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125A -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125A
KR20130118125A KR1020120041076A KR20120041076A KR20130118125A KR 20130118125 A KR20130118125 A KR 20130118125A KR 1020120041076 A KR1020120041076 A KR 1020120041076A KR 20120041076 A KR20120041076 A KR 20120041076A KR 20130118125 A KR20130118125 A KR 2013011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power
information
controller
centr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695B1 (ko
Inventor
윤상원
전덕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1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695B1/ko
Priority to US13/865,372 priority patent/US9389599B2/en
Priority to EP13164337.1A priority patent/EP2653796B1/en
Publication of KR2013011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H02J2310/64The condition being economic, e.g. tariff based load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04S20/244Home appliances the home appliances being or involving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는 설비기기가 설치되는 각 지점이 상호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중앙서버와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지점별로 전력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에 따른 요금정보를 산출하여 각 지점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고, 전력량 정보 및 요금정보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각 지점으로 전송하고 열람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중앙에서의 관리뿐 아니라, 지점별 관리가 용이하고,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 또는 공기조화기를 포함한 설비기기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설비기기로서,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뿐 아니라, 환기장치, 냉각장치, 조명장치 등의 설비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전국에 위치하는 체인 시스템에서는 각 지점별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는 설비기기가 설치되고, 이러한 설비기기를 관리하도록 네트워크가 구축되는 추세이다.
최근 전력소비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전력 소비가 많은 여름 도는 겨울 철 효과적인 소비전력의 제어 필요성이 야기되면서, 공기조화기에 디멘드 제어기를 연결하여, 소비되는 전력량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율 또는 동작설정을 가변제어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넓은 범위에 설치되는 복수의 설비기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소비 및 동작상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는 설비기기가 설치되는 제어시스템에서 각 지점별 수집되는 전력량 정보를 바탕으로 지점별 요금 정보 및 그에 대한 통계를 산출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수의 지점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은 공기조화기, 조명기기 및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가 설치된 지점이 복수로 구비되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지점에 설치된 상기 공기조화기, 상기 조명기기 및 상기 전기기기에 대한 각각의 개별 전력 소비량을 측정하는 복수의 전력측정기; 상기 복수의 전력측정기와 연결되어 상기 지점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지점별 전력량 정보를 저장하고, 각 지점에 대한 전력요금을 산출하여, 상기 지점별 전력량 정보 및 그에 따른 전력요금 정보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각 지점의 단말로 전송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지점에 설치된 공기조화기, 조명기기 및 전기기기에 대한 각각의 개별 전력 소비량이 측정되는 단계; 복수의 전력측정기를 통해 개별 측정되는 전력량 정보가 지점별 전력량 정보로써 지점제어기로부터 중앙서버로 수신되는 단계; 상기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요금계산정보에 대응하여, 각 지점별 전력요금 정보를 산출하고, 전력사용 및 요금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계데이터를 상기 지점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를 포함한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은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는 설비기기가 설치되는 각 지점이 상호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시스템에서, 지점별로 전력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에 따른 요금정보를 산출하여 각 지점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고, 전력량 정보 및 요금정보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각 지점으로 전송하고 열람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중앙에서의 관리뿐 아니라, 지점별 관리가 용이하고,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는 설비기기가 설치된 복수의 지점이 상호 연결되는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점에 설치되는 설비기기에 대한 연결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점제어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점제어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정보 수집 및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 은 중앙서버 접속을 통해 지점제어기의 데이터 입력 화면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7 은 중앙서버 접속을 통해 제공되는 지점별 데이터 화면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는 설비기기가 설치된 복수의 지점이 상호 연결되는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은 공기조화기를 포함한 설비기기가 설치되는 복수의 지점(10, 11 내지 19)이 넓은 영역에 걸쳐 각각 분포되고, 중앙의 중앙서버(1)와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때,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과 연결되어 지점을 관리하고 중앙중앙서버와 연결되는 지역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역서버는 지점과 중앙서버를 중계하는 별도의 서버이거나, 또는 복수의 지점 중 어느 하나가 서버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때 각 지점은 전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중앙서버(1)와 연결되고, 중앙서버(1)는 복수의 지점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그 동작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각 지점은 편의점, 제과점 등의 체인점이 될 수 있다.
