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077B1 - 리모트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리모트 컨트롤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1077B1 KR101391077B1 KR1020127004207A KR20127004207A KR101391077B1 KR 101391077 B1 KR101391077 B1 KR 101391077B1 KR 1020127004207 A KR1020127004207 A KR 1020127004207A KR 20127004207 A KR20127004207 A KR 20127004207A KR 101391077 B1 KR101391077 B1 KR 1013910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 remote controller
- battery
- load
- solar ce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11—Energy harvesting
- G08C2201/114—Solar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 전류에 의한 건전지의 액 누설을 방지하는 동시에, 안정된 사용성과, 장기 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태양 전지(402)와 리튬 1차 전지(431)를 병용하여 마이크로컴퓨터(440)로 전력을 공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4)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402)와 상기 리튬 1차 전지(431)의 접합점에 다이오드 OR 회로(455)를 사용하고, 상기 태양 전지(402)와 상기 리튬 1차 전지(431) 중 전압이 높은 쪽으로부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40)로 전력을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어리스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태양 전지를 탑재함으로써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태양 전지가 탑재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은 많은 분야의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낮에는 태양광에 의해 발전된 태양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내장된 1차 전지의 부하를 줄이는 종류의 기술로서, 이하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20798호 공보)에는 내장하는 리튬 전지와, 태양 전지를 더불어 구비함으로써, 한낮의 밝은 시간대에서는 태양광에 의해 발전된 태양 전지로부터 가스 미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일몰 후 태양광에 의해 발전할 수 없는 시간대에서는 내장한 리튬 전지로부터 가스 미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가스 차단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특허 문헌 1의 가스 차단 제어 장치에는, 태양 전지와 리튬 전지의 양쪽에 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또한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전압값으로부터 가스 미터로 공급하는 전원을 전환하는 전원 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7-240968호 공보)에는 전원을 태양 전지와 건전지로 구성하여, 대전류를 필요로 하는 통신 시에는 전원을 태양 전지로부터 건전지로 전환하는 전원 공급 선로 전환 수단을 구비하는 와이어리스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태양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원 전압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태양 전지의 전압의 저하를 검출했을 때에는, 전원을 태양 전지로부터 건전지로 전환하는 와이어리스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47238호 공보)에는 전지가 정격 방전 종지 전압에 도달한 후에 승강압 컨버터를 사용하여 전압을 승압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지의 장기 수명화를 실현하는 전지 구동식 전자 장치 및 이동 통신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현재, 에코 의식의 고조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도 전지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탑재하여 안전하고 깨끗한 전력의 공급원이 요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태양 전지와 내장하는 리튬 전지의 병용을 행함으로써 리튬 전지의 전지 수명을 연장시키는 방식은,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도 유효한 수단이라고도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방식에서는, 태양 전지와 리튬 전지의 양쪽에 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하므로,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약간이라고는 해도 상시 전력을 소비해 버린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방식에서는, 충분히 큰 태양 전지를 탑재하여 한낮의 밝은 시간대에서는 모든 전력을 태양 전지로부터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이 고객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소형인 것이 바람직한 기기에 있어서는 태양 전지를 탑재할 수 있는 면적에 제한이 있다. 그로 인해, 리모트 컨트롤러의 통신 시에 필요로 하는 대전류를 조달할 수 있는 충분히 큰 면적의 태양 전지를 리모트 컨트롤러에 탑재할 수는 없다.
특허 문헌 2는 태양 전지에 의해 건전지의 보조를 행하는 동시에, 대전류를 필요로 하는 통신 시에는 전원을 태양 전지로부터 건전지로 전환하는 전원 공급 선로 전환 수단을 구비하여, 건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지만, 전원 공급 선로를 전환하기 위한 회로와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회로가 필요해, 전체의 회로 구성이 복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회로에 의해 여분의 전력의 소비가 발생해 버리는 문제는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태양 전지의 발전량은 조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조도가 큰 조건 하에 있어서는 태양 전지의 출력 전압이 건전지의 단자 전압을 상회하는 것을 용이하게 상상할 수 있다. 태양 전지의 출력 전압이 건전지의 단자 전압을 상회하면, 전원 공급 선로를 전환하기 위한 회로를 전자식 스위치[예를 들어,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사용한 스위치 회로]로서 구성한 경우, 누설 전류에 의해 태양 전지로부터 건전지로 충전 전류가 흘러 버린다. 건전지는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미량의 충전 전류밖에 허용할 수 없고, 특히 알칼리 건전지나 망간 건전지에 대해서는 충전 전류를 일절 허용하고 있지 않다. 건전지로의 충전 전류의 유입은 건전지의 액 누설을 유발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를 오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선로를 전환하기 위한 회로를 기계식 스위치로서 구성함으로써 누설 전류를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전원 공급 선로의 전환 시에 어떤 전지로부터도 전원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하여, 순간적인 전력 저하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에 오동작이 발생할 우려나, 송신할 때마다 기계식 스위치가 전환되므로 기계식 스위치의 내구성에 기인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수명의 저하나, 스위치 소자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는 것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3은 휴대 기기의 소형화가 진행되기 위해,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전지의 사용 용도가 확장되어 왔지만,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전지는 리튬 전지에 비하면 전압 변화율이 크기 때문에, 승강압 컨버터를 사용하여 전압의 안정화(정전압화)를 실현한 것이다.
