 및 화상 판독 장치 KR101395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4375 2011-08-09
JP2011174375 2011-08-09
JP2012161534A JP5536150B2 (ja) 2011-08-09 2012-07-20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JP-P-2012-161534 2012-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618A KR20130018618A (ko) 2013-02-25
KR101395985B1 true KR101395985B1 (ko) 2014-05-16

Family

ID=4669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906A KR101395985B1 (ko) 2011-08-09 2012-08-08 이미지 센서 유닛 및 화상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97609B2 (ko)
EP (1) EP2557769A1 (ko)
JP (1) JP5536150B2 (ko)
KR (1) KR101395985B1 (ko)
CN (2) CN1029306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1346A4 (en) 2009-12-28 2015-07-29 Canon Components Kk CONTACT IMAGE SENSOR UNIT AND PICTURE READER THEREWITH
JP5139507B2 (ja) 2010-12-10 2013-02-06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204207B2 (ja) 2010-12-17 2013-06-05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5244952B2 (ja) 2010-12-21 2013-07-24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384471B2 (ja) 2010-12-28 2014-01-08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400188B2 (ja) 2011-05-11 2014-01-29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US9094562B2 (en) * 2011-08-09 2015-07-28 Canon Components, Inc. Image sensor uni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ing the image sensor unit
JP5384707B2 (ja) 2011-08-09 2014-01-08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5536150B2 (ja) * 2011-08-09 2014-07-02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518953B2 (ja) 2011-08-09 2014-06-11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5959001B2 (ja) * 2012-07-20 2016-08-02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ト状物の検査装置
JP5856994B2 (ja) * 2013-03-28 2016-02-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5817779B2 (ja) * 2013-04-23 2015-11-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導光体、照明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CN103414838B (zh) * 2013-06-20 2015-12-23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图像扫描装置及其控制方法
CN106134171B (zh) * 2014-03-17 2019-06-14 三菱电机株式会社 照明装置及图像读取装置
JP6060937B2 (ja) * 2014-06-06 2017-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6081407B2 (ja) * 2014-06-12 2017-02-15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回路基板
TWI656085B (zh) * 2015-01-16 2019-04-1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列印裝置
CN105872279B (zh) * 2015-02-10 2018-11-09 佳能元件股份有限公司 图像传感器单元、纸张识别装置、图像读取以及形成装置
JP6533417B2 (ja) 2015-06-03 2019-06-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6625125B2 (ja) * 2015-06-04 2019-12-25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紙葉類識別装置、画像読取装置
JP1553846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2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8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5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4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7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7S (ko) * 2015-06-18 2016-07-11
JP6579863B2 (ja) 2015-08-27 2019-09-25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読取装置および透過光源ユニット
CN106056749A (zh) * 2016-07-15 2016-10-2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检测装置
JP6235765B1 (ja) * 2017-03-23 2017-11-22 株式会社ヴィーネックス 紫外線蛍光色検出装置及び紫外線蛍光色検出方法
CN110785988B (zh) * 2017-06-28 2022-02-22 三菱电机株式会社 导光体及图像读取装置
US20200359915A1 (en) * 2018-01-15 2020-11-19 Sony Corporation Biological information obtaining device, biological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wearable device
EP3781502A4 (en) * 2018-04-20 2022-02-09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SPRING DETECTION SYSTEM
JP7185439B2 (ja) * 2018-08-01 2022-12-07 株式会社ヴィーネックス 光ラインセンサユニット
CN112740411A (zh) * 2019-01-22 2021-04-3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图像传感器及其制造方法
TWI749814B (zh) 2020-10-16 2021-12-1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多模式掃描裝置
TWI768509B (zh) * 2020-10-16 2022-06-2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執行不可見光反射的多模式掃描裝置
TWI778430B (zh) * 2020-10-16 2022-09-2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執行平台式掃描的多模式掃描裝置
CN114429690A (zh) * 2022-03-15 2022-05-03 温州铂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光谱的纸币检验装置及点钞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7819A (ja) 1999-04-26 2000-11-02 Glory Ltd 多波長光源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64385A (ja) 2005-12-13 2007-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読取装置
US20090027743A1 (en) 2007-07-24 200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9301200A (ja) 2008-06-11 200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9014B2 (ja) * 1986-03-19 1997-11-1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内視鏡装置
US4991030A (en) * 1986-07-07 1991-02-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capable of reading a projected image and having means for diffusing the projected luminous flux
FR2655799A1 (fr) * 1989-12-11 1991-06-14 Edery Aime Dispositif d'analyse de documents.
