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505B1 -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 및 차량 - Google Patents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505B1
KR101588505B1 KR1020137017413A KR20137017413A KR101588505B1 KR 101588505 B1 KR101588505 B1 KR 101588505B1 KR 1020137017413 A KR1020137017413 A KR 1020137017413A KR 20137017413 A KR20137017413 A KR 20137017413A KR 101588505 B1 KR101588505 B1 KR 10158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ane
vehicle
window
seat belt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892A (ko
Inventor
토르스텐 짜바데
랄프 보른크레버
미하엘 비스트라흐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08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60R21/01546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using belt buckle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5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related to specific positions
    • E05Y2400/356Intermediate positions
    • E05Y2400/358Intermediate positions in the proximity of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converti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윈도우 페인은 상태 신호를 수신한 후에 차량 도어 바디 내의 윈도우 리프터에 의해 출발 위치로부터 규정된 거리만큼 하강한다. 상태 신호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 벨트 버클의 작동에 의해 트리거된다. 시트 벨트 버클이 신호 송출을 위해 이용됨으로써, 차량 조작자 또는 차량 승객이 차량을 떠나고자 하는 것이 확실시될 때, 바람직하게 윈도우 페인은 규정된 거리 만큼만 하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 및 차량{METHOD FOR LOWERING A WINDOW PANE,AN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 및 청구항 제5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방법 및 장치들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차량 도어에 포함된 도어 프레임에 윈도우 페인이 배치되지 않은 무프레임 차량 도어의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러한 무프레임 차량 도어의 경우에,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 윈도우 페인의 상부 가장자리 영역에서 밀봉 문제가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영역에서 윈도우 페인은 밀봉부와 함께 작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종래의 차량 도어에서 상기 밀봉부는 차량 도어의 프레임에 배치된다. 무프레임 차량 도어의 경우에 상기 밀봉부는 차체에 배치되므로, 윈도우 페인의 밀봉 폐쇄를 위해, 상기 윈도우 페인은 도어의 폐쇄 후에 차체에 배치된 밀봉부 내로 이동되어야 한다. 또한, 윈도우 페인은 차량 도어의 폐쇄 전 및 개방 전에 차체측에 배치된 밀봉부의 영역으로부터 나와서 규정된 거리 만큼 이동되어야 한다. 단행정이라고도 하는 이러한 이동은 선행기술에서 다양한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된다.
DE 103 38 767 A1호에는 전동식으로 상승 및 하강갈 수 있는 윈도우 페인, 작동 부재, 특히 차량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도어 핸들을 구비한 차량 도어용 도어 윈도우 제어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고, 이 경우 도어 개방시마다 윈도우 페인은 단행정 만큼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근접 센서가 제공되고 및/또는 작동 부재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가 배치된다. 조작자가 작동 부재에 접근 시 또는 조작자가 작동 부재에 접촉 시 터치 센서에 의해 단행정 요구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DE 10 2008 014 520 A1호에는 도어 바디 내의 윈도우 리프터에 의해 하강할 수 있는 윈도우 페인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가 공지되어 있다. 차량 도어의 개방 과정 시 출발 위치로부터 단행정 만큼 윈도우 페인의 규정된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하강은 전자 액세스 인가 시스템의 플로우 센서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또한, 현대식 차량에서, 시동키가 차량의 시동 록에서 분리되면, 윈도우 페인으로부터 단행정 트리거 신호가 송출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조작자가 머지않아 차량을 떠날 것임을 신호화 한다. 전자 액세스 인가 시스템이 장착된 최신식 차량에서, 차량의 작동을 위한 시동키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에는 소위 스타트/스탑 버튼이 제공되고, 상기 버튼에 의해 엔진이 시동되고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을 위해, 그러나 이러한 차량을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라도, 윈도우 페인 리프터 장치에 대한 시그널링을 위한 다른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개선된 방법, 시트 벨트 버클 과 차량 도어를 포함하는 개선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 및 청구항 제5항에 따른 시트 벨트 버클과 차량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라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이 제안되고, 상기 윈도우 페인은 상태 신호를 수신한 후에 차량 도어 바디 내의 윈도우 리프터에 의해 규정된 거리만큼 하강한다. 