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824B1 -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824B1
KR101381824B1 KR1020120091002A KR20120091002A KR101381824B1 KR 101381824 B1 KR101381824 B1 KR 101381824B1 KR 1020120091002 A KR1020120091002 A KR 1020120091002A KR 20120091002 A KR20120091002 A KR 20120091002A KR 101381824 B1 KR101381824 B1 KR 101381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l
terminal
home network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684A (ko
Inventor
홍승우
Original Assignee
모빌토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빌토크(주) filed Critical 모빌토크(주)
Publication of KR2013004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아파트나 가정에 설치된 월 패드 등의 홈 네트워크 기기에 에이디(AD)변환장치를 추가하여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와 디지털 통신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과 도시형 생활 주택을 위한 홈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으로, 현관 단말기로부터 아날로그로 입력되는 영상 또는 음향이 포함된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출력할 수 있는 에이디변환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현관 단말기와 통신하는 월 패드 등의 홈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 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를 통해서 현관 단말기를 이용하는 방문객과 영상 또는 음향의 전송을 하는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HOME-NETWORK EQUIPMENT, ANALOG-DIGITAL CONVERTING APPARATUS USING HOME-NETWORK EQUIPMENT AND COMMUNICATION CONTROLLING METHOD OF HOME-NETWORK EQUIPMEN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아파트나 가정에 설치된 월 패드 등의 홈 네트워크 기기에 에이디(AD)변환장치를 추가하여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와 디지털 통신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과 도시형 생활 주택을 위한 홈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아파트나 가정에서는 현관에 설치된 현관 단말기와의 통신을 하기 위해 실내에 월 패드 등의 홈 네트워크 기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월 패드와 현관 단말기의 구성 및 통신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관 단말기에는 마이크, 스피커, 카메라 및 초인종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정 가정을 방문하기 위한 방문객이 초인종을 누르면, 마이크, 스피커 및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월 패드와 통신이 이루어진다.
월 패드는 영상출력부, 스피커, 마이크 및 정보입력부 등이 포함되고 있으며, 현관 단말기에서 초인종이 눌리면, 영상출력부, 스피커 등이 활성화되고, 현관 단말기와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즉, 현관 단말기를 통해서 방문객이 초인종을 누르면, 현관 단말기는 월 패드와의 통신을 통해 가정 내의 사용자가 방문객과 음성통신을 할 수 있으며, 현관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월 패드의 영상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월 패드를 통해 방문객이 누구인지 음성과 영상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월 패드에서는 사용자가 가정 내에 있는 경우에는 방문객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월 패드를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방문객의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더욱이, 도시형 생활주택, 소규모 아파트 및 원룸 등의 새로운 소규모 주거시장에서도 월 패드와 같은 홈 네트워크 기기의 사용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소규모 주택에서는 다양한 기능이 첨가된 홈 네트워크를 사용하기에는 고사양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인해 고가의 홈 네트워크 기기를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에도, 집에 방문한 방문객이 누구인지를 확인하고, 방문객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통신 월 패드는, 사용자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 입력부; 현관에 설치된 현관 단말기로부터 영상 또는 음향이 포함된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입력부; 상기 정보 입력부 및 아날로그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 및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정보 처리부; 상기 정보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에 포함된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통신하여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에이디변환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기; 및 상기 컨버터 및 통신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외출모드에 대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방지하고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만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외출모드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도,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외출모드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부에서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고,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상기 정보 입력부에서 상기 출력부의 출력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면,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통신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외부 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에서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수신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받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디지털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의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는, 현관에 설치된 현관 단말기로부터 영상 또는 음향이 포함된 아날로그 신호를 건물 내에 설치된 홈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기; 및 상기 컨버터 및 통신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신기는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홈 네트워크 기기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홈 네트워크 기기가 외출모드로 설정된 경우, 홈 네트워크 기기에서의 출력을 방지하고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만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는 홈 네트워크 기기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홈 네트워크 기가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홈 네트워크 기기에서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영상 또는 음향의 출력에 대한 응답신호가 입력되면,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통신을 중단하도록 상기 통신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외부 디지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홈 네트워크 기기에서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은, 현관에 설치된 현관 단말기 측에서 영상 또는 음향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면, 건물 내에 설치된 홈 네트워크 기기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4단계에서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가 서버에 등록된 정보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3단계에서 변환되는 디지털 신호는 H.263, H.264, G.711, MPEG-2, MPEG-4, JPEG 및 G721 코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4단계에서의 외부 디지털 단말기로부터 