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507B1 -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507B1
KR101188507B1 KR1020110058062A KR20110058062A KR101188507B1 KR 101188507 B1 KR101188507 B1 KR 101188507B1 KR 1020110058062 A KR1020110058062 A KR 1020110058062A KR 20110058062 A KR20110058062 A KR 20110058062A KR 101188507 B1 KR101188507 B1 KR 10118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ode
network
user terminal
technolog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배성호
하민근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58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이기종의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중계하고, 각 통신망의 리소스를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센서 노드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아이피 주소를 제2종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아이피 검색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센서 노드와의 통신 수행 요청 수신 시, 통신 수행에 사용되는 데이터 중 복수의 센서 노드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공급하는 고정 컨텐츠 공급부; 및 데이터 중 센서 노드의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센서 노드로 압축하여 송신하고, 센서 노드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THE DEVICE AND METHOD FOR RELAYING HETEROGENEOUS NETNORK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BASED ON TECHNOLOGY OF RELAYING NETWORK AND BROWSING THINGS OF INTERNET OF THINGS BASED ON IP USING WEB PLATFORM}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를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통신 가능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란 Internet of objects로도 불리우며, 통신 가능한 모든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상호 통신 수행이 가능한 개념을 의미한다. 시스템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모든 객체는 Things 또는 Object로 분류하며, 여기에는 RFID를 포함한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센서 등 데이터 생산 및 이용이 가능한 사물(또는 센서 노드라 칭함) 또는 사람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 노드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공간에 있는 센서 노드 등의 사물로부터 정보를 얻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존재하는 다양한 센서 노드 들은 각 센서 노드 별 네트워크에 최적화된 이기종의 프로토콜을 각각 사용해 왔다.
예를 들어, 기존 인터넷은 리소스가 충분한 컴퓨터와 같은 디바이스 사이에서 사용되었으며, 센서 등 사물간의 통신은 상대적으로 리소스가 없거나 제한된 RFID, ZigBee 등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트위터 및 페이스 북 등의 인터넷 서비스가 모바일 장치까지 확대되어, 모바일을 지원하는 웹페이지가 늘어나면서 모바일의 시스템 레벨 제어를 위한 기능도 HTML5의 표준안에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만을 위한 네트워크를 넘어 모바일 및 임베디드 디바이스의 영역까지 인터넷이 확장되고 있으며, 웹 플랫폼은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프로토콜로, 인터넷 시장에서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한편 유비쿼터스 컴퓨팅 등 사물간 네트워크 기술에서도 폐쇄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의 최적화를 얻기 위한 연구보다는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 호환성을 개선하기 위한 사물간 통신(M2M,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Internet of Things(IoT)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ZigBee 등 폐쇄적 네트워크에서도 IP를 지원하여 이기종 네트워크 사이에서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렇듯, 인터넷과 사물 간 통신의 융화가 최근 이슈이며, 여기에는 호환성, 접근성 및 활용성의 이점 때문에 웹 플랫폼이 IoT의 매개체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웹플랫폼을 이용한 IoT 사물 브라우징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TCP/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 중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자원이 제약적인 센서 노드에서도 인터넷의 고정 컨텐츠 공급부를 이용하여 풍부한 UI표현을 지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센서 노드들과 사용자 단말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에 대한 호환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활용 가능한 리소스 양에 따라서 교환되는 데이터를 달리 함으로써, 효율적인 자원 활용이 가능한 네트워크 중계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센서 노드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아이피 주소를 제2종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아이피 검색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센서 노드와의 통신 수행 요청 수신 시, 통신 수행에 사용되는 데이터 중 복수의 센서 노드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공급하는 고정 컨텐츠 공급부; 및 상기 데이터 중 상기 센서 노드의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센서 노드로 압축하여 송신하고,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는, 상기 센서 노드가 속한 상기 제1종 네트워크에서 상기 센서 노드가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로 이동 시, 상기 센서 노드의 새로운 아이피 주소를 갱신하는 아이피 갱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아이피 갱신부는, 상기 센서 노드가 이동한 상기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에 상기 센서 노드의 진입을 통지하고, 상기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에서 할당한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새로운 아이피 주소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보는 웹 컨텐츠 중, 상기 웹 컨텐츠에 포함된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컨텐츠 공급부는, 상기 통신 수행 요청 중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에 관한 공급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한다.
