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556A - 홈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556A
KR20070075556A KR1020060003944A KR20060003944A KR20070075556A KR 20070075556 A KR20070075556 A KR 20070075556A KR 1020060003944 A KR1020060003944 A KR 1020060003944A KR 20060003944 A KR20060003944 A KR 20060003944A KR 20070075556 A KR20070075556 A KR 20070075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home network
network facility
security
meter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일렉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일렉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일렉트론
Priority to KR102006000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5556A/ko
Publication of KR2007007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Abstract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외부의 네트워크 망과 연결되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홈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 설비; RS485 통신 규격을 따르는 단지 네트워크 설비;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다운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데이터를 백업하는 시스템 백업 기기; 홈 네트워크 설비의 모니터링 및 그 동작을 제어하고 각종 기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외부 네트워크 설비; 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세대 외부 또는 내부에서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에 접속하여 홈 네트워크 설비와 단지 네트워크 설비와 외부 네트워크 설비에 인터페이스함으로써 각종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추가적인 옵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홈 네트워크 설비 110...정보 가전 기기
120...방범 기기 130...홈 오토메이션 기기
140...원격 검침 기기 150...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
160...세대 허브(hub) 200...시스템 백업 기기
210...연결기 220...경비실 인터폰
230...백업 기기 본체 240...공동 현관기
300...단지 네트워크 설비 310...주차 관제 시스템
320...층 스위치 330...메인 스위치
340...공동 현관 출입 관리 시스템 350...엘리베이터 관리 서버
360...중앙 관리실 서버 400...외부 네트워크 설비
410...외부 컴퓨터 420...핸드폰
430...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440...출동 경비 업체 상황실 600...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
610...전원 램프 611...기능 램프
612...화재/가스 램프 613,614,615,616,617...방범 존 램프
618...재택 램프 620...외출/경비실/공동 현관 버튼
630...스피커 640...비상 버튼
650...키 패드(key pad) 660...마이크
670...열림 버튼 680...터치 스크린
690...전원 스위치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가전 기기 등의 홈 네트워크 설비를 인텔리전트 아파트 등과 같은 집단 거주 시설에서 원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주택, 사무실, 오피스텔, 아파트 등의 세대 내에 각종 통신장비 및 제어/감시장비를 설치한 후, 이들을 세대 내/외에 있는 디지털 기기와 네트워크망으로 연결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정보 가전 기기나 편의 시설물들에 최첨단 디지털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여 집안 내부나 외부의 어떤 곳에서도 가정의 시설물들을 쉽게 관리하고 동작시킬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방범/방재 시스템, 현관 출입관리 시스템 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화선 통신, 전력선 통신(PLC), 랜 케이블 통신, 동축 케이블 통신, 무선 통신 등의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거주자 및 방문자에 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유/무선 인터넷과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에서도 집안의 모든 시스템을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정보 가전 기기 제어 및 원격 검침과 같은 기능도 지원된다.
그런데, 대단위 아파트 단지 등과 같은 집단 거주시설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대부분 전용 기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전용 기기가 다운되었을 때 전체 시스템이 복구되기 전까지는 모든 시설물의 동작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용 기기에 대한 인터페이스 방법이 단순한 경우, 예컨대 TV 시청 중 홈 네트워크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 세대 내부 또는 외부에서 전용 기기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편, 추가적인 옵션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영화 등의 멀티 미디어 서비스나 출동 경비 서비스 등을 접목한 고부가 가치의 서비스 창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법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설비의 제어가 가능하고 외부 네트워크 망에 쉽게 연결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가 가능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정보 가전 기기, 방범 기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검침 기기, 및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세대 허브를 통하여 외부의 네트워크 망과 연결되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홈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 설비;
상기 세대 허브와 연결되는 층 스위치 및 메인 스위치, 상기 층 스위치 및 메인 스위치에 연결되는 주차 관제 시스템,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시스템,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 및 중앙 관리실 서버를 구비하며 RS485 통신 규격을 따르는 단지 네트워크 설비;
상기 홈 네트워크 설비에 연결되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다운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데이터를 백업하는 시스템 백업 기기;
상기 단지 네트워크 설비와 유/무선의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 설비의 모니터링 및 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설비 및 단지 네트워크 설비에 구비된 각종 기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외부 네트워크 설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는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가 마련되며, 상기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는,
전원 상태를 알리는 전원 램프;
방문자 영상의 확인 및 녹화, 원격 검침 기기의 검침 등의 기능 설정 상태를 알리는 기능 램프;
화재나 가스 누설을 경보하는 화재/가스 램프;
방범 존 설정 상태 및 방범 경보를 알리는 방범 존 램프;
재택 설정 상태를 알리는 재택 램프;
외출 모드를 설정하거나 경비실 및 공동 현관과의 통화시에 눌려지는 외출/경비실/공동 현관 버튼;
비상 상태시 눌려지는 비상 버튼;
기능 및 메뉴 설정시나 비밀 번호 입력시 눌려지는 키 패드;
전화나 인터폰 등의 송신 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통화 메뉴와, 상기 홈 오토메니션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메뉴와, 세대의 보안을 위한 방범 메뉴와, 방문자 영상의 확인 및 녹화, 원격 검침 기기의 검침, 멀티 미디어 서비스 등의 옵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메뉴를 그래픽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제공하며 각종 멀티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동일한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설비(100), 단지 네트워크 설비(300), 시스템 백업 기기(200), 외부 네트워크 설비(400)가 도시된다.