현관문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5단계; 및 상기 5단계에서 입력된 현관문의 제어신호에 따라 현관문을 제어하는 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4단계에서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는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단말기는 다수 개이고, 상기 4단계에서 전송하는 디지털 신호는 상기 다수 개의 디지털 단말기 모두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다수 개의 디지털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서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여 전송된 디지털 신호가 수신되는 5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디지털 단말기와 현관 단말기의 통신을 연결하는 6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디지털 단말기 중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디지털 단말기로 상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취소신호를 전송하는 7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는 가정의 홈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는 월 패드와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에이디변환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디지털 단말기가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의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다운받아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에 구비된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스위치가 눌리면,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는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다운받아 펌웨어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는 상기 월 패드로부터 모델정보를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다운받아 펌웨어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신호에는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가 설치된 세대정보, 에이디변환 통신장치 일련번호 및 월 패드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현관 단말기와 통신하는 월 패드 등의 홈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 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를 통해서 현관 단말기를 이용하는 방문객과 영상 또는 음향의 전송을 하는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디지털 통신이 가능해진 홈 네트워크 기기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디지털 통신을 통해 외부의 스마트 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와 홈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가의 홈 네트워크 기기를 도입하기 어려운 소규모 주택 등에는 저사양의 홈 네트워크 기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추가로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어, 고가의 홈 네트워크 기기와 동일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을 대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디지털 단말기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에 디지털 단말기를 등록하기 위한 예시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단지서버가 외부서버와 유동IP로 연결된 경우에 본 발명의 디지털 통신 방법에 대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단지서버의 유동IP가 변경되었을 때, 디지털 단말기에 저장된 유동IP를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에이디변환 통신부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에 다수의 디지털 단말기가 설치되어 현관 단말기와 통신하는 흐름을 예시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에 추가적으로 디지털 단말기를 등록하기 위한 것을 예시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세대 간 통신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를 이용하여 등록된 디지털 단말기와 다른 세대 간 통신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세대에 등록된 디지털 단말기 간 통신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기기를 이용하여 현관 단말기와 세대에 등록된 디지털 단말기 간 통신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이디변환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는 정보 입력부(110), 아날로그 신호입력부(120), 정보 처리부(130), 출력부(140) 및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는 월 패드(100)인 것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입력부(110)는 월 패드(10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가 입력되는 곳으로, 키패드일 수도 있고,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아날로그 출력을 위한 영상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면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다.
아날로그 신호입력부(120)는 현관에 설치된 현관 단말기(200)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곳으로, 이때의 아날로그 신호에는 영상이나 음향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현관 단말기(200)의 경우에는 가정의 현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아파트의 경우, 건물의 외부에 설치된 단말기일 수도 있다.
여기서, 현관 단말기(200)는 공동 현관(로비), 세대 현관 및 경비실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정보 처리부(130)는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거나 아날로그 신호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곳이다. 정보 처리부(130)에 처리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서 처리를 하여,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이때, 처리하는 아날로그 신호에는 정지영상(사진 등)이나 동영상 등의 영상 및 음향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정보처리부에서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에 포함된 영상이나 음향을 출력하는 곳으로, 디스플레이장치나 스피커 등이 될 수 있다. 이때의 디스플레장치는 현관 단말기(200)에서 촬영된 영상이 아날로그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영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아날로그 신호에 입력된 음향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는 아날로그 신호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400)와 통신을 한다.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는 스마트폰이나 영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이면 되고, 그 이외에 디지털 통신이 가능한 PC, 노트북이나 PDA 등이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단말기(400)에는 화상카메라와 마이크가 포함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디지털 통신 월 패드(100)에 포함되는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는 모듈화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는 컨버터(152), 제어기(154) 및 통신기(156)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는 모듈화되어 본 발명의 월 패드(100)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기존의 아날로그 신호가 입출력되는 월 패드(100)에 장착하여 디지털 통신 월 패드(100)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는 아날로그 신호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데, 아날로그 신호에 포함된 영상과 음향을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영상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는 H.263, H.264, G.711, MPEG-2, MPEG-4, JPEG 코덱 등의 코덱을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음향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는 G.711 또는 G721 코덱 등의 코덱을 이용하여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한다.
