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406A - 전력사용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사용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406A
KR20110087406A KR1020100006808A KR20100006808A KR20110087406A KR 20110087406 A KR20110087406 A KR 20110087406A KR 1020100006808 A KR1020100006808 A KR 1020100006808A KR 20100006808 A KR20100006808 A KR 20100006808A KR 20110087406 A KR20110087406 A KR 20110087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ad
power consumption
consumer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주)나오디지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오디지탈 filed Critical (주)나오디지탈
Priority to KR102010000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7406A/ko
Publication of KR2011008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3Load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load dema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H02J2310/64The condition being economic, e.g. tariff based load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사용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대수요전력제어기를 이용하여 부하를 제어함으로써 전력사용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대수요전력제어기(demand controller)에서 수용가의 전력사용량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수용가의 부하에 연결된 전자식전력량계를 통해 상기 수용가의 부하에서 사용되는 전력 값을 일정기간 계측하여 부하가 사용할 전력사용량 예측곡선을 구하는 단계; (b) 상기 전력사용량 예측곡선을 이용하여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을 구하는 단계; (c) 상기 수용가의 부하에 연결된 전자식전력량계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현재전력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상의 목표전력 값과 상기 수신된 현재전력 값을 통해 예측되는 단위시간당 예측전력 값을 비교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사용량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사용량 제어방법은 전력사용량을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요가의 입장에서는 사용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력사용량 제어방법{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전력사용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대수요전력제어기를 이용하여 부하를 제어함으로써 전력사용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다소비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는 효과적인 에너지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수요관리는 전력수요를 합리적으로 조절하여 부하율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과 전력 수급안정을 도모함과 동시에 국가적인 에너지자원 절약에도 기여한다. 지금까지의 수요관리 정책은 첨두부하 억제를 위한 심야전력활용, 최대수요전력제어, 직접부하제어, 원격제어에어컨 등의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개별 수용가를 위한 수요관리 방안으로는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한 최대수요전력제어기(demand controller)가 활용된다. 최대수요전력제어기는 수용가의 첨두부하를 억제하는 것으로서, 개별 수용가는 이를 통해 기본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전력사용량을 억제하지 않으므로 사용요금을 절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대수요전력제어기를 이용한 수요관리 방법은 공개특허공보 제2004-0024166호, 제2002-0061693호, 제1998-02567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20933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 수용가의 전력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는 기본요금의 절감과 함께 사용요금의 절감도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최대수요전력감시 방법은 첨두부하를 억제하여 기본요금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실제 전력사용량을 억제하지 않으므로 사용요금은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대수요전력제어기를 이용하여 전력사용량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대수요전력제어기(demand controller)로 수용가의 전력사용량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수용가의 부하에 연결된 전자식전력량계를 통해 상기 수용가의 부하에서 사용되는 전력 값을 일정기간 계측하여 부하가 사용할 전력사용량 예측곡선을 구하는 단계; (b) 상기 전력사용량 예측곡선을 이용하여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을 구하는 단계; (c) 상기 수용가의 부하에 연결된 전자식전력량계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현재전력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상의 목표전력 값과 상기 수신된 현재전력 값을 통해 예측되는 단위시간당 예측전력 값을 비교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사용량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전 사용 전력 값을 기초로 계산된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을 기준으로 수요전력이 제어되므로, 전력사용량이 감소하여 사용요금이 절감된다. 종래의 최대수요전력제어방법은 첨두부하를 억제하여 기본요금을 절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최대수요전력을 제어할 뿐 전력사용량을 제어하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요금의 절감효과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본요금뿐 아니라 사용요금까지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된 현재전력 값에 따라 이후의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사용량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이미 사용된 전력량의 변화에 따라 이후에 사용될 전력량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사용량 제어방법은 최대수요전력을 제어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전력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사용량을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용가의 입장에서는 사용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최대수요전력제어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최대수요전력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사용량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사용량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전력사용량 예측곡선의 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고하여, 최대수요전력제어기(demand controller)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대수요전력제어기(2)는 수용가의 수요전력을 관리하여 전력요금을 절감시키는 기기이다. 수요전력은 일정한 시간(수요시한) 내의 평균전력으로, 수요시한 내의 사용 전력량을 사용 시간으로 나누어 구해진다. 한국전력은 과거 12개월 중 가장 크게 발생한 수요전력(최대수요전력)을 기준으로 기본요금을 부과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수요시간을 15분으로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수요전력은 수요시한 내의 사용전력량(kWh)의 4 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수요전력제어기(2)는 사용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자식전력량계(1)와 연결되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장치이다. 최대수요전력제어기(2)는 종래의 최대수요전력제어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고하여, 최대수요전력제어기(2)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자식전력량계(1)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수를 계수하여 현재전력(Pt)을 구한다.
