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337A -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337A
KR20120061337A KR1020100122616A KR20100122616A KR20120061337A KR 20120061337 A KR20120061337 A KR 20120061337A KR 1020100122616 A KR1020100122616 A KR 1020100122616A KR 20100122616 A KR20100122616 A KR 20100122616A KR 20120061337 A KR20120061337 A KR 20120061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terminal
network system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567B1 (ko
Inventor
박종국
강경호
유홍재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2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5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세대 내 기기를 제어하는 양방향 세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세대 네트워크 설비 및 지능형 사물을 통해 직접 수집한 정보 및/또는 지능형 사물이 수집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으로부터 간접 수집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양방향 세대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정보를 양방향 세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사물 지능 통신 센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Home Network System based on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은 세대 내의 모든 기기, 즉, 컴퓨터 관련 기기, A/V 기기,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제어나 보안 기기, 게임기와 같은 오락기기 등을 세대 내의 네트워크로 묶어서 정보를 공유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정보 가전 디바이스에 정보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세대 내부나 외부의 어떤 곳에서도 세대 내 기기들을 쉽게 관리하고 동작시킬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나아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세대 내 기기의 원격제어는 물론 원격 검침, 단지 보안 및 감시활동의 수단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외부 정보, 특히 공공 정보의 능동적인 조회, 이용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와 같은 기능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물 지능 통신(Machine to Machine, 이하 M2M)을 기반으로 하여 외부의 공공 정보를 능동적으로 조회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세대 내 기기를 제어하는 양방향 세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세대 네트워크 설비, 및 제1 지능형 사물을 통해 직접 수집한 정보 또는 제2 지능형 사물이 수집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으로부터 간접 수집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사물 지능 통신 센터를 포함하는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 지능 통신 센터는 개방형 API 서비스 플랫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 지능 통신 센터는 상기 제1 지능형 사물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상기 정보를 수집하는 메인 서버, 상기 메인 서버가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서버, 및 상기 정보가 담긴 웹 페이지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다수의 상기 세대 네트워크 설비와 연결되는 단지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은 상기 단지 서버에 먼저 전달되고, 상기 단지 서버는 상기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대 네트워크 설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대 기기를 총괄 관리하는 홈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은 상기 홈 서버에 먼저 전달되고, 상기 홈 서버는 상기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물 지능 통신 센터는 상기 세대 네트워크 설비 외부의 양방향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정보를 상기 외부의 양방향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외부의 양방향 단말기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대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능형 사물은 전력 계량기, 수도 계량기 및 가스 계량기이고, 상기 사물 지능 통신 센터는 상기 제1 지능형 사물을 통해 직접 수집한 정보를 상기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물 지능 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정보를 능동적으로 조회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지능 통신 센터의 플랫폼을 개방형 API 서비스 플랫폼으로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세대 내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지능 통신 센터와 연동하는 외부 정보 제공 기관의 플랫폼 또한 개방형 API 서비스 플랫폼으로 통일함으로써 다양한 정보, 특히 다양한 공공 정보를 세대 내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대 내의 원격 검침 기기를 개별 공공 기관에서 각자 개별적으로 검침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 검침을 할 수 있고, 이용자는 이 정보를 손쉽게 조회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대 외부에서의 원격 제어까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외부 원격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별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별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 흐름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별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외부 원격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개략도 및/또는 흐름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세대 네트워크 설비(10), 단지 네트워크 설비(20), M2M 센터(30), 외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 및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으로 구성된다.
