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471B1 -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471B1
KR101397471B1 KR1020120114877A KR20120114877A KR101397471B1 KR 101397471 B1 KR101397471 B1 KR 101397471B1 KR 1020120114877 A KR1020120114877 A KR 1020120114877A KR 20120114877 A KR20120114877 A KR 20120114877A KR 101397471 B1 KR101397471 B1 KR 101397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platform
management unit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8659A (ko
Inventor
송민환
이상신
김재호
안일엽
윤재석
류민우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1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4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IoT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IoT 장치에 따르면, D-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개방형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IoT 장치가 D-플랫폼에 적용되어 쉽게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IoT Device and IoT Adapter with Device Platform}
본 발명은 IoT 장치 및 IoT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플랫폼이 설치되어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IoT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 : 사물 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8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Auto-ID 랩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후 2005년 ITU-T에서 `The Internet of Things`라는 연차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IoT은 미래 정보기술(IT) 산업 혁명의 모든 구조를 담는 가장 기본틀이 될 것임을 예고한 바 있다. 보고서는 IoT을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사물(things)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라고 정의했다. 즉, IoT은 명실상부한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공간은 특정 기능이 내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환경과 사물에 심어져 환경이나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부터 시작된다.
IoT 서비스는 우리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다양한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업체는 차세대 모바일 서비스로 떠오를 IoT 지원용 단말과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IoT은 현재 초기 단계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모델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된 개방형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IoT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수많은 개발자가 쉽게 IoT 서비스 제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IoT 장치는 디바이스 플랫폼(D-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기능적인 구분을 바탕으로 네 가지 플랫폼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개방형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개방형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시켜 주기 위한 D-플랫폼, 글로벌 환경에서 IoT 장치 등록 및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P-플랫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IoT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환경을 위한 앱스토어 플랫폼인 S-플랫폼, 다양한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플랫폼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플랫폼(Device Plarform)이 설치된 IoT(Internet of Things) 장치에 있어서, 상기 D-플랫폼은, IoT 플랫폼과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IoT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어 명령을 상기 IoT 장치로 전달하는 서비스 관리부; 상기 IoT 장치를 등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교환하고, 상기 IoT 장치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전달하는 클라이언트 관리부; 오픈 API를 통해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장치 정보 관리부로 전달하는 오픈 API 관리부; 및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 상기 IoT 장치에서 생성한 데이터 및 제어 명령을 저장 및 전달하는 장치 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인증키 및 보안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보안 정보, 시스템 리셋, 일시 정지 및 재가동을 관리하는 장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 정보 관리부는, 장치 정보의 변경, IoT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 수신시 해당 관리부로 이벤트를 송신하는 이벤트 제어부; 장치 정보, IoT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및 외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내부 저장, 내부 관리부간 정보교환, 외부 플랫폼과의 정보 교환에 적합하도록 데이터포맷을 변환하는 리소스 포맷터; 및 상기 장치 정보,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저장하는 장치 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장치 정보 또는 데이터가 상기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관리부에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클라이언트 관리부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장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인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 제어부는, 상기 오픈 API 관리부로부터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가 상기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면,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제2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인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는, 장치 ID, 장치명, 모델명, 제조사, 위치정보, 장치상태정보, 및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연결시 필요한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된 D-플랫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IoT 장치는 D-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IoT 장치가 D-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안된 개방형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IoT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수많은 개발자가 쉽게 IoT 서비스 제공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이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플랫폼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 사물 인터넷)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은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D-플랫폼(110)은 IoT 장치(115) 측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나타내고,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은 서버 컴퓨터 측에 각각 또는 함께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나타낸다.
D-플랫폼(110)은 Device 플랫폼의 약자로, IoT 장치(115)에 직접 설치되거나 IoT 장치(115)에 장착되는 IoT 어댑터(adapter)에 설치되어, P-플랫폼(120) 및 M-플랫폼(130)과 연동하고, IoT 애플리케이션 및 IoT 웹사이트를 통해 스마트 기기와 연동한다.
여기서, IoT 장치(115)는 IoT가 적용된 일반적인 사물들(예를 들어, 각종 센서, 제어 장치, 휴대폰, 냉장고, 청소기, 세탁기, 자동 판매기 등)을 나타낸다.
