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383B1 -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 Google Patents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383B1
KR101388383B1 KR1020120037798A KR20120037798A KR101388383B1 KR 101388383 B1 KR101388383 B1 KR 101388383B1 KR 1020120037798 A KR1020120037798 A KR 1020120037798A KR 20120037798 A KR20120037798 A KR 20120037798A KR 101388383 B1 KR101388383 B1 KR 10138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utoff valve
heat
line
arc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305A (ko
Inventor
요 신 리아오
치흐-후아 리아오
Original Assignee
요 신 리아오
에어-백 팩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 신 리아오, 에어-백 팩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요 신 리아오
Publication of KR2013006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4Valve bags, i.e. with valves fo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 공기 밀폐체 내에 설치하고, 2개의 내막에 복수개의 아크선을 형성하고 상기 아크선은 내막 한쪽에 위치한 복수개의 좌측 아크선 및 다른 한쪽의 복수개의 우측 아크선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아크선은 좌우 비대칭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좌우측 아크선의 바닥부 끝부분에 홈을 설치하고 상기 홈은 다른 한쪽의 오목홈에 긴밀히 인접하며, 이런 좌우 매칭방식을 통해 위에서 아래로 여러 조를 배열되고 공기가 내막의 정상부의 공기 진입구로부터 진입한 후 상기 좌우측 아크선의 상부측 아크선을 따라 하부측 아크선으로 유입되며 오목홈에 의해 차단되어 홈으로 들어가 우측 아크선, 홈, 좌측 아크선, 홈 등이 교대로 우좌 또는 좌우의 방식으로 내막 아래의 공기진출구로 흘러 밀폐체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밀폐체 내의 공기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Description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NONLINEAR AIR STOP VALVE STRUCTURE}
본 발명은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를 제공하는데, 특히 기체의 역류를 크게 낮출 수 있는 공기 밀폐체용 공기 차단밸브에 관한 것으로, 공기 차단밸브의 내막, 내막의 공기 진입구, 공기 출구, 아크선 및 홈과 관련된다.
공기 밀폐체는 포장용 에어백과 완충용 에어백을 포함하며 기존 공기 밀폐체에는 일반적으로 공기 충전용 단방향 공기 차단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공기 밀폐체가 공기 차단밸브를 통해 공기를 충전한 후 자동으로 공기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전통적인 공기 밀폐체가 연속성 단방향 공기 차단밸브로 발전되어 연속성 에어컬럼에 설치될 때, 즉 일회의 공기충전으로 각각의 독립된 에어컬럼에 모두 공기가 주입되는 상태를 형성하고 공기 차단밸브를 이용하여 공기가 진입된 후 자동으로 공기를 차단할 수 있어 이 연속성 단방향 공기 차단밸브는 공기가 충전된 에어컬럼을 공업에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즉 제품의 완충포장이 되어 운송에 응용하거나 또는 창고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미국 특허 2007-02670941A와 2003-10-610501등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하나의 심각한 결점을 가지고 있는데 단방향공기 차단밸브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으나 상기 공기 차단능력에 의해 기체를 공기 밀폐체에 잠궈 두는 시간을 길게 유지할 수 없는데 즉, 에어컬럼 안의 공기가 에어컬럼에 진입하는 원래 경로를 따라 외부 대기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없게 되어 공기 밀폐체의 에어컬럼 안의 공기가 점점 외부로 소진되어 완충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다음에서 상세히 비교하였다.
1. 미국 특허 2003-3329777BZ에서 단방향 공기 차단밸브구조는 하단 열밀폐 화살형 무늬를 사용하는데 그 목적은 기체가 화살촉 부분에서부터 공기 밀폐체로 분류(分流)되고 공기가 역류될 때는 화살표 아래 부분에서 차단되지만 공기가 분류되는 곳은 여전히 선형을 유지하게 되는데 즉 직선통로를 유지하게 되는데 공기 밀폐체 안의 기체가 이를 따랄 역류하게 된다.
2. 미국 특허 2003-10-610501에서 단방향 밸브는 2단제어 즉, 입구, 중간 분류(分流)단과 공기 출구단을 채용하지만 각 단 및 각 단 간의 연결은 여전히 반드시 선형경로를 유지하여 공기가 진입할 수 있게 하는데 선형경로이기에 공기가 이 선형경로를 따라 외부로 역류하게 된다.
3. 미국 특허 2003-0094394A1는 교차식을 채용하여 직선경로 끝부분에 홈을 설치하여 공기가 해당 홈에서 아래층으로 진입하게 하고 해당 아래층에서 즉시 차단하여 공기가 다른 홈으로 계속 전진하게 되는 직선차단되는 공기 차단밸브 구조를 제시하고 있는데 그 목적은 역류된 공기가 반대 방향으로 홈에 유입한 후 즉시 차단시켜 역류를 어렵게 하여 공기 차단이 지속되는 효과를 가져오나 그 구조는 직선차단 및 직선코너를 채용하는데 유체역학 이론을 위반하여 공기 충전 시 매우 불편하다.
