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452B1 - 가압공간이 형성된 완충 포장 주머니 - Google Patents

가압공간이 형성된 완충 포장 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452B1
KR101082452B1 KR1020090074140A KR20090074140A KR101082452B1 KR 101082452 B1 KR101082452 B1 KR 101082452B1 KR 1020090074140 A KR1020090074140 A KR 1020090074140A KR 20090074140 A KR20090074140 A KR 20090074140A KR 101082452 B1 KR101082452 B1 KR 101082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line
sheets
hea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348A (ko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2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4Valve bags, i.e. with valves fo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가 위치하는 공기 기둥 안쪽에 내부시트를 가압하는 가압공간을 형성하여 밸브를 이중으로 가압하여 밀폐성이 우수하도록 구성한 완충 포장 주머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완충 포장 주머니는 마주하게 위치한 2장의 내부시트와, 상기 2장의 내부시트의 바깥쪽에 각각 위치한 2장의 외부시트와, 상기 2장의 내부시트 안쪽에 위치하며 어느 한 쪽의 내부시트에 도포된 내열부재와, 공기주입관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2장의 외부시트를 열접합한 제1 열접합선과, 상기 제1 열접합선과 간격을 두고 상기 내열부재를 따라 내부시트와 외부시트 끼리 열접합하는 제2 열접합선과, 상기 공기주입관로의 반대편으로 상기 제2 열접합선에서 연장되어 공기 기둥을 형성하는 제3 열접합선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열접합선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2장의 내부시트와 상기 2장의 외부시트를 열접합하는 제2 열접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열접합부와 상기 제2 열접합선 사이에 가압공간을 형성하며, 이웃한 다른 제3 열접합선에서 연장된 제2 열접합부와 떨어져 제2 통로가 형성된다.
완충 포장 주머니, 가압공간, 공기주입관로, 내열잉크

Description

가압공간이 형성된 완충 포장 주머니{Air Bag with Pressurization Space}
본 발명은 완충 포장 주머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밸브가 위치하는 공기 기둥 안쪽에 내부시트를 가압하는 가압공간을 형성하여 밸브를 이중으로 가압하여 밀폐성이 우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포장이사 또는 주요물품을 배달할 때 그 내용물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용물이 완충 포장 주머니로 감싸진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충 포장 주머니의 밸브를 나타낸 A-A'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포장 주머니(10)는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면 내부 압력에 의해 밸브(20)가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완충 포장 주머니(10)는 사각형 구조로서, 일측변을 따라 공기주입관로(1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관로(1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의 공기 기둥(13)이 형성된다. 다수 개의 밸브(20)들이 상기 공기주입관로(11)와 공기 기둥(13)들을 각각 연결하고 있어, 공기주입관로(11)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밸브(20)를 통해 각 공기 기둥(13)으로 유입된다. 공기가 공기 기둥(13)에 채워지면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면서 상기 밸브(20)를 가압하여 공기 기둥(13) 내부의 공기가 밸브(20)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게 밀봉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완충 포장 주머니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완충 포장 주머니(10)는 완충 포장 주머니 전체를 형성하는 2장의 외부시트(15)를 포함한다. 그리고 밸브(20)는 2장의 외부시트(15) 안쪽에 위치하는 2장의 내부시트(21)와, 2장의 내부시트(21)가 마주하는 면 중에서 어느 한 쪽 내부시트에 도포된 불연속적인 내열잉크(23)들을 포함하며, 다수의 열접합선(31, 32, 33)과 열접합점(41, 42)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서 내부시트(21) 안 쪽에 도포된 내열잉크(23)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2장의 외부시트(15) 안에 2장의 내부시트(21)가 위치한 상태에서, 공기주입관로(11)는 평행하게 위치한 제1 열접합선(31)과 제2 열접합선(32)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 제2 열접합선(32)은 내부시트(21)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찍힌 내열잉크(23)들을 지나며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열접합선(31)은 2장의 외부시트(15)만을 접합한다.
