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755B1 -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755B1
KR101909755B1 KR1020120105919A KR20120105919A KR101909755B1 KR 101909755 B1 KR101909755 B1 KR 101909755B1 KR 1020120105919 A KR1020120105919 A KR 1020120105919A KR 20120105919 A KR20120105919 A KR 20120105919A KR 101909755 B1 KR101909755 B1 KR 10190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target
ratio
tim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588A (ko
Inventor
차병근
전덕구
송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7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04S20/244Home appliances the home appliances being or involving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 사용처에 설치되는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 및 전력량계로부터 전력 사용량을 전송받으며,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전력 사용량을 입력받으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제어 장치는, 기준 시간에 대한 목표 전력 사용량의 비인 목표비와 단위 시간에 대한 전송된 전력 사용량의 비인 사용비를 비교하고, 목표 전력 사용량과, 기준 시간 동안의 예측 전력 사용량을 비교하여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프렌차이즈 업체의 본사는 지점의 전력 사용량에 따른 월별 전기 요금을 일정 수준으로 예상할 수 있어 프렌차이즈 업체 전체 매출을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a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electricity}
본 발명은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처에서 사용처의 전력 사용량을 목표전력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사용하는 건물에는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전력량계가 제공된다. 상기 건물은 물건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상업용 건물일 수도 있고, 아파트 단지와 같은 주거공간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물을 사용처라 이름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처를 관리하는 관리처는 하나 이상의 사용처에서 사용된 전력 사용량을 취합하여 특정 주기별로 전체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다만, 상기 관리처는, 각 사용처에서 사용한 전력 사용량을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제한되며, 각 사용처의 전력 사용량에 관한 청구서를 받기 전까지 사용요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다.
특히, 상기 사용처가 프렌차이즈 업체의 지점이고, 상기 관리처가 프렌차이즈 업체의 본사인 경우, 본사는 지점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비용을 분담하게 된다.
그럼에도, 본사는 지점의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없으며, 제어할 수 없어 문제가 된다.
도 1은 종래의 사용처의 월별 전력 사용량을 도시한 막대 그래프이다. 에어컨의 사용이 많은 여름(7,8월) 및 온풍기 등의 난방기구의 사용이 많은 겨울(12,1월)에 다른 달과 비교하여 확연히 많은 전력을 사용함을 확인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전력 사용에 따른 요금 징수는 누진세율이 적용되는바, 여름 및 겨울의 과잉사용에 따른 전기 요금은 사용처의 순이익 감소로 이어지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프렌차이즈 업체의 지점 및 본사의 관계에서는, 프렌차이즈 업체 전체의 순이익 감소로 이어지는바 문제가 심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처에서 원격으로 사용처의 전력 사용량을 목표 전력 사용량 내로 제어할 수 있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목표전력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처에 설치되는 전자 기기;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 및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전력 사용량을 전송받으며,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전력 사용량을 입력받으며,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기준 시간에 대한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의 비인 목표비와 단위 시간에 대한 상기 전송된 전력 사용량의 비인 사용비를 비교하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과,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예측 전력 사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은, 시작 시점부터 측정 시점까지의 누적된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측정 시점에서의 사용비에, 상기 측정 시점부터 최종 시점까지의 시간을 곱하여 산출되는 값을 더하여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량계는 상기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제 1 시간을 주기로 상기 제어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제 2 시간을 주기로 제어하며,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1 시간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가 공기 조화기인 경우,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사용처의 실내 공기를 공기 조화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운전 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의 작동 중인 수치에 가중치를 곱하여 얻은 값을 상기 수치에 더하거나 빼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제어에 요구되는 수치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과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의 차를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으로 나눈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은 원격으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모니터링 DB(Data Base,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DB는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된 전력 사용량을 시간 순서에 따라 누적하여 저장하며, 상기 모니터링 DB에 저장된 전력 사용량은 원격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제어 장치에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전력 사용량이 입력되는 단계; (b) 사용처에 설치된 전자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전력량계가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기준 시간에 대한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의 비인 목표비와 단위 시간에 대한 상기 전송된 전력 사용량의 비인 사용비를 비교하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과,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예측 전력 사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목표비가 상기 사용비 보다 작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전력 사용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목표비가 상기 사용비 보다 크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관리처에서는 사용처의 전력 사용량에 따른 월별 전기 요금을 일정 수준으로 예상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리처 및 사용처가 프렌차이즈 업체의 본사 및 지점의 관계인 경우, 본사에서 프렌차이즈 업체 전체의 순이익 관리가 용이하다.