상기 제1종 네트워크는, 아이피 기반의 무선센서네트워크이며, 상기 제2종 네트워크는, TCP 및 HTTP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범용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중계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에 포함된 TCP 프로토콜의 헤더에 포함된 필드 중, 송신 및 수신 포트에 관한 필드, TCP 세그먼트의 중복 전송과 순서 재조립에 관한 필드, 데이터 페이로드의 위치에 관한 필드, 상기 TCP 세그먼트의 종류를 구분하는 필드, 상기 센서 노드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 조절에 관한 필드, 및 상기 TCP 세그먼트의 신뢰성 검증에 관한 필드 중 하나 이상을 압축하여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한다.
상기 통신 중계부는, 기 저장된 HTTP 프로토콜의 헤더에 포함된 문자열에 대응하는 바이너리 코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에 포함된 문자열 기반의 HTTP 프로토콜의 헤더를 바이너리 코드 기반의 헤더로 변환하여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사용자 단말은, 입력된 센서 노드의 도메인을 송출하는 아이피 요청부, 상기 도메인을 기반으로 중계 장치에서 검색된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의 센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컨텐츠 요청부; 및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센싱 데이터와, 복수의 센서 노드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융합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컨텐츠 융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은 TCP 및 HTTP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범용 네트워크로 수행된다.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보는 웹 컨텐츠 중, 상기 웹 컨텐츠에 포함된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방법은, 아이피 검색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센서 노드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센서 노드와의 통신 수행 요청을 제2종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중계부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중계부가 상기 통신 수행 요청을 압축하여 제1종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상기 통신 중계부가 압축 해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노드가 복수의 센서 노드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고정 컨텐츠 공급부로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고정 컨텐츠 공급부에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센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 중계부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중계부가 상기 센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압축하여 상기 제1종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 및 상기 센서 노드의 센싱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피 갱신부가 상기 센서 노드가 속한 상기 제1종 네트워크에서 상기 센서 노드가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로 이동 시, 상기 센서 노드의 새로운 아이피 주소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노드가 이동한 상기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에 상기 센서 노드의 진입을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피 갱신부가 상기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에서 할당한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새로운 아이피 주소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보는 웹 컨텐츠 중, 상기 웹 컨텐츠에 포함된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종 네트워크는, 아이피 기반의 무선센서네트워크이며, 상기 제2종 네트워크는, TCP 및 HTTP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범용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에 포함된 TCP 프로토콜의 헤더에 포함된 필드 중, 송신 및 수신 포트에 관한 필드, TCP 세그먼트의 중복 전송과 순서 재조립에 관한 필드, 데이터 페이로드의 위치에 관한 필드, 상기 TCP 세그먼트의 종류를 구분하는 필드, 상기 센서 노드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 조절에 관한 필드, 및 상기 TCP 세그먼트의 신뢰성 검증에 관한 필드 중 하나 이상을 압축하여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HTTP 프로토콜의 헤더에 포함된 문자열에 대응하는 바이너리 코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에 포함된 문자열 기반의 HTTP 프로토콜의 헤더를 바이너리 코드 기반의 헤더로 변환하여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센서 노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활용 리소스가 풍부한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했을 때 보다 효율적인 통신 수행이 가능해지는 효과, 고정 컨텐츠 공급부의 템플릿 변경 만으로 자원이 부족한 사물 및 센서 노드가 인터넷을 활용한 웹 기반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현이 가능한 효과, 센서 노드의 이동성에 적응하여 정확한 접근이 가능한 효과, TCP 및 HTTP 프로토콜 상의 데이터 통신 파일에 포함된 헤더를 압축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활용함으로써, 제한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센서 노드의 네트워크 이동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7은 TCP 헤더 압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9는 HTTP 헤더를 압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16은 HTTP 헤더의 압축 코드이다.