IoT 어댑터는 IoT 장치(115)에 장착되어 사물이 IoT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IoT 어댑터는 근거리 무선통신, 와이파이(Wi-fi), 이더넷(Ethernet), 3G, 4G, LT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고, IoT 어댑터에 설치된 D-플랫폼(110)은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과 약속된 정보 교환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P-플랫폼(120)은 Planet 플랫폼의 약자로, IoT 장치(115) 관리, 이용자 관리, IoT 장치(115) 모니터링, IoT 장치(115)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P-플랫폼(120)은 IoT 서비스 제공자(10)로부터 IoT 장치(115)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IoT 장치(115)를 등록한다. 이때, IoT 장치(115)에 대한 정보는 장치 ID, 장치명, 모델명, 제조사, 위치정보, 장치상태정보 등을 포함하고, IoT 장치(115)에 대한 연결시 필요한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 MSISDN 등)가 포함된다.
P-플랫폼(120)은 IoT 장치(115)의 등록 및 관리를 담당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P-플랫폼(120)이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IoT 장치(115)를 P-플랫폼(120)에 등록한다. 또한, P-플랫폼은 IoT 장치(115)에 관한 정보를 IoT 브라우저 등에 전달함으로써 일반 사용자가 IoT 브라우저 등을 통해 IoT 장치의 검색/조회를 가능케 한다.
그리고, P-플랫폼(120)은 IoT 서비스를 위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등록 및 다운로드 하기 위해 S-플랫폼(130)에 접근하는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용자 인증을 위해 P-플랫폼(120)은 이용자의 ID/PW, 전화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P-플랫폼(120)은 IoT 관련 매쉬업(Mash-up) 서비스를 개발하여 등록하는 개발자나 매쉬업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서비스/개발자 인증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P-플랫폼(120)은 스마트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IoT 서비스 이용자의 IoT 서비스 접속을 인증한다.
M-플랫폼(130)은 Mash-up 플랫폼의 약자로, D-플랫폼(110)과 통신하여 IoT 애플리케이션이나 IoT 웹페이지를 통한 서비스 이용자의 제어 명령을 IoT 장치(115)에 전달한다.
또한, M-플랫폼(130)은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60)에 의해 개발된 IoT 매쉬업 서비스를 등록받는다. 즉,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60)는 IoT 매쉬업 서비스를 개발하여 M-플랫폼(130)에 등록하게 된다. 이때,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60)는 오픈 API 서버(150)로부터 제공된 IoT 오픈 API를 이용하여 IoT 매쉬업 서비스를 개발할 수도 있다.
IoT 장치들(115)은 M-플랫폼(130)에 자신들이 생성한 데이터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이에 M-플랫폼(130)은 IoT 장치(115)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로그로 저장함으로서 다양한 IoT 매쉬업 서비스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이용한다.
또한, M-플랫폼(130)은 IoT 매쉬업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며, IoT 장치들(115)에 대한 간략한 정보(예를 들어, ID, IP 주소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S-플랫폼(140)은 Store 플랫폼의 약자로, IoT 서비스를 위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S-플랫폼(140)은 애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S-플랫폼(140)은 IoT 장치(115)의 ID를 기준으로 해당 IoT 장치(115)의 IoT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IoT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해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S-플랫폼(140)은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자(50)에 의해 개발된 IoT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한다.
오픈 API 서버(150)는 IoT 서비스에 관련된 오픈 API를 관리 및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IoT 장치(115)의 개발사는 IoT 장치(115)를 제조할 때 해당 IoT 장치(115)에 대한 오픈 API를 함께 개발하여, 관련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150)에 등록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러면, 오픈 API 서버(150)는 이와 같이 다양한 개발사들에 의해 개발된 IoT 장치(115) 각각에 대한 다양한 오픈 API를 등록 및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오픈 API 서버(150)는 저장된 오픈 API를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를 개발하고자하는 개발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오픈 API 서버(150)로부터 관련 오픈 API를 제공받아, 제공된 오픈 API를 이용한 IoT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IoT 장치 제조사가 IoT 장치(115)에 대한 상태 정보(예를 들어, 고장 여부)를 제공하는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150)에 등록한 경우, 개발자는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150)에서 검색 및 이용하여 IoT 장치(115)의 상태를 조회하는 기능을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IoT 애플리케이션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IoT 서비스 이용자는 모바일 기기의 일종인 스마트 기기(40)에 다운로드된 IoT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직접 IoT 장치(115)에 접근하여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IoT 장치(115)는 스마트 기기(40)와 M-플랫폼(130)의 중계를 통해 연결되거나 P2P(Peer to Peer) 통신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IoT 장치(115)의 D-플랫폼(110)은 스마트 기기(40)의 IoT 애플리케이션과 M-플랫폼(130)의 중계를 통해 간접 통신하거나 P2P 통신을 이용하여 직접 통신하게 된다.