제어시스템은 공기조화기뿐 아니라, 그외의 설비기기가 설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상기와 같이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중앙서버는 광범위하게 분포되는 복수의 지점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시스템은 각 지점에 대한 소비 전력을 지역 단위뿐 아니라, 전국 단위로 관리할 수 있고 나아가 복수의 국가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에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점에 설치되는 설비기기에 대한 연결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서버(1, 200)는 지점제어기(100)와 연결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중앙서버(200)에 접속하는 단말(300)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지점(10)에는 지점 내부에는 지점 내부 공기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냉각기, 온장고 등의 냉난방기기, 조명기기 및 보안기기가 설치된다. 또한, 이와 같은 설비기기에 각각 연결되어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복수의 전력측정기(151 내지 154)가 구비된다.
이때, 지점에는 실내기(5,7,8), 실외기(6), 냉장고(4), 쇼케이스(3), 온장고(2), 계산기(1), 조명(9)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5,7,8)는 실내를 공조시키고, 복수의 실내기는 실내 공조 부하에 따라 함께 혹은 단독으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제습장치, 가습장치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 실내기 및 실외기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실외기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조명기기(9)는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연결된 스위치에 의에 제어된다.
냉장고(4) 또는 쇼케이스(3)는 내부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여 식품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쇼케이스(3)는 냉각 사이클에 따라 냉기를 노출하여 내부 온도가 낮아지도록 조절한다. 온장고(2)는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여 내부의 물건이 따뜻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계산기(1)는 금전을 관리하고 영수증을 발급한다.
이렇게 지점에 설치되는 설비기기는 지점 내의 지점제어기(100)를 통해 각 기기별 동작 상태에 데이터 및 기기별 전력 소비에 대한 정보가 관리된다.
지점제어기(100)는 전력측정기(151 내지 154)로부터 측정되어 입력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기기에 대한 제어데이터 및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지점제어기(100)는 중앙서버(2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중앙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각 기기에 대한 제어설정을 변경하고, 그 동작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지점제어기(100)에는 각 지점별로 고유의 계정이 할당되어, 계정에 따른 아이디가 발급된다.
지점제어기(100)는 지점의 계정인, 아이디를 통해 중앙서버(200)에 접속함으로써, 해당 지점에 대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기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지점제어기(100)는 수집되어 저장된 지점별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중앙서버(200)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요금정보를 수신한다.
중앙서버(1, 200)는 지점에 할당된 계정을 이용하여 각 지점을 구분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각 지점 제어기 또한 할당된 계정을 이용하여 중앙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지점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중앙서버와 각 지점은 각각 권한이 상이한 아이디가 할당되며, 아이디를 이용한 접속 시 아이디에 설정된 권한에 따라 표시되는 데이터가 제한되어 나타난다. 지점 아이디를 통한 중앙서버 접속 시, 해당 지점에 대한 데이터만을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받는다.
중앙서버(200)는 설정에 따라 복수의 지점을 통합 제어하거나, 개별 제어할 수 있으며, 통합 제어 시 소정 지점에 대하여 예외처리 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200)는 휴대 단말, 노트북 등의 단말(300)의 접속에 대하여 접속 계정에 따라 소정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접속된 단말의 종류에 관계없이 접속 계정에 대응하는 지점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점제어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지점에 구비되는 지점제어기(100)는 조명제어부(190), 공기조화기제어부(170), 쇼케이스제어부(180), 데이터부(120), 통신부(160), 입력부(140), 출력부(130) 그리고 제어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측정기(150)가 연결된다.
입력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및 스위치를 포함하여, 각 설비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출력부(130)는 각 설비기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고 지점 내의 각 설비기기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며, 경우에 따라 특정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30)는 중앙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지점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한다.
