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939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939A
KR20120007939A KR1020100076607A KR20100076607A KR20120007939A KR 20120007939 A KR20120007939 A KR 20120007939A KR 1020100076607 A KR1020100076607 A KR 1020100076607A KR 20100076607 A KR20100076607 A KR 20100076607A KR 20120007939 A KR20120007939 A KR 20120007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isplay
unit
sola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해
김종욱
은유숙
이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939A/ko
Publication of KR20120007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2005/0064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 F24F2005/006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with photovoltaic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모드시 태양광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며 실외 공기와 상기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와 냉매가 유동되도록 연결되며 실내 공기와 상기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내기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태양광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과,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상기 태양광 전원을 공급 받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대기 모드시 태양광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미사용시에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기 모드에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대기 모드에서 외부 전원을 사용하자 않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며 실외 공기와 상기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와 냉매가 유동되도록 연결되며 실내 공기와 상기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내기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태양광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과,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상기 태양광 전원을 공급 받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공기조화기가 운전하지 않는 대기 모드에서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대기 모드에서 공기조화기가 시계, 날씨, 또는 집안 공기 상태를 은유적인 이미지 심볼로 표시하여 재미와 감성 품질을 강화하는 장점도 있다.
셋째, 대기 모드시 태양광을 이용하여 외부 전원 사용을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에 대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 내지 도 7e는 도 7a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정보에 대한 각각의 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에 대한 내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태양광 모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00)는, 태양광 모듈(120), 실외기(150), 및 실내기(200)를 포함한다.
태양광 모듈(120)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실리콘 태양전지(silicon solar cell),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 및 적층형 태양전지(tandem solar cell) 등의 태양전지를 포함한다. 태양광 모듈(120)은, 원활한 전기 에너지 변환을 위해, 실외기(15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광 모듈(120)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태양광 전원을 공급한다. 이하에서, 태양광 모듈(120)이 공급하는 태양광 전원은 직류 전원인 것으로 기술한다.
한편, 태양광 모듈(120)은, 원활한 전기 에너지 변환을 위해, 실외기(15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광 모듈(120)은, 도 3(a)와 같이, 실외기(150) 상에 전면에 부착되다가, 도 3(b)와 같이 이동 수단(190)에 의해 태양광 모듈(120)의 부착 각도 또는 부착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태양과 태양광 모듈(120)이 직각을 이루도록 이동 수단(190)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태양광 모듈(120)의 각 측면에 복수의 이동 수단(190)이 배치되고, 복수의 이동 수단(190)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이동 수단(190)은 모터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동 수단(190)의 동작은, 태양광 모듈(120)에서 전기적으로 변환된 태양광 전원의 크기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120)에서 변환된 태양광 전원이 소정 크기 이하인 경우, 태양광 모듈(120)의 부착 각도 또는 부착 위치가 변경하도록 이동 수단(190)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변경된 부착 각도 또는 부착 위치에 따라, 계속적으로 태양광 모듈(120)에서 변환된 태양광 전원을 검출하여, 최적의 부착 각도 또는 부착 위치를 산출하여, 이동 수단(190)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기(150)는, 냉매를 압축하며,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한다. 실외기(150)는 실내기(200)와 냉매가 유동되도록 연결된다. 실외기(150)는 실내기(200)의 요구 또는 외부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 또는 난방 운전 모드로 동작된다.
이를 위해, 실외기(150)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52)와,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154)와, 실외 열교환기(154)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외 공기를 유동하여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55)과, 냉매를 팽창하는 실외 팽창밸브(15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절환밸브(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150)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200)는,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한다. 실내기(200)는 실외기(150)와 냉매가 유동되도록 연결된다. 실내기(200)는 냉방 또는 난방 운전 모드로 동작되거나,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운전을 하지 않고 리모컨 등에 의해 외부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대기 모드로 동작된다.
운전 모드는 실외팬(155), 압축기(152) 또는 실내팬(209) 등이 동작하여 난방 또는 냉방, 제습, 환기, 공기청정 등을 수행하여 실내 공기를 공조하는 것을 의미하며, 대기 모드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실외팬(155), 압축기(152) 또는 실내팬(209) 등이 동작하지 않고 외부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 모드에서는 리모컨 등에 의한 외부 명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소비 전력인 대기 전력이 요구된다.