P2P 통신의 경우, IoT 장치(115)는 수집된 데이터 혹은 제어 명령을 M-플랫폼(130)을 통하지 않고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40)의 어플리케이션 혹은 외부 어플리케이션 및 외부기기와 직접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때, P-플랫폼(120)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중계해 주는 역할을 하며 M-플랫폼(130)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의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은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이 서로 연동되어 다양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가 Io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가 스마트 기기(40)를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가 스마트 기기(40)를 이용하여 IoT 브라우저를 실행시키면 IoT 브라우저가 P-플랫폼(120)에 접속하고(S210), P-플랫폼(120)은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가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S220).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가 유효한 이용자인 경우, P-플랫폼(120)은 IoT 브라우저에 나타낼 IoT 장치들에 대한 정보들을 전달하고(S230), IoT 브라우저는 P-플랫폼(120)으로부터 전달받은 IoT 장치들을 나열한다(S240).
S240단계에서의 IoT 장치 나열은, 지도상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거나 텍스트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S240단계에서 나열된 IoT 장치들 중 하나가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IoT 브라우저는 선택된 IoT 장치의 ID를 P-플랫폼(120)에 전달하여 선택된 IoT 장치(115)에 대한 세부 정보를 P-플랫폼(120)으로부터 전달받는다(S250). 전달받은 세부 정보는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의 요청시 IoT 브라우저에 표시가능하다.
또한, IoT 브라우저는 선택된 IoT 장치의 ID를 S-플랫폼(140)에 전달하여 선택된 IoT 장치(115)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S-플랫폼(140)으로부터 전달받아 표시한다(S260). S260단계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선택된 IoT 장치(115)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선택된 IoT 장치(115)에 관련한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다.
다음, S260단계에서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나열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가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IoT 브라우저는 S-플랫폼(140)에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는다(S270).
이후, 스마트 기기(40)는 S270단계에서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IoT 장치(11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280).
구체적으로, 스마트 기기(40)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M-플랫폼(130)을 통해 IoT 장치(115)에 장착된 D-플랫폼(110)에 접속한 후 IoT 장치(11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에 따라서 중간에 M-플랫폼(130)이 불필요한 경우, 스마트 기기는 S270단계에서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하고 IoT 장치(115)에 장착된 D-플랫폼(110)에 직접 접속하여 IoT 장치(115)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는 S270단계에서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M-플랫폼(130)에 제공하는 IoT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은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이 서로 연동되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스마트 기기(40)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IoT 장치(115)에 장착된 D-플랫폼(110)에 접속한 후 IoT 장치(115)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M-플랫폼(130)에 접속하여 IoT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스마트 기기(40)가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IoT 장치(115)의 제어와 IoT 매쉬업 서비스 제공을 위한 IoT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IoT 장치(115)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IoT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IoT 장치 선택은 IoT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상정하였는데 이는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IoT 장치의 ID나 명칭을 직접 입력하여 검색/선택하거나, IoT 장치의 카테고리별 검색을 통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IoT 장치에 부착된 QR 코드로부터 IoT 장치의 ID를 획득하여 IoT 장치를 선택하거나, IoT 장치와 NFC, ZigBee,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ID를 획득하여 IoT 장치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D-플랫폼(11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플랫폼(110)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플랫폼(110)은 인터페이스부(310), 서비스 관리부(320), 클라이언트 관리부(330), 오픈 API 관리부(340), 장치 정보 관리부(350), 장치 관리부(360), 및 네트워크 관리부(37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310)는 IoT 장치(115)의 플랫폼과 D-플랫폼(320)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310)는 IoT 장치(115)로부터 장치 정보 및 생성된 데이터(IoT 매쉬업 서비스에 이용하게 될 데이터)를 추출하여 서비스 관리부(320)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관리부(32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IoT 장치(115)로 전송한다.
