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814B1 -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814B1
KR101394814B1 KR1020110122750A KR20110122750A KR101394814B1 KR 101394814 B1 KR101394814 B1 KR 101394814B1 KR 1020110122750 A KR1020110122750 A KR 1020110122750A KR 20110122750 A KR20110122750 A KR 20110122750A KR 101394814 B1 KR101394814 B1 KR 10139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rylic resin
parts
acrylic
impact mo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034A (ko
Inventor
신창학
이응기
박구일
황덕율
이민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10122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814B1/ko
Priority to CN201280057531.3A priority patent/CN103946284B/zh
Priority to US14/356,994 priority patent/US9206294B2/en
Priority to PCT/KR2012/009832 priority patent/WO2013077612A1/ko
Priority to JP2014542256A priority patent/JP6101280B2/ja
Priority to TW101143534A priority patent/TWI468457B/zh
Publication of KR20130057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08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e.g. PMA, i.e. polymethyl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4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4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열 성형 후에도 광택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명성,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수지 필름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및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5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ACRYLIC RESIN FILM WITH EXCELLENT TRANSPARENCY AND IMPACT RESISTAN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열 성형 후에도 광택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명성,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 수지는 투명성과 내후성이 우수하며 전자제품 하우징이나 데코레이션 필름의 외곽 층으로 사용되는 등 산업전반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압출이나 캐린더링 공정을 통해 아크릴계 시트(sheet)나 필름(film) 상으로 제막하여 금속, 나무 등에 라미네이트(laminate)되어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필름은 깨짐성에 약하고, 신율이 떨어져 라미네이트용 필름으로 사용되는데 문제가 있다. 깨짐성을 보완하고 신율을 높이기 위해, 부타디엔(butadiene)계열의 충격 보강제(impact modifier)를 쓸 경우, 신율은 좋아지나 투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량에 따라 표면의 조도(roughness)가 커져서 필름의 조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62817호(2002.07.31일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아크릴계 수지 적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적층 성형품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 성형 후에도 고광택을 확보할 수 있으며, 표면 품질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광택 및 우수한 표면 품질을 갖는 아크릴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및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5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제조 방법은 (a)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및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수지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지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수지 필름은 고유동성 아크릴 수지, 고강성 아크릴 수지 및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impact modifier)를 컴파운딩 함으로써, 열 성형 후에도 고광택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가공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수지 필름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수지 필름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및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5 ~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는 평균 분자량 10만 이하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70 ~ 90 중량부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30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는 평균 분자량 15만 이상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65 ~ 85 중량부,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35 ~ 15 중량부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5~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는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acrylate)로 이루어지며, 코어-셀(core-shell)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는 평균 직경 200 ~ 300nm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수지 필름은 부틸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충격 보강제를 이용하여, 아크릴계 수지와의 상용성을 극대화하고,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성 및 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크릴 수지 필름은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의 함량 조절을 통하여, 광학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신율 및 표면 광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수지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수지 필름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아크릴 수지 필름 제조 방법은 혼합 단계(S110), 성형 단계(S120) 및 건조 단계(S130)를 포함한다.
혼합
혼합 단계(S110)에서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및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형성한다.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 및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는 일정한 유동성 및 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범위로 혼합될 때 내충격성이 유지되고 내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는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의 함량이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의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의 함량이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의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급격한 표면 광택의 감소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이때,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는 평균 분자량 10만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5 ~ 10만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70 ~ 90 중량부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30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로 공중합되어 있을 때, 고유동성을 가지면서, 내충격성이 유지되고 내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는 평균 분자량 15만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 25만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65 ~ 85 중량부,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35 ~ 15 중량부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5~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를 공중합 함에 있어서 고상 중합을 통해 중합을 할 경우 평균 분자량 15만 이상의 고분자량의 고분자를 합성할 수 있으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스타이렌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일 때, 고강성을 가지면서, 내충격성이 유지되고 내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는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acrylate)를 주성분으로 하며, 코어-셀(core-shell)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는 평균 직경 200 ~ 300nm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코어(core)는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acrylate)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셀(shell)은 코어에 부착되며, 부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의 평균 직경이 200nm 미만일 경우에는 충격발현이 되지 않아 내충격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의 평균 직경이 300nm를 초과할 경우에서는 내 백화성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성형
성형 단계(S120)에서는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수지 성형물을 형성한다.