실내기(200)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208)와, 실내 열교환기(208)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유동하여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실내팬(209)과,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내 팽창밸브(2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00)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미도시)와, 열교환된 실내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 토출구(미도시)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200)에는 실내기(200)의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10)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110)는 운전 모드시 운전 상태 또는 설정 정보를 표시하며, 대기 모드시 날씨, 시간, 실내 온도 및 실내 공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0)는 구동을 위한 소비 전력인 디스플레이 전력이 요구된다.
디스플레이부(1110)는 각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각종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며, 실시예에 따라 점멸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빛을 발사하여 외부 스크린에 표시하는 프로젝터(projector)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10)가 LCD인 경우이며, 디스플레이부(1110)는 대기모드시 맑음(1115), 흐림(1125), 비(1135) 등의 날씨를 아이콘과 함께 표시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실내기(200)가 스탠드형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천장형 또는 벽걸이형에도 가능하며, 실외기와 실내기의 구분이 없는 일체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한편, 실내기(200)와 실외기(150) 사이는 냉매 배관으로 연결된다. 하나의 실외기(150)에 복수의 실내기(2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실외기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200)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내기(200)와 실외기(150) 사이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태양광 모듈(120)와 실내기(200) 사이는, 전원선으로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120)로부터의 전원이 실내기(2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내기(200)는, 교류 전원 스위칭부(215), 충전부(310), dc/dc 컨버터(220), 컨버터(225), 실내기 제어부(240), 디스플레이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류 전원 스위칭부(215)는, 외부 전원(205)을 컨버터(225)로 공급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교류 전원 스위칭부(215)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다. 한편, 교류 전원 스위칭부(215) 내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은, 실내기 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교류 전원 스위칭부(215)의 동작에 대해서는, dc/dc 컨버터(220) 및 실내기 제어부(240)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충전부(310)는 태양광 모듈(120)로부터의 태양광 전원을 충전하거나 방전한다. 또한, 과충전, 과방전을 제어한다. 충전부(310)는 특히, 낮 동안에 태양광 모듈(120)에서 에너지 변화된 태양광 전원을 충전하며, 밤에는 충전된 태양광 전원을 방전한다.
한편, 충전부(310)에 저장된 태양광 전원은, 후술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 대기 전력으로 사용되며, 디스플레이부(1110)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충전부(310)가 없는 경우 태양광 모듈(120)이 공급하는 태양광 전원이 대기 모드에서 대기 전력으로 사용되며, 디스플레이부(1110)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충전부(310)가 실내기(20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태양광 모듈(120)와 함께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dc/dc 컨버터(220)는, 태양광 모듈(120)로부터 공급되는 태양광 전원을 레벨 변화시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120)에서 발전된 태양광 전원을 승압시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dc/dc 컨버터(220)가 실내기(20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태양광 모듈(120)와 함께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컨버터(225)는, 교류 전원 스위칭부(215)의 동작에 따라 외부 전원(205)을 입력 받아, 태양광 전원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컨버터(225)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소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 모드시 운전 상태 또는 설정 정보를 표시하며, 대기 모드시 날씨, 시간, 실내 온도 및 실내 공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0)는 구동을 위한 소비 전력인 디스플레이 전력이 요구된다. 디스플레이부(1110)는 외부 전원(205)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으나, 태양광 모듈(120)로부터 공급되거나 충전부(310)에 충전된 태양광 전원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기 제어부(240)는, 실내기(2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부(240)는 충전부(310)에 충전된 태양광 전력을 감지한다. 충전부(310)가 없는 경우 실내기 제어부(240)는 태양광 모듈(120)로부터 출력되는 태양광 전력을 감지한다. 실내기 제어부(240)는 리모컨 등에 의한 외부 명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소비 전력인 대기 전력이 요구된다.
실내기 제어부(240)는 태양광 모듈(120)로부터 출력되거나 충전부(310)에 저장된 태양광 전력의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10)를 작동시킨다.