4. 미국 특허 2007-0267094A1에서 출입구가 넓고 중간의 폭이 좁으며 공기 출구에서 다시 넓은 폭이 되는 공기 차단밸부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선형, 즉 직선경로 개념을 채용하고 있어 여전히 공기가 진입하는 경로를 따라 외부로 역류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에 상기 문제의 개선이 필요된다.
1. 미국 특허 2007-02670941A 2. 미국 특허 2003-10-610501 3. 미국 특허 2003-3329777BZ 4. 미국 특허 2003-0094394A1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기체 역류를 크게 낮추는 공기 밀폐체용 공기 차단밸브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기술의 전통적인 공기 차단밸브 안의 공기가 쉽게 진입하는 선형경로를 따라 외부로 역류되어 기체를 장시간 밀페하는 것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극복하여 공기밀페체가 최적의 완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개의 폭이 좁은 플라스틱 내막을 2개의 폭이 넓은 플라스틱 외막으로 구성된 공기 밀폐체 안에 설치하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막에 열밀봉하여 복수개의 아크선을 형성하는데 상기 아크선은 각각 상기 내막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막 한쪽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좌측 아크선 및 다른 한쪽의 복수개의 우측 아크선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아크선과 우측 아크선은 좌우 비대칭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좌측 아크선과 우측 아크선의 바닥단 끝부분에 홈을 설치하는데 상기 홈은 다른 한쪽의 아크선의 오목면에 긴밀히 인접되고 이런 좌우매칭방식으로 위에서 아래로 여러조로 배열하여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내용에 의하여 상기 밀폐체가 상기 공기 차단밸브 구조를 거쳐 공기를 충전할 때 공기는 상기 내막 정상부의 공기 진입구로부터 진입한 후 상기 좌측 아크선과 우측 아크선의 상부측 아크선을 따라 하부측 아크선에 유동되고 상기 오목면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홈으로 들어가며 상기 홈을 지나, 즉 다른 한쪽의 아크선의 상부측 아크선에 의해 상기 아크선의 하부측 아크선으로 유도하고 상기 홈으로 유입되어 우측 아크선, 홈, 좌측 아크선, 홈 등이 교대로 우좌 또는 좌우의 방식으로 상기 내막 바닥부의 공기 출구로 유동되어 상기 밀폐체에 진입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밀폐체 안의 공기가 공기 차단밸브의 공기 진입경로를 따라 역류될 때 상기 좌우측 아크선의 층층 차단 및 유도를 받을 수 있어 차례대로 역류공기를 분류(分流)시켜 아주 적은 역류공기가 공기진입부로 유동되게 하여 역류 차단이라는 목적을 실현하게 되나, 공기역류의 차단만을 강조하여 공기의 충전이 어렵거나 원활하지 못한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아 공기 밀폐체가 최적의 완충기능을 유지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타 실시방식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내막 정상부에 어느 하나의 내막 내면의 예정 공기 진입구에 먼저 내열자재를 도포하고 상기 내막을 상기 외막에 삽입하여 함께 수평 열밀봉선을 열밀봉한 후 내열자재부의 상기 내막의 내면에 열밀봉하나 접착시키지 않고 상기 밀폐체의 공기 진입구를 형성하며 공기 충전 시 공기가 공기 진입구를 거쳐 좌우측 아크선을 따라 상기 내막 바닥부의 공기 출구로 유동되어 상기 밀폐체에 진입하게 된다.
상기 상하 아크선 사이에는 먼저 공기역류를 유출하는 유도경로를 설치하고 아크선 하단이 공기역류 시의 자연차단인 것을 이용하여 역류된 공기가 역류 시 아크선 하단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고 유도경로는 차제에 차단된 공기를 유출하여 밀폐공간으로 유입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좌우측 아크선의 층층 차단 및 유도를 통해 해당 밀폐체에 저장된 기체가 원래 공기 진입구로 쉽게 역류되지 못하여 쉽게 새지 못하고 상기 밀폐체가 공기를 유지하는 시간을 길게 하여 상기 밀폐체의 완충능력을 확보하며, 상기 유도경로의 열밀봉 길이를 상기 밀폐공간의 경계선까지 연장시켜 상기 밀폐공간을 복수개의 독립된 밀폐챔버로 만들어 상기 유도경로에 의해 유도된 기체가 서로 중첩되거나 간섭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내막과 밀폐체의 단일 외막은 먼저 상기 아크선을 열밀봉하여 상기 공기 차단밸브와 외막의 밀접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체에 공기를 충전한 후 내부공기의 팽창으로 인한 내압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공기 차단밸브를 눌러 폐쇄상태를 형성하여 공기 차단, 공기 폐쇄효과를 높이게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차단밸브는 단독적으로 상기 외막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밀폐체에 공기를 충전한 후 상기 밀폐체 내부는 공기 팽창으로 인해 압력이 높아져 상기 공기 차단밸브의 양면이 압력을 받게 되어 폐쇄형태를 형성하여 공기 차단, 공기 폐쇄 효과를 높이게 한다.
상기 좌측 아크선과 우측 아크선 사이에는 상기 공기 진입구에서 공기 출구로 이어지는 공기 행진노선을 형성하는데 상기 공기 행진노선은 비선형 방식과 전통적인 선형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상단을 서로 매칭하거나 상하를 서로 매칭한다.
