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316A - 공기조화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316A
KR20170107316A KR1020160031146A KR20160031146A KR20170107316A KR 20170107316 A KR20170107316 A KR 20170107316A KR 1020160031146 A KR1020160031146 A KR 1020160031146A KR 20160031146 A KR20160031146 A KR 20160031146A KR 20170107316 A KR20170107316 A KR 20170107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main server
information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537B1 (ko
Inventor
박욱진
서은정
고소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53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11/00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F24F2011/006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치확인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여 비교함으로써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여 유닛을 지도에 맵핑함에 따라 유닛의 설치위치를 도면에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고, 복수의 유닛이 맵핑된 지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닛을 제어하여 제어대상이 되는 유닛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유닛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시스템 {Air-conditioner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소비되는 에너지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외기 및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고, 실외기와 실내기뿐 아니라, 환기장치, 히터, 가습장치 등의 장치와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을 상호 연결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그 설치위치와 제어화면상의 위치가 일치해야하는데, 이러한 복수의 유닛에 대한 실제 위치와의 제어화면상의 위치 매칭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 해당 유닛에 대한 제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유닛의 설치 위치를 지도에 맵핑하기 위해서 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연결되는 유닛의 수가 많은 경우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신호를 이용하여 설치된 유닛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유닛의 제어화면상의 위치와 실제 설치된 위치를 비교하여 맵핑하고, 유닛이 맵핑된 지도를 표시하고, 선택된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메인서버; 위치확인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제품정보가 포함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부터 상기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유닛의 위치 및 상기 제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을 지도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메인서버; 위치확인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장치; 및 이동하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근접하여,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유닛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부터 상기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유닛의 위치 및 상기 제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을 지도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메인서버, 이동하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제품정보를 포함하여, 위치확인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유닛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구비되는 위치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위치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데이터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부터 상기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유닛의 위치 및 상기 제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을 지도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메인서버; 이동하며, 소정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상기 단말이 근접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제품정보 및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유닛의 제품정보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데이터로써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유닛의 위치 및 상기 유닛의 제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을 지도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근거리 신호를 통해 간편하게 유닛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유닛의 위치를 제어화면의 지도에 맵핑함으로써, 유닛의 실체위치에 대응하여 유닛을 맵핑하는 것이 용이하고, 실제 공간에 대응하는 지도를 기반으로 유닛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제어 및 모니터링에 있어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근거리 신호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 은 도 2의 근거리 신호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근거리 신호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5 는 도 4의 근거리 신호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근거리 신호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서 유닛과 별도로 설치되는 통신장치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에 따른 신호 흐름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서 통신장치가 내장된 유닛을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에 따른 신호 흐름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 및 단말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위치가 표시되는 단말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위치가 표시된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3a 및 도 13b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단말의 위치 이동에 따라 모니터링 화면이 변경되는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4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에 대한 알람이 표시되는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는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에 대한 메모가 표시된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위치의 제어이력이 표시된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장치정보가 표시된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온도 또는 습도의 오차를 보정하는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를 설정하는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21a 및 도 21b 는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종류가 도시된 도이다.
도 22a 및 도 22c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연결 계통에 따른 구조가 표시되는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20), 실외기(10), 리모컨(30), 제어기(50) 그리고 메인서버(9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10)), 실내기(20) 등의 유닛, 제어기(50) 및 메인서버(9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유닛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단말(100)을 포함한다. 이때 단말(100)은 제어기로써 동작한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통신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통신장치는 유닛이 설치되는 실내공간에 설치되며, 하나의 공간 또는 각 층별로 적어도 3개 설치되어 소정 주파수의 근거리 신호를 송출한다. 경우에 따라 통신장치는 유닛에 내장될 수 있다. 통신장치는 비콘(Beacon)인 것을 예로하여 설명한다.
이때, 유닛 및 단말(100)은 통신장치로부터 송출되는 근거리 신호를 수신하여 유닛의 위치를 판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2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환기유닛(40) 및 공기를 냉난방 하는 동시에 실내공간에 순환시키는 공조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공기청정유닛, 가습유닛, 제습유닛, 히터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건물에 구비되는 설비,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이동유닛, 보안유닛, 조명유닛과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하나의 건물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건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닛이 메인서버(90)와 연결되어 메인서버(90)를 통해 그 동작이 모니터링 및 제어되고,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기는 설치형태에 따라 천장형, 스탠드형, 벽걸이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실내기 및 실외기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의 순환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또한,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통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냉매배관을 통한 통신 또한 가능하고, 상호 통신함으로써 입력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한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 냉매의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2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며, 풍량을 조절한다. 실내기(20)는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연결된 실내기(20)의 요구 또는 제어기(5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하며, 연결된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미도시),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분리기(미도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미도시),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미도시),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실외기(10)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 장치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리모컨(30)은 실내기(20)와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통신하며, 입력된 데이터를 실내기(20)로 전송하고,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공조유닛(60)은 덕트와 연결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하고, 외기를 도입하거나 내부 공기를 배출한다. 공조유닛(60)은 별도의 실외기 또는 전열교환기 등과 같은 열원에 연결되어 공기를 냉각하거나 난방한다.
환기유닛(40)은 외기를 유입하고 내기를 배출하며, 공기가 순환하도록 공기의 유동을 제어한다. 한다. 환기유닛(40)은 단독으로 동작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 및 실외기에 연결되어 실내기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전열교환기(미도시)는 공기와 물의 열교환을 통해 폐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바닥을 가열하거나 온수를 공급한다.
제어기(50)는 이와 같은 복수의 유닛과 연결되어 복수의 유닛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복수의 유닛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그룹화하여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기(50)는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 후,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연결되는 유닛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고,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해당하는 유닛으로 전송하여 그 동작이 가변 되도록 한다.
메인서버(90)는 복수의 유닛(10 내지 40, 60) 및 복수의 제어기(50)와 연결되어 복수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닛의 동작상태를 갱신하여 복수의 제어기(50)로 전송한다.
메인서버(90)는 하나의 건물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건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유닛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메인서버(90)는 단말(100) 접속 시, 단말(100)로 복수의 유닛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주변에 위치한 유닛의 정보 및 해당 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데이터를 전송하여 단말(100)에 의한 유닛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메인서버(90)는 초기 동작 시, 단말(100) 또는 유닛(20 내지 40, 60)으로부터 수신되는 유닛의 위치정보데이터에 따라, 제어용 지도에 그 위치를 매칭하여, 지도에 유닛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맵핑한다. 이때 유닛 또는 단말은 통신장치의 근거리 신호를 바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메인서버(90)로 전송한다.