홈 네트워크 설비(100)는 정보 가전 기기(110), 방범 기기(120), 홈 오토메이션 기기(130), 원격 검침 기기(140), 홈 게이트웨이(150), 및 세대 허브(160)를 구비한다. 정보 가전 기기(110)는 컴퓨터, 팩시밀리, 전화기, 복사기 등의 정보 기기와 에어콘,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가전 기기를 통칭하는 용어로 정의된다. 방범 기기(120)는 세대 내부 및 외부에 구역별로 설정된 방범 존(zone)에 설치되어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범 경보기, 방범 센서, 제어기를 일컫는다. 홈 오토메이션 기기(130)는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기, 수도 꼭지, 조명 기기, 전원 공급기 등을 포함한다. 원격 검침 기기(140)는 전력 계량기, 수도 계량기, 열 계량기 등과 연결되어 전력, 수도물, 난방 및 온수 공급을 위한 열 사용량을 원격으로 검침하는 기기이다. 홈 게이트웨이(150)는 정보 가전 기기(110), 방범 기기(120), 홈 오토메이션 기기(130), 원격 검침 기기(140)를 외부의 네트워크 망에 연결시키고, 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세대 허브(160)는 각 세대별로 마련된 홈 게이트웨이(150)와 단지 네트워크 설비(300)를 연결하는 통로가 된다.
시스템 백업 기기(200)는 홈 네트워크 설비(100)에 연결되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다운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홈 네트워크 설비(100)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백업하는 장비이다. 시스템 백업 기기(200)는 연결기(210), 경비실 인터폰(220), 및 백업 기기 본체(230)를 구비한다. 연결기(210)는 홈 네트워크 설비(100)와 백업 기기 본체(230)를 연결한다. 백업 기기 본체(230)는 홈 네트워크 설비(100)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백업한다. 경비실 인터폰(220)이 백업 기기 본체(230)에 연결되어 백업 기기 본체(230)의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연결기(210)에는 공동 현관기(240)가 연결되며 연결기(210)에 연결된 경비실 인터폰(220)이나 홈 게이트웨이(150)를 이용하여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시스템(3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시스템 백업 기기(200)가 마련됨으로써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다운되는 경우에도 홈 네트워크 설비(100)에 관한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지 네트워크 설비(300)는 세대 허브(160)를 통하여 홈 네트워크 설비(100)와 연결된다. 단지 네트워크 설비(300)는 층 스위치(320), 메인 스위치(330), 주차 관제 시스템(310),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시스템(340),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350), 중앙 관리실 서버(360)를 구비한다. 층 스위치(320)는 각 세대별로 마련된 세대 허브(160)들이 연결되며 아파트 등의 각 층마다 개별적으로 마련된다. 층 스위치(320)에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시스템(340)이 연결되며 홈 게이트웨이(150)에서 입수된 지령에 따라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시스템(340)의 동작이 제어된다. 따라서, 공동 현관을 통한 방문자의 출입을 각 세대에서 원격 관리할 수 있다. 각 층별로 마련된 층 스위치(320)는 단지 내에 마련된 메인 스위치(330)에 연결된다. 메인 스위치(330)에는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350), 주차 관제 시스템(310), 중앙 관리실 서버(360)가 연결된다. 홈 게이트웨이(150)는 세대 허브(160), 층 스위치(320), 메인 스위치(330)를 통하여 외부 네트워크 망에 연결되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외부 네트워크 설비(400) 또는 홈 게이트웨이(150)를 통하여 입수된 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350), 주차 관제 시스템(310), 중앙 관리실 서버(3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지 네트워크 설비(300)는 RS485 통신 규격을 따른다. RS485 통신 규격은 시리얼 통신에 대한 하드웨어적 규격으로서, 송신과 수신이 같은 회선을 사용하는 하프 듀플렉스(half duplex) 방식이며, 멀티 드롭(multi drop)에 의한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고, 최장 1.2km 의 거리에 걸친 통신이 가능하다.