세대 네트워크 설비(10)는 각각 정보 가전 기기(110), 방범 기기(120), 홈 오토메이션 기기(130), 원격 검침 기기(140), 세대 단말기(150) 및 게이트 웨이(160)를 포함한다. 정보 가전 기기(110)는 컴퓨터, 팩시밀리, 전화기, 복사기 등의 정보 기기와 에어콘,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가전 기기를 통칭하는 용어로 정의된다. 방범 기기(120)는 세대 내부 및 외부에 구역별로 설정된 방범 존에 설치되어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범 경보기, 방범 센서, 제어기를 일컫는다. 홈 오토메이션 기기(130)는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기, 수도 꼭지, 조명 기기, 전원 공급기 등을 포함한다. 원격 검침 기기(140)는 전력 계량기, 수도 계량기, 가스 계량기 등과 연결되어 전력, 수도, 가스 사용량을 원격으로 검침하는 기기이다. 그러나 세대 네트워크 설비(10)에 사용될 수 있는 기기는 상술한 기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세대 내에서 사용가능하며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기기라면 어느 기기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세대 단말기(150)는 각 기기(110, 120, 130, 140)를 홈 게이트 웨이(160)를 통해 단지 네트워크 설비(20)와 연결시키고 각 기기(110, 120, 130, 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일반적으로 세대 단말기(150)는 월 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세대 단말기(150)는 세대 내의 리모콘(153) 또는 리모콘 기능을 가지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각 기기(110, 120, 130, 140)의 제어 신호 및 제어 결과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홈 게이트 웨이(160)는 세대 단말기(150)와 단지 네트워크 설비(20)를 연결하는 통로가 된다. 따라서, 홈 게이트 웨이(160)는 단지 네트워크의 종단역할을 수행하는 모듈과 세대 네트워크의 종단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을 구비한다. 세대 단말기(150)가 홈 게이트 웨이(160)의 기능을 포함할 경우에는 홈 게이트 웨이(160)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중 유선 형태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이더넷(Ethernet), 홈 PNA(Phone line networking Alliance), 전력선(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1394 통신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형태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인 블루투스(blue tooth), 지그비(Zig bee), IEEE 802.11, UWB(Ultra Wide Band) 통신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지 네트워크 설비(20)는 홈 게이트 웨이(160)을 통하여 세대 네트워크 설비(10)와 연결된다. 단지 네트워크 설비(20)는 단지 서버(210), 스토리지 서버(220) 및 단지 네트워크 장비(230)를 포함한다.
단지 서버(210)는 단지 내에 설치하여 홈 네트워크 기기를 총괄 관리하는 서버를 말한다. 스토리지 서버(220)는 관리 로그 및 중앙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고 백업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단지 내 세대 네트워크 설비(10) 수에 따라 스토리지 서버(220)는 단지 서버(210)와 통합될 수 있다.
단지 네트워크 장비(230)는 단지 서버(210)와 홈 게이트 웨이(160) 간의 통신 및 보안을 수행하는 장비로 백본(backbone), 방화벽(fire wall), 워크그룹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2M 센터(30)는 제1 지능형 사물(312)을 통해 직접 수집한 정보 및/또는 제2 지능형 사물(512)이 수집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으로부터 간접 수집한 정보를 세대 단말기(150) 또는 외부 단말기(331)에 외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을 통해 제공하는 센터이다. 따라서, M2M 센터(30)와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은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표준화된 서비스 플랫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2 지능형 사물(312, 512) 이란 지능형 사물 통신이 가능한 플랫폼이 장착된 사물(313) 및 센서 게이트 웨이(315)의 총합을 지칭한다.
M2M 센터(30)는 메인 서버(310), 스토리지 서버(320) 및 웹 서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서버(310)는 제1 지능형 사물(312)로부터 직접 또는 제2 지능형 사물(512)이 수집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정보를 수집한다. 정보를 직접 수집할 경우에는 제1 지능형 사물(312)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수집한 후, 외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송신 받는다. 이 때 수집될 수 있는 정보는 전력, 수도, 가스, 차량, 건강 상태 정보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외에도 사물 지능 센싱이 가능하고 전달이 가능한 정보라면 어느 정보라도 가능하다. 메인 서버(310)는 또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은 제2 지능형 사물(512)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수집된 정보를 메인 서버(310)에 제공한다.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은 공공 정보, 예컨대 기상 정보, 교통 정보, 재난 정보, 환경 정보, 건강 정보 등을 제공하는 공공 정보 서비스 기관일 수 있다. 물론 일반 사설 정보 서비스 기관도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표준화된 서비스 플랫폼이라면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으로 기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M2M 센터(30)와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 사이에는 양방향 정보 제공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스토리지 서버(320)는 메인 서버(310)가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고, 웹 서버(330)는 수집된 정보가 담긴 웹 페이지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세대 외의 원격지에서 이용자는 양방향 단말기(331), 예컨대 컴퓨터(333)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335)를 이용하여 M2M 센터(30)의 웹 서버(330)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제1 지능형 사물(312)이 세대 내의 원격 검침 기기(140), 구체적으로 전력 계량기, 수도 계량기 및 가스 계량기이고,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이 한국 전력, 수도 회사 및 가스 회사일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전력에서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수도 회사에서는 무선 통신을 통해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고, 가스 회사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가스 사용량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던 종래의 복잡한 방식에서 M2M 센터(30)에서 전력 사용량,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을 통합적으로 측정하여 이 정보를 세대 단말기(150) 또는 외부 단말기(33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은 한국 전력, 수도 회사, 가스 회사일 수 있으며, M2M 센터(30)에서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댁내의 이용자가 먼저 세대 내의 리모콘(153) 또는 리모콘 기능을 가지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155)를 사용하여 세대 단말기(150)에 정보 조회 요청을 하거나 이용자가 세대 단말기(150)에 직접 정보 조회 요청을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201), 세대 단말기(150)가 홈 게이트웨이(160)와 단지 네트워크 장비(230)를 거쳐 단지 서버(210)에 정보 조회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S202). 단지 서버(210)는 스토리지 서버(220)에 요청 정보의 최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는 확인한다(S203). 최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세대 단말기(150) 및 이동 통신 단말기(155)에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S204). 만약 스토리지 서버(220)에 해당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지 서버(210)는 외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M2M 센터(30)의 메인 서버(310)에 정보 조회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S205). 메인 서버(310)는 스토리지 서버(320)에 요청 정보의 최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는 확인한다(S206). 최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세대 단말기(150) 및 이동 통신 단말기(155)에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S207). 만약 스토리지 서버(220)에 해당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메인 서버(310)는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에 정보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S208).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는 해당 정보를 검색하여 새로운 정보인 경우에는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정보를 메인 서버(310)로 전달하면, 메인 서버(310)는 이를 단지 서버(210)에 전달하고, 단지 서버(210)는 최종적으로 세대 단말기(150) 및 이동 통신 단말기(155)에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S209).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외부 원격 제어의 흐름도이다.