메인서버(90)는 공간별, 또는 층별 설치되는 통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유닛 또는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데이터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통신장치의 정보를 바탕으로 유닛의 위치를 산출 한 후, 유닛의 위치와 지도를 매칭하여 유닛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맵핑하여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근거리 신호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3 은 도 2의 근거리 신호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하나의 공간 또는 건물의 하나의 층에 복수의 유닛, 예를들어 실내기(21 내지 25)가 설치되고, 또한 복수의 통신장치(80)(81 내지 83)가 설치된다.
통신장치(80)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3개가 설치될 수 있고, 지도에는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천장뿐 아니라 벽면에도 설치될 있다. 이때 건물 내 하나의 층 또는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통신장치의 수는 증가할 수 있다. 통신장치에서 송출되는 신호가 도달하는 거리에 대응하여 통신장치의 수가 결정되며,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적어도 3개의 통신장치의 신호가 수신되도록 통신장치의 수와 그 설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1 내지 25)의 위치와 통신장치(81 내지 83)의 위치는 동일하지 않고, 통신장치는 설치되는 공간 또는 층에 각각 분산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5 실내기(21 내지 25)는 건물 내 하나의 층에 각각 상이한 공간에 설치된다. 통신장치 또한, 분산되어 제 1 내지 제 3 통신장치(81 내지 83)가 각각 상이한 공간에 설치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5 실내기(21 내지 25)는 제어기(50) 및 메인서버(9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또한 각각 통신장치(8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통신모듈이 구비된다.
제 1 통신장치(81)는 제 1 실내기(21)와 동일한 공간에 설치되고 제 2 통신장치(82)는 제 4 실내기(24)와 동일 공간에 설치되며, 제 3 통신장치(83)는 제 2 실내기(22)와 동일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한다.
제 1 내지 제 3 통신장치(83)는 각각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고, 각각의 신호에는 제 1 내지 제 2 통신장치(83)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제 1 실내기(21)는 제 1 내지 제 3 통신장치(81 내지 83)로부터 각각 제 1 신호(S11), 제 2 신호(S12), 제 3 신호(S13)를 수신한다.
제 1 실내기(21)는 수신되는 제 1 내지 제 3 신호(S11 내지 S13)의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고 신호의 세기에 따라 3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위치를 판단한다. 이때 제 1 실내기(21)는 위치정보데이터를 메인서버(90)로 전송한다.
메인서버(90)는 제 1 실내기(21)의 위치가 수신되면 바로 지도의 정보와 매칭하여 제 1 실내기(21)의 설치위치를 판단하여 맵핑한다.
메인서버(90)는 제 1 실내기(21)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데이터에 대응하여 제 1 실내기의 설치 위치를 판단하고 통신장치의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에 매칭하여 지도에 제 1 실내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제 1 실내기(21)를 맵핑한다.
또한, 제 1 실내기(21)는 제 1 내지 제 3 신호의 신호세기와, 각 신호에 포함된 통신장치정보를 위치정보데이터로써 메인서버(90)로 전송하여,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메인서버(90)는 제 1 실내기(21)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장치의 정보 및 그 신호의 세기에 따라 3각 측량법으로 제 1 실내기(21)의 위치를 산출하고 제 1 실내기를 지도에 맵핑할 수 있다. 이때 메인서버(90)는 기 저장된 통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 1 실내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서버(90)는 맵핑 완료된 유닛과 미완료 유닛을 구분하여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내기(23) 또한, 제 1 내지 제 3 통신장치(81 내지 83)로부터 송출되는 제 1 내지 제 3 신호(S21 내지 S23)를 수신한다.
제 3 실내기(23)는 각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위치를 판단하고 메인서버(90)로 전송하거나, 제 1 내지 제 3 신호의 세기 및 그 정보를 전송하여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메인서버(90)는 제 3 실내기의 위치를 판단하여 지도에 맵핑함으로써, 제 3 실내기가 실치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지도에 제 3 실내기의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근거리 신호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5 는 도 4의 근거리 신호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하나의 공간 또는 건물의 하나의 층에 복수의 유닛, 예를 들어 실내기(21 내지 25)가 설치되고, 또한 복수의 통신장치(80)(81 내지 83)가 설치된다. 이때, 실내기(20) 및 통신장치(80)는 전술한 도 2 및 도 3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한다.
제 1 내지 제 5 실내기(21 내지 25)가 설치되고, 제 1 내지 제 3 통신장치(81 내지 83)가 천장에 설치된다. 또한, 단말(100)이 제 1 내지 제 5 실내기(21 내지 25) 및 제 1 내지 제 3 통신장치(81 내지 83)가 설치된 공간으로 이동한다.
이때 단말(100)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형 단말로, 휴대폰, PDA, 태블릿, 랩탑 등의 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외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통신장치(8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제 1 내지 제 5 실내기(21 내지 25)는 통신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단말(100)은 제 1 내지 제 3 통신장치(81 내지 83)의 신호, 즉 제 1 내지 제 3 신호(S31 내지 S33)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단말(100)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때 단말(100)은 제 1 내지 제 5 실내기(21 내지 25)가 설치된 위치에서 수신되는 통신장치의 제 1 내지 제 3 신호(S31 내지 S33)를 비교함으로써 각 실내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판단된 유닛의 위치정보 또는 제 1 내지 제 3 신호에 대한 정보를 위치정보데이터로써 메인서버(90)에 전송하여 제 1 내지 제 5 실내기(21 내지 25)가 각각 지도에 맵핑되도록 한다.
이때 단말(100)은 실내기(20)와 통신 가능한 경우, 실내기(20)로부터 실내기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데이터로써 메인서버(90)에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말(100)은, 실내기(20)와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구비되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실내기의 정보를 입력받거나,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고, 또한 실내기에 부착된 QR코드를 읽어 실내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말(100)은 실내기의 정보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위치정보데이터를 메인서버(90)로 전송함으로써 각 실내기가 지도에 맵핑되도록 한다.
메인서버(90)는 수신된 실내기의 정보와, 실내기의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에 매칭하여, 실내기의 설치위치와 지도상의 위치를 비교 판단하여 실내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지도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맵핑을 수행한다. 메인서버(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정보가 통신장치의 신호로 수신된 경우 통신장치의 정보와 그 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실내기의 위치정보를 산출할 후 맵핑을 수행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은 제 1 내지 제 3 통신장치(81 내지 83)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제 1 내지 제 3 신호(S31 내지 S33)를 수신한다.
단말(100)은 수신되는 제 1 내지 제 3 신호(S31 내지 S33)의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고 신호의 세기에 따라 3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이러한 방법으로 제 2 실내기(22)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2 실내기(22)의 하부에서 제 1 내지 제 3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 해당 위치는 제 2 실내기(22)의 위치가 된다.
