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531B1 -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531B1
KR102212531B1 KR1020190107426A KR20190107426A KR102212531B1 KR 102212531 B1 KR102212531 B1 KR 102212531B1 KR 1020190107426 A KR1020190107426 A KR 1020190107426A KR 20190107426 A KR20190107426 A KR 20190107426A KR 102212531 B1 KR102212531 B1 KR 102212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one
video
call command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531B9 (ko
Inventor
황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190107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531B1/ko
Publication of KR10221253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53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중개장치는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가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을 시작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영상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개폐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AND METHOD OF INTERMEDIAT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LOBBY PHONE USING LTE AND 5G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로비폰은 그대로 사용하며 추가로 중개장치를 연결하여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단말기 또는 태블릿을 통해 방문자 확인 및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기존의 로비폰 장치는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출입용 카드를 카드 인식기에 접촉하거나 로비폰 장치에 달려있는 키패드의 조작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출입문을 제어하였다.
또한, 방문자는 로비폰의 번호키에 해당 세대 번호를 눌러 호출 통화를 해야 하며, 호출 통화 후에 출입문이 개방되면 출입을 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는 자신의 비밀번호를 눌러 출입을 하거나 RFID카드를 태그하는 형식으로 출입을 하고 있다.
각 가정의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비디오폰은 반드시 설치회사의 로비폰과 같은 통신 방식을 사용해야 연동이 가능하다. 그래서,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 비디오폰 장비의 노후화나 리모델링 등의 이유로 최신 제품으로 교체를 하려 해도 이미 설치한 회사가 부도나거나, 해당제품이 단종되어 더 이상 제조하지 않거나 아예 사업을 종료한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로비폰에서 비디오폰으로 송수신된 음성, 영상 등의 신호를 가정의 댁내에 설치된 비디온폰에서 송수신하고, 송수신된 신호들을 비디오폰에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송수신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로비폰을 개발, 생산한 회사가 아니면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지 알 수 가 없다. 따라서, 해당 개발 및 생산 회사가 아니면 스마트폰, 태블핏 PC 등으로 전송을 하는 중개장치를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여러가지 사유로 인하여 로비폰과 비디오폰이 연동이 안돼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최근의 기술 추세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로비폰이 연동이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설치된 로비폰과 비디오폰을 생산한 업체가 아니면, 로비폰과 비디오폰의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새롭게 연동을 할 방법을 찾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1824호, "홈네트워크기기용 AD변환장치 및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702494호, "중개키트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폰기능 구현시스템"
본 발명은 주파수 변조를 통해 노약자, 여성 또는 어린아이와 같이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높은 거주자의 음성을 변조하고, 기 저장된 복수의 대화를 배경음으로 송출함으로써,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높은 거주자 및 빈집의 무단 침입을 보호할 수 있는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댁내에 고정된 비디오폰을 통하지 않고도 로비폰의 호출, 영상, 음성 등의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서 방문자의 확인 및 통화가 가능한 편리성이 향상된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로비폰을 연동하며, 연동된 단말기를 통해 거주자가 외출 중에도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하던 로비폰 및 비디오폰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기존 로비폰에 중개장치를 연결하여 단말기를 이용해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하던 로비폰 및 비디오폰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기존 로비폰에 중개장치를 연결하여 단말기를 이용해서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는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중개장치는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가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을 시작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영상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개폐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부는 상기 로비폰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된 호출커맨드,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를 증폭하여 잡음신호와 분리하는 증폭부 및 상기 분리된 신호들을 송신하는 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처리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면 상기 로비폰으로부터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시작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신호를 비교기 회로를 통해 증폭하는 연산부,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근거리 통신, 블루투스, Zigbee, RF 모뎀(Modem), IrDA,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통신 규격 신호의 상기 음성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및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출력장치로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입문의 상기 개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폐신호를 기초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작신호는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개폐신호를 상기 출력장치와 송수신하고, 상기 송수신하는 신호들을 H.264 표준 규격으로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는 단말기 및 비디오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거주자의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PC, 키오스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출력장치가 상기 단말기이면, 클라우드,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단말기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출력장치가 상기 비디오폰이면, 블루투스, Zigbee, RF 모뎀(Modem), IrDA,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 신호를 통해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비디오폰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비디오폰과 상기 중개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IEEE 802.3 통신 규격으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신호들을 상기 유선을 통해 상기 비디오폰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비디오폰과 상기 중개장치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상기 Zigbee, 상기 RF 모뎀(Modem), 