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325B1 -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325B1
KR101382325B1 KR1020130021302A KR20130021302A KR101382325B1 KR 101382325 B1 KR101382325 B1 KR 101382325B1 KR 1020130021302 A KR1020130021302 A KR 1020130021302A KR 20130021302 A KR20130021302 A KR 20130021302A KR 101382325 B1 KR101382325 B1 KR 101382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door
weather strip
pressu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325B1/ko
Priority to US14/099,578 priority patent/US9051767B2/en
Priority to DE102013114559.0A priority patent/DE102013114559B4/de
Priority to CN201310744684.1A priority patent/CN10400563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7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changes in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of roller-blind type made of rig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5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railway-c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가 개시된다.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부착된 도어 웨더스트립,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과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차체 웨더스트립,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스위치,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과 상기 압력 스위치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공압 라인, 상기 압력 스위치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 및 상기 공압 라인을 대기압과 연통시키거나 대기압으로부터 차단시키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과정에 물체나 승객의 끼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Sliding door device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과정에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물체나 승객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은 대형 상용차량에서는 많은 승객이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차체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차체에 구비된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되게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와, 이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공압실린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이 마이크로 스위치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공압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러 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상기 도어 개구부를 막아 주는 도어 닫힘 작동 과정에 슬라이딩 도어와 도어 개구부 사이의 공간에 물체나 승객이 끼일 경우에 물체나 승객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 안전 닫힘 기능을 구현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도어 안전 닫힘 기능은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작동 과정에 물체나 혹은 승객이 슬라이딩 도어와 도어 개구부 사이의 공간에 끼이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다시 역방향, 즉 도어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켜 물체나 승객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물체나 승객의 끼임을 감지하는 방식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충격 완화 및 기밀 유지를 위해 부착된 도어 웨더스트립 내부의 압력 변화를 이용한다. 즉 물체나 승객이 끼일 경우에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에 압력이 가해져서 압력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도어 웨더스트립 내부의 압력 변화를 압력스위치를 매개로 감지하여 물체나 승객의 끼임을 판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시에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압착에 의한 오작동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의 소정 구간, 예를 들면 슬라이딩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의 30mm 이전 구간에서는 슬라이딩 도어에 승객의 옷이나 가방 끈과 같은 물체나 혹은 승객의 신체 부위가 끼여도 이를 무시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작동이 계속되어 물체에 손상을 주거나 승객에게 상해를 입힐 염려가 있었다.
그리고 경사로에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기 이전에 슬라이딩 도어가 자중에 의해 먼저 닫혀서 마이크로 스위치가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을 제대로 감지할 수 없게 되는 오감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통한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인지 시점을 도어 닫힘 완료 시점보다 소정 간격 이전, 예를 들면 30mm 이전으로 세팅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의 30mm 구간에서는 슬라이딩 도어에 승객의 옷이나 가방 끈과 같은 물체나 혹은 승객의 신체 부위가 끼여도 이를 무시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작동이 계속되어 물체에 손상을 주거나 승객에게 상해를 입힐 염려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물체나 승객의 끼임을 감지하는 방식은, 주변 온도의 변화에 따라 도어 웨더스트립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어 오작동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도어 웨더스트립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의 압력, 예를 들면 4.5kgf 이상의 압력이 감지될 경우에만 물체나 승객의 끼임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두께와 폭이 예를 들면 30 X 60mm 이하의 물체나 혹은 승객의 신체 일부 부위가 끼이게 될 경우에 압력이 낮아서 이를 감지하지 못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작동이 계속해서 진행되어 물체에 손상을 주거나 승객에게 상해를 입힐 염려가 있고, 승객이 슬라이딩 도어에 끼인 상태에서 자동차가 주행하여 인명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 슬라이딩 도어와 차체의 도어 개구부 사이에 물체나 승객이 끼일 경우에 슬라이딩 도어를 다시 개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부착된 도어 