제어기(154)는 컨버터(152)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도록 제어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의 서버(300)와 디지털 단말기(400)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통신기(156)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기(154)는 CPU,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으며, 임베디드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어 디지털 신호의 처리와 함께 컨버터(152)와 통신기(156)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정보 중에서 본 발명의 디지털 통신 월 패드(100)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었는지에 대해서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서 확인이 이루어지며, 외출모드로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다.
이때, 제어기(154)는 사용자에 의해 월 패드(100)가 외출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월 패드(100)의 출력부(140)에서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통신기(156)를 통해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로만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에서만 현관 단말기(20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월 패드(100) 및 통신기(156)를 제어한다.
그리고 월 패드(100)가 외출모드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어기(154)는 월 패드(100)의 출력부(140)에서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통신기(156)를 통해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도록 월 패드(100)와 통신기(156)를 제어한다. 이는 사용자가 월 패드(100)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출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이때, 월 패드(100)에 사용자에 의해 영상 또는 음향의 출력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면, 제어기(154)는 이를 감지하여 통신기(156)에서 전송하던 디지털 신호를 중단한다. 혹은 사용자가 디지털 단말기(400)에 수신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디지털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응답을 하면, 디지털 단말기(400)는 응답신호를 통신기(156)로 전송하고 이를 제어기(154)가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기(154)는 월 패드(100)에서 출력되던 영상 또는 음향의 출력을 중단한다.
즉, 월 패드(100)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지 않으면, 제어기(154)는 월 패드(100)와 디지털 단말기(400)에서 동시에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는 이때 월 패드(100)와 디지털 단말기(4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응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은 다른 하나에서는 더 이상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과정의 신호의 전달흐름을 보면, 에이디변환 통신부(15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아날로그 신호입력부(12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될 때, 정보 처리부(130)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우선적으로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렇게 전달된 신호를 통해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서는 디지털 통신 월 패드(100)의 모드가 외출모드인지를 확인하고, 이후의 과정이 처리된다. 이에 대해서는 월 패드(100)를 이용한 디지털 통신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통신기(156)는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와 통신을 위해 구비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통신기(156)의 경우에는 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선의 경우에는 wifi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에이디변환 통신부(150)가 컨버터(152), 제어기(154) 및 통신기(1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나, 통신기(150)가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월 패드(100)를 이용하여 디지털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법에 대해서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한다.
방문자가 가정 등을 방문하여 현관에 설치된 현관 단말기(200)의 초인종을 누르면 현관 단말기(200)에서는 아날로그 신호가 발생하여 가정에 설치된 월 패드(100)로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월 패드(100)에서는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된다(S301). 그러면 월 패드(100)의 정보 처리부(130)에서는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로 전송하고,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서는 월 패드(100)가 외출모드로 설정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302).
단계 S302에서 월 패드(100)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301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S303).
단계 S303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은 단계 S301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에 포함된 영상과 음향에 대해 동시에 이루어지며, 영상은 H.264 코덱을 이용하고, 음향은 G.711 코덱을 이용하여 각각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S304). 물론, 이때 사용하는 코덱은 H.263, H.264, G.711, MPEG-2, MPEG-4, JPEG 및 G721 코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코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로 직접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서버(300)를 거쳐 서버(300)에서 사용자 등록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S305). 여기서, 서버(300)는 프록시 서버 및 레지스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서는 프록시 서버에 인바이트(invite)를 요청하는데, 이때, 월 패드(100)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인바이트와 함께 프록시 서버로 전송되어 디지털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진다(S304). 그러면 프록시 서버는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레지스터 서버에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로 응답함으로써, 사용자 등록정보 확인이 이루어진다(S305).
단계 S305를 통해 사용자 등록정보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면,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서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외부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여(S306), 월 패드(100)와 디지털 단말기(400) 간의 통신 이루어진다.