상기 IrDA, 상기 와이파이 및 상기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비디오폰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처리부는 위치 기반 시스템 통해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 및 댁외인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출력장치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부는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외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단말기로 결정하고,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비디오폰 및 상기 단말기의 송신신호에 기초하여 출력장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중개장치의 동작 방법은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를 시작신호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작신호를 인식 후 상기 감지된 영상신호, 호출커맨드, 개폐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장치는 단말기 및 비디오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거주자의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PC, 키오스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위치 기반 시스템 통해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 및 댁외인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출력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외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단말기로 결정하고,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비디오폰 및 상기 단말기의 송신신호에 기초하여 출력장치가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은 댁외의 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되며, 방문자의 방문을 알리는 호출커맨드, 영상신호를 감지하는 영상감지장치, 스피커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음성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출입문의 개폐를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제어하는 로비폰, 댁내의 구비되고,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방문자와의 통화를 제어하는 후크 스위치, 상기 방문자와 통화하기 위한 송수화기 및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로비폰과 유무선 통신하는 비디오폰, 상기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를 시작신호로 인식하여 비교기 회로를 통해 증폭하며, 상기 증폭된 시작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중개장치 및 상기 중개장치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방문자 확인 및 통화하며, 출입문의 상기 개폐신호를 송수신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중개장치는 위치 기반 시스템 통해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 및 댁외인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출력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중개장치는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외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단말기로 결정하고,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비디오폰 및 상기 단말기의 송신신호에 기초하여 출력장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변조를 통해 노약자, 여성 또는 어린아이와 같이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높은 거주자의 음성을 변조하고, 기 저장된 복수의 대화를 배경음으로 송출함으로써,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높은 거주자 및 빈집의 무단 침입을 보호할 수 있는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에 고정된 비디오폰을 통하지 않고도 로비폰의 호출, 영상, 음성 등의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서 방문자의 확인 및 통화가 가능한 편리성이 향상된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로비폰을 연동하며, 연동된 단말기를 통해 거주자가 외출 중에도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하던 로비폰 및 비디오폰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기존 로비폰에 중개장치를 연결하여 단말기를 이용해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하던 로비폰 및 비디오폰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기존 로비폰에 중개장치를 연결하여 단말기를 이용해서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는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개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100)은 로비폰(110), 거주자 단말기(120), 중개장치, 비디오폰(미도시)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100)은 댁외의 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되며, 방문자의 방문을 알리는 호출커맨드, 영상신호를 감지하는 영상감지장치, 스피커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음성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100)은 출입문의 개폐를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100)은 댁내에 위치되고,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방문자와의 통화를 제어하는 후크 스위치, 방문자와 통화하기 위한 송수화기 및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버튼을 포함하며, 로비폰과 유무선 통신하는 비디오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100)은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호출커맨드를 시작신호로 인식하여 비교기 회로를 통해 증폭하며, 증폭된 시작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중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100)은 중개장치와 무선통신을 통해 방문자 확인 및 통화하며, 출입문의 개폐신호를 송수신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장치는 위치 기반 시스템 통해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 또는 댁외인지를 판단하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출력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중개장치는 거주자의 위치가 댁외일 경우 출력장치를 단말기로 결정하고,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일 경우 출력장치를 비디오폰 및 거주자 단말기의 송신신호에 기초하여 출력장치가 결정될 수 있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로비폰(110)은 건물, 주택 및 사무실의 외부에 설치되며, 방문자 호출버튼,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댁내에 구비되어 있는 비디오폰과 연동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로비폰(110)은 건물, 주택 또는 사무실의 댁외, 공동현관 및 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되며, 방문자 호출버튼,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비폰(110)은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비폰(110)은 네트워크(130)의 수신감도가 기 설정된 수신감도 이상이 되는 영역을 검색범위로 결정하고, 네트워크(130)의 신호에 포함된 맥 어드레스(Mac address) 값을 네트워크(130)로 전달하며 네트워크(13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로비폰의 스피커로 음성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주자들의 단말기(130)의 맥 어드레스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정보를 네트워크(130)로 전달하고, 네트워크는 로비폰(110)으로부터 수신한 맥 어드레스 값과 비교하여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로비폰(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중개장치는 기 설정된 수신감도 이상이 되는 검색범위 내에 존재하는 거주자가 휴대한 거주자 단말기(120)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맥 어드레스(MAC address)는 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의 약자로서, 로비폰(110)에 부여된 고유한(유일한) 물리적 주소이다. 즉, 로비폰(110)에 맥 어드레스를 부여함으로써 로비폰들 사이에서 고유 식별될 수 있다.
