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951B1 - 공기조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951B1
KR101706951B1 KR1020100079171A KR20100079171A KR101706951B1 KR 101706951 B1 KR101706951 B1 KR 101706951B1 KR 1020100079171 A KR1020100079171 A KR 1020100079171A KR 20100079171 A KR20100079171 A KR 20100079171A KR 101706951 B1 KR101706951 B1 KR 101706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conditioning
indoor
visible ligh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751A (ko
Inventor
조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9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가시광 통신을 기반으로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명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 확인 및 개별 또는 그룹 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기반으로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명 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 확인 및 개별 또는 그룹 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시키는 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및 난방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사이클을 일방향으로만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 시스템과, 냉매사이클을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냉난방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또한, 한대의 실외기에 한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통상적인 공기조화장치와, 한대의 실외기에 다수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적어도 한대 이상의 실외기를 갖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밸브, 실내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액체 냉매로 상변화를 하게 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상변화를 하면서 외부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후에 실외 열교환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는 팽창밸브를 거치면서 팽창되고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되고,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된 액체 냉매는 기체 냉매로 상변화를 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에서 상변화를 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시스템이 설치된 빌딩 등은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운전 및 제어된다.
상기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B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은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량을 관리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처를 찾아서 그 낭비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이며, 건물의 설비관리 및 설비운전 보수관리, 건물 내부 환경의 유지와 그로 인해 소비되는 에너지, 물질을 관리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이다.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에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기 및 특정 실내기를 제어하기 위한 로컬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실내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실내기의 개수 또는 실내기 그룹의 개수만큼 로컬제어기가 필요하다.
상기 로컬 제어기는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대응되는 실내기와 연결되고, 고층 빌딩의 경우 각 층마다 복수의 실내기(예를 들어, 천장형 실내기)가 설치되며, 이에 연결되는 통신 케이블은 벽체 또는 천장 등의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로컬 제어기는 특정 공간(예를 들어, 기계실)에 함께 설치된다.
이때, 실내기와 로컬 제어기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에는 통신 케이블의 연장선 추가 설치에 따른 오결선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통상 통신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과 함께 배치되므로, 고압 전원에 따른 노이즈 유입으로 인하여 로컬 제어기의 오작동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동일 장소에 복수의 로컬 제어기가 설치되므로, 각 실내기에 해당하는 로컬 제어기의 식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기반으로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장치를 통하여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 확인 및 개별 또는 그룹 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조명 장치의 가시광 통신을 기반으로, 조명 장치 주변에 설치된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 및 전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원격으로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의 그룹의 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신호의 전달을 위한 가시광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로컬 제어기; 및 상기 로컬 제어기로부터 입사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조 유니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은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유니트는 가시광을 집광하기 위한 프리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유니트는 입사된 가시광을 제어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은, PWM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이컴; 및 상기 펄스 신호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는 가시광 통신 모듈을 통하여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유니트는 실외기, 실내기,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또는 제습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또한, 상기 공조 유니트는 천장형 실내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시광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 상기 조명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조 유니트; 및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공조 유니트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은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 정보는 해당 공조 유니트의 모델명, 제품 정보, 운전 정보, 설치 위치, 전기 요금, 전기 요금, 및 전력 요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조명 장치를 통하여 상기 공조 유니트의 객체 정보와 연관된 동작의 원격 조정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유니트는 가시광을 집광하기 위한 프리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공조 유니트에 관한 객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유니트는 실외기, 실내기,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또는 제습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시스템에 따르면, 가시광 통신을 