US5119232A (en) * 1990-12-17 1992-06-02 Hughes Aircraft Company Infrared-transmissive optical window
EP0557891A1 (en) * 1992-02-28 1993-09-01 Kabushiki Kaisha Toshiba Contact-type image sensor for generating electric signals corresponding to an image formed on a document
JPH07225434A (ja) * 1994-02-14 1995-08-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読取装置
JPH08223417A (ja) 1995-02-10 1996-08-30 Fuji Xerox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1518241A (ja) * 1995-06-07 2001-10-09 ストリカー・コーポレーション 可視光エネルギーと赤外線光エネルギーを別個に処理する画像システム
JPH0974465A (ja) 1995-07-04 1997-03-18 Ricoh Co Ltd 原稿読取装置
JP3666969B2 (ja) 1996-02-08 2005-06-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光源ユニット
US6191873B1 (en) 1996-11-25 2001-02-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H10285330A (ja) 1997-04-11 1998-10-23 Rohm Co Ltd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JP3999315B2 (ja) * 1997-08-29 2007-10-31 ローム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メージセンサ
US7683926B2 (en) * 1999-02-25 2010-03-23 Visionsense Ltd. Optical device
DE19923557B4 (de) * 1999-05-21 2006-07-13 Daimlerchrysler Ag Gebauter luftspaltisolierter Abgaskrümmer einer Abgasanlage eines Kraftfahrzeuges und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01005122A (ja) 1999-06-18 2001-01-12 Canon Inc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イメージセンサ、原稿読取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
US6635011B1 (en) * 2000-01-14 2003-10-21 Pentax Corporation Electronic endoscope system
US6527440B1 (en) * 2000-08-31 2003-03-04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Optical power generator system condition status indicator and methods of indicating same
US7382500B2 (en) * 2001-03-15 2008-06-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ariable reflectance cover
JP2003037717A (ja) 2001-07-23 2003-02-07 Ricoh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046726A (ja) 2001-07-30 2003-02-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紙葉類の印刷パターン読取装置
JP2003281913A (ja) 2002-03-22 2003-10-03 Nippon Sheet Glass Co Ltd 照明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4146870A (ja) 2002-10-21 2004-05-20 Nippon Sheet Glass Co Ltd ライン照明装置およびこのライン照明装置を組み込んだ画像読取装置
JP2004326624A (ja) 2003-04-25 2004-11-18 Aruze Corp 識別センサ
JP3885088B2 (ja) 2003-11-27 2007-02-21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ー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5223424A (ja) 2004-02-03 2005-08-18 Canon Components Inc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その実装方法
JP4575720B2 (ja) * 2004-07-23 2010-11-04 Hoya株式会社 電子内視鏡システム
US7365268B2 (en) * 2004-12-30 2008-04-29 Edsal Manufacturing Co., Inc. Storage receptacle
JP2006311232A (ja) 2005-04-28 2006-11-09 Seiko Epson Corp 撮像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60268346A1 (en) 2005-05-27 2006-11-30 Visioneer, Inc. A Wholly Owned Subsidiary Of Soque Holding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ghosting or reverse side reflection in a scanned document
US8199377B2 (en) * 2005-06-07 2012-06-12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Image sensor and image reading device
WO2006137263A1 (ja) 2005-06-21 2006-12-28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イメージセンサ、画像読取装置及び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
JP4123266B2 (ja) 2005-10-24 2008-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
JP4578528B2 (ja) 2006-01-05 2010-11-10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ライン照明装置、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及び画像読取装置
JP4522952B2 (ja) 2006-01-18 2010-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07249475A (ja) * 2006-03-15 2007-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読取装置及び紙幣読取方法
US20070285740A1 (en) 2006-05-02 2007-12-13 Rohm Co., Ltd. Image sensor module
JP2008042425A (ja) 2006-08-04 2008-02-21 Rohm Co Ltd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
JP2007300536A (ja) 2006-05-02 2007-11-15 Rohm Co Ltd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22384B2 (ja) * 2006-05-25 2009-0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および複合機
JP4424336B2 (ja) * 2006-07-20 2010-03-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