또한, 로비폰(110)에 부여된 맥 어드레스는 고유 번호를 사용하며, 사용하는 고유 번호를 인터넷상에서 TCP/IP 통신을 하며 아이피 주소를 사용하지만 이 아이피를 다시 맥 어드레스 주소로 바꾸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그 과정을 어드레스 레졸루션 프로토콜(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라고 한다.
또한, 거주자 단말기(120)에 부여된 맥 어드레스는 고유 번호를 사용하며,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중개장치로 송수신될 수 있다
중개장치는 기 저장된 맥 어드레스 정보와 송수신된 거주자 단말기(120)의 맥 어드레스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로비폰(110)은 중개장치(미도시)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된 네트워크를 통해 거주자 단말기(120) 및 비디오폰(미도시)과 개폐신호, 영상신호, 호출커맨드 및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로비폰(110)은 유무선으로 비디오폰과 연결되어 개폐신호, 영상신호, 호출커맨드 및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30)은 블루투스, Zigbee, RF 모뎀(Modem), IrDA,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등을 포함하며, 유무선으로 로비폰(110)과 단말기 및 비디오폰을 통신하는 수단의 일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네트워크(13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하고 생략한다.
중개장치는 로비폰(110)으로부터 출력되는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감지된 호출커맨드를 시작신호로 인식하여 감지된 영상데이터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장치의 자세한 구성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일례로, 로비폰(110)은 댁외의 현관에 설치되며, 방문자가 댁내 거주자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출버튼과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적외선감지장치, 레이저감지장치, 열화상카메라, 영상감지장치,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폰(미도시)은 댁내에 설치되며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방문자와 대화하기 위한 송수화기 및 후크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비디오폰은 로비폰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가 포함되며, 로비폰의 음성 신호가 송수신되는 음성 출력부는 통화회로 및 송수화기와 연결되고, 로비폰에 구비된 카메라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영상 입력부는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단말기(120)는 자신의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PC, 키오스크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거주자 단말기(120)를 이용해서 호출커맨드, 음성, 영상 및 개폐신호 등을 포함하는 그 외에 다양한 정보들을 로비폰(110)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거주자 단말기(120)는 다양한 응용 기능을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거주자 단말기(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로비폰(110)과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거주자 단말기(120)는 거주자 단말기(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200)은 거주자 단말기(미도시), 네트워크(미도시), 로비폰(210), 중개장치(230) 및 비디오폰(2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로비폰(210)은 중개장치(230)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된 네트워크를 통해 거주자 단말기(미도시) 및 비디오폰(220)과 개폐신호 영상신호(211), 호출커맨드(212) 및 음성신호(213)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로비폰(210)은 유선으로 비디오폰(220)과 연결되어 개폐신호, 영상신호(211), 호출커맨드(212) 및 음성신호(213)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로비폰(210)은 댁외의 현관에 설치되며, 방문자가 댁내 거주자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출버튼과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적외선감지장치, 레이저감지장치, 열화상카메라, 영상감지장치,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로비폰(210)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로비폰의 송수신할 출력장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출력장치는 비디오폰 및 단말기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비디오폰(220)은 댁내에 설치되며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방문자와 대화하기 위한 송수화기 및 후크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비디오폰(220)은 로비폰(210)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가 포함되며, 로비폰(210)의 음성 신호가 송수신되는 음성 출력부는 통화회로 및 송수화기와 연결되고, 로비폰(210)에 구비된 카메라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영상 입력부는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비디오폰(220)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로비폰의 송수신할 출력장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출력장치는 비디오폰 및 단말기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중개장치(230)는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감지된 호출커맨드를 시작신호로 인식하여 감지된 영상데이터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중개장치(230)는 연결 단자의 접속을 통해 영상, 음성을 로비폰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음성신호를 H.264 방식으로 디지털 표준 압축하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거주자의 단말기로 영상 및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로비폰에서 비디오폰으로 송수신된 음성, 영상 등의 신호를 가정의 댁내에 설치된 비디온폰에서 송수신하고, 송수신된 신호들을 비디오폰에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송수신하는 방식이 있다.