이 경우, 상태 신호는 시트 벨트 버클의 작동에 의해 트리거된다. 시트 벨트 버클이 시그널링을 위해 이용됨으로써, 바람직하게 차량 조작자 또는 다른 차량 승객이 차량을 떠나고자 하는 것이 확실시될 때, 윈도우 페인이 규정된 거리만큼만 하강하는 것이 달성된다. 이 경우 각각의 시트 벨트 버클은 시트 벨트 버클에 가장 가까운 윈도우 페인을 위한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므로, 시트 벨트 버클에 가장 가까이 있는 윈도우 페인만이 하강한다. 또한, 엔진이 스위치 오프되고 운전자 시트의 시트 벨트 버클이 상태 신호 "개방됨"을 송출하는 경우에도, 모든 윈도우 페인은 단행정만큼 하강할 수 있다. 윈도우 페인이란 본 발명과 관련해서 특히 측면 윈도우 페인이고, 상기 윈도우 페인은 차량 도어 바디에서 즉, 차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고 측면에서 차량 객실에 대한 출입을 제한하는 차량 도어 부분에서 하강할 수 있다. 출발 위치로부터 하강된 위치에 이르는 규정된 거리는, 본 발명에 따라 윈도우 페인의 상부 가장자리가 차체에 배치된 밀봉 부재에 대해 접촉하지 않는 간격을 갖도록 치수 설계된다. 상기 간격은 바람직하게 4 mm이다. 윈도우 페인이 출발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거리는 8 mm 내지 30 mm이다. 시트 벨트 버클의 작동이란 본 발명과 관련해서 시트 벨트 버클의 작동 부재, 특히 버튼 부재의 작동에 의해 트리거된 시트 벨트 버클로부터 시트 벨트 텅의 릴리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태 신호는 제어 장치에 전송된다. 이러한 조치는, 제어 장치에서 다수의 상태 신호들이 처리될 수 있고, 상태 신호들의 상호 관계에 의존하여 제어 신호가 송출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어 장치에 개방된 시트 벨트 버클 및 예를 들어 어린이 안전으로 인해 폐쇄된 도어의 상태 신호들이 전송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장치는 제어 신호에 의한 단행정 하강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는 윈도우 리프터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간접적으로 윈도우 리프터에 송출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윈도우 리프터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된다. 또한, 제어 신호는 윈도우 페인의 상승을 담당하는 차량 부품들, 예를 들어 윈도우 리프터가 단행정 하강 전에 릴리스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단행정 하강은 신속하게 그리고 적은 에너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 신호란 본 발명과 관련해서 수신된 상태 신호의 처리 후에 제어 장치에 의해 다른 차량 부품들에 송출된 신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윈도우 리프터는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윈도우 리프터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제어 장치에 의해 처리된 상태 신호에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이한 상태 신호들에 따라 이동 또는 단행정 이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트리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차량에 시트 벨트 버클 및, 윈도우 페인을 구비한 차량 도어가 제공되고, 상기 윈도우 페인은 차량 도어 바디 내의 윈도우 리프터에 의해 출발 위치로부터 규정된 거리 만큼 하강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 벨트 버클은 윈도우 페인의 하강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에 적합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조치에 의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윈도우 페인의 단행정 하강을 개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차량 부품인 시트 벨트 버클을 이용하는 차량이 제공된다. 이는, 또한 차량 내의 부품들이 단행정 하강을 위해 이용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치는 추가 차량 부품을 절감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시트 벨트 버클에 센서 또는 스위칭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시트 벨트 버클 내에서 시트 벨트 텅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센서는 용량성 센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시트 벨트 버클의 상태가 확실하게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위칭 수단은 콘택 스위치로서 형성된다. 콘택 스위치란 본 발명과 관련해서 2개의 도전성 물질들 또는 하나의 반도체 소자에 의해 도전 접속을 형성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모든 어셈블리이다. 콘택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시트 벨트 버클의 상태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 경우 콘택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란 개방된 상태에서 최소 간격만을, 바람직하게 3 mm보다 작은 간격을 갖는 콘택들을 포함하는 전기 스위치이다.