다음, 현재전력(Pt)과 기준전력(Pr, 목표전력(R)을 고려한 현재까지의 이상적인 사용 전력량) 그리고 남은 수요시한(T-t1) 등을 적용하여 예측전력(E)과 조정전력(수요시한 종료시 예측전력(E)과 목표전력(R)이 일치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계산한다.
다음, 현재전력(Pt)과 기준전력(Pr), 조정전력의 관계에 의해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부하를 제어한다.
다음, 조정전력에 여유가 있으면 미리 정해둔 제어방식에 따라 부하를 자동으로 복귀시킨다.
수용가의 수요전력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용가의 설비 구성형태 및 부하 사용특성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최대수요전력 발생 시간대의 제어 가능 부하를 선정해야 한다. 또한, 부하기기의 가동, 동작특성 및 부하변동의 대소, 계절에 따른 부하변동의 변화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일반 업무용 빌딩이나 백화점, 대형 할인점등의 경우 조명설비 및 냉난방 설비, 공조설비 등이 주 제어 대상 부하이며 제조업체의 공장에서는 생산에 영향을 주지않기 위하여 공조설비나 생산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설비나 안전과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부하기기를 대상으로 한다. 공장의 제어 가능한 부하로는 단시간 정지 가능한 건조로, 전기로, 압축기, 공조설비, 급수펌프, 순환펌프 등이 있다.
부하차단에 의하여 최대수요전력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긴급 차단 가능한 조정부하를 미리 선정하여야 한다. 조정부하는 5~10분 정도로 필요한 시점에 즉시 차단할 수 있어야 하고, 단시간 정지시켜도 영향이 적은 것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부하가 선정되면, 부하기기의 차단순서를 검토한다. 조정부하는 일괄하여 차단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부하상태에 따라 규정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최저로 필요한 양만큼 차단하도록 한다. 또 부하가 가벼워져 여유가 생겼을 때에는 차단한 부하를 재투입하도록 하여 될 수 있는 한 차단하는 부하가 적어지도록 운용한다. 부하차단 방식으로는 부하차단 회수를 균등하게 제어하는 순차제어방식과 중요도가 낮은 부하일수록 먼저 차단하고 나중에 복귀시키는 우선순위제어, 위의 두 가지 제어방식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복합제어방식이 있다.
부하를 수동 차단할 것인가, 자동 차단할 것인가를 검토한다. 목표전력을 초과하였을 때에는 조작자의 판단으로 수동으로 조작하는 방법도 있으나 자동제어 기능을 갖는 최대수요전력제어장치를 이용하면 조작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확실한 제어가 기대된다. 자동제어의 경우 조정부하의 각 그룹은 미리 정하여진 우선 순위에 따라 차단, 투입 조작을 하는데, 조정부하의 각 그룹은 중요도가 낮은 부하부터 차단하고, 투입할 때에는 중요도가 높은 부하부터 투입하도록 우선도를 고정한 방식이 일반적으로 적합하다.
이하, 상술한 최대수요전력제어기(2)를 포함하는 전력사용량제어시스템(10)의 구성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고,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사용량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사용량제어시스템(10)은 최대수요전력제어기(2)에 연결되는 제어서버(3)를 더 포함한다. 제어서버(3)에는 전력사용량 제어 알고리즘과 종래의 최대수요전력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기능이 구현되어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자동제어시스템 또는 PLC(4)를 제어서버(3)에 TCP/IP 또는 시리얼 포트로 연결하여 다수의 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전력사용량제어시스템(10)을 이용한 전력사용량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전력사용량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사용량의 제어방법은, 수용가의 부하에 연결된 전자식전력량계(1)를 통해 수용가의 부하에서 사용되는 전력 값을 일정기간 계측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가 사용할 전력사용량 예측곡선(e(t))을 구하는 단계(a 단계)로 시작한다. 수용가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계측기간은 5주 정도가 적합하며, 15분 단위로 전력 데이터를 측정하여, 이를 주간, 주말, 휴일로 구분하여 축적한다.
다음, a 단계에서 계산된 전력사용량 예측곡선(e(t))에 비례상수(a)를 곱하여 전력사용량 목표곡선(q(t))을 구한다(b 단계). 이때 첨부부하의 제어를 통한 기본요금의 절감효과를 얻기 위해 목표곡선의 최대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목표곡선을 구하면, 사용요금의 절감뿐 아니라 기본요금의 절감효과도 얻을 수 있다. 비례상수를 조절하여 목표곡선 전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최대값을 조절할 수 있으며, 최대값이 나타나는 구간만 별도로 조절할 수도 있다.
다음, 수용가의 부하에 연결된 전자식전력량계(1)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현재전력 값(Pt)을 수신한다(c 단계).
다음, 전력사용량 목표곡선(q(t))상의 목표전력 값(R)과 상기 수신된 현재전력 값(Pt)을 통해 예측되는 단위시간당 예측전력 값(E)을 비교하여 부하를 제어한다(d 단계). 이 단계는 상술한 최대수요전력제어기(2)의 동작 방법과 동일하다.