이 종래기술의 방식은 로비폰 및 비디오폰을 개발, 생산한 회사가 아니면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지 알 수 가 없다. 따라서, 해당 개발 및 생산 회사가 아니면 스마트폰, 태블핏 PC 등으로 전송을 하는 중개장치(230)를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개장치(230)는 로비폰(210)에서 댁내의 비디오폰(220)으로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로비폰(210)에 대한 생산 회사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기 전의 영상, 음성, 호출커맨드 등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장치(230)는 수신한 신호들을 비교기를 통해서 증폭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개장치(230)는 생산 회사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기 전에 로비폰의 출력신호들을 수신하므로 제조 회사만 알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모르더라도, 호출커맨드의 약 1v 전압을 통해 시작신호를 인식하여 거주자 단말기 및 비디오폰(220)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개장치(230)는 로비폰(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생산회사의 프로토콜과 상관없이 다양한 통신 규격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통신 규격의 해당 통신 수단을 통해 거주자 단말기 및 비디오폰(220)과의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로비폰(210)은 로비폰(210)의 출력전압을 일반적으로 방문자의 호출이 없을 경우 로비폰(210)의 신호 전압을 0V로 유지하고, 방문자의 호출이 있을 경우 영상, 음성 호출커맨드 등의 신호 전압은 약 1V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로비폰(210)의 출력전압은 로비폰(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의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로비폰(210)의 출력 신호는 개폐신호, 영상신호, 음성신호, 개폐신호 등을 포함하고, 출력신호는 일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조합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중개장치(230)는 방문자의 호출이 있을 경우, 로비폰(210)의 신호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중개장치(230)는 입력받은 신호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대응되는 경우, 로비폰(21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시작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개장치(230)는 인식된 시작신호를 비교기 회로를 통해 증폭을 하며, 증폭된 시작신호를 근거리 통신, 블루투스, Zigbee, RF 모뎀(Modem), IrDA,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통신 규격 신호의 음성신호, 호출커맨드 및 영상신호를 출력장치로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신호는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출력장치는 단말기 및 비디오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단말기는 거주자의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PC, 키오스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중개장치(230)는 다양한 통신 수단을 통해 출입문의 개폐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개폐신호를 기초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신호, 호출커맨드, 개폐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비교기 회로를 통해 약 5V로 증폭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개장치(2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비디오폰 및 거주자 단말기로 로비폰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중개장치(230)의 세부적인 구성은 도 3 내지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개장치(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개장치(300)는 연결부(310), 감지부(320) 및 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10)는 로비폰의 일측에 구비된 입출력 단자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로비폰의 출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320)는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산신호를 연결부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비교 회로를 통해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20)는 비교기 회로를 통해 수신된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기 회로는 하나의 전압을 다른 전압(기준 전압)과 그 크기를 비교하는 회로이다. 또한, 비교기 회로는 입력 전압을 받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입력이 기준 전압을 상회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주로 디지털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또한, 비교기 회로는 입력 전압을 증폭하여 증폭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처리부(330)는 감지된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감지된 호출커맨드를 시작신호로 인식하여 감지된 영상데이터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처리부(330)는 로비폰으로부터의 출력된 호출커맨드 신호의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시작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330)는 감지된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는 로비폰의 출력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전압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처리부(330)는 감지된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로비폰으로부터 감지된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의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330)는 로비폰으로부터의 출력된 호출커맨드 신호의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전압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시작신호로 인식을 중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330)는 감지된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는 로비폰의 출력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전압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처리부(330)는 감지된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로비폰으로부터 감지된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의 수신에 대한 중지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중개장치(300)가 거주자의 댁으로 방문자의 방문이 없는 대기 상태에서 로비폰에서의 출력을 계속 수신 대기하면서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는 이점을 갖을 수 있다.
처리부(330)는 출력장치가 단말기면, 클라우드,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로비폰의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단말기와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감지부는 입력부(410), 증폭부(420) 및 호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10)는 로비폰에서 댁내의 비디오폰으로 방문자의 호출버튼을 누르면, 로비폰에서 호출커맨드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호출커맨드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일례로, 입력부(410)는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410)는 로비폰의 연결 단자의 유무선 접속을 통해 영상, 음성, 호출커맨드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들은 로비폰을 생산한 회사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기 전에 수신할 수 있다.
연결부(410)는 수신된 변환전의 신호들을 송수신하여 로비폰과 비디오폰의 생산 및 개발한 회사가 아니더라도 거주자의 단말기 및 비디오폰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결부(410)는 로비폰을 생산한 회사의 통신 프로토콜을 알지 못하더라도 다양한 통신 규격으로 변환하여 로비폰과 비디오폰 및 단말기 간의 연동을 실현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증폭부(420)는 수신된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증폭하여 잡음신호와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증폭부(420)의 증폭기 회로는 하나의 전압을 다른 전압(기준 전압)과 그 크기를 비교하는 회로이다. 또한, 증폭기 회로는 입력 전압을 받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입력이 기준 전압을 상회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잡음신호와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증폭기 회로는 입력 전압을 증폭하여 증폭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로비폰의 출력전압은 로빈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의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로비폰의 출력 신호는 개폐신호, 영상신호, 음성신호, 개폐신호 등을 포함하고, 출력신호는 일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조합 변경될 수 있다.
