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258A - 내부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내부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258A
KR20000003258A KR1019980024461A KR19980024461A KR20000003258A KR 20000003258 A KR20000003258 A KR 20000003258A KR 1019980024461 A KR1019980024461 A KR 1019980024461A KR 19980024461 A KR19980024461 A KR 19980024461A KR 20000003258 A KR20000003258 A KR 20000003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control signal
unit
internal charging
battery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복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2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258A/ko
Publication of KR2000000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2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더 상세하게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건전지와 내부충전장치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 동작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 내부 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각종 가전제품에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 삽입부(110); 상기 건전지 삽입부(110)를 통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내부 충전부(140); 상기 내부 충전부(140)와 외부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연결잭(141); 상기 건전지 삽입부(110)와 내부 충전부(140)의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각종 가전제품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 그리고,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각 가전제품으로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 발생부(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는 사용자의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에 의해 제어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건전지 삽입부(110)에 삽입된 건전지가 그 수명을 다하게 되면, 상기 내부 충전부(140)의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로 전원을 공급하게된다. 또한 상기 내부 충전부(140)에 충전된 전원이 없다면, 상기 연결잭(141)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신호 생성부(12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부 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본 발명은 내부 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트 컨트롤러에 건전지와 내부충전장치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 동작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이씨알(2)이나 오디오 등의 가전제품 사용에 있어서, 그 가전제픔의 사용자로 하여금, 먼거리에서도 사용자 조작부(12')의 간단한 스위치조작으로 그 제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위한 보조수단으로 널리사용된다. 그러한 리모트 컨트롤러(1)의 구동에의해 사용하는 가전제품에 컨트롤 신호를 발생하여 그 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종래의 리모트 컨트롤러(1)는 도 2의 개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에 구동 에너지를 공급하기위한 건전지 삽입부(11), 상기 건전지 삽입부(11)의 에너지 공급과 사용자 조작부(12')의 조작으로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 생성부(12) 그리고, 상기 컨트롤 신호 조작부(12)의 제어 신호를 사용하고자하는 가전제품으로 그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 발생부(13)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조작부(12')는 각종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각 제어기능 스위치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에 구동 에너지를 공급하기위한 건전지 삽입부(11)에 사용되는 건전지는 그 사용 수명이 유한한다.
그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사용자는 사용하고자하는 가전제품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저면부(1")에 존재하는 건전지 삽입부(11)에 건전지를 삽입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상부(1')에 존재하는 사용자 조작부(12')에 원하는 제어기능 스위치를 누른다. 상기 사용자의 조작부(12')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는 컨트롤 신호발생부(13)를 통해 해당하는 가전제품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각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럼으로 사용자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발생한 각종 가전제품의 제어신호는, 해당하는 가전제품의 각 기능을 수행하게된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 공급원은, 그 사용수명이 유한한 건전지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의 저면부(1")에 존재하는 건전지 삽입부(11)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그로인해 상기 건전지 삽입부(11)에 삽입된 건전지가 그 수명을 다하게 되면 더 이상 컨트롤 신호 생성부(12)로 에너지를 공급하지 못함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조작부(12')의 제어신호 조작에따른 제어신호의 생성및,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를 제어하고자하는 가전제품으로 전송하지 못하게된다. 그로인해 상기 건전지 삽입부(11)에 삽입된 건전지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상기 건전지 삽입부(11)에 삽입된 건전지가 그 수명을 다하더라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계속해서 공급하기 위한, 내부 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반적인 사용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2는 종래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100: 리모트 컨트롤러
1': 리모트 컨트롤러 상부
1": 리모트 컨트롤러 저면부
2: 브이씨알
11, 110 : 건전지 삽입부
12, 120: 컨트롤신호 생성부
12': 사용자 조작부
13, 130: 컨트롤 신호 발생부
140: 내부 충전부
141: 연결잭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 삽입부; 상기 건전지 삽입부를 통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내부 충전부; 상기 내부 충전부와 외부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연결잭; 상기 건전지 삽입부와 내부 충전부의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각종 가전제품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 생성부; 그리고,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각 가전제품으로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건전지 삽입부와 내부 충전부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구성되며,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충전부의 출력단자는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의 전원 공급단자와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연결잭은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충전부의 입력단자와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는 사용자의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에 의해 제어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는, 그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 삽입부(110), 상기 건전지 삽입부(110)를 통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내부 충전부(140), 상기 내부 충전부(140)와 외부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연결잭(141), 상기 건전지 삽입부(110)와 내부 충전부(140)의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각종 가전제품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 그리고,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각 가전제품으로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 발생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건전지 삽입부(110)와 내부 충전부(140)는 도 4에 도시된 회로도와 같이,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결잭(141)은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충전부(140)의 입력단자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충전부(140)의 출력단자는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의 전원 공급단자와 직렬로 접속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는 사용자의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에 의해 제어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00) 상부에 존재하는 사용자 조작부에 원하는 제어기능 스위치를 누른다. 상기 사용자의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각종 제어가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에 생성된다.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는 컨트롤 신호발생부(130)를 통해 해당하는 가전제품으로, 각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럼으로 사용자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발생한 각종 가전제품의 제어신호는, 해당하는 가전제품으로 하여금 각 기능을 수행하게한다.
이때,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에너지 공급수단인 건전지 삽입부(110)에 삽입된 건전지가 그 수명을 다하게 되면, 내부 충전부(140)에 충전된 전원이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내부 충전부(140)에 충전이 않되었을 경우에는, 연결잭(141)을 통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내부 충전부(14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상기 건전지 삽입부(110)에 삽입된 건전지가 그 수명을 다하게 되면, 상기 내부 충전부(140)의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로 전원을 공급하게된다. 또한 상기 내부 충전부(140)에 충전된 전원이 없다면, 상기 연결잭(141)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신호 생성부(12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일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된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2)