이 특허 문헌 3과 같이, 휴대 기기의 회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정전압화를 행하는 방식은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전지의 종지 전압에 도달한 후에 승강압 컨버터를 사용하여, 전압을 승압함으로써, 전지의 장기 수명화를 실현하는 방식은 효과가 높고, 전지의 장기 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단체의 전지에 의해 사용하는 기기에 관해서는 유효하다고 생각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태양 전지와 태양 전지 이외의 그 밖의 전지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회로에 있어서는, 그 밖의 전지가 혈압을 내렸을 때에, 누설 전류에 의해 그 밖의 전지로 충전 전류가 흘러 버리므로, 전술한 특허 문헌 2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정된 사용성과, 장기 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태양 전지와 1차 전지의 전지를 병용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1차 전지의 전지의 접합점에 다이오드 OR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다이오드 or 회로에 의해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1차 전지 중 전압이 높은 쪽으로부터 상기 부하 중 제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1차 전지로부터, 상기 부하 중 제2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 부하는, 대기시에도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이며, 상기 제2 부하는, 순간적으로 상기 제1 부하보다도 대전류를 필요로하는 부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6항에 관한 태양 전지와 1차 전지를 병용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1차 전지의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부하 중 제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승압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승압 회로에 의해 승압된 상기 1차 전지 중 전압이 높은 쪽으로부터 상기 제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1차 전지로부터, 상기 부하 중 제2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 부하는, 대기시에도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이며, 상기 제2 부하는, 순간적으로 상기 제1 부하보다도 대전류를 필요로하는 부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6항에 관한 태양 전지와 1차 전지를 병용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1차 전지의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부하 중 제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승압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승압 회로에 의해 승압된 상기 1차 전지 중 전압이 높은 쪽으로부터 상기 제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1차 전지로부터, 상기 부하 중 제2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 부하는, 대기시에도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이며, 상기 제2 부하는, 순간적으로 상기 제1 부하보다도 대전류를 필요로하는 부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된 사용성과, 장기 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건전지 소킷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외관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측면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관한 태양 전지를 구비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회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회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전지 전환 스위치가, 리튬 1차 전지 및 태양 전지를 접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회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전지 전환 스위치가, 보조용 건전지를 접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회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건전지 소킷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외관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측면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관한 태양 전지를 구비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회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회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전지 전환 스위치가, 리튬 1차 전지 및 태양 전지를 접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회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전지 전환 스위치가, 보조용 건전지를 접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회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함)에 대해,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
처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4)에 의해 조작되는 공기 조화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이다.
실내를 공기 조화하는 공기 조화기(1)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2)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3)와, 공기 조화기(1)를 원격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4)와, 실내기(2)와 실외기(3)를 연결하는 접속 배관(8)을 구비한다.
실내기(2)는 하우징 베이스(21)의 중앙부에 실내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와, 실내 열교환기의 하류측에 실내 열교환기의 폭과 대략 동등한 길이의 횡류 팬 방식의 실내 송풍기(도시하지 않음)와, 실내 열교환기에서 결로한 결로수를 수용하는 이슬 수용 접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들을 장식 프레임(23)으로 덮고, 장식 프레임(23)의 전방면에 전방면 패널(25)을 설치하고 있다. 장식 프레임(23)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27)와, 온도, 습도가 조정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구(29)가 상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내기(2)는 공기 흡입구(27)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를 실내 열교환기에 의해 온도, 습도를 조정하고, 실내 송풍기로부터의 분출 기류를 실내 송풍기의 길이에 대략 동등한 폭을 갖는 분출 풍로(도시하지 않음)에 흘리고, 분출 풍로 도중에 배치한 좌우 풍향판(도시하지 않음)으로 기류의 좌우 방향을 편향시키고, 또한 공기 분출구(29)에 배치한 상하 풍향판(도시하지 않음)으로 기류의 상하 방향을 편향시켜 실내에 분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접속 배관(8)은 실내기(2)의 이슬 수용 접시의 결로수를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수하는 드레인 호스(도시하지 않음)와, 실내기(2)의 실내 열교환기와 후술하는 실외기(3)의 실외 열교환기 사이에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2개의 냉매 배관(도시하지 않음)과, 실내기(2)로부터 실외기(3)로 전원을 공급하는 3코어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이들을 단열재로 덮어 구성된다.
실외기(3)는 내부에 실외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실외기(3)의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기(2)의 실내 열교환기는 접속 배관(8)의 2개의 냉매 배관에 의해 접속되어, 냉매를 순환 시킴으로써 열 펌프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공기를 냉기 또는 난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내기(2)의 장식 프레임(23)에는 실내기 송수신부(231)와, 실내기 표시 장치(232)를 구비한다.
실내기 송수신부(231)는 리모트 컨트롤러(4)로부터 송신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 가능하고, 공기 조화기(1)의 조작을 리모트 컨트롤러(4)로부터 송신된 적외선 신호에 의해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 송수신부(231)는 리모트 컨트롤러(4)로 적외선 신호를 송신 가능하다.
실내기 표시 장치(232)는 공기 조화기(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4)의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 정면도이다.