호출부(430)는 로비폰으로부터 수신받은 증폭된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리부는 수신부(510), 연산부(520), 통신부(530),제어부(540) 및 판단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510)는 감지된 시작신호를 감지부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된 시작신호를 연산부(520)로 송신할 수 있다.
시작신호는 로비폰으로부터 수신한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수 있다.
일례로, 시작신호는 로비폰으로부터 수신한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연산부(520)의 비교기를 통해서 증폭된 호출커맨드, 증폭된 음성신호 및 증폭된 영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수 있다.
연산부(520)는 수신된 신호들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면 로비폰으로부터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시작신호로 인식하고, 인식된 신호를 비교기 회로를 통해 증폭할 수 있다.
일례로, 연산부(520)는 송신된 시작신호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범위에 대응되면, 로비폰으로부터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에 대한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부(520)의 비교기 회로는 하나의 전압을 다른 전압(기준 전압)과 그 크기를 비교하는 회로이다. 또한, 비교기 회로는 입력 전압을 받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입력이 기준 전압을 상회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주로 디지털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또한, 비교기 회로는 입력 전압을 증폭하여 증폭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산부(520)는 로비폰의 출력전압을 일반적으로 방문자의 호출커맨드가 없을 경우 로비폰의 신호 전압을 0V로 감지하여 증폭을 정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산부(520)는 방문자의 호출커맨드가 있을 경우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음성 호출커맨드 등의 신호 전압은 약 1V로 감지하고, 감지된 1V를 비교기 회로를 통해 약 5V로 증폭할 수 있다.
여기서, 로비폰의 출력전압은 로빈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의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로비폰의 출력 신호는 개폐신호, 영상신호, 음성신호, 개폐신호 등을 포함하고, 출력신호는 일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조합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연산부(520)는 주파수 변조를 통해 여성, 노약자 또는 어린아이와 같이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높은 거주자들의 음성을 변조함으로써,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높은 거주자들을 범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통신부(530)는 시작신호를 수신하면,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Zigbee, RF 모뎀(Modem), IrDA,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530)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할 경우, 통신부(530)는 송신전파(carrier wave) 위에 FM 등의 방식으로 로비폰의 출력신호를 인코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로비폰의 출력신호를 무선전파 매개체를 이용하여 송신하고, 가까운 거리에 있는 거주자의 단말기 또는 비디오폰의 통신수단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530)가 전파 속에 실려오는 정보 데이터 패킷(packet)을 수신측에서 아날로그 신호인 전파신호에서부터 디지털 데이터 패킷을 분리하여 디코딩하여 디지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530)가 블루투스로 송수신할 경우, 통신부(530)는 일반적으로 Bluetooth Smart 또는 BLE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기술은 블루투스 클래식, 블루투스 스마트 및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ready)로 구분되며, 그 중에 블루투스 스마트 및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ready)은 전력소모가 낮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530)는 블루투스 스마트 및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ready)을 통해 로비폰, 거주자 단말기 및 비디오폰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30)가 Zigbee로 송수신할 경우, 통신부(530)는 Zigbee를 통해 원거리 기기들 간의 세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순한 제어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Zigbee는 저전력 소모, 저가 모듈이라는 점에서 로비폰, 중개장치, 거주자 단말기 및 비디오폰에 적용하더라도 소비전력 및 경제성에서 이점이 있다. 따라서, 통신부(530)는 Zigbee를 통해 송수신할 경우 통신 도달 거리의 한계와 늦은 데이터 속도를 갖고 있어 간단한 제어를 위한 통신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530)가 IrDA로 송수신할 경우, 통신부(530)는 적외선을 이용한 양방향 송수신 두 가닥의 직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IrDA는 전파에서는 AM 또는 FM 방식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지만, 적외선에서 온 오프(on-off) 방식으로 매우 간단하게 인코딩한다는 특징이 있다.
일례로, 통신부(530)가 와이파이로 송수신할 경우, 통신부(530)는 IEEE 802.11 통신규정을 만족하는 기기들끼리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IEEE 802.11은 미국전기전자학회(EEE)에서 개발한 무선 랜 규격을 의미한다.