단계 S302에서 외출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기(154)는 월 패드(100)에서는 아날로그 신호에 포함된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과 동시에 단계 S303 단계 S306에서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한다(S313). 그런 다음, 제어기(154)는 디지털 단말기(400)와 월 패드(100) 중 어느 쪽에서 출력된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지를 확인한다(S314).
단계 S314에서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로부터 디지털 신호 출력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디지털 단말기(400)와 현관 단말기(200) 간의 통신을 연결한다(S315). 그런 다음 월 패드(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또는 음향이 더 이상 출력되지 않도록 중지한다.
단계 S314에서 월 패드(100)로부터 출력된 영상 또는 음향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어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기(154)는 이를 수신하고, 월 패드(100)와 현관 단말기(200) 간의 통신을 연결한다(S325). 그런 다음,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로 전송하던 디지털 신호를 중지한다(S326).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월 패드(100)에서 디지털 단말기(400) 측으로 최초 디지털 신호가 전송되면, 디지털 단말기(400)에서는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통해 현관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영상과 음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단말기(400)는 월 패드(100)를 통해 현관 단말기(200) 측으로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월 패드(100)는 현관 단말기(200)와 디지털 단말기(400)를 중계하여 서로 간에 통신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아파트나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현관 단말기(200)와 월 패드(100) 간의 통신을 넘어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400)가 현관 단말기(200)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월 패드(100)가 중계하기 때문에 외출 시에 방문객이 방문을 하더라도 누가 방문을 확인했는지를 사용자는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월 패드(100)가 현관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를 확장하여, 가정 내의 다양한 전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 예로, 아파트의 공동현관문 제어, 조명, 가스 및 온도 조절기 등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월 패드(100)를 이용한 디지털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등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의 등록은 스마트폰 등의 외부 디지털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등록을 할 수도 있고, 인터넷을 통한 등록도 가능할 것이다.
먼저,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고,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외부 디지털 단말기 등을 이용한 웹페이지 주소 접속이나, 월 패드(100)에 포함된 QR코드 등을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인식하면(S401), 디지털 단말기(400)는 서버(300)의 등록 페이지로 접속이 이루어진다(S402). 그러면, 디지털 단말기(400)의 화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도면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접속된 등록 페이지에 월 패드(100)에 포함된 일련번호와 함께 사용자의 주소, 이름, 디지털 단말기(400)의 시리얼 넘버 등의 고유번호 및 디지털 단말기(400)의 전화번호와 함께 월 패드(100) 제조사와 모델명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S403).
PC 등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과정에서도 도 5에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화면이 PC에 디스플레이되어 단계 S403에서와 같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디지털 단말기(400)를 월 패드(100)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서버(300)에 등록이 이루어지고, 월 패드(100)가 서버(300)로 인터넷에 연결되면, 서버(300)에서는 월 패드(100)로 본 발명의 디지털 통신방법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월 패드(100)로 전송하고(S404), 월 패드(100)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됨으로써, 등록이 완료된다.
이렇게 상기와 같이, 정상적으로 등록이 완료되면, 월 패드(100)에서는 디지털 단말기(400) 측으로 신호를 전송하고(S405), 이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단말기(400)는 영상 또는 음향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S406). 이때, 디지털 단말기(400)에서의 알림은 LCD나 LED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벨 소리 등을 통해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알리 수 있다. 그럼으로써, 사용자는 월 패드(100)의 등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400)에서 직접 등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등록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정보의 경우에도, 주소, 이름, 디지털 단말기(400)의 시리얼 넘버 등의 고유번호 및 디지털 단말기(400)의 전화번호 등만으로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월 패드(100)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월 패드(10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디지털 변환장치의 경우에도, 디지털 변환장치에 별도의 LCD 등의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그렇기에 기존의 아날로그 월 패드(100)에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는, 웹을 이용하여 PC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월 패드(100)를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월 패드(100)를 등록하기 위해 서버(300)에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접속을 하고, 해당 웹 페이지에 월 패드(100)의 일련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주소, 이름, 시리얼 넘버 등의 고유번호 및 디지털 단말기(400)의 전화번호 등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이후 등록과정은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400)의 등록과정과 동일하고, 등록이 완료되면, 등록 웹 페이지에서 등록완료에 대한 팝업 등으로 사용자에게 등록완료를 알린다.