리모트 컨트롤러(4)는 공기 조화기(1)(도 1 참조)에 조작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404)과, 조작 내용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화면[이하, LCD(Liquid Crystal Display)라고 칭함](403)과, 리모트 컨트롤러(4)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 전지(402)와, 적외선 신호에 의해 실내기(2)(도 1 참조)와 통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401)를 구비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401)에는 실내의 공기가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401)의 내부로 통풍 가능한 서미스터 통풍로(410)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부도이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401)의 서미스터 통풍로(410)가 형성된 적외선을 투과하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이다.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401)는, 실내기(2)의 실내기 송수신부(231)(도 1 참조)를 향해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광 다이오드(424)와, 실내기(2)의 실내기 송수신부(231)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리시버(425)와, 서미스터 통풍로(410)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4)의 주변의 공기 온도를 검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용 실온 서미스터(426)를 구비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건전지 소킷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외관 배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의 배면에는 착탈 가능한 건전지 소킷 커버(4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전지 소킷 커버(411)를 제거하면, 리모트 컨트롤러(4)에 공급하는 전원을 전환하는 전지 전환 스위치(421)와, 리모트 컨트롤러(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기 위한 건전지 소킷(422)과, 건전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지 접속 단자(423)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측면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는 배면 중앙부에 손가락 걸이부(427)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에 전원을 공급하는 리튬 1차 전지(431)는 리모트 컨트롤러(4)의 내부에 장비되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의 건전지 소킷(422)에는 후술하는 주의표(428)가 봉입된다.
≪리모트 컨트롤러의 회로 구성≫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4)의 회로 구성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비교예에 관한 태양 전지를 구비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회로 모식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비교예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회로는, 전원으로서의 건전지(432)와,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크로컴퓨터라고 칭함)(440)와, 송신 회로(441)와, LCD(403)와, 조작 버튼(404)을 구비한다.
건전지(432)는 송신 회로(제2 부하; 441) 및 마이크로컴퓨터(제1 부하; 4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440)를 통해 LCD(403)에도 전원을 공급한다.
마이크로컴퓨터(440)는 조작 버튼(404)으로 조작된 공기 조화기(1)의 동작 지시를 전기 신호로서 수취하고,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로 송신하는 신호를 작성하여, 송신 회로(441)의 송광 다이오드(424)(도 3 참조)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송신한다. 더불어, 마이크로컴퓨터(440)는 LCD(403)에 조작된 지시가 표시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40)는 리모트 컨트롤러용 실온 서미스터(426)(도 3 참조)에 의해 검출한 리모트 컨트롤러(4)의 주변의 공기 온도를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2)로 송신하는 신호를 작성하여, 송신 회로(441)의 송광 다이오드(424)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비교예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 회로에 태양 전지를 실장할 때의 문제점에 대해 다시 명기한다.
태양 전지의 발전량은 조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조도가 큰 조건 하에 있어서는 태양 전지의 출력 전압이 건전지의 단자 전압을 상회하는 것을 용이하게 상상할 수 있다. 태양 전지의 출력 전압이 건전지의 단자 전압을 상회하면, 태양 전지로부터 건전지로 충전 전류가 흘러 버려, 건전지의 안전성의 저하나, 건전지의 액 누설을 유발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를 오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회로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4)의 회로는 비교예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회로(도 8 참조)에 추가하여, 역류 방지 다이오드(451)와, 바이패스가 구비된 승압 회로(452)와, 다이오드 OR 회로(455)와, 레귤레이터(456)와, 충전용 콘덴서(457)와, 태양 전지(402)를 구비하고, 또한 건전지(432)(도 8 참조)를 리튬 1차 전지(431)로 변경한 것이다.
〈다이오드 OR 회로〉
다이오드 OR 회로(455)는 다이오드(455a)의 캐소드 단자와 다이오드(455b)의 캐소드 단자가 접속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다이오드(455a, 455b)로 구성되는 회로이다.
즉, 다이오드 OR 회로(455)는 다이오드(455a)의 애노드 단자의 전압과 다이오드(455b)의 애노드 단자의 전압에 대해, 전압이 높은 쪽으로부터 전류가 흐르는 회로이다.
또한, 다이오드(455a)의 애노드 단자는 후술하는 리튬 1차 전지(431)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에 접속된다. 한편, 다이오드(455b)의 애노드 단자는 후술하는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455a, 455b)의 캐소드 단자는 부하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440)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다이오드 OR 회로(455)에 의해 선택된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440)로 전원이 공급된다.
〈태양 전지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
우선, 다이오드 OR 회로(455)의 다이오드(455b)의 애노드 단자에 접속되는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태양 전지(402)의 출력 전압은 조도에 따라서 변화된다. 리모트 컨트롤러(4)는, 통상, 실내의 조도에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태양 전지(402)를 설계하므로, 태양광과 같은 강한 광에 접하면 태양 전지(402)의 출력 전압이 상승하여, 마이크로컴퓨터(440)나 회로 소자를 고전압에 의해 파괴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는 태양 전지(402)와 다이오드(455b)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레귤레이터(456)를 배치하여, 마이크로컴퓨터(440) 등에 공급되는 전압의 상한값을 제한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회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456)의 제한 전압은 후술하는 리튬 1차 전지(431)의 단자 전압(약 3.2V)으로부터 역류 방지 다이오드(451)의 전압 강하(예를 들어, 0.4V)를 고려한 값(즉, 2.8V)보다 크고,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40) 등을 파괴하지 않은 전압값(예를 들어, 3.0V)으로 설계된다.