상기 좌우측 아크선은 내열자재로 형성된 상기 공기 진입구 열밀봉선부에서 긴밀하게 연결되여 좌우측이 밀폐된 공기 행진노선을 형성하고 향후 역류된 공기가 상기 공기 진입구와 공기 행진노선의 연결부에서 상기 밀폐체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아크선 상하 배열의 조합수 및 상기 아크선과 홈 사이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그 수 및 간격을 결정한다.
상기 공기 차단밸브는 단독적인 시트로 사용하거나 연속성 방식으로 연속성 에어컬럼형 공기 밀폐체에 배치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연속성 에어컬럼형 공기 밀폐체의 충전경로가 충전될 때 연속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된 상기 공기 차단밸브의 공기 진입구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고 상기 내막에 먼저 설치된 내열자재를 공기 충전통로로 연장하고 열밀봉 노드를 이 내열자재의 상기 내막과 외막에 미리 설치하고 상기 내막 안에 내열자재를 도포하여 열밀봉 시 상기 내막의 내면이 서로 접착되지 않고 상기 내막과 연결된 상기 외막은 열밀봉으로 접착되어 공기 충전통로에 공기가 충전되어 팽창하면 상기 외막은 외부로 펼쳐지게 되는데 이 동작은 서로 연결된 상기 외막과 내막을 함께 외부로 당겨 열리게 되는데 즉 상기 공기 충전통로에 공기가 충전되어 자동으로 상기 내막과 공기 진입구를 열게 된다.
상기 연속성 에어컬럼형 공기 밀폐체의 공기 충전통로에는 열밀봉 노드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공기 충전통로의 에어컬럼 옆의 2개 내막과 2개 외막을 동시에 열밀봉하여 열밀봉 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충전통로에 공기가 충전될 때 상기 열밀봉 블록의 공기 충전통로에 공기가 충전, 팽창되어 2개 열밀봉 블록이 상기 공기 진입구를 누르게 되어 상기 공기 진입구가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2는 도1의 A-A단면도이고,
도3은 도2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실시예의 공기 차단밸브의 배치 예시도이고,
도5는 도1실시예의 공기 차단밸브의 다른 배치 예시도이고,
도6은 도1실시예의 공기 차단밸브의 또 다른 배치예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공기 차단밸브의 추가 실시형태 배치 예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공기 차단밸브의 다른 추가 실시형태 배치예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공기 차단밸브의 또 다른 추가 실시형태 배치예시도이고,
도10은 도2의 추가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좌우측 아크선을 비대칭방식으로 배열하고, 상기 아크선을 상기 내막의 아래까지 상하로 연결하여 밀폐식 공기 행진노선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최적 실시의 도면을 예로 들어 실시방식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의 정면도를 제시하고, 도2에서 도4를 결부하여 2개의 폭이 좁은 플라스틱 내막(21), (22)을 2개의 폭이 넓은 플라스틱 외막 (11), (12)으로 구성된 공기 밀폐체(1) 안에 설치하는 본 발명의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구조를 설명하는데 여기서 상기 내막(21), (22)에 열밀봉하여 상기 내막(21), (22)사이에 복수개의 아크선(3), (4)를 형성하고 상기 아크선(3), (4)은 각각 상기 내막(21), (22)의 양쪽에 위치하고 상기 내막(21), (22) 한쪽에 위치한 복수개 좌측 아크선(3) 및 다른 한쪽의 복수개 우측 아크선(4)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아크선(3)과 우측 아크선(4)은 좌우 비대칭 배열이고 상기 좌측 아크선(3)과 우측 아크선(4)의 아래 끝부분에는 홈(51)을 설치하고 상기 홈(51)은 다른 한쪽 아크선(3), (4)의 오목면(33), (43)에 긴밀히 인접하여 이런 좌우매칭방식으로 위에서 아래로 여러 조로 배열하여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밀폐체(1)가 상기 공기 차단밸브구조를 거쳐 공기가 차단될 때 공기는 상기 내막(21), (22) 상부의 공기 진입구(23)로 진입한 후 상기 좌측 아크선(3)과 우측 아크선(4)이 상부측 아크선(31), (41)을 따라 하부측 아크선(32), (42)으로 흐르고 상기 오목면(33), (43)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홈(51)으로 유입되고 상기 홈(51)을 거쳐 즉 다른 한쪽 아크선(3), (4)의 상부측 아크선(31), (41)은 상기 아크선(3), (4)의 하부측 아크선(32), (42)으로 유도되고 상기 홈(51)으로 유입되어 우측 아크선(4), 홈(51), 좌측 아크선(3), 홈 (51)등이 교대로 우좌, 또는 좌우의 방식으로 상기 내막(21), (22) 아래의 공기 출구 (24)로 교대로 유입되어 상기 밀폐체(1) 내부로 진입한다. 여기서,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사이에는 상기 공기 진입구(23)에서부터 공기 출구(24) 사이에 공기 행진노선(5)을 형성한다.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 상하 배열된 조합수 및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와 홈(51) 간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그 수 및 간격을 결정한다.