도 1은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과 관련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차량 도어(3) 및, 차량 도어 바디(5)에서 하강할 수 있는 윈도우 페인(7)을 포함하는 차량(1)을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윈도우 페인(7)은 폐쇄된 상태에서 밀봉 부재(9) 내에 배치되고, 차량 도어(3)의 개방 및 폐쇄 시 단행정 거리만큼 밀봉 부재(9)로부터 나와서 하강해야 한다. 차량 도어(3)는 무프레임으로 형성되므로, 밀봉 부재(9)는 차체에 배치된다. 윈도우 페인(7)의 하강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위해, 차량(1)은 차량 시트(11)의 영역에 및 여기에서 주행 방향으로 볼 때 차량 시트 면(13)의 후방 영역에 시트 벨트 버클(15)을 갖는다. 시트 벨트 버클(15)은 적어도 간접적으로 제어 장치(19)에 상태 신호를 전송하는데 적합한 수단으로서 마이크로 스위치(17)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스위치(17)가 개방되고 시트 벨트 버클(15) 즉, "시트 벨트 버클 개방"에 대한 상태 신호가 생성되는 즉시 즉,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시트 벨트의 도시되지 않은 시트 벨트 텅이 시트 벨트 버클(15)로부터 빼내져서 이동되는 즉시, 제어 장치(19)에 개방된 상태가 보고된다. 제어 장치(19)는 이러한 경우에 윈도우 리프터(21)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윈도우 리프터는 윈도우 페인(7)을 규정된 거리만큼 밀봉 부재(19)로부터 빼내 하강시킨다. 윈도우 리프터(21)는 전동식 부품들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들은 윈도우 페인(7)의 자동 하강에 적합하다. 단행정 하강이 이루어진 후에, 제어 장치(19)는 밀봉 부재(9) 내에 윈도우 페인이 위치하는 폐쇄된 상태로 윈도우 페인을 이동시키기 위해, 차량 도어(3)가 개방되고 폐쇄되었음을 신호화 하는 신호를 기다리거나 또는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상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1 차량
3 차량 도어
5 차량 도어 바디
7 윈도우 페인
9 밀봉 부재
11 차량 시트
13 차량 시트 면
15 시트 벨트 버클
17 마이크로 스위치
19 제어 장치
21 윈도우 리프터

Claims (8)

  1. 윈도우 페인(7)의 작동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상태 신호를 수신한 후, 차량 도어 바디(5) 내의 윈도우 리프터(21)에 의해 출발 위치로부터 규정된 거리만큼 윈도우 페인(7)을 하강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상태 신호는 시트 벨트 버클(15)의 작동에 의해 트리거되고, 상기 규정된 거리는 윈도우 페인(7)의 상부 가장자리가 윈도우 페인(7)이 위치된 차량 도어 위에 배열된 밀봉 부재(9)에 대하여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치수설계되는, 윈도우 페인(7)을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윈도우 페인(7)을 하강시킨 후, 상기 차량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되었음을 알리는 제 2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상태 신호를 수신한 후, 윈도우 페인(7)이 밀봉 부재(9) 내에 놓일 때까지 윈도우 페인(7)을 상승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페인의 작동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 신호는 제어 장치(19)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페인의 작동을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9)는 윈도우 리프터(21)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페인의 작동을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리프터(21)는 상기 제어 장치(19)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페인의 작동을 위한 방법.
  5. 시트 벨트 버클(15) 및, 윈도우 페인(7)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3)를 구비한 차량(1)으로서, 상기 윈도우 페인은 차량 도어 바디(5) 내의 윈도우 리프터(21)에 의해 출발 위치로부터 규정된 거리만큼 하강할 수 있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 도어(3) 내에 배치된 밀봉 부재(9)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규정된 거리는 윈도우 페인(7)의 상부 가장자리가 밀봉 부재(9)와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치수설계되고,
    윈도우 페인(7)은 시트 벨트 버클(15)의 개방 상태에 기초하여 하강되고,
    차량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윈도우 페인(7)은 밀봉 부재 내에 놓일 때까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벨트 버클(15)에 센서 또는 스위칭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는 콘택 스위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콘택 스위치로서 형성된 상기 스위칭 부재는 마이크로 스위치(17)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37017413A 2010-12-24 2011-12-23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 및 차량 KR101588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56226A DE102010056226A1 (de) 2010-12-24 2010-12-24 Verfahren zum Absenken einer Fensterscheibe und Kraftfahrzeug
DE102010056226.2 2010-12-24
PCT/EP2011/006541 WO2012084260A1 (de) 2010-12-24 2011-12-23 Verfahren zum absenken einer fensterscheibe und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892A KR20130088892A (ko) 2013-08-08
KR101588505B1 true KR101588505B1 (ko) 2016-01-25

Family

ID=4577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413A KR101588505B1 (ko) 2010-12-24 2011-12-23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 및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40047B2 (ko)
EP (1) EP2655774B1 (ko)
KR (1) KR101588505B1 (ko)
CN (1) CN103270236B (ko)
DE (1) DE102010056226A1 (ko)
WO (1) WO2012084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2739B3 (de) 2012-11-21 2013-10-31 Audi Ag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Antriebseinrichtung einer Fensterpositionier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einer Fensterscheibe eines Fahrzeugs, und dafür geeignete Steuervorrichtung
US9556661B2 (en) * 2014-11-18 2017-01-31 Ford Global Technologies, Pllc Frameless-door window operating system
US10135854B2 (en) * 2015-04-07 2018-11-20 Informatica Ll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generating a data proliferation graph
DE102016007357A1 (de) * 2016-06-15 2017-1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einrichtung mit einer bewegbaren Fensterscheibe,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Kraftfahrzeug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Kraftfahrzeugeinrichtung
