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3278A -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3278A
KR20050123278A KR1020040047826A KR20040047826A KR20050123278A KR 20050123278 A KR20050123278 A KR 20050123278A KR 1020040047826 A KR1020040047826 A KR 1020040047826A KR 20040047826 A KR20040047826 A KR 20040047826A KR 20050123278 A KR20050123278 A KR 20050123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solar cell
battery
keypad
sol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욱
김태웅
공상혁
Original Assignee
공상혁
손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상혁, 손성욱 filed Critical 공상혁
Priority to KR1020040047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3278A/ko
Publication of KR20050123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327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 H04Q2209/886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using energy harvesting, e.g. solar, wind or mechan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일측에 적외선을 송출하는 적외선 송출부가 구비되고, 손으로 눌러 조작하는 키패드가 설치되며, 건전지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리모콘과 관련된다. 구조적 특징에 있어서, 빛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101)과; 상기 태양전지판(101)에서 발생한 전하가 충전되는 보조축전지(CAPCITOR)(102)와; 리모콘회로(103)로 상면부의 키패드(104)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마이콤(105)과; 상기 마이콤(105)의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IR Sense)(106) 및 PCB기판(107)을 내장한 상부케이스(108)와 하부케이스(109)를 초음파 열 융착하여 결합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09)의 소정위치에 고무자석(110)을 부착하여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 및 보조축전지나 수은전지를 보조전원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고, 건전지의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와 건전지의 교체비용을 없애 경제적임은 물론, 리모콘을 벽면에 부착 보관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초음파 열 융착으로 견고하며, 리모콘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remote control of used a solar battery}
본 발명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를 주 전력원으로 사용하면서, 태양전지의 작동이 불가한 경우에는 보조축전지나 수은전지의 전원을 보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리모콘의 배면에 고무자석을 형성하여 보관이 용이함은 물론, 리모콘의 상하부 케이스를 초음파 열 융착하여 견고하할 뿐 아니라 리모콘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리모콘은 사용자가 리모콘의 키패드를 통하여 원하는 기능의 키를 누르면 마이콤이 키패드에서 입력된 기능에 해당하는 발진 신호를 발광다이오드로 송출하도록 된 것이다.
종래의 리모콘은 상부 일측에 적외선을 송출하는 적외선 송출부가 구비되고, 손으로 눌러 조작하는 키패드가 설치되며, 건전지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부로 구성되어, 건전지를 전력원으로 하여 전력이 소모된 후에는 건전지를 교체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전력이 소진된 건전지를 매번 교체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건전지의 결합으로 인해 리모콘이 그만큼 더 커지고 무거워짐과 더불어 건전지의 교체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리모콘의 사용 후 따로이 보관하는 장소가 없으므로 찾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전지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건전지의 사용을 가급적 줄여야 하므로 건전지의 교체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모콘을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전지를 주 전력원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태양전지의 작동이 불가한 경우에는 보조축전지나 수은전지의 전원을 보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므로, 건전지의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건전지의 교체비용을 없애 경제적임은 물론, 리모콘의 배면에 고무자석을 형성하여 리모콘을 벽면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고, 리모콘의 상하부 케이스를 초음파 열 융착하여 견고하게 결합 형성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 일측에 적외선을 송출하는 적외선 송출부가 구비되고, 손으로 눌러 조작하는 키패드가 설치되며, 건전지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리모콘에 있어서:
빛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101)과; 상기 태양전지판(101)에서 발생한 전하가 충전되는 보조축전지(CAPCITOR)(102)와; 리모콘회로(103)로 상면부의 키패드(104)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마이콤(105)과; 상기 마이콤(105)의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IR Sense)(106) 및 PCB기판(107)을 내장한 상부케이스(108)와 하부케이스(109)를 초음파 열 융착하여 결합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빛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101) 및 보조축전지(CAPCITOR)(102)를 가지고, 수은 전지(111)를 내장하여 3차 보충전원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a)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109)의 소정위치에 고무자석(110)을 부착하여 형성하고, 벽면에는 케릭터, 그림 등을 인쇄한 상기 고무자석이 부착되는 벽면부착부재(111)를 형성하여, 상기 부착부재(111)에 리모콘을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b)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간략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부 일측에 적외선을 송출하는 적외선 송출부가 구비되고, 손으로 눌러 조작하는 키패드가 설치되며, 건전지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리모콘과 관련된다.