다음, 상기 (c) 단계에서 수신된 현재전력 값(Pt)에 따라 이후의 전력사용량 목표곡선(q(t))을 보정한다(e 단계). 전력사용량 목표곡선(q(t))의 보정방법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s(t)는 일정한 시간(ti)이 지날 때까지 측정된 현재전력 값들을 연결한 곡선이며, qti(t)는 보정된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을 나타낸다. 일정한 시간(ti)이 지날 때까지 사용된 총 전력사용량(s(t)를 적분한 값)이 전력사용량 목표곡선(q(t))을 적분한 값에 비해서 작은 경우에는, ti 이후 최초에 설정된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에 비해서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여도 전력사용량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보정된 전력사용량 목표곡선(qti(t))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t=0 시점에서, 최종 전력사용량 Q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t=ti 시점에서, 최종 전력사용량 Q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보정된 전력사용량 목표곡선(qti(t))은 전력사용량 목표곡선(q(t))에 비례하므로 비례상수를 ati라고 하면, qti(t)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3
위의 식을 아래와 같이 전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위의 식으로부터 비례상수 ati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화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전력사용량제어시스템
1: 전자식전력량계 2: 최대수요전력제어기
3: 제어서버 4: 자동제어시스템

Claims (3)

  1. 최대수요전력제어기(demand controller)로 수용가의 전력사용량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수용가의 부하에 연결된 전자식전력량계를 통해 상기 수용가의 부하에서 사용되는 전력 값을 일정기간 계측하여 부하가 사용할 전력사용량 예측곡선을 구하는 단계;
    (b) 상기 전력사용량 예측곡선을 이용하여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을 구하는 단계;
    (c) 상기 수용가의 부하에 연결된 전자식전력량계를 통해 상기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현재전력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상의 목표전력 값과 상기 수신된 현재전력 값을 통해 예측되는 단위시간당 예측전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수용가의 부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사용량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신된 현재전력 값에 따라 이후의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사용량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곡선을 보정하는 단계는,
    정해진 시간범위 내에서 상기 수신된 현재전력 값을 적분한 값과 상기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을 적분한 값을 비교하여 그 이후의 전력사용량 목표곡선을 보정하는 단계인 전력사용량 제어방법.
KR1020100006808A 2010-01-26 2010-01-26 전력사용량 제어방법 KR20110087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808A KR20110087406A (ko) 2010-01-26 2010-01-26 전력사용량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808A KR20110087406A (ko) 2010-01-26 2010-01-26 전력사용량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406A true KR20110087406A (ko) 2011-08-03

Family

ID=4492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808A KR20110087406A (ko) 2010-01-26 2010-01-26 전력사용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74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588A (ko) * 2012-09-24 2014-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5282A (ko) * 2018-12-18 2020-06-26 전자부품연구원 에너지 절감을 위한 인버터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588A (ko) * 2012-09-24 2014-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5282A (ko) * 2018-12-18 2020-06-26 전자부품연구원 에너지 절감을 위한 인버터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4435A (ko) 수요반응 기반의 전력사용량 관리 방법
US8897923B2 (en) Achieving energy demand response using price signals and a load control transponder
JP5788591B2 (ja) 電力監視装置および電力監視システム
US7991513B2 (en) Electric energy bill reduction in dynamic pricing environments
CN108292860B (zh) 电力控制装置、运转计划制定方法以及记录介质
US20150371328A1 (en) Demand bidding operation and bid generation
US9727069B2 (en) Power demand adjustment system and power demand adjustment method
EP2416465A2 (en) Load shed system for demand response without AMI/AMR system
KR101652272B1 (ko) 건물 및 빌딩의 멀티 오브젝티브 운영기술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201602482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regulation
KR101271166B1 (ko) 최대수요전력을 관리하는 절전 시스템
KR101286190B1 (ko) 프로그램 로직 기반의 스마트 최대전력 관리 시스템
US10530154B2 (en) Control apparatus
US20230283103A1 (en) Third party energy management
EP2918932A1 (en) Demand control device
EP3574560B1 (en) Techniques for managing resource consumption for demand-based metering
EP2658082B1 (en) Electricity management apparatus and electricity management method
CN106463963B (zh) 减少至少一个电力负载消耗的电功率的设备、相关联的系统和方法
KR20110087406A (ko) 전력사용량 제어방법
JP4778211B2 (ja) 年間使用電力量管理システム
JP2014222959A (ja) デマンド制御装置およびデマンド制御システム
JP2004138399A (ja) 消費電力量算出装置及び消費電力量算出方法
KR101554371B1 (ko) 시변 피크요금제에 기반한 수요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30855A (ko) 계통전력망의 전력량계와 연동되는 pcs
JP3756443B2 (ja) 電力託送における発電電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