실내기 제어부(240)는 대기 모드시 태양광 전력이 대기 전력보다 작은 경우 교류 전원 스위칭부(215)를 턴 온시키고 dc/dc 컨버터(220)를 오프시켜, 외부 전원(205)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외부 전원을 대기 전력으로 사용한다. 이 경우, 외부 전원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내기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1110)를 작동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실시예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10)를 작동시켜 외부 전원으로 디스플레이부(1110)를 구동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부(240)는 대기 모드시 태양광 전력이 대기 전력보다 크지만 대기 전력 및 디스플레이 전력의 합보다 작은 경우 교류 전원 스위칭부(215)를 오프시키고 dc/dc 컨버터(220)를 턴 온시켜, 외부 전원(205)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태양광 모듈(120)로부터 공급되거나 충전부(310)에 충전된 태양광 전원을 대기 전력으로 사용한다. 이 경우, 실내기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111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실내기 제어부(240)는 대기 모드시 태양광 전력이 대기 전력과 디스플레이 전력의 합보다 큰 경우 교류 전원 스위칭부(215)를 오프시키고 dc/dc 컨버터(220)를 턴 온시켜, 외부 전원(205)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태양광 모듈(120)로부터 공급되거나 충전부(310)에 충전된 태양광 전원을 대기 전력 및 디스플레이 전력으로 사용한다. 이 경우 실내기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1110)를 작동하여, 디스플레이부(1110)가 날씨, 시간, 실내 온도 및 실내 공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기조화기가 대기 모드로 설정된다(S110). 대기 모드는, 공기조화기가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운전을 하지 않고 리모컨 등에 의해 외부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가 외부 전원(205)과 연결되거나, 운전을 중단한 경우 대기 모드로 설정되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대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대기 모드시 태양광 전력이 대기 전력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120). 실내기 제어부(240)는 충전부(310)에 충전된 태양광 전력을 감지한다. 충전부(310)가 없는 경우 실내기 제어부(240)는 태양광 모듈(120)로부터 출력되는 태양광 전력을 감지한다. 실내기 제어부(240)는 감지된 태양광 전력이 리모컨 등에 의한 외부 명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소비 전력인 대기 전력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태양광 전력이 대기 전력보다 작은 경우 외부 전원을 인가한다(S130). 실내기 제어부(240)는 교류 전원 스위칭부(215)를 턴 온시키고 dc/dc 컨버터(220)를 오프시켜, 외부 전원(205)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외부 전원을 대기 전력으로 사용한다. 또한, 실내기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111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S160). 다만, 실시예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10)를 작동시켜 외부 전원으로 디스플레이부(1110)를 구동할 수 있다.
태양광 전력이 대기 전력보다 큰 경우 태양광 전원을 인가한다(S140). 실내기 제어부(240)는 교류 전원 스위칭부(215)를 오프시키고 dc/dc 컨버터(220)를 턴 온시켜, 외부 전원(205)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태양광 모듈(120)로부터 공급되거나 충전부(310)에 충전된 태양광 전원을 인가한다.
태양광 전력이 대기 전력 및 디스플레이 전력의 합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150). 실내기 제어부(240)는 대기 모드시 태양광 전력이 대기 전력보다 크지만 대기 전력 및 디스플레이 전력의 합보다 작은지 다시 판단한다.
태양광 전력이 대기 전력 및 디스플레이 전력의 합보다 작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11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S160). 실내기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1110)를 구동하지 않고, 태양광 모듈(120)로부터 공급되거나 충전부(310)에 충전된 태양광 전원을 대기 전력으로만 사용한다. 다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10)를 작동시켜 외부 전원으로 디스플레이부(1110)를 구동할 수 있다.
태양광 전력이 대기 전력과 디스플레이 전력의 합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부(1110)를 작동한다(S170). 실내기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1110)를 구동하여 태양광 모듈(120)로부터 공급되거나 충전부(310)에 충전된 태양광 전원을 대기 전력 및 디스플레이 전력으로 사용한다. 디스플레이부(1110)는 날씨, 시간, 실내 온도 및 실내 공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200)의 디스플레이부(1210)는 점멸되는 LED로 구현되어, 대기 모드시 시간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10)의 LED는 현재시간의 시와 분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점등하여 시간을 표시한다. 실시예에 따라 점멸되는 LED는 기타 발광 소자로 대체될 수 있다.