이때, 수지 성형물의 성형 방법으로는 용융 유연법이나, T-다이(die) 법, 캘린더법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중 T-다이(die) 법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성형물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00㎛를 가질 수 있다. T-다이 법을 이용하여 수지 성형물을 형성할 경우, 일반적으로 100㎛ 이상의 필름에서는 T-다이에서 나온 수지 성형물을 금속형 경면 터치 롤을 이용하여 가공하게 되면 표면 조도(roughness)를 줄일 수 있고 헤이즈(Haze)가 낮은 필름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100㎛ 이하에서는 경면 터치 롤의 활용이 힘들며, 수지 성형물을 연신해서 두께 조절을 할 경우, 표면 조도(roughness)에 의해 헤이즈가 높아 질 수 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캐리어 타입의 경면 롤을 채용함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는 프레스 롤이나 스틸벨트 타입의 롤을 채용하여도 헤이즈가 최소화된 필름을 만들 수 있다.
한편, 용융 압출은 200 ~ 300℃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압출시, 용융 온도가 200℃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용융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용융 온도가 3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원재료의 탄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고분자 분자의 분해를 야기할 수 있다.
건조
건조 단계(S130)에서는 수지 성형물을 50 ~ 70℃에서 3 ~ 5시간 동안 건조한다.
본 단계에서, 건조 온도가 50℃ 미만이거나, 건조 시간이 3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건조 온도가 90℃를 초과하거나, 또는 건조 시간이 5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건조 온도 및 시간으로 인해 제품의 형상에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S110 ~ S130)으로 제조되는 아크릴 수지 필름은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 및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impact modifier)를 컴파운딩(compounding)함으로써, 열 성형 시에도 고광택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시료 제조
실시예 1
멜트 인덱스가 10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80 중량%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20 중량%로 이루어진 고유동성 아크릴 수지 400g에, 멜트 인덱스가 1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75 중량%,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19 중량%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6 중량%로 이루어진 고강성 아크릴 수지 400g, 평균 직경 250nm인 부틸아크릴레이트 충격 보강제 200g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50℃에서 용융 압출한 후, 6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100㎛ 두께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멜트 인덱스가 10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80 중량%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20 중량%로 이루어진 고유동성 아크릴 수지 450g에, 멜트 인덱스가 1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75 중량%,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19 중량%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6 중량%로 이루어진 고강성 아크릴 수지 450g, 평균 직경 250nm인 부틸아크릴레이트 충격 보강제 100g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50℃에서 용융 압출한 후, 6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100㎛ 두께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멜트 인덱스가 10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80 중량%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20 중량%로 이루어진 고유동성 아크릴 수지 475g에, 멜트 인덱스가 1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75 중량%,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19 중량%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6 중량%로 이루어진 고강성 아크릴 수지 475g, 평균 직경 250nm인 부틸아크릴레이트 충격 보강제 50g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50℃에서 용융 압출한 후, 6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100㎛ 두께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멜트 인덱스가 10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80 중량%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20 중량%로 이루어진 고유동성 아크릴 수지 1000g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50℃에서 용융 압출한 후, 6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100㎛ 두께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멜트 인덱스가 1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75 중량%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25 중량%로 이루어진 고유동성 아크릴 수지 1000g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50℃에서 용융 압출한 후, 6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100㎛ 두께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평균 직경 250nm인 부틸아크릴레이트 충격 보강제 1000g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50℃에서 용융 압출한 후, 6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100㎛ 두께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멜트 인덱스가 10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80 중량%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20 중량%로 이루어진 고유동성 아크릴 수지 800g에, 평균 직경 250nm인 부틸아크릴레이트 충격 보강제 200g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50℃에서 용융 압출한 후, 6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100㎛ 두께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멜트 인덱스가 1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75 중량%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25 중량%로 이루어진 고유동성 아크릴 수지 800g, 평균 직경 250nm인 부틸아크릴레이트 충격 보강제 200g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50℃에서 용융 압출한 후, 6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100㎛ 두께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평균 직경 100nm인 부틸아크릴레이트 충격 보강제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멜트 인덱스가 10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80 중량%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20 중량%로 이루어진 고유동성 아크릴 수지 250g에, 멜트 인덱스가 1g/10min(230℃)이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75 중량%,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19 중량%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6 중량%로 이루어진 고강성 아크릴 수지 250g, 평균 직경 250nm인 부틸아크릴레이트 충격 보강제 500g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50℃에서 용융 압출한 후, 6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100㎛ 두께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2. 물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 3, 비교예 1 ~ 2 및 비교예 7에 따른 시료들에 대한 광택도 및 열성형 후 광택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6에 따른 시료들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인장강도
ASTM 638 규격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2) 광택도
글로스미터(Glossmeter)로 60° 각도에서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3) 열 성형 후 광택도
열 성형시 필름이 실질적으로 받는 온도(150 ~ 200℃)보다 높은 210℃의 오븐에서 압출기로 제조된 필름을 투입하고, 1분, 3분 및 5분 후에 필름을 각각 꺼내서 글로스미터(Glossmeter)로 60° 각도에서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4) 신율
Zwick/Roell 사의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Z010)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측정하였다. 시료는 폭 10mm로 득본을 제작하여 인장속도 100mm/min으로 측정하였다.