이때, IoT 장치(115)에 대한 정보는 장치 ID, 장치명, 모델명, 제조사, 위치정보, 장치상태정보 등을 포함하고, 또한 IoT 장치(115)에 대한 연결시 필요한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 MSISDN 등)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310)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비스 관리부(320)는 D-플랫폼(1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관리부(320)는 IoT 장치(115)에 대한 장치 정보를 장치 정보 관리부(350)로 전달한다. 또한, 서비스 관리부(320)는 IoT 장치(115)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장치 정보 관리부(35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IoT 장치(115)가 에어콘이고 M-플랫폼(130)에서 현재 온도 정보를 제공하는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서비스 관리부(320)는 IoT 장치(115)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장치 정보 관리부(350)로 전달한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부(320)는 장치 정보 관리부(35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을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IoT 장치(115)로 전달하게 된다.
클라이언트 관리부(330)는 클라이언트인 IoT 장치(115)에 대한 장치 정보를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에 전달하고, IoT 장치(115)가 생성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관리부(330)는 장치 정보 관리부(350)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를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의 P-플랫폼(120)에 전달함으로써, IoT 장치(115)를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에 등록하게 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관리부(330)는 장치 정보 관리부(350)로부터 수신된 IoT 장치(115)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의 M-플랫폼(130)에 전달함으로써, 매쉬업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오픈 API 관리부(340)는 오픈 API를 통해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으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장치 정보 관리부(35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오픈 API 관리부(340)는 P-플랫폼(120) 및 M-플랫폼(130)으로부터 오픈 API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장치 정보 관리부(35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오픈 API 관리부(340)는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으로부터 IoT 장치(115)로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픈 API 관리부(340)는 P-플랫폼(120)으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대한 데이터를 오픈 API를 통해 수신하여 장치 정보 관리부(350)로 전송한다.
또한, 오픈 API 관리부(340)는 스마트 기기(40) 또는 다른 외부기기 등과 직접 연결되어 제어 명령 수신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때, 스마트 기기(40)는 IoT 장치(115)와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연결되어 직접 통신하게 되며, 오픈 API 관리부(340)는 P2P용 오픈 API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게 된다.
장치 정보 관리부(350)는 IoT 장치(115)에 대한 장치 정보, 데이터 및 제어 명령을 저장 및 전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정보 관리부(350)는 이벤트 제어부(352), 리소스 포맷터(formatter)(354) 및 장치 정보 저장부(356)를 포함한다.
이벤트 제어부(352)는 장치 정보 관리부(350)의 다양한 동작을 위해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제어부(352)는 서비스 관리부(320)로부터 장치 정보, 장치 정보 변경 또는 데이터가 장치 정보 저장부(356)에 저장되면, 클라이언트 관리부(330)에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제1 이벤트가 발생되면, 클라이언트 관리부(330)는 장치 정보 저장부(356)에 저장된 장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인출하여 처리한다.
또한, 이벤트 제어부(352)는 오픈 API 관리부(340)로부터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가 장치 정보 저장부(356)에 저장되면, 서비스 관리부(320)에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제2 이벤트가 발생되면, 서비스 관리부(320)는 장치 정보 저장부(356)에 저장된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인출하여 처리한다.
리소스 포맷터(354)는 서비스 관리부(320)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 및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관리부(330)가 처리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리소스 포맷터(354)는 오픈 API 관리부(34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서비스 관리부(320)가 처리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시킨다.
구체적으로, 리소스 포맷터(354)는 장치 정보, 데이터 및 제어 명령을 내부 저장, 내부 관리부 간 정보 교환, 외부 플랫폼과의 정보 교환에 적합하도록 데이터포맷을 변환한다.