한편,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가정 등에서는 유동 IP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때 서버(300)가 재부팅되는 등의 이유로 서버(300)에 등록된 월 패드(100)를 재설정을 할 필요가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서버(300)는 일정 이상의 월 패드(100)와 통신하여 관리하는 단지서버(310) 및 이러한 단지서버(310)와 통신하는 외부서버(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단지서버(310)가 재부팅 등의 됨에 따라 단지서버(310)에 등록된 디지털 단말기(400)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 단지서버(310)에서는 등록된 사용자의 디지털 단말기(400)의 고유번호나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재설정을 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디지털 단말기(400) 측으로 갱신된 IP 주소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월 패드(100)는 단지서버(310)에 사설고정 IP로 연결되어 되어 있으며, 단지서버(310)는 외부서버(320)와 유동 IP로 연결된 경우이다.
이런 경우, 현관 단말기(200) 등에서 디지털 단말기(400)로 전화가 오면, 월 패드(100)에서 이를 수신하고(S601), 이를 단지서버(310)로 전화 수신에 대한 신호를 사설고정 IP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602). 그리고 서버(300)에서는 사설고정 IP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유동 IP로 변환을 하고(S603), 이를 이용하여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400) 측으로 전화 수신에 대한 통화 연결을 알린다(S604).
그리고 사용자는 디지털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을 하면, 그에 따라 디지털 단말기(400)에서는 통화 연결요청에 따른 응답을 단지서버(310)에 포함된 프록시 서버 측으로 전송한다(S605). 그러면, 프록시 서버는 월 패드(100)로 연결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연결 완료 신호를 전송함(S606)으로써, 월 패드(100)와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400)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통상 통화연결을 위해서는 신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을 거쳐 세션을 유지하는데, 단지서버의 IP주소가 변경되면 신호가 유지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사용자 인증을 거칠 수 없다. 그러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서버(310)의 IP 주소가 변경된 경우, 단지서버(310)는 외부서버(320)로 갱신된 IP를 전송하고(S701), 외부서버(320)에서는 외부서버(320)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단말기(400) 측으로 갱신된 단지서버(310)의 IP주소를 알린다(S702). 그러면, 디지털 단말기(400)에서는 외부서버(320)로부터 수신한 단지서버(310)의 갱신된 IP주소를 저장하고(S703), 디지털 단말기는 단지서버로 갱신된 IP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한다(S704). 그러므로 단지서버(310)의 유동 IP주소가 갱신되는 경우에도 아무런 문제없이 단지서버(310)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기존의 월 패드(100)에 별도로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를 설치할 때에는 월 패드(100)의 제조사에 설정이 펌웨어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8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를 설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독립적으로 전원구동이 가능한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그 중 첫 번째 방법으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 부착된 QR코드 등의 이차원 코드를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400)로 촬영(S801)하여 해당 에이디변환 통신부(400)의 등록페이지에 접속한다(S802). 그리고 접속된 등록페이지에 에이디변환 통신부(400)의 모델정보 및 일련번호 등을 입력(S803)한 다음, 에이디변환 통신부(400)의 등록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804). 이 상태에서 에이디변환 통신부(400)에 전원을 공급하면(S805), 에이디변환 통신부(400)는 서버(300)에 모델정보 및 일련번호를 서버(300)로 전송한다(S806). 그러면 서버(300)에서는 디지털 단말기(400)에서 수신된 등록정보와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서 수신된 등록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에이디변환 통신부(150) 측으로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파일을 전송하고(S807),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서는 펌웨어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S808). 이때,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는 재부팅이 되면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를 펌웨어 업데이트하는 두 번째 방법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 DIP 스위치가 구비된 경우이다. 사용자가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해 DIP 스위치를 누른 다음(S811),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 전원을 키면(S812),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는 서버(300)로 모델정보 및 일련번호를 전송한다(S813). 그러면 서버(300)에서는 전송된 모델정보 및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로 전송하고(S814),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서는 펌웨어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S815).