상기 상부측 아크선(31), (41)과 아크선(32), (42)사이에는 역류공기를 유도하는 유도경로(52)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 하단의 하부측 아크선(32), (42)은 공기 역류 시의 자연적인 차단설계를 이용하여 역류된 공기가 역류 시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하단의 하부측 아크선(32), (42)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유도경로(52)는 차단된 공기를 유도하여 밀폐공간(200)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의 층층의 차단 및 유도로 밀폐체(1)에 저장된 기체가 원래 공기 진입구(23)로 쉽게 역류되어 새지 않아 밀폐체(1)의 공기 유지 시간이 길어져 밀폐체(1)의 완충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체(1) 내부에 상기 외막(11), (12)간에 위치하는 에어챔버(10)를 형성하고 상기 내막(21), (22)은 각각 에어챔버(10) 안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막(21), (22) 주변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내막(21), (22)사이에는 밸브챔버(20)를 형성하고 상기 내막(21), (22) 상부와 아래 부분은 각각 외부와 밸브챔버(20)와 연결되는 공기 진입구(23) 및 상기 밸브챔버(20)와 에어챔버(10) 내부와 연결되는 공기 출구(24)를 형성한다.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는 상기 공기 진입구(23)와 공기 출구(24) 사이의 밸브챔버(20) 안에 교차 배열되고 각각 상기 내막(21), (22)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 아래의 하부측 아크선(32), (42)는 각각 상기 공기 진입구(23)와 공기 출구(24)의 중심축(202)으로 연장되고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의 중간부의 양쪽은 각각 공기 진입구(23)와 공기 출구(24) 방향으로 기울어진 오목면(33), (43)및 다른 공기 출구(24)를 향하고 공기 진입구(23) 방향으로 기울어진 볼록면(34), (44)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 행진노선(5)은 상기 공기 진입구(23), 오목면(33), (43)과 공기 출구(24) 사이에는 구불구불한 형태를 형성하여 공기 진입구(23)에서 공기 출구(24)방향으로 흐르는 공기가 상기 오목면(33), (43)을 따라 구불구불한 방식으로 공기 출구(24)에 진입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밀폐공간(200)는 복수일 수 있으며 각각 상기 볼록면(34), (44)과 밸브챔버(20) 양쪽 내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진입구(23)에 인접한 좌우측 아크선(3), (4)상부는 각각 상기 공기 진입구(23) 외부의 밸브챔버(20) 내벽으로 연장되어 상기 밀폐공간(200) 상부와 공기 진입구(23)의 연결을 차단한다.
상기 유도경로(52)는 각각 상기 상하로 인접한 볼록면(34), (44)과 좌우측 아크선(3), (4)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행진노선(5)과 밀폐공간(200)을 연결하고 공기 출구(24)에서 공기 진입구(23) 방향으로 흐르는 일부 공기가 상기 볼록면(34), (44)을 따라 밀폐공간(200)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또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상기 밀폐체(1)에 완충용 에어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밀폐체(1a) 는 포장용 에어백 (도10과 같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의 상부측 아크선(31), (41) 상부는 밀폐공간(200)쪽으로 연장되어 전환부(311), (411)을 형성하고 상기 전환부(311), (411)는 상기 상부가 서로 인접한 볼록면(34), (44)과 대응한다.
상기 밸브챔버(20) 한 쪽의 좌우측 아크선(3), (4) 아래의 하부측 아크선(32), (42)은 밸브챔버(20)의 다른 한쪽의 좌우측 아크선(3), (4)의 오목면(33), (43)과 대응한다.
상기 밸브챔버(20) 한 쪽의 좌우측 아크선(3), (4)의 오목면(33), (43)과 밸브챔버(20)의 다른 한 쪽의 좌우측 아크선(3), (4)의 오목면(33), (43)은 서로 교차된다.
상기 밸브챔버(20) 한 쪽의 유도경로(52)는 밸브챔버(20)의 다른 한 쪽의 오목면(33), (43)과 대응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타 실시방식을 상세히 설명하자 한다.
상기 내막(21), (22) 상부 어느 한 내막(21), (22)의 내면에는 공기진입예정부에 먼저 내열자재(6)를 도포하는데 상기 내열자재(6)는 내열잉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내막(21), (22)이 상기 외막(11), (12)에 삽입되어 함께 수평 열밀봉선(7)을 열밀봉한 후 상기 내열자재(6)의 상기 내막(21), (22)의 내면은 열밀봉으로 접착되지 않아 밀폐체(1)의 공기 진입구(23)을 형성하고 공기가 충전될 때 공기는 공기 진입구(23)를 거쳐 좌우측 아크선(3), (4)을 순환하여 상기 내막(21), (22) 아래의 공기 출구(24)까지 유입되어 밀폐체(1)의 에어챔버(10)로 진입한다.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는 내열자재(6)로 형성된 공기 진입구(23) 열밀봉선 부분과 긴밀히 연결되고 공기 행진노선(5)의 좌우를 밀폐시켜 향후 역류된 공기가 상기 공기 진입구(23)와 공기 행진노선(5) 연결부에서 밀폐체(1)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내막(21), (22)과 밀폐체(1)의 단일 외막(11), (12)는 먼저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를 열밀봉하여 상기 공기 차단밸브와 외막(11), (12)밀봉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밀폐체(1)에 공기를 충전된 후 내부공기의 팽창으로 인한 내압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공기 차단밸브에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공기 차단효과를 높이고, 또한 상기 공기 차단 밸브를 단독으로 상기 외막(11), (12)사이에 설치하고 밀폐체(1)에 공기가 충전된 후 상기 밀폐체(1) 내부는 공기팽창으로 압력이 높아져 공기 차단밸브의 양면이 압력을 받아 잠금장치를 형성하게 되어 공기 차단, 잠금 효과를 높이게 된다.
