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593B1 -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593B1
KR101884593B1 KR1020180042170A KR20180042170A KR101884593B1 KR 101884593 B1 KR101884593 B1 KR 101884593B1 KR 1020180042170 A KR1020180042170 A KR 1020180042170A KR 20180042170 A KR20180042170 A KR 20180042170A KR 101884593 B1 KR101884593 B1 KR 101884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usehold
management server
wireless communication
apartment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흠
Original Assignee
이광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흠 filed Critical 이광흠
Priority to KR102018004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G06K9/0033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 및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음성과 영상 통신을 비롯한 쌍방향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대 간 통신은 물론 관리서버와도 통신하는 세대통신기기; 상기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소에 설치되고, 상기 세대통신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각 세대와 관리사무소 간의 통신은 물론 세대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관리서버; 상기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리서버에서의 제어를 통해 각종 정보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게시판;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 일정공간에 설치하거나 가전제품 또는 가구에 설치되고, 카메라 촬영에 의한 감시방식이 아닌 비노출식 형태로 세대 내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세대통신기기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사람의 움직임 감지 및 감지신호의 통신을 통해 독거 세대의 고독사 방지 및 세대 침입여부를 확인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세대통신기기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기능 변경이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장치로 구성하되, 모든 기능을 하나의 칩 안에 집적시킨 SoC(System on Chip)로 메인보드를 설계하여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세대별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과 연동 가능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관리서버와 인체감지센서는 물론 스마트폰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 내 통합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공동주택 내 세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 HAVING UNIFIED COMMUNICATION ENVIRONMEN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내 통합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환경을 갖게 함으로써 공동주택 내 세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는 경비실 내에 인터폰이 구비되어 있으며, 통화를 원하는 경우에 각각의 세대에서 한 번의 누름 동작으로 경비실과 직접 통화를 할 수도 있고, 경비원의 도움을 받아 해당 동내의 다른 세대와 연결하여 통화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인터폰에 의한 세대 간의 통신방법은 경비실을 통해서만 가능함에 따라 경비실에 경비원이 없는 경우에는 통화를 할 수 없으며, 특히 한 단지 내에서도 다른 동(건물)에 거주하는 주민들과는 인터폰으로 연결이 되지 않아 통화를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각 세내 내에서는 관리사무소와의 정보 공유에도 어려움이 있었으며, 정보 공유는 방송을 통하거나 또는 공동현관 내 게시판을 통해 종이자료를 게재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공동주택 내 커뮤니케이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형편에 있으며, 그 정보 공유가 실시간으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각 세대 간의 통신 및 세대와 관리사무소 간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자동교환기를 설치하여 단지 내에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내에 모니터화면을 갖는 정보공유기를 설치하기도 하나, 여전히 공동주택 내 정보 공유에 따른 어려움이 존재하는 실정에 있으며, 공동주택 내 세대 사용자들은 단순 전달식 형태로만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불편함을 겪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34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9391호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내 통합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환경을 갖게 함으로써 공동주택 내 세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내 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사무소 및 관청과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잡음 제거에 따른 통신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내 통신 트래픽 등을 비롯하여 재난이나 재해시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경우 통신 중계기능을 통해 비상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세대통신기기끼리 또는 세대통신기기와 관리서버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신 긴밀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은, 공동주택에서의 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 및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음성과 영상 통신을 비롯한 쌍방향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대 간 통신은 물론 관리서버와도 통신하는 세대통신기기; 상기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소에 설치되고, 상기 세대통신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각 세대와 관리사무소 간의 통신은 물론 세대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관리서버; 상기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리서버에서의 제어를 통해 각종 정보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게시판;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 일정공간에 설치하거나 가전제품 또는 가구에 설치되고, 카메라 촬영에 의한 감시방식이 아닌 비노출식 형태로 세대 내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세대통신기기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사람의 움직임 감지 및 감지신호의 통신을 통해 독거 세대의 고독사 방지 및 세대 침입여부를 확인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세대통신기기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기능 변경이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장치로 구성하되, 모든 기능을 하나의 칩 안에 집적시킨 SoC(System on Chip)로 메인보드를 설계하여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세대별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과 연동 가능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관리서버와 