상부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빛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101)이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판(101)에서 발생한 전하가 충전되는 보조축전지(CAPCITOR)(10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빛이 있는 곳에서는 태양전지판(101)에서 빛을 집열하여 리모콘(100)의 주전원으로 사용하면서 보조축전지(CAPACITOR)(102)로 충전시키고, 빛이 없는 곳에서는 보조축전지(102)에 충전된 전원이 사용되는 것이다.
상부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키패드(104)가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104)는 리모콘 회로(103)과 PCB기판(107) 및 마이콤(105)으로 연결된다.
상기 키패드(104)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입력신호는 리모콘 회로(103) 및 PCB기판(107)을 통해 마이콤(105)으로 입력된다. 상기 마이콤(105)으로 입력된 신호는 리모콘(100)의 상부에 형성된 송출부(IR Sense)(106)로 송출되어 전자기기가 작동하는 것이다.
빛이 있는 밝은 곳에서 태양전지판(101)이 주전원으로 사용되고, 빛이 없는 곳에서는 보조축전지(102)의 충전된 전원이 사용되는 즉, 1차전원에서 2차전원으로의 이동작동은 마이콤(105)이 제어하게 된다.
상부케이스(108)와 하부케이스(109)는 초음파 열 융착하여 견고하게 결합하여 리모콘을 떨어 뜨리거나 가타 충격을 가하더라도 분해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정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배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좌측면 예시도이다.
상부 케이스 즉, 정면 상단에 송출부(IR Sense)(106)가 형성되고, 상부 소정위치에 태양전지판(101)과 숫자버튼과 작동버큰으로 구성된 키패드(104)가 형성된다. 내부에는 보조축전지(CAPCITOR)(102)와; 리모콘회로(103), PCB기판(107), 마이콤(105)이 내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은 건전지를 착탈하는 전원부가 형성될 필요가 없으므로 리모콘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간략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정면 예시도이다.
빛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101)이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판(101)에서 발생한 전하가 충전되는 보조축전지(CAPCITOR)(102)가 형성되며, 키패드(104)와, 리모콘 회로(103), PCB기판(107) 및 마이콤(105), 송출부(IR Sense)(106)로가 형성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의 내부에 3차 보충전원인 수은전지(111)를 구비한 것이다.
빛이 있는 밝은 곳에서 태양전지판(101)이 주전원으로 사용되고, 빛이 없는 곳에서는 보조축전지(102)의 충전된 전원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축전지(102)의 전원이 부족할 경우 수은전지(111)의 전원이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보조축전지(102)의 전원 일부와 수은전지(111)의 전원 일부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109)의 소정위치에 고무자석(110)을 부착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b)을 형성하고, 벽면에는 상기 고무자석(110)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벽면부착부재(111)를 벽면에 부착한다.
벽면부착부재(111)는 철판이나 고무 자석판으로 형성되고, 벨크로테잎이나 접착제 등으로 벽면에 부착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9)의 소정위치에 고무자석(110)을 형성하여 리모콘(100)을 벽면과 같은 위치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리모콘의 사용 후 보관위치가 따로이 정해져 있지 않아 사용 시 마다 어디에 있는 지 찾아야 하는 불편함없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벽면부착부재(111)에는 그림이나, 사진, 케릭터 형상 등으로 형성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100a)(100b)은 건전지를 착탈하는 전원부가 형성될 필요가 없으므로 리모콘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므로, 벽면에 부착하여 보관할 시에도 리모콘이 가벼워 부착에 문제점이 없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발면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전지를 주 전력원으로 사용하고, 태양전지의 작동이 불가한 경우에는 보조축전지나 수은전지의 전원을 보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건전지의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건전지의 교체비용을 없애 경제적임은 물론, 리모콘의 상하부 케이스를 초음파 열 융착하여 견고하게 형성가능하고, 리모콘의 배면에 고무자석을 형성하여 리모콘을 벽면에 부착하여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리모콘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간략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배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좌측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간략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정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리모콘 101 : 태양전지판
102 : 보조축전지 103 : 리모콘회로
104 : 키패드 105 : 마이콤
106 : 송출부(IR Sense) 107 : PCB기판
108 : 상부케이스 109 : 하부케이스
110 : 고무자석 111 : 벽면접착부재

Claims (3)

  1. 상부 일측에 적외선을 송출하는 적외선 송출부가 구비되고, 손으로 눌러 조작하는 키패드가 설치되며, 건전지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리모콘에 있어서:
    빛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101)과; 상기 태양전지판(101)에서 발생한 전하가 충전되는 보조축전지(CAPCITOR)(102)와; 리모콘회로(103)로 상면부의 키패드(104)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마이콤(105)과; 상기 마이콤(105)의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IR Sense)(106) 및 PCB기판(107)을 내장한 상부케이스(108)와 하부케이스(109)를 초음파 열 융착하여 결합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09)의 소정위치에 고무자석(110)을 부착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빛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101)과 보조축전지(CAPCITOR) (102)의 1 차 및 2 차전원을 가지고, 수은 전지(111)를 내장하여 3차 보충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a).