기반으로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시스템에 따르면, 조명 장치를 통하여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 확인 및 개별 또는 그룹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시스템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와 조명 장치의 가시광 통신을 기반으로, 조명 장치 주변에 설치된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 및 전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원격으로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의 그룹의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를 나타내는 요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 나타내는 요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제어신호의 전달을 위한 가시광 통신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로컬 제어기(10)와 상기 로컬 제어기로부터 입사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조 유니트(O, I)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조 유니트는 실외기, 실내기,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또는 제습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공조 유니트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O) 및 상기 실외기와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I)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은 상기 실내기 및/또는 실내기 그룹을 개별 또는 통합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기(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기 위한 실내기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 환기장치, 가습장치 및 제습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조 유니트들은 중앙제어기(C)와 연결되어 개별 또는 통합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O: O1 내지 O4)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와 상기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오일분리기 와 어큐물레이터 및 사방밸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I: I11 내지 I44)는 실외기로부터 공급된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실내 열교환기와 송풍팬 및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외기(O)와 실내기(I)는 냉매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외기(I)와 실내기(O) 간의 냉매 흐름의 방향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고, 실외기 및 실내기는 소정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호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1에는 4개의 실외기(O1 내지 O) 및 각 실외기와 연결된 3개 또는 4개의 실내기(I11 내지 I13, I21 내지 I23, I31 내지 I33 및 I41 내지 I44)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외기의 수는 각 실외기와 연결되는 냉/난방 용량 및 구비되는 압축기의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I: I11 내지 I44)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실외기(O)는 복수의 실내기(I)와 연결되고, 어느 한 실내기의 요구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실내기(예를 들어, O1)와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들(I11 내지 I13)는 하나의 제어 그룹(G1)을 구성하게 되며, 중앙제어기(C) 또는 로컬 제어기(10)에 의한 통합 제어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 1실외기(O1)와 연결된 제 1 내지 제 3실내기(I11 내지 I13)가 제 1제어그룹(G1)을 구성하고 있고, 제 2실외기(O2)와 연결된 제 1 내지 제 3실내기(I21 내지 I23)가 제 2제어그룹(G2)을 구성하고 있으며, 제 3실외기(O3)와 연결된 제 1 내지 제 3실내기(I31 내지 I33)가 제 3제어그룹(G3)을 구성하고 있고, 제 4실외기(O4)와 연결된 제 1 내지 제 4실내기(I41 내지 I44)가 제 4제어그룹(G4)을 구성하고 있는 공기조화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으며, 어느 한 제어그룹에 속한 복수의 실내기 들은 중앙제어기(C)에 의하여 개별 또는 통합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시스템(1)은 실외기를 기준으로 특정 실외기에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들이 하나의 제어그룹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상기 제어그룹은 이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여러 층을 갖는 빌딩에서는 하나의 층에 복수의 실내기가 설치된다. 이때, 배관 및 케이블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하나의 층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내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모두 연결되지 않고, 서로 다른 실외기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느 한 층에 설치된 복수의 실내기가 하나의 제어그룹을 구성할 수 있으며, 중앙제어기(C) 또는 로컬 제어기(10)에 의하여 개별 또는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통상 공기조화시스템은 하나의 중앙제어기를 통하여 16개의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최대 256개의 실내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16개의 중앙제어기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B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은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량을 관리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처를 찾아서 그 낭비를 최소화하고, 각 실내기를 개별 또는 통합제어하여 관리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며, 상기 중앙제어기(C) 또는 로컬 제어기(10)는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특정 실내기 또는 특정 제어 그룹에 속한 복수의 실내기들을 개별 또는 통합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기(C)는 실내기의 구동 상황 및 전력 사용량을 관리하고,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 공간에서 활동하는 사용자가 아닌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다.
중앙제어기(C)는 복수의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에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구동여부(온/오프 제어)와 그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 동작 스케줄에 따라 실내기들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각각의 실내기들에 연결되며, 연결된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실내기로 전송하는 로컬제어기(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내 공간에서 활동하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상기 로컬제어기(10)를 통하여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온(On)/오프(Off), 실내기의 운전 정보의 변경(희망온도, 희망습도, 풍향 및 풍량 등)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제어신호의 전달을 위한 가시광 통신 모듈(11)을 포함하는 로컬 제어기(10) 및 상기 로컬 제어기(10)로부터 입사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조 유니트(예를 들어, 실내기)(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1)은 발광다이오드(LED)(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을 집광하기 위하여, 상기 공조 유니트(20)에는 집광부(21)가 마련된다.