웨더스트립,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과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차체 웨더스트립,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스위치,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과 상기 압력 스위치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공압 라인, 상기 압력 스위치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 및 상기 공압 라인을 대기압과 연통시키거나 대기압으로부터 차단시키는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될 때에 상기 공압 라인을 상기 대기압과 연통되게 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힐 때에는 상기 공압 라인을 상기 대기압으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 의해 온 혹은 오프 작동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완료를 감지한 후에 수 초가 경과한 뒤에는 상기 압력 스위치를 통해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도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은 상기 홀더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는 기저부,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중공 폐단면을 구비한 탄성 밀봉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 밀봉부보다 더 외측으로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중공 폐단면을 가지고서 상기 압력 스위치와 상기 공압 라인을 통해 연결된 압력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체 웨더스트립은 차체에 형성되는 도어 개구부에 장착되는 기저부,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도어 개구부의 내부를 향해 일체로 돌출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에 중공 폐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상기 탄성 밀봉부와 밀착하는 탄성 밀봉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상기 압력 센싱부와 소정 갭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갭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갭 유지부는 상기 차체 웨더스트립의 폭 방향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상기 압력 센싱부의 내부 압력의 변화를 상기 압력 스위치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내부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공압실린더, 상기 공압실린더의 작동력을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전달하도록 상기 공압실린더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연결하는 작동 링크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안내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과정에 물체나 승객이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폭이 작고 두께가 얇은 물체가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끼이더라도 용이하게 빼낼 수 있어서 물체의 손상 및 승객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물체나 승객이 끼이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능력이 향상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 안정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웨더스트립과 차체 웨더스트립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과정에 물체가 도어 웨더스트립과 차체 웨더스트립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과정에 두께가 얇은 물체가 도어 웨더스트립과 차체 웨더스트립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과정에 두께가 얇은 물체가 도어 웨더스트립과 차체 웨더스트립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차체에 장착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0)은 L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고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20)의 상부에는 2개의 롤러(21)가 장착되어, 상기 2개의 롤러(21)가 각각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정해진 궤적으로 안내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20)는 대체로 직사각 패널 형상을 갖는다.
도 1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20)는 차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도어 개구부를 닫아서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20)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슬라이딩 도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어 웨더스트립(22)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20)의 도어 웨더스트립(22)에 대응하여 차체의 도어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도 차체 웨더스트립(30)이 부착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20)가 이동하여 차체의 도어 개구부를 폐쇄하게 되며,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과 차체 웨더스트립(30)이 서로 밀착되어, 차실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20)를 이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공압실린더(40)가 사용된다. 상기 공압 실린더(40)는 차체의 적절한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공압실린더(40) 이외에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다른 적절한 동력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압실린더(4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20)에 작동 링크(42)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20)에는 상기 작동 링크(42)가 끼워져서 이동되는 가이드 브래킷(24)이 슬라이딩 도어(20)의 다른쪽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상기 작동 링크(42)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압실린더(40)가 전진 혹은 후퇴 운동을 할 때에 상기 작동 링크는 상기 공압실린더(40)로부터 운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운동을 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20)를 당기거나 밀어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공압 라인(50)이 도어 웨더스트립(22)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공압 라인(50)에는 압력 스위치(52)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이 외력을 받아 형상 및 체적 변화를 일으켜서 그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면, 상기 압력 스위치(52)가 도어 웨더스트립(22)의 변화된 내부 압력을 상기 공압 라인(50)을 통해 감지하게 된다.