단말(100)은 제 2 실내기(22)와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 2 실내기(22)로부터 실내기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실내기와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단말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해 실내기의 정보를 입력받거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기를 촬영할 수 있고, 또한, 실내기의 QR코드를 인식하여 실내기 정보를 입력받는다.
단말(100)은 실내기정보와, 위치정보를 위치정보데이터로써 메인서버로 전송한다.
메인서버(90)는 제 2 실내기(21)의 정보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지도의 정보와 매칭하여 제 2 실내기(22)의 설치위치를 지도에 맵핑한다.
한편, 단말(100)은 신호비교를 통한 위치판단이 불가능한 경우 제 1 내지 제 3 신호(S31 내지 S33)와 그 신호의 세기를, 실내기 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데이터로써 전송할 수 있다.
메인서버(9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실내기정보로부터 제 2 실내기(22)에 대한 것임을 판단하고, 제 1 내지 제 3 신호를 비교분석하여 제 2 실내기(22)의 위치를 판단한다. 메인서버(90)는 제 2 실내기(22)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지도로부터 매칭하여, 지도에 제 2 실내기(22)의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맵핑한다. 이때 메인서버(90)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3각 측량법으로 제 2 실내기(22)의 위치를 산출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이 제 2 실내기(22)로부터 제 3 실내기(23)로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 단말(100)은 제 3 실내기(23)에 대한 위치정보를 판단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실내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메인서버(9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메인서버(90)는 제 3 실내기(23)를 지도에 맵핑하여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실내기의 위치가 모두 지도에 맵핑된 상태에서, 단말(100)이 이동하는 경우, 단말(100)은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메인서버(90)로 전송한다. 메인서버(9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장치의 신호에 대응하여,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하고, 또한 주변에 설치된 유닛에 대한 제어메뉴가 단말(100)에서 실행되도록 주변 유닛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에 대한 데이터를 단말(1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단말(100)은 메인서버(9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주변의 유닛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지도를 화면에 표시하고, 그에 대한 모니터링화면 및 제어화면을 표시한다.
즉 단말(100)이 이동하여 건물 내에서의 층이 변경되는 경우, 메인서버(90)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통신장치의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단말의 위치, 특히 몇 층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지도 및 유닛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근거리 신호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 예를 들어 실내기(20)는 통신장치(80)가 내장될 수 있다.
실내기(20)는 통신장치(80)와 동일한 형식의 신호를 송출하고, 단말(100)은 실내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실내기(20)는 실내기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100)은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실내기정보를 판단한다. 경우에 따라 실내기(20)는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실내기정보와 함께 신호로 송신할 수 있다.
단말(100)은 제 1 실내기(21)에 인접한 위치(P1)에서 제 4 신호(S51)가 수신되면 제 1 실내기(21)의 신호로 판단한다.
이때 단말(100)은 제 1 실내기(21)의 제 4 신호(S51)와, 제 2 실내기(22)의 제 5 신호(S52)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제 1 실내기에 근접한 위치이므로,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신호의 세기가 더 센 신호인 제 4 신호(S51)를 제 1 실내기(21)의 신호로 판단한다.
단말(100)은 수신되는 신호에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실내기정보와 위치정보를 메인서버(90)로 전송한다. 한편, 수신된 신호에 위치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100)은 구비되는 위치정보센서를 통해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실내기정보와 함께 메인서버(90)로 전송한다.
단말(100)은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경우, 제 2 실내기(22)의 제 5 신호(S52)를 수신한다. 단말(100)은 제 2 실내기(22)의 정보와 위치정보를 메인서버(9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메인서버(90)는 제 2 실내기(22)를 지도에 맵핑하여 표시한다.
한편, 유닛에 대한 지도 맵핑이 완료된 상태에서, 단말(100)이 제 1 실내기(21)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메인서버(90)로 전송하는 경우, 메인서버(90)는 제 1 실내기(21)에 대한 데이터를 단말(1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단말(100)은 자동으로 제 1 실내기(21)의 설치위치가 표시된 지도 및 제 1 실내기(21)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지도과, 제어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기 포함하는 경우, 메인서버(90)로부터 유닛의 위치가 맵핑된 지도를 수신하여 지도를 갱신하고, 제어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메인서버(9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 1 실내기(21)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말(100)이 이동하면서 소정의 신호, 제 6 신호(미도시)를 송신하면, 제 1 실내기(21)는 단말(100)의 제 6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서버(9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서버(90)는 제 1 실내기(2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 1 실내기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이 단말(90)에 표시되도록 데이터를 단말(1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단말(100)에는 자동으로 제 1 실내기(21)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지도가 표시되는 경우, 지도상에 제 1 실내기(21)가 선택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서 유닛과 별도로 설치되는 통신장치를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에 따른 신호 흐름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별 또는 층별로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통신장치(81 내지 83)는 각각 제 1 내지 제 3 신호를 송신하고, 유닛(20 내지 40, 60)은 수신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위치를 판단하거나, 또는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메인서버(90)로 전송하여 위치를 요청한다. 메인서버(90)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고, 유닛의 설치위치를 지도의 정보와 매칭하여 유닛을 지도에 맵핑한다. 그에 따라 지도에는, 유닛의 실제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유닛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별 또는 층별로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통신장치(81 내지 83)는 각각 제 1 내지 제 3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100)은 수신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거나, 또는 단말(100)의 위치를 바탕으로 근접한 유닛의 위치를 판단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100)은 제 1 내지 제 3 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100)은 근접한 유닛과 통신하여 유닛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유닛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해 유닛의 정보를 입력받거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유닛을 촬영할 수 있고, 또한 유닛에 부착된 코드를 인식하여 유닛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말(100)은 유닛의 위치정보와 유닛의 정보를 메인서버(90)로 전송하고, 메인서버(9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해당 유닛의 지도에 맵핑되도록 한다. 물론 메인서버(90)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고, 유닛의 설치위치를 지도의 정보와 매칭하여 유닛을 지도에 맵핑한다.
그에 따라 단말(100)에는 유닛의 실제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유닛의 아이콘이 표시된 지도가 표시된다.
지도에 유닛이 모두 맵핑된 후에도 단말(100)은 통신장치의 신호에 대응하여 메인서버(9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메인서버(90)는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여 주변에 설치된 유닛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100)은 메인서버(9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근접한 유닛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이 이동하여 그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메인서버(9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이동된 위치에 대한 주변의 유닛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되고, 근접한 유닛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에서 통신장치가 내장된 유닛을 이용한 유닛의 위치판단에 따른 신호 흐름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에 통신장치가 구비되어, 유닛으로부터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단말(100)은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유닛의 정보를 수신하고, 자체 구비되는 위치센서를 통해 위치를 판단하여 메인서버(90)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메인서버(90)는 위치정보에 따라 유닛을 지도에 맵핑한다.