또한, 태양 전지(402)에는 태양 전지(402)의 전력을 축전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이중층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충전용 콘덴서(457)가 접속된다.
충전용 콘덴서(457)를 구비함으로써,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는, 커튼의 개폐나 실내등의 점등ㆍ소등에 의해 실내의 조도가 변화된 경우나, 리모트 컨트롤러(4)를 기울인 경우 등에 발생하는 조도의 변화에 의한 태양 전지(402)의 출력 전압의 변동에 대해서도, 전원 공급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부하로 공급하는 전류가 적은 상태에 있어서는, 태양 전지(402)의 출력 전압이 작은 경우라도, 어떤 일정 시간, 충전용 콘덴서(457)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 부하로 전원 공급할 수 있다.
〈리튬 1차 전지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
다음에, 다이오드 OR 회로(455)의 다이오드(455a)의 애노드 단자에 접속되는 리튬 1차 전지(431)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다이오드 OR 회로(455)를 통해 태양 전지(402), 충전용 콘덴서(457)와 접속하는 회로 구성으로 한 경우, 이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즉, 조도가 충분한 경우에는, 리튬 1차 전지(431)보다 태양 전지(402) 및 충전용 콘덴서(457)의 전압이 높아지고, 다이오드(455a)의 애노드 단자의 전압보다 다이오드(455a)의 캐소드 단자의 전압이 높아진다. 그로 인해, 다이오드(455a)에는 누설 전류가 발생하고, 누설 전류는 리튬 1차 전지(431)의 충전 전류로서 흐른다. 리튬 1차 전지(431)는 소량의 충전 전류를 허용하고 있지만, 허용하는 충전 전류에는 제한이 있어, 충전 전류를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가 있다.
통상,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저누설성의 역류 방지 다이오드(451)를 회로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저누설성의 역류 방지 다이오드(451)는 전압 강하가 크기 때문에, 리튬 1차 전지(431)로부터의 공급 전압이 저하되어 버린다.
즉, 리튬 1차 전지(431)의 단자 전압은 약 3.2V 정도인 것에 대해, 역류 방지 다이오드(451)에 의해, 예를 들어 약 0.4V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고, 리튬 1차 전지(431)로부터의 공급 전압은 약 2.8V로 된다. 여기서, 마이크로컴퓨터(440)의 구동 전압을 2.5V로 하면, 역류 방지 다이오드(451)를 삽입한 상태라도 마이크로컴퓨터(440)는 정상적으로 구동한다. 그러나, 리튬 1차 전지(431)의 단자 전압이 2.8V까지 저하된 시점에서는, 리튬 1차 전지(431)로부터의 공급 전압은 약 2.4V로 되어, 마이크로컴퓨터(440)를 정상적으로 기동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리튬 1차 전지(431)의 단자 전압이 마이크로컴퓨터(440)의 구동 전압보다 높은 경우라도, 역류 방지 다이오드(451)의 전압 강하에 의해, 리튬 1차 전지(431)는 마이크로컴퓨터(440)에 전원 공급을 할 수 없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리튬 1차 전지(431)의 유효 사용 기간을 현저하게 저하시켜 버린다.
또한, 송신 회로(441)는 송신 시에 500㎃ 정도의 대전류를 흘리기 때문에, 대전류를 흘린 순간에 리튬 1차 전지(431)의 단자 전압이 강하한다. 이에 의해, 순간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440)로의 공급 전압이 저하되고, 마이크로컴퓨터(440)가 리셋되고, 순간적으로 LCD(403)의 표시가 희미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4)는 리튬 1차 전지(431)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에 승압 회로(453)[바이패스가 구비된 승압 회로(452)]를 삽입함으로써 해결한다.
바이패스가 구비된 승압 회로(452)는 승압 회로(453)와 병렬로 바이패스용 다이오드(454)를 배치하여 구성되는 회로이다. 또한, 승압 회로(453)의 출력 전압은 마이크로컴퓨터(440)의 구동 전압(예를 들어, 2.5V)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레귤레이터(456)의 제한 전압(예를 들어, 3.0V)보다 낮은 전압(예를 들어, 2.6V)으로 설정된다.