상기 압력 스위치(52)는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의 내부 압력이 예를 들면 단위 면적당 1.0±0.5kgf일 때에 스위칭 되고, 그 스위칭 신호를 전자제어유니트(ECU)에 입력하도록 전자제어유니트(ECU)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의 내부 압력은 다른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웨더스트립(22)의 주변 온도가 상승하여, 도어 웨더스트립(22)의 내부 온도 및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압력 스위치(52)는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도어 웨더스트립(22)의 내부 압력 상승에 기인한 오감지 신호를 전자제어유니트(ECU)에 입력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압 라인(50)에 개폐밸브(54)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밸브(54)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54)는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CU)의 제어신호에 따라 그 온 혹은 오프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54)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20)가 개방 작동될 때에 온 되어 상기 공압 라인(50)을 개방시키고, 이에 따라 도어 웨더스트립(22)의 내부가 대기압과 연통되어 대기압으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주변 온도 상승에 따라 도어 웨더스트립(22)의 온도 및 압력 상승으로 인한 상기 압력 스위치(52)의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20)가 닫힘 작동될 때에는 상기 개폐밸브(54)는 오프 되어, 상기 공압 라인(50)이 대기압으로부터 차단되면서 기밀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도어 웨더스트립(22)의 내부의 압력 변화를 상기 압력 스위치(52)가 원만하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20)가 닫힘 작동을 하는 과정에 물체나 승객이 슬라이딩 도어(20)와 도어 개구부 사이에 끼이게 될 경우에,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이 물체나 승객에 의해 압축 변형 되면서 도어 웨더스트립(22) 내부의 압력이 상승한다.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 내부의 압력이 예를 들면 단위 면적당 1.0kgf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압력 스위치(52)가 스위칭 작동되어 그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CU)에 입력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CU)는 상기 압력 스위치(52)의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공압실린더(40)의 작동을 제어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20)가 도어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동되게 하여, 슬라이딩 도어(20)의 닫힘 작동 과정에 물체나 승객이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공압실린더(40)에는 슬라이딩 도어(20)의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46)가 설치된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6)는 상기 작동 링크(42)의 회동량 혹은 상기 공압실린더(40)의 스트로크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20)의 닫힘을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20)의 닫힘 작동 과정에 승객이나 물체가 끼이지 않고 정상적으로 닫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6)는 스위칭 작동되어 그 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CU)에 입력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CU)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6)의 입력 신호를 근거로 슬라이딩 도어(20)의 닫힘 완료를 판단한다.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CU)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6)의 입력 신호를 근거로 슬라이딩 도어(20)의 닫힘 완료를 판단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예를 들면 몇 초가 경과된 이후에 상기 압력 스위치(54)로부터 스위칭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CU)는 상기 압력 스위치(54)의 스위칭 신호를 무시하여, 슬라이딩 도어(20)를 개방시키지 않는다.
자동차가 주행 중 혹은 정차 중에 온도 상승으로 인해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20)의 개방을 금지하기 위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 및 차체 웨더스트립(30)의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슬라이딩 도어(20)의 한쪽 가장자리에 도어 웨더스트립(22)이 브래킷 혹은 홀더(26)와 같은 적절한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은 상기 홀더(26)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는 기저부(22a)와, 상기 기저부(22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중공 폐단면을 가진 압력 센싱부(22b) 및, 상기 기저부(22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중공 폐단면을 가진 탄성 밀봉부(22c)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압력 센싱부(22b)는 상기 탄성 밀봉부(22c)보다 슬라이딩 도어(20)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압력 센싱부(22b)는 상기 공압 라인(50)을 통해 상기 압력 스위치(52)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차체(32)에 형성된 도어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도 상기 차체 웨더스트립(30)이 적절한 홀더(34)를 매개로 고정되게 부착된다.
상기 차체 웨더스트립(30)은 상기 홀더(34)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는 기저부(30a)와, 상기 기저부(30a)로부터 상기 도어 개구부의 내부를 향해 일체로 돌출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에 중공 폐단면이 형성된 탄성 밀봉부(30b)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20)가 상기 도어 개구부를 완전히 밀봉하도록 닫히면, 상기 차체 웨더스트립(30)의 탄성 밀봉부(30b)에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의 탄성 밀봉부(22c)가 밀착되어, 차실 내부를 밀봉하게 된다.