도 17은 HTTP 헤더의 압축 및 압축 해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실시 예는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이와 균등한 실시 예에 대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발명의 특징을 불명하게 할 수 있는 기재를 피하기 위해, 종래에 알려진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는, 아이피 검색부(110), 통신 중계부(120) 및 고정 컨텐츠 공급부(130)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아이피 갱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100)를 중심으로, 센서 노드(310)들이 포함된 무선 센서네트워크 영역(300)과 사용자 단말(200)이 양쪽에 위치하고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영역(300)과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100)는 제1종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게 된다.
제1종 네트워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로서, 조그만 센서에게까지 아이피를 부여하여 기존 인터넷 망과 끊김 없는 연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형성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6LoWPAN(IPv6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이 사용될 수 있다.
6LoWPAN은 IEEE 802.15.4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로서, IPv6 기술을 이용하는 아이피 기반의 센서네트워크 표준이다. 저전력으로 설계된 IEEE 802.15.4는 최대 전송 단위가 127 바이트로 제한하고 있다.
한편,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제2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종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TCP/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범용 인터넷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즉, 제1종 네트워크에 비해 제2종 네트워크는 한번에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리소스가 커 고속 및 고용량의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망을 의미할 것이다. 또한, 제2종 네트워크에서는 통신 수행에 필요한 헤더의 크기가 제1종 네트워크에 비해 클 것이다.
아이피 검색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된 센서 노드(310)의 도메인을 수신한다. 아이피 검색부(110)에는, 복수의 등록된 센서 노드(310)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센서 노드(310)의 아이피 주소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것이다.
아이피 검색부(110)는 등록된 센서 노드(310)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아이피 주소에 대한 정보를 다시 사용자 단말(200)에 리턴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이 센서 노드(310)의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여 센서 노드(310)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중계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아이피 주소를 기반으로 센서 노드(310)를 특정하여 통신수행 요청을 수신 시, 통신 수행에 사용되는 데이터 중 센서 노드(310)의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제1종 네트워크에 송신하기 위해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반대로 센서 노드(31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압축 해제하여 사용자 단말(310)에 제2종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가 제2종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면, 제2종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TCP 및 HTTP의 헤더를 제1종 네트워크의 리소스를 과도하게 활용하지 않는 한도 내로 압축하여 센서 노드(310)에 송신하게 된다. TCP 및 HTTP 헤더의 압축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내지 17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하도록 한다.
고정 컨텐츠 공급부(130)는, 복수의 센서 노드(310)와의 통신 수행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직접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고정 컨텐츠 공급부(130)는 사용자 단말(200) 등에서 센서 노드(310)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통신 시, 가장 큰 용량을 차지하는 소위 리치 인터페이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200)의 표시부에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웹 컨텐츠는 크게 템플릿, 어플리케이션 코드, 및 센서 노드(310)의 센싱 데이터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리치 인터페이스 지원을 위한 데이터로서 그 용량이 큰 반면 복수의 센서 노드(310)들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고정 컨텐츠 공급부(130)는 이러한 데이터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 단말(200)에 기 저장된 동일한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종 네트워크를 통해 이를 공급함으로써, 센서 노드(310)에서 송출하는 데이터의 양을 최소화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 컨텐츠 공급부(130)는 웹 컨텐츠 데이터 중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정 컨텐츠 공급부(130)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센서 노드(310)와의 통신 수행 요청 신호를 수신 시, 신호 내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통신을 원하는 센서 노드(310)의 통신을 위해, 센서 노드(310)와 공통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EPC 코드를 기반으로 제품의 종류와 특성,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제품은 센서 노드(310)를 의미할 것이다. 등록된 제품 정보를 바탕으로, 센서 노드(310) 별로 템플릿을 관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템플릿은 데이터들 중, HTML, CSS, 이미지, 비디오 파일 등을 의미한다. 이때, 중복되는 데이터는 복수의 센서 노드(310) 및 센서의 종류에 따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베이스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에는 템플릿 이외에 어플리케이션 코드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일반적으로, 리치 유저인터페이스 지원, 센서와 비동기적인 통신 지원, 센서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등록하고 관리한다.