먼저, 세대 외의 원격지에서 단말기(331), 예컨대 컴퓨터(333)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335)에 정보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S301), 단말기(331)는 외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웹 서버(330)에 정보 조회 요청을 하고(S302) 웹 서버(330)는 요청된 정보를 제공한다(S303). 조회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대 기기의 제어 요청을 하고자 할 경우 단말기(331)에서 기기제어 신호를 발생하면(S304), 단말기(331)에서 외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기기 제어 신호를 단지 서버(210)로 전달한다(S305). 단지 서버(210)는 다시 제어 신호를 홈 게이트 웨이(160)를 거쳐 세대 단말기(150)로 전달하여(S306) 세대 내 기기가 제어되도록 한다. 세대 내 기기의 제어 결과는 먼저 단지 서버로 전송되고(S307), 이어서 원격지의 단말기로 전송된다(S308).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별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별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1 실시예와 달리 단지 네트워크 설비(20)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단지 서버(210)와 유사하게 홈 네트워크 기기를 총괄 관리하기 위한 홈 서버(170)를 세대 내에 독립적으로 구비한다. 홈 서버(170)는 홈 게이트 웨이(160)와 복합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별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댁내의 이용자가 먼저 세대 내의 리모콘(153) 또는 리모콘 기능을 가지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155)를 사용하여 세대 단말기(150)에 정보 조회 요청을 하거나 이용자가 세대 단말기(150)에 직접 정보 조회 요청을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501), 세대 단말기(150)가 홈 게이트웨이(160)를 거쳐 홈 서버(170)에 정보 조회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S502). 홈 서버(170)는 요청 정보의 최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503). 최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세대 단말기(150) 및 이동 통신 단말기(155)에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S504). 만약 해당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지 서버(210)는 외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M2M 센터(30)의 메인 서버(310)에 정보 조회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S505). 메인 서버(310)는 스토리지 서버(320)에 요청 정보의 최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는 확인한다(S506). 최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면 이를 세대 단말기(150) 및 이동 통신 단말기(155)에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S507). 만약 스토리지 서버(220)에 해당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메인 서버(310)는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에 정보 조회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S208).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50)는 해당 정보를 검색하여 새로운 정보인 경우에는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정보를 메인 서버(310)로 전달하면, 메인 서버(310)는 이를 홈 서버(170)에 전달하고, 홈 서버(170)는 최종적으로 세대 단말기(150) 및 이동 통신 단말기(155)에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S509).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별 주택용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외부 원격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댁 외의 원격지에서 단말기(331), 예컨대 컴퓨터(333)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335)에 정보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S601), 단말기(331)는 외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웹 서버(330)에 정보 조회 요청을 하고(S602) 웹 서버(330)는 요청된 정보를 제공한다(S603). 조회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대 기기의 제어 요청을 하고자 할 경우 단말기(331)에서 기기제어 신호를 발생하면(S604), 단말기(331)에서 외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기기 제어 신호를 홈 서버(170)로 전달한다(S605). 홈 서버(170)는 다시 제어 신호를 홈 게이트 웨이(160)를 거쳐 세대 단말기(150)로 전달하여(S606) 세대 내 기기가 제어되도록 한다. 세대 내 기기의 제어 결과는 먼저 홈 서버(170)로 전송되고(S607), 이어서 원격지의 단말기(331)로 전송된다(S608).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이용 시간이 적은 밤시간을 이용해 메인 서버(310)와 단지 서버(210)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물 지능 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정보를 능동적으로 조회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지능 통신 센터의 플랫폼을 개방형 API 서비스 플랫폼으로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세대 내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지능 통신 센터와 연동하는 외부 정보 제공 기관의 플랫폼 또한 개방형 API 서비스 플랫폼으로 통일함으로써 다양한 정보, 특히 다양한 공공 정보를 세대 내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대 내의 원격 검침 기기를 개별 공공 기관에서 각자 개별적으로 검침하는 것이 아니라 M2M 센터에서 통합 검침을 할 수 있고, 이용자는 이 정보를 손쉽게 조회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대 외부에서의 원격 제어까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세대 네트워크 설비 20: 단지 네트워크 설비
30: M2M 센터 40: 외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50: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세대 내 기기를 제어하는 양방향 세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세대 네트워크 설비; 및
    제1 지능형 사물을 통해 직접 수집한 정보 또는 제2 지능형 사물이 수집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으로부터 간접 수집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사물 지능 통신 센터를 포함하는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지능 통신 센터는 개방형 API 서비스 플랫폼으로 구성된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지능 통신 센터는 상기 제1 지능형 사물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상기 정보를 수집하는 메인 서버;