상기 차체 웨더스트립(30)에는 슬라이딩 도어(20)가 완전히 닫혔을 때에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의 압력 센싱부(22b)의 선단면과 소정 갭(G)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갭 유지부(30c)가 구비된다.
상기 갭 유지부(30c)는 상기 차체 웨더스트립(30)의 폭 방향을 따라 대체로 평탄하게 형성된다.
상기 갭 유지부(30c)는 슬라이딩 도어(20)가 완전히 닫혔을 때에 도어 웨더스트립(22)이 차체 웨더스트립(30)에 의해 가압되어, 도어 웨더스트립(22)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갭(G)은 바람직하기로 30mm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차체 웨더스트립(30)의 갭 유지부(30c)와 도어 웨더스트립(22)의 압력 센싱부(22b)가 적절히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20)가 닫히는 과정에 슬라이딩 도어(20)의 도어 웨더스트립(22)과, 차체의 도어 개구부에 설치된 차체 웨더스트립(30) 사이에, 예를 들면 폭이 30mm 이하의 물체(60)나 혹은 승객의 신체 부위가 끼이게 되면,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의 압력 센싱부(22b)와 상기 차체 웨더스트립(30)의 탄성 밀봉부(30b) 사이에 상기 물체(60)가 끼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 센싱부(22b)는 상기 물체(6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 변형 되면서 내부의 압력 변화를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압력 변화는 상기 압력 스위치(52)를 통해 감지되게 된다.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CU)는 상기 압력 스위치(52)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공압실린더(40)를 작동시켜 상기 슬라이딩 도어(20)가 개방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도어(20)의 닫힘 과정에 폭이 좁은 물체(60)나 승객이 끼일 염려가 없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20)가 닫히는 과정이나 혹은 완전히 닫혔을 때에 슬라이딩 도어(20)의 도어 웨더스트립(22)과, 차체의 도어 개구부에 설치된 차체 웨더스트립(30) 사이에 가방 끈이나 혹은 핸드백 끈과 같은 폭이 좁고 두께가 얇은 물체(62)가 끼일 경우에, 상기 물체(62)는 도어 웨더스트립(22)의 압력 센싱부(22b)와 차체 웨더스트립(30)의 갭 유지부(30c)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압력 센싱부(22b)를 가압하게 되며, 상기 압력 센싱부(22b)는 상기 물체(62)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 변형되면서 내부의 압력 변화를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상기 압력 스위치(52)를 통해 감지되게 된다.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CU)는 상기 압력 스위치(52)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공압실린더(40)를 작동시켜 상기 슬라이딩 도어(20)가 개방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도어(20)의 닫힘 과정에 폭이 좁은 물체(62)가 끼일 염려가 없으며, 물체의 끼임 감지 능력도 향상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도어(20)가 닫히는 과정이나 혹은 완전히 닫혔을 때에 슬라이딩 도어(20)의 도어 웨더스트립(22)과 차체의 도어 개구부에 설치된 차체 웨더스트립(30) 사이에 두께가 얇은 천 등과 같은 물체(64)가 끼일 경우에, 상기 물체(64)를 빼내기 위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22)과 차체 웨더스트립(30)의 매칭 특성으로 인해 상기 물체(64)가 도어 웨더스트립(22)과 차체 웨더스트립(30) 사이에서 차실 외측으로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가이드레일 20: 슬라이딩 도어
22: 도어 웨더스트립 30: 차체 웨더스트립
40: 공압실린더 42: 작동 링크
50: 공압 라인 52: 압력 스위치
54: 개폐밸브 60, 62, 64: 물체

Claims (9)

  1.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부착된 도어 웨더스트립;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과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차체 웨더스트립;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스위치;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과 상기 압력 스위치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공압 라인;
    상기 압력 스위치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 및
    상기 공압 라인을 대기압과 연통시키거나 대기압으로부터 차단시키는 개폐밸브;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될 때에 상기 공압 라인을 상기 대기압과 연통되게 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힐 때에는 상기 공압 라인을 상기 대기압으로부터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 의해 온 혹은 오프 작동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완료를 감지한 후에 수 초가 경과한 뒤에는 상기 압력 스위치를 통해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도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은