비동기적인 통신 지원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복수의 센서 노드(310)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통일적으로 관리할 것이며, 센싱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기능에 따라 세분화하여 관리된다. 리치 유저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코드는 센서별로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100)에는 아이피 갱신부(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아이피 갱신부(140)는 센서 노드(310) 등의 이동에 따른 네트워크 아이피 변동을 인지하고 이를 아이피 검색부(110)에 저장하도록 하여, 아이피 검색부(110)에서 도메인 주소와 아이피 주소를 정확하게 매칭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는 일정량의 아이피를 미리 할당한 아이피 풀(Pool)에서 접속 순서대로 사용하지 않는 아이피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유동 아이피 방식을 사용하는 데, 이 경우 접속 시마다 아이피 주소가 바뀌므로 도메인을 바탕으로 아이피를 검색하는 때마다 갱신할 필요가 있다.
아이피 갱신부(140)는 센서 노드(310)가 다른 영역으로 이동 시, 이동된 네트워크에 센서 노드(310)가 처음 조인하는 과정을 거치고, 이에 따라 아이피 주소의 갱신 시 마다 도메인과 아이피 주소를 확인하여 마지막 받은 아이피 주소를 새로운 센서 노드(310)의 아이피 주소로 설정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아이피 요청부(210), 컨텐츠 요청부(220) 및 컨텐츠 융합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부(240) 및 통신부(250) 역시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사용자 단말(200)과 센서 노드(310)의 통신 결과를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200)을 통한 유저의 입력은, 별도의 입력 수단 또는 표시부(240)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될 것이다.
통신부(250)는 사용자 단말(200)과 브라우징 장치(100) 사이의 모든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50)는 유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제2종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 장치(100)와 통신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통신부(250)에는 TCP 및 HTTP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
아이피 요청부(210)는 표시부(240)의 웹브라우저를 확인한 유저가 입력 수단(미도시)을 통해 센서 노드(310)의 도메인을 입력 시, 도메인 스트링을 추출하여 접근하고자 하는 센서 노드(310)의 도메인 정보를 중계 장치(10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계 장치(100)의 아이피 검색부(110)를 통해 검색된 도메인 정보에 대응하는 센서 노드(310)의 아이피 주소는, 컨텐츠 요청부(220)에 송신된다. 컨텐츠 요청부(220)는, 센서 노드(310)에서의 센싱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기 위해 요청하는 신호를 중계 장치(100)의 통신 중계부(120)에 송신하게 된다.
컨텐츠 융합부(230)는 중계 장치(100)의 통신 중계부(120) 및 고정 컨텐츠 공급부(130)로부터 센싱 데이터 및 복수의 센서 노드(310)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게 된다. 이후, 컨텐츠 융합부(230)는 표시부(240)의 웹 브라우저에 유저가 센싱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에 센싱 데이터를 융합한 정보를 표시부(240) 에 출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과 중계 장치(100)는 제2종 네트워크인 범용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TCP 및 HTTP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게 된다.
중계 장치(100)와 무선 센서네트워크 영역(300) 내의 센서 노드(310)는, 아이피 기반의 무선 센서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중계 장치(100)와 센서 노드(310)는 센싱 데이터 요청 신호 및 센싱 데이터를 포함한 응답 신호를 교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에서 아이피 검색부(110)에 센서 노드(310)의 아이피 주소를 요청하는 단계(S1)가 수행된다. S1 단계는 상기의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아이피 요청부(210)가 입력된 도메인 주소를 아이피 검색부(110)에 송출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후, 아이피 검색부(110)가 아이피 주소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리턴하는 단계(S3)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센서 노드(310)의 아이피가 갱신되는 경우에는 아이피 갱신부(140)에서 센서 노드(310)의 아이피 주소를 갱신하는 단계(S2)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센서 노드(310)의 아이피 주소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0)이 수신한 아이피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요청 신호를 통신 중계부(120)에 요청하는 단계(S4)를 수행하게 된다.
통신 중계부(120)는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통신 요청 신호 압축하고(S5) 제1종 네트워크를 통해 압축된 요청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S6).