데이터부(120)에는 공기조화기, 조명, 쇼케이스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121)가 저장되고, 전력측정기(151 내지 154)로부터 측정된 전력량에 대한 기기별 전력데이터(122)가 저장된다. 또한, 요금계산을 위한 정보와 중앙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요금 데이터(123)가 저장된다.
제어부(110)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 또는 통신부(160)를 통해 중앙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대응하여 공기조화기, 조명, 쇼케이스 등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각 공기조화기제어부, 조명제어부, 쇼케이스제어부로 인가한다.
제어부(110)는 전력측정기(150)(151 내지 154)로부터 전력량을 입력받아 각 기기에 따른 전력소비량을 분석하고, 각 기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전력측정기(150)(151 내지 154)와의 데이터 수신을 위한 게이트웨이와 연결되거나, 게이트웨이가 내장되어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제어부(110)는 기기의 동작정보 및 전력소비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60)를 통해 중앙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복수의 센서(미도시)를 통해 지점 내의 내부 온도 및 외부온도 그리고 습도를 측정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기기별 소비전력에 대응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중앙서버(200)로부터 소비전력에 따른 기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그에 따라 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공기조화기제어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실외기(6), 실내기(5, 7, 8), 환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공기조화기제어부(170)는 실내기 설정에 따라 압축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하여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제어부(170)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환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실내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환기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조명제어부(190)는 스위치 입력 및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 조명의 밝기를 제어한다.
쇼케이스제어부(180)는 설정에 따라 쇼케이스(3), 냉장고(4), 온장고(2)의 온도를 제어하고, 그에 따른 냉각 또는 히팅 사이클을 제어한다.
한편, 중앙서버(200)는 각 지점의 지점제어기(100), 중간서버 또는 휴대단말 및 외부단말의 접속 시 그에 따른 데이터의 제공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중앙서버(200)는 접속되는 아이디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아이디에 할당된 권한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특히 중앙서버(200)는 지점제어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지점별 전력량 정보와 지점제어기(100)의 입력에 따른 요금계산정보를 바탕으로 각 지점에 대한 요금정보를 산출한다. 지점별 요금계산정보가 상이한 경우 소비전력이 동일한 지점이라 하더라도 요금이 상이하게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중앙서버(200)는 각 지점에 대한 소비 전력량에 대한 패턴, 누적량, 통계값을 산출하고, 요금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산출하여 지점제어기(100)로 전송한다.
중앙서버(200)는 지점제어기 또는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일, 주, 월, 년 및 지정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간에 대한 전력 정보 및 요금 정보를 전송하고,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소비 전력량, 예상 사용량, 누적 사용량, 목표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전송한다. 이때, 지점의 전력 소비에 대한 설비기기의 비중을 고려하여 전력정보 및 요금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지점제어기는 복수의 전력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력량 정보에 대응하여, 공기조화기, 조명기기 및 전기기기 등의 설비기기에 대한 각각의 개별 전력 정보를 누적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점제어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점제어기(100)의 제어부(110)는 복수의 전력측정기(150)(151 내지 154)에 의해 각각의 설비기기에 대한 소비전력량을 측정되면, 복수의 전력측정기로부터 소비 전력량을 입력받는다(S310).
제어부(110)는 복수의 전력측정기로부터 입력되는 소비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의 설비기기에 대한 데이터로써 수집하여 데이터부(120)에 저장한다(S320).
지점제어기의 제어부(110)는 데이터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중앙서버(200)로 전송한다(S330).
지점제어기의 제어부(110)는 통신부(160)를 통해 중앙서버에 접속한다.
입력된 계정정보를 입력하고, 중앙서버로부터 지점에 대한 데이터, 특히 전력 소비정보 및 요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부에 표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정보 수집 및 동작방법이 도시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서버(200)는 각 지점별로 수신하고(S410) 수신된 데이터를 각각 지점별로 구분하여 누적하여 저장한다(S420). 이때 수신되는 데이터는 각 지점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에 대한 정보이다.