  3. 제 1항에 있어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의 하부케이스(109)에 고무자석(110)을 부착하고, 벽면에는 케릭터, 그림 등을 인쇄한 벽면부착부재(111)를 형성하여,
    상기 부착부재(111)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100b).
KR1020040047826A 2004-06-24 2004-06-24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 KR20050123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826A KR20050123278A (ko) 2004-06-24 2004-06-24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826A KR20050123278A (ko) 2004-06-24 2004-06-24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278A true KR20050123278A (ko) 2005-12-29

Family

ID=3729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826A KR20050123278A (ko) 2004-06-24 2004-06-24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32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099B1 (ko) * 2008-06-02 2009-02-19 주식회사 이상기술 솔라셀을 구비한 rf무선 등기구 스위치
KR101391077B1 (ko) * 2009-09-09 2014-04-30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리모트 컨트롤러
KR101396757B1 (ko) * 2009-09-09 2014-05-16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리모트 컨트롤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4639U (ko) * 1994-05-10 1995-12-18 리모콘 구동장치
KR970011639U (ko) * 1995-08-29 1997-03-29 리모트 콘트롤러
KR970020216U (ko) * 1995-10-31 1997-05-26 태양열을 이용한 리모콘
KR970064526U (ko) * 1996-05-03 1997-12-11 정철호 보관이 용이한 전자제품 리모콘
KR19980026910A (ko) * 1996-10-12 1998-07-15 석은숙 리모컨 전원장치
KR200256118Y1 (ko) * 2001-09-07 2001-12-13 김진용 리모콘 관리의 편의를 도모한 구성 시스템
KR200264813Y1 (ko) * 2001-11-26 2002-02-21 이선모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4639U (ko) * 1994-05-10 1995-12-18 리모콘 구동장치
KR970011639U (ko) * 1995-08-29 1997-03-29 리모트 콘트롤러
KR970020216U (ko) * 1995-10-31 1997-05-26 태양열을 이용한 리모콘
KR970064526U (ko) * 1996-05-03 1997-12-11 정철호 보관이 용이한 전자제품 리모콘
KR19980026910A (ko) * 1996-10-12 1998-07-15 석은숙 리모컨 전원장치
KR200256118Y1 (ko) * 2001-09-07 2001-12-13 김진용 리모콘 관리의 편의를 도모한 구성 시스템
KR200264813Y1 (ko) * 2001-11-26 2002-02-21 이선모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099B1 (ko) * 2008-06-02 2009-02-19 주식회사 이상기술 솔라셀을 구비한 rf무선 등기구 스위치
KR101391077B1 (ko) * 2009-09-09 2014-04-30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리모트 컨트롤러
KR101396757B1 (ko) * 2009-09-09 2014-05-16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리모트 컨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1339A (en) Camera and system operating from a secondary battery
US5469211A (en) Video camera
US5138590A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ovable case
JP2021056210A (ja) 電源をワイヤレスで充電するための電子装置を有する時計ケース裏蓋
KR20050123278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리모콘
US8559182B2 (en) Devic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WM569517U (zh) 多功能無線充電板
JP2003241293A (ja) リモコン装置付きカメラ
US20050151876A1 (en) Multiple use permanently sealed digital camera
CN203352243U (zh) 一种多功能移动电源
TW200414704A (en) Wiring utensil
CN211124775U (zh) 一种可与遥控器一体化安装的数码相框
JP2001021985A (ja) 充電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H118950A (ja) 遠隔制御および/または監視用端末器、遠隔制御および/または監視装置、遠隔制御装置
CN102856608A (zh) 吸合式可分离手机后备电源
CN201072496Y (zh) 一种多功能电子显示时钟
CN214707864U (zh) 无线遥控拍摄手提手柄
CN102111538A (zh) 便携式电子设备
JP2001021981A (ja) 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848490B2 (ja) ビデオカメラ
CN214544424U (zh) 一种可用于无线遥控拍摄的手机盒
CN215121052U (zh) 一种具有语音提示功能的数字电视机顶盒遥控器
JP2559956Y2 (ja) 電子機器
EP4231529A1 (en) Wireless switch
TWI668723B (zh) 負載控制裝置及發送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