CN106555522B (zh) * 2016-10-11 2019-03-22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车门控制方法和系统
US10533362B2 (en) 2017-06-16 2020-0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emory and touch position window
CN113605806B (zh) * 2021-09-16 2023-08-01 上海洛轲智能科技有限公司 无框车门玻璃的升降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1485A (ja) * 1982-09-30 1984-04-07 Aisin Seiki Co Ltd 車上電動装置の駆動制御装置
DE3301071A1 (de) * 1983-01-14 1984-07-19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absenken und anheben einer fensterscheibe einer kraftfahrzeugtuer
JPH05139245A (ja) * 1991-11-20 1993-06-0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3194468B2 (ja) * 1995-05-29 2001-07-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DE19836761C1 (de) * 1998-08-13 1999-07-22 Brose Fahrzeugteil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Bewegung einer Fensterscheibe einer mit einer Schließvorrichtung ausgestatteten Kraftfahrzeugtür
US6472836B1 (en) * 1998-09-22 2002-10-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Method and arrangement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and regulating the movement of an electrically operated aggregate of a motor vehicle
JP3730807B2 (ja) * 1999-05-21 2006-01-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水没検知パワーウインド装置
JP3809987B2 (ja) * 1999-05-21 2006-08-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水没検知パワーウインド装置
DE10113318C1 (de) * 2001-03-20 2002-08-29 Conti Temic Microelectronic Verfahren zum Betrieb der elektrischen Fensterheber eines Kraftfahrzeugs
JP3804583B2 (ja) * 2002-06-27 2006-08-02 株式会社デンソー 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US20040124972A1 (en) * 2002-12-27 2004-07-01 Lear Corporation Window anti-pinch and intrusion alarm
DE10338767A1 (de) 2003-08-23 2005-03-17 Daimlerchrysler Ag Türscheibensteuerungssystem
DE102004018610A1 (de) * 2004-04-16 2005-11-03 Dr.Ing.H.C. F. Porsche A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Verstellantriebes mit Einklemmschutz für elektrisch betätigte Fenterscheiben in Kraftfahrzeugen
DE102005041029B4 (de) * 2005-08-23 2007-09-06 Prettl, Rolf Gurtschloss für Sicherheitsgurte
US20070285218A1 (en) * 2006-06-09 2007-1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ccupant abandonment sensor for automotive vehicles
DE102006049223A1 (de) * 2006-10-18 2008-04-30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der Bewegung einer Fensterscheibe und Steuerungssystem für einen motorisch betriebenen Fensterheber
DE102007025517A1 (de) * 2007-05-31 2008-12-0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
DE102008014520A1 (de) 2008-03-15 2008-11-06 Daimler Ag Fahrzeugtür mit einer Fensterscheibe
GB201004472D0 (en) * 2010-03-17 2010-05-05 Trysome Ltd Door glass over-closing
DE102010025503B4 (de) * 2010-06-29 2013-11-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Ansteuerverfahren für einen elektrischen Fensterheber
US8708396B2 (en) * 2010-11-30 2014-04-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lass index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892A (ko) 2013-08-08
DE102010056226A1 (de) 2012-06-28
CN103270236A (zh) 2013-08-28
EP2655774B1 (de) 2016-08-17
WO2012084260A1 (de) 2012-06-28
US20130283692A1 (en) 2013-10-31
EP2655774A1 (de) 2013-10-30
CN103270236B (zh) 2016-06-22
US9140047B2 (en)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505B1 (ko)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 및 차량
US8727060B1 (en) Pyrotechnic window breaker
KR101533483B1 (ko) 차량의 폐쇄 요소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20150283886A1 (en) Power door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150325066A1 (en) Safety system for a motor vehicle door, comprising at least two sensors
CN109488150B (zh) 用于调节车辆部件的调节设备和方法
JP4506803B2 (ja) 車両用窓ガラス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02029879B (zh) 具有可变阈值的车辆防夹控制与方法
JP6486559B2 (ja) 水平方向の係止を有するデュアルヒンジクロージャ
US11879279B2 (en) Motorized door leaf handle for a motor vehicle
CN109281556B (zh) 用于检测封闭件的未闭锁状况的系统及方法
KR101761160B1 (ko)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US75019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entry into or out of a motor vehicle
US20180345910A1 (en) Device to break ice accumulation around convertible windows by using vibrations
US20210372170A1 (en) Optional actuatoric door opening support for a vehicle
US20230323727A1 (en) Assembly of a vehicle with a control element arranged on a vehicle door
CN207728207U (zh) 公交车车门智能控制系统
US20220195759A1 (en) Multi-sensor module, a handle module, and movable vehicle element
US20070063527A1 (en) Movable body opening and closing control apparatus
JP4935512B2 (ja) スライドドアの挟み込み防止構造
EP1054128A2 (en) Safety arrangement for vehicle doors
JP4003214B2 (ja) パワースライドドア用安全装置
KR20180067987A (ko) 버스의 승객 도어 끼임 방지 장치
JP2008105456A (ja) 乗員脱出支援装置
JP5625789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