중앙서버는 수집된 전력량 정보에 대응하여 요금정보를 산출한다(S430)
이때 중앙서버는 각 지점별로 수신된 요금계산 정보에 대응하여 각 지점별로 상이하게 전력량에 대한 요금을 산출한다. 즉 동일하게 전력량이 소비되었다 하더라고 지점의 요금계산정보가 상이한 경우 그 요금은 달라진다.
또한, 중앙서버는 각 지점별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일, 주, 월, 년 또는 지정된 시간에 대하여, 전력량 정보 및 요금정보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산출한다.
중앙서버는 지점제어기 또는 단말이 접속된 경우, 지점제어기 또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접속된 계정에 대응하는 지점의 데이터를 해당 지점제어기 또는 단말로 전송한다(S440).
경우에 따라 중앙서버는 지점제어기로 지점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 은 서버 접속을 통해 지점제어기의 데이터 입력 화면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점제어기는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지점에 대한 전력정보 또는 요금계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중앙서버(200)에 지점제어기, 또는 단말(90)을 통해 지점 계정으로 접속하는 경우(301), 중앙서버(200)는 지점 계정에 설정된 권한에 따라 해당 지점의 데이터를 제어기로 전송한다(131).
이때 지점제어기의 제어부는 복수의 전력량측정기를 통해 입력되는 각각의 설비기기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한다.
지점에 대한 용량정보, 현재 설치된 설비에 대한 정보, 에너지 관리정보, 설비미터 정보, A/S 관리정보, 보고서 및 설정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132).
이때, 설정메뉴는 통해 쇼케이스 운전에 대한 설정 및 전력 사용 요금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다(134).
지점제어기는 중앙서버 접속을 통해 현재 지점의 요금계산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요금계산정보는 전력사용의 용도, 계약전력 또는 요금적용전력, 무효전력량계 유무, 역률, 수전전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되는 정보는 중앙서버의 요금정보 산출에 이용된다.
도 7 은 서버 접속을 통해 제공되는 지점별 데이터 화면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앙서버(200)에 지점제어기, 또는 단말(90)을 통해 지점 계정으로 접속하는 경우(301), 중앙서버(200)는 지점 계정에 설정된 권한에 따라 해당 지점의 데이터를 제어기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지점제어기 또는 단말에는 계정 아이디와 함께, 해당 지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131).
지점에 대한 용량정보, 현재 설치된 설비에 대한 정보, 에너지 관리정보, 설비미터 정보, A/S 관리정보, 보고서 및 설정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132).
특히 출력부의 화면에는 월 예상 사용량, 월 누적사용량, 월 목표 사용량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표시된다(137). 또한, 월목표에 대비한 에너지 절감률을 이미지로써 확인할 수 있고, 한달 간의 소비 패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가 표시된다(139). 또한, 지점 내의 복수의 설비기기에 대하여, 각각의 설비기기에 대한 전력 소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각 지점제어기에서는 이를 통해 지점내 설비기기에 대하여 운전설정을 변경하거나 유지하면서 에너지 소비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설정을 변경하여 일, 주, 월, 년 단위로 누적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지점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중앙서버를 통해 이를 관리하는 구조에서, 지점제어기를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지속적으로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복수의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앙서버는 각 지점에 대한 전력량 정보 및 그에 따른 요금정보를 제공하고, 특히 전력 소비 및 요금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각 지점은 지점의 전력 소비 패턴 및 요금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설비기기를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지점에 따른 개별적인 전력제어가 가능하므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소비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1, 200: 중앙서버 11 내지 19 : 지점
100: 지점제어기 110: 제어부
120: 데이터부 150: 전력측정기
300: 단말

Claims (9)

  1. 공기조화기, 조명기기 및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가 설치된 지점이 복수로 구비되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지점에 설치된 상기 공기조화기, 상기 조명기기 및 상기 전기기기에 대한 각각의 개별 전력 소비량을 측정하는 복수의 전력측정기;
    상기 복수의 전력측정기와 연결되어 상기 지점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지점제어기; 및
    상기 지점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지점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지점별 전력량 정보를 저장하고, 각 지점에 대한 전력요금을 산출하여, 상기 지점별 전력량 정보 및 그에 따른 전력요금 정보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지점제어기로 전송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지점제어기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소비 전력량, 예상 사용량, 누적 사용량, 목표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지점제어기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전기 요금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지점제어기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일, 주, 월, 년 및 지정된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기간에 대한 전력 정보 및 요금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전력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력량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조화기, 상기 조명기기 및 상기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기기에 대한 각각의 개별 전력 정보를 누적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지점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기조화기, 상기 조명기기 및 상기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기기에 대한 각각의 개별 전력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지점의 전력 소비에 대한 설비기기의 비중에 따라 전력정보 및 요금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지점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7. 하나의 지점에 설치된 공기조화기, 조명기기 및 전기기기에 대한 각각의 개별 전력 소비량이 측정되는 단계;