장치 정보 저장부(356)는 장치 정보, 데이터, 제어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치 정보 베이스(DIB : Device Information Base)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장치 정보 관리부(350)는 IoT 장치(115)에 대한 장치 정보, 데이터 및 제어 명령을 저장하고, 서비스 관리부(320), 클라이언트 관리부(330) 및 오픈 API 관리부(340) 사이에서 장치 정보, 데이터 및 제어 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장치 관리부(360)는 IoT 장치(115)에 대한 보안 정보 및 기본적인 제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장치 관리부(360)는 IoT 장치(115)의 인증키 및 보안 알고리즘을 관리한다. 또한, 장치 관리부(360)는 IoT 장치(115)의 시스템 리셋, 일시 정지 및 재가동을 제어하고, 펌웨어 버전 관리 및 업데이트를 관리한다.
네트워크 관리부(370)는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관리부(370)는 이동 통신망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 망을 통해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과 통신하도록 선택 및 관리하게 된다. 여기에서, 이동 통신망은 3G망, 4G망, SMS망 등이 될 수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망은 무선랜, 와이파이(WIFI), 이더넷 망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D-플랫폼(110)은 IoT 장치(115)에 직접 설치되거나 IoT 장치(115)에 장착되는 IoT 어댑터(adapter)에 설치되어, P-플랫폼(120) 및 M-플랫폼(130)과 연동하고, IoT 애플리케이션 및 IoT 웹사이트를 통해 스마트 기기(40)와 연동함으로써, IoT 장치(115)가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은 그 명칭에 제한되지 않으며 해당 기능에 해당되는 소프트웨어, 전자 장치, 또는 시스템이라면 어느 것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은 소프트웨어 플랫폼 형태가 아닌 이외의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 솔루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개별적인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술된 D-플랫폼(110)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 110 : D-플랫폼
310 : 인터페이스부 320 : 서비스 관리부
330 : 클라이언트 관리부 340 : 오픈 API 관리부
350 : 장치 정보 관리부 360 : 장치 관리부
370 : 네트워크 관리부

Claims (8)

  1. D-플랫폼(Device Plarform)이 설치된 IoT(Internet of Things) 장치에 있어서,
    상기 D-플랫폼은,
    IoT 플랫폼과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IoT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어 명령을 상기 IoT 장치로 전달하는 서비스 관리부;
    상기 IoT 장치를 등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교환하고, 상기 IoT 장치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전달하는 클라이언트 관리부;
    오픈 API를 통해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장치 정보 관리부로 전달하는 오픈 API 관리부; 및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 상기 IoT 장치에서 생성한 데이터 및 제어 명령을 저장 및 전달하는 장치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인증키 및 보안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보안 정보, 시스템 리셋, 일시 정지 및 재가동을 관리하는 장치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정보 관리부는,
    장치 정보의 변경, IoT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 수신시 해당 관리부로 이벤트를 송신하는 이벤트 제어부;
    장치 정보, IoT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및 외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내부 저장, 내부 관리부간 정보교환, 외부 플랫폼과의 정보 교환에 적합하도록 데이터포맷을 변환하는 리소스 포맷터; 및
    상기 장치 정보, 데이터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저장하는 장치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장치 정보 또는 데이터가 상기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관리부에 제1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클라이언트 관리부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장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인출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제어부는,
    상기 오픈 API 관리부로부터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가 상기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면,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제2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제2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인출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IoT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는,
    장치 ID, 장치명, 모델명, 제조사, 위치정보, 장치상태정보, 및 상기 IoT 장치에 대한 연결시 필요한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장치.