실시 시 상기 밀폐체의 2개의 외막은 공기 차단용 내막과 함께 열밀봉을 거쳐 복수개의 독립된 에어챔버(10)를 형성하는데 그중 각 에어챔버에 최소 하나의 공기 진입구(23)를 설치하고 도5와 같이 각 에어챔버(10)에 공기 진입구(23)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에어챔버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공기 진입구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그 후 본 발명의 비선형 공기 차단구조를 설치한다.
상기 구조를 통해 공기가 공기 진입구(23)를 통해 밸브챔버(20)에 충전될 때 공기는 한 층의 좌측 아크선(3)의 상기 상부측 아크선(31) 오목면(33)과 하부측 아크선(32)을 따라 유입되어 공기가 오목면(33)을 순환하여 유입된 후 상기 우측 아크선(4)의 오목면(43)의 유도로 빠르게 홈(51)에 진입하게 되고 계속해서 다른 한 층의 좌측 아크선(3)의 상기 상부측 아크선(31), 오목면(33)과 하부측 아크선(32)을 따라 유동하고, 그렇게 하여 공기는 상기 오목면(33), (43)을 거쳐 흐름방향에 따라 방향을 전환하게 되어 오른쪽으로 회전하고 오른쪽 회전이 끝나면 홈(51)으로 진입하고 흐름방향에 따라 왼쪽으로 회전하고 왼쪽으로 회전이 끝나면 홈(51)으로 진입하는 흐름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주목할 점은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은 유선화되고 바람저항이 낮아 공기가 쉽게 유동하고 좌,우로 방향을 전환시켜 공기 행진노선(5) 안에서 스스로 회전하여 공기충전을 원활하게 가속화하고; 기체가 좌우, 우좌로 끊임없이 위치를 바꾸는데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의 하부측 아크선(32), (42) 끝부분은 반원형 회전에 해당하는데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의 바람저항지수가 낮고 또한 반원 회전식 위치 이동으로 인해 공기의 자동회전으로 유속이 증가되어 공기가 밀폐체(1)로 유입되는 속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어 빠른 통과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비직선방향으로 좌우 이동방식으로 아래로 흐르게 되고 또한 오목면(33), (43)은 공기유선형으로 바람저항을 극도로 낮춰 공기는 공기 진입구(23)에서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의 흔들리는 경로로 진입하여 회전하는 바람막이를 형성하여 좌우측 아크선(3), (4)의 차단을 받지 않을 뿐 아니라 위치를 이동하면서 흔들려 전진이 가속화되고 기체가 공기 행진노선(5)을 빠르게 통과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밀폐체(1)에 공기가 충전된 후 에어챔버(10)안 공기가 역류되어 역류공기가 원래 공기진입경로를 순환하여 반대로 흐를 때 우선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의 하부측 아크선(32), (42)에 의해 차단되어 공기의 절반은 상기 볼록면(34), (44)을 따라 흐르게 되어 유도경로(52)를 거쳐 방향을 전환하여 밀폐공간(200)으로 유입되고; 다른 절반의 공기는 홈(51)을 거쳐 공기 행진노선(5)으로 역류되는데 즉 층층이 배열된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의 하부측 아크선(32), (42)과 볼록면(34), (44)에 의해 차단되어 마지막에 공기 진입구(23)의 공기로 역류되는 공기는 극도로 적어져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밀폐체(1)내 공기는 공기 차단밸브의 공기진입경로를 순환하여 역류될 때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의 층층의 차단 및 유도를 거쳐 차례대로 역류공기를 분류하여 역류공기가 공기 진입구(23)에 극소만 흘러 보내 역류 방지라는 목적을 실현하게 되며 그로 인해 공기역류 차단만을 강조하여 공기충전이 어렵거나 원활하지 못한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또한 공기 밀폐체(1)에 최적의 완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실시 시, 상기 유도경로(52)의 전환부(311), (411)의 열밀봉 길이는 밀폐공간(200)의 경계선(203)(도5및 도6참고)으로 연장될 수 있어 밀폐공간(200) 사이에 복수개의 독립된 밀폐챔버(201)를 형성하고 인접한 전환부(311), (411)는 서로 연결이 가능하여 상기 유도경로(52)로 유도된 기체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서로 간섭 받지 않게 된다.