바이패스가 구비된 승압 회로(452)는 입력 전압이 승압 회로(453)의 출력 전압을 상회하고 있는 상태(예를 들어, 리튬 1차 전지의 초기 상태에서는, 리튬 1차 전지의 단자 전압이 3.2V이고, 입력 전압이 2.8V로 되는 상태)에서는, 병렬로 배치된 바이패스용 다이오드(454)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승압 회로(453)를 정지하여, 승압 회로(453)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출력 전압이 전류 용량의 약 80% 부근까지, 강하하지 않는 특성이 있는 리튬 1차 전지(431)에서는, 그 효과는 더욱 크고, 사용 기간의 약 80%는 승압 회로(453)를 동작시키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가 구비된 승압 회로(452)는 입력 전압이 승압 회로(453)의 출력 전압을 하회하고 있는 상태(예를 들어, 리튬 1차 전지의 단자 전압이 2.8V까지 저하되고, 입력 전압이 2.4V로 되는 상태)에서는, 승압 회로(453)에 의해 승압되어 마이크로컴퓨터(440)의 구동 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튬 1차 전지(431)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는 전원 공급의 안정성ㆍ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리튬 1차 전지(431)가 방전에 의해 단자 전압이 저하되고, 마이크로컴퓨터의 구동 전압보다 낮은 상태로 된 경우라도, 승압 회로(453)에 의해 승압되어 마이크로컴퓨터(440)의 구동 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튬 1차 전지(431)를 가능한 한 길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장기 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가 구비된 승압 회로(452)는 병렬로 바이패스용 다이오드(454)를 배치함으로써, 안정성과 신뢰성의 향상을 위해 넣은 승압 회로(453)의 단점인 승압 회로(453)에서의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져, 리튬 1차 전지(431)의 장기 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승압 회로(453)의 방식을 주파수 가변형의 승압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승압률이 낮을 때에는, 주파수를 낮게 하여 승압 회로(453)에서의 소비 전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DUTY 가변 방식의 승압 회로보다도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주파수 가변형의 승압 회로(453)에 병렬로 바이패스용 다이오드(454)를 설치함으로써, 항상 회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리모트 컨트롤러(4)의 사용 기간의 대부분은 승압 회로(453)를 사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리모트 컨트롤러(4)의 안정 동작과 전지 장기 수명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송신 회로〉
송신 회로(441)는 송신 시에 있어서 순간적으로 대전류를 필요로 하는 부하이다.
그런데, 태양 전지(402)는 리모트 컨트롤러(4)의 표면에 설치되지만(도 2 참조), 리모트 컨트롤러(4)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의 정면에는 조작 버튼(404), LCD(403)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태양 전지(402)를 배치 가능한 면적은 유한적이고,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가 공급하는 전류량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는 대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마이크로컴퓨터(440)나 LCD(403)에 전원 공급하고, 순간적으로 대전류를 필요로 하는 송신 회로(441)는 리튬 1차 전지(431)로부터 직접 전원 공급을 받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4)의 부하로의 전원 공급의 안정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는 조작 버튼(404)이 조작되어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대전류를 필요로 하는 송신 상태와, 대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마이크로컴퓨터(440)나 LCD(403)만을 구동시키고 있는 대기 상태로 분별된다. 여기서, 리모트 컨트롤러(4)는 빈번히 조작되는 것은 아니고, 송신 상태의 기간에 비해 대기 상태의 기간의 쪽이 길다.
따라서, 태양 전지(402)로 대기 상태의 전력을 조달할 수 있도록 리모트 컨트롤러(4)를 설계하면 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조도가 발전에 충분한 경우에는, 대기 상태의 전원 공급은,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고, 리튬 1차 전지(431)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여, 리모트 컨트롤러(4)의 장기 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LCD(403)를 조작 버튼(404)의 조작으로부터 소정 시간 후 소등하는 구성으로 하면, 가일층의 전력 절약화와 장기 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로의 전원 공급≫
리모트 컨트롤러(4)의 각 상태의 전원 공급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우선, 리모트 컨트롤러(4)가 대기 상태이고,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의 태양 전지(402)로의 조도가 대기 상태의 전력을 조달하는 데 충분한 경우(예를 들어, 200룩스)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리튬 1차 전지(431)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전압(2.6V 내지 2.8V)보다도,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전압(3.0V)이 높다.
이로 인해, 다이오드 OR 회로(455)에 의해,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440)로 전원 공급된다.
다음에, 리모트 컨트롤러(4)가 대기 상태 그대로이고, 리모트 컨트롤러(4)의 태양 전지(402)로의 조도가 작아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태양 전지(402)에 의해 발전되는 전압은 저하되지만, 충전용 콘덴서(457)에 축적된 전압에 의해,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은 어떤 일정 시간, 리튬 1차 전지(431)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전압(2.6V 내지 2.8V)보다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다이오드 OR 회로(455)에 의해,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440)로 전원 공급된다.
그 후, 충전용 콘덴서(457)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440)로 전류를 계속해서 공급함으로써, 충전용 콘덴서(457)의 전압은 감소한다. 즉,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감소한다.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리튬 1차 전지(431)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전압보다 작아지면, 다이오드 OR 회로(455)에 의해, 리튬 1차 전지(431)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 마이크로컴퓨터(440)로 전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태양 전지(402)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와 리튬 1차 전지(431)를 공급원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의 전환은 다이오드 OR 회로(455)에 의해 행해지고, 각각의 전압을 감시하기 위한 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할 필요는 없어,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압 검출 회로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로서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시 전력을 소비한다. 이로 인해, 리튬 1차 전지(431)의 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하지 않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4)는 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하는 회로와 비교하여, 리튬 1차 전지(431)의 장수명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402)의 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할 필요도 없으므로,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하는 회로와 비교하여, 태양 전지(402)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원 공급 회로의 전환 시에 마이크로컴퓨터(440)에 공급되는 전압이 크게 변동되는 일은 없다. 또한, 송신 상태와 대기 상태의 전환 시에, 순간적으로 어떤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도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도 없으므로, 마이크로컴퓨터(440) 및 LCD(403)의 거동이 불안정해지는 경우도 없다. 이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4)의 안정된 사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 회로의 변형예≫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전지 전환 스위치가, 리튬 1차 전지 및 태양 전지를 접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회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전지 전환 스위치가, 보조용 건전지를 접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회로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는 리모트 컨트롤러 회로(도 9 참조)에 추가하여, 전지 전환 스위치(421) 및 보조용 건전지(462)를 구비한다.