또한, 메인서버(90)는 맵핑이 완료된 후에는, 위치정보 및 유닛정보를 단말(100)로 전송하여, 단말(100)의 위치에 따라 그 주변의 유닛에 대한 정보가 단말의 화면에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이 신호를 송신하고 유닛이 단말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유닛은 단말의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메인서버(90)로 위치정보와 유닛정보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메인서버(90)는 유닛을 지도에 맵핑한다.
한편, 맵핑이 완료된 경우에는 메인서버(90)는 단말(100)로 유닛에 대한 동작 및 제어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100)은 유닛의 정보를 모니터링화면에 표시하고 유닛에 대한 제어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 및 단말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20 내지 40, 60)은, 각각 유닛제어부(11), 유닛데이터부(12), 감지부(13), 구동부(14), 유닛통신부(15)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유닛입력부(16)와 유닛출력부(17)를 포함한다.
유닛의 종류에 따라 그 구성은 가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0)는 열교환기 및 실내기팬이 구비되고, 실내기팬을 제어하는 실내기팬용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는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감지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동작상태가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외기(10)는 압축기와 실외기팬, 실외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팬용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고, 감지부로써 압력센서 전류센서, 실외온도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유닛데이터부(12)에는 유닛정보 및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유닛통신부(15)는 유닛 간의 통신을 위한 공기조화기통신모듈(15a), 리모컨과의 통신을 위한 리모컨통신모듈(15c)를 포함한다.
또한, 유닛통신부(15)는 통신장치(8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장치(80)가 내장되는 경우 소정 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15b)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근거리통신모듈(15b)은 단말(100)과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유닛제어부(11)는 제어기(50) 또는 리모컨(30)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유닛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유닛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는 유닛데이터부에 저장한다.
또한, 유닛제어부(11)는 근거리통신모듈(15b)을 통해 주변의 통신장치(80)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신호를 비교하여 위치를 판단하거나 수신되는 신호를 공기조화기통신모듈(15a)을 통해 메인서버(90)로 전송하여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유닛제어부(11)는 근거리통신모듈(15b)을 통해, 유닛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송신되도록 하거나 또는 단말(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유닛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유닛제어부(11)는 단말(100)을 통해 유닛의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설정에 따라 운전을 제어한다. 또한, 유닛제어부(11)는 변경된 설정을 저장하고, 또한 공기조화기통신모듈(15a)을 통해 제어기(50) 및 메인서버(90)로 변경된 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은 단말데이터부(120), 단말입력부(160), 단말출력부(170), 단말통신부(150), 센서부(130) 그리고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단말입력부(160)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단말제어부(110)로 인가한다. 단말입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단말출력부(170)의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복수의 유닛을 선택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복수의 유닛에 대한 설정을 변경한다.
단말출력부(170)는 복수의 유닛에 대한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유닛의 동작상태 및 에러를 표시한다.
단말출력부(170)는 단말제어부(110)에 의해 실행되는 유닛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하고, 메인서버(9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복수의 유닛 중 특정 유닛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단말출력부(170)는 복수의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화면 및 제어메뉴를 UI 또는 GUI로 출력한다. 단말출력부(170)는 단말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소정의 동작에 대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
단말출력부(170)는 복수의 유닛의 연결관계 및 유닛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며, 설정에 따라 층별 건물별 정보를 각각 출력한다.
또한, 단말출력부(170)는 스피커, 버저 등을 더 포함하여, 유닛의 이상 발생 시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단말데이터부(120)에는 유닛에 대한 제어데이터(124), 위치데이터(123), 유닛데이터(122), 도면데이터(121)가 저장된다.
또한, 단말데이터부(120)에는 유닛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제어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단말제어부(110)에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단말출력부(170)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
위치데이터(123)는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단말의 위치정보가 저장되고, 또한, 단말통신부를 통해 통신장치(80)의 신호가 위치데이터로써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위치데이터(123)는 메인서버(9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면데이터(121)는 특정 공간 또는 건물에 대한 데이터이며, 메인서버(9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다. 도면데이터(121)는 메인서버(9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의해 갱신된다.
유닛데이터(122)는 단말통신부(150)를 통해 유닛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단말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카메라(미도시)에 의해 촬영되거나 코드 인식을 통해 저장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습도센서(131), 온도센서(132), 위치센서(133)를 한다. 또한, 센서부(130)는 단말의 동작에 따른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습도센서(131)는 단말(100)이 위치한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고, 온도센서(132)는 공간의 습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는 단말데이터부(120)에 저장된다.
위치센서(133)는 단말(100)의 이동에 따른 위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133)는 GPS가 사용될 수 있다.
단말통신부(150)는, 근거리통신모듈(151), 이동통신모듈(152), 무선통신모듈(153)을 포함한다.
근거리통신모듈(151)은 소정 거리 내의 통신장치(8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유닛과 통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근거리통신모듈(151)은 단말로부터 소정 신호가 송신되도록 한다.
이동통신모듈(152)은 단말(100)이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음성 또는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무선통신모듈(153)은 통신선 연결 없이 데이터를 소정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Wifi, Wibro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0)는 단말입력부(160)의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단말출력부(170)에 출력되는 데이터가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송수신 되거나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한다.
단말제어부(110)는 근거리통신모듈(151)을 통해 수신되는 통신장치(80)의 신호의 종류와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단말의 현재위치를 판단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0)는 위치센서(133)를 제어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0)는 유닛에 근접하여 측정되는 위치정보를, 유닛으로부터 수신 되거나 또는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유닛정보와 함께 메인서버(90)로 전송하여 유닛이 지도에 매핑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제어부(110)는 통신장치(80) 또는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여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0)는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도면데이터(121)를 갱신하고,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유닛의 정보를 수신하여, 유닛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인접한 유닛의 정보가 단말출력부(170)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0)는 수신되는 유닛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각 유닛의 운전상태에 따라 유닛의 아이콘이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단말입력부(160)의 선택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지도를 변경하거나 데이터의 순서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단말제어부(110)는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수신되는 통신장치의 신호, 또는 유닛의 신호를 메인서버(90)로 전송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단말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제어대상, 즉 주변의 유닛이 자동으로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0)는 온도센서(132) 또는 습도센서(131)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와 습도를, 메인서버(9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온도와 습도에 대한 오차를 산출한다. 오차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단말제어부(110)는 단말출력부(170)의 화면에 온도와 습도에 대한 오차를 표시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위치가 표시되는 단말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은 복수의 유닛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을 단말출력부(170)에 표시한다.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는 복수의 유닛이 설치되는 건물에 대한 지도 와, 복수의 유닛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지도상에 유닛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각 아이콘은 공간탐색(301)을 통해 확인되는 유닛을 지도에 맵핑하여 표시된다.