실시 시, 상기 공기 행진노선(5)은 비선형방식과 전통적인 선형방식을 혼합하여 사용(도7및 도8참고)하고 필요에 따라 상부를 서로 매칭하거나 상하를 서로 매칭하고; 그중 도7의 상단은 전통적인 선형방식이고, 도8의 상단은 비선형방식, 하단은 전통적인 선형 방식이다.
실시 시, 상기 좌우측 아크선(3a), (4a)은 비대칭 방식으로 배열되고(도9참고) 상기 아크선(3a), (4a) 상하는 상기 내막(21), (22)의 아래까지 연결되어 밀폐식 공기 행진노선(5a)을 형성한다.
이밖에도 상기 공기 차단밸브는 시트를 사용하거나 연속성 방식으로 연속성 에어컬럼형 공기 밀폐체(1)에 배치하여 사용(도1및 도5참고)하고 상기 연속성 에어컬럼형 공기 밀폐체(1)의 공기 충전통로(13)에 공기가 충전될 때 연속 설치된 상기 공기 차단밸브의 공기 진입구(23)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확보하여 상기 내막(21), (22)에 미리 설치된 내열자재(6)가 공기 충전통로(13)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열밀봉 노드(14)를 이 내열자재(6)의 상기 내막(21), (22)와 외막(11), (12)에 설치하고 상기 내막(21), (22)안에 내열자재(6)을 도포하여 열밀봉 시 상기 내막(21), (22)의 안은 서로 접착되지 않고 상기 내막(21), (22)과 연결된 외막(11), (12)은 열밀봉으로 접착되고, 이로써 공기 충전통로(13)에 공기가 충전되어 팽창 시 상기 외막(11), (12)는 외부로 펼쳐지게 되는데 이 동작은 서로 연결된 상기 외막(11), (12)과 내막(21), (22)을 함께 외부로 당겨져 열리게 되는데, 즉 상기 공기 충전통로(13)에 공기가 충전되면 자동으로 상기 내막(21), (22)과 공기 진입구(23)를 자동으로 당겨져 열리게 되는 동작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공기 진입구(23)를 자동으로 열게 하는 또 최적의 실시예로는 내막(21), (22)에 미리 설치된 내열자재(6)를 연장하지 않고 공기 충전통로(13)가 상기 에어컬럼 공기 진입구(23) 양쪽에서 직접 내막(21), (22)과 외막(11), (12)을 열밀봉하도록 수정하여 중첩형 열밀봉 블록(8)(도7참고)를 형성하는데 그 목적은 공기 충전통로(13)에 공기가 충전될 때 열밀봉 블록(8)은 공기충전팽창으로 인해 수축되지 않아 열밀봉 블록(8)이 공기 진입구(23)쪽으로 눌려져 공기 진입구(23)가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본 발명에서 공개한 내용에 따라 완성된 등가의 수정이나 대체물은 모두 특허청구의 범위에 해당한다.
1, 1a 밀폐체
10 에어챔버
11, 12 외막
13 공기 충전통로
14 노드
15 공기 충전구
20 밸브챔버
200 밀폐공간
201 밀폐챔버
202 중심축
203 경계선
21, 22 내막
23 공기 진입구
24 공기 출구
3, 3a 좌측 아크선
31, 41 상부측 아크선
311, 411 전환부
32, 42 하부측 아크선
33, 43 오목면
34, 44 볼록면
4, 4a 우측 아크선
5, 5a 공기 행진노선
51 홈
52 유도경로
6 내열자재
7 수평 열밀봉선
8 열밀봉 블록

Claims (12)

  1. 2개의 플라스틱 내막(21)(22)을 2개의 플라스틱 외막(11)(12)으로 구성된 공기 밀폐체(1) 내에 설치하고, 상기 내막(21)(22)에 열밀봉으로 복수개의 아크선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아크선은 각각 상기 내막(21)(22)의 양쪽에 위치하며, 상기 내막(21)(22) 한쪽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좌측 아크선(3) 및 다른 한쪽의 복수개의 우측 아크선(4)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아크선(3)과 우측 아크선(4)은 좌우 비대칭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좌측 아크선(3)과 우측 아크선(4)의 바닥단 끝부분에 홈(51)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홈(51)은 서로 다른 쪽 아크선의 오목면(33)(43)에 긴밀하게 인접하며, 이런 좌우 매칭방식으로 위에서 아래로 여러 조를 배열하여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차단밸브 구조를 거쳐 공기를 충전할 때, 공기는 상기 내막(21)(22) 상부의 공기 진입구(23)부터 진입한 후 상기 좌측 아크선(3)과 우측 아크선(4)의 상부측 아크선(31)(41)으로부터 하부측 아크선(32)(42)으로 흐르고, 상기 오목면(33)(43)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홈(51)으로 유입되며, 상기 홈(51)을 지난 다음에는 다른 한쪽 아크선(3)(4)의 하부측 아크선(32)(42)으로 유도되고, 상기 홈(51)에 유입되어 우측 아크선(4), 홈(51), 좌측 아크선(3), 홈 (51)의 순서로 교대로 우좌, 또는 좌우의 방식으로 유도되어, 상기 내막(21)(22) 바닥부의 공기 출구(24)로 흘러 상기 밀폐체(1)로 진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막(21)(22) 상부의 어느 하나의 내막 내면의 공기진입예정부에 먼저 내열자재(6)를 도포하고 상기 내막(21)(22)을 상기 외막(11)(12)에 삽입하여 함께 열밀봉 수평선을 열밀봉한 후 상기 내열자재(6)의 상기 내막(21)(22)의 내면은 열밀봉으로 접착시키지 않고 상기 밀폐체(1)의 공기 진입구(23)를 형성하고 공기를 충전할 때 공기가 상기 공기 진입구(23)를 거쳐 좌우측 아크선(3)(4)을 따라 상기 내막(21)(22) 바닥부의 공기 출구(24)까지 흘러 상기 밀폐체(1)로 진입하게 되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아크선(31)(41) 및 하부측 아크선(32)(42) 사이에 역류공기를 유도하는 유도경로(52)를 미리 설치하고,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 하단의 하부측 아크선(32) (42)은 공기 역류 시의 자연적인 차단설계를 이용하여 공기가 역류할 때 상기 