압축된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센서 노드(310)는, 다시 압축된 신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통신 중계부(120)에 송신하게 된다(S7). 이때 응답 신호에는,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요청하라는 신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 중계부(120)는 수신한 압축된 응답 신호의 압축을 제2종 네트워크에 맞도록 해제하는 단계(S8)를 수행하고,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에 송신하는 단계(S9)를 수행한다.
수신한 응답 신호에 복수의 센서 노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가 센싱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서 브라우징 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신호, 즉 상기의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요청하라는 신호가 검출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고정 컨텐츠 공급부(130)에 고정 컨텐츠, 즉 복수의 센서 노드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는 요청하게 되고(S10) 고정 컨텐츠 공급부(130)는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사용자 단말(200)에 송신하게 된다(S11).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수신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다시 통신 중계부(120)에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S12), 통신 중계부(120)에서는 센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압축하여(S13) 센서 노드(310)에 송신하게 된다(S14). 센서 노드(310)로부터 압축된 응답이 통신 중계부(120)에 전달되면(S15), 통신 중계부는 센싱 데이터 요청 신호에 대한 압축된 응답 신호의 압축을 해제하여(S16) 제2종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하게 된다(S17).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은,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로서 고정 컨텐츠와 센싱 데이터를 융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표시부(240)에 표시하는 단계(S18)를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센서 노드의 네트워크 이동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복수의 통신 중계부(121, 122)가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통신 중계부A(121)는 이동 전의 센서 노드(310)가 존재하는 제1 네트워크 영역(300)과의 통신을 위한 장치이며, 통신 중계부B(122)는 이동 후의 센서 노드(311)가 존재하는 제2 네트워크 영역(301)과의 통신을 위한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도 1의 통신 중계부(120)는, 복수의 센서 노드들이 각각 이루고 있는 네트워크 영역마다 복수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서는, 이동 전의 센서 노드(310)는 제1 네트워크 영역(300)에 존재하고 있다. 이동 후의 센서 노드(311)는 제2 네트워크 영역(301)에 존재하게 되며, 이동 후에는 제2 네트워크 영역(301)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센서 노드(311)가 네트워크 영역에 조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통신 중계부B(122)에는 제2 네트워크 영역에 새로운 센서 노드(311)가 조인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될 것이며, 통신 중계부B(122)는 이 신호를 아이피 갱신부(140)에 송신하여 센서 노드(310, 311)의 아이피 주소를 업데이트 하게 된다.
도 6 및 7은 TCP 헤더 압축 예를 도시한 것이다.
통신 중계부(120)는 TCP 및 HTTP 프로토콜의 제2종 네트워크를 통한 신호를 제1종 네트워크에 전달할 때, TCP 및 HTTP 헤더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언급한 것처럼, 무선 센서네트워크인 제1종 네트워크는 페이로드, 즉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127바이트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20바이트의 헤더를 갖는 TCP 및 문자열 기반의 헤더로 용량이 큰 HTTP의 헤더를 압축하여 송신해야만,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중계부(120)에서는 TCP 프로토콜의 헤더를 압축하기 위해, 헤더의 압축 여부에 관한 정보(400)를 추가적으로 생성하게 된다.
압축 여부에 관한 정보(400)에서 위의 숫자는 해당 비트를 의미한다. 0-1비트(PORT)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Port 필드의 압축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0, 1비트가 00인 경우, 송신 포트인 소스 포트와 수신 포트인 목적 포트 모두 압축되지 않아 각각 16 비트가 TCP 헤더에 포함됨을 나타내며, 01은 목적 포트만 8비트로 압축되었고, 10은 소스 포트만 8비트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11은 소스 포트와 목적 포트 모두 4비트로 압축됨을 나타낸다.
2비트(SA)는 TCP 세그먼트의 중복 전송과 순서 재조립에 사용되는 시퀀스 숫자(Sequence Number)와 인식 숫자(Acknowledgement Number) 필드의 압축 정보를 나타내며, 0은 각각 32비트로 압축되지 않은 상태, 1은 두 필드 모두 16비트로 압축되었음을 의미한다.