과잉 전력 사용이 줄어들게 되어, 전기 요금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는 종래의 사용처에서의 월별 전력 사용량을 도시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전력 원격 제어 방법을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전자 기기가 에어컨, 쇼케이스, 조명인 경우,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전력 원격 제어 방법에 따른 제어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전력 원격 제어 방법을 통해 사용처의 전력 사용량을 제어한 경우, 사용처의 월별 전력 사용량을 도시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시작 시점(A)", "측정 시점(B)", "최종 시점(C)", "기준 시간(D)", "경과 시간(E)", "잔여 시간(F)" 및 "단위 시간(G)"에 대하여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시작 시점(A)"은, 시간 상의 임의의 시점으로서, 전력 사용량의 측정을 통해 전력 사용량을 제어하고자 하는 기산 시점으로 정의한다. 일례로서, "시작 시점(A)"은 매월 1일 0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측정 시점(B)"은, 시간 상의 임의의 시점으로서,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 시점으로 정의한다. 다수의 전력 사용량 측정이 있는 경우, 마지막에 이루어진 전력 사용량 측정의 시점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준 시간(D)"은, 전력 사용량을 관리하기 위해 편의상 구분된 시간 간격으로 정의한다. 일례로서, "기준 시간(D)"은 1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최종 시점(C)"은, 상기한 시작 시점(A)으로부터 상기한 기준 시간(D)만큼 지난 시점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경과 시간(E)"은, 시작 시점(A)부터 측정 시점(B)까지의 시간 차이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잔여 시간(F)"은, 측정 시점(B)부터 최종 시점(C)까지의 시간 차이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위 시간(G)"은, 주기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전력 사용량의 측정에 있어서, 상기한 주기 간의 시간 차이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목표비"는, 기준 시간(D)에 대한 상기 기준 시간(D) 동안의 목표 전력 사용량의 비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사용비"는, 단위 시간(G)에 대한 상기 단위 시간(G) 동안의 측정된(실제) 전력 사용량의 비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예측 전력 사용량"은, 경과 시간(E) 동안의 누적된 전력 사용량에, "예측량"을 더한 량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예측량"은 사용비에 잔여 시간(F)을 곱한 값으로 정의한다.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의 설명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3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은 전자 기기(100), 전력량계(200), 및 제어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전력을 사용해 다른 종류의 에너지로 변화하는 기기로서, 일례로서 에어컨, 조명, 진열 조명(Showcase), 난방 기기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 기기(100)는 사용처(10)에 설치되어 전력을 사용한다.
전력량계(200)는 사용처(10)에 설치된 전자 기기(100)가 소비하는 전력을 측정하는 기기로서, 실시간으로 전자 기기(100)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다. 또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측정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전력량계(200)는 후술할 제어 장치(300)의 통신부(320)와 통신을 통해 측정한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되는 통신 방식은 일례로서 RS485이다. 제어 장치(300)가 다수의 전력량계(200)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통신 방식은 제어 장치(300)가 주체가 되는 폴링(Polling) 방식에 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력략계(200) 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전력량계(200)를 가스 설비미터, 온수 설비미터, 수도 설비미터, 열량 설비미터 등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실시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균등범위에 포함된다고 볼 것이다.
제어 장치(300)는 입력부(310), 통신부(320), 제어부(330), 모니터링 DB(340), 및 무선 송수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사용자에 의해 목표 전력 사용량이 입력되는 수단이다. 입력부(310)는 후술할 무선 송수신부(350)와 연동하여, 관리처는 원격으로 제어 장치(300)에 목표 전력 사용량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되는 목표 전력 사용량은 기준 시간(D) 동안의 목표 전력 사용량을 의미하며, 기준 시간(D)은 일례로서 한 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이미 살핀 바이다.
다만, 전기 요금의 납부 기간과 일치하도록 한 달 단위로 목표 전력 사용량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320)는 앞서 언급한 전력량계(200)와 통신을 위한 구성이다. 일례로서, RS485 통신 방식을 사용함은 전력량계(200)의 설명에서 살핀 바와 동일하다.
다만, 통신부(320)는 전력량계(200)와 동일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전력량계(200)를 통해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전송받을 수 있으면 어떠한 통신 방식의 사용도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전력량계(200)와 통신부(320)의 사용가능한 통신 방식이 다른 경우에는 컨버터(미도시)를 통해 통신 방식을 변환하여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30)는, 입력부(310) 및 통신부(320)와 연결되며, 입력부(310)에 의해 입력된 목표 전력 사용량과 통신부(320)에 의해 전송된 전력 사용량을 토대로, 목표비와 사용비, 및 목표 전력 사용량과 예측 전력 사용량을 비교하여 전자 기기(100)를 제어한다.