단말(100)은 구비되는 위치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정보, 통신장치(80) 또는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판단되는 위치정보를 메인서버(90)로 전송하여, 건물 내, 단말의 위치 및 주변에 설치된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지도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유닛에 대한 맵핑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말의 이동에 따라 유닛의 데이터를 메인서버(90)로 전송하여 유닛의 위치가 지도에 맵핑되도록 한다.
또한, 단말(100)은 맵핑이 완료된 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의 위치가 표시된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하여 표시되는 유닛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단말입력부(160)의 입력에 대응하여 유닛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여 유닛을 제어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0)는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유닛으로 직접 전송하거나, 주변의 제어기(50) 또는 메인서버(9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은, 복수의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및 모니터링화면(300)을 표시한다.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는 일 영역에 제어메뉴(310)가 표시되고, 제어메뉴에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따라 메인화면(311)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제어메뉴(310)에는 통합모니터(302), 공간탐색(301), 설비관리(303), 자동제어(304), 타임트리(305), 이력(306), 날씨(307), 기타(308)의 메뉴항목이 구비된다.
제어메뉴(310) 중, 설비관리(303)가 선택되면, 메인화면(311)에 복수의 유닛에 대한 운전현황(313)이 표시되고,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유닛정보가 포함된 아이콘(316)이 유닛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표시되는 아이콘리스트(314)가 표시된다. 또한, 메인화면(311)에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서브메뉴(315)가 표시된다. 서브메뉴(315)는 제어, 메모, 이력, 장치정보가 각각 탭으로 구성된다.
운전현황(313)은 전체 유닛에 대한 운전율이 표시되고 운전상태에 따라 운전, 정지, 에러에 대응하는 유닛의 수가 표시된다. 이때, 운전현황(313)에는 일반적인 유닛 이외의 유닛의 종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히트펌프(EHP, Electric Heat Pump), 공조유닛(AHU, Air Handlling Unit)(60), 칠러(Chiler), 공기열원히트펌프(AWHP, Air to Water Heat Pump)의 수가 표시될 수 있다.
아이콘리스트(314)에는 각각 유닛의 정보가 포함된 아이콘(316)이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아이콘의 개수에 따라 아이콘(316)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고,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아이콘에 표시되는 정보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아이콘(316)에는 유닛의 운전 상태, 현재온도, 설정온도 운전모드, 유닛의 종류가 표시되고, 아이콘의 상단에 설정변경을 위한 메뉴항목이 표시된다. 선택 가능한 메뉴항목은 활성화되어 표시되고, 선택 불가능한 항목은 비활성화되어 표시된다.
단말(100)이 이동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유닛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통신장치의 신호에 따라 특정 유닛에 근접한 경우, 단말제어부(110)는 메인서버(90)로부터 수신되는 유닛정보에 대응하여, 도시된 제어 및 모니터링화면(300)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단말출력부(170)에 출력한다.
단말제어부(110)는 아이콘리스트 중, 근접한 유닛의 아이콘(317)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서브메뉴(315)에 해당 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한다.
즉 단말제어부(11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찾아보지 않더라도,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유닛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서브메뉴(315)에는, 실내온도가 표시되고, 선택된 유닛에 대하여 동작의 온오프(ON/OFF), 설정온도, 운전모드, 풍량, 풍향을 설정할 수 있고, 더불어 필터알람과 잠금설정, 제한온도를 상세제어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위치가 표시된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이 단말(100)에 표시된다. 또한, 제어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을 출력하여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는 제어메뉴에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따라 메인화면(320)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제어메뉴(310) 중, 공간탐색(301)이 선택되면, 메인화면(320)에는 유닛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324)가 표시된다.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6에서와 같이,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여 지도에 유닛의 위치를 맵핑한 것이다.
이때, 각 유닛의 아이콘은 유닛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이미지로 표시되며, 유닛의 동작상태에 따라 그 배경색이 상이하게 표시된다.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경고가 출력된다.
메인화면의 상단에는 현재위치(309)가, 건물명과 층수로 표시된다. 이때 현재 위치는 단말(100)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며, 단말(100)의 위치에 따라 메인화면(320)에 표시되는 지도 또한 단말이 위치하는 지점의 지도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단말제어부(110)는 현재위치에 대응하여, 본관1층에 대한 제 1 지도(324)를 메인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단말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에 구비되는 위치센서(133)에 의해 측정되거나, 통신장치(80) 또는 유닛의 신호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0)는 단말통신부(150)를 통해 메인서버(90)로 위치정보 또는 수신되는 신호를 전송하고 메인서버(90)는 그에 대응하여 현재 위치 및 근접한, 제어 가능한 유닛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단말(100)은 자동으로 현재 위치를 표시하고 현재위치에 대한 지도를 단말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한다.
메인화면(320)에는 현재위치에 대한 온습도정보(321)가 표시된다. 온습도정보(321)에는 온도, 습도, 쾌적도가 표시된다. 온습도정보(321)에 표시되는 온도 및 습도는 유닛에 의해 측정되어 메인서버(90)에 저장된 값이다.
또한, 온습도정보(321)에는 표시된 온도 및 습도와, 측정되는 온도와 습도 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가 오차보정키로 표시된다. 단말제어부(110)는 온도센서(132) 및 습도센서(131)에 의해 측정되는 실내온도 및 실내습도가 표시되는 온도 및 습도와 차이가 있는 경우 오차보정키를 표시한다.
또한, 메인화면(320)에는 지도키(322)와, 경고정보(323)가 표시된다. 지도키(322)가 선택되면, 메인화면(320)에 표시되는 지도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이 표시된다. 경고정보(323)는 현재 위치에서 지도에 표시된 유닛의 동작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심각, 경계, 주의로 각각 유닛의 수를 표시한다. 이때 경고아이콘의 색상은 단계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된다.
또한, 메인화면(320)에는 지도(324)의 일측에 서브메뉴탭이 표시된다. 서브메뉴탭은 제어탭(325), 메모탭(326), 이력탭(327), 장치정보탭(328)으로 구성되며, 지도(324)에 표시된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 유닛에 대하여 제어메뉴, 메모정보, 이력정보, 장치정보를 제공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단말의 위치 이동에 따라 모니터링 화면이 변경되는 예가 도시된 도이다.