3비트(OFF)는 TCP 세그먼트에서 데이터 페이로드(Data Payload)의 위치를 알려주는 데이터 오프셋(Data Offset) 필드에 대하 압축 여부를 나타내며, 0은 압축되지 않음, 1은 압축됨을 나타낸다.
4비트(FLG)는 TCP 세그먼트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래그(Flags) 필드의 압축 정보를 나타낸다. 역시 0은 압축되지 않음, 1은 압축됨을 나타낸다.
5비트는 송신자가 자체적으로 전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송신자에게 수신자의 윈도우 크기를 알려주는 윈도우 필드에 대한 압축 정보를 나타낸다. 역시 0은 압축되지 않음, 1은 압축됨을 나타낸다.
6비트(CKS)는 TCP 세그먼트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데 사용되는 체크섬(Checksum) 필드에 대한 압축정보를 나타낸다. 역시 0은 압축되지 않음, 1은 압축됨을 나타낸다. 데이터 전송 시 올바르게 전송됨을 가정하고, 압축 해제시에는 전송된 데이터의 체크섬을 계산하여 복원하게 된다.
7비트(AC)는 추가적으로 다른 데이터들에 대한 압축 여부를 알려주는 필드로서, 역시 0은 압축되지 않음, 1은 압축됨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압축여부에 관한 정보(400)에 의해 최대로 압축된 TCP 헤더의 구조(410)를 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상기의 압축여부에 관한 정보(400)를 포함하면서 최대로 TCP 헤더를 압축할 경우, TCP 헤더를 압축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외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바이트까지 압축할 수 있어, 무선 센서네트워크인 제1종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8 및 9는 HTTP 헤더를 압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HTTP 헤더는 문자열 기반의 구조를 갖고 있어, 용량이 크다. 따라서, HTTP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중계부(120)에 데이터가 송신이 되는 경우, 헤더를 압축하여 보내야만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데이터 처리량을 최대한 늘릴 수 있을 것이다.
HTTP 헤더에는 Version 필드가 있는데,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버전은 HTTP 1.1 버전으로서, 총 4비트의 공간을 할당하여 앞 2비트는 주 버전, 뒤2 비트는 서브버전으로 구성하였다. 타입 필드는 헤더 해석 시 통신 수행 요청 신호 및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로, 0은 요청 신호, 1은 응답 신호를 의미한다. 통신 수행 요청 신호 및 이에 대한 응답 신호 모두 가변의 헤더가 포함이 되는데, 헤더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헤더가 끝났음을 인지시키기 위해 포함된 헤더의 개수를 의미하는 헤더 카운트 필드가 설계되어 있고, 가변의 헤더는 압축 여부에 따라서 도 8의 헤더(500) 내의 Header[] 필드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가변 헤더(501) 또는 도 9의 헤더(510) 내의 Header[] 필드에 압축된 상태의 헤더(511)가 삽입될 것이다.
압축된 HTTP 헤더는, 문자열 기반이 아닌 바이너리 코드로서 존재하게 될 것이다. 이하의 도 10 내지 16은 문자열 헤더를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하는 예에 대한 것으로서, 도 10 내지 16의 코드 매칭 데이터는 통신 중계부(120)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 내지 16은 HTTP 헤더의 압축 코드이다.
먼저 도 10은 통신 수행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요청 신호의 종류에 대한 매칭 테이블(520)이다. 반면, 응답 신호에서는 요청 신호의 종류에 대한 필드는 0으로 채워지고, 다른 비트에 도 11에 도시된 상태 코드(Status Code)를 갖는다.
상태 코드는 종류에 따라서 100 ~ 599의 숫자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비트 중 앞 3비트를 영역 코드인 1 ~ 5로 할당하고, 나머지 5비트를 영역 내의 코드 번호로 할당하게 된다.