세 번째 방법은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디변환 통신부(150)가 월 패드(100)와 연동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 전원을 키면(S821),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는 월 패드(100)로 월 패드(100)에 대한 모델 정보를 요청한다(S822). 이렇게 하여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는 월 패드(100)로부터 모델 정보를 수신하고(S823), 수신된 월 패드(100)의 모델정보와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의 일련번호를 서버(300)로 전송한다(S824). 서버(300)에서는 수신된 월 패드(100) 모델정보와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의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펌웨어 업데이트 설치파일을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로 전송하고(S825),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서는 펌웨어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S826).
다음으로, 다수의 디지털 단말기(400)가 에이디변환 통신부(150)가 장착된 월 패드(100)에 등록된 경우에 대해 도 9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디지털 단말기(400)를 월 패드(100)에 등록할 수 있으며, 월 패드(100)에 등록될 수 있는 디지털 단말기(400)는 다수 개가 될 수 있다. 즉, 한 세대에 속한 세대원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무선 전화기 및 일반 PC 등의 디지털 단말기(400)를 하나의 월 패드(100)에 등록시켜 월 패드(100)에서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각 디지털 단말기(400)에서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그 중 하나의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 로비나 경비실 등에서 특정 세대와 통신을 하기 통신요청을 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현관 단말기(200)에서 세대로 통신요청을 하면, 이 통신요청 신호는 에이디변환 통신부(150), 월 패드(100), 무선 전화기로 동시에 전달된다(S901). 그러면 세대원은 월 패드(100)나 무선 전화기를 통해 현관 단말기(200)와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는 수신된 통신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전달한다(S902). 그러면 서버(300)는 등록된 다수의 디지털 단말기(400)로 전달된 통신요청 신호를 다시 전달한다(S903). 각 디지털 단말기(400)는 서버(300)로부터 통신요청 신호가 전달되면, 세대원에게 알리기 위해 벨이 울린다. 이 중 제2디지털 단말기(400b)에서 통신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을 하면, 응답신호는 제2디지털 단말기(400b)에서 서버(300)로 전송된다(S904). 그리고 서버(300)는 수신된 응답신호를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로 전달하고(S905),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는 전달된 응답신호를 다시 현관 단말기(200)로 전달한다(S906). 이렇게 함으로써, 현관 단말기(200)와 제2디지털 단말기(400b)는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때, 서버(300)는 제2디지털 단말기(400b)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제1디지털 단말기(400a)와 제3디지털 단말기(400c) 측으로 취소신호를 전송한다(S907). 이는 제1디지털 단말기(400a) 및 제3디지털 단말기(400c)에서 울리던 벨이 더 이상 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제1디지털 단말기(400a) 및 제3디지털 단말기(400c) 측으로 제2디지털 단말기(400b)에서 응답신호가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현관 단말기(200)는 에이디변환 통신부(150)로부터 응답신호가 전달되면, 월 패드(100) 및 무선 전화기 측으로 취소신호를 전송하여(S908), 월 패드(100) 및 무선 전화기에서 울리던 벨이 더 이상 울리지 않도록 한다. 이때도 역시, 제2디지털 단말기(400b)에서 응답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현관 단말기(200)에서 송신된 통신요청 신호는 통신이 가능한 월 패드(100), 무선전화기, 제1디지털 단말기(400a), 제2디지털 단말기(400b) 및 제3디지털 단말기(400c)로 모두 전송되어, 각각에서 벨이 울린다. 이 중 어느 하나에서 응답이 이루어지면, 나머지에서는 더 이상 벨이 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관 단말기(200)와 에이디변환 통신부(150)까지의 통신은 아날로그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며, 에이디변환 통신부(150)에서 월 패드(100), 무선 전화기, 서버(300), 제1디지털 단말기(400a), 제2디지털 단말기(400b) 및 제3디지털 단말기(400c) 사이에서는 디지털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버(300)에 디지털 단말기(400)를 추가적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이나 PC 등에서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 등의 인증절차를 거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이곳에서 스마트폰을 추가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 이외에도 다른 디지털 단말기(400)를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에이디변환 통신부(150)가 설치된 월 패드(100)에 다수의 디지털 단말기(4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세대와 세대 간 통신을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세대와 B세대 간의 월 패드(100A, 100B)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일례로, A세대와 B세대가 통신하기 위해 월 패드A(100A)에서 B세대의 호수 등을 이용하여 B세대를 호출하면, 월 패드A(100A)에서 에이디변환 통신부A(150A)를 거쳐 서버로 해당 신호가 전달된다. 서버(300)로 전달된 신호는 다시 에이디변환 통신부B(150B)를 거쳐 월 패드B(100B)로 해당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월 패드B(100B)에서는 벨이 울리고, B세대의 세대원이 응답을 하면, 월 패드A(100A)와 월 패드B(100B)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세대의 스마트폰이나 PC 등의 디지털 단말기A(400A)에서 B세대의 월 패드B(100B)를 호출하면, 서버(300)는 디지털 단말기A(400A)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에이디변환 통신부B(150B)를 거쳐 월 패드B(100B)로 호출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월 패드B(100B)에서는 벨이 울리고, B세대원이 응답하면, 디지털 단말기A(400A)와 월 패드B(100B)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때, 에이디변환 통신부B(150B)는 서버(300)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월 패드B(100B)로 전송하고, 월 패드B(100B)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서버(300) 측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디지털 단말기A(100A)는 스마트폰일 수 있고, 카메라가 설치된 PC나 태블릿 PC일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세대의 디지털 단말기A(400A)와 B세대의 디지털 단말기B(400B)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한다. 디지털 단말기A(400A)에서 디지털 단말기B(400B)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300)는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단말기B(400B)로 바로 전송한다. 그러면 디지털 단말기B(400B)에서 벨이 울리고, 응답이 이루어지면 디지털 단말기A(400A)와 디지털 단말기B(400B)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지털 단말기A(400A) 및 디지털 단말기B(400B)가 스마트폰인 경우, 본 발명에서 디지털 단말기A(400A)에서 디지털 단말기B(400B)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동통신망이 아닌 서버(300)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러기 위해서는 디지털 단말기A(400A)에서 디지털 단말기B(400B)를 호출할 때, 디지털 단말기B(400B)의 전화번호를 010-0000-1234로 바로 입력하지 않고 B세대를 특정하여 번호를 입력하여 호출할 수도 있다.