이와 같이 제1 열접합선(31)과 제2 열접합선(32)을 따라 공기주입관로(11)가 형성되며, 공기주입관로(11)의 일측은 열접합되어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되며, 개방된 타측을 통해 공기가 주입된다.
한편, 제2 열접합선(32)에 의해 외부시트(15)와 내부시트(21)가 하나로 접합되지만, 내열잉크(23)가 도포된 지점은 접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주입관로(11)로 주입된 공기는 내열잉크(23)에 의해 열접합되지 않은 내부시트(21) 사이의 통 로(25)를 통해 공기 기둥(13)으로 유입된다.
또한, 공기 기둥(13)은 제2 열접합선(32)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3 열접합선(33)들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제3 열접합선(33)은 내열잉크(23)에 의해 형성된 통로(25)와 교번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통로(25)를 통해 공기 기둥(1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3 열접합선(33)에 의해 형성된 공기 기둥(13) 내에 채워진다.
한편, 제2 열접합선(32)을 기준으로 공기주입관로(11) 쪽에 위치한 2장의 내부시트(21)는, 내부시트(21)와 외부시트(15)가 각각 한 장씩 제1 열접합점(41)에 의해 접합 고정된다. 주입된 공기에 의해 2장의 외부시트(15)가 팽창하면서 제1 열접합점(41)에 의해 접합 고정된 각각의 내부시트(2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통로(25)가 개방된다.
반면에, 제2 열접합선(32)을 기준으로 공기 기둥(13) 쪽에 위치한 2장의 내부시트(21)는 어느 한 쪽의 외부시트에 제2 열접합점(42)에 의해 접합 고정되어 공기 기둥(13)에 채워진 공기에 의해 밸브(20)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공기 기둥(13) 내부압력에 의해 통로(25)가 폐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완충 포장 주머니는, 공기주입관로(11)로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에 공기가 통로(25)를 통해 공기 기둥(13)으로 유입된다. 공기 기둥(13)에 채워진 공기가 내부시트(21)와 외부시트(15) 사이로 유입된 후 2장의 내부시트(21)를 가압하여 통로(25)를 폐쇄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밀폐방식에 있어서, 압력이 더 크게 작용하는 부위는 팽창한 외부시트의 평편한 부위보다 제2 열접합선(32)의 아래 부분과 같이 외부시 트(15)가 열접합된 부위에 의해 팽창하면서 만곡된 부분이다. 이는 평편한 부위보다 굴곡지게 만곡된 부위의 표면적이 더 넓어 압력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굴곡지게 만곡된 부위에 압력이 클수록 밀폐성은 더 우수하다. 하지만, 종래의 완충 포장 주머니에서는 이와 같이 압력이 크게 작용하는 부위가 한 곳 즉 제2 열접합선의 아래 부분 뿐이여서 밀폐성이 양호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가압공간을 형성하여 공기를 이중으로 밀폐함으로써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완충 포장 주머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 포장 주머니는 마주하게 위치한 2장의 내부시트와, 상기 2장의 내부시트의 바깥쪽에 각각 위치한 2장의 외부시트와, 상기 2장의 내부시트 안쪽에 위치하며 어느 한 쪽의 내부시트에 도포된 내열부재와, 공기주입관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2장의 외부시트를 열접합한 제1 열접합선과, 상기 제1 열접합선과 간격을 두고 상기 내열부재를 따라 내부시트와 외부시트 끼리 열접합하는 제2 열접합선과, 상기 공기주입관로의 반대편으로 상기 제2 열접합선에서 연장되어 공기 기둥을 형성하는 제3 열접합선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열접합선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2장의 내부시트와 상기 2장의 외부시트를 열접합하는 제2 열접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열접합부와 상기 제2 열접합선 사이에 가압공간을 형성하며, 이웃한 다른 제3 열접합선에서 연장된 제2 열접합부와 떨어져 제2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열접합선들 사이의 간격보다 짧은 길이의 제4 열접합선들이 상기 제3 열접합선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4 