인체감지센서는 물론 스마트폰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세대통신기기와 전자게시판 및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로부터 전송된 각종 컨텐츠 및 이벤트 정보를 세대통신기기와 전자게시판으로 제공하여 실시간 공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로부터 관리서버로 전송된 후 세대통신기기로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 및 이벤트 정보는 멀티홉(multihop) 또는 애드훅(ad hoc)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세대통신기기끼리 중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통신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동주택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재난이나 재해를 비롯한 통신환경 불량으로 통신이 어렵게 되는 경우 공동주택 내 비상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내용 이동통신기지국;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내용 이동통신기지국은, 무선통신중계기를 갖는 이동통신중계설비 또는 무선통신부를 갖는 드론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통신중계설비는, LTE, WiFi, 블루투스, 로라(LoRa), 지그비, 비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하는 무선통신중계기; 상기 무선통신중계기의 발진을 방지하기 위해 원형 편파(Circular Polarisation)로 동작하도록 구비되고, 송신부와 수신부의 격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무선중계안테나; 상기 무선중계안테나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잇는 도선으로서, 무선 주파수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한 급전선; 상기 무선통신중계기 및 급전선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함;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 내 통합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환경을 구현할 수 있어 공동주택 내 세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공동주택 내 다양한 통신을 이용하여 각 세대끼리는 물론 관리사무소 및 관할 관청과의 정보 또한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내 통신을 통해 세대 독거노인 등의 고독사는 물론 세대 침입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공동주택 내 통신에 따른 잡음 제거를 통해 통신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내 통신 트래픽 등을 비롯하여 재난이나 재해시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경우에도 통신 중계기능을 통해 비상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세대통신기기끼리 또는 세대통신기기와 관리서버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신 긴밀성을 강화할 수 있는 등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세대 내에서도 공동주택 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에 있어 세대통신기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에 있어 비상통신서비스를 위한 구내 이동통신기지국의 일 예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에 있어 비상통신서비스를 위한 구내 이동통신기지국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에 있어 세대 사용자가 보유하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NFC기능을 이용하여 전자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은, 공동주택에서의 다양한 통신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공동주택 내 각 세대별 입주자에게 편의성을 제공 및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대통신기기(10), 관리서버(20), 전자게시판(30), 인체감지센서(40), 구내용 이동통신기지국(50), 전자도어락(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대통신기기(1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 및 정보 검색 등이 가능하도록 전력선통신이나 광통신 등을 통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음성과 영상 통신을 비롯한 쌍방향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대통신기기(10)를 통한 세대 간 통신은 물론 관리서버(2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세대통신기기(10)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기능 변경이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장치로 구성하되, 모든 기능을 하나의 칩 안에 집적시킨 SoC(System on Chip)로 메인보드를 설계하여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며,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탈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세대통신기기(10)는 각 세대별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1)과 연동 가능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세대통신기기(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보드 상에 관리서버(20)와 인체감지센서(40)는 물론 세대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1)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11)와, 인터넷 검색 등의 정보 디스플레이와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면출력부(12)와, 음성 출력을 위한 음성출력부(13)와, 각종 데이터 저장을 위한 데이터기록부(14)와,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부(15)와, 세대통신기기(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세대통신기기(10)는 상기 관리서버(20)와는 기본적으로 유선 결합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되, 통신 트래픽 등 비상시나 필요시 차선적인 통신 및 정보 교환을 위해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무선통신이 메인으로 작용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세대통신기기(10)의 무선통신부(11)는 LTE, WiFi, 블루투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한 안테나모듈(AM)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테나모듈(AM)은 송신안테나로부터 출력된 무선 송신신호가 변화하면서 수신안테나로 궤환하는 궤환신호를 제거하여 수신안테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잡음 및 발진현상을 방지하도록 간섭잡음제거기(1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간섭잡음제거기(100)는 신호생성부(110)와 신호제어부(120) 및 신호결합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제어부(120)는 진폭감쇄기(121)와 시간지연기(122) 및 위상변환기(123)로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세대통신기기(10)는 각 세대를 대표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으나 경비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관리서버(20)는 상기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소에 설치되고, 상기 세대통신기기(10)와의 통신을 통해 각 세대와 관리사무소 간의 통신은 물론 세대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관리서버(20)는 상기 세대통신기기(10)로부터 입력되어 전달된 입력신호는 물론 자신이 갖는 출력신호에 대해 정보 전송과 의사소통 등의 다양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한다.