또한, 통신부(530)는 와이파이를 사용하려면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가 있어야 한다. 여기서, 무선 접속 장치를 공유기라고도 하며, 통신부(530)는 무선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유선인터넷 회선에 흐르는 인터넷 신호를 무선 신호로 바꿔주어 신호가 닿는 범위 내에서 랜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로비폰의 출력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530)가 이동통신 망으로 송수신할 경우 이때 이동통신 망은 LTE, 4G 및 5G를 의미하며, 거주자 단말기와의 송수신을 네트워크를 통해 하는 무선 기술이다.
일례로, 통신부(530)는 LTE, 4G 및 5G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530)는 변환된 통신 규격 신호의 개폐신호, 음성신호, 호출커맨드 및 영상신호를 출력장치로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장치는 단말기 및 비디오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먼저, 단말기는 거주자의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PC, 키오스크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거주자의 단말기를 이용해서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영상신호 및 개폐신호 등을 포함하는 그 외에 다양한 정보들을 중개장치를 통해 로비폰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거주자의 단말기는 다양한 응용 기능을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거주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로비폰과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거주자의 단말기는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530)는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개폐신호를 출력장치와 송수신하고, 송수신하는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개폐신호를 H.264 표준 규격으로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H.264는 AVC(Advanced Video Coding)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ITU-T의 비디오 코딩 전문가 그룹(video coding experts group, VCEG)와 ISO/IEC의 동화상 전문가 그룹(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이 공동으로 표준화를 진행한 동영상 압축 표준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H.264 표준은 MPEG-4 Part 10, AVC, H.264 등으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며, 블록 단위 움직임 보상 기반의 영상 압축 표준으로써 동영상 녹화, 압축 및 배포를 위한 방식들 중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압축 기술이다. 따라서, 기존에 설치된 로비폰 및 비디오폰들이 통상적으로 채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H.264 표준을 채택하면 로비폰과 비디오폰을 연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통신부(530)는 로비폰으로부터 송신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H.264 표준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거주자 단말기 및 비디오폰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30)는 H.264 표준을 이용하면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품질이 좋으며 재생 속도가 빠르고 네트워크 전송의 비트 전송률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통신부(530)는 비디오폰과 중개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로비폰으로부터 수신한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IEEE 802.3 통신 규격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신호들을 유선을 통해 비디오폰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530)가 유선으로 통신할 경우, IEEE 802.3의 표준 통신 규격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530)는 연결된 이더넷으로 IEEE 802.3의 표준 통신 규격으로 변환하여 광역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30)가 IEEE 802.3의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등의 다양한 케이블을 통해 인프라스트럭쳐 장치(허브, 스위치, 라우터) 사이에서 유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신부(530)는 비디오폰과 중개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 로비폰으로부터 수신한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IEEE 802.3 통신 규격으로 변환하여 비디오폰과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530)는 비디오폰과 중개장치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블루투스, Zigbee, RF 모뎀(Modem), IrDA,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비디오폰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Zigbee, RF 모뎀(Modem), IrDA,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40)는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들을 기초로 출입문의 개폐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개폐신호를 기초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르는 처리부는 판단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550)는 위치 기반 시스템을 통해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 및 댁외인지 판단하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출력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 기반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 거주자에게, 거주자의 변경되는 위치에 따르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콘텐츠 서비스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위치 기반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 거주자가 여러 위치를 이동하면서도 직접 주소나 지역 구분자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시스템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기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고유의 위치 관리 메커니즘이 존재하며, 고유의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거주자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일례로, 판단부(550)는 거주자의 위치가 댁외일 경우 출력장치를 거주자의 단말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거주자의 위치가 댁외일때는 GPS에 의한 측위 정보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판단부(550)는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일 경우 출력장치를 비디오폰 및 단말기의 송신신호에 기초하여 출력장치가 결정될 수 있다.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일때는 와이파이에 의한 측위 정보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와이파이에 의한 댁내 측위는 삼각측량기법과 핑거프린팅기법이 존재한다.
삼각측량기법은 댁내의 위치 추정을 하는 대표적인 기법이며, 3개 이상의 공유기(AP, access point)로부터 와이파이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그것을 거리로 환산 후 간단한 방정식을 적용하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일때는 블루투스에 의한 측위 정보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블루투스에 의한 측위 정보는 단순하며, 블루투스의 기기에서 약한 신호를 발생시키고 거주자가 가까이 근접하여 신호를 수신하면 비콘이 있는 위치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개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개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로비폰으로부터 호출커맨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호출커맨드를 시작신호로 인식하며, 시작신호를 인식 후 출력장치와 송수신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1에서 중개장치의 감지부는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커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호출커맨드는 주택의 외부 출입이 가능한 로비에 설치되어 있는 로비폰의 호출버튼을 방문자가 누르면 발생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발생된 호출커맨드는 임의의 전압 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호출커맨드의 전압은 약 1V로 출력될 수 있다.