전술한 도 11 또는 도 12와 같이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이 단말(100)의 단말출력부(170)에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100)이 이동하는 경우, 단말(100)은 위치정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단말제어부(110)는 팝업창(330)을 표시하고, 팝업창(330)에 현재위치 변경에 따른 안내메시지(333)를 표시한다.
이때, 취소키(331)와 확인키(33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단말제어부(110)는 선택된 키에 따라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를 유지하거나 변경한다.
취소키(331)가 입력되면, 단말제어부(110)는 현재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기 표시된 지도를 유지한다.
한편, 확인키(332)가 입력되면, 단말제어부(110)는 도 13b와 같이 현재위치를 변경하여, 변경된 위치에 대한 지도를 메인화면에 표시한다.
메인화면의 상단에 현재위치(309)가 본관 1층에서 본관 지하1층(B1)으로 변경되고, 지하1층에 대한 제 2 지도(329)가 표시된다.
단말제어부(110)는 현재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현재위치에 대한 온습도정보(321)와, 경고정보(323)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즉, 단말의 현재위치가 변경되어 제 2 지도(329)가 표시됨에 따라 단말제어부(110)는 제 2 지도에 표시되는 유닛아이콘에 대한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지하1층에 구비되는 유닛에 대한 경고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 2 지도(329)에 표시되는 유닛에 대한 정보는 단말통신부(150)를 통해 메인서버(90)로부터 수신되고, 단말제어부(11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면이 변경되도록 한다.
경고정보(323)가 선택되는 경우, 경고정보에 간략하게 표시되는 등급별 유닛의 수에 대하여 보다 자세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단말제어부(110)는 경고정보 하단에 팝업창(335)을 표시하고, 동작상태에 따라 경고가 발생한 시각과 등급, 그리고 관련 내용이 목록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칠러 1호기의 응축기 점검이 필요하다는 내용과 함께 심각으로 등급이 설정되어 발생시각과 함께 표시된다.
도 14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에 대한 알람이 표시되는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서, 경고정보(323) 선택 시 표시되는 팝업창(335)에는 경고목록이 표시된다.
이때 경고목록 중 어느 하나의 경고항목(336)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제어부(110)는 선택된 경고항목(336)에 대응하는, 이상발생유닛의 유닛아이콘(338)을 표시한다.
단말제어부(110)는 전술한 도 13b의 제 2 지도(329)를 확대하여, 이상발생유닛에 대한 유닛아이콘(338)이 중앙에 배치되도록 한다. 메인화면의 하단에는 제 2 지도(329)에 대한 확대비율(339b)이 표시된다.
이때 이상발생유닛의 유닛아이콘(338)에는 이상발생에 따른 경고마크(334)가 표시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지도에 표시되는 유닛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실제 유닛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는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서,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지도, 즉 제 2 지도가 확대되어 표시되는 경우, 확대비율(339b)과 함께, 화면의 일 영역에는 전체 지도 중 표시영역(339a)을 나타내는 네비게이션창(339c)이 표시된다.
네비게이션창(339c)은 현재위치, 예를 들어 본관 지하1층 전체 지도를 기준으로 현재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표시영역(339a)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이상발생유닛의 아이콘(338)에 표시된 메뉴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메뉴항목에 대한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아이콘(338)의 메뉴항목 중 제어항목(338a)이 선택되면, 서브메뉴에는 제어탭(325)이 활성화되어, 선택된 유닛, 즉 이상발생유닛에 대한 정보 및 제어메뉴(340)가 표시된다.
제어메뉴(340)에는, 이상발생유닛에 대하여, 운전 온오프(ON/OFF) 여부에 대한 동작상태(341), 실내온도(342), 설정온도(343)가 표시되고, 이상발생유닛의 운전모드(344), 풍량(345), 풍향(346)이 표시되며, 그외 상세제어(347)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단말제어부(110)는 단말입력부(160)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메뉴(340)를 통해 운전상태, 설정온도, 운전모드, 풍량, 풍향 및 상세제어 설정을 변경하고 적용키(348)가 입력되는 경우 유닛의 운전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0)는 선택된 유닛이 정상 상태인 경우 변경된 설정을 근거리통신모듈(151) 또는 무선통신모듈(153)을 통해 유닛으로 전송하거나 메인서버(90), 경우에 따라 제어기(50)로 전송하여 유닛이 변경된 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단말제어부(110)는 해당 유닛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문제가 해소되기 전까지 설정을 변경할 수 없도록 하거나 설정은 변경하나 즉시 적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말제어부(110)는 설정변경을 위한 키를 비활성화하여 표시한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에 대한 메모가 표시된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은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을 단말출력부(170)에 표시한다.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338)이 선택되고, 서브메뉴 중 메모탭(326)이 선택되면, 선택된 유닛에 대한 메모정보(350)가 표시된다.
메모정보(350)에는 선택된 유닛에 대한 메모(351, 352, 353)가 표시된다. 각 메모는 시간순서에 따라 표시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 선택된 메모를 상위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에는 에러에 대한 정보 또는 수리 내역이 기재될 수 있다.
메모추가키(354)가 선택되는 경우 새로운 메모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메모를 선택하는 경우, 편집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위치의 제어이력이 표시된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338)이 선택되고, 서브메뉴 중 이력탭(327)이 선택되면, 선택된 유닛에 대한 제어이력(360)이 표시된다.
제어이력(360)에는 시간정보(360d)가 표시되고, 시간 순서에 따른 제어내용(360a, 360b, 360c)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11시에는 하계 냉동설비 연동제어 및 조건제어를 수행한 것이 표시된다. 복수의 제어내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내용에 대한 상세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장치정보가 표시된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338)이 선택되고, 서브메뉴 중 장치정보탭(328)이 선택되면, 선택된 유닛에 대한 장치정보(369)가 표시된다.
장치정보(369)에는 선택된 유닛에 대한 기기명 및 주소(361)가 표시되고, 동작, 운전모드 및 설정온도에 대한 현재상태(362)가 표시된다. 또한 장치정보(360)에는 유닛의 위치(363)와, 유닛의 위치에 관련하여 도면보기키(364)가 구비되고, 유닛의 실내기인 경우 연결된 실외기정보(365)가 표시된다. 이때 해당 실외기에 대한 사이클보기키(366)가 구비되어 사이클보기키 선택 시 실외기의 동작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장치정보(369)에는 선택된 유닛에 대한 스케줄(367)이 표시된다. 스케줄에는 시간에 따른 동작정보가 간략하게 표시된다.
도 19a 내지 도 19c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온도 또는 습도의 오차를 보정하는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서 현재위치에 따른 온습도정보(321)가 표시된다.