전지 전환 스위치(421)는 2회로의 2접점 스위치를 연동하여 전환하는 스위치로, 건전지 소킷 커버(411)로 덮인 리모트 컨트롤러(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도 4, 도 5 참조). 또한, 전지 전환 스위치(421)는 통신 상태와 대기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리튬 1차 전지(431)의 사용이 종료된 후, 보조용 건전지(462)를 삽입했을 때에 조작되는 것이다.
보조용 건전지(462)는 건전지 소킷(422)에 삽입되는 알칼리 건전지 또는 망간 건전지로, 전지 접속 단자(423)를 통해 회로에 접속된다. 또한, 이들은 편의점에서도 구입할 수 있는 범용품의 건전지이다.
태양 전지(402) 및 리튬 1차 전지(431)를 병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4)에 전원 공급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전환 스위치(421)를, 태양 전지(402)가 레귤레이터(456) 및 충전용 콘덴서(457)와 접속하고, 또한 리튬 1차 전지(431)가 역류 방지 다이오드(451)의 애노드 단자와 접속하도록 스위치를 전환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하는 회로도와 동등해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리튬 1차 전지(431)가 방전되어, 리모트 컨트롤러(4)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전환 스위치(421)를, 태양 전지(402)가 레귤레이터(456) 및 충전용 콘덴서(457)와 절단되고, 또한 역류 방지 다이오드(451)의 애노드 단자가 리튬 1차 전지(431)로부터 보조용 건전지(462)와 접속하도록 스위치를 전환한다.
이는, 도 8에 도시하는 비교예의 리모트 컨트롤러 회로에 역류 방지 다이오드(451), 바이패스가 구비된 승압 회로(452) 및 다이오드(455a)를 내장한 것과 대략 동등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440)에는 바이패스가 구비된 승압 회로(452)를 통해 보조용 건전지(462)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대전류를 필요로 하는 송신 회로(441)에는 보조용 건전지(462)로부터 직접 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의해, 리튬 1차 전지(431)가 방전된 후에도 시판의 알칼리 건전지 또는 망간 건전지를 보조용 건전지(462)로서 사용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4)를 사용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보조용 건전지(462)는 리튬 1차 전지(431), 태양 전지(402)와는 전기적으로 절단되어 있어, 누설 전류에 의해 보조용 건전지(462)에 충전 전류가 흐르는 일도 없다. 이에 의해, 보조용 건전지(462)에 발생하는 액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로의 전환은 1개의 전지 전환 스위치(421)의 조작만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설정 미스ㆍ조작 미스에 의해, 보조용 건전지(462)에 충전 전류가 흘러 액 누설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지 전환 스위치(421)를 전환할 때, 리튬 1차 전지(431) 및 보조용 건전지(462)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마이크로컴퓨터(440)로 전원 공급되지 않는 점이 존재하지만, 충전용 콘덴서(457)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440)로 전원 공급되므로, 마이크로컴퓨터(440)의 설정이 리셋되는 일도 없다. 또한, 충전용 콘덴서(457)로부터 보조용 건전지(462)로 충전 전류가 흐르는 것은, 역류 방지 다이오드(451)에 의해 방지된다.
더불어, 보조용 건전지(462)는 리튬 1차 전지(431)에 비해 조기에 전압의 강하가 개시되지만, 승압 회로(453)에 의해 승압되므로 마이크로컴퓨터(440)나 LCD(403)의 동작이 불안정해지는 일이 없어, 보조용 건전지(462)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조용 건전지(462)에 전압이 충분히 있는 경우에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454)를 경유하여 전류를 흘리고, 승압 회로(453)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은 리튬 1차 전지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송신 시, 송신 회로(441)가 대전류를 필요로 함으로써, 보조용 건전지(462)의 단자 전압이 저하된 경우라도, 승압 회로(453)에 의해 승압되므로 마이크로컴퓨터(440)나 LCD(403)의 동작이 불안정해지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4)의 안정된 사용성, 보조용 건전지(462)의 장기 수명화, 리모트 컨트롤러 회로의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402) 및 리튬 1차 전지(431)를 병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4)에 전원 공급하는 경우에는, 보조용 건전지(462)를 삽입할 필요는 없다. 또한, 리튬 1차 전지는 망간 건전지나 알칼리 건전지에 비해 장수명이고,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러 회로는 태양 전지(402) 등을 구비하여, 가일층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비어 있는 건전지 소킷(422)에는 리모트 컨트롤러(4)[리모트 컨트롤러(4)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1)]의 출하 시에, 전지 전환 스위치(421)의 조작과 보조용 건전지(462)의 삽입에 대한 주의표(428)(도 7 참조)를 봉입해도 좋다.