상기 관리서버(20)는 상기 세대통신기기(10)를 식별하는 식별자와 세대 입주자들의 정보 및 기타 정보들을 기록 및 데이터베이스화하는 DB부와, 상기 세대통신기기(10) 등을 비롯한 공동주택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신부와, 상기 세대통신기기(10) 등을 비롯한 공동주택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기기와 통신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부와, 상기 세대통신기기(10) 등을 비롯한 다수의 기기를 개별 인식 및 식별하도록 식별자가 각각 기록되고 상기 세대통신기기(10)와 전자게시판(30) 및 관할주민센터 측 서버(2) 등과 통신을 인증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유선통신부 및 무선통신부로 구분하여 구성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술한 간섭잡음제거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20)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세대통신기기(10)는 물론 전자게시판(30) 및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 측 서버(2)와도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 측 서버(2)는 해당 관리서버(20)에 대한 식별자를 부여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 측 서버(2)로부터 상기 관리서버(20)로 각종 컨텐츠 및 이벤트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20)에서는 이러한 각종 컨텐츠 및 이벤트 정보에 대해 상기 세대통신기기(10)와 전자게시판(30)으로 제공하여 실시간 공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20)와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 측 서버(2)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하며,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 측 서버(2)에서는 관할 내 공동주택에 필요사항이나 공지사항 등을 바로 전자 공지형태로 전달할 수 있어 불필요한 시간 및 중계매개체를 절감할 수 있고, 공동주택에서는 관리서버(20)에서의 중계기능을 통해 관할관청과의 유대관계를 형성하여 정보를 빠르게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 측 서버(2)로부터 관리서버(20)로 전송된 후 중계에 의해 세대통신기기(10)로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 및 이벤트 정보에 대해 멀티홉(multihop) 또는 애드훅(ad hoc)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세대통신기기(10)끼리 중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통신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멀티홉(multihop) 또는 애드훅(ad hoc)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각 세대 내에 설치되는 세대통신기기(10)를 통하여 자율적 구성에 의한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고, 인터넷이나 이종 간의 네트워크와도 연동할 수 있으며, 저전력 시스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 측 서버(2)는 구청이나 시청 등의 관할 관청일 수도 있다.
상기 전자게시판(30)은 공동주택의 출입을 위한 공동현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관리서버(20)와는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리서버(20)에서의 제어를 통해 각종 정보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전자게시판(30)을 통해서는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나 구청 및 시청 등지에서 공지되는 사항을 문서 전달에 의한 게시가 아닌 전자매체로 바로 공지하므로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자게시판(30)을 통해 게시되는 정보는 세대통신기기(10)를 통해서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세대 내 정보수집이 빠르고 이전 문서 공지에 비해 높은 전달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공동주택 내 관청과도 통신할 수 있고 정보 교환할 수 있는 등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센서(4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 일정공간에 설치하거나 가전제품 또는 가구에 설치할 수 있고, 카메라 촬영에 의한 감시방식이 아닌 비노출식 형태로 세대 내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세대통신기기(1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사람의 움직임 감지 및 감지신호의 통신을 통해 독거 세대의 고독사 방지 및 세대 침입여부를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인체감지센서(40)를 통해서는 세대 내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세대통신기기(10)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세대통신기기(10)에서 관리서버(20)는 물론 세대 사용자 및 기 설정된 세대관계자의 스마트폰으로 신호를 자동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세대 내 사람의 움직임을 유용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대통신기기(10)에서는 외출 메뉴 이외에 상기 인체감지센서(40)로부터 감지신호가 일정 시간 내에 미 전송시 세대 내 사람에 대해 이상이 있는 것으로로 판단하고 긴급신호를 자동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긴급신호는 관리서버(20)나 기 설정된 세대관계자의 스마트폰 또는 119구조대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센서(40)는 포토센서나 초음파센서 또는 레이저펄스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세대통신기기(10) 측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신호의 무선 전송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술한 간섭잡음제거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구내용 이동통신기지국(50)은 공동주택 내의 일정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재난이나 재해 또는 평상시 통신트래픽 등을 통해 통신환경 불량으로 세대통신기기(10)와 관리서버(20) 간 또는 세대통신기기(10) 간의 통신이 어렵게 되는 경우 공동주택 내 비상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구내용 이동통신기지국(50)은 무선통신중계기를 갖는 이동통신중계설비(52) 또는 무선통신부(54a)를 갖는 드론(54)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중계설비(5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 WiFi, 블루투스, 로라(LoRa), 지그비, 비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하는 무선통신중계기(52a)와, 상기 무선통신중계기(52a)의 발진을 방지하기 위해 원형 편파(Circular Polarisation)로 동작하도록 구비되고, 송신부와 수신부의 격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무선중계안테나(52b)와, 상기 무선중계안테나(52b)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잇는 도선으로서 무선 주파수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한 급전선(52c)과, 상기 무선통신중계기 및 급전선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함(52d)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54)이 갖는 무선통신부(54a)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 WiFi, 블루투스, 로라(LoRa), 지그비, 비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한 안테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모듈은 송신안테나로부터 출력된 무선 송신신호가 변화하면서 수신안테나로 궤환하는 궤환신호를 제거하여 수신안테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잡음 