온습도정보(321)에는 온도, 습도, 쾌적도가 표시된다. 이때 온습도정보(321)에 표시되는 온도 및 습도는 유닛에 의해 측정되어 메인서버(90)에 저장된 값이다. 또한, 단말제어부(110)는 온습도정보(321)에는 표시된 온도 및 습도와, 측정되는 온도와 습도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오차보정키를 표시된다.
단말제어부(110)는 온도센서(132) 및 습도센서(131)에 의해 측정되는 실내온도 및 실내습도와, 수신된 온도 및 습도를 비교하여 오차를 연산하고, 오차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오차보정키(371)를 표시한다.
오차보정키(371)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제어부(110)는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창(372)을 표시하고, 오자보정에 대한 안내메시지(373)를 출력한다.
이때 안내메시지(373)에는 현재 표시되는 온도 또는 습도와,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온도에 오차가 있는 경우, 기존 표시된 온도가 17도이고, 측정된 온도가 19도인 경우, 17도와 19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오차보정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취소키(374)가 선택되면, 단말제어부(110)는 오차보정 없이 기 표시된 온도 및 습도정보가 유지되도록 하고, 확인키(375)가 선택되면, 도 19c와 같이 단말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습도 그에 따른 쾌적도가 표시되도록 한다. 오차보정이 완료됨에 따라 오차보정키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때 단말제어부(110)는 오자가 보정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측정된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51) 또는 무선통신모듈(153)을 통해 유닛, 제어기(50) 또는 메인서버(90)로 전송하여 온도 및 습도 정보가 변경되도록 한다.
도 20a 및 도 20b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를 설정하는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서, 지도키(322)가 선택되면, 도 20b와 같이 지도선택창(380)이 팝업으로 표시된다.
단말제어부(110)는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 표시되는 지도에 대하여, 설비도면항목(381), 배관도면항목(382), 그리고 전기도면항목(38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 항목은 지시하는 대상에 따라 해당 지도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다.
도 20a에서 단말출력부(170)의 화면에 출력되는 지도는 유닛의 위치가 맵핑된 설비도면이다. 단말제어부(110)는 설비도면을 표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지도키(322) 입력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도선택창(380)을 표시한다.
단말제어부(110)는 설비도면, 배관도면, 및 전기도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지도타입에 따라,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의 기본 지도를 선택된 지도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도 21a 및 도 21b 는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종류가 도시된 도이다.
지도선택창(380)에 표시된 복수의 지도타입 중, 배관도면항목(382)이 선택되는 경우,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제어부(110)는 단말데이터부(120)에 저장된 도면데이터(121)를 호출하여 배관도면(384)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배관도면(384)은 복수의 유닛 간에 상호 연결된 냉매배관이 도시된 도이다. 경우에 따라, 배관도면에는 냉매배관뿐 아니라 수도배관 등의 다른 배관 또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유닛의 운전상태에 대응하여 배관도면에는 냉매의 흐름이 지도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제어부(110)는 지도선택창(380)에 표시된 복수의 지도타입 중, 전기도면항목(383)이 선택되는, 단말데이터부(120)에 저장된 도면데이터(121)를 호출하여 전기도면(385)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전기도면(385)은 유닛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전력선의 배치가 도시된 도이다. 전기도면(385)에는 실내기 및 실내기 이외에도 조명, 스위치, 콘센트 등의 위치가 표시된다.
도 22a 및 도 22c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닛의 연결 계통에 따른 구조가 표시되는 모니터링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300)에서, 현재위치가 선택되면, 존선택창(391)이 표시된다.
단말제어부(110)는 메인화면(394)이 우측으로 쉬프트하고, 제어메뉴(310)와 메인화면(394) 사이 영역에 존선택창(391)이 표시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존선택창은, 메인화면(394)이 상부 또는 하부로 쉬프트 되면, 쉬프트 방향에 따라 메인화면의 하부 또는 상부에 표시될 수 있다.
존선택창(391)에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건물이 상부에 표시되고, 선택된 건물에 대하여 평면보기(392)와 측면보기(395)를 포함한다.
평면보기(392)가 선택되면, 선택된 건물에 대한 건물 층수 현황(393)이 표시된다.
건물 층수 현황(393) 중 어느 하나의 층이 선택되면, 메인화면(394)에는 선택된 층의 설비도면이 표시된다. 설비도면에는 유닛의 아이콘이 맵핑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보기(395)가 선택되면, 선택된 건물에 대한 설비정보(396)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EHP, 냉방계통, 공조계통, 난방계통, 스팀계통이 설비정보(396)에 목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설비정보(396)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계통에 대한 정보가 메인화면(397)에 표시된다.
이때 메인화면에는 건물의 층별 계통별 유닛의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EHP(Electric Heat Pump) 선택 시, 전기로 동작하는 히트펌프 즉, 실외기 및 실외기에 연결되는 실내기가 표시된다.
이때 실외기와 배관으로 연결되는 실내기의 연결 구조 또한 표시된다.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정보(396)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측면보기에 따른 계통정보(398a)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존선택창은 자동으로 숨김처리되고 메인화면이 쉬프트되어 계통정보(398a)가 표시된다.
계통정보(398a)에는, 선택된 설비정보에 따른 유닛의 연결관계(398b)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설비정보 중 EHP가 선택되면, 복수의 실내기와 복수의 실내기간의 연결관계(398b)가 표시된다.