좌우측 아크선(3) (4)하단의 하부 아크선(32) (42)에 의해 차단되게 하고, 상기 유도경로(52)는 차단된 공기를 유도하여 밀폐공간(200)에 유입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좌우측 아크선(3)(4)의 층층 차단 및 유도로 밀폐체(1)에 저장된 기체가 원래의 공기 진입구(23)로 쉽게 역류되지 못하게 하여 상기 밀폐체(1)의 공기 유지시간을 길어지게 하여 밀폐체(1)의 완충능력을 확보하게 되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도경로(52)의 열밀봉 길이는 상기 밀폐공간(200)의 경계선까지 연장되어 상기 밀폐공간(200)을 복수개의 독립된 밀폐챔버로 만들어 상기 유도경로(52)에 의해 유도된 기체가 서로 중첩되거나 서로 간섭을 하지 않게 할 수 있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막(21)(22)과 밀폐체(1)의 단일 외막(11)(12)에 미리 상기 아크선을 열밀봉하여 상기 공기 차단밸브와 외막(11)(12)의 밀접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체(1)는 공기를 충전한 후 내부공기의 팽창으로 인해 내압이 발생되어 상기 공기 차단밸브를 압박하지 않고 폐쇄 상태를 형성하여 공기 차단, 공기 폐쇄 효과를 높이게 되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차단밸브는 단독적으로 상기 외막(11)(12)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밀폐체(1)에 공기를 충전한 후 상기 밀폐체(1) 내부는 공기팽창으로 압력이 높아져 상기 공기 차단밸브의 양면이 압력을 받게 되어 폐쇄상태를 형성하여 공기 차단, 공기폐쇄 효과를 높이게 되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아크선(3)과 우측 아크선(4) 사이에 상기 공기 진입구(23)부터 공기 출구(24)로 연결된 공기 행진노선(5)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행진노선(5)은 비선형방식과 전통적인 선형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막(11), (12) 사이에 에어챔버(10)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챔버(10)에는 최소 하나의 공기 진입구(23)를 설치하고, 좌우측 아크선(3)(4)은 내열자재(6)로 형성된 상기 공기 진입구(23)를 연결하는 열밀봉선부에서부터 긴밀하게 연결되어 향후 역류된 공기가 상기 공기 진입구(23)와 좌우측 아크선(3)(4)의 접합부부터 공기 충전통로(13)를 따라 상기 밀폐체(1)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차단밸브는 단일 시트로 사용하거나 연속성 방식으로 연속성 에어컬럼형 공기 밀폐체(1)에 배치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연속성 에어컬럼형 공기 밀폐체(1)의 공기 충전통로(13)에 공기를 충전할 때 연속적으로 설치된 상기 공기 차단밸브의 공기 진입구(23)가 자동으로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내막(21)(22)에 미리 설치된 내열자재(6)를 공기 충전통로(13)로 연장할 수 있게 하고, 열밀봉 노드(14)를 이 내열자재(6)의 상기 내막(21)(22)과 외막(11)(12)에 설치하고, 상기 내막(21)(22) 안에는 내열자재(6)를 도포하여 열밀봉 시 상기 내막(21)(22)의 안은 접착되지 않고 상기 내막(21)(22)과 연결된 상기 외막(11)(12)은 열밀봉으로 접착하여, 공기 충전통로(13)에 공기가 충전되어 팽창될 때 상기 외막(11)(12)이 외부로 펼쳐지고 상기 외막(11)(12)과 연결된 내막(21)(22)이 함께 외부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공기 진입구(23)가 함께 열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공기 충전통로(13)에 열밀봉 노드(14)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공기 충전통로(13)의 상기 에어컬럼 공기 진입구(23) 옆의 2개 내막(21)(22)과 2개 외막(11)(12)을 동시에 열밀봉하여 열밀봉 블록(8)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공기 충전통로(13)에 공기가 충전될 때 상기 열밀봉 블록(8)은 공기충전하여 팽창되지 않으며 열밀봉 블록(8)이 없는 공기 충전통로(13)는 공기충전으로 팽창, 수축되어 2개의 열밀봉 블록(8)에 의해 상기 공기 진입구(23)를 눌러 상기 공기 진입구(23)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아크선(3)(4)은 비대칭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좌우측 아크선(3)(4)의 상하부는 상기 내막(21)(22)의 바닥부까지 연결되어 밀폐식 공기 행진노선을 형성하는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KR1020120037798A 2011-12-15 2012-04-12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KR101388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46421 2011-12-15
TW100146421A TW201323755A (zh) 2011-12-15 2011-12-15 非線性止氣閥結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305A KR20130069305A (ko) 2013-06-26
KR101388383B1 true KR101388383B1 (ko) 2014-04-22

Family

ID=4602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798A KR101388383B1 (ko) 2011-12-15 2012-04-12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04546B1 (ko)