  8. 삭제
KR1020120114877A 2012-10-16 2012-10-16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KR101397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877A KR101397471B1 (ko) 2012-10-16 2012-10-16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877A KR101397471B1 (ko) 2012-10-16 2012-10-16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659A KR20140048659A (ko) 2014-04-24
KR101397471B1 true KR101397471B1 (ko) 2014-05-20

Family

ID=5065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877A KR101397471B1 (ko) 2012-10-16 2012-10-16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4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41B1 (ko) * 2015-01-22 2016-03-08 주식회사 럭스로보 플랫폼을 이용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
KR101772314B1 (ko) * 2016-02-18 2017-09-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Introspection 기법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보호 방법 및 시스템
WO2017179785A1 (ko) * 2016-04-14 2017-10-19 (주)시옷 전자 기기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10627789B2 (en) 2014-11-05 202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device, driving method of user device,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of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11647090B2 (en) 2018-01-15 2023-05-0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patio-cohesive service discovery and dynamic service handover for distributed IoT environ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692B1 (ko) * 2014-06-09 2014-10-21 (주) 엘케이일레븐 Iot기반 조립형 종단 단말장치
KR101597725B1 (ko) * 2015-01-19 2016-02-25 (주)포스트미디어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66247B1 (ko) * 2015-01-30 2021-06-17 주식회사 헬로긱스 사물 인터넷 교육용 시스템
KR101642739B1 (ko) * 2015-05-20 2016-08-02 유엔젤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64963B1 (ko) 2015-05-29 2016-10-12 주식회사 스마트큐 사물인터넷을 위한 안전한 디바이스 보안과 인증 절차를 처리하는 시스템
KR101690968B1 (ko) * 2016-04-18 2016-12-29 (주)케이사인 사물인터넷 플랫폼 연동 방법
KR102271955B1 (ko) * 2017-05-08 2021-07-0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IoT 서비스 연동 기반 비접촉 가전기기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101866415B1 (ko) * 2017-05-11 2018-06-11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편리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로컬망 또는 원격망 IoT 서비스의 융합 및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0657A (ko) 2018-06-29 2020-01-31 (주)글루버 사물 인터넷을 위한 디바이스 보안/인증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3359B1 (ko) * 2018-12-26 2020-03-02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범용적 확장성이 구현된 스마트 IoT 커넥티드 폴 장치
KR102279889B1 (ko) * 2019-06-17 2021-07-21 (주)에스유지 개방형 IoT 플랫폼 기반 모바일 환경에서의 선용품 오픈마켓 구축 방법
KR102106771B1 (ko) * 2020-02-25 2020-05-06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적응적 프로토콜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스마트 IoT 커넥티드 폴 장치
KR20210127095A (ko) 2020-04-13 2021-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2m 시스템에서 로그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234A (ko) * 2009-12-22 2011-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KR20120061337A (ko) * 2010-12-03 2012-06-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KR101188507B1 (ko) 2011-06-15 2012-10-05 한국과학기술원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234A (ko) * 2009-12-22 2011-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KR20120061337A (ko) * 2010-12-03 2012-06-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KR101188507B1 (ko) 2011-06-15 2012-10-05 한국과학기술원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 : (2012.06.25)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7789B2 (en) 2014-11-05 2020-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device, driving method of user device,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of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KR101601141B1 (ko) * 2015-01-22 2016-03-08 주식회사 럭스로보 플랫폼을 이용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
KR101772314B1 (ko) * 2016-02-18 2017-09-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Introspection 기법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보호 방법 및 시스템
WO2017179785A1 (ko) * 2016-04-14 2017-10-19 (주)시옷 전자 기기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11647090B2 (en) 2018-01-15 2023-05-0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patio-cohesive service discovery and dynamic service handover for distributed IoT environ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659A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471B1 (ko)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KR101392868B1 (ko)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KR101558236B1 (ko) IoT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JP6811263B2 (ja) M2m−iotサービスのパブリケーションおよび発見
CN106538042B (zh) 订户标识模块管理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US20220131946A1 (en) Enhanced Restful Operations
KR102646526B1 (ko) 기기간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자동화된 서비스 등록
US11032132B2 (en) Resource link binding management
US9800996B2 (en) Machine to machine system, method and serve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CN106471465A (zh) 服务启用器功能
KR101465522B1 (ko)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실행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47683A (ko) 기기간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94389B1 (ko)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US20150213138A1 (en) Thing device based on thing searching browser, and mashup method between things
KR101938734B1 (ko) 게이트웨이 기반의 m2m 디바이스들 기능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523702B1 (ko) IoT 플랫폼 서버 및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KR101437430B1 (ko)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349773B1 (ko)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80012108A (ko) 통신망 추상화 기술을 이용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45121B1 (ko) M2m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통신 방법
Carvalho et al. RConnected Middleware: Location based services for IoT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