일례로서, 전자 기기(100)가 조명인 경우, 제어부(330)는 조명의 조광(Dimming)을 제어한다. 조명에 대한 제어는, 작동 중인 조명의 조광의 수치에 가중치를 곱하여 얻어진 수치를, 작동 중인 조명의 조광의 수치에 더하거나 빼서, 제어에 요구되는 조광의 수치를 산출한다.
즉, 조명에 대한 제어는, 작동 중인 조명의 조광의 수치가 제어에 요구되는 조광의 수치에 영향을 미치는 연속성의 제어 또는 가중치 제어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가중치"는 예측 전력 사용량과 목표 전력 사용량의 차를 목표 전력 사용량으로 나눈 값이다.
다른 예로서, 전자 기기(100)가 에어컨인 경우 제어부(330)는 에어컨의 운전 시간, 모드, 설정 온도,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으로 작동 중인 에어컨을 냉방으로 변경하거나, 냉방 18도로 작동 중인 에어컨을 냉방 20도로 변경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즉, 에어컨에 대한 제어는, 조명에 대한 제어와는 달리 가중치를 산출하는 제어가 아닌 불연속성의 제어임을 알 수 있다.
모니터링 DB(340)는 통신부(320)와 연결되며, 통신부(320)에 의해 전송된 전력 사용량을 전송된 시간 순서에 따라 누적하여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형식은 XML 데이터 형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니터링 DB(340)에는 입력부(310)와 연결되어, 입력된 목표 전력 사용량이 저장될 수도 있다.
모니터링 DB(340)에 저장된 전력 사용량 및 목표 전력 사용량은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제어 장치(300)는 후술할 무선 송수신부(350)를 포함하는바, 관리처(20)에서는 모니터링 DB(240)에 저장된 사용처(10)의 전력 사용량을 과거의 사용량은 물론, 실시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350)는 관리처(20)가 제어 장치(3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제어 장치(300)와는 원거리에 위치한 관리처(20)에서 제어 장치(300)에 접속하여, 입력부(310)를 통해 목표 전력 사용량을 입력가능하도록 하며, 모니터링 DB(340)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목표전력 원격 제어 방법의 설명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전력 원격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전력 원격 제어 방법은, 제어 장치(300)의 입력부(310)에 기준 시간(D) 동안의 목표 전력 사용량이 입력되면서 시작된다(S100). 이때, 목표 전력 사용량의 입력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리처(20)에서 원격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관리처(20)가 아닌 곳에서 관리자 등에 의해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전력량계(200)가 사용처(10)에 설치되어 작동 중인 전자 기기(100)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다(S200). 전자 기기(100)가 다수인 경우, 다수의 전자 기기(100)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것도 일례로서 가능하며, 사용처(10) 전체에 설치된 전자 기기(100)의 전체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것도 다른 예로서 가능하다.
측정의 주기는, 일례로서 1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이후, 전력량계(200)에 의해 측정된 전력 사용량이 통신부(320)를 통해 제어 장치(300)로 전송된다. 이때, 사용되는 통신방식은 일례로서 RS48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송의 주기는 측정의 주기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에 의해 다르게 설정 가능하다.
단, S100과 S200, S300의 순서가 바뀌는 것도 본 발명의 균등 범위에 포함됨을 밝힌다.
이후, 제어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기준 시간(D)에 대한 목표 전력 사용량의 비인 목표비와 단위 시간(G)에 대한 측정된 전력 사용량의 비인 사용비를 비교하고(S400), 목표 전력 사용량, 및 기준 시간(D) 동안의 예측 전력 사용량을 비교한다(S500).
이때, 단위 시간(G)이 극소에 수렴하는 경우, 사용비는 측정된 전력 사용량의 시간에 대한 미분값임은 자명하다.
S400 단계에서 목표비가 사용비 보다 작고, S500 단계에서 목표 전력 사용량이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작은 경우, 제어 장치(300)는 전자 기기(100)를 절감 제어한다(S600).
상기한 "절감 제어"는 전자 기기(100)의 전력 사용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서, 냉방 운전 중인 에어컨을 송풍 운전으로 전환하는 제어, 조명의 조광을 낮추는 제어를 의미한다.