JP (1) JP5511098B2 (ko)
KR (1) KR101388383B1 (ko)
TW (1) TW2013237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7814A (ja) * 2013-12-04 2015-06-11 克敏 吉房 空気セル緩衝材の弁装置
WO2016020949A1 (en) * 2014-08-06 2016-02-11 Enzo Zovini Inflating valve with non-return function for making inflated packaging
CN205396986U (zh) * 2015-09-28 2016-07-27 珠海艾贝克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空气密封体
DE112018004813A5 (de) * 2017-08-29 2020-06-04 Bernd Dieter Fuchs Aufblasbare Folienanordnung
TWI707810B (zh) * 2019-11-08 2020-10-21 亞比斯包材工場股份有限公司 密封結構
CN113353452B (zh) * 2021-05-11 2022-07-15 宁波华丰包装有限公司 一种共挤膜闭气锁气密封体的气柱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383B1 (ko) 1994-04-11 2003-06-02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진공밸브와그제조방법,및진공밸브를구비한진공차단기와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21480A (en) 2000-11-30 2006-01-28 Sun A Kaken Co Ltd Buffer packing bag
ATE308467T1 (de) 2001-11-16 2005-1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ufblasbares verpackungssystem
US7533772B2 (en) * 2005-10-20 2009-05-19 Air- Paq, Inc.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7481252B2 (en) * 2006-02-10 2009-01-27 Air-Paq, Inc.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air-packing device
DE202006002935U1 (de) * 2006-02-23 2006-04-20 Leadpak Industrial Co., Ltd. Mehrschichtige Membranventilanordnung
US7568508B2 (en) 2006-05-10 2009-08-04 Chian Hua Liao Inflatable pneumatic bag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ereof
JP4686556B2 (ja) * 2008-01-09 2011-05-25 廖建華 吊り下げ式空気防振カバー
JP5595718B2 (ja) * 2009-11-26 2014-09-24 克敏 吉房 空気セル緩衝材
US9623622B2 (en) * 2010-02-24 2017-04-18 Michael Baines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383B1 (ko) 1994-04-11 2003-06-02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진공밸브와그제조방법,및진공밸브를구비한진공차단기와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11098B2 (ja) 2014-06-04
EP2604546A1 (en) 2013-06-19
TWI444551B (ko) 2014-07-11
JP2013124137A (ja) 2013-06-24
KR20130069305A (ko) 2013-06-26
EP2604546B1 (en) 2014-07-16
TW201323755A (zh) 201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383B1 (ko) 비선형 공기 차단밸브 구조
CN101357705B (zh) 逆向止气阀及带有该逆向止气阀的空气密封装置
JP5354552B2 (ja) 自然にエアバルブを開く気体密封シート
JP5535371B2 (ja) 気体進入口を自動的に開く吹き込み式気体密封シート
KR100869022B1 (ko) 강화된 공기밀봉 기능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JP4381430B2 (ja) 連続ポンプの多機能のエアーシール体及びそのエアーバルブ装置
US9199596B2 (en) Air bag packaging arrangement and self-adhesive checking valve thereof
JP4468413B2 (ja) 多機能エアーシール体および逆向チョークバルブ装置
US7481252B2 (en)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air-packing device
JP4668972B2 (ja) 二層密封袋式空気密封体の製造装置及び方法
KR100869021B1 (ko) 독립된 복층 공기실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US8910664B2 (en) Nonlinear air stop valve structure
CN105292768B (zh) 流体容器及其截止阀和制造方法
JP2008013256A (ja) 強化気密機能を有するエアーシール
KR101082452B1 (ko) 가압공간이 형성된 완충 포장 주머니
JP2005162268A (ja) 緩衝用包装材
CN201074091Y (zh) 强化气密效果的空气密封体及其逆向止气阀装置
JP2005162269A (ja) 緩衝用包装材
CN105173401B (zh) 可顺畅填充流体的流体容器及其应用
JP2010126256A (ja) 自然にエアバルブを開く気体密封シート
TW202118706A (zh) 密封結構
CN103256408B (zh) 非线性止气阀结构
CN102264609A (zh) 空气填充型包装材料
JPH084281Y2 (ja) 包装用緩衝材
TWM531453U (zh) 流體容器及其截止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