    상기 홀더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는 기저부,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중공 폐단면을 구비한 탄성 밀봉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 밀봉부보다 더 외측으로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중공 폐단면을 가지고서 상기 압력 스위치와 상기 공압 라인을 통해 연결된 압력 센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웨더스트립은
    차체에 형성되는 도어 개구부에 장착되는 기저부;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도어 개구부의 내부를 향해 일체로 돌출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에 중공 폐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상기 탄성 밀봉부와 밀착하는 탄성 밀봉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상기 압력 센싱부와 소정 갭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갭 유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갭 유지부는 상기 차체 웨더스트립의 폭 방향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상기 도어 웨더스트립의 상기 압력 센싱부의 내부 압력의 변화를 상기 압력 스위치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내부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9. 제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공압실린더;
    상기 공압실린더의 작동력을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전달하도록 상기 공압실린더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연결하는 작동 링크;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안내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20130021302A 2013-02-27 2013-02-27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382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302A KR101382325B1 (ko) 2013-02-27 2013-02-27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US14/099,578 US9051767B2 (en) 2013-02-27 2013-12-06 Sliding door device for motor vehicle
DE102013114559.0A DE102013114559B4 (de) 2013-02-27 2013-12-19 Schiebetür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201310744684.1A CN104005634B (zh) 2013-02-27 2013-12-30 用于机动车辆的滑动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302A KR101382325B1 (ko) 2013-02-27 2013-02-27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325B1 true KR101382325B1 (ko) 2014-04-17

Family

ID=5065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302A KR101382325B1 (ko) 2013-02-27 2013-02-27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51767B2 (ko)
KR (1) KR101382325B1 (ko)
CN (1) CN104005634B (ko)
DE (1) DE102013114559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728A (ko) 2017-11-29 2019-06-07 에스엘 주식회사 도어 끼임 방지 시스템
KR20200110503A (ko) * 2019-03-13 2020-09-24 한국자동차연구원 차량 도어 끼임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6593B2 (ja) * 2014-12-18 2018-07-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の制御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US10392852B1 (en) 2015-11-25 2019-08-27 Gentleman Door Automation LLC Automatic door operator
KR20180126184A (ko) * 2017-05-17 2018-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비접촉식 전력 전달 구조
JP2020001652A (ja) * 2018-07-02 2020-01-09 日立金属株式会社 挟み込み検知装置
CN109025612A (zh) * 2018-08-10 2018-12-18 广州华夏职业学院 一种窗户、其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7202881B2 (ja) * 2018-12-26 2023-01-1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ドア駆動装置
CN114179597A (zh) * 2021-07-05 2022-03-15 金湖县华明客车门系统有限公司 一种带有防夹功能的气动大巴塞拉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375A (ja) * 1997-03-11 1998-09-22 Sensor Technol Kk 自動車のパワーウインドウの制御装置
JPH11222036A (ja) * 1998-02-03 1999-08-17 Toyota Auto Body Co Ltd 電動スライドドア用タッチセンサ
JP2002070418A (ja) 2000-08-31 2002-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挟み込み検出装置及び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1229A (en) * 1963-06-19 1964-12-15 Koppers Co Inc Seal configuration for folding partition
DE1755761C3 (de) 1968-06-19 1979-09-06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Kraftfahrzeugtürabdichtung