이때 복수의 실내기 중 제 1 실내기(399a)가 선택되면, 서브메뉴 중 제어탭(325)가 활성화되면서, 제 1 실내기 정보(399d)가 표시된다. 제 1 실내기(399a)의 동작상태, 실내온도, 설정온도, 모드, 풍량, 풍향, 상세제어정보가 표시되고, 키입력에 따라 제 1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운전설정 변경 시, 예를 들어 설정온도, 모드, 풍량, 풍향을 변경하는 경우 적용키 입력 시 변경된 데이터가 유닛으로 전송되어 유닛의 운전이 제어된다. 이때 단말(100)은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제어기(50) 또는 메인서버(90)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위치확인을 위한 신호를 이용하여 유닛의 위치를 지도에 용이하게 맵핑할 수 있고, 또한, 유닛의 위치가 지도에 표시됨에 따라 유닛의 실제 설치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복수의 유닛을 쉽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이동에 따라,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여 주변의 유닛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11, 12: 실외기 20, 21 내지 29: 실내기
30, 31 내지 39: 리모컨 40: 환기유닛
50, 51 내지 53: 제어기 60: 공조유닛
80, 81 내지 83: 통신장치 90: 메인서버
100: 단말
110: 단말제어부 120: 단말데이터부
130: 센서부 131: 습도센서
132: 온도센서 133: 위치센서
150: 단말통신부 151:근거리통신모듈

Claims (44)

  1.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메인서버; 및
    위치확인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제품정보가 포함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부터 상기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유닛의 위치 및 상기 제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을 지도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상기 신호를 상기 위치정보데이터에 포함하여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신호를 비교하여 신호의 종류 및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통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장치의 고유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신호를 복수개 수신하여, 상기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신호의 종류 및 상기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제품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데이터에 포함하여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품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을 상기 지도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복수의 유닛이 맵핑된 상기 지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유닛이 맵핑된 상기 지도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복수의 유닛이 맵핑된 상기 지도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이동 중 수신되는 상기 통신장치의 신호에 대응하여 위치정보를 상기 메인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의 주변에 설치된 유닛 또는 상기 단말이 위치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지도를 화면에 출력하고,
    인접한 제 1 유닛에 대한 제어메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어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유닛, 상기 제 1 유닛에 연결된 제어기 및 상기 메인서버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여 상기 제 1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지도에 맵핑된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동작상태 및 유닛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실내온도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된 실내온도가 상이한 경우, 오차정보를 표시하고,
    오차보정이 선택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측정된 데이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신호를 송신하고, 영역에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적어도 3개의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신호가 도달하는 거리에 대응하여 설치 개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5.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메인서버;
    위치확인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장치; 및
    이동하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근접하여,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유닛의 제품정보가 포함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부터 상기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유닛의 위치 및 상기 제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을 지도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신호를 복수개 수신하여, 복수의 신호를 상기 위치정보데이터에 포함하여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신호를 비교하여 신호의 종류 및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신호를 복수 개 수신하여, 상기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신호의 종류 및 상기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정보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품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을 상기 지도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유닛과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품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유닛과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구비되는 입력부로부터 상기 유닛의 상기 제품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유닛과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구비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유닛을 촬영하여 상기 유닛의 상기 제품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유닛과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유닛에 구비되는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유닛의 상기 제품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유닛이 맵핑된 상기 지도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이동 중,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위치정보를 상기 메인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의 주변에 설치된 유닛 또는 상기 단말이 위치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지도를 화면에 출력하고,
    인접한 제 1 유닛에 대한 제어메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어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유닛, 상기 제 1 유닛에 연결된 제어기 및 상기 메인서버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여 상기 제 1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지도에 맵핑된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동작상태 및 유닛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실내온도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된 실내온도가 상이한 경우, 오차정보를 표시하고,
    오차보정이 선택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측정된 데이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신호를 송신하고, 영역에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적어도 3개의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신호가 도달하는 거리에 대응하여 설치 개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1.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메인서버;
    이동하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제품정보를 포함하여, 위치확인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유닛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구비되는 위치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위치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데이터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부터 상기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유닛의 위치 및 상기 제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을 지도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유닛이 맵핑된 상기 지도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이동 중 수신되는 상기 유닛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이 맵핑된 영역의 상기 지도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이동 중 수신되는 상기 유닛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메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어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유닛으로 전송하여 상기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지도에 맵핑된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동작상태 및 유닛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실내온도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된 실내온도가 상이한 경우, 오차정보를 표시하고,
    오차보정이 선택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측정된 데이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8.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메인서버;
    이동하며, 소정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상기 단말이 근접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제품정보 및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유닛의 제품정보와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데이터로써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정보데이터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유닛의 위치 및 상기 유닛의 제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을 지도에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유닛이 맵핑된 상기 지도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지도에 맵핑된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동작상태 및 유닛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유닛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의 주변영역 및 근접한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지도에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지도에 표시된 제 1 유닛이 선택되면, 상기 제 1 유닛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메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어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유닛으로 전송하여 상기 제 1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44.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실내온도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된 실내온도가 상이한 경우, 오차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오차정보가 선택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측정된 데이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0160031146A 2016-03-15 2016-03-15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192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146A KR101921537B1 (ko) 2016-03-15 2016-03-15 공기조화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146A KR101921537B1 (ko) 2016-03-15 2016-03-15 공기조화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316A true KR20170107316A (ko) 2017-09-25
KR101921537B1 KR101921537B1 (ko) 2018-11-23

Family

ID=6003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146A KR101921537B1 (ko) 2016-03-15 2016-03-15 공기조화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5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80B1 (ko) * 2019-06-27 2020-05-27 정화찬 공기 청정 시스템
WO2021140546A1 (ja) * 2020-01-06 2021-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WO2021140545A1 (ko) * 2020-01-06 2021-07-15
KR102328394B1 (ko) * 2020-12-24 2021-11-18 (주)이피코 소방용 인버터배기팬 제어시스템
CN114110969A (zh) * 2020-08-28 2022-03-01 邯郸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控制终端、空调系统及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9307A (ja) * 2005-06-20 2006-12-28 Daikin Ind Ltd 空調機対応付け支援システム
JP2010165331A (ja) * 2008-12-16 2010-07-29 Daikin Ind Ltd 集中管理システム
KR20120064325A (ko) * 2010-12-09 2012-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20130118125A (ko) * 2012-04-19 2013-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5374A (ko) * 2011-03-18 2014-02-0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개선된 장치 위치 검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9307A (ja) * 2005-06-20 2006-12-28 Daikin Ind Ltd 空調機対応付け支援システム
JP2010165331A (ja) * 2008-12-16 2010-07-29 Daikin Ind Ltd 集中管理システム
KR20120064325A (ko) * 2010-12-09 2012-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20140015374A (ko) * 2011-03-18 2014-02-0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개선된 장치 위치 검출
KR20130118125A (ko) * 2012-04-19 2013-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80B1 (ko) * 2019-06-27 2020-05-27 정화찬 공기 청정 시스템
WO2021140546A1 (ja) * 2020-01-06 2021-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WO2021140545A1 (ko) * 2020-01-06 2021-07-15
WO2021140545A1 (ja) * 2020-01-06 2021-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CN114110969A (zh) * 2020-08-28 2022-03-01 邯郸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控制终端、空调系统及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28394B1 (ko) * 2020-12-24 2021-11-18 (주)이피코 소방용 인버터배기팬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537B1 (ko)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0323B (zh) 空调系统
KR101921537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147201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10871301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82139B1 (ko)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1384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70038087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2206461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14006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50999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9097829A (ja) 空気調和装置の集中制御システム
KR10220646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64805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8197617A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KR10220516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92153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WO2020054055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5002225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1604A (ko) 공기조화기
KR2013003502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1672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9441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599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2291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4387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