즉, B세대가 101동 102호라 한다면, 디지털 단말기A(400A)에서는 전화번호 대신 "101#102"라고 입력하여 B세대를 호출할 수 있다. 그러면, 도 9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월 패드(100), 무선 전화기, 등록된 디지털 단말기B(400B)로 신호가 전달되어, B세대와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B세대의 디지털 단말기B(400B)와 직접 통신을 하고자 한다면, 디지털 단말기A(400A)에서 디지털 단말기B의 개별번호(010-0000-1234 등)를 입력하여 호출하여 디지털 단말기B(400B)와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A세대와 B세대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지털 단말기A(400A)에서 현관 단말기(200)를 호출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디지털 단말기A(400A)에서 현관 단말기(200)를 호출하면, 서버(300)는 디지털 단말기A(400A)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에이디변환 통신부A(150A) 및 월 패드A(100A)를 거쳐 현관 단말기(200)로 신호를 전달한다. 현관 단말기(200)에서 응답이 이루어지면, 디지털 단말기A(400A)와 현관 단말기(200) 간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때, 현관 단말기(200)에도 에이디변환 통신부(15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300)에서 바로 현관 단말기(200) 측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A세대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월 패드
110: 정보 입력부 120: 아날로그 신호입력부
130: 정보 처리부 140: 출력부
150: 에이디변환 통신부 152: 컨버터
154: 제어기 156: 통신기
200: 현관 단말기
300: 서버 310: 단지서버
320: 외부서버
400: 디지털 단말기

Claims (29)

  1. 사용자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 입력부;
    현관에 설치된 현관 단말기로부터 영상 또는 음향이 포함된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입력부;
    상기 정보 입력부 및 아날로그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 및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정보 처리부;
    상기 정보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에 포함된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통신하여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에이디변환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변환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기; 및
    상기 컨버터 및 통신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변환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외출모드에 대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방지하고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만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변환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외출모드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부에서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고,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변환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상기 정보 입력부에서 상기 출력부의 출력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면,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통신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변환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외부 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변환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의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에서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수신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변환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에는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받기위한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변환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지털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의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디변환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
  11. 현관에 설치된 현관 단말기로부터 영상 또는 음향이 포함된 아날로그 신호를 건물 내에 설치된 홈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기; 및
    상기 컨버터 및 통신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통신기는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홈 네트워크 기기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홈 네트워크 기기가 외출모드로 설정된 경우, 홈 네트워크 기기에서의 출력을 방지하고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만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홈 네트워크 기기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홈 네트워크 기가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홈 네트워크 기기에서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외부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홈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영상 또는 음향의 출력에 대한 응답신호가 입력되면, 외부 디지털 단말기와 통신을 중단하도록 상기 통신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기를 통해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외부 디지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홈 네트워크 기기에서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17. 현관에 설치된 현관 단말기 측에서 영상 또는 음향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면, 건물 내에 설치된 홈 네트워크 기기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가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4단계에서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는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가 서버에 등록된 정보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외부의 디지털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변환되는 디지털 신호는 H.263, H.264, G.711, MPEG-2, MPEG-4, JPEG 및 G721 코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의 외부 디지털 단말기로부터 현관문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5단계; 및