중개장치는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커맨드의 전압을 비교기 회로를 통해 전압을 증폭하며, 중개장치의 감지부는 증폭한 호출커맨드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감지부는 증폭된 호출커맨드를 중개장치와 로비폰의 연결된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중개장치의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602에서 중개장치의 처리부는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에 따라 로비폰의 출력신호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여기서, 로비폰의 출력신호는 개폐신호,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호출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에 대응되지 않으면, 단계 601로 넘어가 중개장치의 감지부는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커맨드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대기한다.
또한, 처리부는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호출커맨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전압에 대응되게 되면, 중개장치는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시작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단계 603에서 처리부는 기 설정된 기준전압에 대응되는 로비폰으로부터 감지된 호출커맨드를 시작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처리부는 시작신호를 송신하며, 송신된 시작신호를 통해 로비폰으로부터 입력신호들을 수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
단계 604에서 처리부는 시작신호를 인식 후 감지된 로비폰으로부터 감지된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개폐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처리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감지된 신호들을 송수신하기 위하여, 감지된 호출커맨드, 음성신호, 영상신호 및 개폐신호를 근거리 통신, 블루투스, Zigbee, Rf 모뎀, IrDA,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 신호로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는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로비폰으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들을 비디오폰 및 단말기 측으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송수신된 신호들을 기초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위치 기반 시스템 통해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 및 댁외인지 판단하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출력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거주자의 위치가 댁외일 경우 출력장치를 단말기로 결정하고,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일 경우 출력장치를 비디오폰 및 단말기의 송신신호에 기초하여 출력장치가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주파수 변조를 통해 노약자, 여성 또는 어린아이와 같이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높은 거주자의 음성을 변조하고, 기 저장된 복수의 대화를 배경음으로 송출함으로써,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높은 거주자 및 빈집의 무단 침입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댁내에 고정된 비디오폰을 통하지 않고도 로비폰의 호출, 영상, 음성 등의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서 방문자의 확인 및 통화가 가능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로비폰을 연동하며, 연동된 단말기를 통해 거주자가 외출 중에도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하던 로비폰 및 비디오폰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기존 로비폰에 중개장치를 연결하며, 연결된 중개장치를 통해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하던 로비폰 및 비디오폰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기존 로비폰에 중개장치를 연결하며, 연결된 중개장치를 통해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는 로비폰으로부터의 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중개장치에 있어서,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로비폰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기 전의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가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을 시작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영상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개폐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중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로비폰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된 호출커맨드,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를 증폭하여 잡음신호와 분리하는 증폭부; 및
    상기 분리된 신호들을 송신하는 호출부를 포함하는 중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면 상기 로비폰으로부터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시작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신호를 비교기 회로를 통해 증폭하는 연산부;
    상기 시작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근거리 통신, 블루투스, Zigbee, RF 모뎀(Modem), IrDA,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통신 규격 신호의 상기 음성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및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출력장치로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입문의 상기 개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폐신호를 기초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작신호는,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상기 음성신호 및 상기 개폐신호를 상기 출력장치와 송수신하고, 상기 송수신하는 신호들을 H.264 표준 규격으로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처리하는 중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단말기 및 비디오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거주자의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PC, 키오스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출력장치가 상기 단말기이면, 클라우드,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중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출력장치가 상기 비디오폰이면, 블루투스, Zigbee, RF 모뎀(Modem), IrDA,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 신호를 통해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비디오폰과 송수신하는 중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비디오폰과 상기 중개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IEEE 802.3 통신 규격으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신호들을 상기 유선을 통해 상기 비디오폰과 송수신하는 중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비디오폰과 상기 중개장치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상기 Zigbee, 상기 RF 모뎀(Modem), 상기 IrDA, 상기 와이파이 및 상기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개폐신호, 상기 호출커맨드,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비디오폰과 송수신하는 중개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위치 기반 시스템 통해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 및 댁외인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출력장치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중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외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단말기로 결정하고,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비디오폰 및 상기 단말기의 송신신호에 기초하여 출력장치가 결정되는 중개장치.
  12.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는 로비폰으로부터의 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중개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로비폰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기 전의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가 기 설정된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를 시작신호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작신호를 인식 후 상기 감지된 영상신호, 호출커맨드, 개폐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장치는,
    단말기 및 비디오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거주자의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PC, 키오스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개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위치 기반 시스템 통해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 및 댁외인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출력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개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외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단말기로 결정하고,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비디오폰 및 상기 단말기의 송신신호에 기초하여 출력장치가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개장치의 동작 방법.