열접합선은 상기 2장의 내부시트와 어느 한 외부시트를 열접합한 것으로, 상기 제2 열접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열접합선의 반대편 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열부재는 내부시트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도포되며, 상기 제2 열접합선이 상기 내열부재를 따라 내부시트와 외부시트 끼리 열접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주입관로에는 다수 개의 제1 열접합부가 상기 제3 열접합선과 각각 대응하게 형성되며 이웃한 제1 열접합부와 떨어져 제1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열접합부의 일부는 상기 2장의 외부시트를 열접합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외부시트와 내부시트끼리 열접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기둥의 길이 중간에는 상기 공기 기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2장의 외부시트를 열접합하는 열접합점들이 한 공기 기둥 당 한 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주입관로의 양단은 폐쇄되고, 상기 공기주입관로에 대응하는 어느 한 외부시트에 코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 포장 주머니는 공기 기둥에 채워진 공기를 이중으로 밀폐함으로써,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완충 포장 주머니는 내열잉크가 밸브 길이 전체에 도포됨으로써 열접합선 및 열접합점을 형성함에 있어 위치적 제한이 덜하며 따라서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함으로 인해 생산성의 향상 및 불량 발생율을 낮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100)는 2장의 외부시트(105)(도 5 참조), 밸브(120)를 형성하는 2장의 내부시트(121)(도 5 참조), 공기주입관로(101)를 형성하는 제1 열접합선(131)과 제2 열접합선(132)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열접합선(132)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기 기둥(103)을 형성하는 제3 열접합선(133), 밸브(120)를 지나가는 공기의 진행경로를 길게 형성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제4 열접합선(134), 제2 열접합선(132)과의 사이에 2중 밀폐를 위한 가압공간(160)을 형성하는 제2 열접합부(152)를 포함한다. 2장의 내부시트(121)가 마주하는 면 중에서 어느 한 쪽 내부시트에 도포된 내열잉크(140)들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내열잉크(140)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제2 열접합선(132)을 기준으로 공기주입관로(101) 쪽에 위치한 2장의 내부시트(121)는, 내부시트(121)와 외부시트(105)가 각각 한 장씩 제1 열접합 점(141)에 의해 접합 고정된다.
여기에서, 제4 열접합선(134)들은 제3 열접합선(133)에 교차하게 형성되며 2장의 내부시트(121)와 어느 한 장의 외부시트를 열접합하여 밸브(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경로를 길게 구성한다. 이로써, 역방향으로 공기가 빠지는 것이 차단되어 밀폐성이 향상된다.
한편, 제2 열접합부(152)는 상기 제1 내지 제4 열접합선(131, 132, 133, 134) 보다 폭이 두껍게 형성한 열접합부위로서, 제3 열접합선(133)들 사이 간격보다는 좁은 길이를 가진다. 제2 열접합부(152)는 제2 열접합선(132)과 제4 열접합선(134)의 사이에 상기 제3 열접합선(133)과 교차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2 열접합선과 제2 열접합부(152)의 사이가 가압공간(160)이다. 제2 열접합부(152)는 2장의 외부시트(105)와 2장의 내부시트(121)를 열접합한다.
2장의 외부시트(105) 안에 2장의 내부시트(121)가 위치한 상태에서, 공기주입관로(101)는 평행하게 위치한 제1 열접합선(131)과 제2 열접합선(132)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 제2 열접합선(132)은 내부시트(121)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찍힌 내열잉크(140)들을 지나며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열접합선(131)은 2장의 외부시트(105)만을 접합한다.