및 발진현상을 방지하는 간섭잡음제거기(100)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간섭잡음제거기(100)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신호생성부(110)와, 신호제어부(120), 및 신호결합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무선통신부(54a)를 갖는 드론(54)은 비행 가능한 이동기지국으로 기능하여 공동주택 내 통신 불량시 비상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대통신기기(10)에는 세대 출입도어에 장착된 전자도어락(60)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전자도어락(60)을 비접촉식 형태로 제어하거나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세대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탑재된 NFC 기능을 활용하여 전자도어락(6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밀번호를 누르지 않고 세대를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대통신기기(10)에는 세대 사용자가 갖는 스마트폰 식별자 및 세대의 출입도어에 설치되는 전자도어락 식별자를 기록하고, 상기 세대의 출입도어에 설치되는 전자도어락(60)에는 NFC모듈(61) 및 상기 세대통신기기(10)와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부(62)를 탑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세대 사용자가 갖는 스마트폰(1)에서 기기에 탑재된 NFC기능을 활성화하여 전자도어락(60)에 NFC신호 송신시, 상기 전자도어락(60)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스마트폰 식별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스마트폰 식별자와 자신의 전자도어락 식별자를 상기 세대통신기기(10)로 전송한다.
상기 세대통신기기(10)에서는 전자도어락(60)으로부터 전송된 스마트폰 식별자와 전자도어락 식별자가 기록된 데이터와 동일한지를 확인한 후 동일한 경우 전자도어락(60) 측으로 승인데이터를 전송하여 전자도어락(6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전자도어락(60)이 갖는 경보발생부(63)를 통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대 사용자가 갖는 스마트폰(1)은 전자도어락(60) 측에 근접시킴으로써 NFC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원격에서 NFC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밀번호의 노출 없이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함으로써 전자도어락(60)을 제어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를 잊어버리거나 잠금해제키가 없어도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전자도어락(60)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본 발명에서는 공동주택 내 통합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공동주택 내 세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세대통신기기 20: 관리서버
30: 전자게시판 40: 인체감지센서
50: 구내용 이동통신기지국 60: 전자도어락
61:NFC모듈 62: 무선통신부

Claims (8)

  1. 공동주택에서의 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 및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음성과 영상 통신을 비롯한 쌍방향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대 간 통신은 물론 관리서버와도 통신하는 세대통신기기; 상기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소에 설치되고, 상기 세대통신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각 세대와 관리사무소 간의 통신은 물론 세대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관리서버; 상기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리서버에서의 제어를 통해 각종 정보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게시판;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 일정공간에 설치하거나 가전제품 또는 가구에 설치되고, 카메라 촬영에 의한 감시방식이 아닌 비노출식 형태로 세대 내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세대통신기기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사람의 움직임 감지 및 감지신호의 통신을 통해 독거 세대의 고독사 방지 및 세대 침입여부를 확인하는데 활용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세대통신기기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기능 변경이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장치로 구성하되, 모든 기능을 하나의 칩 안에 집적시킨 SoC(System on Chip)로 메인보드를 설계하여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세대별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과 연동 가능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관리서버와 인체감지센서는 물론 스마트폰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세대통신기기와 전자게시판 및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로부터 전송된 각종 컨텐츠 및 이벤트 정보를 세대통신기기와 전자게시판으로 제공하여 실시간 공유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공동주택의 관할주민센터로부터 관리서버로 전송된 후 세대통신기기로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 및 이벤트 정보는 멀티홉(multihop) 또는 애드훅(ad hoc)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세대통신기기끼리 중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통신환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공동주택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재난이나 재해를 비롯한 통신환경 불량으로 통신이 어렵게 되는 경우 공동주택 내 비상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내용 이동통신기지국;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내용 이동통신기지국은,
    무선통신중계기를 갖는 이동통신중계설비 또는 무선통신부를 갖는 드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중계설비는,
    LTE, WiFi, 블루투스, 로라(LoRa), 지그비, 비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하는 무선통신중계기;
    상기 무선통신중계기의 발진을 방지하기 위해 원형 편파(Circular Polarisation)로 동작하도록 구비되고, 송신부와 수신부의 격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무선중계안테나;
    상기 무선중계안테나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잇는 도선으로서, 무선 주파수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한 급전선;
    상기 무선통신중계기 및 급전선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42170A 2018-04-11 2018-04-11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KR101884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170A KR101884593B1 (ko) 2018-04-11 2018-04-11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170A KR101884593B1 (ko) 2018-04-11 2018-04-11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593B1 true KR101884593B1 (ko) 2018-08-01

Family