  15.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는 로비폰으로부터의 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로비폰 시스템에 있어서,
    댁외의 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되며, 방문자의 방문을 알리는 호출커맨드, 영상신호를 감지하는 영상감지장치, 스피커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음성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출입문의 개폐를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제어하는 로비폰;
    댁내의 구비되고,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방문자와의 통화를 제어하는 후크 스위치, 상기 방문자와 통화하기 위한 송수화기 및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로비폰과 유무선 통신하는 비디오폰;
    상기 로비폰으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로비폰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되기 전의 개폐신호, 호출커맨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호출커맨드를 시작신호로 인식하여 비교기 회로를 통해 증폭하며, 상기 증폭된 시작신호를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중개장치; 및
    상기 중개장치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방문자 확인 및 통화하며, 출입문의 상기 개폐신호를 송수신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장치는,
    위치 기반 시스템 통해 거주자의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여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 및 댁외인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출력장치를 결정하는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장치는,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외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단말기로 결정하고, 상기 거주자의 위치가 댁내일 경우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비디오폰 및 상기 단말기의 송신신호에 기초하여 출력장치가 결정되는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 시스템.
KR1020190107426A 2019-08-30 2019-08-30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1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26A KR102212531B1 (ko) 2019-08-30 2019-08-30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26A KR102212531B1 (ko) 2019-08-30 2019-08-30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531B1 true KR102212531B1 (ko) 2021-02-05
KR102212531B9 KR102212531B9 (ko) 2021-11-12

Family

ID=7455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426A KR102212531B1 (ko) 2019-08-30 2019-08-30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5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24B1 (ko) 2011-11-02 2014-04-04 모빌토크(주)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KR101452319B1 (ko) * 2013-08-14 2014-10-23 코아글림 주식회사 도킹기반 스마트 월패드 시스템
KR20160035148A (ko) * 2014-09-22 2016-03-31 (주) 코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폰기능 구현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6818A (ko) * 2015-03-31 2016-10-10 (주)브랜딩포커스 인터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2494B1 (ko) 2014-11-06 2017-02-14 (주) 코콤 중개키트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폰기능 구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24B1 (ko) 2011-11-02 2014-04-04 모빌토크(주)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KR101452319B1 (ko) * 2013-08-14 2014-10-23 코아글림 주식회사 도킹기반 스마트 월패드 시스템
KR20160035148A (ko) * 2014-09-22 2016-03-31 (주) 코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폰기능 구현시스템 및 방법
KR101702494B1 (ko) 2014-11-06 2017-02-14 (주) 코콤 중개키트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폰기능 구현시스템
KR20160116818A (ko) * 2015-03-31 2016-10-10 (주)브랜딩포커스 인터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531B9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011B2 (en) Wireless speaker devices for wireless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20160269691A1 (en) System for monitoring door using door phone
US11044554B2 (en) Auto-provisioning of wireless speaker devices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KR101490583B1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TWI544778B (zh) 遠端門鈴控制系統及其智慧門鈴裝置
JP7179834B2 (ja) 音声認識デバイス、音声認識デバイスの連携システム、及び音声認識デバイスの連携方法
US10602362B2 (en) Gateway, gateway setup method, and IoT device setup method in IoT system
CN105101339A (zh) 使用权限获取方法和装置
CN105100187A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的智能门锁
KR102250421B1 (ko) Ai 음성인식 스피커 및 세대 내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방법,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TWM449319U (zh) 遠端門鈴控制系統及其智慧門鈴裝置
JP5717525B2 (ja) 無線報知装置及び遠隔報知システム
JP6876122B2 (ja) 無線音声/ビデオ記録及び通信デバイスについての無線スピーカデバイス
KR20190016398A (ko) 로비폰과 pc를 사용한 경비실 인터폰 착신 지정이 가능한 인터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12531B1 (ko)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13570A (ko) 집 안의 사물을 제어하는 가족으로서의 로봇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52031B1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180112325A (ko) 음성 전달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음성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17098633A1 (ja) 電化機器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電化機器通信連携方法
EP3422684B1 (en)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in said system
JP7245999B2 (ja) 制御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制御情報取得方法
KR101462223B1 (ko)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스마트 단말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스마트 단말 자동인식방법
KR1015172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송신 시스템
CN110892744A (zh) 用于网络访问控制的方法和装置
ES2315628T3 (es) Procedimiento y terminales de comunicacion para transmision y recepcion remotas de señales de videofonia y/o de interfo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