이와 같이 제1 열접합선(131)과 제2 열접합선(132)을 따라 공기주입관로(101)가 형성되며, 공기주입관로(11)의 일측은 열접합되어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되며, 개방된 타측을 통해 공기가 주입된다. 한편, 제2 열접합선(132)에 의해 외부시트(105)와 내부시트(121)가 하나로 접합되지만, 내열잉크(140)가 도포된 지점은 접합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열접합부(152)는 제3 열접합선(133) 상에 교차하여 형성되는데, 제4 열접합선(134)과 제2 열접합선(132)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는 제 2 열접합부(152)가 제 2 열접합선(132)와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열접합부(152)가 제 2 열접합선(132)과 연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열접합부(152)는 이웃한 제3 열접합선(133) 상에 형성된 제2 열접합부(152)와는 떨어져 위치하여 공기 기둥(103)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2 통로(125B)를 형성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완충 포장 주머니에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과 주입한 후에 밸브를 나타낸 C-C'의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완충 포장 주머니의 공기주입관로(101)에 공기를 주입하였을 때에 공기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보이듯이, 공기주입기를 이용하여 제1 열접합선(131)과 제2 열접합선(132)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주입관로(101)로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는 공기주입관로(101)를 따라 주입되면서 공기주입관로(101)를 팽창시킨다.
이와 같이 공기주입관로(101)가 팽창하면, 2장의 내부시트(121))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제2 열접합선(132)을 넘어 제3 열접합선(133)들 사이의 밸브(120) 내부로 유입된다. 주입된 공기에 의해 2장의 외부시트(105)가 팽창하면서 제1 열접합점(141)(도 3 및 도 4 참조)에 의해 접합 고정된 각각의 내부시트(2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된다.
한편, 밸브(120) 즉 2장의 내부시트(121)의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열접합부(152) 사이의 제2 통로(125B)(도 5는 C-C'의 종단면도이므로 도 5에는 제2 통로(125B)가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한다. 그 후 공기는 제4 열접합선(134)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유동하다가 결국 밸브(120)를 통과해 공기 기둥(103) 안쪽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공기 기둥(103) 안쪽으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기둥(103)을 팽창시키면서 공기 기둥(103)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공기 기둥(103)이 팽창하게 되면 2장의 내부시트(121)는 제4 열접합선(134)에 의해 열접합된 어느 한 쪽 외부 시트에 밀착된다. 이 때 공기의 압력은 2장의 내부시트(121)가 열접합된 외부시트 방향으로 가압하여 밸브(120)를 폐쇄한다. 공기의 압력은 평편한 부위보다 제2 열접합부(152)가 형성된 위치의 바로 아래 부분에 형성되는 만곡된 부위에 집중되면서 1차적인 밀폐효과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공기 기둥(103)의 내부압력이 더욱 상승하면, 공기는 제2 열접합부(152)들의 제2 통로(125B)를 통해 가압공간(160) 안쪽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가압공간(160) 안쪽으로 유입된 공기는 가압공간(160) 내부에 위치한 2장의 내부시트(121)를 어느 한 쪽의 외부시트로 가압하여 2차적인 밀폐효과를 가져온다. 여기에서, 가압공간(160) 내부에 채워진 공기의 가압방향을 살펴보면, 팽창한 외부시트(105)의 평편한 부위를 가압하는 압력보다는 제2 열접합선(132)의 아래 및 제2 열접합부(152)의 위 부분과 같이 외부시트(105)가 열접합된 부위에 의해 팽창 만곡된 부분에 압력이 더 집중된다.
이는 평편한 부위보다 굴곡지게 만곡된 부위의 표면적이 더 넓어 압력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굴곡지게 만곡된 부위가 더 많을 수록 밀폐성은 더 우수해진다. 이와 같은 원리에서, 밸브(120) 부위가 공기에 의해 팽창함에 있어 제2 열접합부(152)는 공기의 압력이 집중되는 만곡된 부위를 더 형성함으로써,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즉, 완충 포장 주머니(100)는 제2 열접합부(152)가 형성됨에 따라 공기 기둥(103)에 채워진 공기가 제2 통로(125B)를 통과하기 이전에 즉, 제2 열접합부(152) 아래에서, 2장의 내부시트(121)를 어느 한 쪽의 외부시트로 1차 가압하여 밀폐하고, 공기가 제2 통로(125B)를 통과한 후 가압공간(160)에서 2장의 내부시트(121)를 어느 한 쪽의 외부시트로 2차로 가압하여 밀폐하여 2중 밀폐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2중 밀폐구조를 가짐에 따라 공기 기둥(103)에 채워진 공기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100)에는 2장의 내부시트(121) 중 어느 한 쪽 내부시트의 안쪽면 끝단에는 내열부재인 내열잉크(140)가 내부시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도포된다. 그리고 완충 포장 주머니(100)는 밸브(120)의 벌어짐이 원활하도록 형성한 제1 열접합부(151)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부시트의 길이방향이란 제3 열접합선(133)과 수직한 방향 즉, 공기기둥(133)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제1 열접합부(151)는 상기 제3 열접합선(133)과 대응하여 상기 제1 열접합선(131)과 제2 열접합선(132)의 사이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내열잉크(140)가 도포된 내부시트의 끝단부에 형성된다. 제1 열접합부(151)의 일부는 2장의 외부시트(105)를 열접합하고 제1 열접합부(151)의 다른 일부는 2장의 외부시트(105) 및 2장의 내부시트(121)를 열접합한다. 여기에서 제1 열접합부(151)들의 사이 간격을 '제1 통로(125A)'라 한다.