상기 집광부(21)는 프리넬 렌즈(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조 유니트(20)는 입사된 가시광을 제어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1)은,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이컴(14) 및 상기 펄스 신호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1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부(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컬 제어기(10)는 가시광 통신 모듈(11)을 통하여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상 실내 공간에 조명을 제공하는 스탠드 등의 조명 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조 유니트는 실외기, 실내기,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또는 제습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공조 유니트는 천장형 실내기(20)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시스템에서는 로컬 제어기(10)와 공조 유니트(20)가 가시광 통신을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공유한다.
가시광 통신(VLC: Visual Lighting Communication)은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는 융합기술이다. 조명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이므로 가시광 무선 통신이라 한다.
가시광 무선통신기술은 디지털 조명과 통신을 융합한 통신기술이기 때문에 통신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가시광 무선통신 효과로서 빛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며, 주파수 허가를 받을 필요도 없다.
발광 다이오드(LED, 12)는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성질이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의 조명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시광 무선 통신의 원리는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의 깜박임 송수신을 기본 원리로 하여, 조명 기능을 유지하면서 통신도 동시에 할 수 있다.
전기에서 빛으로 바꾸는 속도는 약 30나노미터 내지 약 250나노미터에 해당하며, 이러한 스위칭(온-오프)을 통신 모듈레이션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사람은 초당 100회 이상 깜박이면, 깜박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켜진 것으로 인식하므로 조명 기능도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로컬 제어기(10)는 구동 회로부(13)에 PWM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발광 다이오드(12)의 온/오프를 실시하여 실내기 제어 신호를 가시광 파장의 빛 신호로 변조시킨다.
또한, 상기 공조 유니트는 각 실내기(20)에 마련된 집광부(21)의 프리넬 렌즈(22)를 통해 전방위에서 입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포토 다이오드(23)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데이터를 복호화시키고, 공조 유니트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도시되지 않음)은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공조 유니트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공기조화시스템에 따르면, 로컬 제어기(10)와 실내기(20)의 연결을 위한 통신 케이블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통신 케이블의 연장선 추가 설치에 따른 오결선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상기 로컬 제어기(10)는 조명 기능뿐만 아니라 실내기 제어를 위한 통신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가 천장형 실내기인 경우에는 빛을 이용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수신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신뢰성 높은 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시스템은 가시광 통신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100)와 상기 조명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 및 상기 조명 장치(100)로부터 상기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은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가시광 통신 모듈(11)과 동일하며,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는 가시광을 집광하기 위한 프리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 정보(A)는 해당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의 모델명, 제품 정보, 운전 정보, 설치 위치, 전기 요금, 전기 요금, 및 전력 요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의 전력 사용량 및 작동 시간 등을 확인하여 에너지 절약 및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참조 자료가 되는 다양한 전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에서는 전기 요금이 하루 중 시간 때에 따라 달라지므로, 현재 시간 구간의 전기 요금, 전력량뿐만 아니라, 차기 시간 구간의 전기 요금, 전력량을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전력 정보, 예를 들면,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객체 정보(A)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 정보(A)는 해당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에 일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각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는 전력 공급자(도시되지 않음)와 통신 상태를 유지하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다양한 전력 정보를 수신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100)는 조명 장치(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에 관한 객체 정보(A)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에 저장 및 수신되는 소정의 객체 정보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로부터 다양한 전력 정보가 수신 및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자 또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에너지 관리 장치(EMS))로부터 다양한 전력 정보가 수신 및 다운로드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10),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휴대용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의 종류에 따라 이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이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1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1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21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20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카메라 및 카메라에 인접하게 플래쉬가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는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래쉬는 가시광 통신 모듈을 구성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원리와 동일하게, 휴대용 단말기(200)와 조명 장치(100) 사이에는 가시광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플래쉬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에 별도의 발광부를 마련하여, 조명 장치(100)와 가시광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하여 객체 정보(A) 중 하나인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들의 설치 위치가 표시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조명 장치(100)와 가시광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조명 장치(100)의 빛이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조명 장치(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에 관한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 장치를 통하여 상기 공조 유니트의 객체 정보와 연관된 동작의 원격 조정을 위한 