외부 네트워크 설비(400)는 단지 네트워크 설비(3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됨 으로써 홈 네트워크 설비(100)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거나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네트워크 설비(400)는 홈 네트워크 설비(100) 및 단지 네트워크에 마련된 각종 기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외부 네트워크 설비(400)는 유/무선 인터넷 망, 외부 컴퓨터(410), 핸드폰(420), PDA(430)(personal digital assistants), 출동 경비 업체 상황실(440)을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 설비(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지령, 문자 메세지, 영화나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메세지는 단지 네트워크 설비(300)로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설비(100) 및 외부 네트워크 설비(400) 사이에서 양방향 송/수신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60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홈 게이트웨이(150)에 마련되는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600)가 도시된다.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600)는 전화 및 인터폰 기능, 정보 가전 기기(110)의 동작 제어 기능, 방범 기기(120)의 동작 제어 기능, 홈 오토메이션 기기(130)의 동작 제어 기능, 원격 검침 기기(14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세대 내부 또는 원격지에서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600)를 접속하여 홈 네트워크 설비(100), 단지 네트워크 설비(300), 및 외부 네트워크 설비(400)를 인터페이스한다.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600)는 전원 램프(610), 기능 램프(611), 화재/가스 램프(612), 방범 존 램프(613,614,615,616,617), 재택 램프(618), 외출/경비실/공동 현관 버튼(620), 비상 버튼(640), 키 패드(650), 스피커(630), 마이크(660), 터치 스크린(680), 열림 버튼(670), 전원 스위치(690)를 구비한다. 전원 램프(610)는 전원 스위치(690)를 켜면 온(on)되며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600)의 전원 상태를 알린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원 스위치(690)를 켜면 터치 스크린(680)에 초기 메뉴가 표시된다. 초기 메뉴에는 전화나 인터폰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통화 메뉴, 홈 네트워크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메뉴,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범 메뉴, 옵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메뉴가 가상의 그래픽 버튼 형식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메뉴의 선택이 없으면 터치 스크린(680)은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외부에서 전화나 인터폰이 걸려오면 터치 스크린(680)에는 호출 메뉴가 표시되며 외부 호출이 있음을 알린다.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600)를 통하여 방문자 영상의 확인 및 녹화, 원격 검침 기기(140)의 검침, 핸드폰(420)이나 PDA(430) 등 휴대 장치의 아이디 설정, 지문 등록 및 관리, 현관 벨소리 변경 등의 추가적인 옵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능 램프(611)는 이러한 옵션 기능의 설정 상태를 알린다. 터치 스크린(680)에 표시되는 기능 메뉴를 통하여 이러한 옵션 기능의 선택 및 수행이 가능하다.
화재/가스 램프(612)는 화재나 가스 누설을 경보한다. 방범 존 램프(613,614,615,616,617)는 방범 존 설정 상태 및 외부 침입자가 발생하였을 때 방범 경보를 알린다. 재택 램프(618)는 사용자가 세대 내부의 온도나 조명 등을 재택 상태로 설정하였는지 여부를 알린다. 외출/경비실/공동 현관 버튼(620)은 외출 모드를 설정하거나 경비실 및 공동 현관과의 통화시에 눌려진다. 사용자는 이 버튼을 눌러 경비실 인터폰(220) 및 공동 현관기(240)와 통화할 수 있다. 비상 버튼(640) 은 세대 내부 또는 외부에 화재나 가스 누출이 발생하였을 때 눌려진다. 키 패드(650)는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600)의 기능 및 메뉴 설정이나 비밀 번호 입력시 눌려진다. 열림 버튼(670)이 눌려지면 현관이나 공동 현관의 문을 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설비와 단지 네트워크 설비와 외부 네트워크 설비가 시스템 백업 기기를 구비한 채 서로 연결되며, 사용자는 세대 외부 또는 내부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고, 방문자 영상의 확인 및 녹화, 원격 검침 기기의 검침, 핸드폰이나 PDA 등 휴대 장치의 아이디 설정, 지문 등록 및 관리, 현관 벨소리 변경 등의 추가적인 옵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정보 가전 기기, 방범 기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검침 기기, 및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세대 허브를 통하여 외부의 네트워크 망과 연결되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홈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 설비;
    상기 세대 허브와 연결되는 층 스위치 및 메인 스위치, 상기 층 스위치 및 메인 스위치에 연결되는 주차 관제 시스템,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시스템,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 및 중앙 관리실 서버를 구비하며 RS485 통신 규격을 따르는 단지 네트워크 설비;
    상기 홈 네트워크 설비에 연결되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다운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데이터를 백업하는 시스템 백업 기기;
    상기 단지 네트워크 설비와 유/무선의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 설비의 모니터링 및 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설비 및 단지 네트워크 설비에 구비된 각종 기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외부 네트워크 설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는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가 마련되며,