또한 내부시트(121)의 끝단에 내열잉크(140)가 연속적으로 도포되고 상기 내열잉크(140)를 따라 제2 열접합선(1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열잉크(140)를 따라 제2 열접합선(132)이 형성됨으로써, 제3 열접합선(133)이 제2 열접합선(132)의 어디 지점에라도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열잉크(140)에 의해 제3 열접합선(133)들 사이가 개방되어 제3 열접합선(133)이 형성하는 공기 기둥(103)의 내부로 공기 주입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의 제조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장의 외부시트(105)에 2장의 내부시트(121)가 위치되고, 2장의 내부시트(121)가 상기 1장의 외부시트(105)에 고정되도록 제4 열접합선(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다른 1장의 외부시트(105)를 2장의 내부시트(121)에 덮는다. 여기에서 내열잉크(140)는 겹쳐진 내부 시트의 안쪽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공기주입관로(101)가 형성된다. 공기주입관로(101)는 제1 열접합선(131)과 제2 열접합선(132)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열접합선(131)은 2장의 외부시트(105)만을 열접합하는 것으로 밸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열접합선(132)은 내열잉크(140)를 따라 연속적으로 제1 열접 합선(131)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때, 2장의 내부시트(121)는 내열잉크(140) 때문에 접합되지 않고, 외부시트(105)와 내부시트(121)끼리 접합된다.
이 상태에서 제3 열접합선(133), 제1 열접합부(151), 제2 열접합부(152)를 금형에 의해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 조건에 따라 각각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순번은 무관하다.
상기 제3 열접합선(133)은 제2 열접합선(13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밀폐된 공기 기둥(103)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내부시트(121)가 위치한 부위에 형성된 제3 열접합선(133)은 2장의 내부시트(121)와 2장의 외부시트(105)를 모두 열접합하며, 내부시트(121)가 위치하지 않은 부위에 형성된 제3 열접합선(133)은 2장의 외부시트만을 열접합한다. 내열잉크(140)가 위치한 부위에 형성된 제3 열접합선(133)은 내열잉크(140)로 인해 내부시트(121)와 외부시트(105)만을 접합시키고, 내부시트(121)끼리는 접합시키지 않는다.
한편, 제1 열접합부(151)는 제1 열접합선(131)과 제2 열접합선(132) 사이 즉 공기주입관로(101)에 형성되는데, 제3 열접합선(133)과 대응하여 내부시트(121)의 끝단 즉 내열잉크(140)가 도포된 끝단에 형성된다. 따라서 내열잉크(140) 안 쪽에 위치한 제1 열접합부(151)의 일부는 내부시트(121)와 외부시트를 열접합하고, 내부시트(121) 바깥쪽에 위치한 제1 열접합부(151)의 다른 일부는 외부시트(105)만을 열접합한다. 여기에서 제1 열접합부(151)들의 사이 간격이 제1 통로(125A)이다.