특히, 앞서 언급한 조명의 가중치 제어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가중치는 예측 전력 사용량과 목표 전력 사용량의 차를 목표 전력 사용량으로 나눈 값임은 살핀 바이고, 조명의 "절감 제어"를 위해서는 조명의 작동 중인 조광 수치에 가중치를 곱하여 얻은 값을 조명의 작동 중인 조광 수치에 빼서 산출된 수치로 조명의 조광을 낮춘다.
S400 단계에서 목표비가 사용비 보다 작고, S500 단계에서 목표 전력 사용량이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 장치(300)는 전자 기기(100)를 유지 제어한다(S600').
상기한 "유지 제어"는 작동 중인 전자 기기(100)가 작동 중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S400 단계에서 목표비가 사용비 보다 크거나 같고, S500 단계에서 목표 전력 사용량이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작은 경우, 제어 장치(300)는 전자 기기(100)를 절감 제어한다(S600).
다만, 이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유지 제어(S600')하도록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S400 단계에서 목표비가 사용비 보다 크거나 같고, S500 단계에서 목표 전력 사용량이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큰 경우, 제어 장치(300)는 전자 기기(100)를 증가 제어한다(S600).
상기한 "증가 제어"는 전자 기기(100)의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서, 송풍 운전 중인 에어컨을 냉방 운전으로 전환하는 제어, 조명의 조광을 높이는 제어를 의미한다.
특히, 앞서 언급한 조명의 가중치 제어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가중치는 예측 전력 사용량과 목표 전력 사용량의 차를 목표 전력 사용량으로 나눈 값임은 살핀 바이고, 조명의 "증가 제어"를 위해서는 조명의 작동 중인 조광 수치에 가중치를 곱하여 얻은 값을 조명의 작동 중인 조광 수치에 더해서 산출된 수치로 조명의 조광을 높인다.
S500 단계에서 목표 전력 사용량과 예측 전력 사용량이 같은 경우라면, 유지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전자 기기가 에어컨 및 조명인 경우,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전력 원격 제어 방법에 따른 제어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먼저, 쇼케이스(Showcase)과 같은 제어 불가 설비는 제어에서 제외되므로 시간에 대한 쇼케이스 전력 사용량의 비(기울기)가 거의 일정함을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력량계(200)는 측정된 전자 기기(100)의 전력 사용량을 제어 장치(300)에 제 1 시간을 주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300)는 전자 기기(100)를 제 2 시간을 주기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시간은 제 1 시간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한데, 제 2 시간이 짧아지는 경우, 전자 기기(100)의 제어 주기가 빨라지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의 제어를 의식하게 되는 결과가 되어, 사용처(10)에 내실한 사람들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특히, 에어컨의 제어 주기는 일례로서 15분이 최소 운전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에어컨의 경우 최소 운전 시간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에, 실내 공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기 때문이다.
도 5는, 일례로서 제 1 시간이 1분이고, 제 2 시간이 5분인 경우이다.
도 5에서, 6분을 살피면, 사용비가 목표비 보다 크고, 예상 전력 사용량이 목표 전력 사용량 보다 큰 경우로서, 에어컨은 송풍(약)으로 제어하고, 조명의 조광(Dimming)은 242로 낮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절감 제어가 수행되었다.
11분을 보면, 사용비가 목표비 보다 작고, 예상 전력 사용량이 목표 전력 사용량 보다 작은 경우로서, 조명의 조광이 255로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증가 제어가 수행되었다. 이 경우, 에어컨의 제어가 수반되지 않은 것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에어컨의 제어 주기가 15분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이다.