(5) 투과율
ASTM D1003 방법에 준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6) 내충격성
ASTM D785에 준거하여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 : 0℃, 시험편 : 12.7(폭)×64(길이)×3.2mm(두께)
◎ : 측정값 151 ~ 170 J/m
O : 측정값 141 ~ 150 J/m
△ : 측정값 121 ~ 140 J/m
X : 측정값 120 J/m 이하
[표 1]
Figure 112011092749434-pat00001

[표 2]
Figure 112011092749434-pat00002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 3에 따른 시료들의 경우, 광택도와 열성형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광택도 간에 큰 편차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 ~ 3에 따른 시료들의 경우, 적정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신율, 투과율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3에 따른 시료의 경우에는 제막 자체가 되지 않았다. 그리고, 비교예 7에 따른 시료의 경우와 같이, 부틸아크릴레이트 충격 보강제를 50% 이상으로 과량 첨가하게 되면 표면 광택은 점차 떨어지며, 열성형 후 광택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급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시료들의 경우에는 열성형에 따른 광택의 변화는 없으나, 내충격성이 매우 취약하며 신율이 낮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4 및 5에 따른 시료들의 경우에는 신율, 투과율 및 내충격성이 좋기는 하나, 인장강도 값이 목표값에 모두 미달하였다.
또한, 충격 보강제의 평균 직경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6에 따른 시료의 경우에는 인장강도, 신율 및 투과율은 실시예 1과 유사한 값을 가지나, 내충격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실시예 1 ~ 3에 따른 시료들과 같이,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 및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에 부틸아크릴레이트 충격 보강제를 적정 함량으로 첨가할 경우, 가공성이 좋아지며 내충격성이 보완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S110 : 혼합 단계
S120 : 성형 단계
S130 : 건조 단계

Claims (9)

  1.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및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5 ~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70 ~ 90 중량부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30 ~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65 ~ 85 중량부,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35 ~ 15 중량부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5 ~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는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acrylate)로 이루어지며, 코어-셀(core-shell) 적층 구조를 가지고, 평균 직경 200 ~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 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a)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 10 ~ 70 중량부 및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수지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지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동성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70 ~ 90 중량부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30 ~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강성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65 ~ 85 중량부,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35 ~ 15 중량부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5 ~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는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acrylate)로 이루어지며, 코어-셀(core-shell) 적층 구조를 가지고, 평균 직경 200 ~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 필름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건조는
    50 ~ 70℃에서 3 ~ 5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수지 필름 제조 방법.
KR1020110122750A 2011-11-23 2011-11-23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750A KR101394814B1 (ko) 2011-11-23 2011-11-23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201280057531.3A CN103946284B (zh) 2011-11-23 2012-11-20 透明性及耐冲击性优秀的丙烯酸树脂膜及其制备方法
US14/356,994 US9206294B2 (en) 2011-11-23 2012-11-20 Acrylic resin film having good transparency and impact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12/009832 WO2013077612A1 (ko) 2011-11-23 2012-11-20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4542256A JP6101280B2 (ja) 2011-11-23 2012-11-20 透明性および耐衝撃性に優れた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
TW101143534A TWI468457B (zh) 2011-11-23 2012-11-21 透明性以及耐衝擊性優秀的丙烯酸樹脂膜及其製備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750A KR101394814B1 (ko) 2011-11-23 2011-11-23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034A KR20130057034A (ko) 2013-05-31
KR101394814B1 true KR101394814B1 (ko) 2014-05-14

Family

ID=4847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750A KR101394814B1 (ko) 2011-11-23 2011-11-23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06294B2 (ko)
JP (1) JP6101280B2 (ko)
KR (1) KR101394814B1 (ko)
CN (1) CN103946284B (ko)
TW (1) TWI468457B (ko)
WO (1) WO201307761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006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서로 다른 저장탄성 모듈러스를 가지는 다층 구조의 내충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60007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양면에 내충격 필름층이 형성된 내충격 커버글라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60005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다층 구조의 내충격층을 포함하는 내충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60421A (ko) 2022-05-16 2023-11-24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내충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7629A4 (en) * 2014-08-27 2017-09-1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Glossy pilling-resistant acrylic fibe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spun yarn and knitted fabric including said acrylic fiber