    상기 5단계에서 입력된 현관문의 제어신호에 따라 현관문을 제어하는 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21. 삭제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단말기는 다수 개이고,
    상기 4단계에서 전송하는 디지털 신호는 상기 다수 개의 디지털 단말기 모두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디지털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서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여 전송된 디지털 신호가 수신되는 5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디지털 단말기와 현관 단말기의 통신을 연결하는 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디지털 단말기 중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디지털 단말기로 상기 전송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취소신호를 전송하는 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25.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는 가정의 홈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는 월 패드와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에이디변환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지털 단말기가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의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다운받아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에 구비된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스위치가 눌리면,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는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다운받아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에이디변환 통신장치는 상기 월 패드로부터 모델정보를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펌웨어 설치프로그램을 다운받아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2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에는 상기 홈 네트워크 기기가 설치된 세대정보, 에이디변환 통신장치 일련번호 및 월 패드 관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KR1020120091002A 2011-11-02 2012-08-21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KR101381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495 2011-11-02
KR20110113495 2011-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84A KR20130048684A (ko) 2013-05-10
KR101381824B1 true KR101381824B1 (ko) 2014-04-04

Family

ID=4865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002A KR101381824B1 (ko) 2011-11-02 2012-08-21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531B1 (ko) 2019-08-30 2021-02-05 주식회사 코맥스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555A (ko) * 2005-03-02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현관기 제어방법
KR20070075556A (ko) * 2006-01-13 2007-07-24 주식회사 우진일렉트론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809537B1 (ko) 2005-07-29 2008-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20080002770U (ko) * 2007-01-17 2008-07-22 서인석 인터폰과 유선전화를 복합화시킨 휴대전화호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555A (ko) * 2005-03-02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현관기 제어방법
KR100809537B1 (ko) 2005-07-29 2008-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20070075556A (ko) * 2006-01-13 2007-07-24 주식회사 우진일렉트론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80002770U (ko) * 2007-01-17 2008-07-22 서인석 인터폰과 유선전화를 복합화시킨 휴대전화호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531B1 (ko) 2019-08-30 2021-02-05 주식회사 코맥스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84A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59551B (zh) 用于将装置配对到基于云的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JP201202924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381824B1 (ko)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JP7393479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6412434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11089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 도어폰시스템과,이를 통해 거주자의 휴대폰과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서비스하는 방법
JP7133781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6667611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462223B1 (ko)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스마트 단말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스마트 단말 자동인식방법
JP5810359B1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706338B2 (ja) 棟制御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816047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60135477A (ko) 홈네트워크 통신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화상통화 시스템 및 방법
JP7089893B2 (ja) 集合住宅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6145844B2 (ja) 住宅情報盤、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携帯無線端末機用プログラム
JP2010245643A (ja) インターホン/携帯電話複合システム
JP6967740B2 (ja) 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プログラム
JP2007266978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810557B1 (ko) 중계 라우터 정보의 취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0724128B1 (ko)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정보변경 시스템 및 방법
JP5197522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制御機、及び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2023018216A (ja) 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該インターホン装置の制御方法
JP201617420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6063261B2 (ja) 端末網制御装置
JP2022133897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