공기주입관로(101)의 일단은 폐쇄되고, 밸브(120)가 위치한 공기 기둥(103)의 입구 반대쪽인 타단은 폐쇄되어 밸브(120)를 통해 공기가 공기 기둥(103)으로 유입되면 공기 기둥(103)이 팽창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열접합부에 의한 공기주입관로의 팽창과 제1 통로의 벌어짐을 나타낸 B-B'단면도이다. 공기주입관로(101)가 팽창하면, 2장의 내부시트(121)는 각각 제1 열접합부(151)에 의해 외부시트(105)에 접합되어 2장의 내부시트(121)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제1 통로(125A)를 형성한다. 공기는 제1 통로(125A)를 통해 제2 열접합선(132)을 넘어 제3 열접합선(133)들 사이의 밸브(120) 내부로 유입된다. 제1 통로(125A)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1 통로(125A)가 팽창하는 방향과 밸브(120) 즉 2장의 내부시트(121)가 벌어지는 방향이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로(125A)가 장축이 단축보다 상대적으로 긴 타원형을 이루지 않고, 제1 열접합부(151) 사이의 팽창방향과 제1 통로(125A)의 벌어지는 방향이 동일하여 제1 통로(125A)가 거의 원형으로 벌어지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제1 통로(125A)에 가해지는 압력이 밸브(120)를 개방하는 압력을 작용하여 제1 통로(125A)에 의해 밸브(120)가 원활하게 개방된다.
앞에서 설명한 완충 포장 주머니의 구성 이외에 추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공기 기둥(103)의 길이방향 중간에는 열접합점(139)이 공기 기둥(103)의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열접합점(139)은 공기 기둥(103)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접이선 기능을 수행한다. 열접합점(139)은 한 공기 기둥(103) 당 한개 이상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한 공기 기둥(103) 당 2개 또는 3개의 열접합점(139)이 형성된다.
종래의 완충 포장 주머니(10)에서 접이선(17)은 공기 기둥(13)의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이선(17)은 공기 기둥(13) 내부의 공기가 통하도록 완전히 폐쇄하지 않고 공기 기둥(13)의 내부공간을 축소시킴으로써, 공기 기둥(13)이 접이선(17)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접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이선(17)은 공기 기둥(13)의 폭 중앙에 위치하여야 한다. 만약 한 쪽으로 치우치면 반대쪽의 내부공간이 넓어져 공기 기둥(13)을 접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접이선(17) 형성 시에 완충 포장 주머니(10)가 정위치에서 밀리게 되면, 접이선(17)이 공기 기둥(13)의 폭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한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100)에는 실질적으로 원형이 되도록 접합되는 열접합점(139)이 공기 기둥(103) 당 하나 이상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기둥(103) 당 2개의 열접합점(139)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열접합점(139)는 종래의 접이선(17)과 달리 많은 면적을 차지하지 않고 공기 기둥(103)에 형성되므로, 열접합점(139) 형성 시에 완충 포장 주머니(100)가 밀리더라도 공기 기둥(103) 내부공간을 보다 균일하게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접합점(139)에 의해 공기 기둥(103)이 용이하게 접이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크 장착된 완충 포장 주머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공기주입관로(101)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구조로서, 개방된 타측에 공기주입기를 삽입한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관로(101)의 양단을 폐쇄한 상태에서 공기주입관 로(101)에 대응하는 한 쪽의 외피시트(105)에 코크(170)를 형성하고 공기주입기를 코크(170)에 밀착한 상태에서 공기를 공기주입관로(101) 내부로 주입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충 포장 주머니의 밸브를 나타낸 A-A'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완충 포장 주머니에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과 주입한 후에 밸브를 나타낸 C-C'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포장 주머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열접합부에 의한 공기주입관로의 팽창과 제1 통로의 벌어짐을 나타낸 B-B'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크 장착된 완충 포장 주머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완충 포장 주머니 101 : 공기주입관로
103 : 공기 기둥 105 : 외부시트
120 : 밸브 121 : 내부시트
140 : 내열잉크 125A : 제1 통로
125B : 제2 통로 131~134 : 열접합선
151, 152 : 열접합부 139 : 열접합점
160 : 가압공간 170 : 코크

Claims (6)

  1. 마주하게 위치한 2장의 내부시트와,
    상기 2장의 내부시트의 바깥쪽에 각각 위치한 2장의 외부시트와,
    상기 2장의 내부시트 안쪽에 위치하며 어느 한 쪽의 내부시트에 도포된 내열부재와,