    상기 메인 서버가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서버; 및
    상기 정보가 담긴 웹 페이지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를 포함하는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다수의 상기 세대 네트워크 설비와 연결되는 단지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은 상기 단지 서버에 먼저 전달되고,
    상기 단지 서버는 상기 상기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네트워크 설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대 기기를 총괄 관리하는 홈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은 상기 홈 서버에 먼저 전달되고,
    상기 홈 서버는 상기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양방향 세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지능 통신 센터는 상기 세대 네트워크 설비 외부의 양방향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정보를 상기 외부의 양방향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외부의 양방향 단말기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대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능형 사물은 전력 계량기, 수도 계량기 및 가스 계량기이고, 상기 사물 지능 통신 센터는 상기 제1 지능형 사물을 통해 직접 수집한 정보를 상기 외부 정보 서비스 기관에 제공하는 M2M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00122616A 2010-12-03 2010-12-03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KR10119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616A KR101194567B1 (ko) 2010-12-03 2010-12-03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616A KR101194567B1 (ko) 2010-12-03 2010-12-03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337A true KR20120061337A (ko) 2012-06-13
KR101194567B1 KR101194567B1 (ko) 2012-10-25

Family

ID=4661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616A KR101194567B1 (ko) 2010-12-03 2010-12-03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5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784A1 (ko) * 2012-07-11 2014-01-16 전자부품연구원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KR101397471B1 (ko) * 2012-10-16 2014-05-20 전자부품연구원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KR20150005225A (ko) * 2013-07-05 2015-01-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바이스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160005828A (ko) * 2014-07-07 2016-01-18 라임아이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사물지능통신 기기들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92B1 (ko) * 2012-12-07 2014-05-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ns를 이용한 사물통신 시스템, 방법 및 그 사물통신 서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784A1 (ko) * 2012-07-11 2014-01-16 전자부품연구원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US9967343B2 (en) 2012-07-11 2018-05-08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
KR101397471B1 (ko) * 2012-10-16 2014-05-20 전자부품연구원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KR20150005225A (ko) * 2013-07-05 2015-01-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바이스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160005828A (ko) * 2014-07-07 2016-01-18 라임아이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사물지능통신 기기들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567B1 (ko)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7642C1 (ru) ЭФФЕКТИВНЫЙ СЕТЕВОЙ УРОВЕНЬ ДЛЯ ПРОТОКОЛА IPv6
US7253732B2 (en) Home intrusion confrontation avoidance system
US7983795B2 (en) Networked electrical interface
US20080015740A1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multiple networked sensors
CN104133459A (zh) 对智能家居设备进行控制的方法及系统
KR101194567B1 (ko)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CN102915630A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KR20150059081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2546324A (zh) 一种物联网智能家居系统及方法
KR101884593B1 (ko)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CN111478873A (zh) 室内无线通信网和物联网系统
Möller et al. Ubiquitous networks: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Internet of things in smart home environments
Omran et al. A survey of various intelligent home applications using IoT and intelligent controllers
EP2913636B1 (en) A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910766B1 (ko)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KR101992979B1 (ko)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JP2017108382A (ja) 住宅
JP2015192236A (ja) 電子機器および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
JP2006250768A (ja) 電力量遠隔自動検針値利用管理方法および電力量遠隔自動検針値利用管理システム
JP2014525618A (ja) 家庭内周辺機器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365168B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 공간 전원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3455675U (zh) 一种基于ZigBee技术的能耗监控系统
TW201517553A (zh) 資訊通知方法
JP2006033718A (ja) 集中制御システムの端末装置および集中制御システム
JP4423737B2 (ja) 電力・電灯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