    상기 홈 게이트웨이용 단말기는,
    전원 상태를 알리는 전원 램프;
    방문자 영상의 확인 및 녹화, 원격 검침 기기의 검침 등의 기능 설정 상태를 알리는 기능 램프;
    화재나 가스 누설을 경보하는 화재/가스 램프;
    방범 존 설정 상태 및 방범 경보를 알리는 방범 존 램프;
    재택 설정 상태를 알리는 재택 램프;
    외출 모드를 설정하거나 경비실 및 공동 현관과의 통화시에 눌려지는 외출/경비실/공동 현관 버튼;
    비상 상태시 눌려지는 비상 버튼;
    기능 및 메뉴 설정시나 비밀 번호 입력시 눌려지는 키 패드;
    전화나 인터폰 등의 송신 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통화 메뉴와, 상기 홈 오토메니션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메뉴와, 세대의 보안을 위한 방범 메뉴와, 방문자 영상의 확인 및 녹화, 원격 검침 기기의 검침, 멀티 미디어 서비스 등의 옵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메뉴를 그래픽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제공하며 각종 멀티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60003944A 2006-01-13 2006-01-13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70075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44A KR20070075556A (ko) 2006-01-13 2006-01-13 홈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944A KR20070075556A (ko) 2006-01-13 2006-01-13 홈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556A true KR20070075556A (ko) 2007-07-24

Family

ID=3850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944A KR20070075556A (ko) 2006-01-13 2006-01-13 홈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555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06B1 (ko) * 2011-02-17 2013-02-21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세대단말기의 보조용 서브단말기
US8390432B2 (en) 2008-12-22 2013-03-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appliances based on parking management
KR101256647B1 (ko) * 2008-12-31 2013-04-22 김창성 스위치 폰
WO2013082468A1 (en) * 2011-11-30 2013-06-06 Ulterius Technologies, Llc Dvr module for system having a gateway
KR101381824B1 (ko) * 2011-11-02 2014-04-04 모빌토크(주)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KR101462223B1 (ko) * 2013-09-02 2014-11-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스마트 단말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스마트 단말 자동인식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0432B2 (en) 2008-12-22 2013-03-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appliances based on parking management
KR101256647B1 (ko) * 2008-12-31 2013-04-22 김창성 스위치 폰
KR101235606B1 (ko) * 2011-02-17 2013-02-21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세대단말기의 보조용 서브단말기
KR101381824B1 (ko) * 2011-11-02 2014-04-04 모빌토크(주)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네트워크 기기용 에이디변환 장치 및 홈 네트워크 기기의 통신 제어방법
WO2013082468A1 (en) * 2011-11-30 2013-06-06 Ulterius Technologies, Llc Dvr module for system having a gateway
KR101462223B1 (ko) * 2013-09-02 2014-11-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스마트 단말 자동인식시스템 및 그 스마트 단말 자동인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3732B2 (en) Home intrusion confrontation avoidance system
CN102915630A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JP2004295408A (ja) 住宅用制御・監視統合システム
CN202904854U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KR20070075556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506168B1 (ko)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JP2004135197A (ja) 住宅用制御・監視統合システム
KR20080082531A (ko) 통신 장치로서 사용되는 조명 스위치
TWM613244U (zh) 多重輸入模式及多重輸出通道預警系統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JP2009159678A (ja) 配電システム
JP200431061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4979115B2 (ja) 住居用システム
JP3716171B2 (ja) 携帯端末を利用したホームセキュリティ方法
KR20120061337A (ko)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KR20070097901A (ko)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정수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070075557A (ko) 홈 네트워크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방법
JP2000259970A (ja) 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JP2009159101A (ja) 住宅情報システム
KR20120094601A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세대단말기의 보조용 서브단말기
CN202197295U (zh) 一种小区智能化网络系统
KR20160033390A (ko) 방범방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WO2006001014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home automated system by means of a phone, television or data network
KR200303427Y1 (ko) 블루투스 전화기
KR100351090B1 (ko) 아날로그/디지털정보 변환기능을 갖춘 홈오토메이션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