JPWO2008013234A1 (ja) 2006-07-27 2009-12-17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ライン状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5116273B2 (ja) * 2006-09-19 2013-01-09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遮光材、フレア光の遮蔽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785690B2 (ja) 2006-09-19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
JP5030530B2 (ja) 2006-10-30 2012-09-19 株式会社ヴィーネックス 発光素子アレイおよび紙葉類の認識装置
JP2008124788A (ja) 2006-11-13 2008-05-29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
JP2009086488A (ja) 2007-10-02 2009-04-23 Rohm Co Ltd 線状光源装置、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
US8442091B2 (en) * 2007-10-25 2013-05-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icrochannel laser having microplasma gain media
US7796310B2 (en) * 2007-10-31 2010-09-14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s well as storage medium
JP5233625B2 (ja) 2008-12-04 2013-07-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246825B1 (en) 2009-04-28 2014-10-08 Banqit AB Method for a banknote detector device, and a banknote detector device
JP4868062B2 (ja) 2009-12-10 2012-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EP2521346A4 (en) 2009-12-28 2015-07-29 Canon Components Kk CONTACT IMAGE SENSOR UNIT AND PICTURE READER THEREWITH
JP5548017B2 (ja) * 2010-04-21 2014-07-16 株式会社Pfu 画像読取装置
JP5587025B2 (ja) * 2010-04-28 2014-09-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導光体並びに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及び原稿読取装置
US20110286054A1 (en) * 2010-05-19 2011-11-24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Reading head
JP5204207B2 (ja) 2010-12-17 2013-06-05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5244952B2 (ja) 2010-12-21 2013-07-24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384471B2 (ja) * 2010-12-28 2014-01-08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400188B2 (ja) 2011-05-11 2014-01-29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5518953B2 (ja) 2011-08-09 2014-06-11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5384707B2 (ja) 2011-08-09 2014-01-08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5536150B2 (ja) * 2011-08-09 2014-07-02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7819A (ja) 1999-04-26 2000-11-02 Glory Ltd 多波長光源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64385A (ja) 2005-12-13 2007-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読取装置
US20090027743A1 (en) 2007-07-24 200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9301200A (ja) 2008-06-11 200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30631A (zh) 2013-02-13
JP2013055646A (ja) 2013-03-21
CN202870958U (zh) 2013-04-10
US20130038913A1 (en) 2013-02-14
EP2557769A1 (en) 2013-02-13
US8797609B2 (en) 2014-08-05
JP5536150B2 (ja) 2014-07-02
CN102930631B (zh) 2015-03-18
KR20130018618A (ko) 201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985B1 (ko) 이미지 센서 유닛 및 화상 판독 장치
KR101396073B1 (ko) 이미지 센서 유닛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KR101600207B1 (ko) 이미지 센서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JP5518820B2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13055648A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6579863B2 (ja) 読取装置および透過光源ユニット
JP6207359B2 (ja) 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紙葉類識別装置
US10574852B2 (en) Imaging optical mechanism, reading modul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JP5820845B2 (ja) 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紙葉類識別装置
JP5100584B2 (ja) 照明系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7076309B2 (ja) 光ラインセンサユニット
JP7198318B1 (ja) 紙幣鑑別用光学センサ装置
JPH11112735A (ja) 画像読取り装置
JP2016005130A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および紙葉類識別装置
JP2019126019A (ja) 結像光学機構、読取モジュール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05084373A (ja) 画像読取装置
KR20210090804A (ko) 스캐너의 광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구조
JP2013030100A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紙葉類識別装置
JP2000295426A (ja) 画像読取装置
JPH06237338A (ja) 画像読取光学装置
JP2012239031A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2006295658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