ID=6322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170A KR101884593B1 (ko) 2018-04-11 2018-04-11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59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016B1 (ko) * 2019-09-23 2020-10-28 장성욱 무선통신기반으로 연결되는 공동현관 로비폰을 제공하는 공동현관 통합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75523B1 (ko) * 2020-05-18 2020-11-06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제어시스템
CN112312425A (zh) * 2019-07-31 2021-02-02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家电设备的上网方法和装置
KR102398441B1 (ko) 2021-10-29 2022-05-16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통합 커뮤니케이션 환경 정보통신 시스템
KR102407942B1 (ko) * 2022-01-04 2022-06-14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KR102467630B1 (ko) * 2021-11-01 2022-11-17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정보통신을 이용한 친환경 공동주택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568109B1 (ko) * 2022-06-13 2023-08-18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정보통신의 네트워크 무선 송수신 설치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955B1 (ko) * 1993-06-30 1996-10-10 한국텔레컴 주식회사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007992A (ko) * 2000-11-01 2001-02-05 임한용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전자게시판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80084127A (ko) * 2007-03-15 2008-09-19 방일순 주택 출입 현관의 통합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감시방법
KR101043414B1 (ko) 2010-12-15 2011-06-22 썬파크 주식회사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을 이용한 공통주택 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신 방법
KR20140052627A (ko) * 2012-10-25 2014-05-07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29391B1 (ko) 2016-04-15 2016-06-13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통신망 중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955B1 (ko) * 1993-06-30 1996-10-10 한국텔레컴 주식회사 공동 주택용 통신망의 설비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007992A (ko) * 2000-11-01 2001-02-05 임한용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전자게시판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80084127A (ko) * 2007-03-15 2008-09-19 방일순 주택 출입 현관의 통합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감시방법
KR101043414B1 (ko) 2010-12-15 2011-06-22 썬파크 주식회사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을 이용한 공통주택 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신 방법
KR20140052627A (ko) * 2012-10-25 2014-05-07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가정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모드 전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29391B1 (ko) 2016-04-15 2016-06-13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통신망 중계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2425A (zh) * 2019-07-31 2021-02-02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家电设备的上网方法和装置
CN112312425B (zh) * 2019-07-31 2022-11-08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家电设备的上网方法和装置
KR102171016B1 (ko) * 2019-09-23 2020-10-28 장성욱 무선통신기반으로 연결되는 공동현관 로비폰을 제공하는 공동현관 통합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75523B1 (ko) * 2020-05-18 2020-11-06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제어시스템
KR102398441B1 (ko) 2021-10-29 2022-05-16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통합 커뮤니케이션 환경 정보통신 시스템
KR102467630B1 (ko) * 2021-11-01 2022-11-17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정보통신을 이용한 친환경 공동주택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07942B1 (ko) * 2022-01-04 2022-06-14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통신망과 연결된 소방 통합관리 시스템
KR102568109B1 (ko) * 2022-06-13 2023-08-18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정보통신의 네트워크 무선 송수신 설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593B1 (ko) 통합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갖는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CN102915630A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US20070293208A1 (en) Wireles switching control system for building automation, lighting, security and appliances
CN102510477A (zh) 数字化室内机及智能家居安防系统
CN203457250U (zh) 智能可视对讲安防系统
CN202904854U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CN103002270A (zh) 数字化室内机及智能家居安防系统
KR10217552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제어시스템
CN107102559A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及方法
CN202957929U (zh) 数字化室内机及智能家居安防系统
CN104635687A (zh) 一种数字化智能家居安防报警系统
TWM613244U (zh) 多重輸入模式及多重輸出通道預警系統
RU2554549C2 (ru) Интерактивный домофон
KR101910766B1 (ko)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통신 시스템
CN202268975U (zh) 数字化室内机及智能家居安防系统
KR101194567B1 (ko)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CN106227049A (zh) 物联网智能家居监控系统
KR101441507B1 (ko) 두 종류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무선 방범 방재시스템과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JP5401160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5297783B2 (ja) 緊急地震通報システム
KR100685651B1 (ko) 공동 경비 비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4951397B2 (ja) 地震通報方法とシステム
CN106094559A (zh) 多功能智能家居监控系统
KR20120095725A (ko) 스마트 워크 센터와 연동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 연동 방법
KR100582144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