  1. 각종 가전제품에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
    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 삽입부(110);
    상기 건전지 삽입부(110)를 통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내부 충전부(140);
    상기 내부 충전부(140)와 외부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연결잭(141);
    상기 건전지 삽입부(110)와 내부 충전부(140)의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각종 가전제품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
    그리고, 상기 컨트롤 신호 생성부(120)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각 가전제품으로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 발생부(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 삽입부(110)와 내부 충전부(140)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KR1019980024461A 1998-06-26 1998-06-26 내부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KR20000003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461A KR20000003258A (ko) 1998-06-26 1998-06-26 내부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461A KR20000003258A (ko) 1998-06-26 1998-06-26 내부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258A true KR20000003258A (ko) 2000-01-15

Family

ID=1954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461A KR20000003258A (ko) 1998-06-26 1998-06-26 내부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2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077B1 (ko) * 2009-09-09 2014-04-30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리모트 컨트롤러
KR101396757B1 (ko) * 2009-09-09 2014-05-16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리모트 컨트롤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077B1 (ko) * 2009-09-09 2014-04-30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리모트 컨트롤러
KR101396757B1 (ko) * 2009-09-09 2014-05-16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리모트 컨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3357B2 (en) Pluggable mechanism for wireless remote control
CN102714426B (zh) 供电装置和使用该供电装置的供电系统
US6509655B1 (en) System including electronically-controlled power strip having a plurality of receptacles
US20070159348A1 (en) Power saving apparatus
KR20000003258A (ko) 내부충전장치를 지니는 리모트 컨트롤러
JP2000221218A (ja) 電力検知ユニット、コネクター、スイッチ装置および電力使用状態管理システム
EP1376814A3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CN104882973A (zh) 组合电器系统
EP0983627A1 (en) Apparatus for power supplying and controlling a number of external devices
TW357233B (en) Ignition device
KR200311932Y1 (ko) 전원공급제어장치
RU2003121767A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е универсальное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рядки аккумуляторов мобильных телефонов
KR200227804Y1 (ko) 무선 타이머 콘센트 전원제어장치
CN216491156U (zh) 一种基于蓝牙mesh的灯控系统
KR100320946B1 (ko) 교류전원을 이용한 직류전원출력장치
KR0165658B1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리모콘 충전장치
CN201449657U (zh) 一种通用型遥控开关装置
TW274650B (en) Partition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JP3384387B2 (ja) ワイヤード付きリモコン送信機
KR100396598B1 (ko) 원격 조정이 가능한 초절전 스탠바이 장치
KR200292705Y1 (ko) 리모트컨트롤러 충전부가 구비된 가정용 전자기기
JPS61273098A (ja) ワイヤレスリモコン
KR20010069051A (ko) 절전 제어회로
KR20000074446A (ko) 전자전기제품의 절전유니트
JPH0833216A (ja) 電子機器及び無線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