6분으로부터 15분 후인, 21분에는 에어컨에 대한 제어도 발생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1분에는 증가 제어, 51분에는 절감 제어, 56분에는 증가 제어가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관리처(20)에서 1시간, 하루, 한 달, 및 일 년의 사용처(10)의 전력 사용량이 목표 전력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할 수 있다. 특히, 관리처(20) 및 사용처(10)의 관계가 프렌차이즈 업체의 본사 및 지점의 관계일 경우, 본사는 프렌차이즈 업체 전체의 매출관리가 용이해 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사용처
20 : 관리처
100 : 전자 기기
200 : 전력량계
300 : 제어 장치
310 : 입력부
320 : 통신부
330 : 제어부
340 : 모니터링 DB
350 : 무선 송수신부

Claims (11)

  1. 사용처에 설치되는 전자 기기;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 및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전력 사용량을 전송받으며,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전력 사용량을 입력받으며,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기준 시간에 대한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의 비인 목표비와 단위 시간에 대한 상기 전송된 전력 사용량의 비인 사용비를 비교하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과,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예측 전력 사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되,
    상기 목표비가 상기 사용비 보다 작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전력 사용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비가 상기 사용비 보다 작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가 작동 중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비가 상기 사용비 보다 크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전력 사용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비가 상기 사용비 보다 크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력량계는 상기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제 1 시간을 주기로 상기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제 2 시간을 주기로 제어하며,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1 시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은,
    시작 시점부터 측정 시점까지의 누적된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측정 시점에서의 사용비에, 상기 측정 시점부터 최종 시점까지의 시간을 곱하여 산출되는 값
    을 더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공기 조화기인 경우,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사용처의 실내 공기를 공기 조화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운전 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의 작동 중인 수치에 가중치를 곱하여 얻은 값을 상기 수치에 더하거나 빼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제어에 요구되는 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과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의 차를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으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은 원격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모니터링 DB(Data Base,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DB는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된 전력 사용량을 전송된 시간 순서에 따라 누적하여 저장하며,
    상기 모니터링 DB에 저장된 전력 사용량은 원격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9. (a) 제어 장치에 기준 시간 동안의 목표 전력 사용량이 입력되는 단계;
    (b) 사용처에 설치된 전자 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전력량계가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기준 시간에 대한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의 비인 목표비와 단위 시간에 대한 상기 전송된 전력 사용량의 비인 사용비를 비교하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과, 상기 기준 시간 동안의 예측 전력 사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비가 상기 사용비 보다 작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전력 사용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비가 상기 사용비 보다 작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가 작동 중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비가 상기 사용비 보다 크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전력 사용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비가 상기 사용비 보다 크고, 상기 목표 전력 사용량이 상기 예측 전력 사용량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력량계는 상기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제 1 시간을 주기로 상기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를 제 2 시간을 주기로 제어하며,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1 시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표전력 원격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105919A 2012-09-24 2012-09-24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09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19A KR101909755B1 (ko) 2012-09-24 2012-09-24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19A KR101909755B1 (ko) 2012-09-24 2012-09-24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88A KR20140039588A (ko) 2014-04-02
KR101909755B1 true KR101909755B1 (ko) 2018-12-10

Family

ID=5065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919A KR101909755B1 (ko) 2012-09-24 2012-09-24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876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212B1 (ko) * 2020-08-04 2021-07-07 주식회사 더키 다목적 센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9579A (ja) * 2010-07-06 2012-01-26 Sharp Corp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2147628A (ja) * 2011-01-14 2012-08-02 Japan Wind Development Co Ltd 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電力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406A (ko) * 2010-01-26 2011-08-03 (주)나오디지탈 전력사용량 제어방법
KR101721873B1 (ko) * 2010-06-25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9579A (ja) * 2010-07-06 2012-01-26 Sharp Corp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2147628A (ja) * 2011-01-14 2012-08-02 Japan Wind Development Co Ltd 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電力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876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88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59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nergy usage
US87619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ad of energy consuming appliances within a premises
US115319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mpirical electrical-space-heating-based estimation of overall thermal performance of a building
US9218632B2 (en) Energy smart system
US20120022709A1 (en) Energy delivery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20140163761A1 (en) Utilit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201201309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energy use
JP5788591B2 (ja) 電力監視装置および電力監視システム
CA2790756A1 (en) Method and system to monitor and control energy
CA2834642A1 (en) Hvac controller with integrated metering
KR101489772B1 (ko) 스마트폰앱을 이용한 보일러비용 자동관리시스템
KR101225073B1 (ko) 목표금액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시스템 및 방법
JP5503959B2 (ja) 建物営業支援システム
KR20130118125A (ko)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09755B1 (ko)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A2753809A1 (en) Energy smart system
KR20120072306A (ko)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14185014A1 (ja) 管理装置、機器管理方法、管理システム
KR101423158B1 (ko) 서브 미터링 기반 피크전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86252A (ko) 전기 에너지 절감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00089594A (ko) 친환경 에너지 관리 방법
KR102403913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 단말기
US11054800B1 (en) Intelligent automatic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integrated BAS and FMS, and facility management method by same intelligent automatic building control system
JP2003248773A (ja) エネルギー料金の課金方法およびエネルギー料金の課金システム
RU2620041C1 (ru) Анали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оценки потребления воды абонент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