도 7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 내지 도 7e는 도 7a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정보에 대한 각각의 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200)의 디스플레이부(1310)는 빛을 발사하여 외부 스크린(1311)에 표시하는 프로젝터로 구현된다. 외부 스크린(1311)은 별도의 스크린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집안의 벽이다. 디스플레이부(1310)는 날씨, 시간, 실내 온도 및 실내 공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스크린(1311)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0)는 외부 스크린(1311)에, 날씨, 시간, 실내 온도 및 실내 공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은유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심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10)는 낮에 시간을 표시(1311b)할 수 있으며, 도 7c와 같이 밤에는 밤을 나타내는 달 모양의 이미지 심볼과 함께 시간을 표시(1311c)할 수 있다.
도 7d 및 도 7e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10)는 실내 공기 상태를 이미지 상징물인 새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d와 같이 실내 공기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새의 개수를 적게 표시(1311d)하며, 도 7e와 같이 실내 공기 상태가 좋은 경우 새의 개수를 많이 표시(1311e)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20: 태양광 모듈 150: 실외기
160: 절환밸브 152: 압축기
153: 어큐뮬레이터 154: 실외 열교환기
156: 실외 팽창밸브 155: 실외팬
190: 이동 수단 200: 실내기
205: 외부 전원 208: 실내 열교환기
209: 실내팬 215: 교류 전원 스위칭부
220: dc/dc 컨버터 225: 컨버터
240: 실내기 제어부 256: 실내 팽창밸브
310: 충전부 1110: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냉매를 압축하며 실외 공기와 상기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냉매가 유동되도록 연결되며 실내 공기와 상기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내기;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태양광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 및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상기 태양광 전원을 공급 받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은 상기 실외기에 부착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태양광 모듈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날씨, 시간, 실내 온도 및 실내 공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날씨, 시간, 실내 온도 및 실내 공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이미지 심볼로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빛을 발사하여 외부 스크린에 표시하는 프로젝터인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의 태양광 전력이 상기 실내기의 외부 명령 신호 수신을 위한 대기 전력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위한 디스플레이 전력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태양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의 태양광 전력이 상기 실내기의 외부 명령 신호 수신을 위한 대기 전력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위한 디스플레이 전력의 합보다 작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공기조화기.
KR1020100076607A 2010-08-09 2010-08-09 공기조화기 KR20120007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607A KR20120007939A (ko) 2010-08-09 2010-08-0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607A KR20120007939A (ko) 2010-08-09 2010-08-09 공기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646A Division KR20120007871A (ko) 2010-07-15 2010-07-1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939A true KR20120007939A (ko) 2012-01-25

Family

ID=4561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607A KR20120007939A (ko) 2010-08-09 2010-08-0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9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5680A (zh) * 2014-03-26 2014-07-1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光伏空调器的温度调节方法和系统
CN109539466A (zh) * 2018-11-19 2019-03-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电设备的控制方法、家电设备、空调器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5680A (zh) * 2014-03-26 2014-07-1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光伏空调器的温度调节方法和系统
WO2015143859A1 (zh) * 2014-03-26 2015-10-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光伏空调器的温度调节方法和系统
CN109539466A (zh) * 2018-11-19 2019-03-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电设备的控制方法、家电设备、空调器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499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US20110264932A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4833040A (zh) 空调系统的温度控制方法及温控器
CN202057989U (zh) 通信基站/机房学习型节能控制器
CN201242230Y (zh) 一种太阳能空调机组
KR20110116672A (ko) 태양 전지를 이용한 공동 주택용 환기 시스템
KR20120007939A (ko) 공기조화기
JP4269324B2 (ja) 熱機器装置の配置方法、空調装置、熱機器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空調・照明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照明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869092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N110543119A (zh) 一种多功能的新型控制面板系统及控制方法
WO2017120950A1 (zh) 一种智能节能空调系统
CN210638226U (zh) 一种由太阳能直接供电的智能变频恒温空调
KR20080057994A (ko) 공기조화기
KR20130053936A (ko) 공기 조화기와, 이를 포함한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
CN103836738A (zh) 太阳能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2004053149A (ja) 空気調和装置
CN207503070U (zh) 一种多联供变频热泵控制装置
WO2017120949A1 (zh) 一种节能空调系统
KR101706951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120017181A (ko) 공기조화기
CN107461880B (zh) 空调器、终端及具有空调器和终端的空调系统
CN110360688A (zh) 一种太阳能空调窗
JPH11187575A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KR10155261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N214536730U (zh) 一种冷热源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