    복수의 전력측정기를 통해 개별 측정되는 전력량 정보가 지점별 전력량 정보로써 지점제어기로부터 중앙서버로 수신되는 단계;
    상기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요금계산정보에 대응하여, 각 지점별 전력요금 정보를 산출하고, 전력사용 및 요금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계데이터를 상기 지점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제어기로부터 각 지점의 요금계산정보가 상기 중앙서버로 수신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요금계산정보에 따라 지점별로 상이한 요금 기준에 따라 요금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점이 상호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이 상기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지점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접속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20041076A 2012-04-19 2012-04-19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076A KR101994695B1 (ko) 2012-04-19 2012-04-19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13/865,372 US9389599B2 (en) 2012-04-19 2013-04-1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EP13164337.1A EP2653796B1 (en) 2012-04-19 2013-04-1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points, each having an air conditioner, an illumination device and an electr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076A KR101994695B1 (ko) 2012-04-19 2012-04-19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125A true KR20130118125A (ko) 2013-10-29
KR101994695B1 KR101994695B1 (ko) 2019-07-01

Family

ID=4814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076A KR101994695B1 (ko) 2012-04-19 2012-04-19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89599B2 (ko)
EP (1) EP2653796B1 (ko)
KR (1) KR1019946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316A (ko) * 2016-03-15 2017-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WO2019059514A1 (ko) * 2017-09-20 2019-03-28 (주)다산지앤지 공동 주택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KR20200089196A (ko) * 2019-01-16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6654B1 (fr) * 2011-06-15 2013-07-12 Voltalis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a gestion d'alimentation ciblee.
JP2015226081A (ja) * 2014-05-26 2015-12-14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85522B2 (ja) * 2019-09-30 2022-06-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456A (ja) * 2000-04-03 2002-10-25 Daikin Ind Ltd 施設運用方法、その装置、施設運用システム、管理方法、その装置および施設
KR20040032653A (ko) * 2002-10-10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분배형 멀티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7039532B2 (en) * 2001-06-28 2006-05-02 Hunter Robert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nd controlling utility consumption
KR20090067740A (ko) 2007-12-21 200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전력분배시스템
US20090187499A1 (en) * 2008-01-21 2009-07-23 David Mulder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Demand Response Functionality
US7774245B2 (en) * 2006-11-16 2010-08-10 Genea Energy Partners, Inc. Building optimization platform and web-based invoicing system
JP2011142753A (ja) * 2010-01-07 2011-07-21 Panasonic Corp 家電機器制御装置及び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89719A3 (en) * 2003-06-20 2007-05-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ergy management system, energy management method, and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energy-saving recommended equipment
US8255090B2 (en) * 2008-02-01 2012-08-28 Energyhub System and method for home energy monitor and control
US8170886B2 (en) * 2008-03-28 2012-05-01 The Nielsen Company (U.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to generate an energy consumption index
US20090302994A1 (en) * 2008-06-10 2009-12-10 Mellennial Net, Inc.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US20090302996A1 (en) * 2008-06-10 2009-12-10 Millennial Net, Inc. System and method for a management server
US8200370B2 (en) * 2008-12-04 2012-06-12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Energy reduction
US20100211509A1 (en) * 2009-02-17 2010-08-19 Jacobs Richard B Resource monitoring device
US20100217550A1 (en) * 2009-02-26 2010-08-26 Jason Crabtre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grid utilization and optimization