US3916567A (en) * 1974-08-26 1975-11-04 Vapor Corp Obstruction sensor for pneumatic door operator
US4773183A (en) 1986-02-28 1988-09-27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ontact sensitive control apparatus
US5191268A (en) * 1991-08-26 1993-03-02 Stanley Home Automation Continuously monitored supplemental obstruction detector for garage door operator
DE9406445U1 (de) 1994-04-18 1994-06-30 Huber+Suhner Ag Schutzeinrichtung für die Schließkanten von kraftbetätigten Vorrichtungen
US5728984A (en) * 1996-11-20 1998-03-17 Miller Edge, Inc. Sensing safety edge systems
JPH10169316A (ja) 1996-12-11 1998-06-23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開閉部材の開閉状態検知装置
DE19701681C1 (de) * 1997-01-18 1998-04-23 Webasto Tuersysteme Gmbh Dichtungssystem für eine Tür, vorzugsweise an einem Fahrzeug
KR19990051043A (ko) 1997-12-19 1999-07-05 양재신 버스 슬라이딩 도어의 웨더스트립 구조
JP3853958B2 (ja) 1998-02-20 2006-12-06 アスモ株式会社 挟み込み検出装置
JP2001001886A (ja) * 1999-06-18 2001-01-09 Hitachi Ltd 扉の開閉制御方式
GB2358220B (en) * 1999-10-05 2003-05-28 Manganese Bronze Components Lt Detection of obstruction of doors
KR100470630B1 (ko) * 2002-11-02 2005-02-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슬라이딩 도어 개폐시스템
JP2008019570A (ja) * 2006-07-11 2008-01-31 Nissan Motor Co Ltd 開閉制御装置
KR101897059B1 (ko) 2011-08-22 2018-09-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및 라이트 유닛
KR101371488B1 (ko) * 2012-12-06 2014-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427939B1 (ko) * 2012-12-10 2014-08-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375A (ja) * 1997-03-11 1998-09-22 Sensor Technol Kk 自動車のパワーウインドウの制御装置
JPH11222036A (ja) * 1998-02-03 1999-08-17 Toyota Auto Body Co Ltd 電動スライドドア用タッチセンサ
JP2002070418A (ja) 2000-08-31 2002-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挟み込み検出装置及び開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728A (ko) 2017-11-29 2019-06-07 에스엘 주식회사 도어 끼임 방지 시스템
KR20200110503A (ko) * 2019-03-13 2020-09-24 한국자동차연구원 차량 도어 끼임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528085B1 (ko) 2019-03-13 2023-05-03 한국자동차연구원 차량 도어 끼임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114559A1 (de) 2014-08-28
US20140237898A1 (en) 2014-08-28
DE102013114559A8 (de) 2016-05-19
CN104005634B (zh) 2017-06-09
US9051767B2 (en) 2015-06-09
DE102013114559B4 (de) 2024-01-25
CN104005634A (zh)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325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371488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US10696147B2 (en) Pressurized sealing systems for vehicle closure members
WO2015030043A1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及び車両用開閉システム
US45791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 closure gap
US9334684B2 (en)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CN104975781A (zh) 用于机动车的电动门系统
US9790727B2 (en) Vehicle opening/closing body control device and opening/closing system for vehicle
CN108369054B (zh) 冷藏和/或冷冻设备
KR101588505B1 (ko)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 및 차량
CN207080077U (zh) 一种客车用双防夹系统
CN106427755A (zh) 冷藏箱及装设有该冷藏箱的冷藏车
CN102963444A (zh) 用于减少车辆客厢内的抖振状况的系统和方法
CN203755880U (zh) 一种客车行李舱门与车门联动控制装置及具有其的客车
CN207633928U (zh) 公交车门泵压力防夹系统
CN210366506U (zh) 一种高速电梯
JP4962347B2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ウガラスの昇降制御方法
CN104852290A (zh) 一种使用液压驱动的电气开关柜
JP7387861B2 (ja) 鉄道車両の側引戸制御装置
KR102029661B1 (ko) 승강장안전문 안전바
KR20070117814A (ko) 자동 개폐 장치 및 그 개폐 방법
KR101997280B1 (ko)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KR20190001756A (ko) 단면이 변형되는 차량의 도어 웨더스트립 어셈블리
JP2003013666A (ja) 車両用電動開閉体の自動開閉装置
CN105113898A (zh) 一种公共汽车防被夹安全车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