이에 의해, 리튬 1차 전지(431) 또는 태양 전지(402)로 리모트 컨트롤러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건전지 소킷(422)에 본래는 필요로 하지 않는 건전지가 삽입되고, 건전지 내의 전력을 사용하는 일 없이 자연 방전에 의해 건전지가 소모되어 사용 불능으로 되는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기타〉
이상, 본 실시 형태의 리모트 컨트롤러(4)에 대해, 공기 조화기(1)에 도입한 것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AV(Audio Visual) 기기 등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다이오드 OR 회로(455)를 통해 태양 전지(402)와 병렬로 접속되는 그 밖의 전지로서 리튬 1차 전지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누설 전류를 허용할 수 있는 다른 1차 전지를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적절하게 선택이 가능하다.
1 : 공기 조화기
2 : 실내기
20 : 하우징
21 : 하우징 베이스
23 : 장식 프레임
25 : 전방면 패널
27 : 공기 흡입구
29 : 공기 분출구
231 : 실내기 송수신부
232 : 실내기 표시 장치
3 : 실외기
4 : 리모트 컨트롤러
8 : 접속 배관
401 :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
402 : 태양 전지
403 : 액정 표시 화면(LCD)(대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부하)
404 : 조작 버튼
410 : 서미스터 통풍로
411 : 건전지 소킷 커버
421 : 전지 전환 스위치
422 : 건전지 소킷
423 : 전지 접속 단자
424 : 송광 다이오드
425 : 적외선 리시버
426 : 리모트 컨트롤러용 실온 서미스터
427 : 손가락 걸이부
428 : 주의표
431 : 리튬 1차 전지(그 밖의 전지)
432 : 건전지
440 : 마이크로컴퓨터
441 : 송신 회로
451 : 역류 방지 다이오드(직렬로 접속하는 다이오드)
452 : 바이패스가 구비된 승압 회로
453 : 승압 회로
454 : 바이패스용 다이오드(병렬로 접속하는 다이오드)
455 : 다이오드 OR 회로
455a : 다이오드
455b : 다이오드
456 : 레귤레이터(축전하는 회로)
457 : 충전용 콘덴서
462 : 보조용 건전지
2 : 실내기
20 : 하우징
21 : 하우징 베이스
23 : 장식 프레임
25 : 전방면 패널
27 : 공기 흡입구
29 : 공기 분출구
231 : 실내기 송수신부
232 : 실내기 표시 장치
3 : 실외기
4 : 리모트 컨트롤러
8 : 접속 배관
401 : 리모트 컨트롤러 송수신부
402 : 태양 전지
403 : 액정 표시 화면(LCD)(대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부하)
404 : 조작 버튼
410 : 서미스터 통풍로
411 : 건전지 소킷 커버
421 : 전지 전환 스위치
422 : 건전지 소킷
423 : 전지 접속 단자
424 : 송광 다이오드
425 : 적외선 리시버
426 : 리모트 컨트롤러용 실온 서미스터
427 : 손가락 걸이부
428 : 주의표
431 : 리튬 1차 전지(그 밖의 전지)
432 : 건전지
440 : 마이크로컴퓨터
441 : 송신 회로
451 : 역류 방지 다이오드(직렬로 접속하는 다이오드)
452 : 바이패스가 구비된 승압 회로
453 : 승압 회로
454 : 바이패스용 다이오드(병렬로 접속하는 다이오드)
455 : 다이오드 OR 회로
455a : 다이오드
455b : 다이오드
456 : 레귤레이터(축전하는 회로)
457 : 충전용 콘덴서
462 : 보조용 건전지
Claims (10)
- 태양 전지와 1차 전지를 병용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1차 전지의 접합점에 다이오드 or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다이오드 or 회로에 의해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1차 전지 중 전압이 높은 쪽으로부터, 상기 부하 중 제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1차 전지로부터, 상기 부하 중 제2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 부하는, 대기시에도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이며,
상기 제2 부하는, 순간적으로 상기 제1 부하보다도 대전류를 필요로하는 부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며,
상기 제2 부하는, 송신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or 회로는,
애노드 측이 상기 1 차 전지와 접속되고, 캐소드 측이 상기 제1 부하에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와,
애노드 측이 상기 태양 전지와 접속되고, 캐소드 측이 상기 제1 부하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를 갖고,
상기 제2 부하는,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 측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의 전력을 축전하는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전지의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제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승압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 태양 전지와 1차 전지를 병용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1차 전지의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부하 중 제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승압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승압 회로에 의해 승압된 상기 1차 전지 중 전압이 높은 쪽으로부터, 상기 제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1차 전지로부터, 상기 부하 중 제2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 부하는, 대기시에도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이며,
상기 제2 부하는, 순간적으로 상기 제1 부하보다도 대전류를 필요로하는 부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애노드 측이 상기 1차 전지 및 상기 제2 부하에 접속되고, 캐소드 측이 상기 승압 회로와 접속되는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회로와 병렬로, 상기 승압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바이패스할 수 있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회로는 주파수 가변 방식의 승압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208568 | 2009-09-09 | ||
JP2009208568A JP5537100B2 (ja) | 2009-09-09 | 2009-09-09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
PCT/JP2010/052433 WO2011030573A1 (ja) | 2009-09-09 | 2010-02-18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1703A KR20120051703A (ko) | 2012-05-22 |