US8816870B2 (en) * 2009-03-31 2014-08-26 Pvt Solar, Inc. Healthy home graphical user interface method and device
WO2010135372A1 (en) * 2009-05-18 2010-11-25 Alarm.Com Incorporated Remote device control and energy monitoring
US20110112780A1 (en) * 2009-11-06 2011-05-12 David Moss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measuring system
US8321188B2 (en) * 2009-11-18 2012-11-2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Weather-related energy-usage analysis
US9513141B2 (en) * 2009-12-02 2016-12-06 Nec Corporation Electric power measurement system, electric power measuremen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9310792B2 (en) * 2010-05-03 2016-04-1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Scheduling and modeling the operation of controllable and non-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s
US8290628B2 (en) * 2010-07-23 2012-10-16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20065791A1 (en) * 2010-09-28 2012-03-15 General Electric Company Home energy manager for providing energy projections
US20120215464A1 (en) * 2011-02-18 2012-08-23 Utilivista Limited Energy consumption monit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456A (ja) * 2000-04-03 2002-10-25 Daikin Ind Ltd 施設運用方法、その装置、施設運用システム、管理方法、その装置および施設
US7039532B2 (en) * 2001-06-28 2006-05-02 Hunter Robert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nd controlling utility consumption
KR20040032653A (ko) * 2002-10-10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분배형 멀티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7774245B2 (en) * 2006-11-16 2010-08-10 Genea Energy Partners, Inc. Building optimization platform and web-based invoicing system
KR20090067740A (ko) 2007-12-21 200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전력분배시스템
US20090187499A1 (en) * 2008-01-21 2009-07-23 David Mulder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Demand Response Functionality
JP2011142753A (ja) * 2010-01-07 2011-07-21 Panasonic Corp 家電機器制御装置及び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316A (ko) * 2016-03-15 2017-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WO2019059514A1 (ko) * 2017-09-20 2019-03-28 (주)다산지앤지 공동 주택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KR20190033098A (ko) * 2017-09-20 2019-03-29 (주)다산지앤지 공동 주택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KR20200089196A (ko) * 2019-01-16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3796A2 (en) 2013-10-23
EP2653796A3 (en) 2016-10-12
KR101994695B1 (ko) 2019-07-01
US20130304267A1 (en) 2013-11-14
EP2653796B1 (en) 2020-08-12
US9389599B2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2927B2 (en) Central control system of air condition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751834B1 (ko) 히트펌프식 냉난방 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EP2413054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791592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30118125A (ko)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969604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ir conditioner
KR101725245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제어방법
CA2834642A1 (en) Hvac controller with integrated metering
JP2011036084A (ja) 需要家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KR20130130513A (ko) 지능형 건물 에너지 소비 관리 시스템
US9366466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9115392A (ja) 省エネルギー制御システム
KR20130118661A (ko)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냉수 공급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99139B1 (ko) 공기 조화기 제어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공기 조화기 제어 방법
KR20130120865A (ko)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냉동기 대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36634B1 (ko) 공기조화기를 포함한 중앙관리 시스템
CN108758982A (zh) 一种vrv空调分户计量计费系统
KR102399915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89594A (ko) 친환경 에너지 관리 방법
KR102164363B1 (ko) Bas와 fms가 통합된 지능형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및 상기 지능형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에 의한 설비 관리 방법
KR101839560B1 (ko) 공기조화기, 전력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199298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10690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09755B1 (ko)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7821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