US20210108064A1 (en) 2018-03-19 2021-04-15 Galata Chemicals Llc Polyacrylate materi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658B1 (ko) 1997-12-30 2000-12-15 하영준, 마르코스 고메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충격보강제용 코어-쉘 복합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2001062894A (ja) 1999-08-24 2001-03-13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10035018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KR20110079487A (ko) * 2009-12-31 2011-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충격강도와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261A (ja) * 1997-02-27 1998-09-08 Mitsubishi Rayon Co Ltd 艶消しアクリルフィルムおよびアクリルフィルムを積層した艶消し成形品
CN100363420C (zh) 2002-04-02 2008-01-23 阿托费纳公司 耐天候高抗冲击强度的丙烯酸类组合物
US6844396B2 (en) 2002-08-28 2005-01-18 Kaneka Corporation Acrylic resin composition
US6917469B2 (en) * 2003-06-27 2005-07-12 Japan Acryace Co., Ltd. Light diffusing laminated plate
GB0508255D0 (en) 2005-04-25 2005-06-01 Lucite Int Uk Ltd Acrylic blends
KR100725940B1 (ko) 2005-12-06 2007-06-11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CN101678600A (zh) * 2007-05-11 2010-03-24 日本合成化学工业株式会社 用于生产多层拉伸膜的方法
JP5616084B2 (ja) * 2009-06-05 2014-10-29 株式会社カネカ 漆黒性に優れたゴム変性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US8288494B2 (en) 2009-12-31 2012-10-16 Cheil Industries Inc.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melt flow index
US20130184375A1 (en) * 2012-01-13 2013-07-18 Kaneka Corporation Rubber modified acrylic resin composition excellent in jet-blackness and molded product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658B1 (ko) 1997-12-30 2000-12-15 하영준, 마르코스 고메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충격보강제용 코어-쉘 복합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2001062894A (ja) 1999-08-24 2001-03-13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10035018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KR20110079487A (ko) * 2009-12-31 2011-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충격강도와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006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서로 다른 저장탄성 모듈러스를 가지는 다층 구조의 내충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60007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양면에 내충격 필름층이 형성된 내충격 커버글라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60005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다층 구조의 내충격층을 포함하는 내충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60421A (ko) 2022-05-16 2023-11-24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내충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33754A (ja) 2014-12-15
WO2013077612A1 (ko) 2013-05-30
KR20130057034A (ko) 2013-05-31
CN103946284A (zh) 2014-07-23
CN103946284B (zh) 2016-12-07
US9206294B2 (en) 2015-12-08
TW201321441A (zh) 2013-06-01
US20140309374A1 (en) 2014-10-16
TWI468457B (zh) 2015-01-11
JP6101280B2 (ja)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814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6731913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JP612232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成形体、及びフィルム
JP2016535159A (ja) 光学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光学フィルム、これを含む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50139906A (ko) 수지 조성물 및 그의 필름
JP6393422B2 (ja) 自動車無塗装外装材用ポリカーボネート系熱可塑性樹脂造成物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製品。
JP6716916B2 (ja) アクリル樹脂組成物、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及び成形体
KR20220158257A (ko) 아크릴계 조성물 및 성형체
TWI622485B (zh) Biaxially stretched sheet and packaging container
JP2008276207A (ja) 光学フィルム
JP2010024338A (ja) 光学フィルム
JP6742158B2 (ja) 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並びに積層体
JP2011088946A (ja) 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
KR20200060517A (ko) 용융 강도가 높은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564336B2 (ja) 塗装代替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具備する積層成形品
KR102566588B1 (ko) 아크릴계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US6683133B1 (en) ASA molding compounds for producing shaped parts
JP2009199044A (ja) 位相差フィルム
JP2011046186A (ja) 多層延伸フィルム
JP2009248362A (ja) 積層フィルム
KR20190055147A (ko)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이의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물체
JP7169137B2 (ja) 延伸フィルムおよび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3904090A1 (en) Base film for decorative film and decorative film including same
JP2007076323A (ja) 耐熱アクリル樹脂の可塑化方法
JP6423665B2 (ja) 二軸延伸スチレン系樹脂積層シート、成形品および食品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