KR101391077B1 true KR101391077B1 (ko) | 2014-04-30 |
Family
ID=4373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4207A KR101391077B1 (ko) | 2009-09-09 | 2010-02-18 | 리모트 컨트롤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537100B2 (ko) |
KR (1) | KR101391077B1 (ko) |
CN (1) | CN102696237A (ko) |
TW (1) | TWI478465B (ko) |
WO (1) | WO20110305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74410B2 (en) | 2006-10-30 | 2015-03-10 | Vidacare LLC | Apparatus and methods to communicate fluids and/or support intraosseous devices |
JP5792552B2 (ja) | 2011-08-03 | 2015-10-14 |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 電源供給制御システム及び半導体集積回路 |
CN114882692B (zh) * | 2022-05-10 | 2023-06-27 | 安徽金鹰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多功能遥控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6910A (ko) * | 1996-10-12 | 1998-07-15 | 석은숙 | 리모컨 전원장치 |
KR20000003258A (ko) * | 1998-06-26 | 2000-01-15 | 전주범 | 내부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
KR20050123278A (ko) * | 2004-06-24 | 2005-12-29 | 공상혁 |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55842U (ja) * | 1983-03-31 | 1984-10-19 | 株式会社東芝 | 電池電源装置 |
JPS62181053U (ko) * | 1986-05-07 | 1987-11-17 | ||
JPH04325840A (ja) * | 1991-04-26 | 1992-11-16 | Sharp Corp | 電池電源駆動型電子機器 |
JPH0715888A (ja) * | 1993-06-23 | 1995-01-17 | Canon Inc | バッテリー・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 |
JPH07240968A (ja) * | 1994-02-25 | 1995-09-1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ワイヤレスリモコン装置 |
JP3747381B2 (ja) * | 1994-11-10 | 2006-02-22 | 富士通株式会社 | 電池内蔵の電子装置の電源制御回路 |
JPH08256380A (ja) * | 1995-03-16 | 1996-10-01 | Inax Corp | リモコン |
US6331365B1 (en) * | 1998-11-12 | 2001-12-18 | General Electric Company | Traction motor drive system |
KR20010086781A (ko) * | 2000-03-03 | 2001-09-15 | 임성묵 | 솔라셀이 부착된 이동단말기 |
JP2002078232A (ja) * | 2000-08-29 | 2002-03-15 | Seiko Instruments Inc | 電子機器 |
JP4254039B2 (ja) * | 2000-09-29 | 2009-04-15 | 株式会社デンソー | 送信機 |
JP2003047238A (ja) * | 2001-04-17 | 2003-02-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池駆動式電子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機器 |
JP2004244973A (ja) * | 2003-02-17 | 2004-09-02 | Mitsubishi Motors Corp | キーレス操作装置 |
-
2009
- 2009-09-09 JP JP2009208568A patent/JP5537100B2/ja active Active
-
2010
- 2010-01-29 TW TW099102623A patent/TWI478465B/zh active
- 2010-02-18 CN CN201080036603.7A patent/CN102696237A/zh active Pending
- 2010-02-18 KR KR1020127004207A patent/KR10139107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2-18 WO PCT/JP2010/052433 patent/WO201103057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6910A (ko) * | 1996-10-12 | 1998-07-15 | 석은숙 | 리모컨 전원장치 |
KR20000003258A (ko) * | 1998-06-26 | 2000-01-15 | 전주범 | 내부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
KR20050123278A (ko) * | 2004-06-24 | 2005-12-29 | 공상혁 |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110505A (en) | 2011-03-16 |
JP2011061468A (ja) | 2011-03-24 |
KR20120051703A (ko) | 2012-05-22 |
JP5537100B2 (ja) | 2014-07-02 |
TWI478465B (zh) | 2015-03-21 |
WO2011030573A1 (ja) | 2011-03-17 |
CN102696237A (zh) | 2012-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2039199A (ja)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 |
US6315211B1 (en) | Hardwired or battery powered digital thermostat | |
KR101391077B1 (ko) | 리모트 컨트롤러 | |
WO2021054199A1 (ja) | ヒートポンプ装置 | |
JP2010244918A (ja) | 蓄電池収納庫の温度調整装置 | |
KR101396757B1 (ko) | 리모트 컨트롤러 | |
JP7175936B2 (ja) | ヒートポンプ装置 | |
CN211969115U (zh) | 一种驻车空调 | |
JPH10155247A (ja) | 電源装置 | |
CN105072779A (zh) | 一种带市电充电功能的太阳能路灯控制器 | |
WO2023097890A1 (zh) | 控制装置和空调设备 | |
CN101997098B (zh) | 无线遥控装置 | |
KR101869092B1 (ko) | 태양전지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 |
US7290903B2 (en) | Projection display | |
JP2017163767A (ja) | Aed収納ボックス付街路灯 | |
CN215909247U (zh) | 移动空调器 | |
CN217984625U (zh) | 一种机械开关常闭状态断开后级电源控制电路 | |
JP2000320866A (ja) | 空気調和機 | |
KR20120007939A (ko) | 공기조화기 | |
KR20060122502A (ko) | 공기조화기용 리모컨 및 그 동작방법 | |
CN220134245U (zh) | 一种低功耗风机驱动电路及空气净化器 | |
CN212462872U (zh) | 供电设备 | |
CN216052647U (zh) | 一种待机控制电路、装置及设备 | |
KR200341470Y1 (ko) | 절전형 콘센트 | |
KR20050055452A (ko) | 대기전력 절감 에어컨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