도 12 내지 16은, 헤더 코드들의 문자열에 대응하는 코드 번호인 바이너리 코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16을 참조하면, HTTP 헤더에 포함될 수 있는 각 문자열에 대응하는 코드가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도 17은 HTTP 헤더의 압축 및 압축 해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와 통신 중계부(120) 사이에서는 압축되지 않은 문자열 기반의 HTTP 헤더가 포함된 통신 수행 요청 신호가 송수신될 것이다. 그러나, 통신 중계부(120)와 센서 노트(310)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바이너리 형태의 신호가 송수신됨으로써, HTTP 헤더가 차지하는 용량을 대폭 감소시켜, 예를 들어 페이로드가 127바이트로 한정된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리소스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2)

  1.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센서 노드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아이피 주소를 TCP 및 HTTP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범용 네트워크인 제2종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아이피 검색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센서 노드와의 통신 수행 요청 수신 시, 통신 수행에 사용되는 데이터 중 복수의 센서 노드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공급하는 고정 컨텐츠 공급부; 및
    상기 데이터 중 상기 센서 노드의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압축하여 아이피 기반의 무선센서네트워크인 제1종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센서 노드로 송신하고,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통신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가 속한 상기 제1종 네트워크에서 상기 센서 노드가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로 이동 시, 상기 센서 노드의 새로운 아이피 주소를 갱신하는 아이피 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이피 갱신부는,
    상기 센서 노드가 이동한 상기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에 상기 센서 노드의 진입을 통지하고, 상기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에서 할당한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새로운 아이피 주소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보는 웹 컨텐츠 중, 상기 웹 컨텐츠에 포함된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 컨텐츠 공급부는,
    상기 통신 수행 요청 중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에 관한 공급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계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에 포함된 TCP 프로토콜의 헤더에 포함된 필드 중, 송신 및 수신 포트에 관한 필드, TCP 세그먼트의 중복 전송과 순서 재조립에 관한 필드, 데이터 페이로드의 위치에 관한 필드, 상기 TCP 세그먼트의 종류를 구분하는 필드, 상기 센서 노드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 조절에 관한 필드, 및 상기 TCP 세그먼트의 신뢰성 검증에 관한 필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압축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계부는,
    기 저장된 HTTP 프로토콜의 헤더에 포함된 문자열에 대응하는 바이너리 코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에 포함된 문자열 기반의 HTTP 프로토콜의 헤더를 바이너리 코드 기반의 헤더로 변환하여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10. 입력된 센서 노드의 도메인을 송출하는 아이피 요청부,
    상기 도메인을 기반으로 중계 장치에서 검색된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센서 노드의 센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컨텐츠 요청부; 및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센싱 데이터와, 복수의 센서 노드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융합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컨텐츠 융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사용자 단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중계 장치 사이의 통신은 TCP 및 HTTP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범용 네트워크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사용자 단말.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보는 웹 컨텐츠 중, 상기 웹 컨텐츠에 포함된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사용자 단말.
  13. 아이피 검색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센서 노드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센서 노드와의 통신 수행 요청을 TCP 및 HTTP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범용 네트워크인 제2종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중계부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중계부가 상기 통신 수행 요청에 포함된 센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압축하여 상기 센서 노드로 아이피 기반의 무선센서네트워크인 제1종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상기 통신 중계부가 압축 해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노드가 복수의 센서 노드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요청하라는 신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정 컨텐츠 공급부에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센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 중계부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중계부가 상기 센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압축하여 상기 제1종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 및 상기 센서 노드의 센싱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아이피 갱신부가 상기 센서 노드가 속한 상기 제1종 네트워크에서 상기 센서 노드가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로 이동 시, 상기 센서 노드의 새로운 아이피 주소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노드가 이동한 상기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에 상기 센서 노드의 진입을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피 갱신부가 상기 다른 영역의 네트워크에서 할당한 상기 센서 노드의 아이피 주소를 상기 새로운 아이피 주소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보는 웹 컨텐츠 중, 상기 웹 컨텐츠에 포함된 템플릿 및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에 포함된 TCP 프로토콜의 헤더에 포함된 필드 중, 송신 및 수신 포트에 관한 필드, TCP 세그먼트의 중복 전송과 순서 재조립에 관한 필드, 데이터 페이로드의 위치에 관한 필드, 상기 TCP 세그먼트의 종류를 구분하는 필드, 상기 센서 노드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 조절에 관한 필드, 및 상기 TCP 세그먼트의 신뢰성 검증에 관한 필드 중 하나 이상을 압축하여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방법.