    공기주입관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2장의 외부시트를 열접합한 제1 열접합선과,
    상기 제1 열접합선과 간격을 두고 상기 내열부재를 따라 내부시트와 외부시트 끼리 열접합하는 제2 열접합선과,
    상기 공기주입관로의 반대편으로 상기 제2 열접합선에서 연장되어 공기 기둥을 형성하는 제3 열접합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열접합선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2장의 내부시트와 상기 2장의 외부시트를 열접합하는 제2 열접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열접합부와 상기 제2 열접합선 사이에 가압공간을 형성하며, 이웃한 다른 제3 열접합선에서 연장된 제2 열접합부와 떨어져 제2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 주머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열접합선들 사이의 간격보다 짧은 길이의 제4 열접합선들이 상기 제3 열접합선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4 열접합선은 상기 2장의 내부시트와 어느 한 외부시트를 열접합한 것으로, 상기 제2 열접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열접합선의 반대편 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 주머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부재는 내부시트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도포되며, 상기 제2 열접합선이 상기 내열부재를 따라 내부시트와 외부시트 끼리 열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 주머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관로에는 다수 개의 제1 열접합부가 상기 제3 열접합선과 각각 대응하게 형성되며 이웃한 제1 열접합부와 떨어져 제1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열접합부의 일부는 상기 2장의 외부시트를 열접합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외부시트와 내부시트끼리 열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 주머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기둥의 길이 중간에는 상기 공기 기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2장의 외부시트를 열접합하는 열접합점들이 한 공기 기둥 당 한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 주머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관로의 양단은 폐쇄되고, 상기 공기주입관로에 대응하는 어느 한 외부시트에 코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포장 주머니.
KR1020090074140A 2008-08-25 2009-08-12 가압공간이 형성된 완충 포장 주머니 KR101082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842 2008-08-25
KR20080082842 2008-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348A KR20100024348A (ko) 2010-03-05
KR101082452B1 true KR101082452B1 (ko) 2011-11-11

Family

ID=4172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140A KR101082452B1 (ko) 2008-08-25 2009-08-12 가압공간이 형성된 완충 포장 주머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15293A1 (ko)
KR (1) KR101082452B1 (ko)
WO (1) WO2010024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72B1 (ko) * 2013-07-22 2014-01-15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단일 공기 주입에 의하여 내(內)완충부와 외(外)완충부로 구성된 2중 완충 구조가 형성되는 포장백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US10011411B2 (en) 2015-01-16 2018-07-03 Papier-Mettler Kg Plastic pouch and plastic bag, in particular for online delivery trade
PL3045405T3 (pl) * 2015-01-16 2018-05-30 Papier-Mettler Kg Worek z tworzywa sztucznego i torba z tworzywa sztucznego, zwłaszcza do handlu wysyłkowego online
KR101752101B1 (ko) * 2016-09-13 2017-06-30 김호칠 단열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DE112018004870A5 (de) * 2017-08-29 2020-06-18 Bernd Fuchs Aufblasbare Folienanordnung
DE112018004813A5 (de) * 2017-08-29 2020-06-04 Bernd Dieter Fuchs Aufblasbare Folienanordnung
CN211996998U (zh) * 2020-01-15 2020-11-24 赣州市牧士电子有限公司 一种气柱包装袋
CN111439483A (zh) * 2020-05-12 2020-07-24 重庆新瑞丽包装印务有限公司 一种新型长效缓冲气柱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814Y1 (ko) 2001-02-13 2001-07-19 주식회사 더조은 배수구가 구비된 물백