조작부(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하여 표시된 공조 유니트(I11 내지 I13)들 중 어느 한 공조 유니트(I11)을 선택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공조 유니트(I11)의 객체 정보(A) 및 공조 유니트(I11)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B)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시실과 같이 많은 조명 장치가 설치되고, 전시를 위한 다양한 전기 제품이 배치되는 공간에서 관람객 또는 관리자는 휴대용 단말기(200)를 통하여 직접 해당 전기 제품을 찾아가지 않고도, 해당 전기 제품의 제품 정보 및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는 공조 유니트가 실내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희망 온도, 현재 온도, 바람 세기 및 바람 방향을 포함하는 조작 메뉴 창(B)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공조 유니트의 특정 기능에 해당하는 다양한 메뉴 창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21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조작 메뉴 창(B)의 각 항목을 터치하여 해당 공조 유니트의 구동 및 운전을 조작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조명 장치를 통하여 공조 유니트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공조 유니트 또는 객체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객체 정보와 연관된 동작의 원격 조정을 위한 조작 메뉴 창(B)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200)는 해당 공조 유니트의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시스템에 따르면, 가시광 통신을 기반으로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시스템에 따르면, 조명 장치를 통하여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 확인 및 개별 또는 그룹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시스템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와 조명 장치의 가시광 통신을 기반으로, 조명 장치 주변에 설치된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의 운전 정보 및 전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원격으로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의 그룹의 제어가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 중앙제어기 O: 실외기
I: 실내기 10: 로컬 제어기
11: 가시광 통신 모듈 12: 발광다이오드
13: 구동회로부 14: 마이콤
20: 천장형 실내기 100: 조명 장치
200: 휴대용 단말기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가시광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
    상기 조명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조 유니트; 및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공조 유니트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조명 장치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공조 유니트가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된 공조 유니트들 중 어느 한 공조 유니트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선택된 공조 유니트의 객체 정보 및 선택된 공조 유니트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은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는 해당 공조 유니트의 모델명, 제품 정보, 운전 정보, 설치 위치, 전기 요금, 및 전력 요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조명 장치를 통하여 상기 공조 유니트의 객체 정보와 연관된 동작의 원격 조정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니트는 가시광을 집광하기 위한 프리넬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공조 유니트에 관한 객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니트는 실외기, 실내기,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또는 제습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KR1020100079171A 2010-08-17 2010-08-17 공기조화시스템 KR101706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71A KR101706951B1 (ko) 2010-08-17 2010-08-17 공기조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71A KR101706951B1 (ko) 2010-08-17 2010-08-17 공기조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751A KR20120016751A (ko) 2012-02-27
KR101706951B1 true KR101706951B1 (ko) 2017-02-27

Family

ID=4583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171A KR101706951B1 (ko) 2010-08-17 2010-08-17 공기조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071B1 (ko) * 2017-10-12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1854123A (zh) * 2020-07-30 2020-10-3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室内机地址匹配方法、装置和空调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2066A (ja) * 2003-04-01 2004-11-04 Sony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方法
JP2007180826A (ja) * 2005-12-27 2007-07-12 Nec Corp 可視光通信装置、可視光通信システム、可視光通信方法及び可視光通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615A (ko) * 2007-11-08 2009-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가시광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2066A (ja) * 2003-04-01 2004-11-04 Sony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方法
JP2007180826A (ja) * 2005-12-27 2007-07-12 Nec Corp 可視光通信装置、可視光通信システム、可視光通信方法及び可視光通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751A (ko)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433B2 (en) Multi-air conditioner central control system
US9083547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857081B1 (ko) 건물 내에 설치된 환경제어 관리시스템
EP2913598B1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3807975A (zh) 用于控制空调的装置及其操作方法
US10274910B2 (e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JP2011220608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549128B1 (ko) 공기조화기, 공기조화기의 중앙 제어기, 공기조화기의 원격 제어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6951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130118125A (ko)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637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주소설정방법
JP2005127618A (ja) 空調機の集中管理システム
KR101936634B1 (ko) 공기조화기를 포함한 중앙관리 시스템
KR101303162B1 (ko) 공기 조화기와, 이를 포함한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
KR102238868B1 (ko) 공조 실내기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컨트롤러 및 공조기
KR102399915B1 (ko) 공기조화기
KR10220516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19937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2153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CN110243030B (zh) 空调装置
KR20110138014A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1785655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150128135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43347B1 (ko)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20007939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