  22.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HTTP 프로토콜의 헤더에 포함된 문자열에 대응하는 바이너리 코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에 포함된 문자열 기반의 HTTP 프로토콜의 헤더를 바이너리 코드 기반의 헤더로 변환하여 상기 센서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방법.
KR1020110058062A 2011-06-15 2011-06-15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KR10118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062A KR101188507B1 (ko) 2011-06-15 2011-06-15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062A KR101188507B1 (ko) 2011-06-15 2011-06-15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507B1 true KR101188507B1 (ko) 2012-10-05

Family

ID=4728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062A KR101188507B1 (ko) 2011-06-15 2011-06-15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50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71B1 (ko) 2012-10-16 2014-05-20 전자부품연구원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KR20140091364A (ko) * 2013-01-11 2014-07-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기반 센서 데이터 전송 지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78909B1 (ko) 2013-05-22 2015-01-05 한국과학기술원 인스턴스 호스팅 환경에서의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523702B1 (ko) * 2013-12-24 2015-05-28 (주)엔텔스 IoT 플랫폼 서버 및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CN106302592A (zh) * 2015-05-28 2017-01-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应用的更新方法、服务器和终端
KR101970657B1 (ko) 2018-11-27 2019-04-19 주식회사 티제이코시스 멀티 홉 IoT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230059998A (ko)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유큐브이 인공지능 학습 멀티홉 IoT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240055402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유큐브이 인공지능 학습 멀티홉 IoT 중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919B1 (ko) 2005-11-16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919B1 (ko) 2005-11-16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71B1 (ko) 2012-10-16 2014-05-20 전자부품연구원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KR20140091364A (ko) * 2013-01-11 2014-07-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기반 센서 데이터 전송 지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97320B1 (ko) * 2013-01-11 2017-0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기반 센서 데이터 전송 지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78909B1 (ko) 2013-05-22 2015-01-05 한국과학기술원 인스턴스 호스팅 환경에서의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523702B1 (ko) * 2013-12-24 2015-05-28 (주)엔텔스 IoT 플랫폼 서버 및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CN106302592A (zh) * 2015-05-28 2017-01-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应用的更新方法、服务器和终端
CN106302592B (zh) * 2015-05-28 2021-01-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应用的更新方法、服务器和终端
KR101970657B1 (ko) 2018-11-27 2019-04-19 주식회사 티제이코시스 멀티 홉 IoT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230059998A (ko)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유큐브이 인공지능 학습 멀티홉 IoT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240055402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유큐브이 인공지능 학습 멀티홉 IoT 중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507B1 (ko)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기술 및 네트워크 중계 기술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CN107278363B (zh) 用于网络通信的系统和技术
US11032739B2 (en) Dynamic header compression for constrained networks
EP3641365A1 (en) Device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Grigorik Making the web faster with HTTP 2.0
CN108259598B (zh) 一种基于异构融合及云解析技术的感知设备统一接入方法
WO2016197804A1 (zh) 数据包的压缩方法和装置
US20140330992A1 (en) USB Device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2749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망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532984B (zh) websocket协议的数据传输方法、设备和系统
CN104038528B (zh) 中继装置、系统及方法
CN105393600B (zh) 用于在无线环境中提供多服务发现的方法和系统
CN102246493A (zh) 能够减少访问时间的获取内容的方法和装置
JP2008219482A (ja) 無線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装置
US1040477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o web server in mobile device
CN104038507A (zh) 基于内容为中心的协议转换无线网关及其通信方法
CN103731493A (zh) 页面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101419437B1 (ko) 데이터 가속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612825A (zh) 用于改进报头压缩的方法和装置
EP3000219B1 (en) Access to data source via proxy
CN106550427A (zh) 用于实现无线局域网快速配置的方法、WiFi终端和系统
CN103647763A (zh) 一种移动终端广告调用方法和系统
US20160037509A1 (en) Techniques to reduce bandwidth usage through multiplexing and compression
WO2019035287A1 (ja) 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491638B1 (ko) 통신망의 종류를 구분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