JP2005170415A (ja) 2003-12-09 2005-06-30 Canon Inc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を用いた梱包方法
US7168566B2 (en) 2001-11-16 2007-0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profile inflatable package protection system
US20070186993A1 (en) 2006-02-10 2007-08-16 Hidetoshi Koyanagi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air-pac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904A (en) * 1987-08-25 1990-04-24 Pharo Daniel A Method for forming clam-like packaging system
US4793123A (en) * 1987-11-16 1988-12-27 Pharo Daniel A Rolled-up packaging system and method
US5240112A (en) * 1992-02-25 1993-08-31 Newburger Bronson E Evacuatable or inflatable plastic bag
US5853247A (en) * 1997-05-27 1998-12-29 Shroyer; John Bruce Sample bag container
US5772034A (en) * 1997-07-15 1998-06-30 Lin; Chih-Jen Bag assembly
US6253919B1 (en) * 1998-04-13 2001-07-03 Sealed Air Corporation Inflatable packing material
US6283296B1 (en) * 1998-12-29 2001-09-04 Air Packaging Technologies, Inc. Quilted inflatable packaging device
JP2005162268A (ja) * 2003-12-03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緩衝用包装材
TWM252680U (en) * 2004-03-01 2004-12-11 Camry Packing Ind Ltd Air packing bag having film valve
TWI288730B (en) * 2006-03-03 2007-10-21 Chian-Hua Liao Continuous inflatable air tight enclos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200808624A (en) * 2006-08-15 2008-02-16 Yao-Sin Liao Air tight enclosure body with lateral cushions
TW200815249A (en) * 2006-09-29 2008-04-01 Yao-Sin Liao Air enclosure with strengthened air-tightness function
TW200819362A (en) * 2006-10-20 2008-05-01 Yao-Sin Liao Multi-sectioned air seal body and reverse flow prevention valv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814Y1 (ko) 2001-02-13 2001-07-19 주식회사 더조은 배수구가 구비된 물백
US7168566B2 (en) 2001-11-16 2007-0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profile inflatable package protection system
JP2005170415A (ja) 2003-12-09 2005-06-30 Canon Inc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を用いた梱包方法
US20070186993A1 (en) 2006-02-10 2007-08-16 Hidetoshi Koyanagi Structure of check valve for air-pac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4499A1 (en) 2010-03-04
KR20100024348A (ko) 2010-03-05
US20100215293A1 (en)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452B1 (ko) 가압공간이 형성된 완충 포장 주머니
KR101084301B1 (ko) 연속형 내열부재가 형성된 완충 포장 주머니
JP5354552B2 (ja) 自然にエアバルブを開く気体密封シート
JP4300244B2 (ja) 独立式の二層エアチャンバーを持つエアシール体
JP5535371B2 (ja) 気体進入口を自動的に開く吹き込み式気体密封シート
CN101357705B (zh) 逆向止气阀及带有该逆向止气阀的空气密封装置
KR20080104297A (ko) 에어-패킹 장치용의 체크 밸브의 구조체
JP2008127104A (ja) ギャップ孔型の空気弁を有するエアーシールとギャップ孔型の空気弁
JP6038891B2 (ja) 空気セル緩衝材
JP5511098B2 (ja) 逆止弁
JP2005162268A (ja) 緩衝用包装材
KR100491204B1 (ko) 주입식 완충포장재 및 제조방법
KR100947501B1 (ko) 완충 포장 주머니
JP2005162269A (ja) 緩衝用包装材
KR20090111643A (ko) 완충 포장 주머니
JP5022429B2 (ja) 自然にエアバルブを開く気体密封シート
US9724902B2 (en) Air-sealed body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ir valve
KR20090105721A (ko) 완충 포장 주머니
KR20090082034A (ko) 공기기밀성을 강화한 공기밀봉체 및 그 체크밸브장치
JPH01153829A (ja) 独立気室連設の気体袋
TW201121848A (en) Continuous inflation type airtight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111627A (ko) 중간 개방식 밸브를 구비한 완충 포장 주머니
KR20090120690A (ko) 공기주입코크를 구비한 완충 포장 주머니
KR20090120655A (ko) 멀티 포인트가 형성된 완충 포장 주머니
KR200397243Y1 (ko) 풍선용 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